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871A -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871A
KR20230032871A KR1020220081768A KR20220081768A KR20230032871A KR 20230032871 A KR20230032871 A KR 20230032871A KR 1020220081768 A KR1020220081768 A KR 1020220081768A KR 20220081768 A KR20220081768 A KR 20220081768A KR 20230032871 A KR20230032871 A KR 20230032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mponent
component mounting
mounting board
engine room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오츠카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3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과제] 기관실 내의 한정된 공간에 적은 부품점수로 복수의 전장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작업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기관실과, 기관실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제 1 전장품 및 제 2 전장품이 장착되는 전장품 장착 기판을 구비한다. 제 1 전장품은 전장품 장착 기판의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일방에 장착된다. 제 2 전장품은 전장품 장착 기판의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타방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기관실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의 기관실 내에 복수의 컨트롤러를 배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복수의 컨트롤러를 부착판에 고정하고, 부착판을 하우징에 고정해서 컨트롤러 수용 장치를 구성하고, 이 컨트롤러 수용 장치를 기관실 내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4-101660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전장품인 복수의 컨트롤러를 기관실 내에 배치하는 것에 있어서, 부착판 및 하우징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부품점수가 많다. 이 때문에, 소형의 유압 셔블 등, 기관실 내가 특히 좁은 공간인 경우에는, 그 좁게 한정된 공간 내에 복수의 전장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기관실 내의 한정된 공간에 적은 부품점수로 복수의 전장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작업 기계는 기관실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로서, 상기 기관실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제 1 전장품 및 제 2 전장품이 장착되는 전장품 장착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장품은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의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일방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전장품은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의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타방에 장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기관실 내의 한정된 공간에 적은 부품점수로 복수의 전장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유압 셔블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유압 셔블의 기관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기관실 내에 배치되는 전장품 장착 기판을 제 1 전장품의 장착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을 제 2 전장품의 장착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좌측 보닛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상기 유압 셔블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으로부터 커버 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상기 유압 셔블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을 설치한 상태에서의 상기 기관실의 내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경사도이다.
도 10은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상기 기관실의 내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 1 전장품 및 상기 제 2 전장품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에서의 상기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작업 기계〕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1)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와, 작업기(3)와, 상부 선회체(4)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1에 있어서 방향을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우선, 하부 주행체(2)가 직진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그 중 일방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타방측을 「후방」이라고 한다. 도 1에서는 예로서 주행 모터(22)에 대하여 블레이드(23)측을 「전방」으로서 나타낸다. 또한, 전후 방향에 수직한 가로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한다. 이 때, 조종석(41a)에 앉은 오퍼레이터(조작자)로부터 보아서 좌측을 「좌측」이라고 하고, 우측을 「우측」이라고 한다. 또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수직한 중력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고, 중력 방향의 상류측을 「상방」이라고 하고, 하류측을 「하방」이라고 한다.
하부 주행체(2)는 엔진(40)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구동하고, 유압 셔블(1)을 주행시킨다. 하부 주행체(2)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21)와, 좌우 한쌍의 주행 모터(22)를 구비한다. 각 주행 모터(22)는 유압 모터이다. 좌우의 주행 모터(22)가 좌우의 크롤러(21)를 각각 구동함으로써 유압 셔블(1)을 전후진시킬 수 있다. 하부 주행체(2)에는 정지 작업을 행하기 위한 블레이드(23)가 설치된다. 블레이드(23)는 블레이드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블레이드 실린더는 블레이드(23)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유압 실린더이다.
작업기(3)는 엔진(40)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구동하고, 토사 등을 파내는 굴삭 작업을 행한다. 작업기(3)는 붐(31), 암(32), 및 버킷(33)을 구비한다. 붐(31), 암(32), 및 버킷(33)을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굴삭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붐(31)은 붐 실린더(31a)에 의해 회동된다. 붐 실린더(31a)는 기단부가 상부 선회체(4)의 전방부에 지지되어, 신축 가능하게 가동한다. 암(32)은 암 실린더(32a)에 의해 회동된다. 암 실린더(32a)는 기단부가 붐(31)의 선단부에 지지되어, 신축 가능하게 가동한다. 버킷(33)은 버킷 실린더(33a)에 의해 회동된다. 버킷 실린더(33a)는 기단부가 암(32)의 선단부에 지지되어, 신축 가능하게 가동한다. 붐 실린더(31a), 암 실린더(32a), 및 버킷 실린더(33a)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다.
