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167A - 열 교환 조립체 및 차량 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 교환 조립체 및 차량 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167A
KR20230019167A KR1020227046433A KR20227046433A KR20230019167A KR 20230019167 A KR20230019167 A KR 20230019167A KR 1020227046433 A KR1020227046433 A KR 1020227046433A KR 20227046433 A KR20227046433 A KR 20227046433A KR 20230019167 A KR20230019167 A KR 2023001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heat exchange
hole
duct
communic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이얀 후
빈 송
린종 우
윤펭 왕
젱이 인
Original Assignee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93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spirally-wound plates or lamin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28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a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42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liqu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6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spaced plates with inserted elements
    • F28D9/007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spaced plates with inserted elements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2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heat-exchange media between different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6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having one or more openings therein forming tubular heat-exchang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1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 F28F9/0253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with multiple channels, e.g. with combined inflow and out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8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permanent joint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5Evapo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열 교환 조립체 및 차량 열 관리 시스템.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열 교환 조립체를 포함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부재(40)를 포함하고,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및 제2 열 교환부(30)는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열 교환 조립체는 6개의 포트를 포함하고, 연결 부재(40)에는 적어도 3개의 포트, 즉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가 제공된다. 가교 부재(20)는 제1 열 교환부(10)를 향해 면하고 이와의 연통에 사용되는 2개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가교 부재(20)는 제2 열 교환부(30)와 연통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가교 부재(20)의 제2 열 교환부(30)와 연통할 수 있는 구멍 및/또는 그루브의 개구는 제2 열 교환부(30)를 향해 면한다. 가교 부재(20)에 의해, 2개의 열 교환부(10, 30) 사이의 유체 연통이 비교적 편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시스템 연결이 단순화되고 편리해지도록 연결 부재(40)에는 복수의 포트가 제공되며, 상이한 시스템 요건은 가교 부재(20)의 구조 및 연결 부재(40)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파이프라인을 단순화하고, 포트들 사이의 파이프라인의 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열 교환 조립체 및 차량 열 관리 시스템
본 출원은 2020년 7월 25일자로 중국 국가 지식재산국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열 교환 조립체 및 차량 열 관리 시스템(HEAT EXCHANGE ASSEMBLY AND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726730.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동 문헌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유체 제어 분야, 특히 열 교환 조립체 및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부 열 관리 시스템은 플레이트 증발기와 같은 열 교환기를 2개 이상 포함한다. 이들 열 교환기 및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파이프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시스템에 고정된다. 또한, 시스템 내 다수의 구성요소로 인해, 시스템 내 파이프라인의 연결은 비교적 복잡하다.
시스템 연결 동안 열 교환 조립체에 비교적 간단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본 출원에 따라 이하의 기술적 해결책이 제공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열 교환부, 가교 부재, 제2 열 교환부 및 연결 피스를 포함하고, 가교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제1 열 교환부와 제2 열 교환부 사이에 위치되고, 제1 열 교환부, 가교 부재 및 제2 열 교환부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제2 열 교환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 부재와 연결 피스 사이에 위치되고; 제1 열 교환부는 열 교환 코어 본체를 구비하고, 제1 열 교환부는 서로 연통하지 않는 적어도 2개의 유체 유동 통로를 포함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적어도 6개의 포트: 제1 포트, 제2 포트, 제3 포트, 제4 포트, 제5 포트 및 제6 포트를 포함한다. 연결 피스는 제4 포트, 제5 포트 및 제6 포트를 구비하고; 제2 열 교환부는 4개의 덕트: 제1 덕트, 제2 덕트, 제3 덕트 및 제4 덕트를 포함하고; 제4 포트는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와 연통하고, 제5 포트는 제2 열 교환부의 제4 덕트와 연통하고; 제2 열 교환부를 통해 또는 유동 통로를 통해 제4 포트와 연통하는 제6 포트; 제1 열 교환부는 2개의 덕트: 제1 덕트, 제2 덕트를 포함하고, 제1 열 교환부의 제1 덕트는 가교 부재를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와 연통하고; 가교 부재는 연통을 위해 제1 열 교환부에 면하는 2개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또한, 가교 부재는 제2 열 교환부와 연통하는 적어도 2개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제2 열 교환부와 연통할 수 있는 가교 부재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의 개구는 제2 열 교환부에 면한다.
본 출원에 따라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이 추가로 제공되며,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냉매 유동 통로 및 냉각수 유동 통로를 포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열 교환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및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를 포함하고, 냉각수 유동 통로는 제1 포트부, 제2 포트부,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와 연통하는 제1 열 교환부의 유동 통로부를 통해 유동하며, 응축기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또는 파이프라인과 액체 저장부를 통해 제3 포트부와 연결되고, 압축기의 유입구는 제4 포트와 연통하고, 증발기의 유입구는 제5 포트와 연통하고, 또는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증발기의 유입구와 제5 포트 사이에 스로틀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증발기의 유출구는 제6 포트와 연통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동 통로는 이하의 유형: 단일 구성요소의 유동 통로 및 2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예를 들어, 제6 포트가 유동 통로를 통해 제4 포트와 연통함); 연결 피스 자체를 통과하는 유동 통로; 연결 피스가 제2 열 교환부와 고정된 후, 연결 피스의 그루브가 제2 열 교환부에 면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 연결 피스가 제2 열 교환부와 고정된 후, 제2 열 교환부의 오목한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 및 심지어 연결 피스와 제2 열 교환부와 다른 구성요소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 등을 포함한다. 연통을 위해 제1 열 교환부에 면하는 구멍 및/또는 그루브는 다양한 모드: 연통용 구멍, 연통용 그루브, 구멍 및 그루브의 조합, 구멍 및 구멍의 조합, 그루브 및 그루브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이는 제2 열 교환부와 연통하는 구멍 및/또는 그루브에도 적용되는데: 이때 구멍 및/또는 그루브는 제2 열 교환부와 연통하는 구멍, 제2 열 교환부와 연통하는 그루브, 또는 제2 열 교환부와 연통하는 구멍 및 그루브 둘 모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통은 또한 직접적인 연통 및 간접적인 연통을 포함한다. 가교 부재는 제1 열 교환부를 향한 또는 이에 근접한 2개의 연통용 구멍 또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가교 부재는 제2 열 교환부와 연통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연통을 위해 제1 열 교환부에 면하거나 이에 근접한 구멍 또는 그루브는 제2 열 교환부와의 연통을 배제하지 않는다. 구멍 또는 그루브가 관통 구멍의 형태인 경우에, 이들 둘 모두는 제1 열 교환부에 면할 수 있거나, 제2 열 교환부에 면하여 제2 열 교환부와 연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2개의 열 교환부 사이에서 파이프라인 또는 다른 것을 통한 연통이 배제되는 것은 아닌데, 이는 2개의 열 교환부가 연통하고 이들 2개의 열 교환부 사이에 제공되는 스로틀링 요소, 세퍼레이터, 제어 밸브, 체크 밸브, 열 교환기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열 교환부 사이의 유체 연통은 가교 부재를 통해 비교적 편리하게 실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연결이 단순화되고 편리하게 되도록 다수의 포트가 연결 피스를 통해 배열된다. 가교 부재의 구조 및 연결 피스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상이한 시스템 요건을 실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시스템의 파이프라인을 단순화하고, 포트들 사이의 파이프라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열 교환 조립체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두 방향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를 정면에서 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의 A-A 방향 단면의 개략도이고;
