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410B1 -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410B1
KR101307410B1 KR1020130003978A KR20130003978A KR101307410B1 KR 101307410 B1 KR101307410 B1 KR 101307410B1 KR 1020130003978 A KR1020130003978 A KR 1020130003978A KR 20130003978 A KR20130003978 A KR 20130003978A KR 101307410 B1 KR101307410 B1 KR 10130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waterproof
joint
sheet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흥창
현우창
박종훈
김명지
Original Assignee
티아이브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브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아이브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4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slabs, sheets or flexibl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일측 접합부와 다른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타측 접합부를 겹치게 한 후 열풍을 가하여 양측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의 하면과 상면이 서로 융착되게 하는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열풍기의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부의 토출구 상부 선단에서 상향 돌출 또는 절곡되며,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상기 열풍기의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구의 하부 선단에서 상기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서로 교차되는 간격으로 하향 돌출 또는 절곡형성된 다수 개의 하부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부의 용융된 접합계면을 산과 골의 형태로 형성한 후 치합된 상태로 융착되게 하여 물리적으로 접착면적이 증가되게 함으로써, 열융착 및 접합성능이 향상되어 방수 및 방근시트가 상호 일체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방수성능이 향상되고, 접합시공 후 부분적 접합불량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산과 골의 치합구조에 의하여 부분적인 접합불량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접합계면의 길이증가로 인하여 수분침투 경로가 길어짐으로써 수밀성이 향상됨으로써, 방수성능의 신뢰도 및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JOINT CONSTRUCTION METHOD FOR SHEET FOR WATER-PROOFING AND WATER-PROOFING/ANTI-ROOT}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일측 접합부와 다른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타측 접합부를 겹치게 한 후 열풍을 가하여 양측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하면과 상면이 서로 융착되게 하는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부의 용융된 접합계면을 산과 골의 형태로 형성한 후 치합된 상태로 융착되게 하여 방수성능의 신뢰도 및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구조물의 옥상이나 주차장의 상부면 등에는 강우 등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 공사가 필수적이다. 이에는 여러 종류의 방수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시멘트계, 도막계, 시트계, 복합계 방수공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은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일정 규격의 방수 및 방근시트를 제작하여 바닥이나 벽면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부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강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수 및 방근시트는 시트 형상의 방수재를 방수 공사를 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펼쳐 설치함으로써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수 공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시트 방수에 사용되는 방수 및 방근시트는 현장에서의 시공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미리 공장에서 일정한 폭 및 길이(통상 폭 1m ∼ 2m, 길이 10m ∼ 20m)를 갖는 롤(roll) 형의 방수 및 방근시트를 제작하며, 이를 상기한 바와 같이 옥상 그 외 방수를 요하는 바닥면, 벽면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아스팔트 방수 및 방근시트의 경우에는 겹침 부위를 토오치, 열풍기 등의 열 기구를 사용하여 가열 용융시켜 융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고, 합성수지 또는 합성 고분자계 방수 및 방근시트의 경우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EPDM시트, PVC시트, TPO시트 등), 용제를 사용하여 용착하거나 또는 열풍 융착기를 사용하여 열풍 융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PVC시트, TPO시트, ECB시트, EVA시트, HDPE시트 등).
상기와 같은 방수공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과 같이 바닥면에 바닥용 방수 및 방근시트(10)(20)가 시공되는바, 상기와 같이 일정 폭으로 제작된 방수 및 방근시트 이음부분(조인트)을 상호 두 겹이 되도록 겹친 상태에서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겹쳐진 방수 및 방근시트(10)의 저면과 그 하부에 겹쳐지는 바닥측 방수 및 방근시트(20)의 상부면에 융착기(1)로서 뜨거운 열을 쏘아 방수 및 방근시트(10,20)가 서로 융착되게 함과 동시에, 롤러(R)를 이용하여 겹쳐진 방수 및 방근시트의 상부를 누르는 작업을 하여 더욱 강력한 부착 이음이 되도록 하고 있다.
