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657A -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657A
KR20230036657A KR1020210119447A KR20210119447A KR20230036657A KR 20230036657 A KR20230036657 A KR 20230036657A KR 1020210119447 A KR1020210119447 A KR 1020210119447A KR 20210119447 A KR20210119447 A KR 20210119447A KR 20230036657 A KR20230036657 A KR 20230036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ice
gimbap
carr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늘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늘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늘애
Priority to KR102021011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657A/ko
Publication of KR2023003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나트륨은 줄이면서 김밥에 구수한 풍미와 담백한 맛은 더 하고, 각종 미네랄이 함유된 천일염을 사용하여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김밥의 제조방법은, 도정한지 이틀 내의 쌀로 밥을 짓는 단계; 당근을 채를 썬 후, 채 썬 상기 당근 100 중량부에 대해 식용유 50 내지 60 중량부를 후라이팬에 두르고, 채 썬 상기 당근 100 중량부를 130 내지 180 ℃로 가열한 상기 후라이팬에 넣어 2분 내지 5분 동안 볶는 단계; 180 내지 230 ℃로 가열한 후라이팬에 천일염을 넣고 5분 내지 10분 동안 볶은 후, 1시간 내지 2시간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자연 건조시킨 상기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해 쌀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 180 내지 230 ℃로 가열한 후라이팬에 넣고, 1차로 볶은 천일염과 혼합된 상기 쌀의 겉표면이 갈색이 될 때까지 볶는 단계; 상기 쌀과 함께 혼합하여 재차 볶은 천일염을 2×2 mm 채로 친 후, 채에 남아 있는 상기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을 고루 찧은 후, 다시 상기 채로 치는 단계; 상기 지은 밥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볶은 당근 5 내지 10 중량부 및, 상기 채로 친 후 바닥에 깔린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0.5 내지 2 중량부를 고루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혼합한 것을 김 위에 균일하게 펼친 후,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마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GIMBAP HAVING ANTIOXIDANT ACTIVATIONS AND PREVENTION OF ADULT-DISEASES}
본 발명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나트륨은 줄이면서 김밥에 구수한 풍미와 담백한 맛은 더 하고, 각종 미네랄이 함유된 천일염을 사용하여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밥은 밥과 다양한 음식을 동시에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여 야외나들이나 바쁜 시간대에 식사 대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영양소가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 어린이들의 간식으로도 널리 선호되고 있는 음식이다.
이러한 김밥은 통상, 김을 평평하게 펼친 후, 그 위에 밥을 넓게 펼치고, 펼친 밥 위에 각종 김밥 속 재료들을 얹어서 말아 제조한다. 김밥의 속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음식들로는 어묵, 계란, 햄, 맛살 등 인스턴트 음식과 우엉, 단무지, 당근 등이 사용되며, 이때 김밥 속 재료들의 대부분이 정제염을 사용해 짠맛이 강하고, 고 나트륨군에 속해 고혈압 등의 성인병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며, 칼로리가 높아 섭취시 비만을 포함한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김밥 속 재료의 제조시, 정제염 사용을 최소화하고 대신 각종 미네랄이 함유된 천일염을 사용하여 김밥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김밥에 구수한 풍미와 담백한 맛은 더 하면서 건강의 유지 및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은 도정한지 이틀 내의 쌀로 밥을 짓는 단계; 당근을 채를 썬 후, 채 썬 상기 당근 100 중량부에 대해 식용유 50 내지 60 중량부를 후라이팬에 두르고, 채 썬 상기 당근 100 중량부를 130 내지 180 ℃로 가열한 상기 후라이팬에 넣어 2분 내지 5분 동안 볶는 단계; 180 내지 230 ℃로 가열한 후라이팬에 천일염을 넣고 5분 내지 10분 동안 볶은 후, 1시간 내지 2시간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자연 건조시킨 상기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해 쌀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 180 내지 230 ℃로 가열한 후라이팬에 넣고, 1차로 볶은 천일염과 혼합된 상기 쌀의 겉표면이 갈색이 될 때까지 볶는 