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887A - 항바이러스성 1,3-디-옥소-인덴 화합물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성 1,3-디-옥소-인덴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887A
KR20230024887A KR1020227039713A KR20227039713A KR20230024887A KR 20230024887 A KR20230024887 A KR 20230024887A KR 1020227039713 A KR1020227039713 A KR 1020227039713A KR 20227039713 A KR20227039713 A KR 20227039713A KR 20230024887 A KR20230024887 A KR 2023002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cceptable salt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und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한 나이츠
다니엘 푼
키스 브루스 피스터
정영식
한수봉
야스와드한 알. 말파니
프라샨트 차크라살리
김천생
신진수
김해수
이종교
이상호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카톨리에케 유니버시테이트 루벤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카톨리에케 유니버시테이트 루벤,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2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9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a ring other than six-memb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62
[I]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I)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이러한 화합물, 염 및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과 함께 제공한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성 1,3-디-옥소-인덴 화합물
본 발명은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에코바이러스(echovirus),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및 리노바이러스(rhinovirus)를 포함한 피코르나바이러스(picornavirus)의 저해제이고 소아마비(poliomyelitis), 마비(paralysis), 급성 출혈성 결막염(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바이러스성 수막염(viral meningitis), 수족구병(hand-foot-and-mouth disease), 수포 질환(vesicular disease), A형 간염(hepatitis A), 근염(myositis), 심근염(myocarditis), 췌장염(pancreatitis), 당뇨병(diabetes), 유행성 근육통(epidemic myalgia), 뇌염(encephalitis), 감기(cold), 헤르팡기나(herpangina), 구제역, 천식(asthma), 만성 폐쇄성 폐 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폐렴(pneumonia), 부비동염(sinusitis) 또는 중이염(otitis media)을 포함한 바이러스성 감염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신규 1,3-디옥소인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신규 사환식 피리돈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서 이들 화합물 및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피코르나바이러스는 RNA 게놈 7.2 내지 8.5 Kb 길이를 갖는 비-외피성(non-enveloped), 양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이다. 이들 바이러스는 매우 작고 형태가 구형이며 크기가 약 22 내지 30 nm이고, 오래전에 최초로 식별되었다. 피코르나비리대(Picornaviridae) 과에 속하는 바이러스 중에는 리노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A, 콕사키바이러스 B, 및 에코바이러스를 포함한 엔테로바이러스, 및 A형 간염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피코르나바이러스가 야기하는 질환은 호흡기 질환으로부터 소화계 질환, 순환계 질환 및 피부 질환까지 다양하고, 이의 예는 소아마비, 마비, 급성 출혈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수족구병, 수포 질환, A형 간염, 근염, 심근염, 췌장염, 당뇨병, 유행성 근육통, 뇌염, 감기, 헤르팡기나, 및 구제역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질환을 치유하는 어떠한 치료제도 존재하지 않는다. 개발 하의 약물 대부분은 비코팅(uncoating) 저해제이다. 피코르나비리대 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는 전술한 호흡기 질환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을 야기하며, 이는 위생, 사회적 및 경제적 문제를 유발한다. 피코르나바이러스는 수인성 질환(waterborne disease)의 주요 원인 제제(causative agent)이다. 매우 안정하고 소독하기 어려워서, RNA 바이러스는 관련 질환을 끊임없이 야기한다.
인간 리노바이러스(hRV)는 최근 대부분의 천식 악화와 관련이 있어 왔고, 심지어 많은 안정한 천식 환자의 기관지 조직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식 환자 및 비-천식 환자로부터 얻은 각각의 기관지 점막 생검 표본의 비교는 비-천식 환자와 비교하여 천식 환자의 하기도(lower respiratory tract)에서 인간 리노바이러스의 유의하게 더 높은 검출 빈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인간 리노바이러스의 존재와 천식의 임상적 중증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에 더하여, 리노바이러스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렴, 부비동염, 및 중이염, 뿐만 아니라 천식을 야기한다.
리노바이러스는 감기의 주요 원인인 한편, 엔테로바이러스-유도 질환은 수막염, 호흡기 감염 등을 포함한다. 폴리오바이러스에 대한 백신화를 제공하려는 광범위한 노력은 세계적으로 소아마비의 발병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나, 니제르, 나이지리아, 이집트, 인도, 파키스탄, 및 아프가니스탄에서 질환의 사례가 여전히 보고되고 있다. A형 간염은 이제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덕분에 어느 정도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또는 리노바이러스에 어떠한 백신도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았다.
특히, 콕사키바이러스 B는 심근염의 주요 원인이고, 이는 심각한 경우 심장 이식을 필요로 하는 특발성 확장성 심근병증(idiopathic dilated cardiomyopathy)으로 발증할 수 있다.
엔비록심(enviroxime) 유도체는 넓은 항엔테로바이러스 활성 및 항리노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가장 유망한 후보인 것으로 여겨진다. 엔비록심은 바이러스 재생에서 RNA 중간체의 형성에 필요한 바이러스 단백질 3A에 결합함으로써 플러스-가닥 RNA의 합성을 방해한다(문헌[Heinz B A and Vance L M: J Virol, 1995, 69(7), 4189-97]). 그러나, 임상 연구에서, 화합물은 불량한 약물동력학 및 원치 않는 부작용의 부수적 검출과 함께 무의미한 또는 소수의 치료 효과를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문헌[Miller F D et al.: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85, 27(1), 102-6]).
프로테아제 저해제 AG 7088은 바이러스 프로테아제 2C의 미세한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지식에 기초하여 개발되어 왔다. 나노몰 농도 범위에서의 세포 배양물에서, AG 7088은 48개의 리노바이러스 유형 및 콕사키바이러스 A21, B3, 엔테로바이러스 70 및 에코바이러스 11에 대해 효과를 갖는다(문헌[Pattick A K et al.: Antimicrobila Agents Chemother, 1999, 43(10), 2444-50]).
바이러스 캡시드의 분자 구조의 설명 덕분에, 캡시드 차단제(blocker), "WIN 성분"의 의도적인 설계를 위한 예비조건이 수득되었다(문헌[Diana G D: Curr Med Chem 2003, 2, 1-12]). 이들은 리노바이러스 및 엔테로바이러스의 흡착 및/또는 비코팅을 저해한다. WIN 성분 중 일부는 피코르나바이러스의 개별 속 또는 바이러스 유형에 대해서만 고도로 특이적인 효과를 갖는다. 다른 유도체는 리노바이러스와 엔테로바이러스 둘 다의 복제를 저해한다. 아릴돈(arildone), 디속사릴(disoxaril) 및 피로다비르(pirodavir)는 예를 들어 WIN 성분에 속한다. 이들 화합물은 세포 배양물에서 매우 양호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불량한 용해도(아릴돈), 낮은 생체이용률(아릴돈 및 디속사릴), 신속한 대사 및 배출(디속사릴 및 WIN 54954), 뿐만 아니라 부작용, 예컨대 피부 발진(WIN 54954)은 임상 적용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WIN 성분의 한 종류인 플레코나릴(pleconaril)은 매우 양호한 경구 생체이용률을 가지며, 바이러스캡시드 내 소수물질 포켓(hydrophobe pocket)에 결합한 후, 이는 리노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및 콕사키바이러스의 침투를 저해한다(문헌[Pevear D C et al.: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99, 43(9), 2109-15]; 문헌[McKinlay M A et al.: Annu Rev Microbiol 1992, 46, 635-54]). 따라서, 플레코나릴은 감기로부터 바이러스성 수막염 또는 심근염까지 범위의 넓은 스펙트럼의 바이러스 질환에 대해 잠재적으로 효과적이다. 내성은 리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71 및 콕사키바이러스 B3에 대해 관찰되었다(문헌[Ledford R M et al.: J Virol 2004, 78(7), 3663-74]; 문헌[Groarke J M et al.: J Infect Dis 1999, 179(6), 1538-41]). 그러나, 입증된 치료 효과는 미국에서 리노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제제로서 플레코나릴(피코비르(Picovir), Viropharma, USA)의 등록에 충분하지 않았다. 2002년 3월에, 상응하는 적용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거절되었는데, 왜냐하면 요법 성공이 너무 낮았고 부작용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BTA-798은 리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시험관내에서 그리고 생체내에서 평가된 바와 같이 플레코나릴보다 더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고, 현재 임상 시험 하에 있다(문헌[Ryan, J. et al. Antiviral Res [18th Intl Conf Antiviral Res (April 11-14, Barcelona) 2005] 2005, 65(3): Abst LB-11]).
그러나, 엔테로바이러스 또는 리노바이러스의 치료용으로 승인을 받은 어떠한 항바이러스 약물도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았다. 엔테로바이러스 또는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새로운 치료 및 요법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발명에 이르기까지, 콕사키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및 리노바이러스를 포함한 피코르나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바이러스 증식저지제(virustatics)에 대한 심도 있고 철저한 연구는, 신규 1,3-디옥소인덴 유도체가 콕사키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및 리노바이러스를 포함한 피코르나바이러스에 대해 고도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는 발견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복제 또는 재활성화를 저해하고, 바이러스와 관련되거나 이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 병태를 치료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 및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며:
Figure pct00001
[I]
상기 식에서,
G1 및 G2 중 하나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5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알킬옥시; 선형 또는 분지형 C1-C5할로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할로알킬옥시; 할로 및 3-7-원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G1 및 G2 중 다른 하나는 H이고; R1은 H 및 선형 또는 분지형 C1-C5알킬로부터 선택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형태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합, 특히 약제학적 조합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를 해석하기 위해, 하기 정의가 적용될 것이며, 적절할 때마다, 단수로 사용된 용어는 복수도 포함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하기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대상체"는 동물을 지칭한다. 소정의 양태에서, 동물은 포유류이다. 대상체는 또한 예를 들어, 영장류(예를 들어, 인간), 소, 양, 염소, 말, 개, 고양이, 토끼, 래트, 마우스, 어류, 조류 등을 지칭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환자"는 인간 대상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대상체는 이러한 대상체가 이러한 치료로부터 생물학적으로, 의학적으로 또는 삶의 질에서 이익을 얻을 것이라면 치료"를 필요로 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저해" 또는 "저해하는"은 소정의 상태, 증상 또는 장애, 또는 질환의 감소 또는 억제, 또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과정의 기준 활성의 유의한 저하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하는" 또는 "치료"라는 용어는 일 실시형태에서, 질환 또는 장애를 개선하는 것(즉, 질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의 임상 증상의 발증을 서행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환자가 식별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완화시키거나 개선하는 것을 지칭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물리적으로(예를 들어, 식별 가능한 증상의 안정화), 생리학적으로(예를 들어, 물리적 파라미터의 안정화) 또는 둘 다로 질환 또는 장애를 조절하는 것을 지칭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질환 또는 장애의 발병 또는 발증 또는 진행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특히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수형("a", "an", "the") 및 유사한 용어는 본원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와 복수를 둘 다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할로" 또는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C1-6 알킬" 또는 "C1-C6 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을 나타낸다. 상이한 수의 탄소 원자, 예컨대 C4 또는 C3이 명시된다면, 정의는 이에 따라 보정되어야 하며, 예컨대 "C1-4 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ert-부틸을 나타낼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C1-6 알콕시"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콕시(-O-알킬)를 나타낸다. 상이한 수의 탄소 원자, 예컨대 C4 또는 C3이 명시된다면, 정의는 이에 따라 보정되어야 하며, 예컨대 "C1-4 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sec-부톡시 및 tert-부톡시를 나타낼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C1-4 할로알킬" 또는 "C1-C4 할로알킬"은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을 나타내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소는 할로겐으로 대체되었다. 할로겐 대체의 수는 1개부터 비치환된 알킬기 상의 수소 원자의 수까지일 수 있다. 상이한 수의 탄소 원자, 예컨대 C6 또는 C3이 명시된다면, 정의는 이에 따라 보정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C1-4 할로알킬"은 할로겐으로 치환된 적어도 하나의 수소를 갖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ert-부틸을 나타낼 것이며, 예컨대 할로겐은 불소이다: CF3CF2-, (CF3)2CH-, CH3-CF2-, CF3CF2-, CF3, CF2H-, CF3CF2CH(CF3)- 또는 CF3CF2CF2CF2-.
본원에 사용되는 "C3-8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8개 탄소 원자의 포화된 단환식 탄화수소 고리를 지칭한다. 이러한 기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을 포함한다. 상이한 수의 탄소 원자, 예컨대 C3-C6이 명시된다면, 정의는 이에 따라 보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각각의 실시형태에 명시된 특징은 추가의 실시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명시된 특징과 결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하기 열거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Figure pct00002
[I]
상기 식에서,
G1 및 G2 중 하나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5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알킬옥시;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옥시; 할로 및 3-7-원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G1 및 G2 중 다른 하나는 H이고; R1은 H 및 선형 또는 분지형 C1-C5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 있어서, G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옥시; 및 3-7-원 사이클로알킬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G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G1은 CF3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5.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G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옥시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6. 실시형태 1, 2 및 5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G1은 OCF3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7.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G1은 3-7-원 사이클로알킬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8. 실시형태 1, 2 및 7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G1은 사이클로프로필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9. 실시형태 1 내지 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G2는 H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0.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 G1은 메틸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1.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 G1은 OCH3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2.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 G1은 이소프로필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3.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 G1은 할로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4. 실시형태 1에 있어서, G1은 H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에 있어서, G2는 메틸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 내지 15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I)의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003
[II].
실시형태 17. 실시형태 1 내지 10 및 12 내지 13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II)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004
[III].
