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371A -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371A
KR20220076371A KR1020210166841A KR20210166841A KR20220076371A KR 20220076371 A KR20220076371 A KR 20220076371A KR 1020210166841 A KR1020210166841 A KR 1020210166841A KR 20210166841 A KR20210166841 A KR 20210166841A KR 20220076371 A KR20220076371 A KR 20220076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olide
lactide
poly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철
김성원
박정규
박희동
백재욱
최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2007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61K9/1694Processes resulting in granules or microsphe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more than 5% of excip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파제(caspase)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성성분으로 캐스파제 저해제인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포함하는 미립구를 포함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INJECTION CONTAINING CASPASE INHIBITOR AND ME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캐스파제(caspase)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성성분으로 캐스파제 저해제인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포함하는 미립구를 포함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캐스파제는 효소의 일종으로서 α2β2 형태의 테트라머(tetramer)로 존재하는 시스테인 프로테아제(cysteine protease)이며, 캐스파제 저해제는 이러한 캐스파제의 활동을 방해함으로써 캐스파제의 작용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염증이나 세포사멸(apoptosis)을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을 투여하여 증상을 없애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질병으로는 골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파괴성 골 장애,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질환, 급성 간염, 간경화,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뇌손상, 인간 돌발성 간부전증, 패혈증, 장기이식 거부반응, 허혈성 심장질환, 치매, 뇌졸중, AIDS로 인한 뇌손상, 당뇨, 위궤양 등이 있다.
캐스파제 저해제로서 하기 화학식 1의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가 효과적인 캐스파제 저해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그러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경구제형으로 투여할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전신으로 노출될 뿐만 아니라 관절강 내로 거의 들어가지 못하기에 약물의 전달 효율이 좋지 못하여 관절강 내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농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약물전달 효율이 높은 새로운 제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캐스파제 저해제인 화학식 1의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의 관절강 내의 농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약물전달 효율이 높은 주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사용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활성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1의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포함하는 미립구를 포함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활성성분으로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분산상을 제조하고;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분산상을 연속상에 투입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며; iii) 상기 단계 (ii)에서 얻은 에멀젼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경화하여 미립구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활성성분으로 상기 화학식 1의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이하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라 일컫는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포함하는 미립구를 포함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복실산 염에는,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기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 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의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중심과 비대칭축 또는 비대칭평면을 가질 수 있으므로 E 또는 Z 이성질체, R 또는 S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및 개개의 부분입체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이성질체 및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뿐만아니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중량비는 5 내지 20 : 80 내지 9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중량비는 7 내지 18 : 82 내지 9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로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는 촉매의 존재하에 개환 중합에 의하여 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로부터 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40:60 내지 90: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70:30 내지 90: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50: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75: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85: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는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다른 것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50:50인 것과 75:25인 것이 혼합되어 사용되거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75:25인 것과 85:15인 것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분자량은 20 내지 500 kD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분자량은 70 내지 200 kD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는 말단기(end group)로 에스테르 또는 산(acid), 더 바람직하게는 말단기로 에스테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매의 예로는 물(주사용수), 생리 식염수 또는 인산 완충 식염수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필요에 따라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 등과 같은 다른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은 세포사멸-매개 질환, 염증 질환, 골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및 파괴성 골 장애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골 관절염의 예방, 치료 또는 통증 감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i) 활성성분으로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분산상을 제조하고;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분산상을 연속상에 투입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며;
