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799A - 디지털 배터리 격막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배터리 격막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799A
KR20230028799A KR1020237003046A KR20237003046A KR20230028799A KR 20230028799 A KR20230028799 A KR 20230028799A KR 1020237003046 A KR1020237003046 A KR 1020237003046A KR 20237003046 A KR20237003046 A KR 20237003046A KR 20230028799 A KR20230028799 A KR 20230028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battery diaphragm
digital battery
resistance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스 청
지아위안 황
팅 구
팡보 허
치안치안 리우
Original Assignee
주하이 에너지 뉴 머티리얼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 에너지 뉴 머티리얼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주하이 에너지 뉴 머티리얼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4Tensile str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7Ionic condu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은 기판 필름, 및 기판 필름의 적어도 일 표면에 코팅된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의 두께는 3 내지 10 μm이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4.70 mS·cm-1이다. 창조적 프로세스를 통해 일종의 더 가늘고, 더 안전하고, 저항이 더 작고, 공극률 및 투기성이 더 좋고, 내열 성능이 더 좋은 배터리 격막을 획득하였다. 종래의 초박형 격막에 존재하는 불안전, 높은 저항, 낮은 공극률, 열악한 투기성, 및 열악한 내열 성능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배터리 격막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격막 생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일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양극판, 음극판, 격리막 및 전해질 재료라는 4가지 핵심 재료로 구성된다. 리튬 배터리 구조에 있어서, 격막은 핵심적인 내층(inner layer) 구성요소 중 하나로, 격리막의 주된 작용은 배터리의 양극, 음극을 격리하여, 양극이 접촉하여 단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리튬 이온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 성능은 배터리 수명, 사용 안전성, 방전율, 배터리 내부 저항, 공극률, 흡액율 및 배터리 용량의 장단점을 직접적으로 결정하여, 배터리의 종합 성능을 제고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배터리 격막의 두께는 배터리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우리가 연구해야 할 주요 부분이기도 하다.
디지털 제품이 업그레이드 교체됨에 따라, 격막 시장 요구는 초박형의 격막을 요구하는 경향이 심화됨과 동시에, 초박형 격막은 내열 성능, 수축율 등 방면의 성능도 더 향상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종의 내열 성능이 양호하고, 이온 전도율이 높은 초박형 디지털 배터리 격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기술방안은:
일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은, 기판 필름, 및 기판 필름의 적어도 일 표면에 코팅된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의 두께는 3 내지 10 μm이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4.70 mS·cm-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 대비, 본 발명의 적극적 효과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은 시중의 격막 대비 더 얇은 두께를 갖고, 점용 공간이 작으며, 더 양호한 내열성을 구비하여, 고온에서 더 낮은 열수축율을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고, 격막이 고온 수축으로 인해 펑크(puncture)가 발생하여 배터리 내부 단락 등 위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면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기술방안은:
S1: 상기 유기 및 무기 폴리머, 분산제, 바인더를 취하여 교반 혼합하여 완성된 슬러리를 얻고, 준비해 둠;
S2: 완성된 슬러리를 T1 온도에서 기판 필름 표면에 코팅하여 격막 제품을 얻고, 코팅 연신 속도차는 0.1 % 내지 10 %이고; 이어서 되감기를 수행하되, 되감기 온도는 T2이고, 코팅 시 감기(reel in) 및 풀기(reel out) 장력은 1 내지 20 N이고; 최종적으로 슬리팅이 수행되고, 슬리팅 릴링 장력은 0.5 내지 30 N이고, 접촉 압력은 0.01 내지 0.2 N이고: 슬리팅 완료 후, 디지털 배터리 격막을 얻는다.
종래기술 대비, 본 발명의 적극적 효과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채용하여 획득한 디지털 배터리 격막은 종래의 시중의 격막보다 더 얇고, 격막 공극률 및 투기성을 개선한 것 외에도, 배터리 임피던스 및 격막 자체 저항을 낮추는 데 기여하였고, 배터리의 이온 전도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켰고, 나아가 배터리의 용량 및 속도 성능, 그리고 배터리 수명을 제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구조도이다.