실시형태 17a. 실시형태 1 내지 9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IV)의 것이며:
Figure pct00005
[IV],
상기 식에서, G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옥시; 및 3-7-원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7b. 실시형태 1 내지 9 및 17a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G1은 CF3, OCF3, 및 사이클로프로필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실시형태 17c. 실시형태 1 내지 9, 17a, 및 17b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H 및 메틸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실시형태 18. 실시형태 1 내지 17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
실시형태 18a.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9);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R,9bR)-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R,9bR)-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S,9bS)-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R,9bR)-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S,9bS)-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및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1-아미노-4b-하이드록시-8-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8-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N-메틸아세트아미드;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톡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8b. 실시형태 1에 있어서,
Figure pct00010
또는
Figure pct00011
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1 내지 1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실시형태 20.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실시형태 1 내지 1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실시형태 21. 실시형태 1 내지 1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실시형태 20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합.
실시형태 22. 바이러스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실시형태 1 내지 18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실시형태 20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실시형태 21에 따른 조합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형태 23.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실시형태 19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실시형태 20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실시형태 21에 따른 조합의 용도.
실시형태 24.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21 또는 실시형태 23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실시형태 25.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21 또는 실시형태 23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실시형태 26.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21 또는 실시형태 23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에코바이러스(echo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실시형태 27.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21 또는 실시형태 23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실시형태 28.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21 또는 실시형태 23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리노바이러스(rhino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실시형태 29.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21 또는 실시형태 23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피코르나바이러스(picorna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실시형태 30.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21, 또는 실시형태 23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소아마비, 마비, 급성 출혈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수족구병, 수포 질환, A형 간염, 근염, 심근염, 췌장염, 당뇨병, 유행성 근육통, 뇌염, 독감, 헤르팡기나, 구제역,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렴, 부비동염 또는 중이염인,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은 신규하고, 본원에 기재된 화학식 (I) 내지 (II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약제로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인간에서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바이러스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염을 갖고 있거나 가질 위험에 있는 인간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전술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질환을 갖고 있거나 가질 위험에 있는 인간에서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를 위한 전술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인간에서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수반하며, 항바이러스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단독으로 또는 함께 또는 별도로 투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바이러스제와 조합하여 인간에게 투여하는 단계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바이러스 질환 및/또는 감염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 및/또는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라벨을 포함하는 포장재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article of manufacture)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바이러스의 복제를 저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바이러스의 복제가 저해되는 조건 하에 바이러스를 유효량의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시험관내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바이러스의 복제를 저해하기 위한,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용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추가로 포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또 다른 치료제(들)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은 바이러스 저해제 또는 백신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제와 공동-투여된다.
이러한 추가의 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단일 약제 제형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추가의 제제는 예를 들어, 키트를 사용하여 다회 제형의 일부로서 환자에게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투여 전에, 투여와 동시에 또는 투여 후에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1일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량 범위는 일반적으로 0.01 내지 100 mg/(체중 ㎏), 이따금 0.1 내지 50 mg/(체중 ㎏)이다. 각각의 투여 단위는 편리하게는 5% 내지 95%의 활성 화합물(w/w)을 함유할 수 있다. 이따금 이러한 조제물은 20% 내지 80%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실제 약제학적 유효량 또는 치료 용량은 물론, 환자의 연령 및 체중, 투여 경로 및 질환의 중증도와 같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조합은 환자의 고유한 상태에 기초하여 약제학적 유효량이 전달될 수 있는 용량 및 방법으로 투여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 및 추가의 제제는 단독 요법에서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투여량의 약 10 내지 100%, 예를 들어 약 10 내지 80%의 투여량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병용 요법에 사용하기 위해 고려되는 항바이러스제는 인간에서 바이러스의 생성 및/또는 복제에 필요한 숙주 또는 바이러스 메커니즘을 방해하는 제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인간에서 바이러스의 생성 및/또는 복제를 저해하는데 효과적인 제제(화합물 또는 생물학적 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많은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함유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단일 이성질체 또는 이성질체의 혼합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거울상 이성질체를 포함한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 적절한 방법의 예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단일 이성질체로서 사용되며, 이는 화합물 시료 중 적어도 90%가 특정 이성질체이고 시료 중 10% 미만이 임의의 다른 이성질체 또는 이성질체의 혼합물임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료 중 적어도 95%는 단일 이성질체이다. 이성질체 간의 시험관내 활성 차이가 비교적 작은 경우, 예를 들어 약 4배 미만인 경우, 단일 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배양에서 바이러스 복제에 대한 활성 수준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더 낮은 IC-50 또는 EC-50을 갖는 이성질체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래 일반적인 합성 경로에 의해 합성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는 실시예에서 더 상세히 기재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중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단계에서 얻을 수 있는 중간 생성물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고, 나머지 단계를 수행하거나, 출발 물질이 반응 조건 하에 원위치에서 형성되거나, 반응 성분이 이의 염 또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물질의 형태로 사용되는, 본 방법의 임의의 변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방법의 임의의 단계에서 중간체로서 수득 가능한 화합물이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고 나머지 방법 단계가 수행되거나, 출발 물질이 반응 조건 하에 형성되거나 유도체의 형태, 예를 들어 보호된 형태 또는 염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화합물이 방법 조건 하에 생성되고 원위치에서 추가로 가공되는 그러한 형태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어 "광학 이성질체" 또는 "입체 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소정의 화합물에 대해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입체 이성질체성 배치를 지칭하고, 기하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치환기는 탄소 원자의 키랄 중심에서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키랄"은 거울상 파트너에 중첩될 수 없는 특성을 갖는 분자를 지칭하는 반면에, 용어 "아키랄"은 거울상 파트너에 중첩될 수 있는 분자를 지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또는 라세미체를 포함한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서로 중첩될 수 없는 거울상인 한 쌍의 입체 이성질체이다. 한 쌍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1:1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이다. 상기 용어는 필요에 따라, 라세미 혼합물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적어도 2개의 비대칭 원자를 갖지만, 서로 거울상이 아닌 입체 이성질체이다. 절대 입체화학은 칸-인골드-프렐로그(Cahn-Ingold-Prelog) R-S 시스템에 따라 지정된다. 화합물이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인 경우, 각 키랄 탄소에서의 입체화학은 R 또는 S로 지정될 수 있다. 절대 배열이 알려지지 않은 분할 화합물은 나트륨 D 라인의 파장에서 평면 편광을 회전시키는 방향(우선성 또는 좌선성)에 따라 (+) 또는 (-)로 지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 또는 축을 포함하므로, 절대 입체화학의 관점에서 (R)- 또는 (S)-로 정의될 수 있는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다른 입체 이성질체를 형성할 수 있다.
출발 물질 및 절차의 선택에 따라,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의 수에 따라, 가능한 이성질체 중 하나의 형태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예를 들어 순수한 광학 이성질체로서, 또는 이성질체 혼합물, 예컨대 라세미체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세미 혼합물,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 및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비롯한 모든 이러한 가능한 입체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광학적으로 활성인 (R)- 및 (S)-이성질체는 키랄 신톤(synthon) 또는 키랄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통상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분할될 수 있다. 화합물이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경우, 치환기는 E 또는 Z 배열일 수 있다. 화합물이 이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을 포함하는 경우, 사이클로알킬 치환기는 시스 또는 트랜스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모든 호변이성질체도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임의의 얻어진 이성질체 혼합물은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분별 결정에 의해, 성분의 물리화학적 차이에 기초하여 순수하거나 실질적으로 순수한 기하 또는 광학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로 분리될 수 있다.
임의의 얻어진 최종 생성물 또는 중간체의 라세미체는 알려진 방법, 예를 들어 광학 활성 산 또는 염기로 얻어진 이의 부분입체 이성질체 염의 분리 및 광학적으로 활성인 산성 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유리시킴으로써 광학 대장체(optical antipode)로 분할될 수 있다. 특히, 염기성 부분은 예를 들어, 광학 활성 산, 예를 들어 타르타르산, 디벤조일 타르타르산,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디-O,O'-p-톨루오일 타르타르산, 만델산, 말산 또는 캄퍼-10-설폰산으로 형성된 염의 분별 결정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의 광학 대장체로 분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라세미 생성물은 또한, 키랄 흡착제를 사용하여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의 염 포함)은 이의 수화물 형태로도 얻어질 수 있거나, 이의 결정화에 사용되는 다른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물 포함)로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용매화 형태 및 비용매화 형태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포함)과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의 분자 복합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용매 분자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등과 같이 수용자에게 무해한 것으로 알려진 제약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다. 용어 "수화물"은 용매 분자가 물인 복합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 포함)은 본질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다형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염(salt)" 또는 "염들(salts)"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산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을 지칭한다. "염"은 특히,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효과 및 특성을 보유하고, 전형적으로 생물학적으로 또는 그렇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염을 지칭한다. 많은 경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미노기 및/또는 카르복실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의 존재로 인해 산 및/또는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부가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브로마이드/하이드로브로마이드, 비카르보네이트(bicarbonate)/카르보네이트, 비설페이트(bisulfate)/설페이트, 캄퍼설포네이트, 클로라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르테오필로네이트, 시트레이트, 에탄디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히푸레이트(hippurate), 하이드로요오다이드/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나프토에이트, 납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옥타데카노에이트, 올레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폴리갈락투로네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설포살리실레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이 있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무기산은 예를 들어, 염산, 하이드로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을 포함한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유기산은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톨루엔설폰산, 설포살리실산 등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염은 무기 및 유기 염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 염기는 예를 들어, 암모늄 염 및 주기율표의 I 내지 XII족의 금속을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염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은, 아연 및 구리로부터 유도되고; 특히 적합한 염으로는 암모늄, 칼륨, 나트륨, 칼슘 및 마그네슘 염을 포함한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유기 염기로는 예를 들어, 일차, 이차 및 삼차 아민, 천연 유래의 치환된 아민을 비롯한 치환 아민, 환상 아민,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등을 포함한다. 특정 유기 아민으로는 이소프로필아민, 벤자틴, 콜리네이트,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라이신, 메글루민, 피페라진 및 트로메타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통상의 화학적 방법에 의해 염기성 또는 산성 부분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이들 화합물의 유리산 형태를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염기(예컨대, Na, Ca, Mg 또는 K 하이드록사이드, 카르보네이트, 비카르보네이트 등)와 반응시키거나, 이들 화합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전형적으로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그 둘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실행가능한 경우에,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비수성 매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적절한 염의 목록은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0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 및 문헌["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by Stahl and Wermuth (Wiley-VCH, Weinheim, Germany, 2002)]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소정의 임의의 화학식은 비천연 동위원소 분포, 예를 들어 중수소 또는 13C 또는 15N이 풍부한 부위를 갖는 최대 3개의 원자를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동위원소 표지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표지된 형태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천연 존재비 질량 분포 이외의 선택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로 치환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명세서의 소정의 화학식으로 표시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유용하게 과혼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는 각각,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불소 및 염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2H, 3H, 11C, 13C, 14C, 15N, 18F, 31P, 32P, 35S, 36Cl, 125I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 예를 들어 3H 및 14C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 또는 2H 및 13C와 같은 비방사성 동위원소가 정상 동위원소 분포보다 실질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존재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약물 또는 기질 조직 분포 검정을 포함한 대사 연구(예를 들어 14C를 이용함), 반응 속도 연구(예를 들어 2H 또는 3H를 이용함), 검출 또는 이미지화 기법, 예컨대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또는 단일-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촬영(SPECT)에, 또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18F 표지된 화합물은 PET 또는 SPECT 연구에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비표지된 시약 대신에 적절한 동위원소 표지된 시약을 사용하여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기술에 의해 또는 첨부하는 실시예 및 제조예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표지된 시료는 미량의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해 방사성 표지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상당히 낮은 동위원소 혼입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무거운 동위원소, 특히 중수소(즉, 2H 또는 D)로의 보다 광범위한 치환은 보다 큰 대사 안정성으로 인한 특정 치료상의 이점, 예를 들어 생체내 반감기 증가 또는 필요 용량 감소 또는 치료 지수의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수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환기로 간주되고, 전형적으로 치환기로서 중수소를 갖는 화합물의 시료는 표지된 위치(들)에서 적어도 50% 중수소 혼입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보다 무거운 동위원소, 구체적으로 중수소의 농도는 동위원소 농축 계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동위원소 농축 계수"는 명시된 동위원소의 동위원소 존재비와 천연 존재비 사이의 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내 치환기가 표시된 중수소인 경우에, 이러한 화합물은 각각의 지정된 중수소 원자에 대해 적어도 3500(각각의 지정된 중수소 원자에서 52.5% 중수소 혼입), 적어도 4000(60% 중수소 혼입), 적어도 4500(67.5% 중수소 혼입), 적어도 5000(75% 중수소 혼입), 적어도 5500(82.5% 중수소 혼입), 적어도 6000(90% 중수소 혼입), 적어도 6333.3(95% 중수소 혼입), 적어도 6466.7(97% 중수소 혼입), 적어도 6600(99% 중수소 혼입) 또는 적어도 6633.3(99.5% 중수소 혼입)의 동위원소 농축 계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은 결정화 용매가 동의원소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것, 예를 들어 D2O, d6-아세톤, d6-DMSO를 포함한다.
