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197A -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197A
KR20230021197A KR1020210102342A KR20210102342A KR20230021197A KR 20230021197 A KR20230021197 A KR 20230021197A KR 1020210102342 A KR1020210102342 A KR 1020210102342A KR 20210102342 A KR20210102342 A KR 20210102342A KR 20230021197 A KR20230021197 A KR 20230021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oundary
region
cell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완
박건희
박동식
박준석
장지훈
장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197A/ko
Priority to TW111112385A priority patent/TWI809795B/zh
Priority to CN202210556046.6A priority patent/CN116056448A/zh
Priority to US17/857,395 priority patent/US20230041059A1/en
Publication of KR2023002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10B12/315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with the capacitor higher than a bit lin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7Bit-line organisation, e.g. bit-line layout, folded bit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01L21/7683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formation of thin insulating films on the sidewalls or on top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9Manufacture or treatment with simultaneous manufacture of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and memory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4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the transistor being at least partially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50Peripheral circuit reg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는, 셀 영역, 주변 영역 및 이들 사이의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트라인들; 상기 비트라인들 상의 비트라인 캐핑패턴들; 및 상기 경계 영역 상에 제공되는 경계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비트라인들의 단부들은 상기 경계 패턴의 제1 경계면에 접하고,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은 상기 경계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 블록 내에서 패터닝 된 비트라인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 다기능화 및/또는 낮은 제조 단가 등의 특성들로 인하여 반도체 장치는 전자 산업에서 중요한 요소로 각광 받고 있다. 반도체 장치들은 논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논리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반도체 논리 장치, 및 기억 요소와 논리 요소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반도체 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 전자 기기의 고속화, 저 소비전력화에 따라 이에 내장되는 반도체 장치 역시 빠른 동작 속도 및/또는 낮은 동작 전압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특성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반도체 장치는 보다 고집적화 되고 있다.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가 심화될수록,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반도체 장치의 높은 신뢰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화에 따른 패턴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셀 영역, 주변 영역 및 이들 사이의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트라인들; 상기 비트라인들 상의 비트라인 캐핑패턴들; 및 상기 경계 영역 상에 제공되는 경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의 단부들은 상기 경계 패턴의 제1 경계면에 접할 수 있고,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은 상기 경계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셀 영역, 주변 영역 및 이들 사이의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트라인들; 상기 비트라인들 상의 비트라인 캐핑패턴들; 상기 비트라인들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경계 영역 상으로 연장되는 셀 트렌치들; 및 상기 경계 영역 상에 제공되는 경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트렌치들의 제1 단부들은 상기 경계 패턴 내부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은 상기 경계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셀 영역, 주변 영역 및 이들 사이의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트라인들; 상기 비트라인들 상의 비트라인 캐핑패턴들; 상기 비트라인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 및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 상에 제공되며,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랜딩패드들; 상기 랜딩패드들 상에 제공되며, 상기 랜딩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캐패시터; 상기 비트라인들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경계 영역 상으로 연장되는 셀 트렌치들; 및 상기 경계 영역 상에 제공되는 경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의 단부들은 상기 경계 패턴의 제1 경계면에 접할 수 있고, 상기 셀 트렌치들의 제1 단부들은 상기 경계 패턴 내부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은 상기 경계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셀 영역과 주변 영역의 사이에 경계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셀 영역 내 비트라인들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 시, 상기 경계 패턴은 상기 주변 영역 상의 실리콘 산화물의 영향으로 인한 상기 비트라인들의 과식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비트라인들의 단부에서 상기 비트라인들 각각의 폭이 감소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트라인들의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과의 접촉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비트라인들의 폭 조절이 용이해짐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미세화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의 P1 부분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도 2의 A-A', B-B', C-C', D-D'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의 P1 부분에 대응하는 평면도들이다.
