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886A -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886A
KR20230036886A KR1020210119931A KR20210119931A KR20230036886A KR 20230036886 A KR20230036886 A KR 20230036886A KR 1020210119931 A KR1020210119931 A KR 1020210119931A KR 20210119931 A KR20210119931 A KR 20210119931A KR 20230036886 A KR20230036886 A KR 20230036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pheres
entecavir
solvent
weight
biocompati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청주 김
안태군
김아람
신현호
김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울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울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1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886A/ko
Priority to PCT/KR2021/018780 priority patent/WO2023038202A1/ko
Publication of KR2023003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테카비어를 포함하며,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엔테카비어를 포함하는 미립구는 장기간 동안 안정한 약물 방출률을 나타내어 일정 기간 동안 혈액내에 엔테카비어를 유효 농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약물의 투여 주기를 연장하고,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며, 급격한 약물 초기 방출로 인한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Biodegradable polymer used in sustained release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테카비어를 포함하며,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리활성 물질의 지속적이고 제어된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제형 기술이 사용되어 왔다. 이들 중 서방성 미립구(microsphere) 주사제형은 약리활성 물질이 고분자 매트릭스내에 봉입되어 이루어진 미립구 형태로 제공되는 주사제이며, 피하 또는 근육 주사시 약물이 미립구로부터 균일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서방성 미립구를 이용한 방출 제형이 실질적으로 투약 주기의 연장이라는 효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초기 방출 제어뿐 아니라, 미립구 내에 봉입되는 약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HBV)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2억4천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새로운 HBV 감염 사례의 수는 이에 대한 백신이 출시된 이후 급감했다. 그러나 HBV 발생률이 매우 높은 일부 지역은 여전히 존재한다. 현재 사용중인 치료법으로 HBV의 바이러스 부하를 낮은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지만 몸에서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기는 매우 어렵고, 따라서 B형 간염은 장기간의 치료를 필요로 한다.
엔테카비어(Entecavir)는 매우 강력한 항-HBV 효능을 발휘하고 낮은 약물 내성(5년간의 투약 이후 1.2% 이하의 내성을 보임)을 나타내는 약물로서 HBV 감염에 대한 first-line 약물로 선택되고 있다. 그러나 항 HBV 약물은 치료 종료 요건이 충족될 때까지 최소 2~3년 동안 정기적으로 복용해야 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엔테카비어 치료를 포함하여 B형 간염 치료를 중단한 환자에게서 심각한 B형 간염 악화 사례가 보고된 바도 있다. 음식 섭취는 분산성 정제에서 엔테카비어의 흡수에 현저한 영향을 끼친다. 구체적으로, 엔테카비어를 음식과 함께 복용하면 약물 흡수가 지연되고(0.75시간에서 1 내지 1.5시간으로) Cmax가 44% 내지 46% 감소하고, AUC(농도-시간 곡선 아래 영역)가 18 내지 20%까지 감소한다. 따라서, 엔테카비어의 효능을 높이려면 매일 공복에 복용해야 한다. 그러나 공복에 엔테카비어를 복용하는 것은 두통,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및 소화불량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시켜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떨어뜨리고 결과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치료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경구 이외의 투여경로를 이용하여 투여횟수를 줄인 서방형 미립구 약물전달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엔테카비어를 함유한 서방형 미립구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W/O/W 이중 유제 (double emulsion) 방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하게 되면 미립구 형성뿐만 아니라, 봉입률 및 초기 방출 억제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B형 간염 치료를 위해서는 봉입률이 높고 지속적인 방출이 가능한 엔테카비어 미립구 약물전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는 엔테카비어는 미립자에 잘 봉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는 점과, 엔테카비어의 고분자 미립구의 봉입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W/O/W 이중 유제 (double emulsion) 방법으로 미립구를 제조시 봉입률이나 초기 방출율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엔테카비어를 녹일 수 있는 극성비양자성 용매(polar aprotic solvent)와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녹이는 용매의 공용매를 이용하여 O/W 단일 유제(single emulsion) 방식으로 미립구를 제조하면 엔테카비어의 봉입률이 현저히 향상될 뿐 아니라 급속한 초기 방출이 제어되고, 지속 가능한 방출 제형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테카비어를 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며,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립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엔테카비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분산상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분산상을 연속상에 넣고 교반하여 미립구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립구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테카비어를 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며,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립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엔테카비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분산상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분산상을 