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733A -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733A
KR20230027733A KR1020210109857A KR20210109857A KR20230027733A KR 20230027733 A KR20230027733 A KR 20230027733A KR 1020210109857 A KR1020210109857 A KR 1020210109857A KR 20210109857 A KR20210109857 A KR 20210109857A KR 20230027733 A KR20230027733 A KR 2023002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lanetary
carrier
shift control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058B1 (ko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05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403Synchronisation before shi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0Hydraulic or pneumatic motors or related fluid control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장치는, 구동륜에 연결된 캐리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 제1 모터에 연결된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 제1 모터 측에 연결된 제1 변속장치; 제1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 구동부; 유성부의 제3 변속장치를 구동시키는 유성부 액추에이터; 및 상위장치로부터 유성부 변속명령이 입력되면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와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로부터 각각 캐리어 회전속도와 선기어 회전속도를 입력받은 후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유성부의 싱크로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키고, 제1 모터 구동부를 통해 제1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시켜 캐리어와 유성부의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되면 제1 변속장치를 통해 제1 모터의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킨 후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CONTROL APPARATUS FOR SHIFTING POWER TRAIN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모터를 이용한 이액슬(e-axle) 구조의 차량 구동장치에서 변속제어 시 모터를 이용하여 상대 회전속도 차이를 감쇠시킨 후 기계식 싱크로나이저 링을 이용하여 최종 변속하는 복합 변속을 통해 유성부의 싱크로 성능 및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의 파워트레인은 주행 조건에 따라 적절한 회전력을 얻기 위해 유압 등을 이용하여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다단으로 변속하는 장치이다.
자동변속기의 파워트레인은 엔진의 동력을 입력받아 적절한 회전력으로 가변시켜 출력하는 유성기어세트와, 유성기어세트의 각 회전요소를 고정 또는 회전 저지하거나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하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 등의 체결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4속이나 5속을 구현하는 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6속은 물론 7속 구현이 가능한 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기존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기는 두 개의 모터-제너레이터(Motor-Generator)(이하, MG1,MG2라 함)와, 엔진을 유성기어에 연결함으로써 MG1과 MG2를 제어하여 무단 변속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이다.
즉, 변속기의 유성기어에 선기어 축에는 MG1, 캐리어 축에는 엔진, 링기어 축에는 MG2를 연결한다. 또한, 링기어 축에서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차량의 구동축까지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구성한다.
따라서 MG1은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여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조절하고, MG2는 엔진의 동력을 보조하거나 회생제동시 운동에너지를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클러치 없이 부드러운 엔진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고 마찰 브레이크를 최소화하여 회생제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6564호(2010.10.07. 공고, 하이브리드 차량용 듀얼모드 파워트레인 및 그 작동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듀얼 모터를 이용한 이액슬(e-axle) 구조의 파워트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110)와 제2 모터(120) 및 유성기어(160) 세트로 구성된 구조를 가지며, 제1 모터(110)와 제2 모터(120)의 동력은 유성기어(160) 세트를 통하여 트랜스퍼 기어(190)로 전달되어 액슬의 하이포이드 기어(200)에 전달되고, 제1 모터(110)와 제2 모터(120) 측에 각각 변속장치(130, 140)가 포함된 2개의 선택기어가 위치하고, 유성기어(160) 세트에도 링기어를 고정시키고 캐리어(180)와 일체화시켜 기어비를 변화시키기 위한 변속장치(150)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모터(110)와 제2 모터(120)를 이용한 변속은 모터의 관성이 크기 때문에 모터의 rpm 조정을 통하여 회전속도 차이를 동기화시켜 변속하는 도그 클러치 방식의 비동기(Non-synchronizer) 변속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유성부 액추에이터(210)를 통한 변속은 기계식 싱크로나이저 링을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동기시키고 변속한다.