도면에서의 부호는:
1은 기판 필름
2는 폴리머 코팅층.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제공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디지털 배터리 격막은 기판 필름(1) 및 기판 필름(1)의 일 표면에 코팅된 폴리머 코팅층(2)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제조:
S1: 유기 및 무기 폴리머 질량 분율 99 %, 분산제 질량 분율 0.5 %, 바인더 질량 분율 0.5 %을 취하고; 800rm의 속도의 속도로, 1시간 교반하고, 입경이 2nm인 완성된 슬러리를 얻고, 준비해 둠;
S2: 완성된 슬러리를 T1(50˚C)에서 기판 필름 표면에 코팅하여 격막 제품을 얻고, 코팅 연신 속도차는 5 %이고, 50 ˚C에서 건조시키고; 바로 이어서 T2(75 ˚C)의 되감기 온도 및 릴링 장력 10 N 하에서 되감기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슬리팅을 수행하고, 슬리팅 릴링 장력은 0.5 N이고, 접촉 압력은 0.01 N이고, 슬리팅 완료 후, 본 발명의 완성된 디지털 배터리 격막을 얻었다.
시험 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의 완성된 디지털 배터리 격막 두께는 7 μm이고; 투기율은 200s/100cc이고, 공극률은 30 %보다 작거나 같고, 200 ˚C에서 열수축율은 8%보다 크거나 같고, 격막 자체 저항은 30 Ω보다 크거나 같고, 저항은 100 Ω보다 크거나 같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1.70 mS·cm-1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배터리 격막을 제조하였고, 차이점은:
단계 S1에서 완성된 슬러리를 PE 기판 필름 표면에 코팅하여 격막 제품을 얻었고;
단계 S2에서 슬리팅 릴 인(reel in) 장력은 10 N이다.
시험 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의 완성된 디지털 배터리 격막 두께는 7 μm이고; 투기율은 200s/100cc이고, 공극률은 30 내지 60 %이고, 200 ˚C에서 열수축율은 3%보다 작거나 같고, 격막 자체 저항은 0.1 내지 30 Ω이고, 배터리 저항은 10 내지 100 Ω이고, 이온 전도율은 2.10 내지 4.70 mS·cm-1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를 수행하고, 차이점은: 단계 S2에서 슬리팅 릴 인 장력은 30 N인데, 실시예 1에서는 0.5 N이다.
시험 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의 완성된 디지털 배터리 격막 두께는 7 μm이고; 투기율은 200s/100cc이고, 획득된 코팅막 공극률은 30 %보다 작거나 같고, 200 ˚C에서 열수축율은 8%보다 크거나 같고, 격막 자체 저항은 30 Ω보다 크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0 Ω보다 크거나 같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1.70 mS·cm-1이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를 수행하고, 차이점은:
단계 S2에서 코팅 연신 속도차는 10 %이고, 접촉 압력은 0.1 N이다.
시험 테스트를 통해, 격막 두께는 3 μm이고; 투기율은 300s/100cc이고, 공극률은 30 %보다 작거나 같고, 200 ˚C에서, 열수축율은 8%보다 크거나 같고, 격막 자체 저항은 30 Ω보다 크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0 Ω보다 크거나 같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1.70 mS·cm-1이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를 수행하고, 차이점은:
단계 S1에서 분사기는 700 rpm의 교반 속도로, 0.01 시간 교반하고, 입경이 0.1 nm인 슬러리를 얻었다.
단계 S2에서, T1(70 ˚C)의 코팅 온도에서 코팅을 수행하고, 코팅 연신 속도차는 0.1 %이고, 릴링 장력은 20 N이고, T2(70 ˚C)에서 되감기 되었다.
시험 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의 완성된 디지털 배터리 격막 두께는 10 μm이고; 투기율은 80s/100cc이고, 공극률은 30 %보다 작거나 같고, 200 ˚C에서 열수축율은 8%보다 크거나 같고, 격막 자체 저항은 30 Ω보다 크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0 Ω보다 크거나 같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1.70 mS·cm-1이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를 수행하고, 차이점은:
단계 S1에서 유기 및 무기 폴리머, 분산제, 바인더를 코팅기에서 1300 rpm의 교반 속도로, 7시간 동안 교반하여, 입경이 10 nm인 슬러리를 얻었고;
단계 S2에서, T1(60 ˚C)의 코팅 온도, 코팅 연신 속도차는 6 %인 완제품 슬러리를 PE 기판 필름에 코팅하고; 코팅 시 릴링 장력은 1 N이고, 바로 이어서 되감기를 수행하되, T2(100 ˚C)의 되감기 온도에서; 다시 슬리팅을 수행하고, 슬리팅 릴링 장력은 5 N이고, 접촉 압력은 0.2 N이다.