수소 결합에 대한 공여체 및/또는 수용체로 작용할 수 있는 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절한 공결정 형성제로 공결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결정은 알려진 공결정 형성 절차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에는 분쇄, 가열, 동시 승화, 동시 용융, 또는 결정화 조건 하에 용액 중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공결정 형성제와 접촉시키고, 이에 의해 형성된 공결정을 단리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적절한 공결정 형성제에는 국제공개 WO 2004/078163호에 기재된 것들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공결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비경구, 흡입 등을 포함한 알려진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알약, 로젠지(lozenge), 트로키(troche), 캡슐,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경구 투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 투여된다. 주입은 통상적으로 약 15분 내지 4시간의 기간에 걸쳐 정맥내로 행해진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강내로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되며; 흡입 방법은 호흡기 감염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생체이용률을 나타내며,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화합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대상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제제(병용 파트너(combination partner)),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것이거나 화학식 I의 것이 아닌 추가의 항바이러스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조합"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개별 제형으로서 하나의 단위 제형의 고정된 조합,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병용 파트너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또는 특히, 병용 파트너가 협동, 예를 들어 상승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시간 간격 내에서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병용 투여용 성분 키트(kit of parts),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2 항바이러스제, 예컨대 본원에 명명된 것과 조합되어 사용된다.
제2 항바이러스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항바이러스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투여 전에, 동시에 또는 후에 투여된다. 제2 제제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동시 투여가 요구되고 투여 경로가 동일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2 제제와 함께 동일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2 제제를 함유하는 제형의 예는 정제 또는 캡슐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제2 항바이러스제의 조합은 상승 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2 항바이러스제는 함께, 별도로, 그러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의 "유효량"은 바이러스 감염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기에 필요하거나 충분한 양이다. 일례에서, 화학식 I의 바이러스 저해제의 유효량은 대상체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유효량은 대상체의 사이즈 및 체중, 질병의 종류 또는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과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선택은 "유효량"을 구성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인자를 연구하고, 과도한 실험 없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에 대해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투여 계획은 유효량을 구성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이러스 감염의 발병 전후에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분할 투여량 및 시간차 투여량이 매일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투여량은 지속적으로 주입될 수 있거나, 볼루스 주사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투여량은 긴급한 치료적 또는 예방적 상황이 나타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태,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거나, 이들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질환의 치료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이들 질환의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은 포유류, 예를 들어 인간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조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포유류, 예를 들어 인간에게 약제로서 투여되는 경우, 이들은 그 자체로 또는 예를 들어, 1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선택적으로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조합하여 활성 성분으로서 0.1 내지 99.5%(이따금 0.5 내지 90%)의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임의의 이의 아속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주어질 수 있다.
어구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 인지되어 있으며, 포유류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 조성물 또는 비히클을 포함한다. 담체는 대상 제제를 하나의 기관 또는 신체의 일부에서 다른 기관 또는 신체의 일부로 운반하거나 수송하는데 관여하는 액체 또는 고체 충전제, 희석제, 부형제, 용매 또는 봉입제를 포함한다. 각각의 담체는 제형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고, 환자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의미에서 "허용 가능한"이어야 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의 일부 예는 당, 예컨대 락토스, 글루코스 및 수크로스;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에틸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트래거캔스 분말; 맥아; 젤라틴; 탤크; 부형제, 예컨대 코코아 버터 및 좌제 왁스; 오일, 예컨대 땅콩유, 면실유, 홍화유, 참기름,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대두유; 글리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올, 예컨대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올레에이트 및 에틸 라우레이트; 한천; 완충제, 예컨대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알긴산; 발열원 제거수(pyrogen-free water); 등장식염수; 링거 용액; 에틸 알코올; 포스페이트 완충액; 및 약제학적 제형에 사용되는 다른 무독성 상용성 물질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멸균되고/되거나 실질적으로 발열원이 없다.
습윤제, 유화제 및 윤활제, 예컨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뿐만 아니라, 착색제, 이형제, 코팅제, 감미제, 풍미제 및 방향제, 보존제 및 산화방지제가 또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항산화제의 예는 수용성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소듐 비설페이트, 소듐 메타비설파이트, 소듐 설파이트 등; 지용성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레시틴, 프로필 갈레이트, α-토코페롤 등; 및 금속 킬레이트제, 예컨대 시트르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소르비톨, 타르타르산, 인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은 경구, 비강, 흡입, 국소, 경피, 협측, 설하, 직장, 질내 및/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것을 포함한다. 제형은 편리하게는 단위 투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약학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일 투여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치료 효과를 산출하는 화합물의 양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100% 중, 이러한 양은 약 1% 내지 약 99%의 활성 성분, 이따금 약 5% 내지 약 70%, 이따금 약 10% 내지 약 30%의 범위일 것이다.
이러한 제형 또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담체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과 회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액체 담체, 미분 고체 담체 또는 둘 다와 균일하고 밀접하게 결합시킨 다음에, 필요에 따라 생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형은 캡슐, 카시에(cachet), 알약, 정제, 로젠지(풍미 베이스(flavored base),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스를 사용함), 분말, 과립 형태로, 또는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또는 수중유 또는 유중수 액체 에멀젼으로, 또는 엘릭시르(elixir) 또는 시럽, 또는 향정((pastille), 불활성 베이스,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를 사용함) 및/또는 구강 세정제로 될 수 있으며, 각각 활성 성분으로서 소정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볼루스(bolus), 연약(electuary) 또는 페이스트(paste)로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고체 제형(캡슐, 정제, 알약, 당의정, 분말, 과립 등)에서, 활성 성분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예컨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디칼슘 포스페이트, 및/또는 하기 중 임의의 하나와 혼합된다: 충전제 또는 증량제, 예컨대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만니톨 및/또는 규산; 결합제,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폴리비닐 피롤리돈, 수크로스 및/또는 아카시아; 보습제, 예컨대 글리세롤; 붕해제, 예컨대 한천, 칼슘 카르보네이트,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규산염 및 소듐 카르보네이트; 용해 지연제(solution retarding agent), 예컨대 파라핀; 흡수 촉진제, 예컨대 사차 암모늄 화합물; 습윤제, 예컨대 세틸 알코올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흡수제, 예컨대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점토; 윤활제, 예컨대 탤크,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착색제. 캡슐, 정제 및 알약의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종류의 고체 조성물은 또한 락토스 또는 유당뿐만 아니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부형제를 사용하여 연질 및 경질 젤라틴 캡슐의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정제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을 사용하여, 압축 또는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축 정제는 결합제(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보존제, 붕해제(예를 들어,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가교결합된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계면활성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주형정(molded tablet)은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적신 분말상 화합물의 혼합물을 적절한 기계에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정제 및 다른 고체 제형, 예컨대 당의정, 캡슐, 알약 및 과립은 선택적으로 코팅 및 셸(shell), 예를 들어 장용 코팅 및 약제학적-제형 분야에 잘 알려진 기타 코팅으로 스코어링되거나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예를 들어, 원하는 방출 프로파일, 다른 중합체 매트릭스, 리포솜 및/또는 미소구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를 사용하여, 그 안의 활성 성분의 지속 방출 또는 제어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세균 보유 필터를 통해 여과하거나, 사용 직전에 멸균수 또는 다른 몇몇 멸균 주사용 매질에 용해될 수 있는 멸균 고체 조성물 형태의 멸균제를 혼입시켜 멸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선택적으로 유백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지연된 방식으로 위장관의 특정 부위에서 활성 성분(들)을 단독으로 또는 예를 들어, 방출시키는 조성물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임베딩(embedding) 조성물의 예는 중합체 물질 및 왁스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또한 적절한 경우, 하나 이상의 전술한 부형제와 함께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구 투여용 액상 제형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시르를 포함한다. 액상 제형은 활성 성분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물 또는 다른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컨대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카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오일(특히,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유, 배아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참깨유), 글리세롤, 테트라하이드로푸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불활성 희석제 외에도, 경구 조성물은 또한 아쥬반트, 예컨대 습윤제, 유화 및 현탁화 제제, 감미제, 풍미제, 착색제, 방향제 및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현탁액은 활성 화합물 이외에, 예를 들어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한천 및 트래거캔스,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현탁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직장 또는 질내 투여용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좌제로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좌제 왁스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적절한 무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실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이어서 직장 또는 질강에서 용융되어 활성 화합물을 방출할 것이다.
질내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형은 또한, 당업계에서 적절한 것으로 알려진 이러한 담체를 함유하는 페서리(pessary), 탐폰, 크림, 젤, 페이스트, 폼 또는 분무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또는 경피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는 분말, 스프레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용액, 패치 및 흡입제가 포함된다. 활성 화합물은 멸균 조건 하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필요하다면, 임의의 보존제, 완충제 또는 분사제와 혼합될 수 있다.
연고, 페이스트, 크림 및 겔은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 이외에,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래거캔스,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탤크 및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분말 및 스프레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 락토스, 탤크, 규산,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및 폴리아미드 분말,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과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스프레이는 통상의 분사제, 예컨대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및 휘발성 비치환된 탄화수소, 예컨대 부탄 및 프로판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경피 패치는 신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어된 전달을 제공한다는 추가의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제형은 적절한 매질 중에 화합물을 용해시키거나 분산시켜 제조할 수 있다. 피부를 통해 화합물의 플럭스(flux)를 증가시키기 위해 흡수 촉진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럭스 속도는 속도 제어 막을 제공하거나, 활성 화합물을 중합체 매트릭스 또는 겔에 분산시켜 제어될 수 있다.
안과용 제형, 안연고, 분말, 용액 등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예컨대 멸균 등장성 수용액 또는 비수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과 조합하거나, 사용 직전에 멸균 주사제 또는 분산액 중에서 재구성될 수 있는 멸균 분말과 조합하여 포함하며, 항산화제, 완충제, 정균제, 제형이 의도된 수혜자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도록 하는 용질, 또는 현탁화제 또는 증점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는 적합한 수성 및 비수성 담체의 예는 물, 에탄올, 글리콜 에테르, 폴리올(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및 주사 가능한 유기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올레에이트를 포함한다.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어, 코팅 물질, 예컨대 레시틴의 사용에 의해, 분산액의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그리고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보존제, 습윤제, 유화제 및 분산제와 같은 아쥬반트를 함유할 수 있다. 미생물 작용의 예방은 다양한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등을 함유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당, 소듐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등장제가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주사용 제형의 지속적 흡수는 흡수를 지연시키는 제제, 예컨대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의 혼입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약물의 효과를 연장시키기 위해, 피하 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를 통해 약물의 흡수를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난수용성을 갖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 물질의 액체 현탁액의 사용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 때, 약물의 흡수 속도는 이의 용해 속도에 따라 좌우되며, 이는 결국 결정 크기 및 결정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경구 투여된 약물 형태의 지연된 흡수는 약물을 오일 비히클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주사가능한 데포 형태는 폴리락타이드-폴리글리콜라이드와 같은 생분해성 중합체에서 대상 화합물의 마이크로캡슐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약물 대 중합체의 비, 및 사용되는 특정 중합체의 특성에 따라, 약물의 방출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무수물)이 포함된다. 또한, 데포 주사 제형은 신체 조직에 적합한 리포솜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에 약물을 봉입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조제물은 경구, 비경구, 국소 또는 직장 투여될 수 있다. 이는 물론, 각각의 투여 경로에 적합한 형태로 투여된다. 예를 들어, 이들은 주사, 흡입에 의한 정제 또는 캡슐 형태, 주사, 주입 또는 흡입에 의한 점안약, 연고, 좌제 등으로의 투여; 로션 또는 연고에 의한 국소 투여; 및 좌제에 의한 직장 투여로 투여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어구 "비경구 투여" 및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은 일반적으로 주사에 의한, 장내 투여 및 국소 투여 이외의 투여 방법을 의미하며,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경막내, 피막내, 안와내, 심장내, 피내, 복강내, 경기관, 피하, 표피하, 관절내, 피막하, 지주막하, 척수내 및 흉골내 주사 및 주입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정맥내 주입은 이따금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달 방법이다. 주입은 1일 1회 용량 또는 다회 용량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5분 내지 4시간, 전형적으로 0.5 내지 3시간의 간격에 걸쳐 주입에 의해 투여된다. 이러한 주입은 1일에 1회, 1일에 2회 또는 1일 3회까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어구 "전신 투여", "전신으로 투여되는", "말초 투여" 및 "말초로 투여되는"은 환자의 체조직에 들어가서 대사 및 다른 유사 과정에 적용되도록 하는, 중추신경계로의 직접 투여를 제외한 화합물, 약물 또는 다른 물질의 투여, 예를 들어 피하 투여를 의미한다.
이들 화합물은 경구, 비내, 예를 들어 스프레이로서, 직장, 질내, 비경구, 수조내(intracisternally) 및 분말, 연고 또는 점적액으로서 협측(buccally) 및 설하를 포함한 국소로 요법을 위한 인간 및 다른 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선택된 투여 경로에 관계없이, 적절한 수화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제형으로 제형화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중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 수준은 환자에 대해 유독하지 않으면서, 특정 환자, 조성물 및 투여 방법에 대해 원하는 치료 반응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을 얻도록 변화될 수 있다.
선택되는 투여량 수준은 사용된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 또는 이의 에스테르, 염 또는 아미드의 활성, 투여 경로, 투여 시기,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배설 속도, 치료 기간, 사용된 특정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다른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치료될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전반적 건강상태 및 이전의 병력, 및 의학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유사 인자를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당업계에 있어서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의사 또는 수의사는 필요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쉽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을 원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양보다 낮은 수준에서 시작하고,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적절한 1일 투여량은 치료 효과를 가져오는 데 효과적인 최저 투여량인 화합물의 양일 것이다. 이러한 유효량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시된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환자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정맥내 및 피하 투여량은 약 0.0001 내지 약 100 mg/(체중 ㎏·일), 이따금 약 0.01 내지 약 50 mg/(체중 ㎏·일), 이따금 약 0.1 내지 약 20 mg/(체중 ㎏·일)의 범위일 것이다. 유효량은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양이다.
