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953A -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리테이너 - Google Patents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리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953A
KR20230019953A KR1020237000232A KR20237000232A KR20230019953A KR 20230019953 A KR20230019953 A KR 20230019953A KR 1020237000232 A KR1020237000232 A KR 1020237000232A KR 20237000232 A KR20237000232 A KR 20237000232A KR 20230019953 A KR20230019953 A KR 2023001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ble terminal
connector
cab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사 다나카
데루키 나가세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1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커넥터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감소되더라도 케이블 단자를 적절한 위치에 신뢰성있게 배열하면서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적절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케이블 단자(20)는 제1 정지 파트(24a)를 갖는다. 리테이너(40)는 케이블 단자(20)의 제1 정지 파트(24a)로부터 후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되고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설정 포스트(41)를 갖는다.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전향-후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하다.

Description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리테이너
(관련 출원)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참고로 포함되는 2020년 06월 08일자로 출원된 일본 출원 제2020-099506호로부터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내용은 케이블 단자가 부착되는 커넥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에 사용되는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 열거된 특허 문헌 1은 케이블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저장 챔버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부착되는 리테이너를 갖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하우징에는 탄성 변형가능한 로킹 아암(문헌 1의 "탄성 로킹 피스")이 형성된다. 로킹 아암의 팁 단부는 단자 저장 챔버의 적절한 위치에서 케이블 단자 상에 후킹되고 케이블 단자가 분리되는 것을 제한한다. 리테이너의 위치설정 포스트(문헌 1에서 "단자 로킹 피스")는 케이블 단자의 로킹 파트의 뒤에 제공되고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케이블 단자의 분리는 2개의 부위, 즉 하우징의 로킹 아암 및 리테이너의 위치설정 포스트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부착될 때, 케이블 단자가 단자 저장 챔버 내로 삽입되지만 케이블 단자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즉, 케이블 단자가 하우징과 부분적으로 정합되는 경우, 리테이너의 위치설정 포스트가 케이블 단자를 단자 저장 챔버에 적절한 위치로 푸시함으로써 부분적인 정합을 제거한다. 이러한 커넥터에서, 클리어런스는 부재 사이에 확보된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비심사 특허 출원 제H06-275334호.
특허 문헌 1의 커넥터에서,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커넥터의 크기가 감소되면 감소되고, 따라서 각각의 부재의 치수 공차의 효과는 증가한다. 이러한 치수 공차가 누적되면, 케이블 단자가 적절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수 없는 문제뿐만 아니라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제안된 커넥터는, 제1 정지 파트를 갖는 케이블 단자; 케이블 단자를 저장하기 위한 단자 저장 챔버, 단자 저장 챔버에 형성되고 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스토퍼 파트, 및 맞물림될 파트를 갖는 하우징; 및 케이블 단자의 제1 정지 파트의 후방에 제공된 맞물리는 파트 및 위치설정 포스트를 포함하는 리테이너로서, 맞물리는 파트 및 맞물림될 파트의 맞물림에 의해 하우징의 후방 파트에 부착되고, 위치설정 포스트는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기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위치설정 포스트는 전향-후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하다. 그 결과로서,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케이블 단자는 적절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 리테이너는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제안된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 및 제1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이다. 제2 커넥터는 단자 및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는다. 제1 커넥터는, 제2 커넥터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정지 파트를 갖는 케이블 단자; 케이블 단자를 저장하기 위한 단자 저장 챔버, 단자 저장 챔버에 형성되고 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스토퍼 파트, 및 맞물림될 파트를 갖는 하우징; 및 케이블 단자의 제1 정지 파트의 후방에 제공된 맞물리는 파트 및 위치설정 포스트를 포함하는 리테이너로서, 맞물리는 파트 및 맞물림될 파트의 맞물림에 의해 하우징의 후방 파트에 부착되고, 위치설정 포스트는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기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위치설정 포스트는 전향-후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하다. 그 결과로서,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케이블 단자는 적절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 리테이너는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제안된 리테이너는 제1 정지 파트를 갖는 케이블 단자, 및 케이블 단자를 저장하기 위한 단자 저장 챔버가 형성되고, 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스토퍼 파트가 단자 저장 챔버에 형성된 하우징을 갖는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리테이너이다. 리테이너는 케이블 단자의 제1 정지 파트의 후방에 제공되고, 후향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설정 포스트, 및 하우징의 맞물림될 파트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리는 파트를 갖는다. 위치설정 포스트는 전향-후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하다. 리테이너가 맞물리는 파트와 맞물림될 파트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하우징에 부착되고, 전향의 방향으로의 단자 저장 챔버에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이 전방 스토퍼 파트에 의해 제한될 때, 위치설정 포스트는 제1 스토퍼 파트와 접촉하고 후향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그 결과로서,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감소할지라도 케이블 단자가 적절한 위치에 위치설정될 수 있고, 리테이너는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서 제안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예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케이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케이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a에서 라인 IIIc-IIIC에 의해 표시된 절단 표면에서 얻어진 케이블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3d는 케이블 단자에 의해 제공되는 단자 전방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케이블 단자가 단자 저장 챔버의 적절한 위치에 제공되고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부착되는 조건이 예시된다.
도 4b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케이블 단자가 삽입되는 프로세스가 예시된다.
도 5는 도 4a와 동일한 상태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부착되는 조건이 예시된다.
도 6a는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리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하우징의 후방도(rear surface view)이다.
도 7b는 도 7a의 라인 VIIb-VIIb에 의해 표시된 절단 표면에서 얻어진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개시내용에서 제안된 커넥터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하, 도 1 등에 예시된 X1 방향 및 X2 방향은 각각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지칭되고, Y1 방향 및 Y2 방향은 각각 전향의 방향 및 후향의 방향으로 지칭되고, Z1 방향 및 Z2 방향은 각각 상향의 방향 및 하향의 방향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방향들은 커넥터의 다양한 파트들의 상대적 위치 관계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또 다른 디바이스에 부착될 때 커넥터의 배향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는 전향-후향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10) 및 정합 커넥터(90)를 갖는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복수의 케이블 단자(20), 케이블 단자(20)를 유지하는 하우징(30), 및 하우징(30)에 부착된 리테이너(40)를 갖는다. 정합 커넥터(90)는 복수의 단자(91) 및 단자(91)를 유지하는 하우징(92)을 갖는다.