이와 같이 유성부 액추에이터(210)를 통한 변속 시 회전속도의 동기를 위하여 싱크로나이저 링이 속도를 변화시켜야하는 회전 관성체(선기어(170)와 연결되어 있는 축과 그 축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 및 각 기어와 기어링되는 기어의 회전관성)의 관성 총합이 전장 및 기어 사이즈의 형향으로 거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동기시간의 증대로 변속시간이 증대되어 주행동력 손실 및 가속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로나이저 링도 치명적인 내구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를 이용한 전자식 동기방식만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기계식 싱크로에 비해 변속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시스템 상 치합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약간의 속도차로 인하여 크래쉬 소음 및 스플라인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모터를 이용한 이액슬(e-axle) 구조의 차량 구동장치에서 변속제어 시 모터를 이용하여 상대 회전속도 차이를 감쇠시킨 후 기계식 싱크로나이저 링을 이용하여 최종 변속하는 복합 변속을 통해 유성부의 싱크로 성능 및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장치는, 구동륜에 연결된 캐리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 제1 모터에 연결된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 제1 모터 측에 연결된 제1 변속장치; 제1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 구동부; 유성부의 제3 변속장치를 구동시키는 유성부 액추에이터; 및 상위장치로부터 유성부 변속명령이 입력되면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와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로부터 각각 캐리어 회전속도와 선기어 회전속도를 입력받은 후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유성부의 싱크로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키고, 제1 모터 구동부를 통해 제1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시켜 캐리어와 유성부의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되면 제1 변속장치를 통해 제1 모터의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킨 후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변속 제어부는, 제1 모터에 의해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유성기어의 링기어와 변속타겟과의 속도차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변속타겟은, 캐리어에 연결된 기어 클러치 또는 케이스에 고정된 기어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변속 제어부는, 유성부 액추에이터에 공압을 인가하여 제3 변속장치의 싱크로나이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방법은, 변속 제어부가 상위장치로부터 유성부의 변속 명령을 입력받으면 구동륜에 연결된 캐리어의 속도와 제1 모터에 연결된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입력받는 단계; 변속 제어부가 캐리어와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입력받은 후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유성부의 싱크로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키는 단계; 변속 제어부가 제1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시켜 캐리어와 유성부의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시키는 단계; 변속 제어부가 캐리어와 선기어의 속도차가 목표범위 이내인 경우 제1 변속장치를 통해 제1 모터의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키는 단계; 및 변속 제어부가 제1 모터를 싱크로 중립시킨 후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시키는 단계는, 변속 제어부가 제1 모터에 의해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유성기어의 링기어와 변속타겟과의 속도차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변속타겟은, 캐리어에 연결된 기어 클러치 또는 케이스에 고정된 기어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는, 변속 제어부가 유성부 액추에이터에 공압을 인가하여 제3 변속장치의 싱크로나이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듀얼 모터를 이용한 이액슬(e-axle) 구조의 차량 구동장치에서 변속제어 시 모터를 이용하여 상대 회전속도 차이를 감쇠시킨 후 기계식 싱크로나이저 링을 이용하여 최종 변속하는 복합 변속을 통해 유성부의 싱크로 성능 및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만으로 동기시키는 전자식 변속으로 인한 크래쉬 소음 및 스플라인 마모와 내구성 저하를 개선하여 변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듀얼 모터를 이용한 이액슬(e-axle) 구조의 차량 구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장치는,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20),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30), 제1 변속장치(130), 제1 모터 구동부(50), 유성부 액추에이터(210) 및 변속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20)는 구동륜에 연결된 캐리어(180)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30)는 제1 모터(110)에 연결된 선기어(170)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변속장치(130)는 제1 모터(110) 측에 연결되어 제1 모터(110)의 출력을 변속하여 출력한다.
제1 모터 구동부(50)는 제1 모터(110)를 구동시켜 RPM을 변경할 수 있다.