iii) 상기 단계 (ii)에서 얻은 에멀젼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경화하여 미립구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i)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중량비는 5 내지 20 : 80 내지 9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중량비는 7 내지 18 : 82 내지 9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40:60 내지 90: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70:30 내지 90: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50: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75: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는 85: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는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다른 것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50:50인 것과 75:25인 것이 혼합되어 사용되거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75:25인 것과 85:15인 것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분자량은 20 내지 500 kD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분자량은 70 내지 200 kD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는 말단기(end group)로 에스테르 또는 산(acid), 더 바람직하게는 말단기로 에스테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i)에서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 염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N-메틸-2-피롤리돈,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틸에틸케톤, 프로필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i)에서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i)에서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비가 9: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ii)에서의 연속상은 폴리비닐알코올(PVA) 용액일 수 있다. 예를 들면, 0.5 중량%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1 중량%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또는 2 중량%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ii)에서의 연속상은 산(acid)을 이용하여 pH 3 내지 5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ii)에서의 연속상은 산을 이용하여 pH 4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산은 아세트산(acetic aci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 (ii)에서 에멀젼의 제조는 균질화기(homogenizer),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또는 막유화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막유화법은 SPG(Shirasu porous glass) 막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캐스파제 저해제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여 관절강 내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농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생분해성 서방형 약물 전달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4 내지 23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4 및 25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디클로로메탄(DCM)/에틸 아세테이트(EA)의 비율에 따른 분산상의 밀도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해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26 내지 29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성상 및 입도 분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26 내지 29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in vitro 용출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30 내지 32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성상 및 입도 분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8은 실시예 30 내지 32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in vitro 용출시험 결과를 실시예 26, 28 및 29에서 제조된 미립구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33 내지 36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실험예 13에서의 수직 및 수평 교반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험예 13에서의 수직 및 수평 교반에 따른 in vitro 용출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 38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PK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시예 38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POC(proof of concept)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의 합성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이하에서 “시험 화합물”)을 국제공개번호 WO 2006/090997호에서 개시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Homogenizer를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
다음의 표 1의 조성으로 시험 화합물이 봉입된 관절강 투여용 약물 지속방출형 담체인 미립구들을 제조하였다.
시험 화합물과 PLGA의 중량비는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약 1:10으로 칭량하였고,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을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dispersed phase)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PLGA는 L/G ratio 50:50 이고, 분자량(M.W.)은 32,000이었다.
연속상(continuous phase)은 0.5%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M.W. 31,000~50,000, degree of hydrolysis 87~89%) 50 mL를 사용하였고, 분산상을 연속상에 넣고 homogenizer로 rpm(8,000 내지 20,500)에 따라 에멀전 입자 사이즈를 조절하였다.
제조된 에멀전은 4시간동안 교반하며 유기용매를 기화시킴으로써 에멀전을 경화시켜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3
실험예 1: 미립구 성상 분석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성상을 주사전자현미경법(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볼 수 있듯이, 제조된 미립구들은 크기가 수 μm 에서 100 μm 이상의 입자분포를 보였으며, homogenizer의 회전 속도에 따라 입자사이즈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여 회전 속도에 따라 입자 사이즈를 조절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내지 23: Inkjet printing을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
분산상 용액을 잉크젯(inkjet) 헤드에 충진 후 헤드 표면을 연속상에 적셔넣고 적절한 frequency와 flow rate로 분사를 진행하였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산상의 PLGA 비율은 10 중량% 내지 33 중량%이었고, frequency는 0.5 kHz 내지 3 kHz이었으며, flow rate는 5 mL/분 내지 20 mL/분이었다. PLGA는 5050 DLG 4.5E (L/G ratio 50:50, M.W. 62,000, Ester terminated)를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4
실험예 2: 미립구 성상 분석
실시예 4 내지 23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성상을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로부터 볼 수 있듯이, frequency 및 flow rate에 따라서 에멀전 입자 크기가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분산상 농도(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분사속도가 낮은 구간에서 입자형성이 가능 하였고, 노즐 막힘이 나타났다. 특히, 점도에 대한 영향이 커서 저점도(PLGA 10 중량%, 약 3 cp이하) 또는 고점도(약 80 cp 이상)의 분산상에서는 적용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시예 24 및 25: SPG membrane을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
다음의 표 3의 조성으로 미립구들을 제조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담지(실시예 25)할 경우 시험 화합물과 PLGA의 중량비는 표 3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약 1:10으로 칭량하였고,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 10 mL를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dispersed phase)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PLGA는 L/G ratio 50:50 이고, 분자량(M.W.)은 32,000이었다. 연속상(continuous phase)은 0.5%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M.W. 31,000~50,000, degree of hydrolysis 87~89%) 150 mL를 사용하였다.