정합 커넥터(90)는 예를 들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단자(91)를 갖는다. 정합 커넥터(90)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제공되는 커넥터이고, 단자(91)는 이의 단부 파트에서 회로 기판의 전도체 패턴에 연결되는 연결 파트(91a)를 가질 수 있다.
정합 커넥터(90)의 하우징(92)은 커넥터(10)를 향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정합 파트(92a)(도 2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단자(91)의 접촉 파트가 정합 파트(92a)의 내측에 저장된다. 커넥터(10)의 하우징(30)은 정합 파트(92a)의 내측에 피팅되고, 복수의 케이블 단자(20)는 복수의 단자(91)에 각각 접촉된다. 하우징(30)은 정합 커넥터(90)의 하우징(92)과 맞물리는 로킹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로킹 메커니즘으로서, 예를 들어 로킹 레버(33)를 갖는다. 로킹 레버(33)의 전방 단부 상에 형성된 후크는 하우징(92)의 상부 측면 상에 형성된 맞물림될 파트(92b) 상에 걸린다. 이는 커넥터(10)와 정합 커넥터(90) 사이의 분리를 제한한다.
커넥터(10)에 의해 제공되는 케이블 단자(20)의 수 및 정합 커넥터(90)에 제공되는 단자(91)의 수는 또한 2개 초과일 수 있거나 1개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케이블 단자(20)는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정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정합 커넥터(90)의 단자(91)는 또한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정합 커넥터(90)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 상에 제공된 커넥터보다 케이블의 단부 파트에 부착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정합 커넥터는 본 개시내용의 리테이너가 부착될 수 있는 하우징 및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도 8 참조)가 제공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케이블 단자(20)를 저장하기 위한 단자 저장 챔버(S)(도 7b 참조)가 하우징(30) 내에 형성된다. 단자 저장 챔버(S)는 전후 방향으로 하우징(30)을 통해 통과하고, 케이블 단자(20)는 하우징(30)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전방 측면으로 단자 저장 챔버(S)에 삽입된다. 커넥터(10)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케이블 단자(20)를 갖는다.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는 동일한 수의 단자 저장 챔버(S)가 하우징(30) 내에 형성된다.
나중에 설명되는 정지 파트(21e)(도 3c 참조)가 케이블 단자(20) 상에 형성된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이의 하부 부분에 로킹 아암(31)을 갖는다. 로킹 아암(31)은 정지 파트(21e) 상에 걸리고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하, 로킹 아암(31)이 걸리는 케이블 단자(20)의 위치(도 4a에 예시된 케이블 단자(20)의 위치)는 적절한 위치로 지칭된다. 또한 정지 파트(21e)는 '제2 정지 파트'로 지칭된다.
정지 파트(24a)(도 3c 참조)는 케이블 단자(20) 상에 형성된다. 커넥터(10)의 예에서, 정지 파트(24a)는 케이블 단자(20) 내에 형성된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일부이다. 리테이너(40)는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설정 포스트(41)(도 1 참조)를 갖는다.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정지 파트(24a)의 후방에 위치설정되고(단자 저장 챔버(S)의 적절한 위치에서 분리되는)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케이블 단자(20)를 단자 저장 챔버(S) 내에 삽입하는 프로세스에서, 리테이너(40)가 하우징(30)에 부착될 때, 케이블 단자(20)가 단자 저장 챔버(S) 내의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정지 파트(24a)를 전향의 방향으로 푸시함으로써 케이블 단자(20)가 적절한 위치로 움직이게 한다. 즉,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케이블 단자(20)와 하우징(30) 사이의 부분적인 정합을 방지한다. 이하 정지 파트(24a)는 '제1 정지 파트'로 지칭된다. 또한, 케이블 단자(20)를 단자 저장 챔버(S) 내에 삽입하는 프로세스에서, 리테이너(40)가 하우징(30)에 부착될 때, 케이블 단자(20)가 단자 저장 챔버(S)에서의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제2 정지 파트(21e)가 정지 파트(31a)보다 더 후방에 위치설정되면,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제2 정지 파트(24a)와 접촉하고 케이블 단자(20)를 삽입 방향으로 가압하고, 제2 정지 파트(21e)는 스토퍼 파트(31a)를 아래로 가압하고 스토퍼 파트(31a)를 넘어가게 된다.
도 2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맞물림될 파트(34)를 가질 수 있다. 맞물림될 파트(34)는 예를 들어 하우징(30)의 좌측 및 우측 측면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맞물림될 파트(34)는 측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파트일 수 있다. 한편, 리테이너(40)는 이의 좌측 및 우측 측면 파트에 맞물리는 파트(43)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맞물리는 파트(43)는, 예를 들어, 하우징(30)의 측면 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도에서 실질적으로 U형상의 부위이다. 맞물림될 파트(34)가 맞물리는 파트(43)와 맞물릴 때, 맞물림될 파트(34)는 맞물리는 파트(43)의 내측에 제공되고 하우징(30)에 대해 후향의 방향으로의 리테이너(40)의 이동(예를 들어, 리테이너(40)와 하우징(30) 사이의 분리)을 제한한다.