도 5는 열 교환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6은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교 부재의 정면도 및 B-B 방향 및 C-C 방향에 따른 가교 부재의 단면의 개략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두 방향에서의 열 교환 조립체의 연결 피스의 3차원 개략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두 방향에서의 열 교환 조립체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두 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가교 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연결 피스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두 방향에서의 열 교환 조립체의 제3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1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22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연결 피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에서의 도 22에 도시된 연결 피스의 연결 블록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5는 열 교환 조립체의 제4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가교 부재에 대한 정면도 및 E-E 방향 및 D-D 방향에 따른 가교 부재의 단면의 개략도이고;
도 29는 열 교환 조립체의 제5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가교 부재의 다른 방향에서의 개략도 및 G-G 방향 및 F-F 방향에서의 단면의 개략도이고;
도 33은 열 교환 조립체의 제6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35는 두 방향에서의 도 33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가교 부재의 정면 및 배면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37은 도 33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연결 피스에 대한 두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기술적인 해결책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와 함께 후술되며,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열 교환 조립체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두 방향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열 교환 조립체의 정면 방향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체의 A-A 방향 단면의 개략도이고, 도 5는 열 교환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6은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교 부재에 대한 정면도 및 B-B 방향 및 C-C 방향에 따른 가교 부재의 단면의 개략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두 방향에서의 열 교환 조립체의 연결 피스의 3차원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열 교환부(10), 스로틀 요소(1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40)를 포함한다. 가교 부재(20)는 제1 열 교환부(10)와 제2 열 교환부(30) 사이에 위치되고, 연결 피스(40)는 제2 열 교환부(30)의 타측에 위치된다. 즉, 가교 부재(20) 및 연결 피스(40)는 각각 제2 열 교환부의 양측에 배열된다.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및 제2 열 교환부(30)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열 교환 코어 본체 및 열 교환을 위해 유체가 유동할 때 통과하는 2개의 유동 통로를 구비하고, 2개의 유체 유동 통로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제1 열 교환부(10)는 플레이트 스택에 의해 분리되는 중간층 유동 통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유체가 제1 열 교환부(10)를 통해 유동할 수 있고, 이들 2개의 유체는 제1 열 교환부에서 열을 교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유체는 냉매이고, 다른 유체는 배터리와 같은 가열 요소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일 수 있다. 또한, 열 교환부는 3개의 유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유체는 냉매이고, 다른 2개의 유체는 냉각수일 수 있다. 2개의 냉각수는 냉매와 선택적으로 열을 교환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그 후 열 교환 및 온도 저하 후 냉각될 필요가 있는 구성요소를 냉각하는데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은 제1 열 교환부를 통해 유동하는 2개의 유체를 예로 하여 이루어진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포트(51), 제2 포트(52),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제6 포트(56) 및 제7 포트(57)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열 교환기에는 제1 포트(51) 및 제2 포트(52)가 제공된다. 가교 부재(20)에는 제3 포트(53)가 제공된다. 연결 피스(40)에는 제4 포트(54), 제5 포트(55), 제6 포트(56) 및 제7 포트(57)가 제공된다. 스로틀 요소(110) 및 제1 열 교환부(10)는 고정적으로 배열되거나 위치 제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덕트(103) 및 제2 덕트(104)(도면에는 전부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와 같은 4개의 덕트를 구비한다. 덕트(104)에서, 제1 열 교환부에는 연통 포트(105)를 구비한 파이프가 추가로 제공되고, 연통 포트(105)는 스로틀 요소(110)와 연통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를 포함한다. 제1 포트부(101)는 냉각수와 연통하기 위한 제1 포트(51)를 구비한다. 제2 포트부(102)는 냉각수와 연통하기 위한 제2 포트(52)를 구비한다. 제1 포트(51)는 열 교환 코어 본체의 유동 통로를 통해 제2 포트(52)와 연통한다.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는 제1 열 교환부의 측면 플레이트의 일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는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제1 열 교환부의 측면 플레이트 및/또는 열 교환 코어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포트부 및 제2 포트부는 파이프 조인트의 형태로 제1 열 교환부와 함께 고정될 수도 있다.
가교 부재(20)는 제1 정합부(200) 및 제2 정합부(200')를 구비한다. 대응하여, 제1 열 교환부(10)는 정합부(100)를 구비하고, 정합부(100)는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와 대응하여 정합된다. 제2 열 교환부(30)는 정합부(300)를 구비하고, 정합부(300)는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와 대응하여 정합되며;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 및 가교 부재의 2개의 정합부 모두는 평면부를 포함한다. 제1 정합부(200)에 제공되는 가교 부재의 가이드부 또는 연통용 구멍이나 그루브의 개구는 모두 제1 정합부 내부에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제1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 열 교환부는 연통을 위해 가교 부재의 각각의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를 갖는다. 제1 열 교환부의 각각의 연통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정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각각의 연통 개구는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및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가 용접 및 밀봉된 후에,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대응하는 연통 개구와 연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정합부의 일부이다. 2개의 연통 개구는 대향하여 배열되는 정합부에서 실질적으로 폐쇄된 구조를 형성한다.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는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2 열 교환부가 가교 부재와 용접 및 밀봉된 후, 동 측면 상의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는 모두 제2 열 교환부의 연통 개구와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열 교환부(3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3개의 덕트의 개구: 제3 덕트(301)의 개구, 제4 덕트(302)의 개구 및 제1 덕트(303)의 개구를 가지며, 가교 부재(20)는 제2 열 교환부(30)에 대향하는 측, 즉 제2 정합부 상에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 제1 그루브(203)의 개구 및 가이드부(204)의 구멍(2041)의 개구를 구비한다.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의 개구는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에 대응하고, 제4 덕트(302)의 개구는 제1 그루브(203)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하고, 제1 덕트(303)의 개구의 위치는 가이드부(204)의 구멍(2041)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구멍(2041)의 개구는 일반적으로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고, 제1 그루브(203)의 개구는 일반적으로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 관련 단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제한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는 높이 방향에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멍은 관통 구멍 및 막힌 구멍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멍의 형상은 원형일 수도 비원형일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루브는 비관통 그루브이지만, 그루브의 대부분이 관통되지 않지만 일부는 관통되는 상황을 포함하기도 한다.