SPG(Shirasu porous glass) device 및 pore size 20 μm를 갖는 친수성 membrane을 이용하여 에멀전을 제조하였고, 운전압력은 1.3 kPa 내지 2.1 kPa이었다.
[표 3]
Figure pat00005
실험예 3: 미립구 성상 분석
실시예 24 및 25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성상을 주사전자현미경법(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제조된 미립구들의 크기가 20 μm 내지 60 μm 내외로, SPG membrane을 통하여 미립구를 상당히 균일한 입자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연속상에 따른 API 손실량 확인
유기용매(디클로로메탄, DCM)에 일정한 양의 시험 화합물(API)을 녹여 분산상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분산상은 각각의 연속상에 1 mL씩 투입 후 교반하여 연속상으로 추출되어 나오는 API의 양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6
연속상 내에서 에멀젼의 안정화제로 쓰인 폴리비닐알코올(PVA)의 농도가 높을수록 연속상으로 추출된 API의 양이 많았다. 고농도의 PVA가 연속상 내에서 가용화제로 작용하여 API의 용해도를 높였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산성 조건에서 낮은 용해도를 보이는 API의 특성에 따라 PVA 1 중량%에 1N HCl이 첨가된 경우 API의 추출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분산상 적합성 확인
시험 화합물의 낮은 용해도로 인하여 분산상의 작은 온도변화에도 시험 화합물의 석출이 발생함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용매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여 분산상로 사용하기 적절한 용매를 찾고자 하였고, 용해도, 에멀젼의 안정성, 물에대한 용해도, 밀도, 끓는점 및 적합 여부를 확인하여 표 5에 기재하였다.
각각의 용매 (10 ml)에 시험 화합물을 소량 투입 하면서 더 이상 녹지 않는 지점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기존 처방의 분산상에 사용되던 디클로로메탄(DCM)의 경우 약 20.0 mg/ml의 용해도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용매가 그 이상의 용해도를 갖음을 확인하였다.
연속상 (PVA 1 wt %)에 동일량의 유기용매를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들어 주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멀젼의 뭉침/상분리 등을 확인하였다. 디클로로메탄, 뷰틸 아세테이트(BA), 메틸 프로피온에이트(MP) 등은 상당한 시간 동안 에멀젼의 안정성을 유지 함을 확인하였다.
각 용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문헌 등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에멀젼의 경화 과정에서 유기용매의 일부가 수상에 용해된 후 공기 중으로 증발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물에 대한 용해도 및 끓는점(boiling point)를 확인하였다. 또한 형성된 에멀젼의 밀도가 너무 낮을 경우 연속상 표면으로 에멀젼이 떠올라 표면에 고분자 막을 형성 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용매의 밀도를 확인하였다.
미립구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용매인 디클로로메탄(DCM)과 에틸 아세테이트(EA)의 co-solvent ratio에 따른 밀도 및 용해도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분산상의 밀도가 연속상(PVA 수용액)의 밀도보다 낮은 경우 에멀젼이 수상의 표면에서 경화가 일어나 고분자 막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높은 밀도를 갖으며, 시험 화합물의 용해도가 높은 조건의 DCM/EA (9:1) co-solvent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5]
Figure pat00007
실시예 26 내지 29: 미립구의 제조 (PLGA 특성에 따른 영향 확인)
PLGA는 락트산(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공중합체로 두 단량체의 중합비 (L/G ratio)와 분자량 등에 따라 분해 및 약물의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G ratio 및 분자량, 말단기(end group)가 다른 PLGA를 적용하여 시험 화합물 미립구를 제조하였고, PLGA 특성이 약물의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미립구의 제조에는 SPG membrane device를 사용 하였고, 표 6에 따른 조건으로 4 종의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또한, PLGA 특성에 따른 영향을 확인 하고자 분산상 및 연속상 조성, 경화 조건, 공정 조건 등은 최대한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시험 화합물과 PLGA의 중량비는 표 6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약 16.7:83.3로 칭량하였다. PLGA와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의 중량비는 1:10으로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PLGA는 다음의 네가지이다.