필요에 따라, 활성 화합물의 1일 유효량은 1일 1회 투여량으로서, 또는 선택적으로 단위 제형으로, 하루 동안 적절한 간격으로 개별적으로 투여되는 2, 3, 4, 5, 6회 또는 그 이상의 하위투여량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또는 흡입으로 전달되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1일에 1 내지 4회 투여된다. 주사로 전달되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1일에 1회 또는 격일로 1회 투여된다. 주입으로 전달되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1일에 1 내지 3회 투여된다. 다회 용량이 하루 안에 투여되는 경우, 용량은 약 4시간, 약 6시간, 약 8시간 또는 약 12시간의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단독으로 투여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화합물을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은 화합물을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투여 전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혼합된다.
일반적인 합성 절차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은 아래 일반적인 합성 경로에 의해 합성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는 실시예에서 더 상세히 기재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출발 물질, 빌딩 블록(building block), 시약, 산, 염기, 탈수제, 용매 및 촉매는 시판 중이거나 당업자에게 알려진 유기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문헌[Houben-Weyl 4th Ed. 1952, Methods of Organic Synthesis, Thieme, Volume 21]).
약어 리스트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원에 제공된 실시예 및 반응식의 측면에서 당업자에게 알려진 절차를 사용하여 보편적으로 입수 가능한 화합물로부터 제조된다.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정한 원하는 최종 생성물의 구성요소가 아닌 용이하게 제거가능한 기만이 문맥상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보호기"로 나타낸다. 이러한 보호기에 의한 작용기의 보호, 보호기 자체, 및 이들의 절단 반응은 예를 들어 표준 참조 연구, 예컨대 문헌[Science of Synthesis: Houben-Weyl Methods of Molecular Transformation.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Germany. 2005. 41627 pp. (URL: http://www.science-of-synthesis.com (Electronic Version, 48 Volumes))]; 문헌[J. F. W. McOmi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Plenum Press, London and New York 1973], 문헌[T. W. Greene and P. G. 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ird edition, Wiley, New York 1999], 문헌["The Peptides"; Volume 3 (editors: E. Gross and J. Meienhofer), Academic Press, London and New York 1981], 문헌["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Houben Weyl, 4th edition, Volume 15/I,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74], 문헌[H.-D. Jakubke and H. Jeschkeit, "Aminosauren, Peptide, Proteine"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Verlag Chemie, Weinheim, Deerfield Beach, and Basel 1982], 및 문헌[Jochen Lehmann, "Chemie der Kohlenhydrate: Monosaccha-ride und Derivate" (Chemistry of Carbohydrates: Monosaccharides and Derivatives),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74]에 기재되어 있다. 보호기의 특성은 보호기가 예를 들어, 가용매분해, 환원, 광분해에 의해, 또는 대안적으로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예를 들어, 효소적 절단에 의해) 용이하게(즉, 원하지 않는 이차 반응의 발생 없이)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염 형성기를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은 그 자체가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성기를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은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을 적절한 유기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어 2-에틸 헥산산의 나트륨 염과 같은 금속 화합물, 유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예컨대 상응하는 하이드록사이드, 카르보네이트 또는 하이드로겐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카르보네이트 또는 하이드로겐 카르보네이트, 상응하는 칼슘 화합물 또는 암모니아 또는 적절한 유기 아민으로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화학양론적 양 또는 단지 소량 과량의 염 형성제가 이따금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산부가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를 들어 산 또는 적절한 음이온 교환 시약으로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산성 염 및 염기성 염 형성기, 예를 들어 유리 카르복시기 및 유리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내염(internal salt)은 예를 들어, 산부가염과 같은 염을 예를 들어 약염기를 사용하여 등전점으로 중화함으로써 또는 이온 교환체로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리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으며; 금속 및 암모늄 염은 예를 들어, 적절한 산으로 처리하여 전환될 수 있고, 산부가염은 예를 들어, 적절한 염기성 제제로 처리하여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그 자체가 알려진 방법으로 개별 이성질체로 분리될 수 있고;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예를 들어, 다상 용매 혼합물 사이의 분배, 재결정 및/또는 예를 들어, 실리카겔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프 분리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역상 컬럼 상에서의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라세미체는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순수한 염 형성 시약으로 염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분별 결정에 의해 또는 광학 활성 컬럼 재료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의 분리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은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프법, 분배법, (재)결정화 등을 사용하여, 표준 방법에 따라 워크업(work up) 및/또는 정제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되며, 이는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전반에 걸쳐 사용된 분석은 당업계에 잘 확립되어 있다: 이러한 분석에서의 효능의 입증은 일반적으로 대상체에서 효능을 예측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당업자에게 알려진 유기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아래 반응식에 제공된다.
LC-MS에 의한 고분해능 질량 분광법
전기분무 이온화 공급원과 함께 LTQ-XL Orbitrap 질량 분광계(Thermo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ESI-MS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MS 시스템의 분해능은 대략 30000이었다. 약물 후보를 시료 프로브로부터 UPLC(Acquity, Waters)에 의해 질량 분광계 내로 주입하였다. Acquity UPLC BEH C18 1×50 mm 컬럼 상에서 3분 이내에 5%로부터 95%까지의 구배로 0.15 mL/분 유량으로 분리를 수행하였다. 용매 A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포함하는 물이었고, 용매 B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포함하는 75% 메탄올과 25% 이소프로필 알코올이었다. 시스템의 질량 정확도는 <5 ppm인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 및 2: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14
반응식 1:
Figure pct00015
4-니트로이소벤조푸란-1,3-디온 (2):
Ac2O(1 Ltr) 중 3-니트로프탈산 1(1.0 ㎏, 4.7 몰)의 초기 현탁액을 140℃에서 2.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이를 80℃까지 냉각시키고, 디에틸 에테르(4 Ltr)에 격렬히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침전물을 Buckner 깔때기에 걸친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이를 Et2O로 세정하여 생성물을 고체로서 얻었다.
에틸 4-니트로-1,3-디옥소-2,3-디하이드로-1H-인덴-2-카르복실레이트 (3):
건조 DCM(260 mL) 중 무수물 2(50 g, 0.26 몰)의 현탁액에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42 mL, 0.31 몰) 및 Ac2O(48.5 mL, 0.52 몰)를 주위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 현탁액에 Et3N(108 mL, 0.78 몰)을 실온에서 30분의 기간 내에 적가하여 충전시켰다. 이를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이상 동안 교반한 다음, DCM을 증발시켰다. 그 후에, 수득된 조 물질을 2 리터의 물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켰다. 이를 오버헤드 교반기로 고정시키고, 격렬한 교반 조건 하에 0℃ 미만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300 mL의 2 N HCl을 여기에 첨가하였다. 이를 0℃에서 15분 초과 동안 교반한 다음, Buckner 깔때기에 걸쳐 여과하고, 얼음물(500 mL)로 세정하였다. 그 후에, 이를 3일 동안 공기 건조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4-니트로-1H-인덴-1,3(2H)-디온 (4):
에틸 4-니트로-1,3-디옥소-2,3-디하이드로-1H-인덴-2-카르복실레이트 3(272.5 g, 1.04 몰)을 1 리터의 MeCN : 물(20:1, 1.0 M)에서 얻었다. 이 현탁액을 TFA(60 mL, 1.14 몰)로 실온에서 서서히 충전시킨 다음, 50℃에서 가열을 유지시켰다. 4시간 후, 반응 물질을 대략 100 mL의 용매가 남을 때까지 회전증발기(rotavapour)에 걸쳐 농축시켰다. 그 후에, 침전된 고체를 Buckner 깔때기에 걸쳐 여과하고, (1:1) CHCl3 : 헥산으로 세정하였다. 이는 고체 생성물을 제공하고, 여과물을 다시 농축시켜 제2 수확(crop)에서 더 많은 생성물을 얻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16
2,2-디하이드록시-4-니트로-1H-인덴-1,3(2H)-디온 (5):
4-니트로-1H-인덴-1,3(2H)-디온(4)(250 g, 1.31 몰)을 1,4-디옥산(2 리터) 및 AcOH(200 ml)에서 얻었다. 여기에 SeO2(291 g, 2.62 몰)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10℃에서 다음 4시간 동안 환류에서 유지시켰다. 이를 실온에서 다음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에, 이를 500 g 내지 600 g의 CELITE로 충전시켰다. 이를 잘 교반하고, CELITE 패드에 걸쳐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0 내지 500 mL)로 세정하였다. 수득된 여과물을 농축시켜 조 물질(crude mass)을 얻고, 그 후에 이를 다음 단계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4b,9b-디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7):
2,2-디하이드록시-4-니트로-1H-인덴-1,3(2H)-디온 5(조 물질, 1.31 몰)을 빙(glacial) AcOH(2 리터)에서 얻고, 3-이소프로필 페놀 6(196 g, 1.44 몰)으로 충전시키고, 다음 10시간 동안 환류에서 유지시켰다. 그 후에, 이를 완전히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0%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9b-클로로-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8):
4b,9b-디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7(50 g, 0.147 몰)을 DCM(500 mL)에서 얻은 다음, 이 현탁액을 단일 로트(lot)에서 옥살릴 클로라이드(1.2 eq)로 충전시켰다. 그 후에, 이를 DMF(50 mL)로 서서히 충전시켰다. 그 후에, 반응 물질을 실온에서 다음 6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이를 물(500 mL)로 켄칭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DCM(300 mL × 2)으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물(300 mL) 및 염수(3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소듐 설페이트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고, 그 후에 이를 짧은 실리카 패드(헥산 중 30% 에틸아세테이트)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mp: 1H-NMR (300 ㎒, CDCl3): δ 1.18 (dd, J = 3.6 ㎐, J = 6.9 ㎐, 6H), 2.84 (sept, J = 6.9 ㎐, 1H), 6.34 (s, 1H), 6.70 (s, 1H), 6.94 (dd, J = 1.0 ㎐, J = 7.8 ㎐, 1H), 7.45 (d, J = 7.8 ㎐, 1H), 7.81-7.83 (m, 1H), 8.21 (m, 1H), 8.52 (m, 1H).
9b-아미노-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9):
9b-클로로-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8(36.0 g, 0.1 몰)을 THF(350 mL)에서 얻고, -40℃까지 냉각시켰다. 여기에 IPA(100 mL, 0.20 몰) 중 NH3의 2.0 M 용액을 적하 깔때기를 사용하여 첨가하고, 온도를 -20℃ 미만에서 유지시켰다. 반응 물질을 -20℃에서 1시간 동안 모니터링한 다음, 실온까지 가온시켰다. 이를 반응 완료 시까지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완전히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에틸아세테이트(500 mL)에서 얻고, 물(200 mL × 2) 및 염수(1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한 다음,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고, 이를 짧은 실리카 패드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Cl3) δ 1.18 (d, J = 6.9 ㎐, 6H), 2.84 (sept, J = 6.9 ㎐, 1H), 3.46 (s, 1H), 6.25 (s, 1H), 6.74 (s, 2H), 6.90 (dd, J = 1.2 ㎐, J = 7.8 ㎐, 1H), 7.55 (d, J = 7.8 ㎐, 1H), 7.77 (t, J = 8.1 ㎐, 1H), 8.22 (dd, J = 1.2 ㎐, J = 8.4 ㎐, 1H), 8.52 (dd, J = 1.2 ㎐, J = 8.1 ㎐, 1H).
N-(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4-니트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0):
9b-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9(950 mg, 2.80 mmol)를 AcOH(10 mL, 0.1 M)에서 얻고, 여기에 아세트산 무수물(0.263 mL, 2.8 mmol)을 주위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를 80℃에서 다음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물질을 농축시킨 다음, EA(100 mL)에서 얻었다. 이를 물(30 mL) 및 염수(3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수득된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0-40%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N-(1-아미노-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1):
N-(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4-니트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0(500 mg, 1.3 mmol)을 EtOH : 물(10:1, 15 mL, 0.1 M)에서 얻고, 여기에 Fe 분말(0.219 mg, 3.92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촉매량의 진한 HCl(3 방울)로 충전시키고, 90℃에서 다음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물질을 고온 조건 하에 CELITE에 걸쳐 여과하고, EA를 사용하여 잔류물을 세정하였다. 이를 농축시킨 다음, EA(250 mL)에서 얻었다. 이를 물(100 mL) 및 염수(1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수득된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1 = EA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2) 및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3):
N-(1-아미노-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560 mg)를 (AD 컬럼, SFC=100 ml/분, CO2/EtOH=70/30, 236 bar)을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43 mg의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2를 (피크 2, tR 4.33분)로서;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1-7.50 (m, 1H), 7.32-7.40 (m, 1H), 6.94-7.03 (m, 1H), 6.79-6.91 (m, 1H), 6.58-6.74 (m, 2H), 2.77-2.94 (m, 1H), 1.96-2.05 (m, 3H), 1.12-1.26 (m, 6H) 그리고 246 mg의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7-이소프로필-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3을 (피크 1, tR 2.30분)로서 얻었다; 1H NMR (400 ㎒, 메탄올-d4) δ: 7.39-7.46 (m, 1H), 7.35 (br d, J=7.8 ㎐, 1H), 6.97 (br d, J=7.3 ㎐, 1H), 6.84 (br d, J=7.6 ㎐, 1H), 6.61-6.69 (m, 2H), 2.82 (dt, J=13.6, 6.8 ㎐, 1H), 1.98 (s, 3H), 1.17 (dd, J=6.9, 1.6 ㎐, 6H).
