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289A -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 Google Patents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289A
KR20230037289A KR1020210120447A KR20210120447A KR20230037289A KR 20230037289 A KR20230037289 A KR 20230037289A KR 1020210120447 A KR1020210120447 A KR 1020210120447A KR 20210120447 A KR20210120447 A KR 20210120447A KR 20230037289 A KR20230037289 A KR 2023003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floor
side waterproof
wal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준영
Original Assignee
설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준영 filed Critical 설준영
Priority to KR102021012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289A/ko
Publication of KR2023003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4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slabs, sheets or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측 방수시트(10)(20)와 벽체측 방수시트(30)를 상호 겹쳐 부착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닥면에 연속되는 바닥측 방수시트(10)(20)의 가장자리를 겹친 다음 겹쳐진 이음 부착면을 열융착기(1)로서 열을 가하여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바닥측 방수시트(10)(20)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호 부착된 바닥측 방수시트(10)(20)중 외측에 위치한 방수시트의 가장자리 단부와 하부에 위치한 방수시트가 접하는 경계에 PVC코일(30)을 열융착기로서 가 부착하는 단계와; 부착된 바닥측 방수시트(10)(20) 및 PVC코일(30) 상부에 벽체측 방수시트(40)를 덧대 다음, 열융착기(2)로서 PVC코일, 바닥측 방수시트, 벽체측 방수시트의 이음 부착면에 열을 가하여 각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바닥으로부터 벽체 방수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바닥 측 방수시트가 부착된 경계부위에 PVC코일을 가부착하고, 그 상부에 벽체측 방수시트의 이음 부착면을 열융착기로서 PVC코일 및 바닥측, 벽체측 방수시트를 융착하여 가압 부착함으로써, 바닥측 방수시트와 벽체측 방수시트가 접하는 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PVC코일로 메워줌과 동시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특히 두 겹 이상으로 이음 부위가 부착되는 방수시트의 취약부분인 틈새 발생을 해결하여 외부로부터 빗물,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시켜 요구하는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A method of waterproof color steel sheet}
본 발명은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 바닥면으로부터 연속으로 겹쳐 열융착으로서 시공되는 방수시트의 시공방법을 개선하여 특히 두 겹 이상으로 방수시트가 시공되는 경계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여 완벽한 방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구조물의 옥상이나 주차장의 상부면 등에는 강우 등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 공사가 필수적이다. 이에는 여러 종류의 방수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몰탈 액체방수, 수용성 또는 유용성의 도막 방수, 아스팔트 방수 및 방수시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은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제작하여 바닥이나 벽면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부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강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수시트는 시트 형상의 방수재를 방수 공사를 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펼쳐 설치함으로써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수 공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시트 방수에 사용되는 방수시트는 현장에서의 시공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미리 공장에서 일정한 폭 및 길이(통상 폭 1.5m, 길이 15m내지 20m)를 갖는 롤(roll) 형의 방수시트를 제작하며, 이를 상술한 바의 옥상 그 외 방수를 요하는 바닥면, 벽면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경우에는 겹침 부위를 토오치 등의 열 기구를 사용하여 가열 용융시켜 열융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고, 합성수지 또는 합성 고무 방수시트의 경우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EPDM시트, PVC시트, TPO시트 등), 용제를 사용하여 용착 한다든지(PVC 시트) 혹은 열풍 융착기를 사용하여 열풍 융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PVC시트, TPO시트, ECV시트, HDPE시트 등).
상기와 같은 방수공법은 건물의 옥상과 같이 바닥면에 바닥용 방수시트(10)(20)가 시공되는바, 상기와 같이 일정 폭으로 제작된 방수시트 그 이음을 상호 두 겹이 되도록 겹친 상태에서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겹쳐진 바닥측 방수시트의 내측과 그 하부측 바닥측 방수시트의 상부에 열융착기로서 뜨거운 열을 쏘아 바닥측 방수시트(10,20) 사이를 부착함과 동시에, 롤러(R)를 이용하여 겹쳐진 바닥측 방수시트의 상부를 누르는 작업을 하여 더욱 강력한 부착 이음이 되도록 하고 있다.