방수공사와 같이 수밀성을 필요로 하는 공사에 있어서 접합부의 수밀성 확보는 가장 중요한 요구 성능 중 하나이며, 이러한 수밀성 약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시트의 접합부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시트 방수재료는 공장 생산되는 형태의 제품으로 시트의 인장강도 외 물리적 성질 등 품질 안정성은 우수하지만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접합부를 만들어야 하므로 시트 상호 간의 접합 안정성이 방수 하자를 줄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형태의 바탕면에 방수 및 방근시트가 시공되어 질 경우 하자 발생빈도는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주요 방수재료에 대한 하자 발생빈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3500141256-pat00001
상기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공장생산에 의한 균질한 품질의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시트방수 공법에서 발생하는 하자발생률은 접합부 시공불량, 접합강도 부족 등 주로 접합부의 문제에 따른 것이다.
즉, 시트재료는 온도에 민감하여 동절기나 하절기 작업의 영향을 받고, 부분적인 접합 불량과 안정성 미흡에 따른 파단으로 방수성능이 저하되거나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 초기 충분히 용융되지 않은 상태의 가접합된 상태라도 육안상으로는 접합된 것처럼 보여지므로 우리나라와 같이 계절적 요인으로 방수층의 온도가 -10℃ ∼ 70℃ 까지 오르내리는 경우 시트의 열수축 팽창으로 시트접합부에 인장 응력이 발생할 경우 가접합된 상태의 접합부가 계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면서 누수로 이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시트 방수공법에서는 시트와 시트의 겹침 이음 시 열풍기에 의해 접합부를 형성해야 하므로 대기 온습도 조건, 시트 및 바탕면의 함수조건, 바탕면의 형상 등에 따라 시트 상호간의 접합부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결국, 시트와 시트의 연결 접합과정에서 열풍기를 이용하여 시트 표면을 적정하게 가열하여 도 3의 "C"와 같이 시트의 접합부분에서 내부적으로는 용융접합하게 되며, 외부는 견고한 방수 및 방근시트가 표출되는데 이때 열이 약하면 도 3의 "D"와 같이 용융된 부위가 얇아 충분히 용융되지 않거나 시트가 용융되지 않은 상태로 시공되어 처음에는 접합된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접합부 계면이 분리될 수 있고, 열이 과하면 도 3의 "B"와 같이 너무 많은 부분이 용융되어 시트가 녹으면서 구멍이 뚫리거나 재료가 열분해되는 결함이 발생되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발생하는 하자발생은 도 2a와 도 2b와 같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화된 열풍기기가 개발되어 열풍의 온도, 누름 롤러의 하중, 롤러의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자동화 열풍기가 현장에 보급되고 있어 일정한 열풍조건 즉, 열풍기의 온도/이동속도가 일정하게 조정 가능하지만 작업자가 시트의 종류에 따라 자동 열풍기의 온도/속도를 조작해야 하므로 이 조작정도가 접합물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즉, 열풍온도는 높더라도 이동속도가 빠를 경우 시트가 받는 열량이 적어 시트표면의 용융이 부족할 수 있고 열풍온도가 낮더라도 이동속도가 느리면 시트가 받는 열량이 적당해 안정적인 접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시트의 종류에 따라 열풍온도 및 열풍기의 이동속도를 결정하는 것이 작업자의 판단에 의존되므로 숙련자에 의한 방수시공이 매우 중요하다.