상부 선회체(4)는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부 선회체(4)에는 조종부(41), 선회 프레임(42), 선회 모터(43), 기관실(44) 등이 배치된다. 즉, 유압 셔블(1)은 적어도 기관실(44)을 구비한다. 상부 선회체(4)는 유압 모터인 선회 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선회 베어링을 통해서 선회한다. 상부 선회체(4)의 후방부에는 각 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40) 외에 엔진(40)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각 유압 펌프는 유압 모터(예를 들면, 좌우의 주행 모터(22), 선회 모터(43)), 및 유압 실린더(예를 들면, 블레이드 실린더(23a), 붐 실린더(31a), 암 실린더(32a), 버킷 실린더(33a))에 작동유(압유)를 공급한다. 임의의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어서 구동되는 유압 모터 및 유압 실린더를 총칭하여 유압 액추에이터라고 부른다.
오퍼레이터가 승차하는 조종부(41)에는 조종석(41a)이 배치된다. 조종석(41a)의 주위(특히, 전방, 좌우)에는 조작부(41b)가 배치된다.
조작부(41b)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 레버, 스위치, 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오퍼레이터가 조종석(41a)에 착좌해서 조작부(41b)를 조작함으로써 유압 액추에이터가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 주행체(2)의 주행, 블레이드(23)에 의한 정지 작업, 작업기(3)에 의한 굴삭 작업, 크레인 작업, 상부 선회체(4)의 선회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2는 유압 셔블(1)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상부 선회체(4)의 후방하부에는 카운터 웨이트(45)가 설치된다. 카운터 웨이트(45)는 사이드 프레임(46)과 선회 방향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사이드 프레임(46)은 선회 프레임(42)(도 1 참조)의 좌우의 측부로부터 세워서 위치시킨다. 카운터 웨이트(45) 및 사이드 프레임(46)의 상부에는 보닛(47)이 위치한다. 보닛(47)은 상부 선회체(4)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 보닛(47L) 및 우측 보닛(47R)과, 상부 선회체(4)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후방부 보닛(47B)을 포함한다. 즉, 유압 셔블(1)은 (적어도) 기관실(44)의 측부에 위치하는 보닛(47)(예를 들면, 좌측 보닛(47L))을 구비한다. 각 보닛(47)은 상부 선회체(4)의 프레임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은 상부 선회체(4)의 기관실(44)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기관실(44)은 선회 프레임(42) 및 시트 마운트(48)와, 도 2에서 나타낸 카운터 웨이트(45), 사이드 프레임(46) 및 보닛(47)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구성된다. 선회 프레임(42)은 기관실(44)의 저부에 위치한다. 시트 마운트(48)는 조종석(41a)(도 1 참조)의 시트가 설치되는 기대이며, 선회 프레임(42)의 상방에 위치한다. 즉, 유압 셔블(1)은 기관실(44)의 저부에 위치하는 선회 프레임(42)과, 선회 프레임(42)의 상방에 위치하고, 기관실(44)의 외벽의 일부가 되는 시트 마운트(48)를 구비한다.
기관실(44) 내에는 상기 엔진(40)이 원동기로서 설치된다. 즉, 유압 셔블(1)은 기관실(44) 내에 설치되는 원동기(엔진(40))를 구비한다. 또한, 원동기는 엔진(40)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동 모터여도 좋다. 또한, 원동기는 엔진(40)과 전동 모터의 양방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2. 전장품 장착 기판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관실(44) 내에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이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은 기관실(44)의 측부에 위치하는 좌측 보닛(47L)(도 2 참조)과 마주 보고 배치된다.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는 전장품이 장착된다. 상기 전장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압 셔블(1)의 전체를 제어하는 통합 컨트롤러(통합 ECU), 엔진(4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엔진ECU), 릴레이 등의 전장품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ECU는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이라고 불리는 컨트롤러이다.