단계; 상기 쌀과 함께 혼합하여 재차 볶은 천일염을 2×2 mm 채로 친 후, 채에 남아 있는 상기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을 고루 찧은 후, 다시 상기 채로 치는 단계; 상기 지은 밥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볶은 당근 5 내지 10 중량부 및, 상기 채로 친 후 바닥에 깔린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0.5 내지 2 중량부를 고루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혼합한 것을 김 위에 균일하게 펼친 후, 김밥 속재료를 넣어서 마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은 시금치를 80 내지 130 ℃ 온도로 2분 내지 3분간 데친 후, 시금치 100 중량부에 대해, 천일염 1 내지 3 중량부 및 참기름 5 내지 10 중량부를 넣고 버물려 시금치 속 재료를 준비하고, 상기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마는 단계에서,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혼합한 밥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소정길이로 길게 자른 단무지 3 내지 7 중량부 및, 상기 시금치 속 재료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만다.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은 펼쳐진 김의 길이에 맞게 오이의 양단부를 잘라낸 후, 반을 갈라 오이 속을 파내고, 소정굵기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자른 후,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자른 오이 70 내지 80 중량부 및 천일염 10 내지 20 중량부를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물이 담긴 용기에 상기 자른 오이를 담그고, 담근 오이 위로 상기 천일염을 뿌려 1 시간 내지 2 시간 동안 절이며, 상기 절인 오이를 빼내 물기를 빼내고 냉장고에 2 시간 내지 3 시간 보관해서 지속적으로 물기를 제거한 오이 100 중량부에 대해 참기름 5 내지 10 중량부를 넣어 무치고, 상기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마는 단계에서,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혼합한 밥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소정길이로 길게 자른 단무지 3 내지 7 중량부 및, 상기 참기름에 무친 오이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만다.
본 발명에 따른 김밥 제조방법은, 정제염 사용을 최소화하고 대부분의 김밥 속 재료의 제조시, 각종 미네랄이 함유된 천일염을 사용하여 김밥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을 줄일 수 있고, 김밥에 구수한 풍미와 담백한 맛은 더하면서 건강의 유지 및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밥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제조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밥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제조 순서도로, 본 발명에 따른 김밥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밥 짓는 단계, 김밥용 혼합 밥을 위한 당근 볶는 단계, 천일염 1차 볶음 단계, 1차 볶은 천일염 및 쌀의 혼합물을 볶는 단계, 천일염 및 쌀의 혼합물을 빻아 채로 치는 단계, 김밥용 밥 혼합 단계 및, 김밥을 말아 김밥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밥 짓는 단계는, 종래 밥 짓는 방법으로 지을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정한지 이틀 이내의 쌀로 밥을 짓는다. 쌀은 도정을 하는 순간부터 산패가 시작되기 때문에 도정한 후 시간이 지날수록 영양분을 잃어 탄력과 찰기 및 수분을 모두 잃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정한지 이틀 이내의 쌀로 밥을 지어 탄력과 찰기 및 신선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김밥을 제조하여 김밥의 식감을 향상시키고 영양 흡수율도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김밥 속 재료 중 당근 볶는 단계는, 잘 씻은 당근을 채 칼로 채를 썬 후, 상기 채 썬 당근 100 중량부에 대해 식용유 50 내지 60 중량부를 후라이팬에 두르고, 상기 채 썬 당근 100 중량부를 130 내지 180 ℃로 가열한 중불에서 상기 후라이팬에 넣어 2분 내지 5분 동안 볶는다.
상기 천일염 1차 볶음 단계는, 180 내지 230 ℃의 강불로 달군 후라이팬에 넣고 5분 내지 10분 동안 볶은 후,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켜 천일염의 수분을 제거한다.
1차 볶음 단계를 거친 상기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해 쌀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 180 내지 230 ℃의 강불로 가열한 후라이팬에 넣고, 상기 쌀의 겉표면이 갈색을 띌 때까지 상기 1차로 볶은 천일염과 쌀의 혼합물을 잘 저어 고루 볶는다.
상기 쌀과 함께 혼합하여 재차 볶아 천일염에 구수한 풍미를 더한 것을 2×2 mm 채로 친 후, 채에 남아 있는 상기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을 고루 찧고, 다시 상기 채로 친다. 이와 같이 상기 혼합물을 찧고 다시 채로 치는 단계를 소정횟수 반복하여 입도가 고른 천일염 및 쌀 혼합물을 수득한다.