결국, 열풍기, 토치를 이용하여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작업에서는 숙련자라 할지라도 자칫 부주의로 인한 부분적 접합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합불량은 시공완료 후 오랜기간이 경과된 후 표출되기 때문에 시공 중 상기한 바와 같은 부분적 접합불량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거나 보완될 수 있는 시공방법의 제시가 요구된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동일한 폭과 길이조건에서 평면적인 융착접합은 부분적인 접합불량 뿐만 아니라 방수 및 방근시트와 방수 및 방근시트가 접합됨에 있어서 완성도 높은 일체성을 보장하여 수밀성을 확보하고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공방법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요구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과 동일한 조건에서 겹침이음 시 접합부의 접합계면을 물리적으로 증가시키고, 시공자의 부주의로 인한 부분적인 접합불량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접합력을 접합계면에서 자체적으로 서로 보완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계면분리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최소화함으로써, 수밀성의 확보와 접합성능의 향상을 통하여 완성도 높은 방수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일단이 열풍을 송풍시키는 열풍기 토출부의 토출구 선단에 내부삽입 또는 외부삽입되도록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관체로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타단 선단 상부에서 상향 돌출 또는 절곡되며,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상기 바디부의 타단 하부 선단에서 상기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서로 교차되는 간격으로 하향 돌출 또는 절곡형성된 다수 개의 하부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스크래퍼와 하부 스크래퍼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원호형 또는 사선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스크래퍼와 하부 스크래퍼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 별개체가 바디부의 타단 상, 하부 선단에 결합되게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상,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다수 개의 토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어느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일측 접합부와 다른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타측 접합부를 겹치게 한 후 열풍을 가하여 양측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의 하면과 상면이 서로 융착되게 하는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의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부의 토출구 상부 선단에서 상향 돌출 또는 절곡되며,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상기 열풍기의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구의 하부 선단에서 상기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서로 교차되는 간격으로 하향 돌출 또는 절곡형성된 다수 개의 하부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용 열풍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스크래퍼와 하부 스크래퍼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원호형 또는 사선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스크래퍼와 하부 스크래퍼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 별개체가 토출구의 상, 하부 선단에 결합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토출부의 상,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다수 개의 토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어느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일측 접합부와 다른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타측 접합부를 상, 하부로 겹치게 배치하는 접합부 배치단계와; 상기 접합부 배치단계에 의해 겹치게 배치된 상, 하부의 접합부 사이에 제1항에 의한 열풍기 또는 제5항에 의한 열풍토출부재가 결합된 열풍기를 삽입하되, 상,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또는 열풍기의 이동방향에서 상, 하부 접합부로 열풍이 토출되게 하는 열풍 토출단계와; 상기 열풍 토출단계에 의하여 상, 하부 접합부의 저면과 상면이 융착에 적합한 물성으로 변화되면, 열풍기를 접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속도로 이동시켜 스크래퍼에 의해서 상부 접합부의 저면과 하부 접합부의 상면에 각각 산과 골이 형성되게 하는 접합계면 형성단계와; 상기 접합계면 형성단계에 의해 상부 접합부와 하부 접합부에 산과 골이 형성되면, 상부 접합부의 상부에서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면서 소정 누름압력이 접합계면에 제공되게 하여 상부 접합부 저면에 형성된 산과 골이 하부 접합부 상면에 형성된 골과 산에 치합되어 서로 융착되게 하는 누름압력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롤러는 열풍이 토출되는 열풍기의 토출구 또는 열풍토출부재의 끝단으로부터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열풍기가 이동함에 따라 후속으로 이동하면서 접합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열풍기의 토출구 상, 하부에 다수 개의 스크래퍼를 형성하고,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에 열풍기로 열풍을 제공하여 열융착될 수 있도록 접합계면의 물성을 변화시키되, 스크래퍼가 접합부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산과 골의 형태 또는 요철을 형성하여 서로 치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접합계면이 증대되어 접합력이 강화되고, 접합계면이 톱니형태의 산과 골이 요철결합 또는 치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수분의 침투경로가 길어져 수밀성확보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한 톱니형태의 치합구조에 의하여 접합계면에서의 부분적 접합불량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톱니형태의 치합구조에 의해서 부분적 접합불량부위를 주변에서 보완하는 효과를 가지며, 결국, 이러한 효과는 톱니형태의 치합구조와 물리적 접착계면의 면적증가로 인하여 자칫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접합계면이 충분히 용융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합된다 하더라도 물리적으로 열융착 성능이 향상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접합계면에서의 부분적 접합불량부분을 인접한 접합계면 또는 톱니형 치합구조에서 보완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부의 접합시공이 신뢰성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속도와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접합작업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a, 도 2b는 종래 방수 및 방근시트 시공 후 부분적인 접합불량으로 인하여 발생한 하자발생 부분에 대한 사진.