도 8, 도 13, 도 18, 도 23 및 도 28은 각각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의 A-A'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9, 도 14, 도 19, 도 24 및 도 29는 각각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의 B-B'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0, 도 15, 도 20, 도 25 및 도 30은 각각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의 C-C'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1, 도 16, 도 21, 도 26 및 도 31은 각각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의 D-D'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소자는 셀 블록들(CB) 및 상기 셀 블록들(CB)의 각각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변 블록(P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는 메모리 소자일 수도 있고, 상기 셀 블록들(CB)의 각각은 메모리 집적회로와 같은 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블록(PB)은 상기 셀 회로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주변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변 회로들은 상기 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변 블록(PB)은 센스 앰프 회로들(SA), 서브-워드라인 드라이버 회로들(SW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스 앰프 회로들(SA)은 상기 셀 블록들(CB)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고, 상기 서브-워드라인 드라이버 회로들(SWD)은 상기 셀 블록들(CB)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블록(PB)은 센스 앰프 구동용 전원 및 접지 드라이버 회로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의 P1 부분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도 2의 A-A', B-B', C-C', D-D'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반도체 기판, 일 예로 실리콘 기판, 게르마늄 기판, 또는 실리콘-게르마늄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셀 영역(CR), 주변 영역(PR), 및 이들 사이의 경계 영역(B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영역(CR)은 중앙 셀 영역(CRc), 및 상기 중앙 셀 영역(CRc)과 상기 경계 영역(BR) 사이의 엣지 셀 영역(CR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영역(CR)은 도 1의 각 셀 블록(CB)이 제공되는 상기 기판(10)의 일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주변 영역(PR)은 도 1의 주변 블록(PB)이 제공되는 상기 기판(10)의 다른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경계 영역(BR)은 상기 셀 영역(CR)과 상기 주변 영역(PR)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기판(10)의 또 다른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셀 영역(CR), 상기 경계 영역(BR) 및 상기 주변 영역(PR)은 상기 기판(10)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D1)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 영역(BR)은, 상기 기판(10)의 상기 상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셀 활성패턴들(ACT)이 상기 기판(10)의 상기 셀 영역(C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은, 상기 기판(10)의 상기 상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에 교차하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의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웃하는 다른 셀 활성패턴(ACT)의 중심에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각각은 상기 기판(10)의 상기 상면에 수직한 제4 방향(D4)을 따라 상기 기판(10)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기판(10)의 일부일 수 있다.
소자분리막들(120)이 상기 셀 영역(CR) 상에서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막들(120)은 상기 기판(1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막들(120)은 일 예로,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워드라인들(WL)이 상기 셀 영역(CR) 상에서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및 상기 소자분리막들(120)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은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및 상기 소자분리막들(120)에 형성된 그루브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은 상기 기판(10)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 각각은 셀 게이트 전극(210), 셀 게이트 유전패턴(220) 및 셀 게이트 캐핑패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게이트 전극(210)은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및 상기 소자분리막들(120)의 상부들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셀 게이트 유전패턴(220)은 상기 셀 게이트 전극(210)과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사이, 및 상기 셀 게이트 전극(210)과 상기 소자분리막들(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셀 게이트 캐핑패턴(230)은 상기 셀 게이트 전극(2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셀 게이트 캐핑패턴(230)의 상면은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의 상면들과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셀 게이트 전극(210)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전 물질은 도핑된 반도체 물질(도핑된 실리콘, 도핑된 게르마늄 등), 도전성 금속질화물(질화티타늄, 질화탄탈륨 등), 금속(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등), 및 금속-반도체 화합물(텅스텐 실리사이드, 코발트 실리사이드, 티타늄 실리사이드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셀 게이트 유전 패턴(220)은 일 예로,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게이트 캐핑 패턴(CAP)은 일 예로,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 영역들(110)이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영역들(110)은 제1 불순물 영역들(110a)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110a)은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각각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상기 워드라인들(WL)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불순물 영역들(110b)은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각각의 양 가장자리 영역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110a)은 상기 제2 불순물 영역들(110b)과 동일한 도전형(예를 들어, N형)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활성패턴들(PACT)이 상기 기판(10)의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변 소자분리막들이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서 상기 주변 활성패턴들(PACT)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소자분리막들은 상기 기판(1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주변 활성패턴들(PACT)을 정의할 수 있다. 주변 불순물 영역들이 상기 주변 활성패턴들(PACT)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경계 절연패턴(150)이 상기 셀 영역(CR), 상기 경계 영역(BR) 및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서 상기 기판(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계 절연패턴(150)은 상기 셀 영역(CR) 중 엣지 셀 영역(CRe)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 절연패턴(150)은 차례로 적층된 제1 경계 절연패턴(151), 제2 경계 절연패턴(152) 및 제3 경계 절연패턴(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 절연패턴(150)은 일 예로,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 패턴(305)이 상기 기판(10)의 상기 셀 영역(CR) 및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 패턴(305)은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상기 소자분리막들(120) 및 상기 워드라인들(WL)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버퍼 패턴(305)은 일 예로,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들(BL)이 상기 셀 영역(C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의 단부는 상기 셀 영역(CR)과 상기 경계 영역(BR)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은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은 차례로 적층된 제1 오믹패턴(331) 및 금속함유 패턴(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오믹패턴(331)은 금속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금속함유 패턴(330)은 금속(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실리콘 패턴들(310)이 상기 비트라인들(BL)과 상기 버퍼 패턴(30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셀 영역(CRc) 상의 상기 비트라인들(BL)의 폭(CDc)은, 상기 엣지 셀 영역(CRe) 상의 상기 비트라인들(BL)의 폭(CDe)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비트라인 캐핑패턴들(350)이 상기 비트라인들(BL)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350)은 하부 캐핑패턴(351) 및 상부 캐핑패턴(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350)은 상기 비트라인들(BL) 상에서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폴리실리콘 패턴들(310), 상기 비트라인들(BL) 및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350)의 측벽들이 비트라인 스페이서들(SP)로 덮일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스페이서들(SP)은 에어갭(AG)에 의해 이격된 제1 서브 스페이서(321) 및 제2 서브 스페이서(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스페이서(321) 및 상기 제2 서브 스페이서(325)는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산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스페이서(321) 및 상기 제2 서브 스페이서(325)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잇다.
