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723A -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723A
KR20230022723A KR1020210104838A KR20210104838A KR20230022723A KR 20230022723 A KR20230022723 A KR 20230022723A KR 1020210104838 A KR1020210104838 A KR 1020210104838A KR 20210104838 A KR20210104838 A KR 20210104838A KR 20230022723 A KR20230022723 A KR 20230022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obility
space
space utilization
utiliz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은
이상헌
황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723A/ko
Priority to US17/696,597 priority patent/US20230044597A1/en
Priority to DE102022203500.3A priority patent/DE102022203500A1/de
Priority to CN202210395643.5A priority patent/CN115703511A/zh
Publication of KR2023002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 B60N2/3027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along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60P7/0815Attachment rails or trell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가변기구를 이루는 각 판넬들이 내측벽면에서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어 모빌리티의 객실공간이 확보되고, 승객의 필요 여부에 따라 각 판넬들의 회전 위치가 변동되어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편의 기능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모빌리티의 실내공간에서 편의 기능의 미사용시 객실공간의 불용 공간이 제거되어 객실공간이 확보되고, 선택적으로 편의 기능이 제공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SPACE UTILIZATION APPARATUS FOR MOBILITY}
본 발명은 모빌리티의 객실공간이 확보되고, 승객의 필요 여부에 따라 편의 기능이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승객을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목적지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모빌리티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종래에는 이동을 원하는 승객들이 자가용이나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였으나, 자율주행되는 모빌리티를 통해 승객에게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모빌리티는 승객의 편의성을 위해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승객의 요구에 따라 착좌 공간이나, 소형모빌리티를 포함한 물건의 적재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모빌리티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서 승객에게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내부공간에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들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각 장치들은 설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모빌리티 내부의 공간이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빌리티 내부에서 특정 기능의 장치들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각 장치들이 존재할 경우 불용공간으로서 실내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0-0127835 A (2020.11.1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빌리티의 객실공간이 확보되고, 승객의 필요 여부에 따라 편의 기능이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며, 편의 기능의 미사용시 수납되어 객실공간의 불용 공간이 제거되어 객실공간이 확보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는 내벽면이 구비되고, 내벽면의 내측으로 객실공간이 형성된 모빌리티; 및 내벽면을 따라 마련되고, 복수개의 판넬이 구비되되 복수개의 판넬 중 내벽면에 연결되는 판넬은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판넬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각 판넬의 회전 위치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복수개의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가변기구는 모빌리티의 내벽면에서 각 기능 별로 구획되게 배치되며, 기능 미구현시 각 판넬이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기능 구현시 각 판넬이 객실공간측으로 회전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기구는, 일단이 내벽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판넬; 일단이 상부판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중부판넬; 및 일단이 중부판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내벽면 또는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판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기구는 상부판넬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중부판넬과 하부판넬이 상부판넬로부터 객실공간을 향해 회전됨에 따라 착좌 기능의 구현을 위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기구는 중부판넬, 상부판넬, 하부판넬 순으로 길이가 더 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부판넬의 일단에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더에는 상부판넬, 중부판넬, 하부판넬이 미회전된 초기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모빌리티의 바닥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특정 기능의 구현시 각 판넬이 회전됨에 따라 스토퍼가 바닥면에 지지되어 각 판넬의 회전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기구는 일단이 스토퍼 또는 내벽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판넬에 연결되어 하부판넬의 회전시 하부판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리프팅기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더의 양측단에는 탄성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탄성기구가 구비되고, 슬라이딩홈에는 슬라이더의 이동시 탄성기구가 접촉되는 돌출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판넬과 중부판넬의 회전축은 상부판넬의 타단과 중부판넬의 일단의 연결부분에서 내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끝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부판넬과 하부판넬의 회전축은 중부판넬의 타단과 하부판넬의 일단의 연결부분에서 내벽면측 끝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부판넬의 