도 3은 종래 방수 및 방근시트에서 접합부가 접합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와 열풍기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용 열풍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시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시공 상태를 도시한 도 8의 E-E선을 반시계방향으로 90ㅀ회전시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부가 접합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 8의 F-F선 단면도.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4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근시트(100)는 PVC, PE, PP, EVA, TPO 등 합성고분자계 방수시트, 개량아스팔트계 방수시트 등 열풍으로 융착하는 통상의 방수 및 방근시트를 말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수재의 소재에 따라 방수시트 또는 방근시트로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를 채택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방수시트(100)라 명명되는 것은 방수시트와 방근시트를 통합하여 명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100a) 일측 접합부(102)(이하, 상부 접합부(102)라고도 함)와 다른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100b) 타측 접합부(104)(이하, 하부 접합부(104)라고도 함)를 열융착시키기 위한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 및 이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의 구조를 채택한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용 열풍기(300)와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 및 이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의 구조를 채택한 방수시트 접합용 열풍기(300)의 구성을 설명한 후, 이들의 작용설명은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방수시트 접합부 시공방법을 설명하면서 병행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기(250)의 일단에서 열풍을 토출시키는 토출부(252)의 토출구(254) 선단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거나 외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관체로 이루어진 바디부(202)가 구비된다.
상기 바디부(202)가 열풍기(250)의 토출구(254) 선단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된 후, 바디부(202)를 토출부(252)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질 수도 있으며, 토출부(252) 및 바디부(202)의 양측면 또는 상, 하부면에 각각 나사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에 고정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체결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고정클립(도시하지 않음) 또는 고정클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바디부(202)를 토출부(252)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오던 방식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202)의 타단(토출부(252)에 삽입되는 위치의 반대방향) 선단 상, 하부에는 각각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204)와 하부 스크래퍼(206)를 일체 또는 별개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첨부된 도 4에서는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가 바디부(202)와 일체로 성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의 끝단은 둥그렇게 라운딩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와 방수시트(100)의 접합부(102)(104) 저면 또는 상면에서 누름압력이 발생할 때 자칫 접합계면이 압력에 의해 눌리는 것이 아니라 긁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를 상향으로 돌출성형시킨 구조라는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진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가 상향으로 절곡된 것처럼 바디부(202)의 타단 선단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하여 일체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이며, 이때, 상기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의 배치구조를 도 6에 도시된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를 통해 살펴보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2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형성되거나 도 6과 같이 산(208)과 골(209)이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산(208)과 산(208)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고 성형된 구조를 갖게 되며, 상기 상부 스크래퍼(204)가 이격된 공간사이에 위치되도록 다수 개의 하부 스크래퍼(206)가 형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를 평면에서 바라볼 때에는 상부 스크래퍼(204)의 산(208)과 산(208)사이에 형성된 골(209)에 하부 스크래퍼(206)의 산(208)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스크래퍼(204)와 하부 스크래퍼(20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또는 하향을 향하여 원호형 또는 사선형으로 절곡하거나 일체형으로 돌출시켜 성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는 방수시트(100)의 접합부(102)(104) 상부에 누름압력과 긁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바디부(202)의 토출구(254)보다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시킨다는데 의의가 있는 것이지 그 형상이나 모양에는 큰 의의를 두지 