비트라인 컨택들(DC)이 상기 비트라인들(BL)과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110a) 사이에 각각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은 상기 비트라인 컨택들(DC)에 의해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11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컨택들(DC)은 불순물이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컨택들(DC)은 리세스 영역(RE)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RE)은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110a)의 상부 및 이에 인접한 상기 소자분리막들(120)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스페이서(321) 및 매립절연패턴(315)은 상기 리세스 영역(RE) 내의 잔부를 채울 수 있다.
셀 트렌치들(CTR)이 상기 비트라인들(BL)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셀 트렌치들(CTR)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상기 셀 영역(CR) 상에서 상기 경계 영역(BR) 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주변 워드라인들(PWL)이 상기 기판(10)의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워드라인들(PWL)은 상기 주변 활성패턴들(PACT)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주변 워드라인들(PWL) 각각은 주변 폴리실리콘 패턴(310b), 주변 제1 오믹패턴(331b), 주변 금속함유 패턴(330b), 주변 캐핑패턴(351b), 주변 게이트 유전패턴(306) 및 주변 스페이서(3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폴리실리콘 패턴(310b), 상기 주변 제1 오믹패턴(331b), 상기 주변 금속함유 패턴(330b) 및 상기 주변 캐핑패턴(351b)은 각각 상기 폴리실리콘 패턴(310), 상기 제1 오믹패턴(331b), 상기 금속함유 패턴(330b) 및 상기 하부 캐핑패턴(35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주변 활성패턴(PACT)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주변 게이트 유전패턴(306)은 상기 기판(10)과 상기 주변 폴리실리콘 패턴(310b)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스페이서(355)는 상기 주변 폴리실리콘 패턴(310b), 상기 주변 제1 오믹패턴(331b), 상기 주변 금속함유 패턴(330b), 상기 주변 캐핑패턴(351b) 및 상기 주변 게이트 유전패턴(306)의 측면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주변 절연패턴(360) 및 제2 주변 절연패턴(361)이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 및 제2 주변 절연패턴(361)은 상기 주변 워드라인들(PWL)을 덮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이 상기 주변 스페이서(355) 상에서 상기 주변 워드라인들(PWL)을 덮을 수 있고,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이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패턴(BP)이 상기 기판(10)의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은 상기 경계 영역(BR) 상의 경계 트렌치(BTR)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트렌치(BTR)는 상기 버퍼 패턴(305)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경계 패턴(BP)은 상기 버퍼 패턴(305)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은 상기 경계 절연패턴(15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트렌치(BTR)의 일 내측면은 상기 셀 영역(CR)과 상기 경계 영역(BR)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경계 트렌치(BTR)의 타(opposite) 내측면은 상기 주변 영역(PR)과 상기 경계 영역(BR)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은 상기 경계 트렌치(BTR)의 상기 일 내측면에서 제1 경계면(BS1)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경계 트렌치(BTR)의 상기 타 내측면에서 제2 경계면(BS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의 상기 제1 경계면(BS1)은, 상기 셀 영역(CR)과 상기 경계 영역(BR)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의 상기 제2 경계면(BS2)은, 상기 주변 영역(PR)과 상기 경계 영역(BR)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계 패턴(BP)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의 단부들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경계 패턴(BP)의 상기 제1 경계면(BS1)에 접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의 상기 제1 경계면(BS1)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경계면(BS1)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비트라인들(BL)의 상기 단부들은 실리콘 질화물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면(BS1)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비트라인들(BL)의 상기 단부들은 실리콘 산화물에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은 상기 경계 패턴(BP)의 상기 제2 경계면(BS2)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은 상기 경계 패턴(BP)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계 패턴(BP)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350)은 상기 경계 패턴(BP)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350)의 상기 상부 캐핑패턴(352)은 상기 경계 패턴(BP)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계 패턴(BP)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때 상기 상부 캐핑패턴(352)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트렌치들(CTR)의 제1 단부들(E1)은 상기 경계 패턴(BP)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셀 트렌치들(CTR)의 상기 제1 단부들(E1)은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셀 트렌치들(CTR)의 상기 제1 단부들(E1)은,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단부들(E1) 중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단부들(E1)보다 상기 제2 경계면(BS2)에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단부들(E1) 중 짝수번째 제1 단부들(E1)은 상기 제1 단부들(E1) 중 홀수번째 제1 단부들(E1)보다 상기 제2 경계면(BS2)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셀 트렌치들(CTR)의 상기 제1 단부들(E1)은, 상기 비트라인들(BL)의 상기 단부들보다 상기 주변 영역(PR)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의 일부는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서 상기 셀 트렌치들(CTR)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의 상기 일부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계 패턴(BP)의 상기 일부는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의 상기 일부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셀 트렌치들(CTR) 각각의 내측면이 상기 비트라인 스페이서(SP)로 덮일 수 있다. 