맞물리는 파트(43) 및 맞물림될 파트(34)의 형상이 하우징(30)과 리테이너(40) 사이의 분리를 제한하는 한, 맞물리는 파트(43) 및 맞물림될 파트(34)의 형상은 커넥터(10)의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커넥터(10)의 예와 달리, 돌출 파트가 맞물리는 파트(43)로서 리테이너(40)의 측면 표면 상에 형성되고, 맞물림될 파트(34)는 리테이너(40)를 향해 연장되는 하우징(30)의 측면 파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단자(20)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케이블 단자(20)는 프레스 작업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예를 들어, 구리 플레이트, 알루미늄 플레이트 등)으로부터 형성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프레스 작업은 펀칭, 벤딩, 드로잉 등을 포함한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2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중심 라인(C1)(도 3c 참조)을 따라 형성된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를 갖는 단자 전방 파트(21), 및 중심 라인(C1)을 따라 형성된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를 갖는 단자 후방 파트(23)를 갖는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전방 파트(21)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우측 에지 및 좌측 에지로부터 하강하는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를 가질 수 있다.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 및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는 중심 라인(C1)을 둘러싼다. 케이블 단자(20)는 좌측 및 우측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파트(21c)를 가질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접촉 파트(21c)는 서로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 접촉 파트(21c)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할 수 있다. 정합 커넥터(90)의 단자(91)는 2개의 접촉 파트(21c) 사이에 삽입되어 그것과 접촉한다.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는 접촉 파트(21c)로부터 상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된다.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20)의 평면도에서, 접촉 파트(21)의 전체 본체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촉 파트(21c)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전방 단부는 접촉 파트(21c)의 전방 단부보다 더 전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된다. 이에 의해, 접촉 파트(21c)의 전방 단부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c)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전방 단부(21h)는 하향의 방향으로 벤딩된다. 즉,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c)의 전방 단부(21h)는 케이블 단자(20)의 중심 라인(C1)을 향해 벤딩된다. 케이블 단자(20)가 단자 저장 챔버(S)에 삽입될 때,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c)의 전방 단부(21h)가 단자 저장 챔버(S)의 에지와 충돌하면, 케이블 단자(20)는 전방 단부(21h)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단자 저장 챔버(S)의 내부 측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케이블 단자(20)는 좌측 및 우측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의 하부 에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를 갖는다.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와 반대쪽 측면 상에 위치설정되고 중심 라인(C1)이 그 사이에 개재된다. 2개의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는 상호 오버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블 단자(2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의 전후 방향의 길이(W12)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전후 방향의 길이(W11)보다 작다. 전후 방향으로의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길이(W13)는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W12)보다 작다.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는 단자 전방 파트(21)의 최후방 파트에만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 접촉 파트(21c) 사이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케이블 단자(20)의 전방 파트의 수직 방향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는 단지 단자 전방 파트(21)의 최후방 파트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의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길이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길이보다 짧다. 그러나, 2개의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가 상호 오버랩되기 때문에, 이의 강도는 기계적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유지될 수 있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파트(21g)는 단자 전방 파트(21)의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하우징(30)의 단자 저장 챔버(S)의 내부 표면은 단자 저장 챔버(S)에 삽입된 단자 전방 파트(21)의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를 향하는 상부 측면 표면을 갖는다.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리세스형 파트(30e)는 단자 저장 챔버(S)의 내부 표면의 상부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출 파트(30f)가 리세스형 파트(30fe)의 우측 측면 및 좌측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전방 파트(21)가 단자 저장 챔버(S)에 삽입되면,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 상에 형성된 돌출 파트(21g)가 리세스형 파트(30e) 내측에 제공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케이블 단자(20)가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이 반전되는 배향으로 단자 저장 챔버(S)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단자 후방 파트(23)는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최후방 파트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 유지 파트(23b, 23d)를 가질 수 있다. 케이블 유지 파트(23b, 23d)는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를 폴딩함으로써 형성된 부위이다. 케이블 유지 파트(23b)는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최후방 파트의 우측 측면 및 좌측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케이블 유지 파트(23d)는 케이블 유지 파트(23b)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우측 측면 및 좌측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최후방 파트의 케이블 유지 파트(23b)는 케이블(29)의 외부 스킨(29a)에 대해 크림핑되고 그것을 유지한다. 케이블(29)의 외부 스킨(29a)는 케이블(29)의 단부 파트에서 제거되고, 전방 측면 상의 케이블 유지 파트(23d)는 케이블(29)의 전도성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a 및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상부 표면(Z1 방향을 향하는 표면)의 높이는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연장 방향(전후 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유지 파트(23b)에 의해 유지된 케이블(29)이 예시된 예보다 두꺼울 때,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는 도 3c의 이점 쇄선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후방 파트의 위치가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전방 파트의 위치보다 높도록 단차(23f)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유지 파트(23b)는 이점 쇄선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보다 높은 높이(수직 방향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케이블 단자(20)의 이후에 설명된 경사진 파트(22a)의 상부 파트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후방 파트(단차(23f)의 상부 에지)보다 높다. 즉, 케이블 단자(20)의 이후에 설명된 경사진 파트(22a)의 상부 파트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후방 파트를 통해 통과하는 수평 평면보다 높다. 그렇게 함으로써, 경사진 파트(22a)는 리테이너(40)의 위치설정 포스트(41)에 의해 전향의 방향으로 푸시될 수 있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20)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와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 사이에 위치설정된 커플링 파트(22)를 가질 수 있다. 커플링 파트(22)는 이의 상부 파트 상에 경사진 파트(22a)를 갖는다. 경사진 파트(22a)는 이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를 향해 케이블 단자(20)의 중심 라인(C1)에 가까워지도록, 중심 라인(C1)에 대해 경사진다.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는 중심 라인(C1)을 따라 일직선(straight)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는 중심 라인(C1)에 평행할 수 있다. 경사진 파트(22a)의 존재로 인해,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위치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위치보다 낮다. 즉,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와 중심 라인(C1) 사이의 거리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와 중심 라인(C1)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40)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를 가질 수 있다. 