여기서는, 각 전장품을 구별하는 목적에서 통합 ECU를 제 1 전장품(101)(도 3 참조)이라고 칭하고, 엔진(ECU)을 제 2 전장품(102)(도 6 참조)이라고 칭한다. 이 경우, 유압 셔블(1)은 적어도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이 장착되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구비한다고 말할 수 있다.
도 4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제 1 전장품(101)의 장착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제 2 전장품(102)의 장착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장품(101)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일방의 면인 표면(100a)에 볼트(101a)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장착된다. 볼트(101a)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설치되는 부착 구멍(100c1)(도 5 참조)에 표면(100a)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이면(100b)측에 위치하는 상기 너트의 내주면에 비틀어 넣어진다.
제 2 전장품(102)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타방의 면인 이면(100b)에 볼트(102a)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장착된다. 볼트(102a)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설치되는 부착 구멍(100c2)(도 5 참조)에 이면(100b)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표면(100a)측에 위치하는 상기 너트의 내주면에 비틀어 넣어진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 1 전장품(101)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이면(100b)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되고, 제 2 전장품(102)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표면(100a)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되어도 좋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장품(101)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표면(100a) 및 이면(100b) 중 어느 일방에 장착되고, 제 2 전장품(102)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표면(100a) 및 이면(100b) 중 어느 타방에 장착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복수의 전장품(제 1 전장품(101), 제 2 전장품(102))이 1개의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한꺼번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기관실(44) 내가, 예를 들면 좁은 공간이었다고 해도, 1개의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사용하는 적은 부품점수로, 그 좁게 한정된 공간 내에 복수의 전장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사용하는 구성은, 특히 기관실(44)의 내부 공간이 좁은 소형의 작업 기계인 유압 셔블(1)에 있어서 그 기관실(44) 내에 복수의 전장품을 배치하는 경우에 매우 유효해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장착된 제 1 전장품(101)은 기관실(44) 내에서 기관실(44)의 측부에 위치하는 좌측 보닛(47L)(도 2 참조)과 전장품 장착 기판(10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장착된 제 2 전장품(102)이 기관실(44) 내에서 좌측 보닛(47L)과 전장품 장착 기판(100)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 중 어느 일방은 기관실(44) 내에서 기관실(44)의 측부에 위치하는 좌측 보닛(47L)과 전장품 장착 기판(100) 사이에 위치한다고 말할 수 있다.
도 7은 좌측 보닛(47L)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유압 셔블(1)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으로부터 커버 부재(104)(상세는 후술)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유압 셔블(1)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제 1 전장품(101)이 기관실(44) 내에서 좌측 보닛(47L)과 전장품 장착 기판(1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좌측 보닛(47L)을 분리하고(도 7 참조), 계속해서 노출된 커버 부재(104)를 분리함으로써 작업자(메인터넌스자)는 제 1 전장품(101)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제 2 전장품(102)이 기관실(44) 내에서 좌측 보닛(47L)과 전장품 장착 기판(1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공정에 의해 작업자는 제 2 전장품(102)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좌측 보닛(47L)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즉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기관실(44)로부터 인출하지 않아도(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기관실(44)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좌측 보닛(47L)측에 위치하고 있었던 전장품의 점검, 확인 등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장품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장품 장착 기판(100)이 기관실(44) 내에서 좌측 보닛(47L)과 마주 보고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이 기관실(44) 내에서 수직의 배치가 된다. 즉,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표면(100a) 및 이면(100b)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해진다. 이러한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수직 배치에 의해 기관실(44) 내에서 좌측 보닛(47L)의 근방의 세로 길이가 좁은 공간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즉, 기관실(44) 내의 상기 좁은 공간에 전장품 장착 기판(100)과 함께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장품(101)이 통합 ECU이며, 제 2 전장품(102)이 엔진 ECU이다. 그리고,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대하여 좌측 보닛(47L)측에 제 1 전장품(101)이 위치하고,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대하여 좌측 보닛(47L)과는 반대측에 제 2 전장품(102)이 위치한다. 즉,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 중,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대하여 좌측 보닛(47L)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전장품은 원동기로서의 엔진(4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엔진 ECU)이다.