충진패턴(380)은 상기 비트라인 스페이서(SP)로 덮인 상기 셀 트렌치들(CTR)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충진패턴(380)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이 상기 비트라인들(B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스페이서(SP)가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과 이에 인접한 상기 비트라인들(BL)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은 불순물이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패턴(380)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웃한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 각각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오믹패턴(341)이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 각각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믹패턴(341)은 금속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방지 패턴(342)이 상기 제1 서브 스페이서(321), 상기 제2 서브 스페이서(325) 및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350)을 콘포말하게 덮을 수 있다. 상기 확산방지 패턴(342)은 티타늄질화막, 탄탈륨질화막과 같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랜딩패드들(LP)이 상기 확산방지 패턴(34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랜딩패드들(LP)은 텅스텐과 같은 금속 함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딩패드들(LP)의 상부는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BC)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랜딩패드들(LP)의 상부는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BC)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상기 랜딩패드들(LP)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층간절연패턴(400)이 상기 이웃하는 랜딩패드들(LP)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은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350)의 상부, 상기 비트라인 스페이서(SP)의 상부, 상기 랜딩패드들(LP)의 측면, 및 상기 랜딩패드들(LP)로 덮이지 않은 상기 확산방지 패턴(342)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은 상기 경계 영역(BR) 및 상기 주변 영역(PR)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은 상기 경계 영역(BR) 상의 상기 충진패턴(380)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주변 영역(PR) 상의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은 일 예로,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은 상기 비트라인 스페이서(SP)의 상기 에어갭(AG)과 연결되어 에어로 채워진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이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350) 및 상기 금속함유 패턴(330)을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은 상기 비트라인들(B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의 상부의 폭은,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350) 및 상기 금속함유 패턴(330)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의 하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의 상기 상부의 하면은 상기 확산방지 패턴(342)에 접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은 상기 랜딩패드들(LP)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은 텅스텐과 같은 금속 함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이 상기 주변 워드라인들(PWL)의 각각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의 각각은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 및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을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의 상부의 폭은,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 및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의 하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의 상기 상부의 하면은 상기 확산방지 패턴(342)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은 상기 랜딩패드들(LP)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은 텅스텐과 같은 금속 함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들(BE)이 상기 랜딩패드들(LP)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들(BE)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 티타늄질화막과 같은 금속 질화막, 및 텅스텐, 알루미늄 및 구리와 같은 금속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들(BE)의 각각은 원기둥 형태이거나 속이 빈 실린더 혹은 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지지 패턴(SS1)이 상기 하부 전극들(BE)의 상부 측벽들을 지지할 수 있고, 하부 지지 패턴(SS2)이 상기 하부 전극들(BE)의 하부 측벽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 패턴들(SS1, SS2)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산화질화막과 