연속상에 넣고 교반하여 미립구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미립구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엔테카비어를 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며,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립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테카비어는 유리된 엔테카비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B형 간염에 대해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양이온과 음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 물질인 염 중에서도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염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 금속염, 유기 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알루미늄염 등이 될 수 있고; 유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무기산과의 염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르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B형 간염 발병이 예상되거나 또는 상기 질환이 발병된 환자의 치료에 적합한 엔테카비어의 산 부가 염 또는 염기 부가 염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미립구 내에 포함되는 엔테카비어의 함량은 0.1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미립구에 포함된 엔테카비어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체내 환경에서 엔테카비어의 초기 방출양이 지나치게 높아 약물의 혈중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미립구에 포함된 엔테카비어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생체적합성 고분자 비율이 높아져 투여량이 과다해지므로 투여가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립구 내에 포함되는 엔테카비어의 함량은 0.1 내지 45중량%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상기 미립구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립구 내에 상기 엔테카비어가 봉입된 것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단순히 엔테카비어 함유 미립구, 엔테카비어 미립구 또는 미립구 등으로 지칭한다.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립구 내에 엔테카비어가 봉입된 것이라면, 이용한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종류 등에 제한 없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biocompatible polymer)"는 생체 내에 투여하였을 때 높은 세포독성 및 염증반응 등을 유발하지 않는 생체 내 안전성이 확보된 고분자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고분자로 지칭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0.1 내지 1.9dL/g의 고유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0.1 dL/g 미만의 고유점도를 가지면 고분자의 분해가 너무 빨라 원하는 시간까지 엔테카비어의 지속 방출이 어려울 수 있고, 0.9 dL/g을 초과하는 고유점도를 가지면 고분자의 분해가 너무 느려 엔테카비어의 방출량이 적어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미립구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9.9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5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엔테카비어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초기 과다 방출 내지 원하는 기간 동안 약효를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99.9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환자에게 투여해야 할 양이 너무 많아져 투여가 힘들거나 투여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미립구는 봉입된 엔테카비어를 조절 또는 연장된 방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또는 연장된 방출 형태란 “서방성”, “제어 방출” 또는 “지연된 방출”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미립구는 생체 내(in vivo) 또는 시험관 내(in vitro) 환경에서 봉입된 엔테카비어의 방출이 2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주 내지 12주간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미립구에 포함된 엔테카비어는 사용 환경에 진입한 후(예를 들어, 인체 투여 후) 24시간 이내에 3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로 방출이 되고, 나머지가 24시간 이후에, 바람직하게는 1주 내지 12주간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출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미립구는 생체 내(in vivo) 또는 시험관 내(in vitro) 환경에서 봉입된 엔테카비어의 방출이 2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주 내지 5주간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미립구에 포함된 엔테카비어는 사용 환경에 진입한 후(예를 들어, 인체 투여 후) 24시간 이내에 3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로 방출이 되고, 나머지가 24시간 이후에, 바람직하게는 1주 내지 5주간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출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엔테카비어를 포함하는 상기 미립구는 유제를 통한 용매증발 또는 용매추출법,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엔테카비어 및 분산용매를 포함하는 O/W(oil-in-water)형 유제를 제조하고, 이를 미립자로 응집시키는 O/W형 용매증발법에 의해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O/W형 유제를 제조하여 이를 고분자 미립자로 응집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생체적합성 고분자, 엔테카비어 및 분산용매를 포함하는 O/W형 유제를 제조한다.
O/W형 유제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O/W형 유제의 제조를 위해서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엔테카비어를 포함하는 분산상을 분산용매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엔테카비어 함유 고분자 미립자는 용매증발법 또는 용매추출법에 의해 유제를 미립자로 응집시키거나 ammonolysis 또는 hydrolysis 과정에 의한 응집에 의해 제조된다. ammonolysis 과정에 의하는 경우 암모니아의 첨가, hydrolysis 과정에 의하는 경우 산 또는 염기의 첨가로 ammonolysis 또는 hydrolysis 반응이 일어나 수불용성인 유기용매가 수용성 용매로 변환되는 수불용성 유기용매가 유제의 제조시 추가로 포함된다.