가교 부재(20)는 제3 포트부(211)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3 포트부(211)는 제3 포트(53)를 포함한다. 제3 포트부(211)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제3 포트부(211)는 가교 부재의 본체와 일체를 이루는 구조이거나,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가교 부재의 본체에 고정되는 구조일 있다. 또한, 가교 부재(20)에는 관통 구멍(206)이 제공되고, 제1 그루브(203)는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막힌 구멍형 구조이다. 관통 구멍(206)은 제1 그루브(203)의 제3 포트부에 비교적 근접한 측에 제공되고; 제2 그루브(205)는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가 위치되는 측에 배열된다. 제2 그루브(205)는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막힌 구멍형 구조이다. 관통 구멍(206)은 제2 그루브(205)의 제3 포트부로부터 비교적 멀어지는 방향의 측에 위치되고; 제1 그루브(203)는 관통 구멍(206)을 통해 제2 그루브(205)와 연통한다. 다시 말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06) 또는 관통 구멍(206)의 일부는 제1 그루브(203)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고, 관통 구멍(206) 또는 관통 구멍(206)의 다른 부분은 제2 그루브(205)의 일 단부에서 연장된다. 가이드 구멍(202)은 막힌 구멍형 구조이고,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는 제2 정합부 측에 있고, 가이드 구멍(202)은 제3 포트(53)와 연통한다. 가이드 구멍의 깊이는 가교 부재의 두께 절반 이상이다. 또는 가이드 구멍의 깊이는 가교 부재의 두께에 거의 절반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 구멍의 깊이는 가교 부재의 두께의 1/3 이상 가교 부재의 두께의 2/3 미만이다. 가이드부(204)는 구멍(2041) 및 그루브(2042)를 포함한다. 구멍(2041)은 실질적으로 관통 구멍이고, 그루브(2042)는 실질적으로 막힌 구멍이다. 그루브(2042)의 개구는 제1 정합부가 위치되는 측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가교 부재의 제1 열 교환부에 면하는 측은 정면측으로 규정되고, 가교 부재의 제2 열 교환부에 면하는 측은 배면측으로 규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그루브(203)가 설치되는 측이 가교 부재의 배면측이고, 제2 그루브(205)가 설치되는 측이 가교 부재의 정면측이다. 정면측에서 제1 그루브(203)를 투영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이드부의 그루브(2042)에 위치된다. 정면측에서 가이드 구멍(202)을 투영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그루브(205)에 위치된다. 즉, 가이드 구멍(20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그루브(205) 뒤에 있고, 직접적인 연통은 하지 않는다. 제1 그루브(20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루브(2042) 뒤에 있고, 직접적인 연통은 하지 않는다.
연결 피스(40)는 본체부(4010) 및 연장부(4011)를 포함한다. 연결 피스(40)에는 제4 포트(54), 제5 포트(55), 제6 포트(56), 제7 포트(57)가 제공되고, 정합, 고정 또는 위치 제한을 위한 고정 구멍(409)이 추가로 제공된다. 연결 피스(40)는 제2 열 교환부(30)에 면하는 측에 그루브(405)를 구비하고, 그루브(405)는 실질적으로 막힌 구멍형 구조이다. 제7 포트(57)는 제4 포트(54)에 비교적 근접한 그루브(405)에 제공되고, 제5 포트(55)는 그루브(405)의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에 제공된다. 제5 포트(55) 및 제7 포트(57) 둘 모두는 그루브(405)와 연통한다. 연결 피스는 고정 또는 위치 제한을 위한 고정 요소(4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요소(450)는 고정 구멍(409)에 고정되거나, 위치 제한될 수 있다.
열 교환 조립체는 열 관리 시스템의 설치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결된 파이프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 열 교환 조립체를 적용할 때, 열 교환 조립체의 구성요소는 실제 사용 시에 고정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명료화를 위해, 냉매의 유동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명료화 및 설명을 위한 것이다. 특정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냉매 시스템(refrigerant system) 및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5 및 다른 도면을 참고하면,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은 열 교환 조립체의 제1 포트부(101), 제2 포트부(102),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와 연통하는 제1 열 교환부 내 유동 통로부를 포함한다. 배터리의 열은 냉각수로 전달되고, 이 열은 제1 포트(51) 또는 제2 포트(52)를 통해 제1 열 교환부의 유동 통로를 통해 유동하고, 제1 열 교환부 내 다른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다. 냉각 후, 냉각수는 역류하여 배터리를 냉각시킨다.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제6 포트(56) 및 제7 포트(57)는 각각 냉매 시스템과 연통하도록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응축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하거나, 저장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온 및 고압의 냉매가 가이드 구멍(202)을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로 이동하고, 제2 열 교환부(30) 내 다른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 후, 제4 덕트(302)로 유동한다. 제4 덕트(302)를 통한 냉매는 두 부분으로 분할되는데: 냉매의 한 부분은 그루브(405)가 위치되는 공간에 의해 그리고 연결 피스(40) 및 제2 열 교환부의 협력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를 통해 유동한 후, 제5 포트(55) 및 제7 포트(57)를 통해 유출되는데, 예를 들어, 제5 포트(55)를 통해 전방 증발기로 그리고 제7 포트(57)를 통해 후방 증발기로 유출되거나, 제5 포트(55)를 통해 후방 증발기로 그리고 제7 포트(57)를 통해 전방 증발기로 유출된다. 스로틀 요소는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 앞에 설치될 수 있다. 냉매의 다른 부분은 다음의 순서: 제1 그루브(203)가 위치되는 공간에 의해 그리고 가교 부재 및 제2 열 교환부의 정합부의 협력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 관통 구멍(206); 제2 그루브(205)가 위치되는 공간에 의해 그리고 가교 부재 및 제1 열 교환부의 정합부의 협력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 및 스로틀 요소와 연통하는 연통 포트 순으로 스로틀 요소(110)로 진입한다. 스로틀 요소(110)에 의해 조절된 후에, 냉매의 상기 다른 부분은 제1 열 교환부(10)의 덕트로 진입하고, 냉매 통로 내 제1 열 교환부의 냉각수 통로 내 냉각수와 열 교환한 후, 제1 덕트(103)로 유동하고, 가이드부(204)에 의해 형성되고 가교 부재, 제1 열 교환부 및 제2 열 교환부와 협력하는 유동 통로를 통해 이동하고,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로 유동하고, 마지막으로 제1 덕트(303)와 연통하는 제4 덕트를 통해 유출되는데, 예를 들어 압축기로 역류한다. 또한, 제6 포트(56)는 전방 증발기 및/또는 후방 증발기로부터 역류하는 냉매와 연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저온 냉매가 제2 열 교환부의 제2 덕트(304)를 통해 제1 덕트(303)로 유동하고, 제3 덕트(301)로부터 제4 덕트(302)로 유동하는 고온 냉매와 열 교환한다. 제1 덕트(303)에서, 냉매의 두 부분은 합쳐진 후 제4 포트를 통해 압축기로 역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온 냉매의 일부는 고온 냉매를 냉각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압축기로 복귀하는 냉매의 온도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냉매의 응축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유동 방향은 단지 예시일 뿐, 제한 또는 요건 배제를 위한 것은 아니며, 압축기 앞에 다른 제어 밸브를 추가하는 것과 같이 다른 구성요소가 유동 경로에 추가될 수 있다. 추가로, 감지 요소(250), 예를 들어 온도 감지 요소의 장착을 위해 제2 장착부(207)가 가교 부재(20) 상에 제공된다. 온도 감지 요소의 장착 동안, 온도 감지 헤드(2501)가 장착부를 통과하여 가이드부(204)가 위치되는 유동 통로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를 통과한 후의 냉매의 온도 또는 증발기의 유출구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열 교환 조립체는 고온 냉매와 저온 냉매의 일부 사이의 열 교환을 실현할 수 있고, 고온 냉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압축기로 복귀하는 냉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포트들 사이의 파이프라인이 줄어들 수 있고, 시스템 연결이 간단하고 편리해진다. 또한, 중량을 추가로 줄이기 위해, 가교 부재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도 있으며, 이는 위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개선되며, 중량-감소 구멍(2032)을 형성하기 위해 가교 부재의 중앙에 있는 피스(piece)가 제거된다. 중량-감소 구멍은 가교 부재의 제1 열 교환부에 근접한 측으로부터 가교 부재의 제2 열 교환부에 근접한 측으로 뚫고 들어간다. 구멍(2032)의 형상은 표준적이지 않을 수 있고 용접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중량-감소 구멍은 일반적으로 관통 구멍이다. 구멍(2032)과 연통을 위해 제1 열 교환부에 면하는 가교 부재의 제2 그루브(205)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다. 중량-감소 구멍(2032)과 연통을 위해 제1 열 교환부에 면하는 가교 부재의 가이드부(204)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며; 중량-감소 구멍(2032)과 연통을 위해 제2 열 교환부에 면하는 가교 부재의 구멍(202')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고, 구멍(202')은 가이드 구멍이다. 중량-감소 구멍(2032)과 연통을 위해 제2 열 교환부에 면하는 가교 부재의 제1 그루브(203)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다. 중량-감소 구멍(2032)과 가교 부재의 제2 열 교환부에 면하는 연통용 구멍(2041)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다. 다시 말해, 이 거리는 각각 제1 열 교환부 및 제2 열 교환부와 협동하도록 사용되는 가교 부재의 정합부들 사이의 거리이고, 정합부는 용접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오목부, 즉 노치(2031)를 형성하기 위해, 가교 부재의 일 측에서 피스가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와 정합하기 위한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제2 열 교환부와 정합하기 위한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의 면적 역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정합부의 용접 면적이 감소될 수 있는데, 이는 용접 품질을 개선하고, 중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구멍(2041) 및 그루브(2042)의 교차점에서, 가교 부재는 제1 벽(215) 및 제2 벽(216)을 구비한다. 제1 벽(215)의 가이드부에 면하는 표면은 완만한 전이부를 갖는 제1 벽 표면(2045)을 형성한다. 제2 벽(216)의 가이드부에 면하는 표면은 완만한 전이부를 갖는 제2 벽 표면(2046)을 형성한다. 가이드부(204')에 의해 형성되고, 가교 부재, 제1 열 교환부 및 제2 열 교환부와 협동되는 유동 통로의 경우, 이러한 완만한 전이부의 구성에 의해 회전 동안 냉매의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비원형 가이드 구멍(202')이 약간 측방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냉매의 유동과의 협력을 용이하게 한다.