실시예 3 내지 5: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9);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20) 및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21)
Figure pct00017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19)(500 mg)를 (AD 컬럼, SFC=100 ml/분, CO2/IPA=80/20, 226 bar)를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20)을 (피크 2, tR 4.50분)로서; 1H NMR (500 ㎒, 메탄올-d4) δ 7.58-7.70 (m, 1H), 7.42-7.53 (m, 1H), 7.26 (br d, J=7.80 ㎐, 1H), 6.97-7.11 (m, 2H), 6.67-6.83 (m, 1H), 2.02 (s, 3H) 그리고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21)을 (피크 1, tR 2.49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1.13 (br d, J=7.6 ㎐, 1H), -1.29 (br t, J=7.6 ㎐, 1H), -1.50 (br d, J=7.3 ㎐, 1H), -1.79--1.69 (m, 2H), -2.09--1.95 (m, 1H), -6.75 (s, 3H).
반응식 3:
Figure pct00018
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틸)-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15):
1,4 디옥산 : AcOH(10:1, 330 mL, 0.6 M) 중 4-니트로-1H-인덴-1,3(2H)-디온 4(42.1 g, 0.22 mol)의 용액에 SeO2(48.8 g, 0.44 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30℃에서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이를 냉각시키고, EA(약 200 mL)를 사용하여 CELITE에 걸쳐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완전히 농축시키고, 조 2,2-디하이드록시-4-니트로-1H-인덴-1,3(2H)-디온 5를 MeSO3H(350 mL, 0.6 M)에서 얻었다. 여기에 3-(트리플루오로메틸) 페놀 14(29 mL, 0.24 mol)를 적가하고, 실온(30℃)에서 다음 24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그 후에, 반응 물질을 얼음물(1500 mL)에서 켄칭하고, 고체를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EA(500 mL)에 용해시키고, 물(200 ml) 및 염수(2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조 물질로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10% DCM과 함께 헥산 중 10-40%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9b-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틸)-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16):
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틸)-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15(25 g, 68 mmol)를 DCM(270 mL, 0.25 M)에서 얻고, 옥살릴 클로라이드(7.1 mL, 82 mmol)로 실온에서 충전시켰다. 여기에 DMF(26 mL, 340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주위 온도(20℃)에서 교반되게 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20℃)에서 다음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옥살릴 클로라이드(1.8 mL, 0.3 eq)로 다시 충전시키고, 다음 12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약 300 mL)로 희석시켰다. 수성층을 DCM(약 300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물(약 300 ml) 및 염수(약 3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10-25%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9b-아미노-4b-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틸)-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17):
9b-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틸)-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16(20.5 g, 53 mmol)을 THF(350 mL, 0.15 M)에서 얻고, -40℃까지 냉각시켰다. 여기에 IPA(65 mL, 0.13 mol) 중 2.0 M NH3를 10분의 기간 내에 적가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다음 3시간 동안 교반되게 두었다. 그 후에, 이를 EA(약 200 내지 300 mL)로 희석시키고, 10% 염수(약 200 mL × 2)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N-(4b-하이드록시-4-니트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8):
9b-아미노-4b-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틸)-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17(21 g, 50 mmol)을 빙 AcOH(250 mL, 0.2 M)에서 얻고, 즉시 Ac2O(9.5 mL, 0.1 mol)로 충전시켰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다음 6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공용매로서 10% DCM과 함께 Hx 중 20-40% EA)에 걸쳐 바로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9):
N-(4b-하이드록시-4-니트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18(9.0 g, 22 mmol)을 EtOH : 물(10:1, 110 mL, 0.2 M)에서 얻고, 여기에 Fe 분말(3.7 g, 66 mmol)로 충전시키고, 뒤이어 HCl(0.5 mL)로 충전시켰다. 이를 90℃에서 다음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물질을 고온 EA(약 50 내지 100 mL)를 사용하는 가온 조건 하에 CELITE에 걸쳐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EA(약 600 내지 800 mL)에서 얻고, 물(400 mL)로 세정하였다. 수성층을 EA(약 200 mL ×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물(약 300 mL) 및 염수(약 2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켰다(약 100 내지 150 mL). 그 후에, 침전된 고체를 잘 초음파처리하고, 여과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첨가제로서 DCM과 함께 Hx 중 20-50% EA)에 걸쳐 정제하여, 추가량의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3OD) δ 2.0 (s, 3H), 6.74 (s, 1H), 7.00-7.02 (m, 2H), 7.24 (d, J = 7.8 ㎐, 1H), 7.43-7.48 (m, 1H), 7.61 (d, J = 7.8 ㎐, 1H). LCMS: 378.6 [M + H]+.
Figure pct00019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20)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19)(500 mg)를 (AD 컬럼, SFC=100 ml/분, CO2/IPA=80/20, 226 bar)를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02 mg의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20)을 (피크 2, tR 4.50분)로서; 1H NMR (500 ㎒, 메탄올-d4) δ 7.58-7.70 (m, 1H), 7.42-7.53 (m, 1H), 7.26 (br d, J=7.80 ㎐, 1H), 6.97-7.11 (m, 2H), 6.67-6.83 (m, 1H), 2.02 (s, 3H) 그리고 205 mg의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21)을 (피크 1, tR 2.49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1.13 (br d, J=7.6 ㎐, 1H), -1.29 (br t, J=7.6 ㎐, 1H), -1.50 (br d, J=7.3 ㎐, 1H), -1.79--1.69 (m, 2H), -2.09--1.95 (m, 1H), -6.75 (s, 3H).
실시예 6: N-((4bR,9bR)-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31)
Figure pct00020
반응식 4:
Figure pct00021
7-브로모-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23):
4-니트로-1H-인덴-1,3(2H)-디온 4(10.0 g, 52.3 mmol)를 AcOH : 디옥산(1:10, 105 mL, 0.5 M)에서 얻었다. 이를 SeO2(12.77 g, 115.1 mmol)로 충전시키고, 105-110℃에서 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후에, 반응 물질을 고온 조건 하에 CELITE에 걸쳐 여과한 다음, 휘발물을 농축시켜 조 2,2-디하이드록시-4-니트로-1H-인덴-1,3(2H)-디온 5를 얻었다. 그 후에, 이러한 조 생성물을 빙 AcOH(210 mL, 0.25 mmol)에서 얻고, 이를 3-브로모 페놀 22(9.96 g, 57.5 mmol)로 충전시키고 다음 12시간 동안 환류에서 유지시켰다. 반응 물질을 농축시키고, EA(500 내지 600 mL)에서 얻었다. 이를 CELITE에 걸쳐 여과하고, 잔류물을 EA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물(200 mL × 2) 및 염수(1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5-40% EA)에 걸쳐 2회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7-브로모-9b-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24):
7-브로모-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23(39.5 g, 0.105 mol)를 DCM(520 mL, 0.2 M)에서 얻고, 옥살릴 클로라이드(11 mL, 0.13 mmol)로 실온에서 충전시켰다. 여기에 DMF(40 mL, 0.53 mol)를 서서히 첨가하고(30분에 걸쳐 0.05 mL/분, 그 후에 30분에 걸쳐 0.1 mL/분, 그 후에 나머지), 주위 온도(30℃)에서 교반되게 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rt(20℃)에서 다음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약 300 mL)로 희석시켰다. 수성층을 DCM(약 500 mL × 2)으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물(약 300 ml) 및 염수(약 3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10-30%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9b-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25):
9b-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8-(트리플루오로메틸)-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24(21.2 g, 53.4 mmol)을 THF(530 mL, 0.1 M)에서 얻고, -40℃까지 냉각시켰다. 이를 IPA(54 mL, 0.11 mmol) 중 2.0 M NH3에 동일한 온도에서 충전시키고, 다음 3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약 150 mL) 및 염수(150 mL)로 희석시켰다. 수성층을 EA(약 300 mL ×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염수(약 1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공용매로서 20% DCM과 함께 헥산 중 20-30%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Tert-부틸 (7-브로모-4b-하이드록시-4-니트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카르바메이트 (26):
Boc 무수물(8.74 g, 40 mmol) 및 분자I2(0.69 g, 2.67 mmol)를 THF(5.0 mL, 5.0 M) 중 9b-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25(10.1 g, 31 mmol)의 라세미 혼합물의 용액에 첨가하고, rt(30℃)에서 다음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농축시키고, 정제하였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10% DCM과 함께 헥산 중 10%-30%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Tert-부틸 (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카르바메이트 (27):
라세미 tert-부틸 (7-브로모-4b-하이드록시-4-니트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카르바메이트 26(10.3 g, 21.5 mmol)의 혼합물을 EtOH : 물(10 : 1, 110.0 mL, 0.20 M)에서 얻고, 여기에 Fe 분말(3.57 g, 63.9 mmol)로 충전시키고, 뒤이어 진한 HCl(0.8 mL, cat.)로 충전시켰다. 이를 90℃에서 다음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물질을 고온 EA(50 내지 100 mL)를 사용하는 가온 조건 하에 CELITE에 걸쳐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EA(약 1000 내지 1200 mL)에서 얻고, 물(약 300 내지 500 mL)및 염수(약 3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x 중 10-30%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Tert-부틸 ((4bR,9bR)-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카르바메이트 (28) 및 tert-부틸 ((4bR,9bR)-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카르바메이트 (29):
Tert-부틸 (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카르바메이트(27)를 (AD 컬럼, HPLC=20 ml/분, 헵탄 /EtOH=70/30, 724 psi)을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bR,9bR)-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카르바메이트(28)를 (피크 2, tR 15.59분)로서;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8 (br t, J=7.7 ㎐, 1H), 7.37 (br s, 1H), 7.11 (br s, 1H), 7.02 (br d, J=7.1 ㎐, 1H), 6.95 (s, 1H), 6.72 (br s, 1H), 1.42 (br s, 5H), 1.13 (br s, 4H) LCMS: 447.2/449.2 [M + H]+ 그리고 tert-부틸 ((4bS,9bS)-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9b,10-디하이드로-4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카르바메이트(29)를 (피크 1, tR 8.97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8 (br t, J=7.6 ㎐, 1H), 7.37 (br s, 1H), 7.11 (br s, 1H), 7.02 (br d, J=6.9 ㎐, 1H), 6.95 (s, 1H), 6.72 (br s, 1H), 1.42 (br s, 5H), 1.13 (br s, 4H) LCMS: 447.2/449.2 [M + H]+
(4bR,9bR)-1,9b-디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30):
Tert-부틸 ((4bR,9bR)-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카르바메이트 28(112 mg, 0.25 mmol)을 DCM(2.5 mL, 0.1 M)에서 얻고, 디옥산(0.63 mL, 2.50 mmol) 중 4.0 M HCl로 즉시 충전시켰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r.t.(20℃)에서 다음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50 mL)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20 mL)와 함께 5-10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A(30 mL ×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물(20 ml) 및 염수(2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생성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N-((4bR,9bR)-1-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31):
(4bR,9bR)-1,9b-디아미노-7-브로모-4b-하이드록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30(76 mg, 0.22 mmol)을 빙 AcOH(2.2 mL, 0.1 M)에서 얻고, Ac2O(0.03 mL, 1.2 mmol)로 즉시 충전시켰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다음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후에, 10 mL의 2 N HCl(aq.)을 첨가하고, 80℃에서 다음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공용매로서 1-2% MeOH와 함께 Hx 중 20-50% EA)에 걸쳐 바로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그대로 얻었다. 1H-NMR (300 ㎒, MeOD) δ 7.50-7.40 (br, 1H), 7.40-7.25 (br, 1H), 7.10 (d, J = 7.4 ㎐, 1H), 7.05-6.85 (m, 2H), 6.69 (br, 1H), 1.99 (s, 3H).
Figure pct00022
실시예 7 내지 9: N-(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0); N-((4bR,9bR)-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1) 및 N-((4bS,9bS)-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2)
Figure pct00023
반응식 5:
Figure pct00024
(3-브로모페녹시)(tert-부틸)디메틸실란 (32):
3-브로모페놀 22(2.08 g, 12 mmol)를 건조 DCM(40 mL, 0.3 M)에서 얻었다. 이를 TBDMS-Cl(2.0 g, 13 mmol)로 충전시켰다. 그 후에, 이를 이미다졸(1.37 g, 20 mmol)로 충전시키고, 실온에서 다음 15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반응 물질을 바로 여과하고, 잔류물을 DCM으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수득된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0-5% EA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Cl3) δ 0.20 (s, 6H), 0.97 (s, 9H), 6.74-6.78 (m, 1H), 7.00 (s, 1H), 7.07-7.09 (m, 1H).
Tert-부틸(3-사이클로프로필페녹시)디메틸실란 (34):
(3-브로모페녹시)(tert-부틸)디메틸실란 32(430 mg, 1.5 mmol)를 톨루엔 : 물(사전에 질소로 퍼징됨)(7.33 mL, 0.2 M)에서 얻었다. 이를 사이클로프로판 보론산 33(154 mg, 1.8 mmol)으로 충전시켰다. 그 후에, 이를 PCy3(42 mg, 0.15 mmol), K3PO4(1.1 g, 5.24 mmol) 및 Pd(OAc)2(17 mg, 0.07 mmol)로 충전시켰다. 그 후에, 이를 110℃에서 다음 3시간 동안 환류되게 하였다. 반응 물질을 CELITE를 통해 통과시키고, 에테르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물(30 mL) 및 염수(3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고, 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0-5% EA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Cl3) δ 0.19 (s, 6H), 0.63-0.68 (m, 2H), 0.89-1.02 (m, 11H), 1.79-1.88 (m, 1H), 6.52-6.54 (m, 1H), 6.59-6.68 (m, 2H), 7.06-7.11 (m, 1H).