않기 때문에 그 형상과 모양에 대하여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20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토출공(210)이 형성되도록 하여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트(100)의 상부 접합부(102)와 하부 접합부(104) 사이에 바디부(202) 및 토출구(254)가 삽입된 상태로 작업이 진행될 때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에 의한 접합부의 홈(골(209)) 형성이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풍이 바디부(202)의 타단 개구부(202a)에서만 토출된다고 가정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기(300)가 이동하는 방향의 최후단(도면 상 좌측)에 바디부(202)의 타단 개구부(202a)와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바디부(202)가 상, 하부 접합부(102)(104)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열풍기(30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방향(도면 상)으로 이동할 경우 상, 하부 접합부(102)(104)의 저면과 상면의 물성이 충분하게 변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를 이용한 접합부의 홈(골(209)) 형성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열풍에 의하여 상, 하부 접합부(102)(104)가 홈(골(209))을 형성할 수 있는 물성으로 충분히 변화되어야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가 이동하면서 상, 하부 접합부(102)(104)에 홈(골(209))을 용이하게 성형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풍토출과 동시에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가 상, 하부 접합부(102)(104)를 가압한다는 것은 상, 하부 접합부(102)(104)의 물성이 충분히 변화되기 이전에 누름압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므로 홈(골(209)) 형성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반면에,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상승시켜 고온의 열풍이 공급되게 할 경우에는 상, 하부 접합부(102)(104)의 저면과 상면의 표면층에만 급격하게 열이 전달되어 물성변화가 표면에만 발생하여 홈(골(209)) 성형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이때,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의 이동시간을 느리게 할 경우에는 표면층이 너무 빨리 녹아버리게 되므로 상, 하부 접합부(102)(104)의 산(208)과 골(209)이 서로 치합되어 용융된다 하더라도 가압롤러(R)가 누름압력을 제공하면 산(208)과 골(209)의 형상이 유지되지 못하고 평활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바디부(202)의 상, 하부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토출공(210)을 형성함으로써, 바디부(202)의 개구부(202a)를 통하여 대부분의 열풍이 토출되기도 하지만 바디부(202)의 토출공(210)을 통하여 미리 열풍이 상, 하부 접합부(102)(104)에 공급되게 하여 상, 하부 접합부(102)(104)를 예열시키게 되면, 최종적으로 바디부(202)의 개구부(202a)를 통하여 토출되는 열풍에 의하여 상, 하부 접합부(102)(104)의 물성변화가 빨리 이루어져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에 의한 홈(골(209))의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스크래퍼(204)와 하부 스크래퍼(20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원호형 또는 사선으로 절곡된 별개체로도 성형이 가능하며, 이렇게 별개체로 이루어진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를 바디부(202) 타단의 상, 하부 선단에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접합용 열풍기(300)는 도 7a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의 구조를 열풍기의 토출부(252)에 채택한 것을 말한다.
상기한 열풍기(300)는 어느 하나의 방수시트(100a) 일측 접합부(102)와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100b) 타측 접합부(104)를 겹치게 한 후 그 사이로 열풍을 가하여 양측 방수시트(100)의 접합부의 하면과 상면의 물성이 융착될 수 있는 상태로 변화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열풍기(300)에서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부(252)의 토출구(254) 상부 선단과 하부 선단에 각각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를 일체 또는 별개체로 성형하되, 상부 스크래퍼(204)는 상향으로 돌출 또는 절곡되게 하며, 하부 스크래퍼(206)는 하향으로 돌출 또는 절곡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와 같이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는 서로 산(208)과 골(209)이 교번적으로 형성배치될 수 있게 하며, 상부 스크래퍼(204)와 하부 스크래퍼(206)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원호형 또는 사선형으로 형성하고, 상부 스크래퍼(204)와 하부 스크래퍼(206)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 별개체가 토출구의 상, 하부 선단에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토출부(252)의 상,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토출공(210)이 형성되게 하여 상, 하부 접합부(102)(104)로 토출부(252)의 토출구(254)에서 열풍이 공급되기 전단계에서부터 열풍이 상, 하부 접합부(102)(104)에 공급되게 하여 상, 하부 접합부(102)(104)를 예열시키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 및 작용은 상기한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의 구성 및 구조 설명에서 이미 언급한 사항이므로 이하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100)의 접합부 시공방법은 종래의 열풍기에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를 결합한 열풍기,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의 구조를 