타단에는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렉서블 커버가 하부판넬의 일단에 연결됨으로써, 중부판넬에서 하부판넬의 회전시 플렉서블 커버가 중부판넬과 하부파넬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부판넬은 사선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하부판넬이 상부판넬보다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기구는 상부판넬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객실공간을 향해 회전되고, 하부판넬도 객실공간을 향해 회전됨에 따라 중부판넬이 객실공간을 향해 이동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수납 기능의 구현을 위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기구는 중부판넬이 가장 길고,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길이가 중부판넬보다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부판넬의 일단에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부판넬의 내측에는 소형모빌리티의 고정을 위한 클램핑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판넬의 타단과 중부판넬의 일단이 서로 매칭되는 부분 및 중부판넬의 타단과 하부판넬의 일단이 서로 매칭되는 부분에는 각각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는 가변기구를 이루는 각 판넬들이 내측벽면에서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어 모빌리티의 객실공간이 확보되고, 승객의 필요 여부에 따라 각 판넬들의 회전 위치가 변동되어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편의 기능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모빌리티의 실내공간에서 편의 기능의 미사용시 객실공간의 불용 공간이 제거되어 객실공간이 확보되고, 선택적으로 편의 기능이 제공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의 기능 구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의 형태 변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의 형태 변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에서 슬라이딩홈 및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 및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고정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정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에서 슬라이딩홈 및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고정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의 기능 구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의 형태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의 형태 변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에서 슬라이딩홈 및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 및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서 고정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정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에서 슬라이딩홈 및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고정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면(110)이 구비되고, 내벽면(110)의 내측으로 객실공간(S1)이 형성된 모빌리티(100); 및 내벽면(110)을 따라 마련되고, 복수개의 판넬이 구비되되 복수개의 판넬 중 내벽면(110)에 연결되는 판넬은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판넬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각 판넬의 회전 위치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복수개의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빌리티(100)는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내벽면(110)과 함께 바닥면(120), 루프를 포함하여 객실공간(S1)이 형성된다.
특히, 모빌리티(100)에는 내벽면(110)을 따라 복수개의 가변기구(200)가 마련된다.
가변기구(200)는 복수개의 판넬로 구성되며, 각각의 판넬은 내벽면(110)에서 슬라이딩 또는 회전되거나, 각 판넬끼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 인해, 가변기구(200)는 각각의 판넬이 슬라이딩되거나 회전되어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어 각종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가변기구(200)는 각각의 판넬의 회전 위치가 변동되어 의자 형태로 변형시 착좌 기능이 구현될 수 있고,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변형시 수납 기능 또는 고정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 가변기구(200)는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각 판넬의 회전 위치를 변동시켜 형상 변형을 통한 특정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가변기구(200)를 이루는 각 판넬들은 내벽면(110)에 설치되어 벽면을 이루는바, 객실공간(S1)의 디자인에 따라 우드 재질 등 다양한 질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가변기구(200)는 모빌리티(100)의 내벽면(110)에서 각 기능 별로 구획되게 배치되며, 기능 미구현시 각 판넬이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기능 구현시 각 판넬이 객실공간(S1)측으로 회전되면서 형태가 변형된다.
즉, 가변기구(200)는 평상시의 경우 각 판넬들이 세워져 내벽면(110)에 밀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벽면의 디자인을 이루고, 기능 구현시 각 판넬이 슬라이딩 및 회전되어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특정 기능이 구현된다.
아울러, 가변기구(200)는 모빌리티(100)의 내벽면(110)에서 각 기능 별로 구획되게 배치됨에 따라, 승객이 가변기구(200)의 기능 사용에 따른 혼잡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기구(200)는 각 판넬들이 내벽면(110)에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어 모빌리티(100)의 객실공간(S1)이 확보되고, 승객의 필요 여부에 따라 각 판넬들의 슬라이딩 및 회전되어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편의 기능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모빌리티(100)의 실내공간에서 편의 기능의 미사용시 내벽면(110)에 세워져 밀착됨에 따라 객실공간(S1)이 확보되고, 선택적으로 편의 기능이 제공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기구(200)는, 일단이 내벽면(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판넬(210); 일단이 상부판넬(2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중부판넬(220); 및 일단이 중부판넬(22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내벽면(110) 또는 바닥면(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판넬(230);를 포함한다.