a. 5050 DLG 4.5E (L/G ratio 50:50, M.W. 62,000, Ester terminated)
b. 7525 DLG 4A (L/G ratio 75:25, M.W. 51,000, Acid terminated)
c. 7525 DLG 4E (L/G ratio 75:25, M.W. 52,000, Ester terminated)
d. 7525 DLG 8E (L/G ratio 75:25, M.W. 133,000, Ester terminated)
연속상은 2%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M.W. 31,000~50,000, degree of hydrolysis 87~89 %) 150 mL을 사용하였고, 아세트산을 이용해 pH를 3으로 맞췄다. 막유화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고, 이때 압력은 5.0 내지 6.0 kPa이고 회전속도 160 내지 165 rpm에서 약 3시간 동안 분사하였다. 에멀젼을 1차로 35℃에서 1시간, 2차로 25℃에서 15시간 교반하며 용매를 제거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표 6]
Figure pat00008
실험예 6: 미립구 성상 분석
실시예 26 내지 29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성상을 주사전자현미경법(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입도를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입도분포곡선(particle-size distribution, PSD)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로부터 볼 수 있듯이, 실시예 26 내지 29에서 제조된 모든 미립자의 표면이 매끄러웠고 모양이 구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26 내지 29에서 제조된 미립구는 모두 약 40~70 μm의 크기로 span 값이 1.0 이하인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미립구의 in vitro 용출 시험
실시예 26 내지 29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dialysis membrane 안에 넣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1x가 들어있는 tube 안에서 용출을 진행하였다. 미리 정해놓은 날짜에 tube 내 용출액을 수집 및 여과한 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방출된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약 45일 동안 용출을 진행하였으며, 봉입양 대비 용출양의 백분율로 표시하여 누적용출을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락트산의 ratio 및 고유점도(IV) 값이 높은 경우 약물의 방출이 지연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LGA의 말단기(end group)가 ester로 되어있는 경우 acid 보다 방출지연 효과가 있었으며, PLGA 종류와는 관계없이 특정 시점에서 bursting이 발생하는 bimodal phase를 보였다. 최종 용출율이 약 50~70% 내외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험 화합물이 basic한 조건(용출액: PBS 1x, pH 7.4)에서의 안정성 낮은 것이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30 내지 32: 큰 미립구 제조
실시예 26, 28 및 29 보다 큰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미립구의 제조에는 SPG membrane device를 사용하였고, 표 7에 따른 조건으로 3 종의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또한, 입자 사이즈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예 26, 28 및 29와 공정압력을 제외한 다른 조건들(분산상 및 연속상 조성, 경화 조건, 공정 조건 등)은 최대한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시험 화합물과 PLGA의 중량비는 표 7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약 16.7:83.3로 칭량하였다. PLGA와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의 중량비는 1:10으로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PLGA는 다음의 세가지이다.
