KR100993474B1 - 스테이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테이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3474B1 KR100993474B1 KR1020080093189A KR20080093189A KR100993474B1 KR 100993474 B1 KR100993474 B1 KR 100993474B1 KR 1020080093189 A KR1020080093189 A KR 1020080093189A KR 20080093189 A KR20080093189 A KR 20080093189A KR 100993474 B1 KR100993474 B1 KR 1009934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gantry
- base stand
- axis direction
- cable carri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40000004282 Grewia occid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307 Myosotis scorpi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91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78 mim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BASIC 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Abstract
[과제] 베이스대(基臺) 아래의 구조에 대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면서 대형화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테이지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베이스대(10)와, 베이스대(10) 위에서 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갠트리부(30)를 구비한 스테이지장치(1)로서, 베이스대(10)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1축 방향을 따라서 뻗어서, 갠트리부(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0)이 설치되는 돌출편(片)(52)과, 베이스대(10)의 측방으로서 돌출편(52)의 하방에 설치되며, 갠트리부(30)의 이동에 추종하여 변형되고, 갠트리부(30)를 제어하는 케이블을 모아서 배선하는 케이블 캐리어(60)를 구비한다.
스테이지장치, 베이스대, 갠트리부, 가이드 레일, 돌출편, 케이블 캐리어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이 탑재되는 베이스대 위를 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갠트리부를 가지는 스테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패널이나 반도체 등의 각종 기판의 제조 등에 이용되는 스테이지장치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스테이지장치는, 관재(罐材; can material)를 프레임 형상으로 연결하여 구축된 제관(製罐)구조의 베이스대 기대(基臺)와, 베이스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이들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한 쌍의 안내 슬라이더와, 한 쌍의 안내 슬라이더 사이에 횡으로 가설되는 빔을 구비하고 있다. 빔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며, 이 빔에 탑재된 카메라나 리페어 장치 등에 의하여, 기판의 결함을 검출함과 함께 그를 수복(修復)한다. 베이스대는, 제진(除振)유닛을 통하여 가설대(架臺) 위에 지지된다.
이 스테이지장치에는, 케이블 캐리어가 설치되어 있다. 빔에는, 빔 자체나 빔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케이블이나, 슬라이더에 부설되는 처리장치와의 사이에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케이블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케이블이, 케이블 캐리어를 통하여 배선되어 있다. 이때, 폭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하기 위하여, 케이블 캐리어는 베이스대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캐리어와 빔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블 캐리어로부터 나온 케이블이 빔으로 안내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269509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테이지장치에서는, 베이스대의 하방에 케이블 캐리어를 배치하기 때문에, 그 부분에는 제진유닛이나 기둥을 배치할 수 없어, 설계의 자유도가 낮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베이스대 아래의 구조에 대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면서 대형화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테이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테이지장치는, 베이스대와, 상기 베이스대 위에서 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갠트리를 구비한 스테이지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대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1축 방향을 따라서 뻗어서, 상기 갠트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갠트리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대의 측방으로서 상기 갠트리 지지대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갠트리의 이동에 추종하여 변형되는 케이블 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대의 측방에 케이블 캐리어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대 아래의 구조에 대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대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갠트리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베이스대의 폭을 작게 하면서, 베이스대의 측방으로서 갠트리 지지대의 하방에 케이블 캐리어를 설치할 수 있기 때 문에,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캐리어는, 상기 갠트리로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갠트리와 상기 케이블 캐리어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을 안내하는 연락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연락부재와 상기 케이블 캐리어의 연결점은, 상기 갠트리와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대를 구성하는 프레임바디의 측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종래기술과 같이, 베이스대의 하방에 케이블 캐리어를 배치하면, 케이블 캐리어와 갠트리 사이에 설치되는 연락부재가 길어지기 때문에, 진동이 생기기 쉬워, 외란(外亂)이 커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연락부재의 길이를 짧게 하여 진동의 발생을 억제하여, 외란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갠트리 지지대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대의 측면 사이에는,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갠트리 지지대의 강성(剛性)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대는, 이 베이스대를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기판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베이스대가 대형화되어도, 특수대형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베이스대를 분할하여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갠트리 지지대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대의 측면 사이에는,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대는, 이 베이스대를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부를 가지고, 상기 분할부에 있어서의 상기 블록끼리의 연결은, 상기 보강 리브를 통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보강 리브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블록끼리를 강고하게 또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테이지 구조의 경우는, 분할하고자 하면 연결을 위한 플랜지를 스테이지의 측면으로 튀어나오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어, 횡 방향의 사이즈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리브가 돌출편(片)보다도 측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대 아래의 구조에 대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면서 대형화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테이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스테이지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테이지장치(1)가 구비하는 베이스대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베이스대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연결재가 연결된 베이스대의 하부 프레임이 제진유닛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장치(1)는, 기판이 탑재되는 베이스대(10)와, 베이스대(10) 위를 이동하는 갠트리부(30)와, 갠트리부(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0) 및 영구자석(42)과, 갠트리부(3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40)로 안내되는 안내 슬라이더(44) 및 영구자석(42)과 대향하는 전자석(48)을 구비하며, 이 갠트리부(30)가 가이드 레일(40)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에 있어서, 베이스대(10)의 길이방향을 Y축 방향이라 하고 그와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하며, 이들과 직교하는 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한다.