위치설정 포스트(41)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케이블 단자(20)의 경사진 파트(22a)의 후방에 위치설정될 수 있고(즉, 단자 저장 챔버(S)로부터 분리되는),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단자(20)에 경사진 파트(22a)를 형성함으로써,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상대 위치가 케이블 단자(20)에 대해 낮아질 수 있다.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자 후방 파트(23)의 수직 방향으로의 폭(W2)(케이블 유지 파트(23b)의 위치에서의 높이)은 단자 전방 파트(21)의 수직 방향으로의 폭(W1)(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위치에서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단자 후방 파트(23)의 폭(W2)이 단자 전방 파트(21)의 폭(W1)보다 작기 때문에, 경사진 파트(22a)가 케이블 단자(20) 상에 형성되고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위치는 단자 전방 파트(21)에 대한 케이블 유지 파트(23b)의 위치를 낮추지 않고 낮게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커넥터(10)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커넥터(10)의 높이는 폭(W1 및 W2), 케이블 단자(20) 내에 형성된 경사진 파트(22a)와 위치설정 포스트(41) 사이에서 전술된 관계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포스트(41)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 파트(41a) 및 제1 연장 파트(41a)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파트(41b)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장 파트(41a)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로부터 후향의 방향으로 만곡되거나 벤딩되면서 하향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 파트(41b)는 전향의 방향으로 제1 연장 파트(41a)의 하부 단부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고, 경사진 파트(22a)의 후방에 위치설정된다. 제2 연장 파트(41b)의 하부 표면(41c)의 전체 본체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상부 표면(21i)보다 낮다. 이에 의해, 제2 연장 파트(41b)의 위치가 낮아지고, 따라서 커넥터(10)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제2 연장 파트(41b) 및 단자 후방 파트(23a)의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는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제1 연장 파트(41a)는 만곡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러한 경우에,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이의 베이스 파트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의 선형 연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상부 표면(21i)보다 낮을 수 있다. 이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에서 제1 연장 파트(41a)의 곡률은 제1 연장 파트(41a)의 탄성 변형을 허용한다. 적어도 제1 연장 파트(41a)가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인 경우, 제1 연장 파트(41a)는 임의의 타입일 수 있고, 벤딩되거나 코일 형상의 스프링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탄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20)의 재료인 금속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구멍(Ha)이 경사진 파트(22a)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도 6 참조)는 구멍(Ha)의 내부 에지와 접촉할 수 있고,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는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전방 측면(24a)과 접촉하여 케이블 단자(20)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거나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전방 측면(24a)은 상기 설명된 "제1 정지 파트"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후향의 방향을 향하는 표면(금속 플레이트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는 표면)이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전방 측면(24a) 상에 형성된다. 또한,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도 6a 참조)는 전향의 방향을 향하는 표면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 결과로서, 케이블 단자(20)를 전향의 방향으로 푸시하는 위치설정 포스트(41)의 힘은 케이블 단자(20) 상에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커넥터(10)의 예에서,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는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우측 및 좌측 파트와 비교되는 바와 같이 전향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3d에 예시된 예에서, 구멍(Ha)은 경사진 파트(22a) 내에 형성되고,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전방 측면(24a)(즉, 제1 정지 파트)은 경사진 파트(22a)와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 사이의 경계에 위치설정된다는 것에 주목한다. 한편, 구멍(Ha)은 경사진 파트(22a) 및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를 걸쳐(straddling)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정지 파트(24a)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 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케이블 단자(20)의 예에서,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후방 측면(24b)은 경사진 파트(22a)와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 사이의 경계와 상이하다. 이는, 위치설정 포스트(41)가 단자 저장 챔버(S)에 삽입되고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가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전방 측면(24a)과 접촉할 때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가 구멍(Ha)의 후방 측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후방 측면(24b)은 경사진 파트(22a)와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 사이의 경계보다 더 후향의 방향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후방 측면(24b)은 경사진 파트(22a)와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 사이의 경계보다 더 전향의 방향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구멍(Ha)은 케이블 단자(20)의 재료인 금속 플레이트를 통해 관통하는 구멍일 뿐만 아니라, 바닥을 갖는 리세스형 파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구멍(Ha)은 이의 내부 에지의 전방 측면(24a)(제1 정지 파트)을 갖고,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는 내부 에지의 전방 측면(24a)을 푸시할 수 있다.
관통 구멍(Ha)은 경사진 파트(22a)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단자(20)의 예에서, 경사진 파트(22a)는 관통 구멍(Ha)의 우측 측면 및 좌측 측면에 위치설정되는, 나중에 설명되는 커플링 견부 파트(22c)를 갖는다. 또한, 케이블 단자(20)의 예에서, 관통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전방 측면(24a)(제1 정지 파트)은 경사진 파트(22a)와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 사이의 경계와 상이하지만, 경계보다 더 후방 방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단자(20)의 예에서, 관통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후방 측면(24b)은 경사진 파트(22a)와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 사이의 경계와 상이하지만, 경사진 파트(22a)와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경계보다 더 전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파트(22)는 좌측 및 우측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로부터 후향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에 연결되는 측면 파트(22b)를 가질 수 있다.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는 중심 라인(C1)을 둘러싸도록 만곡되고, 측면 파트(22b)는 각각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의 우측 파트 및 좌측 파트에 연결될 수 있다. 측면 파트(22b)는 관통 구멍(Ha)이 형성된 경사진 파트(22a)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전방 파트(21)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와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 사이에 만곡된 견부 파트(21f)를 갖는다. 경사진 파트(22a)는 견부 파트(21f)로부터 후향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자 후방 파트(23)에 연결되는 부분(22c)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부분(22c)은 커플링 견부 파트로서 지칭된다. 커플링 견부 파트(22c)는 우측 측면 상에서 측면 파트(22b)와 우측 에지 사이의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일부이고 좌측 측면 상에서 측면 파트(22b)와 좌측 에지 사이의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일부분이다. 커플링 견부 파트(22c)의 존재로 인해, 좌우 방향으로의 구멍(Ha)의 크기가 억제되고, 커플링 파트(22)의 강도가 보장된다. 또한, 커플링 견부 파트(22c)는 측면 파트(22b)의 상부 파트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중심을 향해 만곡된다. 곡률은 또한 커플링 파트(22)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한다.
케이블 단자(20)의 예와 달리, 커플링 파트(22)는 커플링 견부 파트(22c)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즉, 관통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우측 에지 및 좌측 에지는 커플링 파트(22)의 측면 파트(22b)까지 연장될 수 있다.