열 교환 조립체의 제2 실시예가 도 12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후술되며, 여기서 도 12 및 도 13은 두 방향에서의 열 교환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열 교환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15는 두 방향에서의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가교 부재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연결 피스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를 포함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포트(51), 제2 포트(52),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제6 포트(56), 제7 포트(57) 및 제8 포트(58)를 구비한다. 가교 부재(20)에는 제3 포트부(211)가 제공된다. 스로틀 요소(110) 및 제1 열 교환부(10)는 고정적으로 배열되거나 위치 제한적으로 배열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덕트(103) 및 제2 덕트(104)(도면에는 모두 도시되지는 않음)와 같은 4개의 덕트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를 포함한다. 제1 포트부(101)는 냉각수와 연통하는 제1 포트(51)를 구비한다. 제2 포트부(102)는 냉각수와 연통하는 제2 포트(52)를 구비한다. 제1 포트(51)는 열 교환 코어 본체의 유동 통로를 통해 제2 포트(52)와 연통한다.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는 제1 열 교환부의 측면 플레이트의 일부일 수 있으며, 또는 두 포트부는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제1 열 교환부의 열 교환 코어 본체 및/또는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가교 부재(20)는 제1 정합부(200)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와 정합하는 정합부(100)를 구비한다. 제1 정합부(200)는 제1 열 교환부의 정합부에 대향하고 이와 정합한다.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및 가교 부재의 정합부(200)는 둘 모두 평면부를 포함한다. 제1 정합부(200) 측에 제공되는 가교 부재의 가이드부의 개구 또는 연통용 구멍 또는 그루브는 모두 제1 정합부 내부에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제1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 열 교환부는 가교 부재의 각각의 연통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를 구비한다. 각각의 연통 개구는 상기 연통 개구의 정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각각의 연통 개구는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이는데; 다시 말해 2개의 연통 개구 둘 모두는 대향하여 배열되는 정합부에서 실질적으로 폐쇄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및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가 용접 및 밀봉된 후,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가 제1 열 교환부의 대응하는 연통 개구와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1 열 교환부(1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스로틀 요소와 연통하는 파이프라인의 연통 포트(105) 및 제1 덕트(103)의 개구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스로틀 요소와 연통하는 연통 포트(105) 및 제1 덕트(103)의 개구를 구비한다. 가교 부재(20)는 제1 열 교환부(10)에 대향하는 측에 대응하는 구멍(223 및 224)을 구비한다. 구멍(223)의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제1 덕트(103)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구멍(224)의 개구는 스로틀 요소와 연통하는 연통 포트(105)에 대응한다. 구멍(223 및 224)은 관통 구멍이다.
가교 부재(20)는 제2 정합부(200')를 구비하고, 제2 정합부(200')는 제2 열 교환부에 면한다. 제2 열 교환부(30)는 정합부(300)를 구비한다.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 및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 둘 모두는 평면부를 포함한다. 제2 정합부 측에 제공되는 가교 부재의 가이드부 또는 연통용 구멍 또는 그루브의 개구는 모두 제2 정합부 내측에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제2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2 열 교환부는 가교 부재의 각각의 연통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를 구비한다. 각각의 연통 개구는 연통 개구의 정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이는데; 다시 말해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정합부의 일부를 포함한다. 2개의 연통 개구는 대향하는 정합부에서 실질적으로 폐쇄된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는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2 열 교환부가 가교 부재와 용접 및 밀봉된 후, 이 측면 상의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는 제2 열 교환부의 연통 개구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열 교환부(3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3개의 덕트의 개구: 제3 덕트(301)의 개구, 제4 덕트(302)의 개구 및 제1 덕트(303)의 개구를 구비하며, 가교 부재(20)는 제2 열 교환부(30)에 대향하는 측, 즉 제2 정합부 상에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 구멍(223)의 개구 및 구멍(224)의 개구를 구비한다.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의 개구는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에 대응하고, 제4 덕트(302)의 개구는 구멍(224)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1 덕트(303)의 개구는 구멍(223)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가교 부재(20)는 제3 포트부(211)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3 포트부(211)는 제3 포트(53)를 구비한다. 제3 포트부(211)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제3 포트부(211)는 가교 부재의 본체와 일체인 구조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가교 부재의 본체에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가교 부재(20)에는 4개의 중량-감소 구멍(2032)이 제공되고, 구멍(2032)은 비원형 관통 구멍이며, 원형일 수도 있다. 가이드 구멍(202)은 실질적으로 막힌 구멍이고,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는 제2 정합부가 위치되는 측에 있고, 가이드 구멍(202)은 제3 포트(53)와 연통한다. 가교 부재는 볼록부(217) 및 제2 볼록부(218)를 포함한다. 볼록부(217)는 본체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돌출된다. 제2 볼록부(218)는 일반적으로 본체부의 코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볼록부(217)의 제1 측 표면(2171)은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보다 낮다. 볼록부(217)의 제2 측 표면(2172)은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보다 낮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제2 볼록부의 양 측 표면은 가교 부재의 대응하는 측의 정합부보다 낮은데; 다시 말해 볼록부(217)의 두께 및 제2 볼록부(218)의 두께는 둘 모두 가교 부재의 본체의 두께 미만이다. 볼록부 및 제2 볼록부를 제공함으로써, 가교 부재의 본체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 구멍(22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부(217) 및/또는 제2 볼록부(218)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3 포트부(211)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볼록부에 위치되므로, 가교 부재의 본체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연결 피스는 연결 블록(411), 연결 플레이트(412), 제1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1), 제2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2) 및 제3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3)를 포함한다. 