상기 지은 밥 100 중량부에 대해, 고른 입도의 상기 천일염 및 쌀 혼합물 0.5 내지 2 중량부 및 상기 볶은 당근 5 내지 10 중량부와 고루 섞어 혼합하여 지은 밥에 간을 맞추면서 구수한 풍미와 함께 당근 특유의 맛과 식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저어 혼합한 것을 김 위에 균일하게 펼친 후, 단무지 등의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말아 김밥을 제조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시금치를 80 내지 130 ℃ 약불로 2분 내지 3분간 데친 후, 시금치 100 중량부에 대해, 천일염 1 내지 3 중량부 및 참기름 5 내지 10 중량부를 넣고 버물려 시금치 속 재료를 준비하고, 상기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마는 단계에서,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혼합한 밥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김의 너비 정도로 길게 자른 단무지 3 내지 7 중량부 및, 준비한 상기 시금치 속 재료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김밥 속 재료를 넣어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시금치의 풍부한 영양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김밥에 시금치 고유의 맛을 낼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펼쳐진 김의 너비에 맞게 오이의 양단부를 잘라 낸 후, 반을 갈라 오이 속을 파내고, 소정굵기 즉, 상기 길게 자른 단무지 정도 굵기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자른 후,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자른 오이 70 내지 80 중량부 및 천일염 10 내지 20 중량부를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물이 담긴 용기에 상기 자른 오이를 담그고, 담근 오이 위로 상기 천일염을 뿌려 한 시간 내지 두 시간 동안 절이며, 상기 절인 오이를 빼내 물기를 빼내고, 냉장고에 2 시간 내지 3 시간 보관해서 지속적으로 물기를 제거한 오이 100 중량부에 대해 참기름 5 내지 10 중량부를 넣어 무치고, 상기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마는 단계에서,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혼합한 밥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김의 너비로 길게 자른 단무지 3 내지 7 중량부 및 상기 참기름에 무친 오이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김밥 속 재료를 넣어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시금치 등의 채소가 쉽게 상하는 6월에서 9월의 하절기에 상기 시금치 대신 김밥 속 재료의 주재료로 활용하여 김밥에 오이 특유의 시원하고 아삭한 식감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지은 밥 100 g을 기준으로, 볶은 당근 10 g 및, 채로 친 고른 입도의 쌀 및 천일염 혼합물 15 g을 고루 혼합하여 김 위에 넓게 펼친 후, 길게 자른 단무지 5g, 참기름에 무친 오이 12g, 달걀부침 8g 및 어묵 5g을 얹고, 김을 말아서 김밥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김밥을 비교예의 시판되고 있는 종래 일반 김밥을 관능검사하였다.
관능검사는 식감, 풍미, 맛 및, 기호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대 ~ 50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명씩 총 50명을 선발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식감, 풍미, 맛 및, 기호도로 구분하여 10점 평점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구분 식감 풍미 기호도
비교예 7.1 6.5 7.2 6.38
실시예 9.2 9.0 9.5 9.21
상기 표1은 관능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능검사 수치가 10에 가까울수록 좋음을 의미하고, 수치가 10 보다 낮을수록 나쁨을 의미한다.
상기 표1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식감, 풍미 및, 맛이 종래 판매되고 있는 분식 김밥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김밥이 더욱 증진되었으며, 기호도가 더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 검사자들의 기타 의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은 밥, 당근 및, 쌀 및 천일염 혼합물을 고루 섞어 제조된 김밥 내의 밥이 비교예의 일반 시판되는 분식 김밥보다 구수한 김밥의 풍미는 더 나면서 짠맛은 덜하고 김밥의 전체적인 맛을 더 좋게 만든다고 평가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김밥 제조방법은, 상기 1, 2차 볶음 단계를 통해 천일염에 구수한 풍미를 더 하게 되며, 김밥의 제조과정 중 정제염 사용을 최소화하고, 대부분의 김밥 속 재료의 제조시, 구수한 풍미가 가미되고 각종 미네랄이 함유된 천일염을 사용하여 김밥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을 줄일 수 있고, 김밥에 담백한 맛과 구수한 풍 미는 더 하면서 건강의 유지 및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Claims (3)

  1. 도정한지 이틀 내의 쌀로 밥을 짓는 단계;
    당근을 채를 썬 후, 채 썬 상기 당근 100 중량부에 대해 식용유 50 내지 60 중량부를 후라이팬에 두르고, 채 썬 상기 당근 100 중량부를 130 내지 180 ℃로 가열한 상기 후라이팬에 넣어 2분 내지 5분 동안 볶는 단계;
    180 내지 230 ℃로 가열한 후라이팬에 천일염을 넣고 5분 내지 10분 동안 볶은 후, 1시간 내지 2시간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자연 건조시킨 상기 천일염 100 중량부에 대해 쌀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 180 내지 230 ℃로 가열한 후라이팬에 넣고, 1차로 볶은 천일염과 혼합된 상기 쌀의 겉표면이 갈색이 될 때까지 볶는 단계;
    상기 쌀과 함께 혼합하여 재차 볶은 천일염을 2×2 mm 채로 친 후, 채에 남아 있는 상기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을 고루 찧은 후, 다시 상기 채로 치는 단계;