참고로 상기 방수시트는 PVC소재로 제작된 시트로서, 실제 옥상이나 지붕 평면에서는 가로로는 매 2m마다, 세로로는 매15~20m마다 시트끼리 융착되는 연결부위(Joint)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위 즉, 이음 부위는 각 시트의 가장자리가 3겹형태의 T-joint(겹이음)가 발생하는 지역이 상기와 같이 평면에 시공되는 바닥측 방수시트와 벽체와 평면이 만나는 지역에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는 PVC소재로서 동 소재의 융점이 갖기 때문에 열융착기를 통한 융착으로 이어 붙임이 가능하여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부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어붙임 작업으로서 건물 옥상 바닥면의 면적을 덮어 방수처리함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직각되는 벽체(난간 벽 또는 환기구 굴뚝)에 시공되는 벽체측 방수시트(40)의 부착시 벽체측 방수시트(40)의 이음 부착부분은 바닥측 방수시트와 함께 총 세 겹이 되며, 여기서 이어붙임 방식은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트와 시트 사이를 열융착하여 부착한다.
참고로 상기 벽체측 방수시트(40)는 또 하나의 바닥측 방수시트(30)가 상기 바닥측 방수시트(10,20)의 상부에 겹으로 더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다수의 겹으로 시공되는 방수시트를 구분하여 벽체측 방수시트로 기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이음 부분이 두 겹인 경우에는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견밀하게 그 접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나, 그 상부에 바닥측 혹은 벽체측으로 이어지는 벽체측 방수시트의 이음부분 부착은 도면에서 표시된 "A"부분과 같이 바닥측 방수시트에 대해 틈새(T)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틈새(T)의 발생은 상기 바닥측과 벽체측 방수시트 두께에 따른 편차로서 열융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틈새가 발생하며, 이러한 틈새를 통해 빗물 및 이물질이 점차 유입됨으로써, 바닥측 방수시트(10,20)에 대한 벽체측 방수시트(30)의 이음 부분이 취약하게 하여 방수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두 겹 이상으로 방수시트가 시공되는 경계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여 완벽한 방수를 구현할 수 있는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측 방수시트와 벽체측 방수시트를 상호 겹쳐 부착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닥면에 연속되는 바닥측 방수시트의 가장자리를 겹친 다음 겹쳐진 이음 부착면을 열융착기로서 열을 가하여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바닥측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호 부착된 바닥측 방수시트중 외측에 위치한 방수 시트의 가장자리 단부와 하부에 위치한 방수시트가 접하는 경계에 PVC코일을 열융착기로서 가 부착하는 단계와; 부착된 바닥측 방수시트 및 PVC코일 상부에 벽체측 방수시트를 덧대 다음, 열융착기로서 PVC코일, 바닥측 방수시트, 벽체측 방수시트의 이음 부착면을 열을 가하여 각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바닥으로부터 벽체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VC코일은 벽체측 방수시트가 바닥측 방수시트와 접하는 가장자리로부터 100mm의 길이를 가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VC코일은 방수시트의 단면 두께이거나, 그 이하인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VC코일의 융점은 PVC코일의 제조시 바닥측 방수시트, 벽체측 방수시트의 제조에 따라 첨가되는 가소제의 첨가 조절량에 의해 유연성(Flexibility)을 달리하여 바닥측 방수시트, 벽체측 방수시트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에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은, 바닥측 방수시트가 부착된 경계부위에 PVC코일을 가부착하고, 그 상부에 벽체측 방수시트의 이음 부착면을 열융착기로서 PVC코일 및 바닥측, 벽체측 방수시트를 융착하여 가압 부착함으로써, 바닥측 방수시트와 벽체측 방수시트가 접하는 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PVC코일로 메워줌과 동시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특히 두 겹 이상으로 이음 부위가 부착되는 방수시트의 취약부분인 틈새 발생을 해결하여 외부로부터 빗물,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시켜 요구하는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바닥측 방수시트가 부착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벽체측 방수시트(40)는 또 하나의 바닥측 방수시트(30)가 상기 바닥측 방수시트(10,20)의 상부에 겹으로 더 부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여기서 다수의 겹으로 최상부에 위치하여 겹이음 되는 방수시트는 실질적으로 바닥측과 벽체측 방수시트 모두에 해당되나 도면 및 명세서상에서 구분되어 설명되도록 벽체측 방수시트로 통일하여 기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바닥측 방수시트(10)(20)와 벽체측 방수시트(40)를 상호 겹쳐 부착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닥면에 연속되는 바닥측 방수시트(10)(20)의 가장자리를 겹친 다음 겹쳐진 이음 부착면을 열융착기(1)로서 열을 가하여 바닥측 방수시트를 부착함으로써, 건물 옥상 바닥면에 바닥측 방수시트(10)(20)를 부착한다.
