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952A -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952A
KR20230028952A KR1020210110861A KR20210110861A KR20230028952A KR 20230028952 A KR20230028952 A KR 20230028952A KR 1020210110861 A KR1020210110861 A KR 1020210110861A KR 20210110861 A KR20210110861 A KR 20210110861A KR 20230028952 A KR20230028952 A KR 20230028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ing
dust
unit
support
continuous un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589B1 (ko
Inventor
김영식
강성묵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구비되는 저장고로부터 원료를 이송하는 하역기본체와, 하역기본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저장고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DUST SCATTER PREVENTING APPARATUS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의 하역 작업 시 저장고의 외부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는 연속식 하역기의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연속적으로 부착된 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선박의 외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3741호(2019.12.31 공개, 발명의 명칭: 분사 장치 및 처리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료의 하역 작업 시 저장고의 외부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는: 선박에 구비되는 저장고로부터 원료를 이송하는 하역기본체; 상기 하역기본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저장고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하역기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부는 양단이 이웃하는 상기 지지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분진의 비산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산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처짐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짐방지부는,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내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선박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와이어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장력을 부가하는 웨이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는 저장고로부터 비산되는 분진의 이동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비산방지부에 의해 원료의 하역 작업 중 분진의 비산에 따른 작업 효율의 저하와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는 지지부가 저장고의 면적 및 원료의 높이에 대응되어 설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유동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의 설치 및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1)는 하역기본체(100), 프레임부(200), 비산방지부(300), 처짐방지부(400)를 포함한다.
하역기본체(100)는 부두에 정박된 선박(10)의 저장고(11)로부터 석탄이나 철광석 등과 같은 원료(12)를 연속적으로 하역 및 이송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저장고(11)는 선박(10)에 원료(12)가 저장될 수 있도록 선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저장고(11)는 내부로 하역기본체(100)가 출입될 수 있도록 상측면이 선박(10)의 바닥면을 관통한다. 즉, 저장고(11)는 상측면이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된다.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단면 형상 및 단면적의 크기는 선박(10) 또는 하역기본체(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역기본체(100)는 주행부(110), 붐(120), 포스트부(130), 굴삭부(140)를 포함한다.
주행부(110)는 부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술하는 붐(120), 포스트부(130), 굴삭부(14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주행부(110)는 부두를 따라 이동되며 하역기본체(100)의 전체적인 위치를 가변시킨다.
붐(120)은 주행부(110)의 상측으로부터 선박(10)의 상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다. 붐(12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굴삭부(140)로부터 이송되는 원료(12)를 지상으로 전달하는 벨트컨베이어 등이 붐(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포스트부(130)는 붐(120)으로부터 선박(10)의 저장고(11)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포스트부(130)는 붐(12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포스트부(130)는 저장고(11)에 저장되는 원료(12)의 높이에 따라 승강 이동되며 후술하는 굴삭부(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포스트부(130)는 내부에서 굴삭부(140)가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게 형성된다. 포스트부(130)는 저장고(11)로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면적이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굴삭부(140)는 포스트부(130)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저장고(11)에 저장된 원료(12)를 포스트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부(140)는 포스트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인부와, 체인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버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버켓부는 체인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저장고(11)에 저장된 원료(12)를 포스트부(130)의 상측, 보다 구체적으로 붐(120)에 설치된 벨트컨베이어로 운반한다.
프레임부(200)는 하역기본체(100)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술하는 비산방지부(300) 및 처짐방지부(400)를 지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0)는 베이스부(210), 지지부(220),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0)는 하역기본체(100)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지지부(22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10)는 고정부(211), 힌지부(212)를 포함한다.
고정부(211)는 중공형의 링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주면이 포스트부(130)의 외주면과 마주보게 설치된다. 고정부(211)는 용접 등에 의해 포스트부(1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고, 볼팅 결합 등을 통해 포스트부(13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211)가 포스트부(130)에 고정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지지부(220)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힌지부(212)는 고정부(211)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지지부(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212)는 일측이 고정부(21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막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212)는 일측이 고정부(211)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고, 볼팅 결합 등을 통해 고정부(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힌지부(212)는 타측이 고정부(211) 또는 포스트부(1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된다. 힌지부(212)의 타측 단부는 핀 결합, 힌지 결합 등에 의해 지지부(220)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힌지부(21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힌지부(212)는 고정부(2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지지부(220)는 포스트부(130)에 대한 설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일측이 베이스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20)는 대략 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상단부가 핀 결합 또는 힌지 결합 등에 의해 힌지부(212)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부(220)의 하단부는 선박(10)의 바닥면,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주변부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지지부(220)의 하단부는 선박(10)의 바닥면에 대한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등 선박(10)의 바닥면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220)는 포스트부(130)의 승강 이동에 의해 베이스부(210)의 설치 위치와 선박(10)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선박(10)의 바닥면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막대가 지지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삽입 가능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지지부(2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베이스부(2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20)는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지지부(220)의 하단부는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모서리 부근의 바닥면에 개별적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지지부(220)는 후술하는 비산방지부(300)를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시켜 비산방지부(300)가 저장고(11)의 상부를 빈틈 없이 덮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지지부(220)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지지부(2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30)는 유압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압 실린더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포스트부(130)의 외측면과 지지부(22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 경우, 구동부(230)는 용접 등에 의해 포스트부(130)의 외측면과 지지부(220)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고, 볼팅 결합 등에 의해 포스트부(130)의 외측면과 지지부(22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23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구동부(230)는 복수개의 지지부(220)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구동부(230)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며 복수개의 지지부(220)를 포스트부(130)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구동부(230)는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며 복수개의 지지부(220)를 포스트부(130)를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부(230)는 복수개의 지지부(220)의 하단부가 이루는 면적을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230)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에 의해 신축 동작이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조절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지지부(220)의 회전이 완료된 후, 자체적인 유압에 의해 지지부(22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230)는 지지부(220)가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해 회전된 각도를 벗어나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산방지부(300)는 프레임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저장고(11)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방지부(300)는 복수개의 비산방지부재(310)를 포함한다.