이처럼, 가변기구(200)는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판넬(210)의 경우 내벽면(11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판넬(2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중부판넬(220) 및 하부판넬(230)의 회전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넬(210)에는 모빌리티(100)의 내벽면(110)에 설치되는 락킹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락킹장치는 상부판낼(210)에 마련되는 스위치의 조작 여부 또는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즉, 가변기구(200)는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이 펼쳐져 내벽면(110)에 밀착되는 경우 객실공간(S1)의 벽면을 이룬다. 여기서,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부판넬(210)에 연결된 중부판넬(220)이 회전되고, 중부판넬(220)에 연결된 하부판넬(230)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로 인해,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은 전체 형태가 변형되어 특정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복수개의 가변기구(200)는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의 길이를 각기 상이하게 설정하거나, 각 판넬들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변기구(200)는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 외의 추가적으로 판넬을 더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통해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에에서는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로 구성됨에 따른 기능 구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실시예로서, 도 3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기구(200)는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이 상부판넬(210)로부터 객실공간(S1)을 향해 회전됨에 따라 착좌 기능의 구현을 위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가변기구(200)는 변형시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것으로,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시,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이 연동되어 객실공간(S1)을 향해 회전됨에 따라 의자 형태로 변형된다.
이에 따라, 가변기구(200)는 의자 형태를 이룸에 있어, 상부판넬(210)이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고, 중부판넬(220)이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며, 하부판넬(230)이 상부판넬(210) 및 중부판넬(220)을 지지하도록 변형된다.
이처럼, 가변기구(200)는 모빌리티(100)의 내벽면(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승객의 착좌 기능 요구시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이 회전되어 의자 형태로 변형됨으로써 착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변기구(200)는 중부판넬(220), 상부판넬(210), 하부판넬(230) 순으로 길이가 더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변기구(200)가 착좌 기능의 구현을 위해 의자 형태로 변형시, 상부판넬(210)이 승객의 허리 및 등 부분을 지지하고, 중부판넬(220)이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며, 하부판넬(230)이 상부판넬(210) 및 중부판넬(220)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부판넬(210)은 승객의 허리 및 등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높이가 확보되어야 하고, 중부판넬(220)은 승객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될 수 있을 정도로 길이가 확보되어야 하며, 하부판넬(230)은 승객의 안정적인 다리 자세를 위한 높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가변기구(200)는 중부판넬(220), 상부판넬(210), 하부판넬(230) 순으로 길이가 더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넬(210)과 중부판넬(220)의 회전축(A1)은 상부판넬(210)의 타단과 중부판넬(220)의 일단의 연결부분에서 내벽면(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끝단에 구비된다.
이처럼, 상부판넬(210)과 중부판넬(220)의 회전축(A1)은 내벽면(110)으로부터 멀어져 객실공간(S1)측에 위치됨으로써,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하부판넬(230)의 회전시 상부판넬(210)과 하부판넬(230) 사이에 틈이 최소화되어 승객이 중부판넬(220)에 착좌시 이물감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상부판넬(210)에서 중부판넬(220)이 객실공간(S1)을 향해 회전시 상부판넬(210)에 간섭이 회피되어 정상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의 회전축(A2)은 중부판넬(220)의 타단과 하부판넬(230)의 일단의 연결부분에서 내벽면(110)측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의 회전축(A2)은 내벽면(110) 측에 위치됨으로써,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중부판넬(220)이 상부판넬(210)에서 회전됨과 동시에 하부판넬(230)이 중부판넬(220)로부터 회전된다. 이때, 하부판넬(230)의 경우 일단이 중부판넬(22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모빌리티(100)의 바닥면(120) 또는 내벽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하부판넬(230)은 중부판넬(220)을 지지하는 형태가 된다. 아울러, 하부판넬(230)은 중부판넬(220)에서 회전시, 중부판넬(220)에 간섭이 회피되어 정상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중부판넬(220)의 타단에는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렉서블 커버(221)가 하부판넬(230)의 일단에 연결됨으로써, 중부판넬(220)에서 하부판넬(230)의 회전시 플렉서블 커버(221)가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 사이의 틈에 배치된다.