추가로, 측면 파트(22b)는 또한 중심 라인(C1)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파트(22b)는 이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를 향해 중심 라인(C1)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부분(22c) 및 측면 파트(22b)를 포함하는 커플링 파트(22)는 중심 라인(C1)을 향해 이의 전향의 방향으로부터 후향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노즐 형상을 갖고, 파트(도 3c의 하부 측면 파트)가 절단되는 실질적으로 노즐 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커플링 파트(22)는 드로잉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자 후방 파트(23)의 우측 에지(우측 측면 상의 하부 에지)의 전방 파트(23c) 및 단자 후방 파트(23)의 좌측 에지(좌측 측면 상의 하부 에지)의 전방 측면(23c)은 커플링 파트(22)의 측면 파트(22d)의 하부 에지(22e)에 연결된다. 단자 후방 파트(23)의 좌측 및 우측 에지의 전방 파트(23c)는 전향의 그리고 하향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의 커플링 파트(22)의 크기가 보장될 수 있고, 커플링 파트(22)의 강도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파트(22)의 하부 에지(22e)의 전방 파트는 만곡된 방식으로 하강되고,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의 후방 에지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커플링 파트(22)와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 사이의 연결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20)는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의 하부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를 가질 수 있고,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와 반대쪽 측면 상에 위치설정되고 중심 라인(C1)은 그 사이에 개재된다. 커넥터(10)의 예에서, 단자 전방 파트(21)는 좌측 및 우측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오버랩되는 2개의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는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는 반대쪽 측면 상에서 측면 플레이트 파트(21b)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30)의 로킹 아암(31)(도 4a 참조)은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후방에 위치설정된 스토퍼 파트(31a)를 갖는다. 케이블 단자(20)가 단자 저장 챔버(S)의 적절한 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 파트(31a)는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후방 에지(제2 정지 파트(21e))의 후방에 위치설정되고,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을 제한한다.
로킹 아암(31)은 이의 베이스 파트(31b) 주위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케이블 단자(20)가 하우징(30)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전방 측면으로 삽입되는 프로세스에서, 로킹 아암(31)은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20)의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에 의해 하향의 방향으로 푸시된다. 그후,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가 로킹 아암(31)의 돌출 파트에 걸쳐 위로 올라타고(ride up) 케이블 단자(20)는 도 4a에 예시된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 로킹 아암(31)은 이의 탄성력으로 인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그 결과로서, 스토퍼 파트(31a)는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후방 에지(제2 정지 파트(21e))의 후방에 위치설정된다.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파트(22)는 단자 전방 파트(21)의 후방 에지에 연결된다. 제2 정지 파트(21e)가 단자 전방 파트(21)의 최후방 파트에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파트(22) 내에 형성된 구멍(Ha)의 전방 측면(24a)(제1 정지 파트)의 위치는 전후 방향으로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후방 에지(21e)(제2 정지 파트)의 위치와 본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리테이너(40)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리테이너(40)는 복수의 위치설정 포스트(41) 및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를 갖는다.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는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40)의 좌측 및 우측 벽 파트(44a)를 브릿지한다. 케이블 단자(20)와 동일한 수의 위치설정 포스트(41)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에 연결된다.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설정 포스트(41)는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에 연결되는 제1 연장 파트(41a) 및 제1 연장 파트(41a)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파트(41b)를 가질 수 있다. 포스트 베이스 파트(42) 주위로의 제1 연장 파트(41a)의 이동은 전후 방향으로 제2 연장 파트(41b)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전후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할 수 있다. 리테이너(40)의 예에서, 포스트 베이스 파트(42) 주위로의 제1 연장 파트(41a)의 이동은 좌우 방향으로 제2 연장 파트(41b)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리테이너(40)에 따르면, 부재의 치수 공차는 위치설정 포스트(41)의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리테이너(40)는 하우징(30)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고, 케이블 단자(20)는 적절한 위치에 신뢰성있게 제공될 수 있다.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 리테이너(40)의 맞물리는 파트(43)는, 각각의 파트의 치수 공차 및 각각의 파트 사이의 축적된 클리어런스 값의 영향으로 인해, 위치설정 포스트(41)가 케이블 단자(20)의 제1 정지 파트(24a)를 가압하여 케이블 단자(20)를 하우징(30)의 최전방 파트에 삽입할 때에, 하우징(30)의 맞물림될 파트(34)와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커넥터(10)에서, 케이블 단자(20)가 하우징(30)의 최전방 파트에 삽입되고 하우징(30)의 최전방 파트에 형성되고, 케이블 단자(20)의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전방 단부(21h)가 단자 저장 챔버(S)에 노출된 전방 스토퍼 파트(35)와 충돌하더라도, 제2 연장 파트(41b)는 리테이너(40)의 제1 연장 파트(41a)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후향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로서, 리테이너(40)의 맞물리는 파트(43)는 하우징(30)의 맞물림될 파트(34)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단자(20)는 하우징(30)의 최전방 파트(적절한 위치)에 신뢰성있게 삽입되고, 제2 정지 파트(21e)(도 4a 참조)와 로킹 아암(31)의 스토퍼 파트(31a)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는 크기에서 감소될 수 있다.