용매증발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471,996호, 제5,985,309호 및 제5,271,945호 등에 기재된 방법, 고분자 화합물을 녹인 유기용매 상에 약물을 분산 또는 녹인 후, 물과 같은 분산매에 유화시켜 O/W형 유제를 제조한 다음, 유제에 있는 유기용매를 분산매로 확산시켜 공기/물 계면을 통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엔테카비어 함유 고분자 미립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용매추출법은 유제방울에 있는 유기용매를 대량의 가용화 용매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것과 같이 엔테카비어 함유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용매추출법을 포함한다.
아울러, 용매증발법과 용매추출법을 동시에 적용시키는 방법,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389,840호, 제4,530,840호, 제6,544,559호, 제6,368,632호 및 제6,572,894호 등에 기재된 방법 등이 포함된다.
ammonolysis 과정에 의한 응집은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918092호에 기재된 방법과 같이 수불용성 유기용매가 포함된 O/W형 유제에 ammonia를 첨가하여 ammonolysis를 유도하고, 상기 수불용성 유기용매를 수용성 용매로 변환시켜 미립자를 응집시키는 방법을 나타낸다.
hydrolysis 과정에 의한 응집은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109809호, 제2010-70407호에 기재된 방법과 같이 수불용성 유기용매가 포함된 O/W형 유제에 NaOH, LiOH, KOH와 같은 염기 또는 HCl, H2SO4와 같은 산 용액을 첨가하여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반응의 일종인 hydrolysis을 유도하고, 상기 수불용성 유기용매를 수용성 용매로 변환시켜 미립자를 응집시키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a) 엔테카비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분산상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분산상을 연속상에 넣고 교반하여 미립구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는 엔테카비어 과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분산상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a) 단계에서 엔테카비어 은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1내지 45중량부로,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중량부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부로 분산되거나 용해될 수 있다. 유기상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용매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락트산, 폴리락타이드,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 폴리포스파진,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락트산과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미노산, 락트산과 아미노산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용매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수성 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수성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아세토나이트릴,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 단계의 용매는 1종 이상의 극성비양자성 용매를 공용매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극성비양자성 용매는 에테르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아마이드계 용매, 시안계 용매 및 설폭사이드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성비양자성 용매는 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디부틸에테르, 부틸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 에테르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케톤계 용매, N-메틸-2-피릴리디논, 2-피릴리디논,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 아마이드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벤조니트릴 등 시안계 용매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메틸 페닐 설폭사이드, 디페닐 설폭사이드, p-톨릴 설폭사이드, 4-클로로페닐 설폭사이드, 메틸 p-톨릴 설폭사이드, 부틸 설폭사이드 등 설폭사이드계 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외부 연속상(continuous phase)에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분산상을 분산시켜 에멀젼 용액(O/W)을 제조하여 미립구를 고형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친수성 고분자가 계면활성제로서 포함이 될 수 있으며, 이의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엔테카비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분산상이 상기 외부 연속상 내에서 안정한 액적의 분산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바람직하게는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레시틴,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외부 연속상은 0.1 내지 5%(w/w)의 친수성 고분자 수용액일 수 있으며, 이 때 친수성 고분자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30,000일 수 있고, 가수분해도는 80 내지 90%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엔테카비어와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분산상을 drop-by-drop 방식으로, 또는 in-line mixer를 이용한 방식으로 상기 친수성 고분자가 포함된 외부 연속상에 첨가하고, 격렬하게 교반하여 에멀젼 용액(O/W)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엔테카비어가 생체적합성 고분자 미립구 내로 봉입된다.