3-사이클로프로필페놀 (35)
Tert-부틸(3-사이클로프로필페녹시)디메틸실란 34(1.74 g, 7.0 mmol)를 THF(23 mL, 0.3 M)에서 얻고, 여기에 1.0 M TBAF(9.1 mL, 9.1 mmol)를 첨가하였다. 이를 실온에서 다음 7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농축시킨 다음, EA(200 mL)에서 얻었다. 이를 포화 NH4Cl(50 mL), 물(50 mL) 및 염수(5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수득된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5%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500 ㎒, CDCl3) δ 0.69-0.73 (m, 2H), 0.95-0.99 (m, 2H), 1.85-1.90 (m, 1H), 4.71 (br, 1H), 6.56-6.57 (m, 1H), 6.63 (dd, J = 2.5 ㎐, J = 8.0 ㎐, 1H), 6.70 (d, J = 8.0 ㎐, 1H), 7.13-7.16 (m, 1H, ArH).
7-사이클로프로필-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36):
2,2-디하이드록시-4-니트로-1H-인덴-1,3(2H)-디온 5(1.80 g, 8.0 mmol) 및 3-사이클로프로필페놀 35(1.1 g, 8.0 mmol)를 빙 AcOH(40 mL, 0.2 M)에서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물질을 농축시키고, EA(200 mL)에 용해시켰다. 이를 물(50 mL) 및 염수(5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그 후에, 수득된 조 물질을 DCM : 헥산(대략 50 mL)에서 얻고, 수득된 고체를 초음파처리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여과물을 다시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0% EA)에 걸쳐 정제하여, 나머지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3OD) δ 0.65-0.67 (m, 2H), 0.95-0.99 (m, 2H), 1.81-1.86 (m, 1H), 3.67 (br, 1H), 6.22 (br, 1H), 6.50 (s, 1H), 6.77 (d, J = 8.0 ㎐, 1H), 7.43 (d, J = 8.0 ㎐, 1H), 7.78-7.82 (m, 1H), 8.18 (d, J = 7.5 ㎐, 1H), 8.50 (d, J = 8.0 ㎐, 1H).
9b-클로로-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37):
7-사이클로프로필-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36(1.70 g, 5.0 mmol)을 DCM(20 mL, 0.25 M)에서 얻고, 옥살릴 클로라이드(0.52 mL, 6.0 mmol)로 충전시켰다. 그 후에, 이를 DMF(2 mL)로 서서히 충전시켰다. 3시간 후, 추가 옥살릴 클로라이드(0.08 mL)를 첨가하였다. 그 후에, 반응물을 실온에서 다음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DCM으로 200 mL까지 희석시켰다. 이를 물(100 mL × 2)로 세정하였다. 그 후에, 이를 포화 염수(100 mL)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였다. 이를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x 중 10-15%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Cl3) δ 0.61-0.68 (m, 2H), 0.93-0.99 (m, 2H), 1.81-1.87 (m, 1H), 6.28 (br, 1H), 6.49 (s, 1H), 6.78 (d, J = 8.1 ㎐, 1H, ArH), 7.39 (d, J = 8.1 ㎐, 1H), 7.78-7.823 (m, 1H), 8.19 (d, J = 7.5 ㎐, 1H), 8.49 (d, J = 8.1 ㎐, 1H).
9b-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38):
9b-클로로-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37(715 mg, 2.0 mmol)을 건조 THF(20.0 mL, 0.1 M)에서 얻었다. 이를 -40℃까지 냉각시킨 다음, IPA(2.0 mL, 4.0 mmol) 중 2.0 M NH3로 충전시켰다. 그 후에, 이를 -40℃ 내지 -30℃에서 다음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25℃에서 부피의 절반까지 농축시킨 다음, 물로 켄칭하였다. 이를 다시 농축시켜 모든 휘발물을 제거한 다음, EA(150 mL)에서 얻었다. 이를 물(50 mL × 2) 및 염수(5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수득된 조 물질을 사전에 TEA로 탈활성화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2 = EA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3OD) δ 0.59-0.64 (m, 2H), 0.85-0.90 (m, 2H), 1.73-1.85 (m, 1H), 6.56 (s, 1H), 6.81 (d, J = 7.8 ㎐, 1H), 7.46 (d, J = 7.8 ㎐, 1H), 7.77-7.80 (m, 1H), 8.25 (d, J = 7.5 ㎐, 1H), 8.58 (d, J = 8.1 ㎐, 1H).
9b-클로로-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39):
2,4,6 트리클로로벤조산(168 mg, 0.75 mmol)을 THF(5 mL, 0.1 M)에서 얻고, 여기에 NMM(0.083 mL, 0.75 mmol)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를 아세틸 클로라이드(0.054 mL, 0.75 mmol)로 충전시키고, 0℃에서 다음 30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다음, 이를 단일 로트에서 9b-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38(170 mg, 0.5 mmol)로 충전시키고, 0℃에서 다음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농축시킨 다음, EA(100 mL)에서 얻었다. 이를 물(30 mL) 및 염수(3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수득된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1 = EA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Cl3) δ 0.59-0.64 (m, 2H), 0.92-0.98 (m, 2H), 1.77-1.85 (m, 1H), 2.07 (s, 3H), 6.06 (br, 1H), 6.46 (br, 2H), 6.76 (dd, J = 7.8 ㎐, J = 1.2 ㎐, 1H), 7.38 (d, J = 7.8 ㎐, 1H), 7.71-7.76 (m, 1H), 8.19 (d, J = 7.5 ㎐, 1H), 8.45 (d, J = 7.8 ㎐, 1H).
N-(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0):
N-(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4-니트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39(150 mg, 0.39 mmol)를 EtOH : 물(10 : 1, 8 mL, 0.05 M)에서 얻고, 여기에 Fe 분말(66 mg, 1.18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2 방울의 진한 HCl로 충전시킨 다음, 반응을 다음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물질을 CELITE에 걸쳐 건조하고, 잔류물을 고온 조건 하에 EA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조 물질을 EA(100 mL)에서 얻었다. 이를 물(30 mL) 및 염수(3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켰다. 그 후에, 수득된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1 = EA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3OD) δ 0.59-0.61 (m, 2H), 0.89-0.92 (m, 2H), 1.79-1.85 (m, 1H), 2.01 (s, 3H), 6.44 (s, 1H), 6.52-6.72 (m, 2H), 6.95-7.02 (m, 1H), 7.29-7.32 (m, 1H), 7.39-7.44 (m, 1H).
Figure pct00025
N-((4bR,9bR)-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1) 및 N-((4bS,9bS)-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2):
N-(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40)(500 mg)를 (AD 컬럼, HPLC=20 ml/분, 헵탄 /EtOH=70/30, 722psi)를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4bR,9bR)-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41)를 (피크 2, tR 17.95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3 (br s, 1H), 7.30 (br s, 1H), 6.98 (br s, 1H), 6.60-6.76 (m, 2H), 6.45 (br s, 1H), 1.99 (s, 3H), 1.84 (br s, 1H), 0.91 (br d, J=8.0 ㎐, 2H), 0.58-0.66 (m, 2H).
Figure pct00026
그리고 N-((4bS,9bS)-1-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42)를 (피크 1, tR 9.16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4 (br d, J=2.8 ㎐, 1H), 7.33 (br d, J=5.7 ㎐, 1H), 7.00 (br d, J=1.7 ㎐, 1H), 6.73 (br d, J=6.9 ㎐, 1H), 6.64-6.71 (m, 1H), 6.47 (br s, 1H), 2.00 (s, 3H), 1.79-1.92 (m, 1H), 0.86-0.99 (m, 2H), 0.57-0.70 (m, 2H).
Figure pct00027
실시예 10 내지 12: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48);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9) 및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50)
Figure pct00028
반응식 6:
Figure pct00029
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44):
2,2-디하이드록시-4-니트로-1H-인덴-1,3(2H)-디온 5(1.34 g, 6 mmol)를 TFA(24 mL, 0.25 M)에서 얻었다. 여기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놀 43(1.07 g, 6 mmol)을 충전시키고, 이를 실온(30℃)에서 다음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농축시켰다. 그 후에, 이를 EA(200 mL)에서 얻고, 물(100 mL × 2) 및 염수(10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그 후에,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2 = EA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9b-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45):
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44(385 mg, 1.0 mmol)를 DCM(4.0 mL, 0.25 M)에서 얻었다. 여기에 옥살릴 클로라이드(0.103 mL, 1.21 mmol)를 충전시키고, 뒤이어 DMF(0.4 mL, 5.0 mmol)를 충전시키고, 실온(3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DCM(약 100 mL)으로 희석시키고, 물(50 mL × 2) 및 염수(50 mL)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10-15%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9b-아미노-4b-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46):
9b-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45(200 mg, 0.50 mmol)를 THF(5.0 mL, 0.1 M)에서 얻었다. 이를 -40℃까지 냉각시키고, IPA(0.5 mL, 1.0 mmol) 중 2.0 M NH3로 충전시키고, -10℃에서 다음 3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반응 물질을 농축시키고, 물(50 mL)로 켄칭하고, EA(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물(50 mL) 및 염수(30 mL)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의 짧은 패드(헥산 중 30-40%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N-(4b-하이드록시-4-니트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7):
2,4,6 트리클로로벤조산(89 mg, 0.40 mmol)을 THF(2.0 mL, 0.1 M)에서 얻고, 이를 0℃까지 냉각시켰다. 여기에 NMM(0.44 mL, 0.40 mmol)을 첨가하고, 뒤이어 AcCl(0.021 mL, 0.3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물질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여기에 9b-아미노-4b-하이드록시-4-니트로-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46(76 mg, 0.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물질을 0℃에서 다음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50 mL)로 켄칭하고, EA(50 mL ×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물(30 mL) 및 염수(30 mL)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0-35% EA)에 걸쳐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8):
N-(4b-하이드록시-4-니트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7(21 mg, 0.05 mmol)을 EtOH : 물(10 : 1, 2.5 mL, 0.02 M)에서 얻고, Fe 분말(8.3 mg, 0.15 mmol)로 충전시켰다. 이를 진한 HCl(1 방울)로 충전시키고, 90℃에서 다음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물질을 고온 조건 하에 CELITE에 걸쳐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EA(약 2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농축시킨 다음, EA(약 50 mL)에서 얻었다. 이를 물(약 20 mL) 및 염수(약 20 mL)로 세정하였다. 이를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역상 HPLC(용리제로서 MeCN : 물)에 걸쳐 바로 정제하여, 조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300 ㎒, CD3OD) δ 2.01 (s, 3H), 6.71 (s, 1H), 6.77 (d, J = 8.4 ㎐, 1H), 6.87 (d, J = 8.4 ㎐, 1H), 7.02 (d, J = 7.2 ㎐, 1H), 7.45-7.52 (m, 2H).
Figure pct00030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49) 및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50):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48)(200 mg)를 (AD 컬럼, SFC=100 ml/분, CO2/IPA=85/15, 206 bar)를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49)를 (피크 2, tR 7.41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37-7.55 (m, 2H), 7.00 (d, J=7.3 ㎐, 1H), 6.85 (br d, J=8.3 ㎐, 1H), 6.75 (br d, J=6.9 ㎐, 1H), 6.69 (s, 1H), 1.99 (s, 3H).
Figure pct00031
그리고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톡시)-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50)를 (피크 1, tR 4.10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2-7.52 (m, 2H), 7.00 (d, J=7.3 ㎐, 1H), 6.84 (br d, J=8.3 ㎐, 1H), 6.75 (br d, J=8.3 ㎐, 1H), 6.68 (s, 1H), 1.99 (s, 3H).
Figure pct00032
실시예 13 내지 15: N-(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및 N-((4bR,9bR)-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및 N-((4bS,9bS)-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3
반응식 7:
Figure pct00034
2,2-디하이드록시-4-니트로-1H-인덴-1,3(2H)-디온(5):
디옥산 : AcoH(20 mL/2 mL) 중 4-니트로-1H-인덴-1,3(2H)-디온 4(2.3 g, 12 mmol)의 혼합물에 셀레늄 디옥사이드(2.7 g, 24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물질을 130℃에서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물질을 주위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키고, CELITE 베드를 통해 통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정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잔류물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7-클로로-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52):
아세트산(20 mL) 중 2,2-디하이드록시-4-니트로-1H-인덴-1,3(2H)-디온 5(3.7 g, 조 물질)의 혼합물에 3-클로로페놀 51(1.6 g, 12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물질을 110℃에서 1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물질을 주위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키고, CELITE 베드를 통해 통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정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7,9b-디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53):
DCM(6 mL) 중 7-클로로-4b,9b-디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52(400 mg, 1.2 mmol)의 혼합물에 옥살릴 클로라이드(0.12mL, 1.44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물질에 DMF(0.4 mL)를 1시간 동안 적가한 다음, 반응 물질을 주위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50 mL × 2)로 세정한 다음, 유기층을 염수 용액으로 세정하고,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9b-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54):
-40℃에서 THF(3 mL) 중 7,9b-디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53(220 mg, 0.63 mmol)의 혼합물에 IPA(0.8 mL, 1.6 mmol) 중 암모니아를 5분 동안 첨가하고, 반응 물질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키고, 염수 용액(50 mL × 2)으로 세정하였다. 그 후에, 유기층을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N-(7-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55):
AcoH(6 mL) 중 9b-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54(210 mg, 0.63 mmol)의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0.07 mL, 0.76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물질을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증발 건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에 용해시키고, 유기층을 물(25 mL X2)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에 걸쳐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N-(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56):
EtOH: H2O(9 mL) 중 N-(7-클로로-4b-하이드록시-4-니트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100 mg, 0.26 mmol)의 용액에 Fe 분말(45 mg 0.8 mmol) 및 진한 HCl (1 방울)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물질을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물질을 CELITE 베드(bed)를 통해 통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정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잔류물을 얻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물(50 mL × 2)로 세정하고,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걸쳐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 메탄올-d 4) δ 7.62 ― 7.24 (m, 2H), 6.99 (t, J = 8.8 ㎐, 2H), 6.82 (d, J = 1.9 ㎐, 1H), 6.72 (s, 1H), 2.01 (s, 3H).