같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식각 저지막(420)이 상기 셀 영역(CR), 상기 경계 영역(BR) 및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각 저지막(420)은 상기 하부 전극들(BE) 사이에서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각 저지막(420)은 일 예로,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산화질화막과 같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막(DL)이 상기 하부 전극들(BE)의 표면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 패턴들(SS1, SS2)의 표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유전막(DL)은 일 예로,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및 고유전막(일 예로, 하프늄 산화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TE)이 상기 유전막(D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전극들(BE)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TE)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게르마늄막, 티타늄질화막과 같은 금속 질화막, 및 텅스텐, 알루미늄 및 구리와 같은 금속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들(BE), 상기 유전막(DL) 및 상기 상부 전극(TE)은 캐패시터(CA)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층간절연패턴(500)이 상기 셀 영역(CR), 상기 경계 영역(BR) 및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그리고 상기 식각 저지막(42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패턴(500)은 상기 캐패시터(CA)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패턴(500)은 일 예로,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컨택들(MC)이 상기 제2 층간절연패턴(500)을 관통하여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 및 상기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금속컨택들(MC)은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 및 상기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에 전기적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패턴(500)은 상기 금속컨택들(MC)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금속컨택들(MC)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의 P1 부분에 대응하는 평면도들이다. 도 8, 도 13, 도 18, 도 23 및 도 28은 각각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의 A-A'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9, 도 14, 도 19, 도 24 및 도 29는 각각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의 B-B'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0, 도 15, 도 20, 도 25 및 도 30은 각각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의 C-C'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1, 도 16, 도 21, 도 26 및 도 31은 각각 도 7, 도 12, 도 17, 도 22 및 도 27의 D-D'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셀 영역(CR), 주변 영역(PR), 및 이들 사이의 경계 영역(BR)을 포함하는 기판(10)이 제공될 수 있다. 셀 활성패턴들(ACT) 및 소자분리막들(120)이 상기 셀 영역(CR) 상에서 상기 기판(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은, 상기 기판(10)의 상기 상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에 교차하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막들(120)은 상기 기판(1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을 정의할 수 있다.
경계 절연패턴(150)이 상기 셀 영역(CR), 상기 경계 영역(BR) 및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서 상기 기판(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 절연패턴(150)은 일 예로,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워드라인들(WL)이 상기 셀 영역(CR) 상에서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및 상기 소자분리막들(12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은 상기 기판(10) 내에 매립될 수 있다.
불순물 영역들(110)이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불순물 영역들(110a)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110a)은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각각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상기 워드라인들(WL)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불순물 영역들(110b)은 상기 셀 활성패턴들(ACT) 각각의 양 가장자리 영역들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 영역(RE)이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110a)의 상부 및 이에 인접한 상기 소자분리막들(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비 비트라인 컨택들(DCp)이 상기 리세스 영역(RE)을 채울 수 있다. 예비 버퍼 패턴(305p), 폴리실리콘막(310pa), 오믹막(331pa), 금속함유막(330pa) 및 하부 캐핑막(351pa)이 상기 셀 영역(CR) 및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서, 상기 예비 버퍼 패턴(305p)이 제공된 면적은 상기 폴리실리콘막(310pa), 상기 오믹막(331pa), 상기 금속함유막(330pa) 및 상기 하부 캐핑막(351pa)이 제공된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예비 버퍼 패턴(305p) 및 상기 폴리실리콘막(310pa)은 상기 예비 비트라인 컨택들(DCp)의 상부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예비 버퍼 패턴(305p)이 의 일부가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믹막(331pa)은 상기 예비 비트라인 컨택들(DCp)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주변 활성패턴들(PACT) 및 주변 워드라인들(PWL)이 상기 기판(10)의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비 제1 주변 절연패턴(360p)이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주변 