이 배치에서는, 기관실(44)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동기로서의 엔진(40)과, 그 엔진(4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인 제 2 전장품(102)의 거리가, 예를 들면 제 2 전장품(102)이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대하여 좌측 보닛(47L)측에 위치하는 구성과 비교해서 짧아진다. 이것에 의해, 제 2 전장품(102)으로부터 엔진(40)을 향해서 인출되는 배선(하니스)을 짧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서 배선의 권회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 전장품 장착 기판의 부착 방법〕
도 4∼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관통 구멍(100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는, 관통 구멍(100h)이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3개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 구멍(100h)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9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설치한 상태에서의 기관실(44)의 내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기관실(44)의 내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마운트(48)의 기관실(44)측에는 브래킷(49)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49)은 기관실(44)의 상부벽 및 전방벽을 구성하는 시트 마운트(48)의 요철을 따르는 형상(예를 들면, L자형)으로 형성되고, 시트 마운트(48)의 이면측(시트의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49)에 있어서,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관통 구멍(100h)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통 구멍(49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을 표리에 장착한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관통 구멍(100h)과, 브래킷(49)의 삽통 구멍(49a)을 겹치고, 체결 부재로서의 볼트(50)(도 9 참조)를 관통 구멍(100h) 및 삽통 구멍(49a)에 순서대로 삽입하고, 삽통 구멍(49a)의 출구에 위치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의 내주면에 비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전장품 장착 기판(100)이 브래킷(49)을 통해서 시트 마운트(48)의 이면측에 고정된다. 그 결과, 전장품 장착 기판(100)은 선회 프레임(42)(도 3 참조)과 시트 마운트(48) 사이에서 시트 마운트(48) 근처에 위치한다. 즉, 전장품 장착 기판(100)이 기관실(44) 내에서 상부에 위치한다.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분리할 때에는 볼트(50)를 느슨하게 해서 너트와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시트 마운트(48)(브래킷(49))로부터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우천 시의 우수 및 세차 시의 세정수(이하, 우수 등이라고 칭한다)가 기관실(44)의 외벽의 간극(예를 들면, 좌측 보닛(47L)과 후방부 보닛(47B)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기관실(44)의 내부에 침입하면, 우수 등은 기관실(44)의 내부를 하방으로 흘러내린다. 상기와 같이, 전장품 장착 기판(100)이 기관실(44) 내에서 시트 마운트(48) 근처에 위치하는 구성, 즉 전장품 장착 기판(100)이 기관실(44) 내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에서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기관실(44) 내에(예를 들면, 측방으로부터) 들어가는 우수 등이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장착된 복수의 전장품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우수 등에 의해 복수의 전장품이 손상(고장)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마운트(48)에 있어서의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고정 개소는 시트 마운트(48)에 있어서, 기관실(44)의 상부벽을 구성하는 부분만이어도 좋고, 기관실(44)의 전방벽을 구성하는 부분만이어도 좋다. 즉, 전장품 장착 기판(100)은 기관실(44) 내에서 상방으로부터 지지되어도 좋고, 전방으로부터(가로로부터) 지지되어도 좋고, 상방 및 전방의 양방으로부터 지지되어도 좋다.