위치설정 포스트(41)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와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만곡되거나 벤딩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위치설정 포스트(41)의 탄성 변형을 허용한다. 커넥터(10)의 예에서,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에 연결된 제1 연장 파트(41a)는 만곡되면서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하향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 파트(41b)는 제1 연장 파트(41a)의 하부 단부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 파트(41b)는 예를 들어 직선을 따라 형성된다. 제2 연장 파트(41b) 및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는 제2 연장 파트(41b)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오버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장 파트(41b) 및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는 평면도에서 오버랩된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 파트(41a)(만곡된 부분)의 두께(W8)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두께(W6)보다 작다. 이에 의해,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변형이 억제되고, 제1 연장 파트(41a)의 변형이 쉽게 허용된다. 리테이너(40)의 예에서, 제2 연장 파트(41a)의 두께 및 제1 연장 파트(41a)의 두께는 본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전후 방향의 폭(W7)은 수직 방향으로의 두께(W6)보다 크다. 이에 의해,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가 제1 정지 파트(24a)(구멍(Ha)의 전방 측면 상의 에지)와 접촉할 때,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는 후향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으로부터 억제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상부 표면(42a)의 위치는 하우징(30)의 최상부 파트의 높이보다 낮다. 커넥터(10)의 예에서,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상부 표면(42a)의 위치는 로킹 아암(33)의 최상부 파트(33a)보다 낮다.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이러한 배열은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존재가 커넥터(10)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부위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 파트(41a)(만곡된 부분)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연장 파트(41a)의 최후방 파트(41f)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후방 단부(42b)보다 더 후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된다. 리테이너(40)는 제1 연장 파트(41a)에 대해 우측 또는 좌측 방향에 위치설정되고 제1 연장 파트(41a)의 최후방 파트(41f)보다 더 후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되는 부분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제1 연장 파트(41a)(만곡된 부분)의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이 이러한 부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예에서, 리테이너(40)는 2개의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우측 및 좌측 측면 상에 위치설정된 측면 벽 파트(45)를 갖는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측면 벽 파트(45)의 후방 표면(45a)은 제1 연장 파트(41a)의 최후방 파트(41f)보다 더 후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된다. 또한, 측면 벽 파트(45)는 측면도에서 제1 연장 파트(41a)의 최후방 파트(41f)와 오버랩된다. 즉, 측면 벽 파트(45)의 후방 표면(45a)의 상부 단부는 제1 연장 파트(41a)의 최후방 파트(41f)보다 더 상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되고, 측면 벽 파트(45)의 후방 표면(45a)의 하부 단부는 제1 연장 파트(41a)의 최후방 파트(41f)보다 더 하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1 연장 파트(41a)(만곡된 부분)의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은 측면 벽 파트(45)의 후방 표면(45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예와 달리, 리테이너(40)는 제1 연장 파트(41a)로부터 상향의 또는 하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되고 제1 연장 파트(41a)의 최후방 파트(41f)보다 더 후향의 방향에 위치설정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1 연장 파트(41a)(만곡된 부분)의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이 이러한 부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40)는 이의 좌측 및 우측 측면 파트 상에 맞물리는 파트(43)를 가질 수 있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맞물리는 파트(43)는, 예를 들어, 하우징(30)의 측면 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도에서 실질적으로 U형상의 부위이다. 맞물리는 파트(43)는 측면 벽 파트(45)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 파트(43b) 및 하부 연장 파트(43c)를 갖는다. 또한, 맞물리는 파트(43)는 상부 연장 파트(43b) 및 하부 연장 파트(43c)의 팁 단부 상에 형성된 전방 파트(43d)를 갖는다. 위치설정 포스트(41)는 맞물리는 파트(43)의 전방 파트(43d)의 전방 표면을 넘어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40)의 측면도에서, 위치설정 포스트(41)는 맞물리는 파트(43)의 상부 표면(상부 연장 파트(43b)의 상부 표면)과 맞물리는 파트(43)의 하부 표면(하부 연장 파트(43c)의 하부 표면) 사이에 위치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40)의 측면도에서,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전방 파트(43d)의 후방 표면, 예를 들어 맞물림될 파트(34)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반대쪽의 대향 표면(43a)과 오버랩된다. 위치설정 포스트(41)와 맞물리는 파트(43) 사이의 이러한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리테이너(40)의 맞물리는 파트(43)와 하우징(30)의 맞물림될 파트(34) 사이의 맞물림력(engaging force)(리테이너(40)를 전향으로 당기는 힘)이 위치설정 포스트(41)을 통해 제1 스토퍼 파트(24a)로 전달될 때, 리테이너(40)에 대해 모멘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파트(41d)는 제2 연장 파트(41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장 파트(41b)의 상부 표면의 우측 파트 및 좌측 파트는 중심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자 저장 챔버(S)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돌출 파트(30f)(도 7a 참조)와 제2 연장 파트(41b) 사이에 간섭은 회피될 수 있다. 또한, 돌출 파트(41d)는 위치설정 포스트(41)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연장 파트(41a)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후방 측면에 연결된다(도 4a 참조). 이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와 하우징(30)의 후방 표면(30c)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 결과로서, 하우징(30) 및 리테이너(40)의 상대 위치에서 변화(예를 들어,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의 변화)가 감소될 수 있다.
위치설정 포스트(41)의 형상은 커넥터(10)의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제1 연장 파트(41a)는 대각선 하향의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 파트(41b)는 제1 연장 파트(41a)의 하부 단부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만곡된 부분은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해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로부터 전향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스토퍼 파트(35)를 갖는다. 전방 스토퍼 파트(35)는 예를 들어, 단자 저장 챔버(S)의 전방 단부 상에 형성된 벽일 수 있다. 케이블 단자(20)가 단자 저장 챔버(S)의 최전방 파트에 삽입될 때, 케이블 단자(20)의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전방 단부(21h)는 전방 스토퍼 파트(35)와 접촉한다.
리테이너(40)가 하우징(30)에 부착된 상태(이하, 리테이너 부착 상태로 지칭됨)에서,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는 제1 정지 파트(24a)(즉,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전방 측면)와 접촉한다. 즉, 위치설정 포스트(41)의 길이 및 초기 위치는 리테이너(40), 케이블 단자(20) 및 하우징(30)의 치수 공차에 관계없이,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가 리테이너 부착 상태에서 제1 정지 파트(24a)와 접촉하도록 설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케이블 단자(20)는 적절한 위치에 신뢰성있게 제공될 수 있고, 리테이너(40)는 하우징(30)에 부착될 수 있다. 리테이너 부착 상태는 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이 전방 스토퍼 파트(35)에 의해 제한되고 리테이너(40)의 맞물리는 파트(43)가 하우징(30)의 맞물림될 파트(34)와 맞물리는 상태를 지칭한다. 리테이너 부착 상태에서, 맞물리는 파트(43)와 맞물림될 파트(34)의 대향 표면(43a, 34a)(도 5 참조)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클리어런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위치설정 포스트(41)의 길이 및 초기 위치는, 리테이너(40) 등의 치수 공차에 관계없이,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가 리테이너 부착 상태에서 전향의 방향으로 제1 정지 파트(24a)를 푸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리테이너 부착 상태에서,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는 바람직하게는 제1 정지 파트(24a)와 접촉하고, 위치설정 포스트(41)는 바람직하게는 후향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후,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는 바람직하게는 제1 정지 파트(24a)를 위치설정 포스트(41)의 탄성력에 의해 전향의 방향으로 푸시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40)는 복수의 위치설정 포스트(41)를 갖는다. 위치설정 포스트(41)의 길이 및 초기 위치는 리테이너 부착 상태에서 위치설정 포스트(41)의 모든 전방 단부(41e)가 케이블 단자(20)의 제1 정지 파트(24a)와 접촉하도록 설정된다.