시험 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의 완성된 디지털 배터리 격막 두께는 6 μm이고; 투기율은 20s/100cc이고, 공극률은 30 내지 60 %이고, 200 ˚C에서 열수축율은 3%보다 작거나 같고, 격막 자체 저항은 0.1 내지 30 Ω이고, 배터리 저항은 10 내지 100 Ω이고, 이온 전도율은 2.10 내지 4.70 mS·cm-1이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를 수행하고, 차이점은:
단계 S2에서 코팅 연신 속도차 4 %로 코팅을 수행하고, 슬리팅 릴링 장력은 15 N이고;
시험 테스트를 통해, 본 발명의 완성된 디지털 배터리 격막 두께는 8 μm이고; 투기율은 200s/100cc이고, 코팅막 공극률은 30 내지 60s/100cc이고, 200 ˚C에서, 격막의 열수축율은 3%보다 작거나 같고, 격막 자체 저항은 0.1 내지 30 Ω 범위 내이고, 배터리 저항은 10 내지 100 Ω 이고, 이온 전도율은 2.10 내지 4.70 mS·cm-1이다.
표 1은 본 발명의 부동(不同) 슬리팅 장력 조건에서 제조한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 성능, 자체 저항 및 임피던스 테스트, 공극률 및 이온 전도율 데이터 결과이다.
표 2는 본 발명의 부동(不同) 코팅 연신 속도차 조건에서 제조한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 성능 테스트, 자체 저항 및 임피던스 테스트, 공극률 및 이온 전도율 데이터 결과이다.
표 3은 본 발명의 부동(不同) 격막 두께 조건에서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 성능 테스트, 자체 저항 및 임피던스 테스트, 공극률 및 이온 전도율 데이터 결과이다.
표 4는 본 발명의 부동(不同) 투기율 조건에서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 성능 테스트, 자체 및 임피던스 테스트, 공극률 및 이온 전도율 데이터 결과이다.

항목
슬리팅 장력 0.5N
디지털 배터리 격막
슬리팅 장력 10N
디지털 배터리 격막
슬리팅 장력 30N
디지털 배터리 격막
MD 열수축 (200 ˚C & 1h) ≥ 8% ≤ 3% ≥ 8%
TD 열수축 (200 ˚C & 1h) ≥ 8% ≤ 3% ≥ 8%
자체 저항 (Ω)
배터리 저항 (Ω)
공극률 (s/100cc)
이온 전도율 / mS·cm-1
≥ 30
≥ 100
≤ 30
0.70 내지 1.70
0.1 내지 30
10 내지 100
30 내지 60
2.10 내지 4.70
≥ 30
≥ 100
≤ 30
0.70 내지 1.70

항목
코팅 연신 속도차가 0.1 %인 디지털 배터리 격막 코팅 연신 속도차가 5 %인 디지털 배터리 격막 코팅 연신 속도차가 10 %인 디지털 배터리 격막
MD 열수축 (200 ˚C & 1h) ≥ 8% ≤ 3% ≥ 8%
TD 열수축 (200 ˚C & 1h) ≥ 8% ≤ 3% ≥ 8%
자체 저항 (Ω)
배터리 저항 (Ω)
공극률 (s/100cc)
이온 전도율 / mS·cm-1
≥ 30
≥ 100
≤ 30
0.70 내지 1.70
0.1 내지 30
10 내지 100
30 내지 60
2.10 내지 4.70
≥ 30
≥ 100
≤ 30
0.70 내지 1.70

항목
두께 3 μm
디지털 배터리 격막
두께 7 μm
디지털 배터리 격막
두께 10 μm
디지털 배터리 격막
MD 열수축 (200 ˚C & 1h) ≥ 8% ≤ 3% ≥ 8%
TD 열수축 (200 ˚C & 1h) ≥ 8% ≤ 3% ≥ 8%
자체 저항 (Ω)
배터리 저항 (Ω)
공극률 (s/100cc)
이온 전도율 / mS·cm-1
≥ 30
≥ 100
≤ 30
0.70 내지 1.70
0.1 내지 30
10 내지 100
30 내지 60
2.10 내지 4.70
≥ 30
≥ 100
≤ 30
0.70 내지 1.70

항목
투기율 80 s/100cc
디지털 배터리 격막
투기율 200 s/100cc 디지털 배터리 격막 투기율 300s/100cc 디지털 배터리 격막
MD 열수축 (200 ˚C & 1h) ≥ 8% ≤ 3% ≥ 8%
TD 열수축 (200 ˚C & 1h) ≥ 8% ≤ 3% ≥ 8%
자체 저항 (Ω)
배터리 저항 (Ω)
공극률 (s/100cc)
이온 전도율 / mS·cm-1
≥ 30
≥ 100
≤ 30
0.70 내지 1.70
0.1 내지 30
10 내지 100
30 내지 60
2.10 내지 4.70
≥ 30
≥ 100
≤ 30
0.70 내지 1.70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배터리 임피던스 및 자체 저항 테스트, 공극률 및 이온 전도율 데이터 결과로부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은 부동(不同)한 슬리팅 장력에서 부동한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는데, 슬리팅 장력이 0.5 N 및 30 N인 경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은 8 %보다 크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0 Ω보다 크거나 같고, 격막 자체 저항은 30 Ω보다 크거나 같고, 공극률은 30 %보다 작거나 같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1.70 mS·cm-1이고; 슬리팅 장력이 10 N인 경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은 3 %보다 작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 내지 100 Ω이고, 자체 저항은 0.1 내지 30 Ω 이고, 공극률은 30 내지 60 %이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1.70 mS·cm-1이고;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슬리팅 장력이 0.5 내지 30 N인 경우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 성능은 양호하고; 여기에서 슬리팅 장력이 10 N 조건에서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저항 안전성, 절연 및 내열 성능은 더 양호하고, 더 낮은 임피던스 및 더 높은 이온 전도율을 구비하여, 격막이 고온에서 열수축 또는 필름 훼손 현상이 발생하고, 양극 및 음극이 직접 접촉하여 배터리 내부 단락을 야기하고, 안전성 문제를 유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면할 수 있어, 매우 큰 발전 가능성을 가진다.