워드라인들(PWL)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예비 제1 주변 절연패턴(360p)의 일부가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제1 주변 절연패턴(360p)의 상기 일부는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서 상기 예비 버퍼 패턴(305p)의 상기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제1 주변 절연패턴(360p)은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서 상기 폴리실리콘막(310pa), 상기 오믹막(331pa), 상기 금속함유막(330pa) 및 상기 하부 캐핑막(351pa)에 접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경계 트렌치(BTR)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트렌치(BTR)가 형성되는 것은, 도 11의 상기 폴리실리콘막(310pa), 상기 오믹막(331pa), 상기 금속함유막(330pa), 상기 하부 캐핑막(351pa) 및 상기 예비 제1 주변 절연패턴(360p)이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서 식각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비 폴리실리콘 패턴(310p), 예비 제1 오믹패턴(331p), 예비 금속함유 패턴(330p), 예비 하부 캐핑패턴(351p) 및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버퍼 패턴(305p)의 상면이 상기 경계 트렌치(BTR)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예비 폴리실리콘 패턴(310p), 상기 예비 제1 오믹패턴(331p), 상기 예비 금속함유 패턴(330p), 상기 예비 하부 캐핑패턴(351p) 및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 각각의 측면이 상기 경계 트렌치(BTR)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예비 경계 패턴(BP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기판(10) 상에 상기 경계 영역(BR) 상의 상기 경계 트렌치(BTR)를 채우는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은 상기 셀 영역(CR), 상기 주변 영역(PR) 및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은 상기 셀 영역(CR)에서 상기 예비 하부 캐핑패턴(351p)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은 상기 주변 영역(PR)에서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은 상기 경계 영역(BR)에서 상기 예비 버퍼 패턴(305p)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은 상기 셀 영역(CR)과 상기 경계 영역(BR)의 경계에서 상기 예비 폴리실리콘 패턴(310p), 상기 예비 제1 오믹패턴(331p), 상기 예비 금속함유 패턴(330p) 및 상기 예비 하부 캐핑패턴(351p) 각각의 측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은 제2 경계면(BS2)에서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의 측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하부마스크막(610), 상부마스크패턴들(621) 및 희생막(622)이 상기 셀 영역(CR), 상기 주변 영역(PR) 및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마스크막(610)은 상기 기판(10)의 전 영역에서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마스크막(610)이 형성된 후,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이 상기 하부마스크막(6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하부마스크막(610)을 상부마스크막으로 덮는 것, 및 상기 상부마스크막에 대한 노광 및 식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은 상기 기판(10)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기판(10)의 상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희생막(622)은 상기 하부마스크막(610)의 상면,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의 상면 및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의 측면을 콘포말하게 덮을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비트라인들(BL)이 상기 셀 영역(C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셀 트렌치들(CTR) 및 경계 패턴(BP)이 상기 셀 영역(CR) 및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주변 절연패턴(361)이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 상기 셀 트렌치들(CTR), 상기 경계 패턴(BP) 및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은 도 24의 상기 예비 폴리실리콘 패턴(310p), 상기 예비 제1 오믹패턴(331p), 상기 예비 금속함유 패턴(330p), 상기 예비 하부 캐핑패턴(351p) 및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이 식각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부마스크막(610),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 및 상기 희생막(622)이 식각 마스크로 이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희생막(622) 중 상기 하부마스크막(610)의 상면 및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의 상면을 덮고 있는 상기 희생막(622)의 일부가 식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의 측면을 덮고 있는 상기 희생막(622)의 잔부들이 상기 하부마스크막(610) 상에 남을 수 있다. 상기 희생막(622)의 상기 잔부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희생막(622)의 상기 잔부들은 바(bar) 형태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이 제거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하부마스크막(610) 중 일부의 상부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하부마스크막(610) 중 상기 일부는,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 및 상기 희생막(622)의 상기 잔부들로 덮이지 않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마스크막(610)은 상기 희생막(622)의 상기 잔부들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식각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예비 폴리실리콘 패턴(310p), 상기 예비 제1 오믹패턴(331p), 상기 예비 금속함유 패턴(330p), 상기 예비 하부 캐핑패턴(351p) 및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이 상기 하부마스크막(610)의 잔부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식각될 수 있다.