리테이너(40)는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를 제외하고 전향의 방향을 향하고 리테이너 부착 상태에서 하우징(30)과 접촉하는 표면을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40)의 전방 표면(구체적으로, 포스트 베이스 파트(42)의 전방 표면(42a))은 하우징(30)의 후방 표면(30c)으로부터 분리되어 2개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보장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향의 방향으로의 리테이너(40)의 이동은,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가 접촉하는 제1 정지 파트(24a)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그 결과로서, 케이블 단자(20)가 전방 스토퍼 파트(35)와 접촉할 때까지 케이블 단자(20)는 위치설정 포스트(41)에 의해 전향의 방향으로 푸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케이블 단자(20)는 적절한 위치에 보다 신뢰성있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정지 파트(21e)(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후방 에지)과 로킹 아암(31)의 스토퍼 파트(31a) 사이에서 클리어런스가 보장된다. 커넥터(10)의 예에서, 위치설정 포스트(41)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기 때문에, 제2 정지 파트(21e)와 스토퍼 파트(31a)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클리어런스는 예를 들어 2개의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거나 2개의 바닥 플레이트 파트(21d)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경사진 파트(22)는 케이블 단자(20)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 후방 파트(23)의 상부 표면의 높이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의 상부 표면의 높이보다 낮다.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제2 연장 파트(41b)는 단자 후방 파트(23)의 상부 표면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 파트(41b)의 전체 본체는 제1 정지 파트(24a)의 후방에 위치설정된다. 리테이너 부착 상태에서, 포스트 베이스 파트(42)는 하우징(30)의 후방에 위치설정되고, 제2 연장 파트(41b)의 후방 파트로부터 상향의 방향으로 위치설정된다.
도 8은 변형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제1 커넥터(10A) 및 제2 커넥터(10B)를 갖는다. 다이어그램에 예시된 예에서, 상기 설명된 커넥터(1)의 구조, 구체적으로, 위치설정 포스트(41), 케이블 단자(20)의 경사진 파트(22a), 구멍(Ha) 등은 2개의 커넥터(10A 및 10B)에 적용된다. 이하, 커넥터(10A 및 10B)와 전술한 커넥터(10) 사이의 차이가 설명될 것이다. 설명되지 않은 내용에 대해, 커넥터(10)의 구조가 또한 2개의 커넥터(10A, 10B)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A)는 하우징(130A), 복수의 케이블 단자(20), 및 리테이너(140A)를 갖는다. 도 8에 예시된 예에서, 제1 커넥터(10A)는 6개의 케이블 단자(20)를 갖는다. 상기 설명된 하우징(30)과 유사하게, 케이블 단자(20)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저장 챔버(S)가 하우징(130A) 내에 형성된다. 하우징(130A)의 구조는 단자 저장 챔버(S)의 수를 제외하고 상기 설명된 하우징(30)과 동일할 수 있다. 리테이너(140A)는 상기 설명된 리테이너(40)와 유사한 복수의 위치설정 포스트(41)를 갖는다. 리테이너(140A)의 구조는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수를 제외하고 상기 설명된 리테이너(40)와 유사할 수 있다.
제2 커넥터(10B)는 하우징(130B), 복수의 케이블 단자(120B), 및 리테이너(140B)를 갖는다. 제2 커넥터(10B)는 제1 커넥터(10A)의 케이블 단자(20)의 접촉 파트(21c)(도 3a 참조) 내측에 삽입되는 6개의 케이블 단자(120B)를 갖는다. 케이블 단자(120B)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저장 챔버가 하우징(130B) 내에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30B)은 제1 커넥터(10A)의 하우징(130A)이 내부 측면에 정합하는 제1 커넥터(10A) 측면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의 정합 파트(130A)를 갖는다. 리테이너(140B)는 상기 설명된 리테이너(40, 140A)와 유사한 복수의 위치설정 포스트(41)를 갖는다. 한편, 케이블 단자(120B)는 위치설정 포스트(41)의 단부 파트에 접촉하는 내부 에지가 형성된 구멍을 갖는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서 제안된 커넥터(10, 10A, 10B)에서, 케이블 단자(20, 120B)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와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 사이에 형성되고 후방 측면을 향해 중심 라인(C1)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경사진 파트(22)를 갖는다. 리테이너(40)는 경사진 파트(22)의 후방에 위치설정되고 케이블 단자(20)의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설정 포스트(41)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위치설정 포스트(41)는 하우징(30) 및 케이블 단자(20)가 부분적으로 정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단자(20)에 대한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상대적인 위치는 낮아질 수 있다. 경사진 파트(22a)를 갖는 케이블 단자(20, 120b)의 구조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지 않은 위치설정 포스트가 형성되는 리테이너를 갖는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제안된 케이블 단자(20, 120B)는 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1a)와 후방 상부 플레이트 파트(23a) 사이에 형성되고 후방 측면을 향해 중심 라인(C1)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경사진 파트(22)를 갖는다. 케이블 단자(20)의 재료인 금속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구멍(Ha)의 내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진 파트(22)에 위치설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경사진 파트(22)에 대한 위치설정 포스트(41)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구멍(Ha)의 내부 표면에 위치설정 포스트(41)의 전방 단부(41e)를 적용함으로써, 위치 설정 포스트(41)의 힘이 케이블 단자(20)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본 개시내용에 제안된 커넥터(10, 10A, 10B)에서, 위치설정 포스트(41)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커넥터에 따르면, 부재의 치수 공차는 위치설정 포스트(41)의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리테이너(40)는 커넥터(10)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감소될 때에도 케이블 단자(20)를 적절한 위치에 신뢰성있게 배열하면서 하우징(30)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다. 위치설정 포스트(41)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조는 경사진 파트(22)가 케이블 단자(20) 내에 형성되지 않은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Claims (9)

  1. 커넥터로서,
    제1 정지 파트를 갖는 케이블 단자;