여기서, 플렉렉서블 커버(221)는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중부판넬(220)의 타단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플렉서블 커버(221)는 중부판넬(220)의 타단에 마련된 상태에서 하부판넬(230)의 일단에 연결됨으로써, 중부판넬(220)에서 하부판넬(230)의 회전시 플렉서블 커버(221)가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 사이의 틈에 배치됨에 따라,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 사이의 틈에 의한 이물감이 최소화된다. 아울러, 플렉서블 커버(221)는 하부판넬(230)이 중부판넬(220)에서 회전시 굴곡지게 휘어짐에 따라, 중부판넬(220)에 착좌한 승객에게 발생되는 이물감이 최소화된다.
한편, 중부판넬(220)은 사선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하부판넬(230)이 상부판넬(210)보다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처럼, 중부판넬(220)은 초기 상태에서 사선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른 중부판넬(220) 및 하부판넬(230)이 회전되는 메커니즘 변환이 유연하게 동작될 수 있다. 즉,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시, 경사지게 배치된 중부판넬(220)을 찍어 누름에 따라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이 상부판넬(210)이 이동되는 힘에 의해 객실공간(S1) 측으로 원활히 회전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내벽면(11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111)이 형성되고, 상부판넬(210)의 일단에는 슬라이딩홈(1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111)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판넬(210)은 슬라이더(211)를 매개로 내벽면(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내벽면(11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1)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슬라이더(211)가 슬라이딩홈(111)을 따라 이동시 상부판넬(210)이 내벽면(110)에서 상하방항으로 이동될 수 잇다.
이러한 슬라이딩홈(111)은 'T'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더(211)는 슬라이딩홈(111)에 매칭되도록 'T'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더(211)가 슬라이딩홈(111)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11)의 양측단에는 탄성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탄성기구(211a)가 구비되고, 슬라이딩홈(111)에는 슬라이더(211)의 이동시 탄성기구(211a)가 접촉되는 돌출부(111a)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기구(211a)는 스프링(211b)과 볼(211c)로 구성되며, 슬라이더(211)의 양측단에 스프링(211b)이 내장된 상태에서 볼(211c)이 스프링(211b)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된다.
또한, 슬라이딩홈(111)에 마련되는 돌출부(111a)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슬라이딩홈(111)을 따라 복수개 마련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211)는 슬라이딩홈(111)에서 이동시, 슬라이더(211)의 측면에 구비된 탄성기구(211a)가 슬라이딩홈(111)에 마찰되어 이동되고, 탄성기구(211a)가 돌출부(111a)에 접촉시 슬라이더(211)의 이동속도가 감속되면서 슬라이더(211)의 부드러운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11)가 슬라이딩홈(111)에서 이동시 과도한 속도로 이동됨에 의해,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의 작동 성능 저하 및 충격이 방지되고, 슬라이더(211)의 이동속도가 탄성기구(211a) 및 돌출부(111a)의 접촉에 의해 조절됨에 따라 슬라이더(211)가 이동됨에 따른 고급감이 부여된다.
한편, 슬라이더(211)에는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이 미회전된 초기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모빌리티(100)의 바닥면(120)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된 스토퍼(212)가 구비되고, 특정 기능의 구현시 각 판넬이 회전됨에 따라 스토퍼(212)가 바닥면(120)에 지지되어 각 판넬의 회전 위치가 고정된다.