유성부 액추에이터(210)는 유성부의 제3 변속장치(1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변속 제어부(40)는 상위장치(10)로부터 유성부 변속명령이 입력되면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20)와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30)로부터 각각 캐리어 회전속도와 선기어 회전속도를 입력받은 후 유성부 액추에이터(210)를 구동시켜 유성부의 싱크로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키고, 제1 모터 구동부(50)를 통해 제1 모터(110)의 회전수를 변경시켜 캐리어(180)와 유성부의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변속 제어부(40)는 제1 모터(110)에 의해 선기어(17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유성기어(160)의 링기어와 변속타겟과의 속도차를 감쇠시켜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변속타겟은 캐리어(180)에 연결된 기어 클러치 또는 케이스에 고정된 기어 클러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리어(180)와 유성부의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되면, 변속 제어부(40)는 제1 변속장치(130)를 통해 제1 모터(110)의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킨 후 유성부 액추에이터(210)에 공압을 인가하여 제3 변속장치(150)의 싱크로나이저를 작동시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변속 과정 중 제2 모터(120)를 통하여 구동력은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에 따르면, 듀얼 모터를 이용한 이액슬(e-axle) 구조의 차량 구동장치에서 변속제어 시 모터를 이용하여 상대 회전속도 차이를 감쇠시킨 후 기계식 싱크로나이저 링을 이용하여 최종 변속하는 복합 변속을 통해 유성부의 싱크로 성능 및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만으로 동기시키는 전자식 변속으로 인한 크래쉬 소음 및 스플라인 마모와 내구성 저하를 개선하여 변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변속 제어부(40)가 상위장치(10)로부터 유성부의 변속 명령을 입력받으면 구동륜에 연결된 캐리어(180)의 속도와 제1 모터(110)에 연결된 선기어(170)의 회전속도를 입력받는다(S10).
S10 단계에서 캐리어(180)와 선기어(170)의 회전속도를 입력받은 후 변속 제어부(40)가 유성부 액추에이터(210)를 구동시켜 유성부의 싱크로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킨다(S20).
S20 단계에서 유성부의 싱크로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킨 후 변속 제어부(40)가 제1 모터(110)의 회전수를 변경시켜 캐리어(180)와 유성부의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시킨다(S30)(S40).
여기서 변속 제어부(40)는 제1 모터(110)에 의해 선기어(17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유성기어(160)의 링기어와 변속타겟과의 속도차를 감쇠시켜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변속타겟은 캐리어(180)에 연결된 기어 클러치 또는 케이스에 고정된 기어 클러치일 수 있다.
S40 단계에서 캐리어(180)와 유성부의 속도차가 목표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목표범위 이내인 경우, 변속 제어부(40)는 제1 변속장치(130)를 통해 제1 모터(110)의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킨다(S50).
S50 단계에서 제1 변속장치(130)를 통해 제1 모터(110)의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킨 후 변속 제어부(40)는 유성부 액추에이터(210)에 공압을 인가하여 제3 변속장치(150)의 싱크로나이저를 작동시켜 변속을 수행한다(S60).