    상기 케이블 단자를 저장하기 위한 단자 저장 챔버, 상기 단자 저장 챔버에 형성되고 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스토퍼 파트, 및 맞물림될 파트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케이블 단자의 제1 정지 파트로부터 후향의 방향으로 제공되고,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설정 포스트를 갖고, 맞물리는 파트를 갖고, 상기 맞물리는 파트 및 맞물림될 파트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후방 파트에 부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는 전향-후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의 단부 파트가 연결되는 포스트 베이스 파트를 가지며,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는 상기 포스트 베이스 파트와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의 전방 단부 사이에 만곡된 부분 및 벤딩된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단자가 상기 전방 스토퍼 파트에 의해 전향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제한되고 상기 맞물리는 파트가 상기 맞물림될 파트와 맞물릴 때에,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는 상기 제1 스토퍼 파트와 접촉하고 후향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의 부분은 상기 만곡된 부분 및 상기 벤딩된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의 베이스 파트에 연결되고, 소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포스트 베이스 파트와 오버랩되는,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는 상기 포스트 베이스 포스트 베이스 파트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만곡되거나 벤딩되면서 하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파트를 갖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단자로서 복수의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 단자에 각각 상응하는 복수의 위치설정 포스트를 갖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 단자의 전향의 이동이 상기 전방 스토퍼 파트에 의해 제한될 때, 상기 복수의 위치설정 포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제1 스토퍼 파트 중 하나와 접촉하고 후향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맞물리는 파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맞물림될 파트와 맞물리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단자는 제2 정지 파트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 단자의 상기 제2 정지 파트의 후방에 위치설정되고 후향의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 아암을 갖고;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가 상기 제1 스토퍼 파트와 접촉할 때 상기 제2 정지 파트와 로킹 아암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는, 커넥터.
  8. 제1 커넥터와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는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정지 파트를 갖고 상기 제2 커넥터의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단자,
    상기 케이블 단자를 저장하기 위한 단자 저장 챔버, 상기 단자 저장 챔버에 형성되고 전향의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스토퍼 파트, 및 맞물림될 파트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케이블 단자의 제1 정지 파트로부터 후향의 방향으로 제공되고, 후향의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설정 포스트를 갖고, 맞물리는 파트를 갖고, 상기 맞물리는 파트 및 상기 맞물림될 파트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후방 파트에 부착되는 리테이너를 갖고;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는 전향-후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9. 제1 정지 파트를 갖는 케이블 단자, 및 상기 케이블 단자를 저장하기 위한 단자 저장 챔버가 형성되고, 전향의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 스토퍼 파트가 상기 단자 저장 챔버에 형성된 하우징을 갖는 커넥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리테이너로서,
    상기 케이블 단자의 제1 정지 파트로부터 후향의 방향으로 제공되고 후향의 방향으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설정 포스트; 및
    상기 하우징의 맞물림될 파트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리는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는 전향-후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하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맞물리는 파트와 상기 맞물림될 파트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전향의 방향으로의 단자 저장 챔버에서의 케이블 단자의 이동이 상기 전방 스토퍼 파트에 의해 제한될 때,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는 상기 제1 스토퍼 파트와 접촉하고 후향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리테이너.
KR1020237000232A 2020-06-08 2021-05-31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리테이너 KR20230019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9506 2020-06-08
JP2020099506A JP2021193657A (ja) 2020-06-08 2020-06-08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及びリテーナ
PCT/IB2021/054740 WO2021250503A1 (en) 2020-06-08 2021-05-31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re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953A true KR20230019953A (ko) 2023-02-09

Family

ID=7884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232A KR20230019953A (ko) 2020-06-08 2021-05-31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리테이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87870A1 (ko)
JP (1) JP2021193657A (ko)
KR (1) KR20230019953A (ko)
CN (1) CN115699474A (ko)
TW (1) TWI783506B (ko)
WO (1) WO2021250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16865A (ja) 2022-07-27 2024-02-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9397A (en) * 1990-10-01 1995-08-08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2001291547A (ja) * 2000-04-07 2001-10-19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6445376B2 (ja) * 2015-04-01 2018-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475669B2 (ja) * 2016-07-13 2019-0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3088491B1 (fr) * 2018-11-12 2021-12-03 Raydiall Boitier de connecteur equipe d'un dispositif d'assurance de position de terminal de cable (tpa) ameliore
CN209217300U (zh) * 2019-01-31 2019-08-0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07539A (zh) 2022-02-16
JP2021193657A (ja) 2021-12-23
US20230187870A1 (en) 2023-06-15
CN115699474A (zh) 2023-02-03
WO2021250503A1 (en) 2021-12-16
TWI783506B (zh)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9838B2 (ja)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KR101329952B1 (ko) 전기 커넥터
JP5553502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197753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6786356B2 (ja) コネクタ
US20150222043A1 (en) Electric connector
JP5298227B1 (ja) コネクタ
US8876543B2 (en) Connector
JP4678887B2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727363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EP2833484A1 (en) Electric wire-to-substrate connector
CN106252983B (zh) 连接器
KR20230019953A (ko)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리테이너
KR20230019955A (ko) 케이블 단자 및 커넥터
CN114784552A (zh) 电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TW202224284A (zh) 拉帶連接器及其組件
JP7272232B2 (ja) コネクタ
JP3997483B2 (ja) コネクタ
JP4893452B2 (ja) コネクタ
JP7181155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095167B2 (ja) コネクタ
KR101168545B1 (ko) 헤더
JP738940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20240136767A1 (en) First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unlocking slider
JP7215832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