베이스대(10)는, 상부 프레임(12)과, 상부 프레임(12)과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 하부 프레임(22)과, 상부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22)을 연결하는 연결재(18)를 가지고 있다.
상부 프레임(12)은,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2a, 12b)와,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2c, 12d)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바디의 내측을, 복수의 보강재(14a, 14b, 14c, 14d)로 보강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관재(12a, 12b, 12c, 12d)는 중공(中空)의 봉재(棒材)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斷面) ㅁ 형상의 ㅁ 형강(型鋼)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보강재(14a, 14b, 14c, 14d)는, 중공·중실(中實)을 막론하고 프레임바디의 내측에 횡으로 가설되는 봉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 H 형상의 H 형강과 단면 ㅁ 형상의 ㅁ 형강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베이스대(10)는 길이방향의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여기서는 2블록)으로 분할 가능하며, 상부 프레임(12)의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2c, 12d)는 도중에 절단되어, 분할부(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부(16)를 사이에 두고 앞측과 뒤측의 블록 각각에 대하여, 절단 부분의 관재(12c, 12d) 사이에는,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4a)가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관재(12a)와 관재(12c, 12d)와 보강재(14a)로 형성되는 앞쪽의 프레임 내에, H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4b)가, 관재(12c, 12d)에 평행하게 가설됨과 함께, 관재(12a) 및 보강재(14a)에 평행하게 가설된다. 또한, H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4c)가, 관재(12a, 12c, 12d)와 보강재(14a)에 대하여 비스듬히 대각(對角) 형상으로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재(14b, 14c)는 중앙의 일점(一點)에서 교차하여, 여기서부터 방사(放射) 형상으로 뻗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관재(12c, 12d)와 관재(12b)와 보강재(14a)로 형성되는 뒤쪽의 프레임 내에, H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4d)가, 관재(12b, 12c, 12d)와 보강재(14a)에 대하여 비스듬히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22)은,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22a, 22b)와,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22c, 22d)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바디의 내측을, 보강재(24b)로 보강함으로써 구성된다. 관재(22a, 22b, 22c, 22d)의 직경은, 상부 프레임(12)의 관재(12a, 12b, 12c, 12d)보다도 작게 되어 있 다.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24b)는, 관재(22c, 22d)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대(10)는 길이방향의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여기서는 2블록)으로 분할 가능하며, 하부 프레임(22)의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22c, 22d)는 도중에 절단되어, 분할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재(18)는, Z축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22)을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재(18)는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22)을 네 모서리에서 연결하고 있다. 또한,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하의 관재(12c, 22c) 사이에는, 분할부(16, 26)의 앞측에, Z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재(18)가 가설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관재(22d, 22d) 사이에는, 분할부(16, 26)의 앞측에, Z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재(18)가 가설되어 있다.
제진유닛(50)은, 스테이지장치(1)를 설치하는 설치면과 베이스대(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진유닛(50)은, 하부 프레임(22)의 네 모서리와, 관재(22c, 22d)의 도중에 있어서의 하부에 있어서, 베이스대(10)를 제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진유닛(50)은, 설치면으로부터 베이스대(1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제거하는 것이며, 예컨대 공기 용수철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구성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0)은,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보다 상세히는, 관재(12c, 12d)에는, 외측방으로 향하여 돌출편(가이드 레일 지지대)(5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출편(52)이 Y축 방향으로 연속하여 뻗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편(52)의 상면(上面)에, 가이드 레일(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영구자석(42)은, 돌출편(52)의 상면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40)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영구자석(42)은, Y축 방향으로 S극과 N극의 소정 패턴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가이드 레일(40) 및 영구자석(42)의 상방에는, X축 방향으로 뻗은 갠트리부(30)의 양측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판(46)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연결판(46)의 하면에는, 안내 슬라이더(44)와 전자석(48)이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자석(48)은, 영구자석(42)의 S극과 N극의 패턴에 맞춰서 자극을 변화시켜, 영구자석(42)과의 사이에서 반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갠트리부(30)를 가이드 레일(40)로 안내하면서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돌출편(52)의 하면에는, 관재(12c, 12d)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가설된 복수의 보강 리브(54)가 Y축 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갠트리부(30)는, X축 방향으로 뻗은 지지부(30a), 리니어 모터부(30b), 및 이동부(30c)를 구비한다. 