Figure pct00035
N-((4bR,9bR)-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57) 및 N-((4bS,9bS)-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58):
N-(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56)(200 mg)를 (IC 컬럼, SFC=100 ml/분, CO2/MeOH=85/15, 206 bar)를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4bR,9bR)-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57)를 (피크 2, tR 7.20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2-7.49 (m, 1H), 7.39 (br d, J=3.8 ㎐, 1H), 6.99 (br d, J=4.5 ㎐, 1H), 6.90-6.96 (m, 1H), 6.80 (br s, 1H), 6.66-6.77 (m, 1H), 1.99 (br s, 3H).
Figure pct00036
그리고 N-((4bS,9bS)-1-아미노-7-클로로-4b-하이드록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58)를 (피크 1, tR 4.92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7 (t, J=7.8 ㎐, 1H), 7.41 (br d, J=8.3 ㎐, 1H), 7.01 (d, J=7.3 ㎐, 1H), 6.97 (br d, J=8.3 ㎐, 1H), 6.82 (s, 1H), 6.76 (br s, 1H), 2.01 (s, 3H).
Figure pct00037
실시예 16 내지 18: N-(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및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및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8
반응식 8:
Figure pct00039
4b,9b-디하이드록시-7-메틸-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60)
2,2-디하이드록시-4-니트로-1H-인덴-1,3(2H)-디온 5(6.3 g, 조 물질, 26.15 mmol)를 빙 AcOH(44 mL)에 현탁시켰다. m-크레졸 59(3.0 mL, 28.77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20℃에서 다음 6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농축시켰다. 이러한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 디클로로메탄과 함께 헥산 중 50% EA)에 걸쳐 정제하고, 다시 침전시켜, 순수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 CDCl3) δ 8.51 (dd, J = 8.0, 0.8 ㎐, 1H), 8.19 (dd, J = 7.7, 0.9 ㎐, 1H), 7.80 (t, J = 7.8 ㎐, 1H), 7.45 (d, J = 7.8 ㎐, 1H), 6.85 (d, J = 7.8 ㎐, 48H), 6.67 (s, 1H), 2.31 (s, 3H).
9b-클로로-4b-하이드록시-7-메틸-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61)
4b,9b-디하이드록시-7-메틸-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60(5.3 g, 16.91 mmol)을 DCM(67 mL)에 현탁시켰다. 옥살릴 클로라이드(1.7 mL, 20.3 mmol)를 주위 온도에서 서서히(5분) 첨가한 다음, 건조하고, DMF(5 mL)를 주위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고,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25% DCM과 함께 Hex 중 25% EA)로 정제하고, 재침전시켜(DCM/Hex = 1/2), 생성물을 수득하였다.1H NMR (300 ㎒, CDCl3) δ 8.53 (dd, J = 8.0, 0.9 ㎐, 1H), 8.23 (dd, J = 7.7, 1.0 ㎐, 1H), 7.83 (t, J = 7.9 ㎐, 1H), 7.44 (d, J = 7.9 ㎐, 1H), 6.89 (d, J = 7.9 ㎐, 1H), 6.68 (d, J = 7.2 ㎐, 1H), 6.34 (s, 1H), 2.32 (d, J = 6.1 ㎐, 3H).
9b-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62)
9b-클로로-4b-하이드록시-7-메틸-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 61(2.29 g, 6.9 mmol.)을 건조된 THF(69 mL)에 용해시킨 다음, IPA(6.9 mL) 중 NH3의 2.0 M 용액을 - 4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까지 가온시킨 다음,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반응 혼합물을 EA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정하였다. 이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3% DCM과 함께 Hex 중 33% EA)로 정제하고, 재침전시킨 다음(DCM/Hex = 1/2),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 CDCl3) δ 8.52 (d, J = 8.0 ㎐, 1H), 8.14 (d, J = 7.6 ㎐, 1H), 7.75 (t, J = 7.8 ㎐, 1H), 7.31 (m, 1H), 6.83 (t, J = 8.6 ㎐, 1H), 6.67 (s, 1H), 2.30 (d, J = 6.0 ㎐, 3H).
N-(4b-하이드록시-7-메틸-4-니트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63)
9b-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4-니트로-4b,9b-디하이드로-10H-인데노[1,2-b]벤조푸란-10-온(310 mg, 1.0 mmol.) 및 아세트산 무수물(0.113 mL, 1.2 mmol.)을 아세트산(10 mL)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생성된 용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EA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에 걸쳐 건조하고, 농축시킨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 DCM과 함께 헥산 중 50% EA)로 정제하고, 재침전시켜(DCM/Hex = 1/2), 생성물을 수득하였다.1H NMR (300 ㎒, CDCl3) δ 8.47 (dd, J = 8.1, 0.8 ㎐, 1H), 8.22 (d, J = 6.9 ㎐, 1H), 7.76 (t, J = 7.8 ㎐, 1H), 7.42 (d, J = 7.8 ㎐, 1H), 6.85 (d, J = 7.9 ㎐, 1H), 6.64 (s, 1H), 6.50 (s, 1H), 6.08 (s, 1H), 2.31 (s, 3H), 2.10 (s, 3H).
N-(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64)
N-(4b-하이드록시-7-메틸-4-니트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63(150 mg, 0.4233 mmol.)을 에탄올(8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철 분말(70 mg 1.27 mmol.), 물(0.8 mL) 및 진한-HCl (2-방울)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생성된 용액을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킨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 DCM과 함께 Hex 중 50% 내지 150% EA)로 정제하고, EA로 재침전시킨 다음,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 CDCl3) δ 8.83 (s, 0.5H), 7.52 (m, 1.5H), 7.23 (m, 1.6H), 7.17 (d, J = 7.5 ㎐, 0.7H), 6.85 (m, 1H), 6.77 (d, J = 7.8 ㎐, 0.7H), 6.66 (m, 1.5H), 6.60 (d, J = 8.1 ㎐, 0.7H), 6.54 (brs, 0.3H), 5.76 (d, J = 8.9 ㎐, 1H), 5.55 (brs, 1H), 2.29 (s, 2H), 2.26 (s, 1H), 2.06 (s, 3H).
Figure pct00040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65) 및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66)
N-(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64)(200 mg)를 (AD 컬럼, HPLC=20 ml/분, 헵탄 /IPA=70/30, 759 psi)를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65)를 (피크 2, tR 12.49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m㎐, 메탄올-d4) δ: 7.38-7.47 (m, 1H), 7.28-7.37 (m, 1H), 6.97 (br d, J=6.6 ㎐, 1H), 6.79 (br d, J=6.9 ㎐, 1H), 6.66 (br d, J=7.3 ㎐, 1H), 6.59 (br s, 1H), 2.27 (s, 3H), 1.99 (s, 3H).
Figure pct00041
그리고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66)를 (피크 1, tR 7.77분)로서 얻었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4 (br s, 1H), 7.34 (br s, 1H), 6.99 (br d, J=5.7 ㎐, 1H), 6.80 (br d, J=6.1 ㎐, 1H), 6.68 (br d, J=4.0 ㎐, 1H), 6.61 (br s, 1H), 2.28 (s, 3H), 2.01 (s, 3H).
Figure pct00042
실시예 19: N-(1-아미노-4b-하이드록시-8-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3
상기 화합물에 대한 절차는, N-(1-아미노-4b-하이드록시-8-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를 얻기 위해 m-크레졸 대신에 p-크레졸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 내지 18에 언급된 바와 유사한 경로를 따른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44 (br t, J=7.2 ㎐, 1H), 7.30 (br s, 1H), 7.09 (br d, J=7.8 ㎐, 1H), 6.99 (br d, J=6.9 ㎐, 1H), 6.67 (br t, J=9.2 ㎐, 2H), 2.30 (br s, 3H), 2.01 (s, 3H).
Figure pct00044
실시예 20: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8-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5
라세미체 N-(1-아미노-4b-하이드록시-8-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200 mg)를 (AD 컬럼, SFC=100 ml/분, CO2/EtOH=75/25, 226 bar)를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생성물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8-메틸-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를 (피크 2, tR 5.43분)로서; 1H NMR (400 ㎒, 메탄올-d4) δ: 7.42 (br t, J=7.1 ㎐, 1H), 7.27 (br s, 1H), 7.06 (br d, J=7.9 ㎐, 1H), 6.97 (br d, J=6.8 ㎐, 1H), 6.64 (br d, J=8.1 ㎐, 2H), 2.28 (s, 3H), 1.98 (s, 3H) 그리고 또한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8-메틸-10-옥소-9b,10-디하이드로-4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를 (피크 1, tR 3.68분)로서 얻었다.
Figure pct00046
실시예 21: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7
상기 화합물에 대한 절차는, 생성물 N-(1-아미노-4b-하이드록시-10-옥소-7-(트리플루오로메틸)-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N-메틸아세트아미드를 얻기 위해 IPA 중 2.0 M 암모니아 대신에 THF 중 2.0 M 메틸 아민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 내지 5에서 언급된 바와 유사한 경로를 따랐다. 1H NMR (500 ㎒, 메탄올-d4) δ: 7.63 (br d, J=7.6 ㎐, 1H), 7.44 (br t, J=7.8 ㎐, 1H), 7.31 (br d, J=8.0 ㎐, 1H), 7.10 (s, 1H), 6.99 (br d, J=7.3 ㎐, 1H), 6.70 (br d, J=7.3 ㎐, 1H), 2.88 (s, 3H), 2.19 (s, 3H).
Figure pct00048
실시예 22 내지 24: N-(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톡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실시예 22),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톡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실시예 23), 및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톡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 (실시예 24)
Figure pct00049
상기 화합물에 대한 절차는, 라세미체 N-(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톡시-10-옥소-9b,10-디하이드로-4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실시예 22)(200 mg)를 얻기 위해 m-크레졸 대신에 3-메톡시 페놀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 내지 18에서 언급된 바와 유사한 경로를 따랐고, 이를 (AD 컬럼, HPLC=20 ml/분, 헵탄 /IPA=70/30, 723 psi)를 사용하는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상기 생성물 N-((4bR,9bR)-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톡시-10-옥소-4b,10-디하이드로-9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를 (피크 2, tR 24.20분)로서; 1H NMR (500 ㎒, 메탄올-d4) δ: 7.39-7.50 (m, 1H), 7.31 (br dd, J=3.1, 2.4 ㎐, 1H), 6.92-7.05 (m, 1H), 6.62-6.74 (m, 1H), 6.44-6.57 (m, 1H), 6.34 (s, 1H), 3.72 (s, 3H), 1.99 (s, 3H) (실시예 23) 그리고 또한 N-((4bS,9bS)-1-아미노-4b-하이드록시-7-메톡시-10-옥소-9b,10-디하이드로-4bH-인데노[1,2-b]벤조푸란-9b-일)아세트아미드를 (피크 1, tR 9.78분)(실시예 24)로서 얻었다.
Figure pct00050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활성을 하기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코르나바이러스 세포병변 효과(CPE: Cytopathic Effect)에 대한 약물 효능의 결정
저해 검정
검정에서, HeLa(인간 자궁경부암 세포), MRC-5(인간 태아 폐 섬유아 세포), 및 RD 세포(인간 횡문근육종으로부터 유래됨)를 이용하였다. 비교를 위해, 리바비린(Riv: ribavirin), 플레코나릴(pleco), 및 BTA-798(BTA)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시약을 100%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중 10 내지 40 mg/ml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수용성 시약을 PBS(-) 용액에 용해시키고, -20℃에서 저장하였다. 실험일에, 각각의 웰 내 디메틸 설폭사이드의 농도가 0.5% 내지 1%가 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이들을 3배 내지 5배 농도로 사용하였다.
바이러스-유도 세포병변 효과(CPE) 저해 검정을 사용하여 약제학적 효능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바이러스에 적합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서 성장시킨 후, 2% FBS가 보충된 DME(DME/2% FBS) 또는 2% FBS가 보충된 MEM(MEM/2% FBS) 중 바이러스의 희석액을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 내로 100 CCID50(50% 세포 배양물 감염 용량)에 상응하는 농도로 100 μl의 양으로 접종하고, 33℃ 또는 37℃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바이러스가 세포 상으로 흡착되게 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한 후, 다양한 농도를 갖는 약물 희석액의 분취물을 각각의 웰에 100 μl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HRV(인간 리노바이러스)를 33℃에서 성장시킨 한편, 다른 바이러스를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일 내지 3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대안적으로, 세포를 배지 제거 없이 2일 내지 3일 동안 배양한 후, 이들을 50 μl의 2배 더 높은 농도를 갖는 각각의 약물 희석액과 함께, 그 후에 50 μl의 바이러스 희석액과 함께 첨가하였다. 바이러스를 DME/2% 또는 MEM/2% FBS에서 37℃에서 2일 내지 3일 동안 숙주 HeLa 세포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HeLa 세포의 경우, 약물을 EC50(50% 최대 유효 농도)에 대해 측정하였고, 이는 MTT 검정을 사용하여 기준선과 최대 사이의 절반인 반응을 유도하는 약물의 농도이다. RD 및 MRC-5 세포에 관하여, FDA(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 또는 MTT를 사용하여 CPE를 결정하였다. 효능 결과에 미치는 약물 독성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바이러스와 함께 접종 시, 모의-감염(mock-infection)을 또한 포함시켰다. 바이러스-무함유 배지를 세포 배양물에 첨가하고, 그 후에 이를 바이러스가 접종된 바이러스-감염 세포와 동일한 처리를 받게 하였다. 다시 말해, 1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배지를 제거하고, 배지 중 약물의 희석액을 1회 넘게 첨가하였다. 2일 내지 3일 동안의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현미경 하에 관찰하고, MTT 검정을 사용하여 약물을 CC50(50% 세포독성 농도)에 대해 결정하였고, 이 농도에서 세포 중 50%가 사멸화되었으며, 상기 검정에서 약물을 함유하는 모의-감염 웰 내의 생존 세포의 카운트를 약물을 함유하지 않는 대조군 웰 내의 생존 세포의 카운트와 비교하였다. FDA 가수분해 검정에서, 배지 제거 후 FDA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20분 내지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분광형광계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측정하여, MTT와 동일한 방식으로 CPE를 결정하였다.