상기 셀 트렌치들(CTR)은 상기 희생막(622)의 상기 잔부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셀 트렌치들(CTR)은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 및 상기 하부마스크막(610) 중 상기 일부가 배치되었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희생막(622)의 상기 잔부들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하부 레이어들이 식각되지 않을 수 있고, 바(bar) 형태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바(bar) 형태의 비트라인 컨택들(DC), 폴리실리콘 패턴들(310), 상기 비트라인들(BL) 및 비트라인 캐핑패턴들(350)이 상기 셀 영역(C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이 식각됨으로써, 상기 경계 패턴(BP),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 및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350) 중 상부 캐핑패턴(352)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이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이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350) 중 상기 상부 캐핑패턴(352)이 상기 셀 영역(C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마스크막(610) 중 상기 일부가 배치된 영역에서의 식각량이,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이 배치된 영역에서의 식각량보다 많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마스크막(610) 중 상기 일부가 배치된 영역의 셀 트렌치들(CTR)이, 상기 상부마스크패턴들(621)이 배치된 영역의 셀 트렌치들(CTR)보다 상기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셀 트렌치들(CTR)의 제1 단부들(E1)은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서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희생막(622)의 상기 잔부들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 공정 진행 전, 상기 주변 영역(PR) 및 상기 주변 영역(PR)에 인접한 상기 경계 영역(BR)의 일부가 마스크막으로 덮일 수 있고, 상기 마스크막으로 덮인 영역에서는 상기 셀 트렌치들(CTR)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셀 트렌치들(CTR)의 제1 단부들(E1)이 상기 주변 영역(PR)이 아닌, 상기 경계 영역(B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은 상기 셀 트렌치들(CTR)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은 상기 예비 경계 패턴(BPp)과 같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셀 트렌치들(CTR)에 의해 노출된 상기 경계 패턴(BP)의 일부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비트라인들(BL)은 형성 과정에서 실리콘 산화물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충진패턴(380) 및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비트라인들(BL)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 각각은 상기 제2 불순물 영역들(110b)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의 형성 과정에서, 도 29의 예비 버퍼 패턴(305p) 일부가 식각되어 버퍼 패턴(305)이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 스페이서(SP)가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과 인접한 상기 비트라인들(BL)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2 오믹패턴(341)이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의 각각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확산방지 패턴(342)이 상기 제2 오믹패턴(341), 상기 비트라인 스페이서(SP), 및 비트라인 캐핑패턴(350)을 콘포말하게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랜딩패드들(LP)이 상기 확산방지 패턴(34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랜딩패드들(LP) 각각은 상기 스토리지 노드 컨택들(BC)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랜딩패드들(LP)의 상부는 상기 대응하는 스토리지 노드 컨택(BC)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제1 층간절연패턴(400)이 상기 이웃하는 랜딩패드들(LP)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은 상기 경계 영역(BR) 및 상기 주변 영역(PR)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이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350) 및 상기 금속함유 패턴(330)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은 상기 비트라인들(B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이 상기 주변 워드라인들(PWL)의 각각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의 각각은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 상기 제2 주변 절연패턴(361) 및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 있다.
하부 전극들(BE)이 상기 랜딩패드들(LP)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식각 저지막(420)이 상기 셀 영역(CR), 상기 경계 영역(BR) 및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각 저지막(420)은 상기 하부 전극들(BE) 사이에서 상기 제1 층간절연패턴(4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 패턴(SS1)이 상기 하부 전극들(BE)의 상부 측벽들 상에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지지 패턴(SS2)이 상기 하부 전극들(BE)의 하부 측벽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전막(DL)이 상기 하부 전극들(BE)의 표면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 패턴들(SS1, SS2)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부 전극(TE)이 상기 유전막(DL) 상에 상기 하부 전극들(BE)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들(BE), 상기 유전막(DL) 및 상기 상부 전극(TE)은 캐패시터(CA)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층간절연패턴(500)이 상기 셀 영역(CR), 상기 경계 영역(BR) 및 상기 주변 영역(P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패턴(500)은 상기 식각 저지막(4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패턴(500)은 상기 캐패시터(CA)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금속컨택들(MC)이 상기 제2 층간절연패턴(5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컨택들(MC)은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 및 상기 주변 컨택플러그들(DCCP)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패턴(500)은 상기 금속컨택들(MC)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의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에서 상기 비트라인들(BL)이 실리콘 산화물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 비트라인들(BL)에 대한 패시베이션(passivation)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트라인들(BL)이 과식각됨으로써, 상기 비트라인들(BL) 폭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이 상기 비트라인들(BL)의 형성 시에 함께 식각되는 경우,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의 실리콘 산화물로 인해, 상기 비트라인들(BL)의 단부에서 상기 비트라인들(BL) 각각의 폭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비트라인들(BL)의 저항이 증가할 수 있고, 또한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과의 접촉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경계 패턴(BP)이 상기 셀 영역(CR) 및 상기 주변 영역(PR)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 패턴(BP)은 상기 비트라인들(BL)의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 동안 상기 제1 주변 절연패턴(36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식각 공정 동안 상기 비트라인들(BL)의 상기 단부에서 상기 비트라인들(BL)의 폭이 감소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트라인들(BL)의 저항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비트라인 컨택플러그들(DCBL)과의 접촉 불량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비트라인들(BL)의 폭 조절이 용이해짐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미세화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 기판 CR: 셀 영역