이동부(30c)는, 리니어 모터부(30b)에 의하여 이 리니어 모터부(30b)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동부(30c)에 소정의 처리장치를 부설함으로써, 처리장치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베이스대(10)에 탑재된 기판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장치로서 는, 기판 상의 결함을 검사하는 카메라이거나, 컬러 필터의 색 빠짐 등 기판의 표면처리 상태를 수복하는 리페어 장치이거나, 기판에 대하여 패턴 처리하는 도포장치일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장치(1)의 베이스대(10) 위에는, 액정 패널 등의 기판을 재치(載置; 올려 놓음)하기 위한 워크 정반(11)이 설치된다. 여기서, 스테이지장치(1)가 수송차로 수송될 때, 이 워크 정반(11)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송차에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대(10), 가이드 레일(40), 영구자석(42), 돌출편(52) 및 워크 정반(11)은, Y축 방향과 직교하는 분할면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분할된 베이스대(10)는, 분할부(16, 26)에서 볼트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분할부(26(16))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된 관재(22c(12c))의 절단면을 둘러싸도록 외향(外向) 플랜지(26a(16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외향 플랜지(26a(16a))를 통하여 분할된 베이스대(10)의 블록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2)의 분할부(16)에 있어서는, 보강 리브(54)가 외향 플랜지(16a)를 겸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보강 리브(54)를 통하여, 볼트 체결 등에 의하여 블록끼리가 강고하게 또한 용이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대(10), 가이드 레일(40), 영구자석(42), 돌출편(52) 및 워크 정반(11)은 Y축 방향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지장치(1)는 2개의 블록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분할부(16, 26)는, 상하의 Z축 방향에 대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Y축 방향에 대하여 각 블록 이 수송차에 적재 가능한 크기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대(10)의 양측방으로서 돌출편(52)의 하방에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캐리어(60)가 설치되어 있다. 갠트리부(30)에는, 갠트리부(30) 자체나 이동부(30c)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력 케이블이나, 이동부(30c)에 부설되는 처리장치와의 사이에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신호케이블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케이블이, 케이블 캐리어(60)를 통하여 배선되어 있다.
케이블 캐리어(60)는, 편평(扁平)한 복수의 통재(筒材)를 연결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각 통재는 서로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모아진 케이블은, 이 케이블 캐리어(60)의 내부로 통하게 되어 있다. 케이블 캐리어(60)의 일단(一端)(60a)은, 베이스대(10)의 측방에 설치된 지지대(62) 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캐리어(60)의 타단(他端)(60b)은, 연락부재(64)에 고정되어 있다. 연락부재(64)는, 통 형상의 부재로서 갠트리부(30)와 케이블 캐리어(60)에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블 캐리어(60)로부터의 케이블을 갠트리부(30)로 안내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캐리어(60)는 캐터필러(caterpillar)(등록상표)와 같이 변형 가능하며, 갠트리부(3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수반하여, 베이스대(10)의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U자 형상으로 굴곡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블 캐리어(60)의 내부로 통과된 케이블은, 케이블 캐리어(60)의 변형을 모방하여 변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스테이지장치(1)에서는, 케이블 캐리어(60)를 베이스대(10)의 양측방으로서 돌출편(52)의 하방에 설치함으로써, 베이스대(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와 달리, 관재(12c, 22c) 사이나 관재(12d, 22d) 사이의 스페이스의 이용 자유도가 높아져, 여기에 연결재(18)나 제진유닛(50)을 배치할 수 있어서, 강성의 향상이나 제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돌출편(52)을 설치하여 이 위에 가이드 레일(40)이나 영구자석(42)을 배치함으로써, 베이스대(10)의 폭을 작게 하면서, 베이스대(10)의 측방으로서 돌출편(52)의 하방에 케이블 캐리어(60)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베이스대의 하방에 케이블 캐리어를 배치하면, 케이블 캐리어와 갠트리 사이에 설치되는 연락부재가 길어지기 때문에, 진동이 생기기 쉬워, 외란이 커질 우려가 있음에 대하여, 본 발명은 연락부재(64)와 케이블 캐리어(60)의 연결점을, 갠트리부(30)와 대면하는 상부 프레임(12)의 측방(즉, 상부 프레임(12)의 측방의 높이 위치)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락부재(64)의 Z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서, 외란의 영향에 의한 베이스대(10)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대(10)는, 베이스대(10)를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부(16, 26)를 가지기 때문에, 기판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베이스대(10)가 대형화되어도, 특수대형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베이스대(10)를 분할하여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대(10)를 구성하는 관재(12c, 12d, 22c, 22d)를 기계가공할 때도, 분할된 부분마다 함께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기계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대(10)를 분할하는 경우, 베이스대(10)가 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면 접합면의 강성이 낮아, 갠트리부(30)의 구동시에 왜곡을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예의 베이스대(10)는 박스 구조이며, 상부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22)에 있어서의 상하의 접합면을 맞추면 접합면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왜곡을 생기게 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어서, 베이스대(10)의 분할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분할부(16, 26)는, 상부 프레임(12) 및 하부 프레임(22)을 구성하는 관재를 상하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단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22)에 설치되는 분할부(16, 26)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분할면이 벗어나고자 하는 모멘트(moment)에 대하여 강화되게 되어, 강성 상 유리하다.