여기서 변속 과정 중 제2 모터(120)를 통하여 구동력은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방법에 따르면, 듀얼 모터를 이용한 이액슬(e-axle) 구조의 차량 구동장치에서 변속제어 시 모터를 이용하여 상대 회전속도 차이를 감쇠시킨 후 기계식 싱크로나이저 링을 이용하여 최종 변속하는 복합 변속을 통해 유성부의 싱크로 성능 및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만으로 동기시키는 전자식 변속으로 인한 크래쉬 소음 및 스플라인 마모와 내구성 저하를 개선하여 변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상위장치 20 :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
30 :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 40 : 변속 제어부
50 : 제1 모터 구동부
110 : 제1 모터 120 : 제2 모터
130 : 제1 변속장치 140 : 제2 변속장치
150 : 제3 변속장치 160 : 유성기어
170 ; 선기어 180 : 캐리어
190 : 트랜스퍼 기어 200 : 하이포이드 기어
210 : 유성부 액추에이터

Claims (8)

  1. 구동륜에 연결된 캐리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
    제1 모터에 연결된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
    상기 제1 모터 측에 연결된 제1 변속장치;
    상기 제1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 구동부;
    유성부의 제3 변속장치를 구동시키는 유성부 액추에이터; 및
    상위장치로부터 유성부 변속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캐리어 회전속도 감지부와 상기 선기어 회전속도 감지부로부터 각각 캐리어 회전속도와 선기어 회전속도를 입력받은 후 상기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상기 유성부의 싱크로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모터 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시켜 상기 캐리어와 상기 유성부의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되면 상기 제1 변속장치를 통해 상기 제1 모터의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킨 후 상기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상기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상기 유성기어의 링기어와 변속타겟과의 속도차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타겟은, 상기 캐리어에 연결된 기어 클러치 또는 케이스에 고정된 기어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 유성부 액추에이터에 공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3 변속장치의 싱크로나이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5. 변속 제어부가 상위장치로부터 유성부의 변속 명령을 입력받으면 구동륜에 연결된 캐리어의 속도와 제1 모터에 연결된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변속 제어부가 상기 캐리어와 상기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입력받은 후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유성부의 싱크로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변속 제어부가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시켜 상기 캐리어와 상기 유성부의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변속 제어부가 상기 캐리어와 상기 선기어의 속도차가 목표범위 이내인 경우 제1 변속장치를 통해 상기 제1 모터의 슬리브를 중립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속 제어부가 상기 제1 모터를 싱크로 중립시킨 후 상기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차를 목표범위 이내로 유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변속 제어부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상기 선기어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유성기어의 링기어와 변속타겟과의 속도차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타겟은, 상기 캐리어에 연결된 기어 클러치 또는 케이스에 고정된 기어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변속 제어부가 상기 유성부 액추에이터에 공압을 인가하여 제3 변속장치의 싱크로나이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속장치의 변속 제어방법.
KR1020210109857A 2021-08-20 2021-08-20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609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857A KR102609058B1 (ko) 2021-08-20 2021-08-20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857A KR102609058B1 (ko) 2021-08-20 2021-08-20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733A true KR20230027733A (ko) 2023-02-28
KR102609058B1 KR102609058B1 (ko) 2023-12-04

Family

ID=8532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857A KR102609058B1 (ko) 2021-08-20 2021-08-20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0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68A (ko) * 2012-03-13 2013-09-25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자동차용 2단 변속장치
JP2018016146A (ja) * 2016-07-26 2018-02-01 株式会社Subaru 動力伝達装置
JP2018128082A (ja) * 2017-02-08 2018-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油圧制御回路
KR20200138989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디아이씨 차량용 2단 감속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68A (ko) * 2012-03-13 2013-09-25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자동차용 2단 변속장치
JP2018016146A (ja) * 2016-07-26 2018-02-01 株式会社Subaru 動力伝達装置
JP2018128082A (ja) * 2017-02-08 2018-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油圧制御回路
KR20200138989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디아이씨 차량용 2단 감속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058B1 (ko) 202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6470B2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US7731617B2 (en) Automated motor vehicle transmiss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174644B2 (en) Vehicle shift control device
JP5942412B2 (ja) 車両駆動装置
WO2014162631A1 (ja) 車両の制御装置
US9903470B2 (en) Control system for transmission
JP5436998B2 (ja) 車両用変速装置
US20150119190A1 (en) Driving device for vehicle
EP291082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ual clutch transmission of a vehicle
JP2008120315A (ja) 車両のパワートレーン
KR20230027733A (ko) 차량 구동장치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6277874B2 (ja) 自動変速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347355B (zh) 用于车辆的驱动系统以及其控制方法
JP2006226380A (ja)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7211036A (ja) パワートレインの制御装置
WO2018212313A1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20160010726A1 (en) Transmission for a vehicle
JP2012236508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
JP557552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動力制御装置
JP6586357B2 (ja) 車両制御装置
JP2018168913A (ja) 車両用自動変速機
JP6575375B2 (ja) 無段変速装置
JP6459720B2 (ja) 車両用駆動装置
WO2018212324A1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22169316A (ja) 自動変速機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