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835A -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7835A KR20200127835A KR1020197020120A KR20197020120A KR20200127835A KR 20200127835 A KR20200127835 A KR 20200127835A KR 1020197020120 A KR1020197020120 A KR 1020197020120A KR 20197020120 A KR20197020120 A KR 20197020120A KR 20200127835 A KR20200127835 A KR 202001278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zone
- module
- server
- information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02100034112 Alkyldihydroxyacetonephosphate synthase, peroxisomal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1000799143 Homo sapiens Alkyldihydroxyacetonephosphate synthase, peroxisomal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848 angular dependent Auger electron spectrosco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297 night 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B60W60/00253—Taxi oper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4—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through interaction with a road map, e.g. selecting a POI icon on a road map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44—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a computer generated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e.g. virtual reality, map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술 및 로봇 기술을 접목하여 존(zone)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사용 중 동적으로 하차(Drop-off)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UI/UX를 제공하여 모빌리티 서비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자율주행 차량은 서버와 인터넷은 물론 2세대 CDMA부터 최근 5세대의 5G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며, 모빌리티 서비스 변경 내용 등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존(zone)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사용 중 동적으로 하차(Drop-off)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UI/UX를 제공하여 모빌리티 서비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은 편의 기능으로, 인포테인먼트(information + entertainment) 기능을 부여하고, 부분적인 자율 주행기능을 지원하거나, 야간 시야나 사각 지대와 같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등의 운전자 편의와 관련된 기능 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적응 순향 제어(active cruise control, ACC), 스마트주차시스템(smart parking assist system, SPAS), 나이트비전(night vision, NV),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어라운드 뷰 모니터(around view monitor, AVM), 적응형 상향등 제어(adaptive headlight system, AHS) 기능 등이 있다.
그리고 안전 기능으로 운전자의 안전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로,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자동 긴급 제동(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기능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차량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차량용 제어장치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운전자의 개입 없이도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차량이 개발되고 있다.
자율 주행은 운전 조작 장치가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되지 않아도 가속, 감속, 그리고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율 주행 차량이 상용화된다면, 운전자는 운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다른 일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책을 읽거나,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잠을 잘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에는 차량의 주행과 정차가 사람이 아닌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종래 운전자가 수행하던 많은 일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자율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외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충돌을 회피하는 알고리즘, 신호 등을 인식하고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알고리즘, 앞차/뒷차와의 간격을 조절하며 속도를 조절하는 알고리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기술인 US 공개특허 제2019-0017839호(공개일 2019.01.17)에는 증강 현실 요소를 이용하여 교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종래 기술에서는 실제 환경의 디스플레이 내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증강 현실 요소를 포함하는 운전자 또는 승객을 위한 증강 현실 환경을 제시한다. 또한, 여기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은 증강 현실 요소에 대한 배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력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사용자가 증강 현실 또는 가상 현실 환경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서는 차량 외부에 발생하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자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은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을 고려한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탑승객을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의 종류와 배정된 이동 수단의 주행 환경(완전무인자율주행/유인자율주행/유인수동운행 등)에 따라 승차 및 하차의 구역이 각기 다르게 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재 위치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이동을 위한 다양한 모빌리티 중 나에게 맞는 최적을 수단을 알아내기 어렵다. 따라서, 탑승객의 상황에 따라 초기에 제안된 승차 및 하차 위치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모빌리티 서비스의 동적/실시간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내용에 따른 시스템의 동적 대응은 서버의 과부하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존(zone)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사용 중 동적으로 하차(Drop-off)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UI/UX를 제공하여 모빌리티 서비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위치 기준으로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모빌리티 수단들을 제시하고, 이 중 최적의 수단을 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UI/UX를 제공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차량 내 단말을 통해 차량의 승차 및 하차 지점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직관적인 UI/UX를 제공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존(zone)으로 구역을 구분하고 각 존에 대한 연산을 미리 진행함으로써, 동적 대응에 따른 시스템의 과부하를 줄이고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확보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자율주행 차량은 서버와 인터넷은 물론 2세대 CDMA부터 최근 5세대의 5G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며, 모빌리티 서비스 변경 내용 등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지역을 다양한 크기의 존(zone)으로 나누고, 자율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각각 존에 매칭하여 매칭된 존 별로 미리 