채택한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를 채택하여 시공방법으로서, 이하에서 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 8,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방수시공을 하고자 하는 바탕면에 방수시트(100)를 배치하는 작업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합부 배치단계에서는, 방수시트(100)를 바탕면에 배치할 때 어느 하나의 방수시트(100a) 일측 접합부(102)와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100b) 타측 접합부(104)를 상, 하부로 겹치게 배치하는 작업을 도 8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 배치단계에 의해 겹치게 배치된 상, 하부의 접합부(102)(104)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가 결합된 열풍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의 구조를 채택한 열풍기(300)를 삽입하고, 상, 하부 접합부(102)(104)의 길이방향 또는 열풍기(300)의 이동방향(도 8에서 하부방향)에서 상, 하부 접합부(102)(104)(도 8에서 상부방향)로 열풍이 토출되게 하는 열풍 토출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열풍 토출단계에서는, 상기 토출공(210)에서는(열풍기(250)가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를 채택하였을 경우에는 바디부(202)의 상, 하부면에 형성된 토출공(210), 열풍기가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200)의 구조를 채택하여 일체형으로 생산(208)된 열풍기(300)일 경우에는 토출부(252)의 상, 하부면에 형성된 토출공(210)) 열풍기(300)에서 발생하는 열풍이 토출되고, 이와 동시에 바디부(202)의 개구부(202a) 또는 토출부(254)의 선단에 형성된 개구부에서도 열풍이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토출공(210)에서 토출되는 열풍에 의하여 토출공(210)에 인접한 상, 하부 접합부(102)(104)는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에 의하여 산(208)과 골(209)이 성형되기 용이한 물성으로 변화되기 시작하고(예열), 바디부(202)의 선단 또는 토출구(254)의 선단에 인접한 상, 하부 접합부(102)(104)는 바디부(202)의 개구부 또는 토출구(254)의 개구부에서 토출되는 열풍에 의하여 물성의 변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진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도 8에서는 열풍기(300)와 토출부(252)가 '1'자 형으로 이루어진 도 7a와 같은 열풍기(300)를 채택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토출부(252)가 열풍기(300) 본체로부터 절곡된 도 7b와 같은 열풍기(300)를 채택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풍기(300)와 열풍기(300)에 형성되는 토출부의 구조는 통상적인 기술적 사상을 통하여 얼마든지 변형가능한 구조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열풍 토출단계에 의하여 상, 하부 접합부(102)(104)의 저면과 상면이 산(208)과 골(209) 형성에 적합한 물성으로 변화되면, 열풍기(300)를 접합부(102)(104)의 길이방향(도 8의 하부방향, 도 9의 우측방향)을 따라 소정의 속도로 이동시키되, 열풍기(300)의 토출부(252) 선단 상, 하부에 형성된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에 의해서 상부 접합부(102)의 저면과 하부 접합부(104)의 상면에 각각 산(208)과 골(209)이 형성되게 하는 접합계면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상기한 접합계면 형성단계에서 열풍기(300)를 이동시키면 바디부(202) 선단 또는 토출구(254) 선단에 형성된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가 상, 하부 접합부(102)(104)의 저면과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작업자가 열풍기(300)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 하부 스크래퍼(204)(206)가 연질성으로 물성이 변화된 상, 하부 접합부(102)(104)와 마찰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하부 접합부(104)는 작업자가 열풍기(300)에 가하는 누름압력 또는 열풍기(300)의 자중에 의하여 홈(골(209))이 길이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접합부(102)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접합부(102)가 열풍기 또는 바디부(202) 또는 토출부(252)를 덮고 있는 상태이므로 자중에 의하여 상부 스크래퍼(204)를 가압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물성이 변화된 상부 접합부(102)의 저면은 상부 스크래퍼(204)가 이동함에 따라 홈(골(20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계면 형성단계에서 성형된 산(208)과 골(209)은, 상, 하부 스크래퍼(206)를 이용한 골(209)(홈) 성형을 통하여 산(208)이 성형되는 것이며, 이때, 골(209)(홈)은 상부 접합부(102)의 자중, 작업자의 누름압력, 열풍기(300)의 자중, 후술하게 될 가압롤러(R)의 누름압력에 의존하게 되며, 이렇게 성형된 골(209)(홈)의 최하점으로부터 방수시트(100)의 표면까지는 두께가 산(208)이 형성된 부분에 비하여 얇아지지만 누름압력에 의해 눌려진 상태이므로 조직이 조밀하고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계면 형성단계에 의해 상부 접합부(102)와 하부 접합부(104)에 산(208)과 골(209)이 형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접합부(102)의 상부에서 가압롤러(R)를 이동시키면서 소정 크기의 누름압력을 접합계면에 제공하여 상부 접합부(102) 저면에 형성된 산(208)과 골(209)이 하부 접합부(104) 상면에 형성된 골(209)과 산(208)에 치합된 상태로 서로 융착되게 하는 누름압력 제공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롤러(R)는 열풍이 토출되는 열풍기(300)의 토출구(254) 또는 열풍토출부재(200)의 끝단으로부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열풍기(300)가 이동함에 따라 후속으로 이동하면서 어느 하나의 방수시트(100a) 접합부(102)를 가압하여 상부 접합부(102)의 자중과 가압롤러(R)의 누름압력에 의한 상부 접합부(102)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상부 스크래퍼(204)에 의한 홈(골(209))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골(209)과 