또한, 관재의 절단면에는, 외향 플랜지(16a, 26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할된 블록끼리를 외향 플랜지(16a, 26a)를 통하여 볼트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돌출편(52)의 하면에는, 관재(12c, 12d)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가설된 복수의 보강 리브(54)가 설치되어 있으며, 분할된 베이스대(10)는, 이 보강 리브(54)를 통하여서도 연결된다. 여기서, 종래의 스테이지 구조의 경우는, 분할하고자 하면 연결을 위한 플랜지를 스테이지의 측면으로 튀어나오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어, 횡방향의 사이즈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리브(54)나 분할부(16, 26)가 돌출편(52)보다도 측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2)의 프레임 내에는 경사방향으로 보강재(14c, 14d)가 가설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내에 평행하게 보강재를 가설하는 경우에 비하여 충분히 베이스대(1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갠트리부(13)와 그 탑재장치가 동시에 이동한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베이스대(10)의 비틀림에 대한 비틀림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대(10)가 상부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22)을 가지며, 이를 연결재(18)로 연결하여, 소위 박스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서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성이 높아져 있다. 따라서, 갠트리부(30)의 이동에 의하여 하중이 걸려 제진유닛(50)이 침하하여 베이스대(10)가 기울었다 하더라도, 베이스대(10) 자체의 변형은 억제되어 있으므로, 갠트리부(30)와 베이스대(10)의 상대위치의 오차는 지극히 작아서, 기판이 정확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대(10)의 변형이 원래대로 돌아갈 때까지 기판의 처리를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루풋(throughput)을 떨어뜨릴 우려도 없다.
다만, 여기서는, 상부 프레임(12)의 프레임 내에만 경사방향으로 보강재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하부 프레임(22)의 프레임 내에도 경사방향으로 보강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연결재(18)를 ㅁ 형강에 의하여 구성하여, 상부 프레임(12) 및 하부 프레임(22)을 네 모서리 등에서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연결재(18)는 ㅁ 형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판재(板材)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12)과 하부 프레 임(22)을 빙 둘러싸도록 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2)의 분할부(16)의 외향 플랜지(16a)와, 하부 프레임(22)의 분할부(26)의 외향 플랜지(26a)를, 일체(一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베이스대(10)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스테이지장치(101)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스테이지장치(101)가 구비하는 베이스대(110)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는, 베이스대(110)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은, 베이스대(110)를 분할한 뒤측의 블록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는, 연결재(118)가 연결된 베이스대(110)의 하부 프레임(122)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가설대(170)와 제진유닛(1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베이스대(110)를 가설대(170)에 의하여 지지하도록 한 점과, 그 때문에 베이스대(110)의 구성을 변경한 점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장치(101)는, 기판이 탑재되는 베이스대(110)와, 베이스대(110) 위를 이동하는 갠트리부(130)와, 베이스대(110)에 설치되어, 갠트리부(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40) 및 영구자석(142)과, 갠트리부(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40)로 안내되는 안내 슬라이더(144) 및 영구자석(142)과 대향하는 전자석(148)을 구비하며, 이 갠트리부(130)가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0에 있어서, 베이스대(110)의 길이방향을 Y축 방향이라 하고, 그와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하며, 이들과 직교하는 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한다.
베이스대(110)는, 상부 프레임(112)과, 상부 프레임(112)과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 하부 프레임(122)과, 상부 프레임(112)과 하부 프레임(122)을 연결하는 연결재(118)를 가지고 있다.
상부 프레임(112)은,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12a, 112b)와,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12c, 112d)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바디의 내측을, 복수의 보강재(114a, 114b, 114c, 114d)로 보강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관재(112a, 112b, 112c, 112d)는 중공의 봉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 ㅁ 형상의 ㅁ 형강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보강재(114a, 114b, 114c, 114d)는, 중공·중실을 막론하고 프레임바디의 내측에 횡으로 가설되는 봉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 H 형상의 H 형강과 단면 ㅁ 형상의 ㅁ 형강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베이스대(110)는 길이방향의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여기서는 2블록)으로 분할 가능하며, 상부 프레임(112)의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12c, 112d)는 도중에 절단되어, 분할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부(116)를 사이에 두고 앞측과 뒤측의 블록 각각에 대하여, 절단 부분의 관재(112c, 112d) 사이에는,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14a)가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관재(112a)와 관재(112c, 112d)와 보강재(114a)로 형성되는 앞쪽의 프레임 내에, H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14b)가, 관재(112c, 112d)에 평행하게 가설됨과 함께, 관재(112a) 및 보강재(114a)에 평행하게 가설된다. 또한, H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14c)가, 관재(112a, 112c, 112d)와 보강재(114a)에 대하여 비스듬히 대각 형상으로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재(114b, 114c)는 중앙의 일점에서 교차하여, 여기서부터 방사 형상으로 뻗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관재(112c, 112d)와 관재(112b)와 보강재(114a)로 형성되는 뒤쪽의 프레임 내에, H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14d)가, 관재(112b, 112c, 112d)와 보강재(114a)에 대하여 비스듬히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22)은,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22a, 122b)와,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22c, 122d)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바디의 내측을, 복수의 보강재(124a, 124b, 124c)로 보강함으로써 구성된다. 관재(122a, 122b, 122c, 122d)의 직경은, 상부 프레임(112)의 관재(112a, 112b, 112c, 112d)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대(110)는 길이방향의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여기서는 2블록)으로 분할 가능하며, 하부 프레임(122)의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22c, 122d)는 도중에 절단되어, 분할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부(126)보다 앞측의 블록에 대하여, 절단 부분의 관재(122c, 122d) 사이에는,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24a)가 횡으로 가 설되어 있다.