산출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율주행 차량 탑승자의 현재 위치와 원하는 목적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그에 따른 승차 및 하차 존, 예상 이동 경로, 예상 탑승 시간, 예상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시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지역을 다양한 크기의 존으로 나누고, 해당 존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수집하고 연산하여, 서비스 요청 시,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각각 존에 매칭하고 존 별로 미리 산출된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여, 동적 대응에 따른 시스템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현재 위치와 원하는 목적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그에 따른 승/하차 존, 예상 이동 경로, 예상 탑승 시간, 예상 요금 정보를 제시하고, 시스템에서 계산된 최적의 모빌리티 수단을 특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행 중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사용자의 단말에 하차 알림과 지도를 표시하고, 지도상에 하차 설정이 가능한 지역들을 목적지 인접 도로들 기반의 존으로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존 별로 예상 이동 경로, 추가/감소될 예상 이동 시간 및 예상 요금 정보를 함께 제시하고, 또한, 각 존 별로 최적의 정차 지점을 표시하고, 추가로 조정 가능한 복수의 정차 가능 지점을 함께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버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에서 입력되는 교통정보, 지역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지역별, 존 별로 각각 취합하는 단계; 서버에서 존 결정 모듈을 통해 교통 규제를 기반으로 서비스 불가 및 가능 지역을 나누고, 존 결정 모듈을 통해 지역별 서비스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사용량이 균등해질 수 있도록 분할하는 단계; 서버에서 존 결정 모듈을 통해 존 내 상업시설 분포, 트래픽 정보, 주거인구 정보를 반영하여 존의 구획을 조정하고, 조정된 존의 구획을 서비스 구역으로 존(zone)을 분할하는 단계; 서버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을 통해 상기 분할된 존 별로 외부 서버에서 존 단위로 복수 포인트의 각 서비스별 차량 도착 시간, 예상 요금 구간, 도보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취합하는 단계; 서버에서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 및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매칭되는 승차 가능한 존 및 하차 가능한 존의 목록을 선정하는 단계; 및 서버에서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을 통해 상기 선정된 승차 가능한 존 및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에서 선정된 하차 가능한 존의 목록을 자율주행 차량 및 사용자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서비스 별 승차 및 하차 구역들을 존(zone) 기반으로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내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서비스의 전체적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빌리티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도 존 기반으로 승차 및 하차 지점을 실시간으로 변경하거나 세부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 상황에 맞는 최적의 위치로의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정된 위치에 따라 예상되는 추가 이동 시간, 추가 요금, 이동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함께 전달하여 서비스의 퀄리티를 높이고,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을 이용한 통합 관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의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후 존 변경 시 최종 모빌리티를 선정하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6에서 배차 이후 승/하차 구역을 변경하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b는 AR 모드를 통해 도 6에서 배차 이후 승/하차 구역을 변경하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을 이용한 통합 관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의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후 존 변경 시 최종 모빌리티를 선정하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6에서 배차 이후 승/하차 구역을 변경하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b는 AR 모드를 통해 도 6에서 배차 이후 승/하차 구역을 변경하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통합 관제 시스템(1)은 서버(100), 자율주행 차량(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외부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구성하는 서버(100), 자율주행 차량(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외부서버(400)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네트워크는 인터넷은 물론 2세대 CDMA부터 최근 5세대의 5G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300)은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단말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300)은 자율주행 차량(200)과 관련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컴퓨터, UMPC (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 박스(black box)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같은 전자 장치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300)은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맞춤형 추천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표시창(화면)에 표시되는 맞춤형 추천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터치식 또는 버튼식)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버(100)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은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자신의 위치 및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예를 들어 GIS로부터 제공되는 지리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300)은 자율주행 차량(200)의 위치정보(예를 들면, 위치좌표)를 데이터 형태로 제공받아 단말기에 저장된 지도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위치 및 자율주행 차량(20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중 자신의 상황에 가장 잘 맞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사용자 단말기(300)의 상세한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100)는 서비스 지역을 다양한 크기의 존(zone)으로 나누고, 해당 존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수집하고 연산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자율주행 차량(200)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각각 존에 매칭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매칭된 존 별로 미리 산출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율주행 차량(200) 탑승자의 현재 위치와 원하는 목적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그에 따른 승차 및 하차 존, 예상 이동 경로, 예상 탑승 시간, 예상 요금 정보를 제시한다. 이때, 서버(100)는 인공지능 및 로봇 기술을 접목하여 이동 기술, 센서 기술 등의 로봇 인식 능력이나 판단 기능 및 이러한 기술들을 처리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보다 보완되어 계산된 최적의 모빌리티 수단을 특정한다.
서버(100)의 상세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자율주행 차량(200)은 자율주행 운행 중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사용자의 단말에 하차 알림과 지도를 표시하고, 지도상에 하차 설정이 가능한 지역들을 목적지 인접 도로들 기반의 존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자율주행 차량(200)은 각 존 별로 예상 이동 경로, 추가/감소될 예상 이동 시간 및 예상 요금 정보를 함께 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하차 존 선택 시 각 존 별로 최적의 정차 지점을 표시하고, 추가로 조정 가능한 복수의 정차 가능 지점을 함께 제안한다.