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배터리 임피던스 및 자체 저항 테스트, 공극률 및 이온 전도율 데이터 결과로부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은 부동(不同)한 슬리팅 장력에서 부동한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는데, 코팅 연신 속도차가 0.1 % 및 10 %인 경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은 8 %보다 크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0 Ω보다 크거나 같고, 격막 자체 저항은 30 Ω보다 크거나 같고, 공극률은 30 %보다 작거나 같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1.70 mS·cm-1이고; 코팅 연신 속도차가 5 %인 경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은 3 %보다 작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 내지 100 Ω이고, 격막 자체 저항은 0.1 내지 30 Ω이고, 공극률은 30 내지 60%이고, 이온 전도율은 2.10 내지 4.70 mS·cm-1이고;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코팅 연신 속도차가 0.1 % 내지 10 %인 경우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 성능은 양호하고; 여기에서 코팅 연신 속도차가 5 %인 조건에서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저항 안전성, 절연 및 내열 성능은 더 양호하고, 더 낮은 임피던스 및 더 높은 이온 전도율을 구비하여, 격막이 고온에서 열수축 또는 필름 훼손 현상이 발생하고, 양극 및 음극이 직접 접촉하여 배터리 내부 단락을 야기하고, 안전성 문제를 유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면할 수 있어, 매우 큰 발전 가능성을 가진다.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배터리 임피던스 및 자체 저항 테스트, 공극률, 투기성 및 이온 전도율 데이터 결과로부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은 부동(不同)한 슬리팅 장력에서 부동한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는데, 격막 두께가 3 μm 및 10 μm인 경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은 8 %보다 크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0 Ω보다 크거나 같고, 자체 저항은 30 Ω보다 크거나 같고, 공극률은 30 %보다 작거나 같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1.70 mS·cm-1이고; 코팅 두께가 7 μm인 경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은 3 %보다 작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 내지 100 Ω이고, 격막 자체 저항은 0.1 내지 30 Ω이고, 공극률은 30 내지 60%이고, 이온 전도율은 2.10 내지 4.70 mS·cm-1이고;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격막 두께가 3 내지 10 μm인 경우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 성능은 양호하고; 여기에서 격막 두께가 7 μm인 조건에서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저항 안전성, 절연 및 내열 성능은 더 양호하고, 더 낮은 임피던스 및 더 높은 이온 전도율을 구비하여, 격막이 고온에서 열수축 또는 필름 훼손 현상이 발생하고, 양극 및 음극이 직접 접촉하여 배터리 내부 단락을 야기하고, 안전성 문제를 유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면할 수 있어, 매우 큰 발전 가능성을 가진다.