또한, 관재(122a)와 관재(122c, 112d)와 보강재(124a)로 형성되는 앞쪽의 프레임 내에, H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24b)가, 관재(122c, 122d)에 평행하게 가설됨과 함께, 관재(122a) 및 보강재(124a)에 평행하게 가설된다. 또한, H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24c)가, 관재(122a, 122c, 122d)와 보강재(124a)에 대하여 비스듬히 대각 형상으로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재(124b, 124c)는 중앙의 일점에서 교차하여, 여기서부터 방사 형상으로 뻗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122)은, 상부 프레임(112)의 외형을 따라서 네 모서리가 움푹 들어간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이 오목 부분(119)을 통하여, 후술하는 가설대(170)의 지주(178)가, 상부 프레임(112)의 네 모서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연결재(118)는, Z축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12)과 하부 프레임(122)을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재(118)는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12)과 하부 프레임(122)을 네 모서리 근방에서 연결하고 있다.
가설대(17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72a, 172b)와,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72c, 172d)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바디의 내측을, 복수의 보강재(174a, 174b)로 보강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관재(172a, 172b, 172c, 172d)는 중공의 봉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 ㅁ 형상의 ㅁ 형강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보강재(174a, 174b)는, 중공·중실을 막론하고 프레임바디의 내측에 횡으로 가설되는 봉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 ㅁ 형상의 ㅁ 형강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대(110)는 길이방향의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여기서는 2블록)으로 분할 가능하며, 이에 맞추어, 가설대(170)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 가능하다. 가설대(170)의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재(172c, 172d)는 도중에 절단되어, 분할부(17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부(176)를 사이에 두고 앞측과 뒤측의 블록 각각에 대하여, 절단 부분의 관재(172c, 172d) 사이에는,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74a)가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또한, 앞측의 프레임 내에는, 더욱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74a)가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또한, 가설대(170)의 프레임 내에는,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ㅁ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174b)가 횡으로 가설되어 있다. 이 보강재(174b)는 도중에 절단되어, 분할부(176)가 설치되어 있다.
가설대(170)의 네 모서리에는, Z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지주(178)가 설치되어 있다. 제진유닛(150)은, 가설대(170)의 지주(178)의 상단과 각 관재(172a, 172b, 172c, 172d) 위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진유닛(150)은, 상부 프레임(112)의 네 모서리와 가설대(170)의 지주(178)의 상단 사이, 및 각 관재(172a, 172b, 172c, 172d)의 도중에 있어서의 상부와 하부 프레임(122)의 관재(122a, 122b, 122c, 122d) 사이에 있어서, 베이스대(110)를 제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진유닛(150)은, 설치면으로부터 베이스대(11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제거하는 것이며, 예컨대 공기 용수철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구성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0)은,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보다 상세히는, 관재(112c, 112d)의 상면에는, 외측방으로 향하여 돌출편(15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출편(152)이 Y축 방향으로 연속하여 뻗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편(152)의 상면에, 가이드 레일(1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영구자석(142)은, 돌출편(152)의 상면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140)보다도 외측의 위치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영구자석(142)은, Y축 방향으로 S극과 N극의 소정 패턴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가이드 레일(140) 및 영구자석(142)의 상방에는, X축 방향으로 뻗은 갠트리부(130)의 양측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판(146)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연결판(146)의 하면에는, 안내 슬라이더(144)와 전자석(148)이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자석(148)은, 영구자석(142)의 S극과 N극의 패턴에 맞춰서 자극을 변화시켜, 영구자석(142)과의 사이에서 반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갠트리부(130)를 가이드 레일(140)로 안내하면서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돌출편(152)의 하면에는, 관재(112c, 112d)의 외측면 사이에 가설된 복수의 보강 리브(154)가 Y축 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갠트리부(130)는, X축 방향으로 뻗는 지지부(130a), 리니어 모터부(130b), 및 이동부(130c)를 구비한다. 이동부(130c)는, 리니어 모터부(130b)에 의하여 이 리니어 모터부(130b)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동부(130c)에 소정의 처리장치를 부설함으로써, 처리장치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 여, 베이스대(110)에 탑재된 기판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장치로서는, 기판 상의 결함을 검사하는 카메라이거나, 컬러 필터의 색 빠짐 등 기판의 표면처리 상태를 수복하는 리페어 장치이거나, 기판에 대하여 패턴 처리하는 도포장치일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장치(101)의 베이스대(110) 위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액정 패널 등의 기판을 재치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워크 정반이 설치된다. 