이때, 자율주행 차량(200)은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율주행 차량(200)은 자동차, 오토바이 등의 임의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율주행 차량(200)이 자동차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자율주행 차량(200)의 상세한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서버(400)는 고정밀 지도 정보를 제공하고, 교통정보 및 지역 세부 정보 등과 같이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한 추가 정보(이하에서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로 통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를 제공한다. 외부서버(400)는 도로 교통정보 센터 등을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서버와, 네비게이션 업체 등을 포함하는 고정밀 지도 제공 서버와, 지역 세부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은 데이터 모뎀 모듈(301),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2), 제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듈(303), 제1 AR/VR 엔진모듈(304) 및 제1 네비게이션 모듈(305)을 포함한다.
데이터 모뎀 모듈(301)은 서버(100) 및 자율주행 차량(200)과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2)은 사용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와 원하는 목적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그에 따른 승차 및 하차 존, 예상 이동 경로, 예상 탑승 시간, 예상 요금 정보를 표시하고, 서버(100)에서 계산된 최적의 승차 가능한 존 및 승차 가능한 존에 제공되는 차량의 종류를 특정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2)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듈(303)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최적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안하고, 서비스 사용 중 동적으로 하차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UI를 제공한다.
제1 AR/VR 엔진모듈(304)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시스템의 판단에 따라 승차 및 하차 지점 인접 도로들을 기반으로 산출된 변경 가능한 존들 및 변경에 따른 서비스 변경 내용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제1 네비게이션 모듈(305)은 GPS, 이동통신 망을 이용한 현재 위치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맵에 좌표를 찍어서 생성한다. 이때, 맵은 외부서버(400)에서 제공되는 고정밀 지도 정보 및 교통정보 및 지역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서버(100)는 트래픽 예측 모듈(101), 존 결정 모듈(102),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103), 하차정보 취합 모듈(104),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106),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107), 및 저장 모듈(108)을 포함한다.
트래픽 예측 모듈(101)는 외부 서버(400)에서 입력되는 교통정보, 지역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업시설 분포, 트래픽 정보, 주거 인구정보를 반영하여 지역별 트래픽을 예측한다.
존 결정 모듈(102)은 트래픽 예측 모듈(101)에서 예측된 지역별 트래픽을 기반으로 서비스 지역을 다양한 크기의 존(zone)으로 분할한다. 이때, 존 결정 모듈(102)은 교통 규제를 기반으로 서비스 불가/가능 지역을 나누고, 지역별 서비스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사용량이 균등해질 수 있도록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존 결정 모듈(102)은 분할된 존 내 상업 시설 분포, 트래픽 정보, 주거인구 정보를 반영하여 분할된 존의 구획을 조정할 수 있다.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103)은 외부 서버(400)에서 입력되는 교통정보, 지역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지역별, 존 별로 각각 취합한다. 이렇게 취합된 정보는 저장 모듈(108)에 저장될 수 있다.
하차정보 취합 모듈(104)은 존 단위로 하차 가능한 복수 포인트의 각 서비스별 차량 도착 시간, 예상 요금 구간, 도보 이동 시간 등을 수집하여 취합한다. 이렇게 취합된 정보는 저장 모듈(108)에 저장될 수 있다.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은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103)에서 취합된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매칭되는 승차 가능한 존을 선정한다. 이때,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은 선정된 승차 가능한 존에 제공되는 차량의 종류도 선정할 수 있다. 선정되는 차량의 종류는 선정된 존과 차량의 위치, 예측된 지역별 트래픽 등을 기반으로 선정될 수 있다.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106)은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에서 선정된 존을 기반으로 하차 가능한 존을 선정한다.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107)은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에서 선정된 승차 가능한 존 및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106)에서 선정된 하차 가능한 존의 목록을 자율주행 차량(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1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자율주행 차량(200)은 텔레매틱스 모듈(201), GPS 모듈(202), 제2 네비게이션 모듈(203), ADAS 카메라 모듈(204), 상태 결정 모듈(205), 제2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듈(206),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7), HUD 모듈(208), 제2 AR/VR 엔진 모듈(209)을 포함한다.
텔레매틱스 모듈(201)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외부서버(300)와 무선통신을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특히, 텔레매틱스 모듈(201)은 사용자 단말기(300)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을 원격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모듈(201)은 외부서버(300)로부터 교통 및 생활정보, 긴급구난 등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GPS 모듈(202)은 자율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제2 네비게이션 모듈(203)은 GPS 모듈(202)에서 검출된 자율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맵에 좌표를 찍어서 생성한다. 이때, 맵은 외부서버(400)에서 제공되는 고정밀 지도 정보 및 교통정보 및 지역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DAS 카메라 모듈(204)은 이동 중인 자율주행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고, 전방추돌, 차선이탈 등의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로 알림을 출력한다. 이때, 외부로의 알림은 음향장치(스피커 등) 및 표시장치(LED, LCD 등)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태 결정 모듈(205)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공되는 주행지시 정보 및 전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결정한다. 예로서, 서버(100)에서 이동경로, 승차 및 하차 위치가 전달되면, 이를 기반으로 차량을 자율주행 시킨다.