이후 상기 (c) 단계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통상적인 여과 및 세척을 거친 후 목적하는 미립구를 수득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초기 방출 억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득된 미립구를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된 미립구에 봉입된 엔테카비어의 중량은 상기 (a) 단계에서 용해시킨 엔테카비어의 중량 대비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립구 내 엔테카비어의 봉입률이 3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된 미립구에 봉입된 엔테카비어의 중량은 상기 (a) 단계에서 용해시킨 엔테카비어의 중량 대비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립구 내 엔테카비어의 봉입률이 5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된 미립구에 봉입된 엔테카비어의 중량은 상기 (a) 단계에서 용해시킨 엔테카비어의 중량 대비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립구 내 엔테카비어의 봉입률이 7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된 미립구에 봉입된 엔테카비어의 중량은 상기 (a) 단계에서 용해시킨 엔테카비어의 중량 대비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립구 내 엔테카비어의 봉입률이 9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립구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미립구를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199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10,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테카비어가 함유된 미립구는 장기간 동안 안정한 약물 방출성을 나타내어 일정 기간 동안 혈액내에 엔테카비어를 유효 농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약물의 투여 주기를 연장하고,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며, 급격한 약물 초기 방출로 인한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엔테카비어 초기 방출율을 평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엔테카비어를 포함하는 미립구의 제조
엔테카비어 0.35g을 DMSO 5.82g에 녹이고, 생체적합성 고분자(Resomer RG 504H, I.V.: 0.45-0.63, Durect 8A, I.V.: 0.7-0.9) 1.4g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82g에 녹인 후 이를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혼합하여 분산상을 완성하였다. 연속상은 3% 폴리비닐알콜(분자량: 1,3000-23,000)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연속상 1,000ml을 제조탱크에 넣어 25℃로 하고, 인라인믹서기를 이용해서 준비된 분산상을 주입하고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이후 1,000rpm으로 교반하며 24시간 동안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제조된 미립구를 주사용수로 수 회 세척한 후 잔여 폴리비닐알콜을 제거하고 미립구를 동결건조 하였다.
비교예 1: 엔테카비어를 포함하는 미립구의 제조
엔테카비어 0.35g와 생체적합성 고분자(Resomer RG 504H, I.V.: 0.45-0.63) 1.4g을 메틸렌클로라이드 14.55g에 녹인 후 이를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혼합하여 분산상을 완성하였다. 연속상은 0.5% 폴리비닐알콜(분자량: 1,3000-23,000)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연속상 1,000ml을 제조탱크에 넣어 25℃로 하고, 인라인믹서기를 이용해서 준비된 분산상을 주입하고 미립구를 제조하였으나, 마이크로스피어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 미립구 형태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분석하였다. 미립구 약 10㎎을 알루미늄 스터브에 고정 후, SEM에 장착하여 미립구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모든 이미지는 약 500X의 배율로 10KeV 전자빔으로 관찰하였다.
미립구의 형태를 측정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는 다공이 존재하지 않는 구형임을 확인하였으나 비교예 1의 방법에 따른 미립구는 구형이 형성되지 않아 관찰하지 못했다.
실험예 2: 미립구 내 엔테카비어 로딩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 약 20mg 취하여 25mL 용량플라스크에 담고 아세토니트릴 2.5 mL (제조사: 허니웰)으로 10분간 Sonication 진행한 후, 증류수를 용량 플라스크 부피의 약 90% 담은 후 10분간 Sonication 진행했다. 이후 증류수로 표선을 맞춘 뒤 0.45um 시린지 필터로 여과했다. 이 액을 바이알에 담고 HPLC (장비명 : Agilent )를 이용하여 UV검출기로 검출했다. 컬럼 충진은 L1, 내부 직경이 4.6mm x 150mm, 두께는 4um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비교예 1의 방법에 따른 미립구는 형성되지 않아 봉입률과 로딩량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실험예 3: 잔류용매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 약 200mg 취하여 5mL 용량플라스크에 담고 톨루엔 내부표준액 3mL으로 10분간 Sonication 진행했다. 톨루엔 내부표준액으로 표선을 맞춘 뒤 4mL을 취해 헤드스페이스바이알에 넣고 밀봉하여 Agilent 8890 gas chromatograph/Head Space 7697A 장비를 사용하여 불꽃이온화검출기로 검출했다. 이동상은 He이며, 컬럼은 G43 0.53 mm ?m, 3 ㎛ film thickness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엔테카비어 미립구는 잔류용매량이 DCM의 기준치인 600ppm 이하, 그리고 DMSO 기준치인 5,000 ppm 이하로서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생체 외 방출시험 및 초기방출률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약 10mg을 취하여 바이알에 넣고 방출액을 8mL 넣어 100rpm으로 교반하며 37℃로 유지했다. 일정 시간의 방출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하여 0.45um 시린지 필터로 여과했다. 이 액을 바이알에 담고 HPLC (장비명: Agilent)를 이용하여 UV검출기로 검출했다. 컬럼 충진은 L1, 내부 직경이 4.6mm x 150mm, 두께는 4um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립구는 24시간 이내에 3%만이 방출되었고, 20일 이상 방출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의 방법에 따른 미립구는 형성되지 않아 방출률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엔테카비어를 함유한 미립구는 장기간 동안 안정한 약물 방출성을 나타내어 일정 기간 동안 혈액내에 엔테카비어를 유효 농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약물의 투여 주기를 연장하고,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며, 급격한 약물 초기 방출로 인한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12)

  1. 엔테카비어(Entecavir)를 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며,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립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구는 엔테카비어 방출이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구에 포함된 엔테카비어는 사용 환경에 진입한 후 24시간 이내에 30중량% 이하로 방출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 폴리락타이드,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 폴리포스파진,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락트산과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미노산, 락트산과 아미노산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구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엔테카비어 및 분산용매를 포함하는 O/W (oil-in-water)형 용매증발법 또는 용매추출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구.