여기서, 스테이지장치(101)가 수송차로 수송될 때, 이 워크 정반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송차에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대(110), 가이드 레일(140), 영구자석(142), 돌출편(152), 가설대(170) 및 워크 정반은, Y축 방향과 직교하는 분할면에서 분할된다. 그리고, 분할된 베이스대(110)는, 분할부(116, 126)에서 볼트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 다만, 상부 프레임(112)의 분할부(116)에 있어서는, 보강 리브(154)가 외향 플랜지를 겸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보강 리브(154)를 통하여, 볼트 체결 등에 의하여 블록끼리가 강고하게 또한 용이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종래의 스테이지 구조의 경우는, 분할하고자 하면 연결을 위한 플랜지를 스테이지의 측면으로 튀어나오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어, 횡방향의 사이즈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리브(154)나 분할부(116, 126)가 돌출편(152)보다도 측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대(110), 가이드 레일(140), 영구자석(142), 돌출편(152), 가설대(170) 및 워크 정반은 Y축 방향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지장치(101)는 2개의 블록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분할부(116, 126, 176)는, 상하의 Z축 방향에 대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Y축 방향에 대하여 각 블록이 수송차에 적재 가능한 크기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대(110)의 양측방으로서 돌출편(152)의 하방에는, 도 10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캐리어(160)가 설치되어 있다. 갠트리부(130)에는, 갠트리부(130) 자체나 이동부(130c)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력 케이블이나, 이동부(130c)에 부설되는 처리장치와의 사이에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신호 케이블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케이블이, 케이블 캐리어(160)를 통하여 배선되어 있다.
케이블 캐리어(160)는, 편평한 복수의 통재를 연결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각 통재는 서로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모아진 케이블은, 이 케이블 캐리어(160)의 내부로 통과되고 있다. 케이블 캐리어(160)의 일단(160a)은, 베이스대(110)의 측방에 설치된 지지대(162) 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캐리어(160)의 타단(160b)은, 연락부재(164)에 고정되어 있다. 연락부재(164)는, 통 형상의 부재로서 갠트리부(130)와 케이블 캐리어(160)에 연결되어 있어, 케이블 캐리어(160)로부터의 케이블을 갠트리부(130)로 안내한다.
따라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캐리어(160)는 캐터필러(등록상표)와 같이 변형 가능하며, 갠트리부(13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수반하여, 베이스대(110)의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U자 형상으로 굴곡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블 캐리어(160)의 내부로 통과된 케이블은, 케이블 캐리어(160)의 변형을 모방하여 변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스테이지장치(101)에서는, 케이블 캐리어(160)를 베이스대(110)의 양측방으로서 돌출편(152)의 하방에 설치함으로써, 베이스대(1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와 달리, 관재(112c, 122c) 사이나 관재(112d, 122d) 사이의 스페이스의 이용 자유도가 높아져, 여기에 연결재(118)나 제진유닛(150)을 배치할 수 있어서, 강성의 향상이나 제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대(110)의 폭을 작게 하면서, 베이스대(110)의 측방으로서 돌출편(152)의 하방에 케이블 캐리어(160)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베이스대의 하방에 케이블 캐리어를 배치하면, 케이블 캐리어와 갠트리 사이에 설치되는 연락부재가 길어지기 때문에, 진동이 생기기 쉬워, 외란이 커질 우려가 있음에 대하여, 본 발명은 연락부재(164)과 케이블 캐리어(160)의 연결점을, 갠트리부(130)와 대면하는 상부 프레임(112)의 측방(즉, 상부 프레임(112)의 측방의 높이 위치)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락부재(164)의 Z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외란의 영향에 의한 베이스대(110)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대(110)는, 베이스대(110)를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부(116, 126)를 가지기 때문에, 기판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베이스대(110)가 대형화되어도, 특수대형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베이스대(110)를 분할하여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대(110)를 구성하는 관재(112c, 112d, 122c, 122d)를 기계가공할 때도, 분할된 부분마다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기계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대(110)를 분할하는 경우, 베이스대(110)가 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면 접합면의 강성이 낮아, 갠트리부(130)의 구동시에 왜곡을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예의 베이스대(110)는 박스 구조이며, 상부 프레임(112)과 하부 프레임(122)에 있어서의 상하의 접합면을 맞추면 접합면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왜곡을 생기게 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어, 베이스대(110)의 분할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분할부(116, 126)는, 상부 프레임(112) 및 하부 프레임(122)을 구성하는 관재를 상하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단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프레임(112)과 하부 프레임(122)에 설치되는 분할부(116, 126)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분할면이 벗어나고자 하는 모멘트에 대하여 강화되게 되어, 강성 상 유리하다.