제2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듈(206)은 자율주행 차량(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최적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안하고, 서비스 사용 중 동적으로 하차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UI/UX를 제공한다. 이때, 제2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듈(206)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제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듈(303)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7)은 자율주행 차량(200)의 현재 위치와 원하는 목적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그에 따른 승차 및 하차 존, 예상 이동 경로, 예상 탑승 시간, 예상 요금 정보를 표시하고, 서버(100)에서 계산된 최적의 하차 위치를 표시한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 모듈(302)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HUD 모듈(208)은 차량 주행에 안전과 편의성을 높여 주기 위한 정보를 자율주행 차량(200)의 찰 유리창 등 운전자의 시야 안에 표시한다.
제2 AR/VR 엔진 모듈(209)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시스템의 판단에 따라 승차 및 하차 지점 인접 도로들을 기반으로 산출된 변경 가능한 존들 및 변경에 따른 서비스 변경 내용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을 이용한 통합 관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승차 시 존 별 최적 서비스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서버(100)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103)을 통해 외부 서버(400)에서 입력되는 교통정보, 지역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지역별, 존 별로 각각 취합한다(S10). 이때,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103)은 외부 서버(400)로부터 지도 데이터, 인구관련(인구밀집도, 소득, 성별, 나이대, 직업 등)정보, 서비스 사용빈도, 과거트립 정보, 교통규제 정보, 상업(매출, 업종) 정보, 서비스 차량 밀집도 정보, 시간별 트래픽 정보를 전송 받는다(S11).
이어서, 서버(100)는 존 결정 모듈(102)을 통해 교통 규제를 기반으로 서비스 불가 및 가능 지역을 나눈다. 그리고 존 결정 모듈(102)은 지역별 서비스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사용량이 균등해질 수 있도록 분할한다(S20).
그리고 서버(100)는 존 결정 모듈(102)을 통해 존 내 상업시설 분포, 트래픽 정보, 주거인구 정보를 반영하여 존의 구획을 조정한다(S30).
서버(100)는 존 결정 모듈(102)을 통해 조정된 존의 구획을 서비스 구역으로 다양한 크기의 존(zone)으로 분할한다(S40).
서버(100)는 이렇게 분할된 존 별로 사용할 수 있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외부 서버(400)로 요청한다(S50). 이에 외부 서버(400)는 존 별로 요청된 모빌리티 서비스를 서버(100)로 전송한다(S51).
이에 따라, 서버(100)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103)을 통해 외부 서버(400)에서 존 단위로 복수 포인트의 각 서비스별 차량 도착 시간, 예상 요금 구간, 도보 이동 시간 등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존 별로 취합한다(S60).
그리고 서버(100)는 취합된 모빌리티 서비스를 기반으로 근방의 트래픽이 일정수준 이상의 변동이 있을 때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다시 존 별로 사용할 수 있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외부 서버(400)로 요청하여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70).
이후,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제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듈(303)이 활성화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S81),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 및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106)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매칭되는 승차 가능한 존 및 하차 가능한 존의 목록을 선정한다(S80). 이때,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은 선정된 승차 가능한 존에 제공되는 차량의 종류도 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선정되는 차량의 종류는 선정된 존과 차량의 위치, 예측된 지역별 트래픽 등을 기반으로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107)을 통해 상기 선정된 승차 가능한 존 및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106)에서 선정된 하차 가능한 존의 목록을 자율주행 차량(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다(S9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 및 자율주행 차량(200)은 존 내부에 현재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과 하차 구역, 도착 예정 시간, 예상 요금, 예상 도보이동 경로 등의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가 표시된다(S91).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자율주행 차량(200)에 표시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중 최적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S91).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의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배차 이후 승/하차 구역 변경 시에 존 별로 최적 서비스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후 존 변경 시 최종 모빌리티를 선정하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d는 도 6에서 배차 이후 승/하차 구역을 변경하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b는 AR 모드를 통해 도 6에서 배차 이후 승/하차 구역을 변경하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를 통한 배차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을 승차구역 변경을 선택하고, 서버(100)로 변경 가능한 승차 구역 정보를 요청한다(S100).
이에, 서버(100)는 하차정보 취합 모듈(104)을 통해 취합된 존 단위로 하차 가능한 복수 포인트의 각 서비스별 차량 도착 시간, 예상 요금 구간, 도보 이동 시간 정보 중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에서 선정한 사용자의 위치에 매칭되는 승차 가능한 존을 선정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107)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S11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승차 가능한 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111).