비산방지부재(310)는 양단이 이웃하는 지지부(220)에 각각 고정되고, 분진의 비산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즉, 비산방지부재(310)는 이웃하는 지지부(220)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하역기본체(100)의 하역 작업 시 저장고(11)로부터 비산되는 분진의 통과를 차단한다. 비산방지부재(3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지지부(22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방지부재(310)는 지지부(220)의 각도 변경 및 길이 조절에 대응되어 형태가 자유로이 가변될 수 있도록 두께가 얇은 천 또는 막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산방지부재(310)는 복수개의 지지부(220)가 포스트부(130)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따라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좁은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산방지부재(310)는 양단이 고리 등에 의해 이웃하는 지지부(22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이웃하는 지지부(220)의 측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비산방지부재(310)는 이웃하는 지지부(220)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빈틈없이 가로막을 수 있도록 상하 양단부가 각각 지지부(2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된다. 비산방지부재(310)는 지지부(220)의 각도 변경 및 길이 조절 시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무, 라텍스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처짐방지부(400)는 비산방지부재(3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지지부(220)의 각도 및 길이 조절 시 또는 비산방지부재(310)의 자중에 의해 비산방지부재(310)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짐방지부(400)는 와이어부(410), 웨이트부(420), 롤러부(430)를 포함한다.
와이어부(4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비산방지부재(310)의 내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410)는 길이 방향이 비산방지부재(310)의 중심선과 나란하게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와이어부(410)는 이웃하는 지지부(220)로부터 동일한 길이로 이격된 지점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410)는 비산방지부재(3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되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부(410)는 일측 단부(도 2 기준 하단부)가 선박(1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 경우, 와이어부(410)는 선박(10)에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볼팅 등에 의해 선박(10)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부(4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비산방지부재(310)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롤러부(430)는 베이스부(210)에 고정되고, 와이어부(4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430)는 고정부(21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430)는 외측면이 와이어부(410)의 타측에 구름 접촉된다. 이에 따라 롤러부(430)는 와이어부(410)의 타측이 후술하는 웨이트부(420)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와이어부(41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부(410)의 타측 단부(도 2 기준 상단부)는 롤러부(430)로부터 하방으로 꺾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롤러부(430)는 와이어부(410)가 비산방지부재(310)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연장되는 형태를 유지하며 후술하는 웨이트부(42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와이어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롤러부(4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와이어부(410)를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웨이트부(420)는 와이어부(410)의 타측에 연결되고, 자중에 의해 와이어부(410)에 장력을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부(420)는 롤러부(430)로부터 하방으로 꺽인 와이어부(410)의 타측 단부(도 2 기준 상단부)에 연결되는 무게추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웨이트부(420)의 무게는 와이어부(410)의 재질 등에 따라 와이어부(410)에 장력을 부가하여 와이어부(410)가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무게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웨이트부(4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와이어부(410)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1)의 설치 및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의 설치 및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선박(10)이 부두에 정박됨에 따라 포스트부(130)는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을 통해 저장고(11)의 내부로 삽입된다.
포스트부(130)는 저장고(11)에 저장된 원료(12)의 높이에 따라 승강 이동되며 굴삭부(140)의 높이를 조절한다.
포스트부(130)의 승강 이동이 완료된 후, 베이스부(210)로부터 선박(10)의 바닥면의 높이와,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면적에 따라 지지부(220)의 회전 각도 및 연장 길이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230)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며 복수개의 지지부(220)를 포스트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부(230)는 복수개의 지지부(220)의 하단부가 이루는 면적이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면적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지점까지 복수개의 지지부(220)를 회전시킨다.
복수개의 지지부(220)의 회전이 완료된 후, 구동부(230)는 자체적인 유압에 의해 지지부(220)의 설치 각도를 유지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지지부(220)의 길이를 하방으로 연장시킨다.