BR: 경계 영역 PR: 주변 영역
110a: 제1 불순물 영역 110b: 제2 불순물 영역
120: 소자분리막 150: 경계 절연패턴
210: 셀 게이트 전극 220: 셀 게이트 유전패턴
230: 셀 게이트 캐핑패턴 305: 버퍼 패턴
306: 게이트 유전패턴 310: 폴리실리콘 패턴
315: 매립 절연패턴 321: 제1 서브 스페이서
325: 제2 서브 스페이서 AG: 에어갭
330: 금속함유 패턴 331: 제1 오믹패턴
341: 제2 오믹패턴 342: 확산방지 패턴
350: 비트라인 캐핑패턴
351: 하부 캐핑패턴 352: 상부 캐핑패턴
355: 주변 스페이서 360: 제1 주변 절연패턴
361: 제2 주변 절연패턴 380: 충진패턴
400: 제1 층간절연패턴 420: 식각저지막
500: 제2 층간절연패턴 610: 하부마스크막
621: 상부마스크패턴 622: 희생막
PACT: 주변 활성패턴 PWL: 주변 워드라인
DCBL: 비트라인 컨택플러그 DCCP: 주변 컨택플러그
MC: 금속컨택
DC: 비트라인 컨택 RE: 리세스 영역
BTR: 경계 트렌치 CTR: 셀 트렌치
BS1: 제1 경계면 BS2: 제2 경계면
SP: 비트라인 스페이서

Claims (10)

  1. 셀 영역, 주변 영역 및 이들 사이의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트라인들;
    상기 비트라인들 상의 비트라인 캐핑패턴들; 및
    상기 경계 영역 상에 제공되는 경계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비트라인들의 단부들은 상기 경계 패턴의 제1 경계면에 접하고,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은 상기 경계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패턴의 상기 제1 경계면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패턴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은 상부 캐핑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캐핑패턴은 상기 경계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들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경계 영역 상으로 연장되는 셀 트렌치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셀 트렌치들의 제1 단부들은 상기 경계 패턴 내부로 연장되는 반도체 소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셀 트렌치들의 상기 제1 단부들은, 상기 비트라인들의 상기 단부들보다 상기 주변 영역에 더 인접한 반도체 소자.
  7. 셀 영역, 주변 영역 및 이들 사이의 경계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트라인들;
    상기 비트라인들 상의 비트라인 캐핑패턴들;
    상기 비트라인들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셀 영역 상에서 상기 경계 영역 상으로 연장되는 셀 트렌치들; 및
    상기 경계 영역 상에 제공되는 경계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셀 트렌치들의 제1 단부들은 상기 경계 패턴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비트라인 캐핑패턴들은 상기 경계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패턴의 일부는 상기 경계 영역 상에서 상기 셀 트렌치들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반도체 소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패턴의 상기 일부는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소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셀 트렌치들의 상기 제1 단부들은, 상기 기판의 상기 상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반도체 소자.
KR1020210102342A 2021-08-04 2021-08-04 반도체 소자 KR20230021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342A KR20230021197A (ko) 2021-08-04 2021-08-04 반도체 소자
TW111112385A TWI809795B (zh) 2021-08-04 2022-03-31 半導體裝置
CN202210556046.6A CN116056448A (zh) 2021-08-04 2022-05-20 半导体器件
US17/857,395 US20230041059A1 (en) 2021-08-04 2022-07-05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342A KR20230021197A (ko) 2021-08-04 2021-08-04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197A true KR20230021197A (ko) 2023-02-14

Family

ID=8515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342A KR20230021197A (ko) 2021-08-04 2021-08-04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41059A1 (ko)
KR (1) KR20230021197A (ko)
CN (1) CN116056448A (ko)
TW (1) TWI809795B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922B1 (ko) * 2010-07-15 2012-03-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방법
KR102434436B1 (ko) * 2017-05-31 2022-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32843A (ko) * 2019-09-17 2021-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210037211A (ko) * 2019-09-27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192954B (zh) * 2021-04-26 2023-07-18 福建省晋华集成电路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41059A1 (en) 2023-02-09
TW202308110A (zh) 2023-02-16
TWI809795B (zh) 2023-07-21
CN116056448A (zh)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237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it line structure with space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256382B (zh) 动态随机存取存储器及其制造方法
US11056175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5557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073439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mory device
CN114121962A (zh) 动态随机存取存储器装置及其形成方法
KR20210018578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11903187B2 (en) Semiconductor devices
KR20230054562A (ko) 반도체 장치
KR20230021197A (ko) 반도체 소자
KR20230035188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39038B1 (ko) 스터드형태의 캡핑층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의 비트라인 및그의 형성방법
US20230095717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30084281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30111477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20240121947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240107743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23020981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30013753A (ko) 반도체 장치
KR20230021198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1244A (ko) 반도체 장치
KR20230165498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74960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0672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CN116171049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