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배터리 임피던스 및 자체 저항 테스트, 공극률 및 이온 전도율 데이터 결과로부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은 부동(不同)한 투기율에서 부동한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는데, 격막 투기율이 80 s/100cc 및 300 s/100cc인 경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은 8 %보다 크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0 Ω보다 크거나 같고, 자체 저항은 30 Ω보다 크거나 같고, 공극률은 30 %보다 작거나 같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1.70 mS·cm-1이고; 투기율이 200 s/100cc인 경우,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열수축율은 3 %보다 크거나 같고, 배터리 저항은 10 내지 100 Ω이고, 격막 자체 저항은 0.1 내지 30 Ω이고, 공극률은 30 내지 60%이고, 이온 전도율은 2.10 내지 4.70 mS·cm-1이고;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투기율이 80-300 s/100cc인 경우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 성능은 양호하고; 여기에서 투기율이 200 s/100cc인 조건에서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저항 안전성, 절연 및 내열 성능은 더 양호하고, 더 낮은 임피던스 및 더 높은 이온 전도율을 구비하여, 격막이 고온에서 열수축 또는 필름 훼손 현상이 발생하고, 양극 및 음극이 직접 접촉하여 배터리 내부 단락을 야기하고, 안전성 문제를 유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면할 수 있어, 매우 큰 발전 가능성을 가진다.
이상의 서술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에 불과한 것으로, 짚어두어야 할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약간의 개선 및 각색을 가할 수 있고, 이러한 개선 및 각색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로 간주된다는 것이다.

Claims (7)

  1. 디지털 배터리 격막에 있어서,
    기판 필름, 및 기판 필름의 적어도 일 표면에 코팅된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의 두께는 3 내지 10 μm이고, 이온 전도율은 0.70 내지 4.70 mS·cm-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배터리 격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 투기율은 80 내지 300 s/100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배터리 격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6 내지 8 μm이고, 이온 전도율은 2.10 내지 4.70 mS·cm-1이고, 상기 격막은 200 ˚C에서의 열수축률이 3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배터리 격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 본체의 자체 저항은 0.1 내지 30 Ω이고, 상기 격막의 공극률은 30 내지 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배터리 격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코팅층에 있어서 각 원료의 질량 분율은: 유기 및 무기 폴리머: 98 % 내지 99.8 %, 분산제: 0.1 % ~ 1 %, 바인더: 0.1 %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배터리 격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배터리 격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S1: 상기 유기 및 무기 폴리머, 분산제, 바인더를 취하여 교반 혼합하여 완성된 슬러리를 얻고, 준비해 둠;
    S2: 완성된 슬러리를 T1 온도에서 기판 필름 표면에 코팅하여 격막 제품을 얻고, 코팅 연신 속도차는 0.1 % 내지 10 %이고; 이어서 되감기를 수행하되, 되감기 온도는 T2이고, 코팅 시 릴링(reeling) 장력은 1 내지 20 N이고; 최종적으로 슬리팅이 수행되고, 슬리팅 릴링 장력은 0.5 내지 30 N이고, 접촉 압력은 0.01 내지 0.2 N이고: 슬리팅 완료 후, 디지털 배터리 격막을 얻음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S1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및 무기 폴리머, 분산제, 바인더는 700 내지 1300 rpm의 속도로, 0.01 내지 7 시간 교반하여, 입경 0.1 내지 10 nm인 완성된 슬러리를 얻고; 단계 2에서 T1은 50 내지 70 ˚C이고, T2는 70 내지 100 ˚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237003046A 2020-06-29 2021-03-11 디지털 배터리 격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28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09605.6 2020-06-29
CN202010609605.6A CN111769243B (zh) 2020-06-29 2020-06-29 一种数码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PCT/CN2021/080285 WO2022001174A1 (zh) 2020-06-29 2021-03-11 一种数码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799A true KR20230028799A (ko) 2023-03-02

Family