이처럼, 슬라이더(211)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스토퍼(212)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더(211)의 하방 이동시 스토퍼(212)가 모빌리티(100)의 바닥면(120)에 접촉되는 거리까지만 이동이 제한되어,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이 기능 구현을 위한 형태까지만 회전되어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12)는 슬라이더(2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로드부(212a)와 로드부(212a)의 끝단에 결합되며 충격 흡수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21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변기구(200)는 착좌 기능 구현시,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이 회전되되 스토퍼(212)가 모빌리티(100)의 바닥면(120)에 접촉될 경우 상부판넬(210)의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이때, 스토퍼(212)가 바닥면(120)에 접촉되는 위치는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이 함께 의자 형태로 변형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변기구(200)는 일단이 스토퍼(212) 또는 내벽면(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판넬(230)에 연결되어 하부판넬(230)의 회전시 하부판넬(2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리프팅기구(2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리프팅기구(240)는 가스리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기구(240)는 일단이 스토퍼(212)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판넬(230)에 연결됨으로써,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스토퍼(212)가 하방으로 이동시 리프팅기구(240)가 하부판넬(230)을 밀어줌에 따라 하부판넬(230)의 회전 동작이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가변기구(200)가 초기 상태로 변형시, 상부판넬(210)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스토퍼(212)도 승강되고, 리프팅기구(240)가 하부판넬(230)을 회전을 서포트한다.
이로 인해, 가변기구(200)는 각 판넬들이 기능 구현 또는 초기 위치로 복귀시, 리프팅기구(240)가 각 판델들의 동작을 서포트함으로써, 각 판넬들의 슬라이딩 및 회전 동작들이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기구(200)는 착좌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이 회전되면서 의자 형태로 변형되어 착좌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기구(200)는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객실공간(S1)을 향해 회전되고, 하부판넬(230)도 객실공간(S1)을 향해 회전됨에 따라 중부판넬(220)이 객실공간(S1)을 향해 이동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S2)을 형성함으로써 수납 기능의 구현을 위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가변기구(200)를 통해 수납 기능이 구현되는 것으로,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전되면, 하부판넬(230)도 함께 회전됨에 따라 중부판넬(220)이 객실공간(S1)을 향해 진출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S2)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가변기구(200)는 상부판넬(210), 중부판넬(220), 하부판넬(230)이 'C'형상을 이룸에 따라 내측으로 수납공간(S2)이 형성되고, 수납공간(S2)을 통해 소형모빌리티(100)를 포함한 수화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이처럼, 가변기구(200)는 모빌리티(100)의 내벽면(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승객의 수납 기능 요구시 상부판넬(21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되고 하부판넬(230)도 함께 회전됨에 따라 중부판넬(220)이 객실공간(S1)으로 진출됨으로써 수납공간(S2)을 형성하는 수납함 형태로 형성되어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가변기구(200)는 중부판넬(220)이 가장 길고, 상부판넬(210)과 하부판넬(230)의 길이가 중부판넬(220)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가변기구(200)가 수납공간(S2)을 형성하도록 변형시, 상부판넬(210)과 하부판넬(230)에 연결된 중부판넬(220)에 의해 내측으로 수납공간(S2)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판넬(210)과 하부판넬(230)의 길이가 과도해질 경우 객실공간(S1) 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증대되는 바, 상부판넬(210)과 하부판넬(230)의 길이가 중부판넬(220)보다 짧게 구성되도록 하여, 수납공간(S2)은 실용성을 확보하면서 객실공간(S1)도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내벽면(11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111)이 형성되고, 상부판넬(210)의 일단에는 슬라이딩홈(1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111)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21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판넬(210)은 슬라이더(211)를 매개로 내벽면(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벽면(11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1)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슬라이더(211)가 슬라이딩홈(111)을 따라 이동시 상부판넬(210)이 내벽면(110)에서 상하방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판넬(210)의 경우 슬라이더(2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납 기능의 구현을 위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홈(111)은 'T'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더(211)는 슬라이딩홈(111)에 매칭되도록 'T'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더(211)가 슬라이딩홈(111)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판넬(210)은 슬라이더(211)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딩홈(111)에서 슬라이딩 및 회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부판넬(210)은 슬라이더(211)를 통해 슬라이딩홈(111)에서 하방으로 이동시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이 연동되도록 하고, 상부판넬(210)도 함께 객실공간(S1)으로 회전되어 중부판넬(220) 및 하부판넬(230)과 수납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중부판넬(220)의 내측에는 소형모빌리티(100)의 고정을 위한 클램핑기구(222)가 구비된다. 이러한 클램핑기구(222)는 소형모빌리티(100)뿐만 아니라 자전거를 포함한 각종 수화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기구(222)는 벨트 또는 케이블이 더 구성되어 수납공간(S2)에 배치되는 각종 수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부판넬(210)의 타단과 중부판넬(220)의 일단이 서로 매칭되는 부분 및 중부판넬(220)의 타단과 하부판넬(230)의 일단이 서로 매칭되는 부분에는 각각 챔퍼(A3)가 형성된다.