지지부(220)가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연장됨에 따라, 지지부(220)의 하단부는 선박(10)의 바닥면,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모서리 부근의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지지부(220)의 회전 및 길이 조절 작동에 의해 비산방지부재(310)는 형태가 가변되며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의 상부 공간을 덮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비산방지부재(310)는 이웃하는 지지부(220)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을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지지부(220)의 외부 및 내부 공간의 연통을 차단한다.
비산방지부재(310)의 내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와이어부(410)에는 와이어부(4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웨이트부(420)의 자중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지는 장력이 가해진다.
와이어부(410)의 타측은 이러한 장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고, 와이어부(4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팽팽하게 펴진 상태로 유지된다.
와이어부(410)는 비산방지부재(310)의 내측면 중앙부에 접해 비산방지부재(310)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비산방지부재(310)가 바람 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굴삭부(140)가 저장고(11)에 저장된 원료(12)를 이송함에 따라 분진이 발생되고, 분진은 저장고(11)의 개구된 측을 통해 저장고(11)의 외부로 비산된다.
저장고(11)의 외부로 비산된 분진은 비산방지부재(310)의 내측면에 가로막혀 지지부(220) 외부로의 통과가 차단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10 : 선박
11 : 저장고 12 : 원료
100 : 하역기본체 110 : 주행부
120 : 붐 130 : 포스트부
140 : 굴삭부 200 : 프레임부
210 : 베이스부 211 : 고정부
212 : 힌지부 220 : 지지부
230 : 구동부 300 : 비산방지부
310 : 비산방지부재 400 : 처짐방지부
410 : 와이어부 420 : 웨이트부
430 : 롤러부

Claims (7)

  1. 선박에 구비되는 저장고로부터 원료를 이송하는 하역기본체;
    상기 하역기본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저장고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하역기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는 양단이 이웃하는 상기 지지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분진의 비산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산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처짐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부는,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내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선박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와이어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장력을 부가하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KR1020210110861A 2021-08-23 2021-08-23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KR102617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61A KR102617589B1 (ko) 2021-08-23 2021-08-23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61A KR102617589B1 (ko) 2021-08-23 2021-08-23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952A true KR20230028952A (ko) 2023-03-03
KR102617589B1 KR102617589B1 (ko) 2023-12-22

Family

ID=8551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861A KR102617589B1 (ko) 2021-08-23 2021-08-23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38U (ja) * 1993-07-02 1995-02-07 正志 吉岡 コンベヤ落下堆積物のカバー装置
KR100373610B1 (ko) * 2001-03-06 2003-02-26 백윤강 자동천막식 곡물입출고시스템
KR20110047038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517056B1 (ko) * 2014-04-29 2015-05-18 현대로템 주식회사 스태커의 분진누출방지장치
JP2016016914A (ja) * 2014-07-04 2016-02-01 三井造船株式会社 グラブバケット式アンロー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38U (ja) * 1993-07-02 1995-02-07 正志 吉岡 コンベヤ落下堆積物のカバー装置
KR100373610B1 (ko) * 2001-03-06 2003-02-26 백윤강 자동천막식 곡물입출고시스템
KR20110047038A (ko) * 2009-10-29 2011-05-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517056B1 (ko) * 2014-04-29 2015-05-18 현대로템 주식회사 스태커의 분진누출방지장치
JP2016016914A (ja) * 2014-07-04 2016-02-01 三井造船株式会社 グラブバケット式アンロ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589B1 (ko)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0654B (fi) Laivan purkauslaitteeseen kuuluvassa purkaussuulakkeessa olevan pystyk uljettimen tuenta ja ohjaus
KR20230028952A (ko) 연속식하역기용 분진 비산 장치
US10689198B2 (en) Conveyor apparatus
US5667350A (en) Bulk ship unloader
KR102241236B1 (ko) 링크식 스크레이퍼 리크레이머
JP2018167995A (ja) コンベヤ装置
KR102133116B1 (ko) 로딩슈트장치
JP7136742B2 (ja) コンベ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地下躯体の施工システム並びに地下躯体の施工方法
JPH0460887B2 (ko)
JP2001122444A (ja) 連続アンローダ
JP5839551B2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及びベルトコンベア装置の伸縮方法
KR100833003B1 (ko) 편중이 방지된 리크레이머의 붐 벨트 컨베이어 웨이트장치
KR101167128B1 (ko) 연속식 적재물 하역장치
KR20200062853A (ko) 이동 슈트 장치
JPS6260707A (ja) 垂直コンベヤ
JP2830775B2 (ja) 連続アンローダ
KR101958446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498901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0940713B1 (ko) 언로더의 원형호퍼 게이트장치
JP3513551B2 (ja) アンローダ
JP2948276B2 (ja) コンベア装置
JP2922153B2 (ja) 垂直コンベア装置及び掘削土搬出方法
JP2922152B2 (ja) 垂直コンベア装置及び掘削土搬出方法
JPH06321495A (ja) 搬送装置
RU1819836C (ru) Крутонаклон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