ID=7272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046A KR20230028799A (ko) 2020-06-29 2021-03-11 디지털 배터리 격막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99423A1 (ko)
EP (1) EP4175033A1 (ko)
JP (1) JP2023530910A (ko)
KR (1) KR20230028799A (ko)
CN (1) CN111769243B (ko)
WO (1) WO2022001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9243B (zh) * 2020-06-29 2021-03-19 珠海恩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数码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N117239355B (zh) * 2023-11-14 2024-04-0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和用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8872B2 (ja) * 2009-03-06 2014-08-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用樹脂シートの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CN104183867B (zh) * 2014-08-12 2018-06-19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一种单离子导体纳米颗粒增强锂电池隔膜或聚合物电解质的制备方法和应用
CN106784542B (zh) * 2017-02-13 2019-08-06 河北金力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多种涂层的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N109817865B (zh) * 2018-12-19 2022-10-21 航天科工(长沙)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复合隔膜及其制备方法
CN110571395A (zh) * 2019-08-30 2019-12-13 瑞浦能源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N111244374A (zh) * 2019-12-25 2020-06-05 武汉中兴创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结构改进的涂层隔膜及其制备方法
CN111769243B (zh) * 2020-06-29 2021-03-19 珠海恩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数码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69243A (zh) 2020-10-13
CN111769243B (zh) 2021-03-19
EP4175033A1 (en) 2023-05-03
JP2023530910A (ja) 2023-07-20
WO2022001174A1 (zh) 2022-01-06
US20230299423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28799A (ko) 디지털 배터리 격막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44672A1 (zh) 隔膜、隔膜卷、电芯以及动力锂电池
CN111653712B (zh) 一种电化学装置隔离膜及其制备方法
Li et al. A porous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P (VDF-HFP) prepared by a simple phase separation process
WO2020134763A1 (zh) 一种高离子导通性电池隔膜的制备方法及含有该隔膜的锂离子电池
CN111403734B (zh) 锂金属稳定的有机-无机复合膜、制备、在抑制锂枝晶生长中的应用
WO2014072789A2 (zh) 一种聚合物多孔膜及其制备方法和在凝胶聚合物电解质中的应用
CN103137945A (zh) 锂离子电池极片的制备方法及表面处理装置
CN108511679A (zh) 一种提高安全性能的极片及其生产装置、制备方法
CN110635172A (zh) 一种多层共挤制备凝胶电解质膜的方法
KR20010014161A (ko) 고체 전해질 이차 전지
KR20190079544A (ko)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200021435A (ko)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WO2023000734A1 (zh) 一种锂电池隔板
CN204289580U (zh) 一种无纺布高分子材料复合膜结构
CN112838189A (zh) 一种改善锂离子电池高电压体系热滥用的极片及其制备方法
CN108682774A (zh) 隔膜及其制备方法、锂电池
CN104505483B (zh) 一种无纺布高分子材料复合隔膜以及应用此隔膜的锂离子电池
EP3968428A1 (en)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DE102020204790A1 (de) Poröse Schicht einer Sekundärbatterie mit nicht-wässrigem Elektrolyt
CN113054238A (zh) 一种复合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CN108288725B (zh) 一种耐高温柔性电池的制备方法
Wang et al. Ion transport regulation of polyimide separator for safe and durable Li-metal battery
CN109256515A (zh) 一种隔膜结构、使用该隔膜结构的锂电芯以及锂电池
CN108390015B (zh) 一种柔性电池的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