즉, 수납 기능을 위한 가변기구(200)는 상부판넬(210)과 하부판넬(230)의 회전시 중부판넬(220)의 양끝단에서 접하게 되는데, 중부판넬(220)과 상부판넬(210)이 접촉되는 부분 및 중부판넬(220)과 하부판넬(230)이 접촉되는 부분에 각각 챔퍼(A3)가 형성됨으로써, 상부판넬(210)과 하부판넬(230)의 회전시 중부판넬(220)의 양끝단에서 챔퍼(A3)가 매칭되어 안정적인 지지 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는 가변기구를 이루는 각 판넬들이 내측벽면에서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어 모빌리티의 객실공간이 확보되고, 승객의 필요 여부에 따라 각 판넬들의 회전 위치가 변동되어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편의 기능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모빌리티의 실내공간에서 편의 기능의 미사용시 객실공간의 불용 공간이 제거되어 객실공간이 확보되고, 선택적으로 편의 기능이 제공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모빌리티 110:내벽면
111:슬라이딩홈 111a:돌출부
120:바닥면 200:가변기구
210:상부판넬 211:슬라이더
211a:탄성기구 211b:스프링
211c:볼 212:스토퍼
212a:로드부 212b:충격흡수부
220:중부판넬 221:플렉서블 커버
222:클램핑기구 230:하부판넬
240:리프팅기구 S1:객실공간
S2:수납공간

Claims (18)

  1. 내벽면이 구비되고, 내벽면의 내측으로 객실공간이 형성된 모빌리티; 및
    내벽면을 따라 마련되고, 복수개의 판넬이 구비되되 복수개의 판넬 중 내벽면에 연결되는 판넬은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판넬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각 판넬의 회전 위치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복수개의 기능이 구현되는 가변기구;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의 가변기구는 모빌리티의 내벽면에서 각 기능 별로 구획되게 배치되며, 기능 미구현시 각 판넬이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기능 구현시 각 판넬이 객실공간측으로 회전되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변기구는, 일단이 내벽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판넬;
    일단이 상부판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중부판넬; 및
    일단이 중부판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내벽면 또는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판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가변기구는 상부판넬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중부판넬과 하부판넬이 상부판넬로부터 객실공간을 향해 회전됨에 따라 착좌 기능의 구현을 위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가변기구는 중부판넬, 상부판넬, 하부판넬 순으로 길이가 더 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내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부판넬의 일단에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슬라이더에는 상부판넬, 중부판넬, 하부판넬이 미회전된 초기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모빌리티의 바닥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특정 기능의 구현시 각 판넬이 회전됨에 따라 스토퍼가 바닥면에 지지되어 각 판넬의 회전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가변기구는 일단이 스토퍼 또는 내벽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판넬에 연결되어 하부판넬의 회전시 하부판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리프팅기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양측단에는 탄성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탄성기구가 구비되고,
    슬라이딩홈에는 슬라이더의 이동시 탄성기구가 접촉되는 돌출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부판넬과 중부판넬의 회전축은 상부판넬의 타단과 중부판넬의 일단의 연결부분에서 내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끝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중부판넬과 하부판넬의 회전축은 중부판넬의 타단과 하부판넬의 일단의 연결부분에서 내벽면측 끝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중부판넬의 타단에는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렉서블 커버가 하부판넬의 일단에 연결됨으로써, 중부판넬에서 하부판넬의 회전시 플렉서블 커버가 중부판넬과 하부파넬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중부판넬은 사선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하부판넬이 상부판넬보다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14. 청구항 3에 있어서,