다시 말해, 세포독성 측정을 위한 모의-감염 세포의 생존 비율(생존율 %)을 아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세포 약물 = [A (약물) ― A (배경 용액) / A (세포 카운트) ― (배경 × 100% 용액)]에 의한 생존율
100% 세포 생존율은 약물의 세포독성이 없음을 의미하는 한편, 최고 세포독성은 0%의 세포 생존율에 의해 반영된다. 50% 세포독성 농도는 세포수를 50%만큼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농도로서 정의되었다. 이러한 약물 농도를 CC50으로 나타낸다. 더 높은 값은 더 낮은 세포독성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아래 수학식 2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 효과 = [A (약물/바이러스) ― A (바이러스 대조군) / A (세포 대조군) ― A (바이러스 대조군)]
생존 비율이 100%라면, 이의 항바이러스 효과는 100%인 반면, 생존 비율이 0%라면, 이의 항바이러스 효과는 없다. 바이러스로 감염된 웰 내 세포가 50% 생존 비율을 나타낼 수 있는 약물의 농도는 EC50으로서 계산될 수 있는 한편, 이 값이 낮을수록, 항바이러스 효과는 더 우수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화합물에 대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CC50 농도 및 피코르나바이러스에 속하는 많은 리노바이러스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는 EC50 농도는 아래 표 1에 나열되어 있다.
멀티사이클 세포병변 효과( CPE )를 사용한 피코르나바이러스에 대한 약물 효과의 결정
감소 검정
멀티사이클 CPE 감소 검정을 사용하여, 피코르나바이러스에 대한 약물 효능의 결정을 실시하였다.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처음에 MIS[3-(4,5-디메틸 티아졸-2-일)-5-(3-카르복시 메톡시 페닐)-2-(4-설포페닐)-2H-테트라졸륨에 기초한 CPE 감소 검정에 의해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플레이트에서 컨플루언스(confluence)까지 성장된 세포를 100 50% 세포 배양물 감염 용량(CCID50)의 바이러스로 감염시켰다. 37℃에서 2시간의 흡착 기간 후,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화합물의 일련의 희석액을 첨가하였다. 완전 CPE가 감염 및 비감염 바이러스 대조군(VC)에서 관찰될 때까지 배양물을 37℃에서 3일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의 제거 후, 90 μl의 세포 배지 및 10 μl의 MTS-페나진 메토설페이트(Promega, Leiden, The Netherlands)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37℃에서 2시간의 인큐베이션 기간 후, 각각의 웰의 광학 밀도(OD)를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서 498 nm에서 판독하였다.
항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CPE 값 %를 아래 수학식 3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 CPE = 100 × [OD (CC) ― OD (바이러스 + 화합물) / OD (CC) ― OD (VC)]
약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한 CPE 값 %를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계산하였다:
% CPE = 100 × [OD (CC) - OD (바이러스 + 화합물) / OD (CC) - OD (블랭크)]
위의 수학식 3 및 4에서,
OD(CC)는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지 않거나 화학물질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배경 세포 배양물의 OD를 나타내며,
OD (VC)는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지만 화학물질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세포 배양물의 OD를 나타내고,
OD(바이러스+화합물)는 농축된 화합물로 처리되었던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세포 배양물의 OD를 나타내며,
OD(화합물)는 농축된 화합물로만 처리되었던 세포 배양물의 OD를 나타내고, OD(블랭크)는 세포 배양물만 첨가되었던 웰의 OD를 나타낸다.
유효 농도(EC50)는 세포 중 50%가 유도 바이러스의 CPE에 의해 생존하게 되는 약물의 농도를 나타내며, 세포독성 농도(CC50)는 화합물이 세포 중 50%를 사멸화시킨 약물의 농도를 나타내고, 이들을 대수 보간(logarithmic interpolation)에 의해 계산하였다.
실시예의 일부 화합물에 대해 다양한 바이러스에 대한 독성 농도(CC50) 및 유효 농도(EC50)는 아래 표 1에 나열되어 있다.
[표 1]
Figure pct00051
위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부분의 화합물은 높은 CC50 농도를 나타내므로 낮은 독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발견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은 대체로 많은 리노바이러스(HRV)에 대해 매우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은 대체로 콕사키바이러스 B4(Cox B4) 및 폴리오바이러스 1(PV1)에 대해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졌음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다양한 리노바이러스에 대해 낮은 세포독성 및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들 화합물은 상기 바이러스가 속한 피코르나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약물학적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콕사키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및 리노바이러스가 속한 피코르나바이러스에 대해 낮은 세포독성을 갖고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들은 이러한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 예를 들어, 소아마비, 급성 출혈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수족구병, 수포 질환, A형 간염, 근염, 심근염, 췌장염, 당뇨병, 유행성 근육통, 뇌염, 독감, 헤르팡기나, 구제역,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렴, 부비동염 또는 중이염을 포함한 호흡기, 심혈관계, 및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서로 평형 상태로 존재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으로 표현된 화합물이 콕사키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및 리노바이러스를 포함한 피코르나바이러스에 대해 낮은 세포독성뿐만 아니라 매우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은 바이러스 질환, 예컨대 소아마비, 급성 출혈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수족구병, 수포 질환, A형 간염, 근염, 심근염, 췌장염, 당뇨병, 유행성 근육통, 뇌염, 독감, 헤르팡기나, 구제역,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렴, 부비동염 또는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1)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Figure pct00052

    [I]
    상기 식에서,
    G1 및 G2 중 하나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5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알킬옥시;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옥시; 할로 및 3-7-원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G1 및 G2 중 다른 하나는 H이고; R1은 H 및 선형 또는 분지형 C1-C5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 제1항에 있어서, G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옥시; 및 3-7-원 사이클로알킬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G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1은 CF3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G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옥시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1은 OCF3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G1은 3-7-원 사이클로알킬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제1항, 제2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1은 사이클로프로필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2는 H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G1은 메틸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G1은 OCH3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2.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G1은 이소프로필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3.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G1은 할로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4. 제1항에 있어서, G1은 H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5. 제1항에 있어서, G2는 메틸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I)의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053
    [II].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II)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054
    [III].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IV)의 것이며:
    Figure pct00055
    [IV],
    상기 식에서, G1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C1-C5 할로알킬옥시; 및 3-7-원 사이클로알킬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9.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1은 CF3, OCF3, 및 사이클로프로필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0. 제1항 내지 제15항, 제18항 및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H 및 메틸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1.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
  22. 제1항 내지 제17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23.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제1항 내지 제17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17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23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합물.
  25. 바이러스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7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23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24항에 따른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제22항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제23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24항에 따른 조합물의 용도.
  27. 제22항의 화합물, 제2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제24항의 방법, 또는 제26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28. 제22항의 화합물, 제2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제24항의 방법, 또는 제26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29. 제22항의 화합물, 제2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제24항의 방법, 또는 제26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에코바이러스(echo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30. 제22항의 화합물, 제2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제24항의 방법, 또는 제26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31. 제22항의 화합물, 제2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제24항의 방법, 또는 제26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리노바이러스(rhino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32. 제22항의 화합물, 제2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제24항의 방법, 또는 제26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피코르나바이러스(picornavirus)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33. 제22항의 화합물, 제2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제24항의 방법, 또는 제26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소아마비(poliomyelitis), 마비(paralysis), 급성 출혈성 결막염(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바이러스성 수막염(viral meningitis), 수족구병(hand-foot-and-mouth disease), 수포 질환(vesicular disease), A형 간염(hepatitis A), 근염(myositis), 심근염(myocarditis), 췌장염(pancreatitis), 당뇨병(diabetes), 유행성 근육통(epidemic myalgia), 뇌염(encephalitis), 독감(flu), 헤르팡기나(herpangina), 구제역, 천식(asthma), 만성 폐쇄성 폐 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폐렴(pneumonia), 부비동염(sinusitis) 또는 중이염(otitis media)인,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34. 제1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60
    또는
    Figure pct00061
    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5. 제18항 내지 제21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36.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제18항 내지 제21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7. 제18항 내지 제21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36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합물.
  38. 바이러스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18항 내지 제21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36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37항에 따른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서, 제18항 내지 제21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제36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37항에 따른 조합물의 용도.
  40. 제18항 내지 제21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제36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제38항의 방법, 또는 제39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콕사키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및 피코르나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41. 제18항 내지 제21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제36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제38항의 방법, 또는 제39항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소아마비, 마비, 급성 출혈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수족구병, 수포 질환, A형 간염, 근염, 심근염, 췌장염, 당뇨병, 유행성 근육통, 뇌염, 독감, 헤르팡기나, 구제역,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렴, 부비동염 또는 중이염인,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
KR1020227039713A 2020-04-20 2021-04-20 항바이러스성 1,3-디-옥소-인덴 화합물 KR20230024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12770P 2020-04-20 2020-04-20
US63/012,770 2020-04-20
PCT/EP2021/060263 WO2021214073A1 (en) 2020-04-20 2021-04-20 Antiviral 1,3-di-oxo-indene comp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887A true KR20230024887A (ko) 2023-02-21

Family

ID=7569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713A KR20230024887A (ko) 2020-04-20 2021-04-20 항바이러스성 1,3-디-옥소-인덴 화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22362A1 (ko)
EP (1) EP4139290A1 (ko)
JP (1) JP2023520819A (ko)
KR (1) KR20230024887A (ko)
CN (1) CN115916763A (ko)
AU (1) AU2021260048B2 (ko)
CA (1) CA3176727A1 (ko)
TW (1) TWI832045B (ko)
WO (1) WO20212140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596A (ja) 2003-02-28 2007-08-30 トランスフォーム・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共結晶医薬組成物
EA026149B1 (ru) * 2011-06-16 2017-03-31 Корея Рисерч Инститьют Оф Кемикал Текнолоджи Производное инданона,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ая соль или оптический изомер,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содержащая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вирусн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CA2838680C (en) * 2011-06-16 2018-01-02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2-phenylindane-1,3-dione derivatives as antiviral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00555A (zh) 2022-01-01
JP2023520819A (ja) 2023-05-19
EP4139290A1 (en) 2023-03-01
AU2021260048A1 (en) 2022-11-17
US20210322362A1 (en) 2021-10-21
TWI832045B (zh) 2024-02-11
CA3176727A1 (en) 2021-10-28
CN115916763A (zh) 2023-04-04
WO2021214073A1 (en) 2021-10-28
AU2021260048B2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6880B2 (ja) B型肝炎ウィルス感染症の治療および予防のための新規な四環式4−オキソ−ピリジン−3−カルボン酸誘導体
CN108250122B (zh) 磺酰胺-芳基酰胺类化合物及其治疗乙型肝炎的药物用途
CA2952541A1 (en) Pyridazones and triazinon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CA2948080A1 (en) Novel dihydroquinolizinon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JP2022511213A (ja) 細胞壊死阻害剤、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の使用
JP4660045B2 (ja) NF−κB阻害剤を有効成分とする心筋炎、拡張型心筋症および心不全の予防または治療薬
WO2023160586A1 (zh) 具有抗乙肝病毒和冠状病毒作用的苯并二氢吡喃类化合物
US20130190369A1 (en) Modified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inhibitors
AU2021260048B2 (en) Antiviral 1,3-di-oxo-indene compounds
CN115135646B (zh) 取代的多环化合物及其药物组合物和用途
WO2022156692A1 (zh) 一种环肽类病毒蛋白酶抑制剂,其制备方法,及其在抗病毒药物中的应用
CN112204035A (zh) 取代的3,4,12,12а-四氢-1Н-[1,4]噁嗪并[3,4-c]吡啶并[2,1-f][1,2,4]三嗪-6,8-二酮、其药物组合物、生产方法及用途
CN110759901A (zh) 四氢异喹啉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30024886A (ko) 항바이러스 1,3-다이-옥소-인덴 화합물
EP3189061A1 (fr) Derives de n-aryl-tricyclopyrimidine-2-amine polyethers macrocycliques comme inhibiteurs de la ftl3 et jak
CN114920697A (zh) 杂环基取代的茚满丙酰胺类化合物及其应用
WO2014190942A1 (zh) 一类吲哚类化合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及应用
US20230234922A1 (e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4,6,7-trifluoro-1h-indole-2-carboxylic acid
JP2023549962A (ja) Pu.1阻害剤としての化合物
WO2021208850A1 (zh) 硝基咪唑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7229223A (zh) 一种杂环衍生物及其药物组合物、应用
CN114671856A (zh) 多取代的尿嘧啶衍生物及其用途
GB2266716A (en) Inhibitors of HIV reverse transcriptase
JP2002322161A (ja) ビスヘテロ五員環化合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