연결 블록(411), 연결 플레이트(412), 제1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1), 제2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2) 및 제3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3)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블록(411)의 두께는 연결 플레이트(412)의 두께를 초과한다. 제1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1)에는 제4 포트(54)가 제공된다. 제2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2)에는 제7 포트(57) 및 제8 포트(58)가 제공된다. 제3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3)에는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가 제공된다. 연결 피스의 3개의 연결 파이프 정합부에는 추가로 고정 요소(450)를 고정 또는 위치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구멍(409)이 제공된다. 연결 플레이트(412)는 연결 블록(411)과 3개의 연결 파이프 정합부 사이에 위치된다. 연결 블록은 제2 열 교환부에 비교적 근접하거나, 또는 연결 블록은 제2 열 교환부에 맞닿으며,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연결 블록(411)은 3개의 관통 구멍: 관통 구멍(4111), 관통 구멍(4112) 및 관통 구멍(4113)을 구비한다. 관통 구멍(4111) 및 관통 구멍(4112)은 비원형이고, 경사지거나 원호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관통 구멍(4111) 및 관통 구멍(4112)의 2개의 단부의 위치가 대응하는 유동 통로를 안내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관통 구멍(4113)은 원형이고; 관통 구멍(4111)의 일 측면, 관통 구멍(4112)의 일 측면 및 관통 구멍(4113)은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근접한 연결 블록의 일 측면에 위치된다. 연결 플레이트는 5개의 관통 구멍: 관통 구멍(4121), 관통 구멍(4122), 관통 구멍(4123), 관통 구멍(4124) 및 관통 구멍(4125)를 구비한다. 관통 구멍(4121) 및 관통 구멍(4125)의 위치는 관통 구멍(4111)에 대응하는데, 즉 관통 구멍(4121) 및 관통 구멍(4125) 둘 모두는 관통 구멍(4111)과 연통할 수 있으며; 관통 구멍(4122) 및 관통 구멍(4124)의 위치는 각각 관통 구멍(4112)에 대응하는데, 즉 관통 구멍(4122) 및 관통 구멍(4124) 둘 모두는 관통 구멍(4112)과 연통할 수 있다. 관통 구멍(4123)의 위치는 관통 구멍(4113)에 대응하고; 제4 포트(54)의 위치는 관통 구멍(4121)에 대응한다. 제4 포트는 관통 구멍(4121)과 연통할 수 있는데, 즉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111)과 연통할 수 있으며; 제8 포트(58)의 위치는 관통 구멍(4125)에 대응하며, 제8 포트는 관통 구멍(4125)과 연통할 수 있는데, 즉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111)과 연통할 수 있으며; 제7 포트(57)의 위치는 관통 구멍(4124)에 대응한다. 제7 포트는 관통 구멍(4124)과 연통할 수 있는데, 즉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112)과 연통할 수 있으며; 제5 포트(55)의 위치는 관통 구멍(4122)에 대응하며, 제5 포트는 관통 구멍(4122)과 연통할 수 있는데, 즉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112)과 연통할 수 있으며, 제6 포트(56)의 위치는 관통 구멍(4123)에 대응한다. 제6 포트는 관통 구멍(4123)과 연통할 수 있는데, 즉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113)과 연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피스는 프로파일 또는 스탬핑 피스(stamping piece)에 의해 가공될 수 있고 조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가공 단계를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동 통로는 이하의 유형: 2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 뿐만 아니라 단일 구성요소를 갖는 유동 통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8 포트가 유동 통로를 통해 제4 포트(54)와 연통한다는 것은 연결 피스 자체의 유동 통로 및 제2 열 교환부와 고정된 후 제2 열 교환부의 그루브 및 연결 피스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 또는 제2 열 교환부와 고정된 후 제2 열 교환부의 오목한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를 통해; 그리고 심지어 연결 피스 및 제2 열 교환부 및 다른 구성요소 등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를 통해 연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열 관리 시스템의 설치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결된 파이프 및 연결 포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 열 교환 조립체를 적용할 때, 이들 구성요소는 실제 사용 시에 고정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명료화를 위해, 도 14 및 다른 도면을 참고하면, 냉매의 유동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명료화 및 설명을 위한 것이다. 일 예로서 냉매 시스템 및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을 고려할 때,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은 열 관리 조립체의 제1 포트부(101), 제2 포트부(102),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와 연통하는 제1 열 교환부 내 유동 통로부를 포함한다. 배터리의 열은 냉각수로 전달될 수 있고, 이 열은 제1 포트(51) 또는 제2 포트(52)를 통해 제1 열 교환부의 통로의 일부를 통과하고, 제1 열 교환부의 다른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다. 냉각 후, 냉각수는 역류하여 배터리를 냉각시켰다.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제6 포트(56), 제7 포트(57) 및 제8 포트(58)는 냉매 시스템과 연통하도록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응축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하거나, 저장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온 및 고압의 냉매가 가이드 구멍(202)을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로 유동하고, 제2 열 교환부(30) 내 유동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 후, 제4 덕트(302)로 유동한다. 제4 덕트(302)로의 냉매는 두 부분으로 분할되는데: 냉매의 일부는 연결 블록(411)의 관통 구멍(4112) 및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4124)과 같은 제2 열 교환부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 및 연결 피스를 통해 유동한 후 연결 피스의 연결 블록(411)의 관통 구멍(4112),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4122)을 통해 유동할 뿐 아니라 제7 포트(57)로 유동하고, 그 후 제5 포트(55)로 유동한 후, 제5 포트(55) 및 제7 포트(57)를 통해 유출되는데, 예를 들어 냉매의 이 부분은 제5 포트(55)를 통해 전방 증발기로 유동하고, 제7 포트(57)를 통해 후방 증발기로 유동하며, 또는 냉매의 이 부분은 제5 포트(55)를 통해 후방 증발기로 유동하고, 제7 포트(57)를 통해 전방 증발기로 유동하는데, 여기서 스로틀 요소 역시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 앞에 설치될 수 있으며; 냉매의 다른 부분은 가교 부재의 관통 구멍(224) 및 스로틀 요소(110)와 연통하는 파이프 연통 포트(105)를 통해 스로틀 요소(110)로 진입한다. 가교 부재는 제2 덕트(104)와 연통하지 않는다. 스로틀 요소(110)에 의해 조절된 후, 냉매는 제1 열 교환부(10)의 제2 덕트(104)로 진입하고, 제1 열 교환부의 냉각수 통로에서 냉각수와 열 교환하고, 제1 덕트(103)로 유동한다. 그 후, 냉매는 가교 부재의 관통 구멍(223)을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로 유동하고, 압축기로 역류하는 것과 같이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11),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4121) 및 제4 포트(54)를 통해 유출된다. 또한, 제6 포트(56)는 전방 증발기 및/또는 후방 증발기로부터 역류하는 냉매와 연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저온 냉매의 이 부분은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113) 및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4l23)을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2 덕트(304)로 이동한 후, 냉매는 제1 덕트(303)로 유동하고, 제3 덕트(301)로부터 제4 덕트(302)로 유동하는 고온 냉매와 열 교환한다. 