어느 쪽이라도, 전장품 장착 기판(100)이 시트 마운트(48)에 있어서, 기관실(44)의 천장의 일부를 구성하는 수평부(48a)(도 9, 도 10 참조)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기관실(44) 내에 우수 등이 침입하여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접촉되었다고 해도, 우수 등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따라 낙하한다. 이 때문에,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우수 등이 고이는 것을 억제하여 우수 등에 의해 복수의 전장품이 손상될 우려를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셔블(1)은 시트 마운트(48)에 고정되는 브래킷(49)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장품 장착 기판(100)은 브래킷(49)에 대하여(볼트(50) 및 너트를 사용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전장품 장착 기판(100)이 브래킷(49)을 통해서 시트 마운트(48)에 고정되기 때문에 시트 마운트(48)의 요철 형상에 의하지 않고,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시트 마운트(48)의 이면측(기관실(44)측)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작업자는 좌측 보닛(47L)을 분리하면, 브래킷(49)에 대한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고정을 해제하여,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기관실(44) 내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 중,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대하여 좌측 보닛(47L)으로부터 보다 먼측에 위치하고 있었던 전장품(예를 들면, 제 2 전장품(102))에 대하여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기 전장품에 대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작업자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기관실(44) 내로부터 인출한 후, 타방의 전장품(제 1 전장품(101))에 대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도 당연 가능하다.
〔4. 전장품의 냉각 효율을 가미한 구성에 대해서〕
도 4∼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품 장착 기판(100)은 기판 개구부(100p)를 갖는다. 기판 개구부(100p)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서 형성되는 개구부이다. 기판 개구부(100p)는 평면으로 볼 때에, 예를 들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사각형 이외의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은 각각 기판 개구부(100p)의 일부를 덮도록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장착되어 있다. 즉, 기판 개구부(100p)의 일부는 제 1 전장품(101)과 제 2 전장품(102) 사이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서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장착된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의 양방에 대하여, 기판 개구부(100p)를 통해서 전장품의 장착측(전장품 장착 기판(100)측)으로부터 기관실(44) 내의 공기(예를 들면, 냉각풍)를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의 양방에서 발생된 열을 기판 개구부(100p)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의 냉각 효율(방열 효율)을 양방 모두 높일 수 있다.
도 11은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장품(102)은 필러(103)를 통해서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장착된다. 필러(103)는, 예를 들면 너트로 구성된다. 제 2 전장품(102)을 부착하기 위한 볼트(102a)가 필러(103)에 삽입되고,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부착 구멍(100c2)(도 5 참조)에 끼워 넣어지고,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대하여 제 1 전장품(101)측에 위치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의 내주면에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제 2 전장품(102)이 필러(103)를 통해서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고정된다.
또한, 제 1 전장품(101)이 필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장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전장품(101)을 부착하기 위한 볼트(101a)(도 4 참조)가 상기 필러에 삽입되어,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부착 구멍(100c1)(도 5 참조)에 끼워 넣어지고,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대하여 제 2 전장품(102)측에 위치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의 내주면에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제 1 전장품(101)이 상기 필러를 통해서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 중 적어도 일방이 필러(예를 들면, 필러(103))를 통해서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장착되어도 좋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과 전장품(예를 들면, 제 2 전장품(102)) 사이에 필러(예를 들면, 필러(103))의 높이만큼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극을 통해서 상기 전장품에 냉각풍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품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간극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장품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필러의 높이가 전장품 장착 기판(100)과 전장품의 간극을 규정하고, 필러의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간극이 커지고, 그 결과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필러를 구성하는 너트로서는 임의의 높이의 너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한 냉각 효율의 향상의 관점에서는 너트로서는 두꺼운 너트(하이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103)와 전장품(예를 들면, 제 2 전장품(102)) 사이에는 방진 고무 등의 방진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압 셔블(1)에서 발생하고, 전장품 장착 부재(100) 및 필러(103)를 통해서 전장품에 전해지는 진동을 방진 부재에서 흡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진동에 기인하는 전장품의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5. 커버 부재에 대해서〕
도 12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커버 부재(104)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에서의 커버 부재(104)의 사시도이다. 커버 부재(104)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대하여 제 1 전장품(101)을 덮음으로써 제 1 전장품(101)을 보호한다.
커버 부재(104)는 스페이서(105)를 사용해서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부착된다. 스페이서(105)는, 예를 들면 중공의 부재이다. 커버 부재(104)에는,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구멍부(104a)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도, 커버 부재(104)의 상기 구멍부(104a)의 위치와 대응해서 구멍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를 커버 부재(104)의 구멍부(104a), 스페이서(105) 및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구멍부에 순서대로 삽입하고,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제 2 전장품(102)측에 위치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의 내주면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커버 부재(104)가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부착된다.