골(209)은 조직이 조밀하고 밀도가 높은 구조인 반면에 산(208)과 산(208)은 상대적으로 조직이 조밀하지 못하고 밀도가 낮은 상태로서, 이들이 서로 치합된 후 가압롤러(R)에 의해 치합구조 상, 하부에서 누름압력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골(209)과 골(209)의 조직이 조밀하여 좌우로 밀리거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형상을 유지하게 되므로 가압롤러(R)의 누름압력에도 산(208)과 골(209)의 치합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상기한 바와 같은 치합구조 또는 톱니구조로 접합부를 융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 8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치합구조 또는 톱니구조로 융착된 접합부를 도시한 도 8의 F-F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롤러(R)와 열풍기(300)가 서로 별개체로 구비된 상태에서 이들 장비를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하는 일반적인 방수시트 접합부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자동이동열풍기는 가압롤러(R)와 열풍기가 일체로 구성되어 자동이동과 열풍공급 및 누름압력의 제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속도를 제어하여 열융착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압롤러(R)와 열풍기(30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자동이동과 열풍공급 및 누름압력제공이라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자동이동열풍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시공 시 접합계면이 산(208)과 골(209)이 치합되는 구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서로 융착되게 함으로써, 이 접합계면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접합불량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톱니형태의 치합구조에 의해서 톱니별로 독립적인 접합기능이 확보되기 때문에 부분적 접합불량부위에 의한 들뜸현상이 주변으로 확산(208)되는 것을 방지하며, 톱니형태의 치합구조와 물리적 접착계면의 면적증가로 인하여 자칫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접합계면이 충분히 용융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합된다 하더라도 결국에는 물리적으로 열융착 성능이 향상되는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계면이 톱니형태의 산(208)과 골(209)이 요철결합 또는 치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수분의 침투경로가 길어져 수밀성 확보가 용이해지며, 접합부의 접합시공이 신뢰성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속도와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것이다.
100 : 방수시트 102 : 일측 접합부(상부 접합부)
104 : 타측 접합부(하부 접합부)
200 :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
202 : 바디부 204 : 상부 스크래퍼
206 : 하부 스크래퍼 208 : 스크래퍼의 산
209 : 스크래퍼의 골(홈) 210 : 토출공
250 : 종래의 열풍기 252 : 토출부
254 : 토출구 300 : 방수시트 접합용 열풍기

Claims (10)

  1. 일단이 열풍을 송풍시키는 열풍기 토출부의 토출구 선단에 내부삽입 또는 외부삽입되도록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관체로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타단 선단 상부에서 상향 돌출 또는 절곡되며,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상기 바디부의 타단 하부 선단에서 상기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서로 교차되는 간격으로 하향 돌출 또는 절곡형성된 다수 개의 하부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래퍼와 하부 스크래퍼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원호형 또는 사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래퍼와 하부 스크래퍼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 별개체가 바디부의 타단 상, 하부 선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다수 개의 토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용 열풍토출부재.
  5. 어느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일측 접합부와 다른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타측 접합부를 겹치게 한 후 열풍을 가하여 양측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의 하면과 상면이 서로 융착되게 하는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의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부의 토출구 상부 선단에서 상향 돌출 또는 절곡되며,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상기 열풍기의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구의 하부 선단에서 상기 다수 개의 상부 스크래퍼와 서로 교차되는 간격으로 하향 돌출 또는 절곡형성된 다수 개의 하부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용 열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래퍼와 하부 스크래퍼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원호형 또는 사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용 열풍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래퍼와 하부 스크래퍼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 별개체가 토출구의 상, 하부 선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용 열풍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상,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다수 개의 토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근시트 접합용 열풍기.