    상기 지은 밥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볶은 당근 5 내지 10 중량부 및, 상기 채로 친 후 바닥에 깔린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0.5 내지 2 중량부를 고루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혼합한 것을 김 위에 균일하게 펼친 후, 김밥 속재료를 넣어서 마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밥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시금치를 80 내지 130 ℃ 온도로 2분 내지 3분간 데친 후, 시금치 100 중량부에 대해, 천일염 1 내지 3 중량부 및 참기름 5 내지 10 중량부를 넣고 버물려 시금치 속 재료를 준비하고,
    상기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마는 단계에서,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혼합한 밥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소정길이로 길게 자른 단무지 3 내지 7 중량부 및, 상기 시금치 속 재료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김밥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펼쳐진 김의 길이에 맞게 오이의 양단부를 잘라낸 후, 반을 갈라 오이 속을 파내고, 소정굵기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자른 후,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자른 오이 70 내지 80 중량부 및 천일염 10 내지 20 중량부를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물이 담긴 용기에 상기 자른 오이를 담그고, 담근 오이 위로 상기 천일염을 뿌려 1 시간 내지 2 시간 동안 절이며, 상기 절인 오이를 빼내 물기를 빼내고 냉장고에 2 시간 내지 3 시간 보관해서 지속적으로 물기를 제거한 오이 100 중량부에 대해 참기름 5 내지 10 중량부를 넣어 무치고,
    상기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마는 단계에서, 상기 볶은 당근, 쌀 및 천일염의 혼합물 및, 지은 밥을 고루 혼합한 밥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소정길이로 길게 자른 단무지 3 내지 7 중량부 및, 상기 참기름에 무친 오이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김밥 속 재료를 넣어서 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김밥 제조 방법.
KR1020210119447A 2021-09-08 2021-09-08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 KR20230036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47A KR20230036657A (ko) 2021-09-08 2021-09-08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47A KR20230036657A (ko) 2021-09-08 2021-09-08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657A true KR20230036657A (ko) 2023-03-15

Family

ID=8551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447A KR20230036657A (ko) 2021-09-08 2021-09-08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6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778B1 (ko) 돈까스 요리의 제조방법
KR102471834B1 (ko)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2092598B1 (ko) 압착을 통해 두께가 얇아지고 식감이 향상된 닭 가슴살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닭 가슴살 가공식품.
KR20170037790A (ko) 과자 치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5788B1 (ko) 등 절개된 통닭 튀김의 제조방법
US7273631B2 (en) Method of making french fry-style potato products
KR20220002855A (ko) 육전 물냉면 제조방법
KR20200029811A (ko) 전복김밥 제조 방법
KR20170111676A (ko) 딱새우 떡어묵 제조방법
KR102014996B1 (ko) 김밥의 제조방법
KR20230036657A (ko) 항산화 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좋은 김밥 제조 방법
KR20200053094A (ko) 풍미가 뛰어난 짬뽕 및 짜장면의 제조방법
KR20190117156A (ko) 귀리를 이용한 돈가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234113B1 (ko) 동결 건조된 닭고기 튀김의 제조방법
KR102015209B1 (ko) 볶음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갑오징어명란불고기
KR101418803B1 (ko) 메기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메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2008439B1 (ko) 유화제를 사용한 냉동볶음밥의 제조방법
CN111685284A (zh) 一种泡椒卤味食品的制备方法
KR101130678B1 (ko) 대두를 이용한 식물성 탕수육 제조방법
KR102615948B1 (ko) 고기와 야채의 풍미와 식감이 향상된 육개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0700B1 (ko) 깊은 감칠맛을 가진 갈비탕을 제조하는 방법
KR102297758B1 (ko) 바삭한 식감을 가지는 간편 조리 돈가스의 제조방법
US20100015305A1 (en) Turkey seasonings, toppings and bi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Fitriani et al. Analysis Preference between Dried Catfish Noodles and Yellow Pumkin Flour Substitution
KR20190128271A (ko) 단백질이 보완된 가래떡 및 그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