또한, 관재의 절단면에는, 외향 플랜지(116a, 126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할된 블록끼리를 외향 플랜지(116a, 126a)를 통하여 볼트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가설대(170)의 관재의 절단면에도 마찬가지의 외향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할된 블록끼리를 볼트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2)의 프레임 내에는 경사방향으로 보강재(114c, 114d) 가 가설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122)의 프레임 내에는 경사방향으로 보강재(124c)가 가설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내에 평행하게 보강재를 가설하는 경우에 비하여 충분히 베이스대(1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대(110)가 상부 프레임(112)과 하부 프레임(122)을 가지며, 이를 연결재(118)로 연결하여, 소위 박스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성이 높아져 있다. 따라서, 갠트리부(130)의 이동에 의하여 하중이 걸려 제진유닛(150)이 침하하여 베이스대(110)가 기울었다 하더라도, 베이스대(110) 자체의 변형은 억제되어 있으므로, 갠트리부(130)와 베이스대(110)의 상대위치의 오차는 극히 작아, 기판의 정확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대(110)의 변형이 원래대로 돌아갈 때까지 기판의 처리를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루풋을 떨어뜨릴 우려도 없다.
또한, 스테이지장치(101)는, 제진유닛(150)을 통하여 베이스대(110)를 지지하는 가설대(170)를 구비하기 때문에, 가설대(170) 위에서 베이스대(110)를 제진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122)의 네 모서리의 오목 부분(119)을 통하여 상부 프레임(112)의 네 모서리를 하방으로부터 제진유닛(150)을 통하여 지주(178)에 의하여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진유닛(150)을 통하여 베이스대(110)를 중심에 가까우며 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어, 갠트리부(130)의 이동에 의하여 생기는 베이스대(110)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122)이 추(錘)로서 기능함으로써, 베이스대(110)의 흔들림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재(118)를 ㅁ 형강에 의하여 구성하고, 상부 프레임(112) 및 하부 프레임(122)을 네 모서리 등에서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연결재(118)는 ㅁ 형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판재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112)과 하부 프레임(122)을 빙 둘러싸도록 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갠트리부(30, 13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30c, 130c)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2축 타입의 스테이지장치(1, 101)에 대한 적용을 서술하고 있지만, 갠트리부(30, 130)만이 이동하는 1축 타입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갠트리부(30, 130)나 이동부(30c, 130c)의 이동은, 접촉 타입, 비접촉 타입 중 어느 것이더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스테이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테이지장치가 구비하는 베이스대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베이스대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재가 연결된 베이스대의 하부 프레임이 제진(除振)유닛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지장치에 워크 정반을 세트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분할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케이블 캐리어의 배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분할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스테이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스테이지장치가 구비하는 베이스대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베이스대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베이스대를 분할한 뒤측의 블록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연결재가 연결된 베이스대의 하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가설대와 제진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케이블 캐리어의 배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0에 나타내는 스테이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01 : 스테이지장치
10, 110 : 베이스대
12, 112 : 상부 프레임
14c, 14d, 114c, 114d, 124c : 보강재
16, 26, 116, 126, 176 : 분할부
16a, 26a : 외향 플랜지
18, 118 : 연결재
22, 122 : 하부 프레임
30, 130 : 갠트리부
50, 150 : 제진유닛
52, 152 : 돌출편
60, 160 : 케이블 캐리어
64, 164 : 연락부재
119 : 오목 부분
170 : 가설대
178 : 지주(支柱)
Claims (5)
- 베이스대(基臺)와, 상기 베이스대 위에서 1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갠트리를 구비한 스테이지장치로서,상기 베이스대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1축 방향을 따라서 뻗는 돌출편과,상기 돌출편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갠트리를 지지함과 함께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상기 베이스대의 측방으로서 상기 돌출편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갠트리의 이동에 추종하여 변형되는 케이블 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케이블 캐리어는, 상기 갠트리로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이며,상기 갠트리와 상기 케이블 캐리어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을 안내하는 연락부재가 설치되고,상기 연락부재와 상기 케이블 캐리어의 연결점은, 상기 갠트리와 대면하는 상기 베이스대를 구성하는 프레임바디의 측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돌출편의 하면(下面)과 상기 베이스대의 측면 사이에는,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베이스대는, 상기 베이스대를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돌출편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대의 측면 사이에는,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상기 베이스대는, 상기 베이스대를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부를 가지며,상기 분할부에 있어서의 상기 블록끼리의 연결은, 상기 보강 리브를 통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321313A JP4138858B2 (ja) | 2007-12-12 | 2007-12-12 | ステージ装置 |