  9. 어느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일측 접합부와 다른 하나의 방수 및 방근시트 타측 접합부를 상, 하부로 겹치게 배치하는 접합부 배치단계와;
    상기 접합부 배치단계에 의해 겹치게 배치된 상, 하부의 접합부 사이에 제1항에 의한 열풍기 또는 제5항에 의한 열풍토출부재가 결합된 열풍기를 삽입하되, 상, 하부 접합부의 길이방향 또는 열풍기의 이동방향에서 상, 하부 접합부로 열풍이 토출되게 하는 열풍 토출단계와;
    상기 열풍 토출단계에 의하여 상, 하부 접합부의 저면과 상면이 융착에 적합한 물성으로 변화되면, 열풍기를 접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속도로 이동시켜 스크래퍼에 의해서 상부 접합부의 저면과 하부 접합부의 상면에 각각 산과 골이 형성되게 하는 접합계면 형성단계와;
    상기 접합계면 형성단계에 의해 상부 접합부와 하부 접합부에 산과 골이 형성되면, 상부 접합부의 상부에서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면서 소정 누름압력이 접합계면에 제공되게 하여 상부 접합부 저면에 형성된 산과 골이 하부 접합부 상면에 형성된 골과 산에 치합되어 서로 융착되게 하는 누름압력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는 열풍이 토출되는 열풍기의 토출구 또는 열풍토출부재의 끝단으로부터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열풍기가 이동함에 따라 후속으로 이동하면서 접합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20130003978A 2013-01-11 2013-01-11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130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78A KR101307410B1 (ko) 2013-01-11 2013-01-11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78A KR101307410B1 (ko) 2013-01-11 2013-01-11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410B1 true KR101307410B1 (ko) 2013-09-11

Family

ID=4945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978A KR101307410B1 (ko) 2013-01-11 2013-01-11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4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431A (ja) 1998-06-03 2000-02-22 Bridgestone Corp 防水シ―トの接合方法およびこの接合に用いる赤外線手動溶着機
JP2000145051A (ja) 1999-01-01 2000-05-26 Kanebo Ltd シ―ト防水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防水シ―ト
JP2004351635A (ja) 2003-05-27 2004-12-16 Mitsuboshi Belting Ltd 遮水シート融着器
JP2005178165A (ja) 2003-12-19 2005-07-07 Takenaka Komuten Co Ltd 熱風吹出ノズルおよび防水シートの熱風融着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431A (ja) 1998-06-03 2000-02-22 Bridgestone Corp 防水シ―トの接合方法およびこの接合に用いる赤外線手動溶着機
JP2000145051A (ja) 1999-01-01 2000-05-26 Kanebo Ltd シ―ト防水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防水シ―ト
JP2004351635A (ja) 2003-05-27 2004-12-16 Mitsuboshi Belting Ltd 遮水シート融着器
JP2005178165A (ja) 2003-12-19 2005-07-07 Takenaka Komuten Co Ltd 熱風吹出ノズルおよび防水シートの熱風融着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289B1 (ko) 공기층 단열을 이용한 복합·복층·단열방수공법
CN102995842A (zh) 柔性防水屋面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765067B1 (ko) 폴리우레탄시트의 웰딩 접합에 의한 방수 시공방법
KR101307410B1 (ko) 열풍기와 열풍토출부재 및 방수 및 방근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0444907B1 (ko)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0885024B1 (ko) 터널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 방수부재
KR101268299B1 (ko) 시트 조립형 방수공법
KR200406964Y1 (ko) 방수시트
CN202945750U (zh) 柔性防水屋面系统
CN211518540U (zh) 一种卷材搭接边压辊压油防水施工装置
KR102286256B1 (ko) 접합홀을 구비한 교면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053082B1 (ko) 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0762858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20230037289A (ko)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JP2011157694A (ja) 床被覆材の継目構造及び継目施工法
KR101307409B1 (ko) 접합성능 식별기능을 가지는 방수 및 방근시트
CN113445638B (zh) 建筑生产用复合建材的防水结构
CN109263155A (zh) 一种电热丝加热型防水卷材
KR101833792B1 (ko) 개량형 원터치 타입 시트방수 구조
KR20130114338A (ko) 시트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4827724A (zh) 改性沥青耐根穿刺防水卷材
KR200336967Y1 (ko) 복합 방수 시트
JP3790576B2 (ja) ベランダ等における側溝用シート及び防水施工方法
KR102456263B1 (ko) 변부의 두께가 중앙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단면 구조를 갖는 차수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23608A (ko) 관라이닝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