a. 5050 DLG 4.5E (L/G ratio 50:50, M.W. 62,000, Ester terminated)
b. 7525 DLG 4E (L/G ratio 75:25, M.W. 52,000, Ester terminated)
c. 7525 DLG 8E (L/G ratio 75:25, M.W. 133,000, Ester terminated)
연속상은 2%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M.W. 31,000~50,000, degree of hydrolysis 87~89%) 150 mL을 사용하였고, 아세트산을 이용해 pH를 3으로 맞췄다. 막유화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고, 이때 압력은 0.8 내지 1.0 kPa이고, 회전속도 150 내지 154 rpm에서 약 1시간 동안 분사하였다. 에멀젼을 1차로 35℃에서 1시간, 2차로 25℃에서 15시간 교반하며 용매를 제거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표 7]
Figure pat00009
실험예 8: 미립구 성상 분석
실시예 30 내지 32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성상을 주사전자현미경법(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입도를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입도분포곡선(particle-size distribution, PSD)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로부터 볼 수 있듯이, 실시예 30 내지 32에서 제조된 모든 미립자의 표면이 매끄러웠고 모양이 구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30 내지 32에서 제조된 미립구는 D(0.1) 58 ~ 64 μm, D(0.9) 100 ~ 170 μm 내외이며, span 값은 0.5 ~ 1.2로 넓은 입도 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미립구의 in vitro 용출 시험
실시예 30 내지 32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dialysis membrane 안에 넣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1x가 들어있는 tube 안에서 용출을 진행하였다. 미리 정해놓은 날짜에 tube 내 용출액을 수집 및 여과한 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방출된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약 45일 동안 용출을 진행하였으며, 봉입양 대비 용출양의 백분율로 표시하여 누적용출을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실시예 26, 28 및 29의 in vitro 용출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도 8에 나타내어 사이즈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였다.
미립구의 입자 사이즈가 큰 경우 보다 입자 사이즈가 작은 경우 초기부터 bursting이 일어나기 전 단계까지 약물방출량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나타나며(초기 기울기), 특히 PLGA의 L/G ratio가 50:50인 경우 입자 사이즈가 더 작을 때 bursting 시점이 약 2일 정도 더 빨라졌다. 이는 입자가 작은 경우 같은 질량일 때 표면적이 커서 PLGA입자 표면에 있는 약물들이 더 빠르게 초기에 방출되고, 물에 노출된 PLGA가 많으므로 PLGA가 더 빠르게 가수분해 되어 내부에 있던 약물이 bursting 되어 나오는 시점도 더 빨리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3 내지 36: 미립구의 scale-up 제조
미립구의 제조에는 SPG membrane device를 사용 하였고, 표 8에 따른 조건으로 4 종의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PLGA와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의 중량비는 1:10으로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PLGA는 RG504 (L/G ratio =50/50, MW=38,000~54,000, Ester terminated)이였다. 연속상은 0.5%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M.W. 31,000~50,000, degree of hydrolysis 87~89 %) 5,100 mL을 사용하였다. 막유화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고, 이때 압력은 0.3 내지 1.1 kPa이고 회전속도 180 rpm에서 약 1시간 동안 분사하였다. 에멀젼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며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표 8]
Figure pat00010
실험예 10: 미립구 성상 분석
실시예 33 내지 36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성상을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로부터 볼 수 있듯이, 실시예 33 내지 36에서 제조된 모든 미립자의 모양이 구형임을 확인하였고, 분사 압력이 1.1kPa에서 0.3kPa로 작아짐에 따라 사이즈가 작아지고 균일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1: 미립구 입도 분석
실시예 33 내지 36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입도분포곡선(particle-size distribution, PSD)을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pat00011
실시예 37 및 38: POC용 미립구의 제조
POC(proof of concept) 시험용 미립구의 제조에는 pilot scale의 SPG membrane device를 사용하였고, 표 10에 따른 조건으로 2 종의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시험 화합물과 PLGA의 중량비는 표 10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약 16.7:83.3로 칭량하였다. PLGA와 유기용매(DCM(dichloromethane):EA(ethyl acetate)=9:1)의 중량비는 표 10과 같이 1:10으로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PLGA는 RG504 (L/G ratio =50/50, MW=38,000~54,000, Ester terminated) 및 RG756S (L/G ratio =75/25, MW=76,000~115,000, Ester terminated) 이었다.