또한,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는 제 2 전장품(102)을 덮는 별도의 커버 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대하여 제 1 전장품(101) 및 제 2 전장품(102) 중 적어도 일방을 개별적으로 덮는 커버 부재(예를 들면, 커버 부재(104))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고 말할 수 있다. 이하, 제 1 전장품(101)을 덮는 커버 부재(104)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커버 부재(104)의 구성은 제 2 전장품(102)을 덮는 커버 부재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커버 부재(104)는 제 1 평판부(111)와, 제 2 평판부(112)를 갖는다. 제 1 평판부(111) 및 제 2 평판부(112)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평판부(111)는 제 2 평판부(112)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제 1 평판부(111) 및 제 2 평판부(112)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과 대향해서 위치한다.
제 1 평판부(111)는 상단부(111a) 및 측단부(111b)를 갖는다. 상단부(111a)및 측단부(111b)는 측벽(113)과 연결되어 있다. 측벽(113)에 있어서의 제 1 평판부(111)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전장품 장착 기판(100)과 접촉 가능하다.
제 2 평판부(112)는 하단부(112a) 및 측단부(112b)를 갖는다. 단, 하단부(112a) 및 측단부(112b)에는 상기한 제 1 평판부(111)의 측벽(113)에 상당하는 측벽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104)를 전장품 장착 기판(101)에 부착했을 때, 제 2 평판부(112)의 하단부(112a) 및 측단부(112b)와 전장품 장착 기판(100) 사이에는 제 1 평판부(111)의 측벽(113)의 높이(제 1 평판부(111)와 전장품 장착 기판(100)의 대향 방향의 높이)에 상당하는 간극(S)(도 12 참조)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평판부(112)의 측단부(112b)에는 제 1 평판부(111)의 측벽(113)에 상당하는 측벽이 형성되어서, 측벽(113)과 연결되어도 좋다. 이 경우, 커버 부재(104)를 전장품 장착 기판(101)에 부착했을 때에, 제 2 평판부(112)의 하단부(112a)와 전장품 장착 기판(100) 사이에 제 1 평판부(111)의 측벽(113)의 높이에 상당하는 간극(S)이 형성된다.
어느 쪽이라도, 커버 부재(104)는 간극(S)을 개재해서 전장품 장착 기판(100)과 대향하는 하단부(112a)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4)의 상기 구성에서는 우수 등이 기관실(44) 내에 침입한 경우라도, 그 우수 등은 커버 부재(104)의 하단부(112a)와 전장품 장착 기판(100) 사이의 간극(S)을 통해서 하방으로 흘러나온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104)의 내부에 우수 등이 고여서 전장품(예를 들면, 제 1 전장품(101))이 손상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전장품을 우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04)로 덮여진 전장품에 대하여, 간극(S)을 통해서 냉각풍을 접촉시키거나, 전장품에서 발생한 열을 간극(S)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장품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6. 기타〕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관실(44) 내에서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수직으로 배치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수평으로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라도, 복수의 전장품을 1개의 전장품 장착 기판(100)에 한꺼번에 장착해서 기관실(44) 내에 배치할 수 있는 점에 변함은 없다. 이 때문에, 1개의 전장품 장착 기판(100)을 사용하는 적은 부품점수로 복수의 전장품을 기관실(44)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고 하는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기계로서, 건설 기계인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작업 기계는 유압 셔블(1)에 한정되지 않고, 휠 로더 등의 다른 건설기계여도 좋고, 콤바인, 트랙터 등의 농업 기계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확장 또는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건설 기계, 농업 기계 등의 작업 기계에 이용 가능하다.