제1 덕트(303)에서, 냉매의 이들 두 부분은 합쳐진 후 제4 포트를 통해 압축기로 역류할 수 있으며: 제8 포트(58)는 후방 증발기 및/또는 전방 증발기로부터 역류하는 냉매와 연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저온 냉매의 이 부분은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111) 및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4l25)를 통해 이동하고, 제4 포트를 통해 압축기로 역류하도록 냉매의 나머지와 수렴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동 방향은 단지 예시일 뿐, 제한 또는 요건 배제를 위한 것은 아니며, 압축기 앞에 다른 제어 밸브를 추가하는 것과 같이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가교 부재(20)에는 온도 감지 요소와 같은 감지 요소(250)를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부(207)가 제공된다. 관통 구멍(223)이 위치되는 유동 통로에 장착부를 통해 온도 감지용 센서 헤드(2501)가 위치되도록, 제2 장착부(207)의 구멍은 관통 구멍(223)과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를 통과한 후 냉매의 온도 또는 증발기의 유출구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열 교환 조립체의 제3 실시예가 도 18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후술되는데, 도 18 및 도 19는 두 방향에서의 열 교환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해결책의 가교 부재의 개략도이고, 도 21은 열 교환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22는 열 교환 조립체의 연결 피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연결 피스의 연결 블록에 대한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의 개략도이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를 포함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포트(51), 제2 포트(52),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제6 포트(56), 제7 포트(57) 및 제8 포트(58)를 구비한다. 스로틀 요소(110) 및 제1 열 교환부(10)는 고정적으로 배열되거나 위치 제한적으로 배열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덕트(103) 및 제2 덕트(104)(나머지 2개의 덕트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와 같은 4개의 덕트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를 포함한다. 제1 포트부(101)는 냉각수와 연통하는 제1 포트(51)를 구비한다. 제2 포트부(102)는 냉각수와 연통하는 제2 포트(52)를 구비한다. 제1 포트(51)는 열 교환 코어 본체의 유동 통로를 통해 제2 포트(52)와 연통한다.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는 제1 열 교환부의 측면 플레이트의 일부일 수 있거나, 2개의 포트부가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제1 열 교환부의 열 교환 코어 본체 및/또는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가교 부재(20)는 제1 정합부(200) 및 제2 정합부(200')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정합부(200)는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에 대향하고 이에 정합한다. 제2 정합부(200')는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에 대향하고 이에 정합한다.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 및 가교 부재의 2개의 정합부 모두는 평면부를 포함한다. 가교 부재(20)는 관통 구멍(223) 및 관통 구멍(222)을 포함하고, 관통 구멍(222)은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연장된다. 가교 부재(20)는 제2 장착부(207)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장착부(207)의 구멍은 관통 구멍(222)과 연통하거나, 장착부는 관통 구멍(222)에 근접한 측에 배치된다. 제1 열 교환부에 근접한 관통 구멍(223)의 개구 및 관통 구멍(222)의 개구는 제1 정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제1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다시 말해, 관통 구멍(223)의 개구 및 관통 구멍(222)의 개구의 둘레는 용접 및 밀봉에 맞춰 조정되는 평면부를 구비한다. 다른 한편으로, 관통 구멍(223)의 개구 및 관통 구멍(222)의 개구는 제2 정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제2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이는데, 다시 말해 관통 구멍(223)의 개구 및 관통 구멍(222)의 개구의 둘레는 용접 및 밀봉에 맞춰 조정되는 평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및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가 용접 및 밀봉된 후, 가교 부재의 2개의 관통 구멍의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대응하는 연통 개구와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가교 부재의 관통 구멍(223)은 연통 포트(105)에 대응하고, 이와 연통한다. 연통 포트(105)는 스로틀 요소와 연통한다. 관통 구멍(222)은 제1 열 교환부(10)의 제1 덕트(103)에 대응하고, 이와 연통하며; 가교 부재의 2개의 관통 구멍의 개구는 제2 열 교환부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와 연통하고, 가교 부재의 관통 구멍(223)은 제2 열 교환부의 제4 덕트(302)에 대응하고, 이와 연통하며, 가교 부재의 관통 구멍(222)은 제2 열 교환부(30)의 제1 덕트(303)에 대응하고, 이와 연통한다.
가교 부재(20)는 2개의 중량-감소 구멍(2032)를 추가로 포함하며, 구멍(2032)의 배열은 가교 부재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가교 부재의 2개의 정합부의 평면부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1 열 교환부 및 제2 열 교환부와의 가교 부재의 정합부가 줄어들어, 접촉 용접의 면적이 비교적 제어되고 대응하는 용접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본 해결책에서 가교 부재의 제조는 비교적 간단한데, 예를 들어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다. 프로파일에는 4개의 대응하는 관통 구멍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가교 부재는 블랭킹, 양측의 2개의 정합부 및 장착부의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가공 단계는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연결 피스는 연결 블록(421) 및 포트 정합 피스(423)를 포함한다. 연결 블록(421) 및 포트 정합 피스(423)는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고정 요소 및 밀봉 요소에 의해 밀봉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피스에는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제6 포트(56), 제7 포트(57) 및 제8 포트(58)가 제공된다. 연결 블록은 제3 포트부(4213), 제4 포트부(4214), 제5 포트부(4215) 및 제6 포트부(4216)를 포함한다. 제3 포트부(4213), 제4 포트부(4214), 제5 포트부(4215) 및 제6 포트부(4216)는 연결 블록의 플레이트부와 일체형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또는 이들 포트부 각각은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연결 피스의 플레이트부에 고정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연결 블록에는 추가로 관통 구멍(4217), 관통 구멍(4218) 및 고정 또는 위치 제한을 위한 고정 구멍(429)이 제공된다. 연결 피스는 제2 열 교환부(30)에 면하는 측에 그루브(4211 및 4212)를 구비한다. 그루브는 막힌 구멍과 유사한 구조이다. 연결 블록에는 각각 그루브(4211)의 양측에 제4 포트(54) 및 관통 구멍(4218)이 제공된다. 제4 포트(54) 및 관통 구멍(4218)은 그루브(4211)와 연통하며; 연결 블록에는 그루브(4212)와 연통하는 제5 포트(55) 및 관통 구멍(4217)이 제공된다. 제6 포트(56)는 제2 열 교환부(30)의 제2 덕트(304)와 연통한다. 제5 포트(55)는 제2 열 교환부(30)의 제4 덕트(302)와 연통한다. 제3 포트(53)는 제2 열 교환부(30)의 제3 덕트(301)와 연통한다. 제4 포트(54)는 제2 열 교환부(30)의 제1 덕트(303)와 연통한다. 포트 정합 피스(423)에는 제7 포트(57) 및 제8 포트(58)가 제공된다. 제7 포트(57)는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217)에 대응하고 이와 연통한다. 제8 포트(58)는 연결 블록의 관통 구멍(4218)에 대응하고 이와 연통한다.