상기 바닥측 방수시트의 부착은 종래와 동일하게 롤러를 이용하여 열융착기(1)를 이용, 각 시트의 마주하는 부착면을 용융하면서 그 외측에서는 상기 롤러로 가압하여 부착을 견고하게 한다. 상기 열융착기(1)는 선단에 납작한 노즐을 두어 시트가 과도하게 들리지 않는 상태에서 뜨거운 열을 분사하여 시트의 부착표면을 용융시켜 부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바닥측 방수시트는 바닥면으로부터 고정부재와 고정나사못(도면에서 생략함)으로서 바닥측 방수시트를 연속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겹치는 부분을 열융착하여 부착함으로써, 건물 옥상 면적의 바닥을 모두 시공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상태는 첨부되 도 4a에서와 같이 바닥측과 벽체측 방수시트의 이음 접합이 확실히 이루어진다.
한편, 상호 부착된 바닥측 방수시트(10)(20)중 외측에 위치한 바닥측 방수시트(10)의 가장자리 단부와 하부에 위치한 바닥측 방수시트(20)가 접하는 경계는 시트의 두께에 따라 턱이 지며, 이러한 턱진 경계부위에 PVC코일(30)을 대략 100mm정도의 길이로 덧대고 난 다음 첨부된 도 4b에서와 같이 열융착기(2)로서 가 부착한다.
향후 상기 PVC코일(30)은 거의 용융에 가까운 정도로 가열되는 부분은 30 내지 40mm정도로 이 부분은 각 시트의 이음 부착면 길이에 해당한다.
상기 PVC코일(30)은 방수시트의 단면 두께이거나, 그 이하인 두께인 것으로 예를 들면 방수시트의 두께 1.5mm이고, PVC코일은 1.0mm두께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PVC코일(30)의 가 부착은 향후 벽체측 방수시트(40)를 부착하기 위한 또 다른 열융착기(40)의 이용시 PVC 코일(30)이 상기 바닥측 방수시트(10)(20)의 경계지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바닥측 방수시트(10)(20) 및 PVC코일(30) 상부에는 첨부된 도 4c에서와 같이 벽체측 방수시트(40)를 덧대 다음, 열융착기(3)로서 PVC코일(30), 바닥측 방수시트(10)(20), 벽체측 방수시트(40)의 이음 부착면에 열을 가하여 각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바닥으로부터 벽체 방수시트(40)를 부착한다.
참고로 상기 열융착기(3)는 바닥측과 윗부분에 동시에 열이 분사될 수 있는 융착노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PVC 코일(30), 각 방수시트(10,20,40)의 이음 부착면을 적절히 용융시켜 가면서 외부에서는 준비된 롤러로 가압하여 상호 견밀하게 부착할 수 있게 한다.
첨부된 도 4d는 바닥측 방수시트, PVC코일, 벽체측 방수시트가 모두 부착이 완성된 상태의 도면으로서, 상기 열융착기를 이용한 열 가열로서 상기 PVC코일(30)은 바닥측 방수시트(10)(20), 벽체측 방수시트(40)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PVC코일이 위치한 틈새(T)로부터 PVC코일(30)이 용융되어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고착됨으로써 틈새(T)를 완벽히 메워 빗물,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 향후 틈새 부위의 확장으로 인한 바닥측 방수시트와 벽체측 방수시트의 이음부위가 취약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PVC코일 및 각 시트는 합성 고분자 수지로서 본래 경질(Hard)이다. 일예로서 배수관, 전선관용으로 제작되는 파이프의 일종은 경질에 해당하며, 이에 첨가되는 가소제도 미량 첨가되어 경질에 가깝다.