JPJP-P-2007-00321313 | 2007-12-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3077A KR20090063077A (ko) | 2009-06-17 |
KR100993474B1 true KR100993474B1 (ko) | 2010-11-10 |
Family
ID=3934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3189A KR100993474B1 (ko) | 2007-12-12 | 2008-09-23 | 스테이지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138858B2 (ko) |
KR (1) | KR100993474B1 (ko) |
CN (1) | CN101459104B (ko) |
TW (1) | TWI43171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81965B2 (ja) * | 2009-02-16 | 2012-02-22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液晶露光装置 |
KR101163104B1 (ko) * | 2009-03-20 | 2012-07-09 | 김영애 | 조립구조의 수치제어선반 |
JP5639815B2 (ja) * | 2010-08-17 | 2014-12-10 | 株式会社ミツトヨ | 産業機械 |
KR20120062199A (ko) * | 2010-12-06 | 2012-06-14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머시닝 센터의 고강성 테이블 베드 장치 |
CN102615260B (zh) * | 2012-04-11 | 2013-06-26 | 河南省西保冶材集团有限公司 | 食品用镀锡板连铸结晶器浇铸粉 |
PL2926941T3 (pl) * | 2014-04-03 | 2017-08-31 | Bystronic Laser Ag | Urządzenie do obróbki strumieniowej |
WO2016132477A1 (ja) * | 2015-02-18 | 2016-08-25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工作機械 |
KR102146466B1 (ko) * | 2020-05-18 | 2020-08-20 | 터보파워텍(주) | 노즐리테이닝링 변형방지용 가공지그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31402A (ja) * | 2004-05-20 | 2005-12-02 | Sumitomo Heavy Ind Ltd | ステージ装置 |
JP2006269509A (ja) * | 2005-03-22 | 2006-10-05 | Nsk Ltd | 位置決め装置 |
JP2007073688A (ja) * | 2005-09-06 | 2007-03-22 | Shinko Electric Co Ltd | Xyステージ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9384A (ja) * | 2004-07-30 | 2006-02-16 | Laserfront Technologies Inc | ガントリー型xyステージ |
-
2007
- 2007-12-12 JP JP2007321313A patent/JP413885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3-17 TW TW097109373A patent/TWI43171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4-29 CN CN2008100956039A patent/CN10145910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9-23 KR KR1020080093189A patent/KR1009934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31402A (ja) * | 2004-05-20 | 2005-12-02 | Sumitomo Heavy Ind Ltd | ステージ装置 |
JP2006269509A (ja) * | 2005-03-22 | 2006-10-05 | Nsk Ltd | 位置決め装置 |
JP2007073688A (ja) * | 2005-09-06 | 2007-03-22 | Shinko Electric Co Ltd | Xyステージ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431713B (zh) | 2014-03-21 |
JP2008076415A (ja) | 2008-04-03 |
JP4138858B2 (ja) | 2008-08-27 |
TW200926340A (en) | 2009-06-16 |
CN101459104A (zh) | 2009-06-17 |
KR20090063077A (ko) | 2009-06-17 |
CN101459104B (zh) | 2010-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3473B1 (ko) | 스테이지장치 | |
KR100993474B1 (ko) | 스테이지장치 | |
US7239161B2 (en) | Gantry-type XY stage | |
JP4150411B2 (ja) | ステージ装置 | |
JP4585018B2 (ja) | ステージ装置 | |
JP4964853B2 (ja) | ステージ装置 | |
JP2006269509A (ja) | 位置決め装置 | |
JP4328364B2 (ja) | ステージ装置 | |
JP2007146443A (ja) | 橋桁の架設および撤去方法と橋桁工事用装置 | |
KR101924238B1 (ko) | 크레인 지브를 갖는 크레인, 특히 브라켓 크레인 | |
CN110199586B (zh) | 作业机 | |
KR101078011B1 (ko) | 이송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송 장치 | |
JP2013184796A (ja) | 乗客コンベア | |
KR100892207B1 (ko) | Xy 위치 결정 장치 및 전자부품 탑재장치 | |
WO2022176122A1 (ja) | 移動装置 | |
KR101411190B1 (ko) | 갠트리 스테이지 | |
CN215475441U (zh) | 一种履带底盘及移动式筛分站 | |
JP2011124317A (ja) |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装置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方法 | |
KR101120439B1 (ko) | 액정 노광 장치 | |
JP7127114B2 (ja) | 作業機 | |
CN215118863U (zh) | 一种柔性装置及xy向运动平台 | |
JP4382685B2 (ja) | 垂直循環式駐車装置、そのケージおよびこのケージの改造方法 | |
JP2000117666A (ja) | 直動アクチュエータ | |
KR20210087708A (ko) | 갠트리 시스템 | |
CN106381950A (zh) | 单元式幕墙支架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