사용 시의 냉매의 유동 모드가 도 21의 분해도에 도시되는데,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몇몇 구성요소는 실제 사용 시에 고정된다. 특정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냉매 시스템 및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21 및 다른 도면을 참고하면,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은 열 교환 조립체의 제1 포트부(101), 제2 포트부(102),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와 연통하는 제1 열 교환부 내 유동 통로부를 포함한다. 배터리의 열은 냉각수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러한 냉각수는 제1 포트(51) 또는 제2 포트(52)를 통해 제1 열 교환부의 통로의 일부를 통해 유동하고, 제1 열 교환부 내 다른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다. 냉각 후, 냉각수는 역류하여 배터리를 냉각한다.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제6 포트(56), 제7 포트(57) 및 제8 포트(58)가 각각 냉매 시스템과 연통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응축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는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하거나, 저장소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온 및 고압 냉매가 제2 열 교환부(30)의 제3 덕트(301)를 통해 유동하고, 제2 열 교환부(30) 내 다른 덕트의 냉매와 열 교환한 후, 제4 덕트(302)로 유동한다. 제4 덕트(302)로의 냉매는 두 부분으로 분할되는데: 냉매의 일부는 그루브(4212)가 위치되는 공간에 의해 그리고 연결 피스 및 제2 열 교환부의 협력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를 통해 유동하고, 제5 포트(55) 및 제7 포트(57)를 통해 유출된다. 예를 들어, 냉매는 제5 포트(55)를 통해 전방 증발기로 유동하고, 제7 포트(57)를 통해 후방 증발기로 유동하거나, 냉매는 제5 포트(55)를 통해 후방 증발기로 유동하고, 제7 포트(57)를 통해 전방 증발기로 유동한다. 스로틀 요소는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 앞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냉매의 다른 부분은 스로틀 요소와 연통하는 연통 포트(105), 제2 열 교환부의 제4 덕트(302)와 연통하는 가교 부재의 구멍(223)을 통해 스로틀 요소(110)로 진입한다. 스로틀 요소(110)에 의해 조절된 후, 냉매는 제1 열 교환부(10)의 제2 덕트(104)로 진입하고, 제1 열 교환부의 냉매 통로 내 냉각수 유동 통로의 냉각수와 열 교환하고, 제1 덕트(103)로 유동한다. 그 후, 냉매는 관통 구멍(222)에 의해 형성되고 가교 부재, 제1 열 교환부 및 제2 열 교환부와 협력하는 유동 통로를 통해 이동하고,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로 유동한 후, 냉매는 압축기로 역류하는 것과 같이 제1 덕트(303)와 연통하는 제4 포트를 통해 유출된다. 또한, 제6 포트(56)는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로부터 역류하는 냉매와 연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저온 냉매는 제2 열 교환부의 제2 덕트(304)를 통해 제1 덕트(303)로 유동하고, 제3 덕트(301)로부터 제4 덕트(302)로 유동하는 고온 냉매와 열 교환한다. 제1 덕트(303)에서, 냉매의 이 부분 및 냉매의 나머지는 합쳐진 후 제4 포트를 통해 압축기로 역류할 수 있다. 또한, 제8 포트(58)는 후방 증발기 또는 전방 증발기로부터 역류하는 냉매와 연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저온 냉매의 이 부분은 그루브(4211)에 의해 형성되고 연결 피스 및 제2 열 교환부와 협력하는 유동 통로를 통해 제4 포트로 유동한다. 냉매의 세 부분이 합쳐진 후 제4 포트를 통해 압축기로 역류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유동 방향은 단지 예시일 뿐, 제한 또는 요건 배제를 위한 것은 아니며, 압축기 앞에 다른 제어 밸브를 추가하는 것과 같이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제2 장착부(207)는 추가로, 온도 감지 요소와 같은 감지 요소(250)를 장착하기 위해 가교 부재(20) 상에 제공된다. 온도 감지용 센서 헤드(2501)가 장착부를 통과하여 관통 구멍(222)이 위치되는 유동 통로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를 통과한 후 냉매의 온도 또는 증발기의 유출구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몇몇 냉매 연결 포트가 연결 피스 상에 배열되어, 사용 시 연결이 더 편리하고, 또한 파이프라인이 동일한 측에 배열된다.
열 교환 조립체는 또한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될 수 있으며, 도 25는 열 교환 조립체의 제4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6은 열 교환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27은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가교 부재의 정면도 및 E-E 방향 및 D-D 방향을 따른 가교 부재의 단면의 개략도이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열 교환부(10), 스로틀 요소(1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40)를 포함한다. 가교 부재(20)의 대부분은 제1 열 교환부(10)와 제2 열 교환부(30) 사이에 위치되고, 연결 피스(40)는 제2 열 교환부(30)의 타측에 위치된다. 즉, 가교 부재(20) 및 연결 피스(40)는 각각 제2 열 교환부의 양측에 배열된다.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및 제2 열 교환부(30)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거나,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2 열 교환부(30)보다 크다.
제1 열 교환부(10)는 열 교환 코어 본체를 구비하고, 제1 열 교환부(10)는 유체가 열 교환을 위해 유동할 때 통과하는 2개의 유동 통로를 구비하고, 2개의 유체 유동 통로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제1 열 교환부(10)는 플레이트 스택에 의해 분리되는 중간층 유동 통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유체가 제1 열 교환부(10)를 통해 유동할 수 있는데, 2개의 유체는 제1 열 교환부에서 열 교환을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유체는 냉매이고, 다른 유체는 배터리와 같은 가열 요소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일 수 있다. 또한, 열 교환부는 3개의 유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유체는 냉매이고, 다른 2개의 유체는 냉각수일 수 있다. 2개의 냉각수는 냉매와 열 교환하도록 제어 및 선택될 수 있고, 이어서 냉각수는 열 교환 및 온도 감소 후 냉각될 필요가 있는 구성요소를 냉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2개의 유체는 예시를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포트(51), 제2 포트(52), 제3 포트(53) 및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에는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가 제공된다. 가교 부재(20)에는 제3 포트부(211)가 제공된다. 연결 피스(40)에는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가 제공된다. 스로틀 요소(110) 및 가교 부재(20)는 고정되거나 위치 제한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덕트(103) 및 제2 덕트(104)(다른 2개의 덕트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와 같은 4개의 덕트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를 포함한다. 제1 포트부(101)는 냉각수와 연통하기 위한 제1 포트(51)를 구비한다. 제2 포트부(102)는 냉각수와 연통하기 위한 제2 포트(52)를 구비한다. 제1 포트(51)는 열 교환 코어 본체의 유동 통로를 통해 제2 포트(52)와 연통한다.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는 제1 열 교환부의 측면 플레이트의 일부일 수 있거나, 2개의 포트부가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제1 열 교환부의 열 교환 코어 본체 및/또는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가교 부재(20)는 제1 정합부(200) 및 제2 정합부(200')를 구비한다. 대응하여, 제1 열 교환부(10)는 정합부(100)를 구비하고, 정합부(100)는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와 대응하여 정합된다. 제2 열 교환부(30)는 정합부(300)를 구비하고, 정합부(300)는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와 대응하여 정합되고;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 및 가교 부재의 2개의 정합부 모두에는 평면부가 제공된다. 제1 정합부(200)의 측에서의 연통을 위한 가교 부재의 가이드부 또는 구멍 또는 그루브의 개구는 모두 제1 정합부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제1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 열 교환부는 가교 부재의 각각의 연통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를 갖는다. 제1 열 교환부의 각각의 연통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정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각각의 연통 개구는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및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가 용접 및 밀봉된 후에,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와 연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정합부의 일부를 포함한다. 2개의 연통 개구는 대향하여 배열되는 정합부에서 실질적으로 폐쇄된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제1 덕트(103)의 개구 및 제2 덕트(104)의 개구를 구비한다. 가교 부재(20)는 제1 열 교환부(10)에 대향하는 측에 대응하는 구멍(2084 및 2091)을 구비한다. 구멍(2084)의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제1 덕트(103)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구멍(2091)의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제2 덕트(104)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또한, 가교 부재(20)는 제1 열 교환부(10)에 대향하는 측에 그루브(2080)를 더 구비하고, 그루브(2080)의 일 측면은 구멍(2081)과 연통한다. 또한, 그루브의 다른 측에는 경사진 구멍(2082)이 있다. 경사진 구멍(2082)의 타단부는 장착부(209)의 구멍과 연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부(209)의 구멍은 경사진 구멍(2082) 및 그루브(2080)를 통해 구멍(2081)와 연통한다.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는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2 열 교환부가 가교 부재와 용접 및 밀봉된 후, 이 측면 상의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는 각각 제2 열 교환부의 연통 개구와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열 교환부(3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3개의 덕트의 개구: 제3 덕트(301)의 개구, 제4 덕트(302)의 개구 및 제1 덕트(303)의 개구를 구비하며, 가교 부재(20)는 제2 열 교환부(30)에 대향하는 측에, 즉 제2 정합부 상에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 구멍(2081)의 개구 및 구멍(2084)의 개구를 구비한다.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의 개구는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에 대응하고, 제4 덕트(302)의 개구는 구멍(2081)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1 덕트(303)의 개구는 구멍(2084)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가교 부재(20)는 제3 포트부(211), 제2 장착부(207) 및 장착부(209)를 포함한다. 제3 포트부(211)는 제3 포트(53)를 구비한다. 제3 포트부(211)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제3 포트부(211)는 가교 부재의 본체와 일체를 이루는 구조이거나,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가교 부재의 본체에 고정되는 구조일 있다. 제2 장착부(207)는 감지 요소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장착부(209)는 스로틀 요소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장착부(207)의 구멍은 구멍(2084)과 연통한다. 온도 감지 요소의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 헤드(2501)가 제2 장착부(207)를 통과하여 구멍(2084)이 위치되는 유동 통로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를 통과한 후 냉매의 온도 또는 증발기의 유출구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로틀 요소는 가교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가교 부재의 내부를 향해 장착부를 연장하는 것과 같이 다른 방향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스로틀 요소의 축선은 실질적으로 가교 부재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다.