통상 바닥에 시공하는 일반시트, 방수시트는 유연성을 갖도록 가소제의 첨가량을 늘린 제품으로서, 가소제 첨가량에 따른 유연성 정도는 열에 의해 녹는 융점 또한 PVC코일과 차이를 둔다.
상기 PVC코일(30)의 융점은 PVC코일의 제조시 바닥측 방수시트(10)(20), 벽체측 방수시트(40)의 제조에 따라 첨가되는 가소제의 첨가 조절량에 의한 유연성(Flexibility)을 달리하여 줌으로써 바닥측 방수시트(10)(20), 벽체 측 방수시트(40)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에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시트(10,20,40)에 비해 낮은 융점으로 제조된 PVC코일의 녹는 점을 낮추도록 한 것은 각 시트와 PVC코일의 고착 후 PVC코일은 시트에 비해 경질로서 특히 3겹 이음 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2,3: 열융착기 10, 20: 바닥측 방수시트
30: PVC코일 40: 벽체측 방수시트
T: 틈새

Claims (1)

  1. 바닥측 방수시트(10)(20)와 벽체측 방수시트(40)를 상호 겹쳐 부착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닥면에 연속되는 바닥측 방수시트(10)(20)의 가장자리를 겹친 다음 겹쳐진 이음 부착면을 열융착기(1)로서 열을 가하여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바닥측 방수시트(10)(20)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호 부착된 바닥측 방수시트(10)(20)중 외측에 위치한 방수시트의 가장자리 단부와 하부에 위치한 방수시트가 접하는 경계에 PVC코일(30)을 열융착기(2)로서 가 부착하는 단계와;
    부착된 바닥측 방수시트(10)(20) 및 PVC코일(30) 상부에 벽체측 방수시트(40)를 덧대 다음, 열융착기(3)로서 PVC코일, 바닥측 방수시트, 벽체측 방수시트의 이음 부착면에 열을 가하여 각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바닥으로부터 벽체 방수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KR1020210120447A 2021-09-09 2021-09-09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KR20230037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47A KR20230037289A (ko) 2021-09-09 2021-09-09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47A KR20230037289A (ko) 2021-09-09 2021-09-09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89A true KR20230037289A (ko) 2023-03-16

Family

ID=8598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447A KR20230037289A (ko) 2021-09-09 2021-09-09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72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289B1 (ko) 공기층 단열을 이용한 복합·복층·단열방수공법
US20070218286A1 (en) Drained Barrier
KR100444907B1 (ko)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087589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20230037289A (ko)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KR101420409B1 (ko) 겹이음부분 누수차단형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CA2322339A1 (en) Adhesive vapour barrier tape for a ridge purlin
KR200406964Y1 (ko) 방수시트
KR101053082B1 (ko) 방수시트 시공방법
JP2005090161A (ja) シート防水材の連結部接合構造
JP5688906B2 (ja) 床被覆材の継目構造及び継目施工法
CN113733572B (zh) 一种新旧防渗膜交接处焊接的施工工艺及其应用
KR100238994B1 (ko)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8121375A (ja) 防水施工方法
KR20060011052A (ko) 자착식 방수시트 테이프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연결 구조
KR100499748B1 (ko) 부분절연식 복합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CN211548112U (zh) 防水层的拼接缝结构
KR200336967Y1 (ko) 복합 방수 시트
KR20040044660A (ko) 방수시트의 연결부 접합 구조, 이의 시공 방법 및방수시트의 수직부 처리 구조
KR20040044285A (ko) 조인트 보강 구조를 갖는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217630626U (zh) 一种墙体防水搭接结构
KR20130114338A (ko) 시트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H02104839A (ja) 建造物の防水工法
KR20190010981A (ko) Pvc 시트를 이용한 열융착식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KR101307410B1 (ko)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