예로서, 도 7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는 현재 위치(10)에 해당하는 존(A)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빌리티 서비스들(11a 내지 11e)을 한번에 보여준다. 그리고 각 서비스는 자율주행, 수동주행 등의 선택지를 표시할 수 있고, 각각에 대해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시간, 예상 소요시간, 예상 요금을 함께 표시하여 선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서버(100)는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존의 배차 가능한 차량 종류를 선정한다(S130). 그리고 선택 존 내 구역별 배차존을 지정한다(S140). 그리고 서버(100)는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105)을 통해 지정된 존 내 구역별 배차존의 지도 레이블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107)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S140).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서버에서 전송되는 지정된 존 내 구역별 배차존의 지도 레이블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차존 지도에 복수의 배차존이 색상별로 표시된다(S141).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복수의 배차존 중 특정 배차존 및 차량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S142).
예로서, 도 7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승차 가능한 특정 존(A)이 선택되면, 해당 서비스가 배정되고, 사용자가 이동하여 모빌리티 서비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서버(100)는 하차정보 취합 모듈(104)을 통해 선택된 동일한 차량 종류의 복수 배차존 도착 예정(지연) 시간을 취합하여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107)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S150).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선택된 특정 배차존이 표시되고(S151), 표시된 특정 배차존의 지연시간이 표시된다(S152). 이때, 표시되는 지연시간은 서버(100)에서 전송된 동일한 차량 종류의 복수 배차존 도착 예정(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특정 배차존 및 지연시간을 확인하고 최종 배차구역을 선택할 수 있다(S153).
예로서, 도 7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내 위치 기준의 존에 대한 내용은 서비스 별로 세부 표시하고, 다른 존에 대한 내용은 모빌리티 서비스들의 예상 소요시간 및 요금 평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7d 내지 도 7e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이동으로 선택된 특정 존(A)이 다른 존(B)으로 변경되면, 변경된 해당 존(B)이 하이라이트 되고 서비스별 세부 내용이 변경된 존(B)에서 새롭게 등장한다. 그리고 이전에 속해 있는 존(A)은 하이라이트가 꺼지고, 예상 소요시간 및 요금 평균이 갱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예상 소요시간 및 요금을 자신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추가 비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예로서, 추가 비용은 도 8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 거리에 따라, 추가비용 없음(무료), 추가비용 중간 및 추가비용 높음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추가 비용에 따른 위치를 선택하면, 도 8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선택된 영역 내에 승하차 가능한 위치를 표시하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승하차 가능 위치는 승하차 금지구역, 수동운전차량, 완전무인자율주행차량, 유인자율주행차량의 옵션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는, 예로서 도 8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존에 표시하여 변경 가능 구간을 표시하고 추가 비용 발생을 출력한다. 그리고 비용 구간이 선택되면, 해당 영역의 지도가 확대된 후, 차량 종류별로 승차 가능 구역을 색상/패턴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 종류를 선택하면, 해당 차량 구역별 승차지연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배차존 지도를 기반으로 구역 내 대표 건물을 확인하여(S154) 특정 배차존이 건물 옆면이면 서버(100)에 3D 빌딩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155).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요청된 3D 건물 데이터를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103)을 통해 취합하여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107)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S160).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3D 건물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건물 뷰가 표시되고(S161), 표시된 3D 건물 뷰의 건물의 면을 하이라이트로 표시된다(S152). 이때,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건물 면은 승차 또는 하차 구역을 나타낼 수 있다.
서버(100)는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건물 면 인근의 배차존 지연시간을 취합하여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107)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면(S170),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배차존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건물 면에 지연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S171)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건물면 중 하나인 특정 건물 면을 선택할 수 있다(S172).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선택된 특정 건물 면에 해당되는 거리뷰 이미지를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103)을 통해 취합하여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107)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S160). 이때,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103)을 통해 취합되는 거리뷰 이미지는 외부 서버(400)의 고정밀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율주행 차량(200)의 ADAS 카메라 모듈(204)에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예로서, 도 8d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승차 구역에 건물이 있는 경우, 해당 위치의 3D 지도 데이터를 서버(100)에서 수신하여 건물의 3D 빌딩 모델을 사용자 단말기(3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터치 및 드래그하여 건물의 승차면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의 면을 클릭(터치)하면 해당 면의 거리 뷰 실사 이미지를 추가로 보여줄 수 있다, 이때, 거리 뷰 실사 이미지도 서버(10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거리뷰 이미지가 표시되고(S181),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표시된 거리뷰 이미지에서 최종 승차구역을 선택할 수 있다(S182).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선택된 최종 승차구역이 서버(100)로 전송되고(S183),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전달된 최종 배차구역 위치를(또는 변경된 승차 위치)를 자율주행 차량(200)에 전송함으로써, 자율주행 차량(200)은 자율주행을 실행하게 된다(S190).