연속상은 1%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M.W. 31,000~50,000, degree of hydrolysis 87~89 %) 5,100 mL을 사용하였으며, 아세트산을 이용해 pH를 4로 맞추었다. 막유화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고, 이때 압력은 0.3 kPa이고 회전속도 180 rpm에서 약 1시간 동안 분사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며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표 10]
Figure pat00012
실험예 12: 미립구의 봉입률 및 입도 측정
실시예 37 및 38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봉입률 및 입도를 측정하였다. 봉입률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시험 화합물이 로딩된 미립구 약 30 mg을 칭량하여 무게를 정확히 기록하고 50 mL volumetric flask에 넣었다.
2) 80% 아세토니트릴(MeCN)을 1)의 volumetric flask에 1/3가량넣고 시험 화합물이 로딩된 미립구를 sonication하여 완전히 녹게 하였다.
3) 미립구가 완전히 녹으면 80% MeCN을 50ml 표선까지 맞춰 넣었다.
4) Syringe filter를 이용하여 filtering하여 HPLC를 측정하였다.
5) 측정된 chromatogram에서 시험 화합물의 peak area를 얻고, 이 area를 시험 화합물 standard curve 함수(적절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 용액을 세 농도 이상 만들어 HPLC로 측정하여 x(농도)와 y(peak area) 관계식을 구한다.)의 y값에 대입하고 x에 해당하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mg/ml)를 구하였다.
6) 미립구를 녹인 용액의 부피가 50 mL이므로 5)에서 얻은 농도에 50을 곱하면 미립구에 봉입된 시험 화합물의 양(API amount)이 된다.
7) 6)에서 측정된 시험 화합물의 양을 초기에 넣어준 시험 화합물의 양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봉입률(%)를 구하였다.
측정된 미립구의 봉입률 및 입도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11]
Figure pat00013
실시예 37 및 38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봉입률은 약 8% 정도였다. 실시예 37에서 제조된 미립구는 평균 사이즈 45 μm이고 Span 0.6 정도로 작고 균일하였고, 실시예 38에서 제조된 미립구는 평균 사이즈 60 μm이고 Span 2.1 정도로 실시예 37의 미립구보다 사이즈가 더 크고 더 넓은 분포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3: 미립구의 in vitro 용출 시험 (수직 및 수평 교반 차이)
실시예 37 및 38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dialysis membrane 안에 넣고 PBS 1x가 들어있는 tube 안에서 용출을 진행하였다. 미리 정해놓은 날짜에 tube 내 용출액을 수집 및 여과한 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방출된 약물의 양을 확인하였다. 약 39일 동안 용출을 진행 하였으며, 봉입양 대비 용출양의 백분율로 표시하여 누적용출을 확인하였다.
도 10과 같이 tube를 수평으로 눕혀서 교반하거나 수직으로 세워서 교반하여 교반 방법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Tube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교반하여 실시예 37(수평) 및 실시예 38(수평)의 그래프를 그렸고, tube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교반하여 실시예 37(수직) 및 실시예 38(수직)의 그래프를 그려 비교하여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수직으로 놓고 교반하는 시험법에서 시험 화합물이 조금 더 빨리 방출되었다.
실험예 14: 미립구의 약물동태학(pharmacokinetics, PK) 시험
실시예 38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약물동태학(pharmacokinetics, PK) 시험을 진행하였고, dog 관절강에 30 mg, 100 mg 및 300 mg의 실시예 38의 미립구를 투여한 다음, 4주째에는 같은 양을 한번 더 주사하여 총 8주간 시험 화합물이 관절강 내에 존재하도록 dosing interval을 디자인 하였다. Sampling point 별로 관절활액을 받아 시험 화합물의 관절강 내 농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로부터 볼 수 있듯이, dog 관절강에 30 mg, 100 mg 및 300 mg의 미립구를 투여했을 때, dose가 증가함에 따라 검출되는 시험 화합물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3~4주 일정량이 지속 방출되는 제형임을 확인하였다. 4주째에는 같은 양을 한번 더 주사하였을 때 총 8주간 시험 화합물이 관절강 내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POC용 약물이 봉입되지 않은 미립구 제조
제조에는 pilot scale의 SPG membrane device를 사용하였고, 다음의 조건으로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PLGA와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의 중량비는 1:10으로 넣은 후 교반하여 분산상(disperse phase)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PLGA는 RG756S (L/G ratio =75/25, MW=76,000~115,000, Ester terminated)이었다.