  6. (a) 엔테카비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분산상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분산상을 연속상에 넣고 교반하여 미립구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립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엔테카비어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부로 분산되거나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용매는 극성비양자성 용매를 공용매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수득된 미립구를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된 미립구에 봉입된 엔테카비어의 중량은 상기 (a) 단계에서 용해시킨 엔테카비어의 중량 대비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립구를 포함하는 B형 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10119931A 2021-09-08 2021-09-08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6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31A KR20230036886A (ko) 2021-09-08 2021-09-08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1/018780 WO2023038202A1 (ko) 2021-09-08 2021-12-10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31A KR20230036886A (ko) 2021-09-08 2021-09-08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886A true KR20230036886A (ko) 2023-03-15

Family

ID=8550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931A KR20230036886A (ko) 2021-09-08 2021-09-08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6886A (ko)
WO (1) WO2023038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0933B (zh) * 2024-01-10 2024-05-10 江苏长泰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吡仑帕奈长效缓释微球、制备方法及缓释注射剂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820B1 (ko) * 2011-06-16 2016-02-17 건일제약 주식회사 엔테카비르를 함유하는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00464A (ko) * 2012-03-02 2013-09-11 동국제약 주식회사 엔테카비어 미립구 및 이를 포함하는 비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160175313A1 (en) * 2013-08-06 2016-06-23 Dongkook Pharmaceutical Co., Ltd., Entecavir microspher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containing same
KR101583351B1 (ko) * 2014-11-28 2016-01-07 동국제약 주식회사 초기 방출 억제 및 잔류용매 제거율을 향상시킨 서방출성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7983B1 (ko) * 2017-11-30 2019-11-22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안전성 및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202A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5803B2 (ja) ミクロスフェア薬物担体、調製方法、組成物及びその使用
JP2012501321A (ja) 溶媒交流蒸発法による徐放性マイクロスフェアの製造方法
US6987111B2 (en) Aripiprazole, olanzapine and haloperidol pamoate salts
US20220183976A1 (en) Compositions of dispersed phase for preparation of apixaban-loaded microspheres and biocompatible polymer-based apixaban-loaded microspheres prepared therefrom
CN113950322B (zh) 制备基于生物相容性聚合物的负载阿哌沙班的微球的方法
EP3031449A1 (en) Entecavir microspher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containing same
WO2020236950A1 (en) Therapeutic microsphere formulations containing charged polymers
EP3178471B1 (en) Preparation method of drug-containing sustained release microparticles
KR20230036886A (ko)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48810A (ko) 올란자핀 함유 고분자 미립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2040130A1 (en) Microsphere formulations comprising ketamin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4918808B2 (ja) 生体吸収性医薬製剤
KR102583029B1 (ko)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 작용제 함유 제어방출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8232A (ko) 치매치료를 위한 장기지속형 주사제
KR20120048811A (ko) 아나스트로졸 함유 고분자 미립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US20230225993A1 (en) Microsphere formulations comprising ketamin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24063424A1 (ko) 바리시티닙을 포함하는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30068877A (ko) 고용량 바레니클린을 포함하는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JP4909529B2 (ja) 徐放性基材
WO2023133554A2 (en) Microsphere formulations comprising ketamin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230032772A (ko) 아픽사반을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
KR101334011B1 (ko) 아나스트로졸 함유 서방출형 고분자 미립구
JP2023122702A (ja) 注射剤及び注射剤の製造のための粒子の使用
AU2022394933A1 (en) Sustained-release injectable composition containing naltrexon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220076371A (ko)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