한편, 승차 구역 변경 시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자율주행 차량(200)의 제1, 2 AR/VR 엔진모듈(304)(209)을 통해 서비스 변경 내용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예로서, 도 9a 내지 도 9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 주변에서 승차 위치를 변경하고 싶을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자율주행 차량(200)의 제1, 2 AR/VR 엔진모듈(304)(209)을 통해 AR 또는 VR 모드를 켠다. 그리고 주변 환경에서 차량 종류별 승차 가능 구역을 AR 또는 VR로 하이라이트 한다. 이때, 하이라이트 되는 구역은 승하차 금지구역, 수동운전차량, 완전무인자율주행차량, 유인자율주행차량의 옵션으로 서로 다른 색상/패턴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차는 사용자 단말기(300) 모드 상에서 승차구역을 최종 선택한 후, 사용자가 승차구역에 도착하여 다시 승차 구역을 변경하고 싶을 때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 서비스 지역을 다양한 크기의 존(zone)으로 나누고, 자율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각각 존에 매칭하여 매칭된 존 별로 미리 산출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율주행 차량 탑승자의 현재 위치와 원하는 목적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그에 따른 승차 및 하차 존, 예상 이동 경로, 예상 탑승 시간, 예상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시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명령에 의해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율주행 차량; 및
고정밀 지도 정보를 제공하고, 교통정보 및 지역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서버를 포함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자율주행 차량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데이터 모뎀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원하는 목적지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그에 따른 승차 및 하차 존, 예상 이동 경로, 예상 탑승 시간, 예상 요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서버에서 계산된 최적의 승차 가능한 존 및 승차 가능한 존에 제공되는 차량의 종류를 특정하여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최적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안하고, 서비스 사용 중 동적으로 하차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제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듈;
승차 및 하차 지점 인접 도로들을 기반으로 산출된 변경 가능한 존들 및 변경에 따른 서비스 변경 내용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제1 AR/VR 엔진모듈; 및
현재 위치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맵에 좌표를 찍어서 생성하는 제1 네비게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외부 서버에서 입력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업시설 분포, 트래픽 정보, 주거 인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지역별 트래픽을 예측하는 트래픽 예측 모듈;
상기 트래픽 예측 모듈에서 예측된 지역별 트래픽을 기반으로 서비스 지역을 다양한 크기의 존(zone)으로 분할하는 존 결정 모듈;
상기 외부 서버에서 입력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지역별, 존 별로 각각 취합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
상기 존 단위로 하차 가능한 복수 포인트의 각 서비스별 차량 도착 시간, 예상 요금 구간, 도보 이동 시간 중 적어도 하는 취합하는 하차정보 취합 모듈;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에서 취합된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매칭되는 승차 가능한 존 및 상기 승차 가능 존에 제공되는 차량의 종류를 선정하는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
상기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에서 선정된 존을 기반으로 하차 가능한 존을 선정하는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 및
상기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에서 선정된 승차 가능한 존 및 상기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에서 선정된 하차 가능한 존의 목록을 상기 자율주행 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을 포함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차량은
상기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외부서버와 무선통신을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텔레매틱스 모듈;
GPS 모듈을 통해 검출된 자율주행 차량의 현재 위치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맵에 좌표를 찍어서 생성하는 제2 네비게이션 모듈;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고, 전방추돌, 차선이탈 등의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ADAS 카메라 모듈;
상기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주행지시 정보 및 전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 결정 모듈;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최적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안하고, 서비스 사용 중 동적으로 하차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UI/UX를 제공하는 제2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모듈;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 및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와 그에 따른 승차 및 하차 존, 예상 이동 경로, 예상 탑승 시간, 예상 요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서버에서 계산된 최적의 하차 위치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승차 및 하차 지점 인접 도로들을 기반으로 산출된 변경 가능한 존들 및 변경에 따른 서비스 변경 내용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제2 AR/VR 엔진 모듈을 포함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 서버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에서 입력되는 교통정보, 지역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지역별, 존 별로 각각 취합하는 단계;
서버에서 존 결정 모듈을 통해 교통 규제를 기반으로 서비스 불가 및 가능 지역을 나누고, 존 결정 모듈을 통해 지역별 서비스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사용량이 균등해질 수 있도록 분할하는 단계;
서버에서 존 결정 모듈을 통해 존 내 상업시설 분포, 트래픽 정보, 주거인구 정보를 반영하여 존의 구획을 조정하고, 조정된 존의 구획을 서비스 구역으로 존(zone)을 분할하는 단계;