연속상은 1%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M.W. 31,000~50,000, degree of hydrolysis 87~89 %) 5,100 mL을 사용하였다. 막유화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고, 이때 압력은 0.3 kPa이고 회전속도 180 rpm에서 약 1시간 동안 분사하였다. 에멀젼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며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5: 미립구 입도 분석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를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입도분포곡선(particle-size distribution, PSD)을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표 12]
Figure pat00014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는 평균 사이즈 47 μm이고 Span=0.6 정도로 실시예 38에서 제조된 미립구보다 평균사이즈(60 μm)가 작고 분포(Span=2.1)도 더 좁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6: POC(Proof of Concept) 시험
실시예 38에서 제조된 미립구의 POC실험을 진행하였다. Dog에서 효능을 보기 위해, menisectomy operation을 실시했고, 수술 후 1주일 후에는 강제운동을 시키고 수술 2주 후에 POC시료를 투약을 하였다. 실험예 14처럼, 시험 화합물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첫 투약 4주 후 다시 한 번 투약하였다. 그리고 첫 투약 후 8주간 보행평가를 통해 효능을 검증하였다. 비교를 위해 약물이 없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미립구도 같은 방식으로 투약하였다.
표 13와 같은 보행평가 기준으로 8주간 dog의 보행을 관찰하여 점수(score)로 수치화하였고,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표 13]
Figure pat00015
도 13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시험 화합물이 들어있지 않은 비교예 1의 미립구를 투약하면 전혀 효과가 없어 수술한 다리를 거의 바닥에 딛지 못하였다. 비교예 1의 미립구를 투약한 군의 보행평가 점수는 2주에 3점에서 시작하여 8주에는 4점으로 상태가 점점 악화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 화합물이 들어있는 실시예 38의 미립구 30 mg을 투약했을 때는 투약 후 2주간 효능이 없었지만 2주가 지나면서 걷지 못했던 dog들이 잘 걸었고 8주 후에는 보행평가 점수가 1점 정도로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100 mg 및 300 mg을 투약했을 때는 거의 바로 효능이 나왔고, 투여 용량이 클 때 더 빠르고 큰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30)

  1. 활성성분으로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포함하는 미립구를 포함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중량비가 5 내지 20 : 80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중량비가 7 내지 18 : 82 내지 9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40:60 내지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70:30 내지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분자량이 20 내지 500 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분자량이 70 내지 200 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말단기(end group)가 에스테르 또는 산(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말단기가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물, 생리 식염수 또는 인산 완충 식염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세포사멸-매개 질환, 염증 질환, 골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및 파괴성 골 장애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골 관절염의 예방, 치료 또는 통증 감소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14. i) 활성성분으로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분산상을 제조하고;
    ii) 상기 단계 (i)에서 얻은 분산상을 연속상에 투입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며;
    iii) 상기 단계 (ii)에서 얻은 에멀젼에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 경화하여 미립구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중량비가 5 내지 20 : 80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R)-N-((2S,3S)-2-(플루오로메틸)-2-하이드록시-5-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5-이소프로필-3-(이소퀴놀린-1-일)-4,5-디하이드로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중량비가 7 내지 18 : 82 내지 9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40:60 내지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비가 70:30 내지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분자량이 20 내지 500 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분자량이 70 내지 200 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말단기가 에스테르 또는 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말단기가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유기용매가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 염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N-메틸-2-피롤리돈,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틸에틸케톤, 프로필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유기용매가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비가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의 연속상이 폴리비닐알코올(PVA)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의 연속상이 산(acid)을 이용해 pH 3 내지 5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산이 아세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에서 에멀젼의 제조가 균질화기(homogenizer),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또는 막유화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막유화법이 SPG(Shirasu porous glass) 막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10166841A 2020-11-30 2021-11-29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76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625 2020-11-30