    가변기구는 상부판넬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객실공간을 향해 회전되고, 하부판넬도 객실공간을 향해 회전됨에 따라 중부판넬이 객실공간을 향해 이동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수납 기능의 구현을 위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가변기구는 중부판넬이 가장 길고, 상부판넬과 하부판넬의 길이가 중부판넬보다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내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부판넬의 일단에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중부판넬의 내측에는 소형모빌리티의 고정을 위한 클램핑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부판넬의 타단과 중부판넬의 일단이 서로 매칭되는 부분 및 중부판넬의 타단과 하부판넬의 일단이 서로 매칭되는 부분에는 각각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KR1020210104838A 2021-08-09 2021-08-09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KR20230022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838A KR20230022723A (ko) 2021-08-09 2021-08-09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US17/696,597 US20230044597A1 (en) 2021-08-09 2022-03-16 Space utilization apparatus for mobility
DE102022203500.3A DE102022203500A1 (de) 2021-08-09 2022-04-07 Raumnutzungsvorrichtung für die mobilitätseinrichtung
CN202210395643.5A CN115703511A (zh) 2021-08-09 2022-04-15 用于移动工具的空间利用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838A KR20230022723A (ko) 2021-08-09 2021-08-09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723A true KR20230022723A (ko) 2023-02-16

Family

ID=8497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838A KR20230022723A (ko) 2021-08-09 2021-08-09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44597A1 (ko)
KR (1) KR20230022723A (ko)
CN (1) CN115703511A (ko)
DE (1) DE10202220350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835A (ko) 2019-04-30 2020-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386A (ja) * 2002-04-25 2003-11-05 Tsubomi Mamoru 壁面取り付け用折畳み椅子
JP3106501U (ja) * 2004-07-09 2005-01-06 株式会社アビーロード 壁面等取り付け用の折り畳み式椅子
US10292502B2 (en) * 2016-08-31 2019-05-21 Omar Emad Hamid Foldable chair
JP7103168B2 (ja) * 2018-11-05 2022-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835A (ko) 2019-04-30 2020-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03500A1 (de) 2023-02-09
CN115703511A (zh) 2023-02-17
US20230044597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9016B2 (ja) 並進移動を含む、垂直に収納されるトレーテーブルアセンブリ
KR20180096110A (ko)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US7578551B2 (en) Aircraft seat assembly
CN107735318A (zh) 乘客座椅桌子组件
CN108657045A (zh) 带有座椅和可展开的工作表面的车辆
US6767061B2 (en) Seat for vehicle use
CN107683244A (zh) 乘客座椅头枕
CN103101463A (zh) 具有饮料保持器的扶手组件
JP2005515928A (ja) 収納可能テーブル
KR101784154B1 (ko) 헤드레스트 장치
US10427552B2 (en) Expandable seat for a vehicle
JP2020075526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2336407B1 (ko) 공간 확장이 가능한 차량
US20230191968A1 (en) Control armrest containment structure
KR20230022723A (ko)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KR102440678B1 (ko) 차량용 센터콘솔 암레스트
US6024397A (en) Rotating seat/storage unit
JP3977515B2 (ja) シートのテーブル構造
KR20230112170A (ko)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US20050242647A1 (en) Device for reclining seatback of vehicle
KR101909697B1 (ko) 지지력이 향상된 선반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니쉬
KR101892588B1 (ko) 선반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니쉬
US20230008478A1 (en) Console element for a vehicle
KR102257818B1 (ko)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캠핑 장치
JP3317165B2 (ja) 車両用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