서버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을 통해 상기 분할된 존 별로 외부 서버에서 존 단위로 복수 포인트의 각 서비스별 차량 도착 시간, 예상 요금 구간, 도보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취합하는 단계;
서버에서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 및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매칭되는 승차 가능한 존 및 하차 가능한 존의 목록을 선정하는 단계; 및
서버에서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을 통해 상기 선정된 승차 가능한 존 및 최적 하차 존 추천 엔진 모듈에서 선정된 하차 가능한 존의 목록을 자율주행 차량 및 사용자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취합된 모빌리티 서비스를 기반으로 존 근방의 트래픽이 일정수준 이상의 변동이 있을 때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에서 상기 선정된 승차 가능한 존에 제공되는 차량의 종류도 함께 선정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되는 차량의 종류는 선정된 존과 차량의 위치, 예측된 지역별 트래픽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선정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자율주행 차량에 상기 존 내부에 현재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과 하차 구역, 도착 예정 시간, 예상 요금, 예상 도보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자율주행 차량에 표시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중 최적 서비스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승차구역 변경이 요청되면, 서버에서 하차정보 취합 모듈을 통해 취합된 존 단위로 하차 가능한 복수 포인트의 각 서비스별 차량 도착 시간, 예상 요금 구간, 도보 이동 시간 정보 중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에서 선정한 사용자의 위치에 매칭되는 승차 가능한 존을 선정하는 단계;
서버에서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선정된 승차 가능 존을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승차 가능한 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서버에서 최적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엔진 모듈을 통해 상기 선택된 존의 배차 가능한 차량 종류를 선정하고, 선택 존 내 구역별 배차존을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존 내 구역별 배차존의 지도 레이블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배차존 중 특정 배차존 및 차량 종류가 선택되면, 서버에서 하차정보 취합 모듈을 통해 선택된 동일한 차량 종류의 복수 배차존 도착 예정(또는 지연) 시간을 취합하여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특정 배차존 및 지연시간 중 최종 배차구역이 선택되면, 서버에서 선택된 최종 배차구역 위치를 자율주행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배차존 지도를 기반으로 구역 내 대표 건물의 3D 빌딩 데이터가 요청되면, 서버에서 요청된 3D 건물 데이터를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을 통해 취합하여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3D 건물 뷰의 건물의 면을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단계;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건물 면 인근의 배차존 지연시간을 취합하여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에 지연시간과 함께 표시되는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건물면 중 하나인 특정 건물 면이 선택되면, 서버에서 선택된 특정 건물 면에 해당되는 거리뷰 이미지를 모빌리티 서비스 정보 취합 모듈을 통해 취합하여 메시지 브로드캐스터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자율주행 차량의 제1, 2 AR/VR 엔진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비스 변경 내용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05184 WO2020222325A1 (ko) | 2019-04-30 | 2019-04-30 |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7835A true KR20200127835A (ko) | 2020-11-11 |
KR102306161B1 KR102306161B1 (ko) | 2021-09-29 |
Family
ID=7302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20120A KR102306161B1 (ko) | 2019-04-30 | 2019-04-30 |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326783A1 (ko) |
KR (1) | KR102306161B1 (ko) |
WO (1) | WO2020222325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69389A (zh) * | 2020-11-18 | 2021-01-26 | 武汉理工大学 | 一种多功能乘务服务智能机器车系统及其控制方法 |
KR20220073411A (ko) * | 2020-11-26 | 2022-06-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정차지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영 서버 |
KR20230022723A (ko) | 2021-08-09 | 2023-02-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
KR20230026199A (ko) | 2021-08-17 | 2023-02-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모빌리티의 수화물 적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수화물 적재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26078B (zh) * | 2016-12-22 | 2024-04-26 | 日产北美公司 | 自动车辆服务系统 |
CA3030580C (en) * | 2017-04-27 | 2021-06-29 |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 estimated time of arrival |
US11761784B2 (en) * | 2020-11-24 | 2023-09-19 | Waymo Llc | Reachability user experience interfaces for autonomous vehicles |
KR20230000333A (ko) * | 2021-06-24 | 2023-01-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다용도 차량을 활용한 운송 시스템 및 운송 방법 |
US20230093977A1 (en) * | 2021-09-27 | 2023-03-30 | 7-Eleven, Inc. | Delivery vehicle selection based on location data and memory resource content |
US20230142544A1 (en) * | 2021-11-11 | 2023-05-11 | Argo AI, LLC | System and Method for Mutual Discovery in Autonomous Rideshare Between Passengers and Vehicles |
CN114170828B (zh) * | 2021-11-22 | 2024-09-03 | 珠海小可乐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居住位置与车辆位置推荐路线的系统及实现方法 |
CN115017427A (zh) * | 2022-08-09 | 2022-09-06 | 广州海普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地理位置信息推荐处理方法及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9176B1 (ko) * | 2015-03-31 | 2016-10-25 | 주식회사 다빈기술 |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