KR20200164625 2020-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371A true KR20220076371A (ko) 2022-06-08

Family

ID=8175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841A KR20220076371A (ko) 2020-11-30 2021-11-29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14601A1 (ko)
EP (1) EP4248950A4 (ko)
JP (1) JP2023551508A (ko)
KR (1) KR20220076371A (ko)
CN (1) CN116568282A (ko)
WO (1) WO20221148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382B1 (ko) * 2000-06-28 2003-04-23 한국과학기술원 지속적 약물조절방출이 가능한 생분해성 미립담체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74999B1 (ko) 2005-02-26 2007-11-09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이소옥사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42768A (ko) * 2008-10-17 2010-04-27 동아제약주식회사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CA2743600C (en) * 2008-11-14 2016-11-08 Ewh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Method for preparing microspheres and microspheres produced thereby
TWI813597B (zh) * 2017-11-10 2023-09-01 瑞士商諾華公司 用於關節內施用之延長釋放調配物
JP7442914B2 (ja) * 2019-04-30 2024-03-0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カスパーゼ阻害剤のプロドラッグ
WO2020242235A1 (ko) * 2019-05-31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의 주사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68282A (zh) 2023-08-08
EP4248950A4 (en) 2024-04-10
US20230414601A1 (en) 2023-12-28
WO2022114876A1 (ko) 2022-06-02
JP2023551508A (ja) 2023-12-08
EP4248950A1 (en)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564A (en) Method for producing a microparticle
CA2243201C (en) Process for producing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Herrmann et al. Somatostatin containing biodegradable microspheres prepared by a modified solvent evaporation method based on W/O/W-multiple emulsions
KR101434334B1 (ko) 화학 물질의 마이셀 나노입자
CN113950322B (zh) 制备基于生物相容性聚合物的负载阿哌沙班的微球的方法
CN113891705B (zh) 用于制备负载阿哌沙班的微球的分散相的组合物和由其制备的基于生物相容性聚合物的负载阿哌沙班的微球
JPH08503950A (ja) 徐放性成長ホルモン含有マイクロスフェア
JP2004518708A (ja) 放出性が改良された新規な処方物
JP2012501321A (ja) 溶媒交流蒸発法による徐放性マイクロスフェアの製造方法
AU2010253578A1 (en) A poorly soluble drug containing microsphere with improved bioavailabilit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738127B1 (ko) 약물 함유 서방성 미립자의 제조 방법
WO2020236950A1 (en) Therapeutic microsphere formulations containing charged polymers
JPS63233926A (ja) ペプチド含有マイクロ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法
Xiao et al. The effect of polymer blends on initial release regulation and in vitro-in vivo relationship of peptides loaded PLGA-Hydrogel Microspheres
KR20210100986A (ko) 고밀도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2366226B1 (ko) 캐스파제 저해제 프로드럭을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76371A (ko) 캐스파제 저해제를 함유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702412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pranlukast solid-dispersion with improved initial dissolution rate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230036886A (ko)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서방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JP4918808B2 (ja) 生体吸収性医薬製剤
KR20230052915A (ko) 케타민을 포함하는 미소 구체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KR101985838B1 (ko) N-desalkylquetiapine을 생리활성물질로 포함하는 서방성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171264A (ja) 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850146B (zh) 伏硫西汀自由碱或其药用盐长效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
US20230225993A1 (en) Microsphere formulations comprising ketamin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