1: 유압 셔블(작업 기계) 40: 엔진(원동기)
42: 선회 프레임 44: 기관실
48: 시트 마운트 48a: 수평부
49: 브래킷 74L: 좌측 보닛(보닛)
100: 전장품 장착 기판 100a: 표면
100b: 이면 100p: 기판 개구부
101: 제 1 전장품 102: 제 2 전장품
103: 필러 104: 커버 부재
112a: 하단부 S: 간극

Claims (9)

  1. 기관실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로서,
    상기 기관실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제 1 전장품 및 제 2 전장품이 장착되는 전장품 장착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장품은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의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일방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전장품은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의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타방에 장착되는 작업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실의 측부에 위치하는 보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은 상기 보닛과 마주 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장품 및 상기 제 2 전장품 중 어느 일방은 상기 기관실 내에서 상기 보닛과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작업 기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실의 저부에 위치하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기관실의 외벽의 일부가 되는 시트 마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은 상기 선회 프레임과 상기 시트 마운트 사이에서 상기 시트 마운트 근처에 위치하는 작업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이 상기 시트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기관실의 천장의 일부를 구성하는 수평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작업 기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마운트의 상기 기관실측에 고정되는 브래킷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은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작업 기계.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에 대하여 상기 제 1 전장품 및 상기 제 2 전장품 중 적어도 일방을 개별적으로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간극을 개재해서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과 대향하는 하단부를 갖는 작업 기계.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실 내에 설치되는 원동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장품 및 상기 제 2 전장품 중,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에 대하여 상기 보닛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전장품은 상기 원동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인 작업 기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장품 및 상기 제 2 전장품 중 적어도 일방은 필러를 통해서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에 장착되는 작업 기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장착 기판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기판 개구부를 갖고,
    상기 기판 개구부의 일부는 상기 제 1 전장품과 상기 제 2 전장품 사이에 위치하는 작업 기계.
KR1020220081768A 2021-08-30 2022-07-04 작업 기계 KR20230032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39577A JP2023033717A (ja) 2021-08-30 2021-08-30 作業機械
JPJP-P-2021-139577 2021-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871A true KR20230032871A (ko) 2023-03-07

Family

ID=8293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768A KR20230032871A (ko) 2021-08-30 2022-07-04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66865A1 (ko)
EP (1) EP4141175A1 (ko)
JP (1) JP2023033717A (ko)
KR (1) KR20230032871A (ko)
CN (1) CN1157264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660A (ja) 2012-11-19 2014-06-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コントローラの収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7542B2 (ja) * 2004-02-04 2008-03-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367669B2 (ja) * 2010-09-29 2013-12-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の電気接続箱
JP5865384B2 (ja) * 2011-10-05 2016-02-17 日立建機株式会社 小型の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660A (ja) 2012-11-19 2014-06-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コントローラの収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26422A (zh) 2023-03-03
JP2023033717A (ja) 2023-03-13
EP4141175A1 (en) 2023-03-01
US20230066865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055B2 (en) Electric work vehicle and base thereof
JP5814577B2 (ja) 電動式作業車両及びそのバッテリ保持構造
KR20130095625A (ko) 전동식 건설 기계
KR101307287B1 (ko) 유압 셔블
KR20130100995A (ko) 전동 작업 차량
WO2016038905A1 (ja) 油圧ショベル
KR101036859B1 (ko) 운전실의 바닥구조
WO2020054092A1 (ja) 電動式建設機械
JP5254821B2 (ja) 旋回作業機
JP6829635B2 (ja) バッテリ取付構造
KR20230032871A (ko) 작업 기계
JP4870590B2 (ja) 作業車両
JP4611844B2 (ja) 建設機械
JP4143704B2 (ja) 掘削作業車の冷房装置配置構造
JP3693480B2 (ja) 油圧ショベルの上部旋回体
KR20230118831A (ko) 건설 기계
JP4576592B2 (ja) 作業機の配線・配管取付構造
JP5168180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操作パターン切換弁の取付構造
JP4033386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ハンドレール構造
JP3458877B2 (ja) 建設機械のフロアプレート構造
JP5238058B2 (ja) 作業車両
WO2023188979A1 (ja) 電動式建設機械
JP7487241B2 (ja) 作業用車両
JP2013189765A (ja) 旋回作業車両
JPH11269930A (ja) 旋回作業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