KR20170082165A (ko) * | 2016-01-05 | 2017-07-1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차량 자율주행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KR20180120123A (ko) * | 2018-05-28 | 2018-11-05 | 아이피랩 주식회사 | 무인운전시스템, 무인운전차 이용 요금 부과 서버 및 방법 |
KR101917316B1 (ko) * | 2017-09-28 | 2018-11-09 | 정연욱 | 증강현실을 이용한 차량 승차 지점 정보 제공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7742B1 (ko) * | 2005-09-29 | 2006-11-23 | 주식회사 케이티 | 대중교통 기반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US11205240B2 (en) * | 2015-12-30 | 2021-12-21 | Waymo Llc | Autonomous vehicle services |
US10366290B2 (en) * | 2016-05-11 | 2019-07-30 | Baidu Usa Ll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virtual reality content in autonomous vehicles |
KR20180118999A (ko) * | 2017-04-24 | 2018-11-01 | 최원석 | 대중교통 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길안내 시스템 |
US11118930B2 (en) * | 2017-07-14 | 2021-09-14 | Lyft, Inc. | Providing information to users of a transport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elements |
-
2019
- 2019-04-30 US US16/490,509 patent/US2021032678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04-30 WO PCT/KR2019/005184 patent/WO202022232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4-30 KR KR1020197020120A patent/KR1023061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9176B1 (ko) * | 2015-03-31 | 2016-10-25 | 주식회사 다빈기술 |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
KR20170082165A (ko) * | 2016-01-05 | 2017-07-1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차량 자율주행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KR101917316B1 (ko) * | 2017-09-28 | 2018-11-09 | 정연욱 | 증강현실을 이용한 차량 승차 지점 정보 제공 시스템 |
KR20180120123A (ko) * | 2018-05-28 | 2018-11-05 | 아이피랩 주식회사 | 무인운전시스템, 무인운전차 이용 요금 부과 서버 및 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69389A (zh) * | 2020-11-18 | 2021-01-26 | 武汉理工大学 | 一种多功能乘务服务智能机器车系统及其控制方法 |
CN112269389B (zh) * | 2020-11-18 | 2023-05-02 | 武汉理工大学 | 一种多功能乘务服务智能机器车系统及其控制方法 |
KR20220073411A (ko) * | 2020-11-26 | 2022-06-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정차지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영 서버 |
US11462110B2 (en) | 2020-11-26 | 2022-10-04 | Hyundai Motor Company |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parking place and operation server utilizing the same |
KR20230022723A (ko) | 2021-08-09 | 2023-02-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모빌리티의 공간 활용 장치 |
KR20230026199A (ko) | 2021-08-17 | 2023-02-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모빌리티의 수화물 적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수화물 적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222325A1 (ko) | 2020-11-05 |
KR102306161B1 (ko) | 2021-09-29 |
US20210326783A1 (en) | 2021-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6161B1 (ko) | 존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및 동적 하차위치 설정 ui/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
JP6779353B2 (ja) | 業務用車両をユーザー用に構成する輸送促進システム | |
US10126749B2 (en) | Configuring an autonomous vehicle for an upcoming rider | |
US11977387B2 (en) | Queueing into pickup and drop-off locations | |
JP6923306B2 (ja) |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 |
US20200027354A1 (en) | Autonomous Vehicle Idle State Task Selection for Improved Computational Resource Usage | |
US10093252B2 (en) | Transport facilitation system for configuring a service vehicle for a user | |
US20200042019A1 (en) | Management of multiple autonomous vehicles | |
US9989645B2 (en) | Utilizing accelerometer data to configure an autonomous vehicle for a user | |
WO2020142548A1 (en) | Autonomous routing system based on object ai and machine learning models | |
US2021017467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ational Resource Alloc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 |
US1184170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 based autonomous vehicle control | |
EP409238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rider pickups with autonomous vehicles | |
US20210088341A1 (en) | Shuttle routing system | |
US20230375362A1 (en) | Reachability User Experience Interfaces for Autonomous Vehicles | |
CN116670736A (zh) | 考虑环境条件的车辆停靠位置的确定 | |
US20220371618A1 (en) | Arranging trips for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weather conditions | |
US12086738B2 (en) | Resource allocation for an autonomous vehicle transportation service | |
US20230391363A1 (en) | User-controlled route selection for autonomous vehicles | |
EP3605488A1 (en) | Management of multiple autonomous vehicles | |
CN117409561A (zh) | 运营天气管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