또한, 가교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용접될 평판부의 면적을 감소시켜 용접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가교 부재(20)에는 3개의 중량-감소 구멍(2032)이 제공된다. 가교 부재(20)에는 고정을 위한 고정 구멍(221)이 추가로 제공된다.
연결 피스는 제1 연결부(431) 및 제2 연결부(43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431)는 제4 포트부(54)를 포함하고, 제2 연결부(432)는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431)는 제1 덕트(303)로부터 제4 포트로의 유동 경로를 얻기 위해 제2 열 교환부(30)의 제1 덕트(303)에 대응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유동 경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유동 경로는 조인트 방식으로 제1 덕트(303) 주위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432)의 제5 포트(55)는 제2 열 교환부(30)의 제4 구멍(302)에 대응하고 이에 끼워 맞춰진다. 제2 연결부(432)의 제6 포트(56)는 제2 열 교환부(30)의 제2 구멍(304)에 대응하고 이에 끼워 맞춰진다. 연결 피스는 고정 또는 위치 제한을 위한 고정 요소(4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31) 및 제2 연결부(432)에는 고정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요소(450)는 고정 구멍(409)에 고정되거나 위치 제한될 수 있다.
열 교환 조립체는 열 관리 시스템의 설치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결된 파이프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 열 교환 조립체를 적용할 때, 이들 구성요소는 실제 사용 시에 고정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명료화를 위해, 냉매의 유동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명료화 및 설명을 위한 것이다. 특정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냉매 시스템 및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26 및 다른 도면을 참고하면,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은 열 교환 조립체의 제1 포트부(101), 제2 포트부(102),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와 연통하는 제1 열 교환부 내 유동 통로부를 포함한다. 배터리의 열은 냉각수로 전달될 수 있고, 이 열은 제1 포트(51) 또는 제2 포트(52)를 통해 제1 열 교환부의 통로의 일부를 통과하고, 제1 열 교환부 내 다른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다. 냉각 후, 냉각수는 역류하여 배터리를 냉각시킨다.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는 각각 냉매 시스템과 연통하도록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응축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하거나, 저장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온 및 고압의 냉매가 가이드 구멍(202)을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로 유동하고, 제2 열 교환부(30) 내 다른 유동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 후, 제4 덕트(302)로 유동한다. 제4 덕트(302)로의 냉매는 두 부분으로 분할되는데: 냉매의 일부는 제5 포트(55)로부터 제2 연결부(442)를 통해 유출되는데, 예를 들어, 제5 포트(55)를 통해 전방 증발기 또는 다른 증발기로 유출하며, 스로틀 요소는 전방 증발기 앞에 배열될 수 있다. 냉매의 다른 부분은 가교 부재의 관통 구멍(2081), 그루브(2080) 및 경사진 구멍(2082)를 통해 스로틀 요소(110)로 진입한다. 스로틀 요소(110)에 의해 조절된 후에, 냉매의 다른 부분은 구멍(2091)을 통해 제1 열 교환부(10)의 제2 덕트(104)로 진입하고, 제1 열 교환부의 냉매 통로 내 냉각수 통로의 냉각수와 열 교환하고, 제1 덕트(103)로 유동한 후, 가교 부재의 구멍(2084),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 및 압축기로 역류하는 것과 같이 제1 덕트(303)와 연통하는 제4 포트를 통해 유출된다. 또한, 제6 포트(56)는 전방 증발기 또는 다른 증발기로부터 역류하는 냉매와 연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저온 냉매가 제2 열 교환부의 제2 덕트(304)를 통해 제1 덕트(303)로 유동하고, 제3 덕트(301)로부터 제4 덕트(302)로 유동하는 고온 냉매와 열 교환한다. 제1 덕트(303)에서, 냉매의 두 부분은 합쳐진 후 제4 포트를 통해 압축기로 역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온 냉매 부분은 고온 냉매를 냉각하는데 사용되고, 이는 압축기로 복귀하는 냉매의 온도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냉매의 응축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유동 방향은 단지 예시일 뿐, 제한 또는 요건 배제를 위한 것은 아니며, 압축기 앞에 다른 제어 밸브를 추가하는 것과 같이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열 교환 조립체는 도 29 내지 도 32에도 도시될 수 있으며, 도 29는 열 교환 조립체의 제5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0은 열 교환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31은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가교 부재에 대한 다른 방향의 개략도 및 G-G 방향 및 F-F 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열 교환부(10), 스로틀 요소(1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40)를 포함한다. 가교 부재(20)의 대부분은 제1 열 교환부(10)와 제2 열 교환부(30) 사이에 위치되고, 연결 피스는 제2 열 교환부(30)의 다른 측에 위치된다. 즉 가교 부재(20) 및 연결 피스는 각각 제2 열 교환부의 양측에 배열된다.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및 제2 열 교환부(30)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거나,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2 열 교환부(30)보다 크다.
제1 열 교환부(10)는 열 교환 코어 본체를 구비하고, 제1 열 교환부(10)는 적어도, 열 교환을 위해 유체가 유동할 때 통과하는 2개의 유동 통로를 포함하고, 2개의 유체 유동 통로는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플레이트 스택에 의해 분리되는 중간층 유동 통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유체가 제1 열 교환부(10)를 통해 유동할 수 있고, 2개의 유체는 제1 열 교환부에서 열 교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유체는 냉매이고, 다른 유체는 배터리와 같은 가열 요소를 냉각하기 위한 또는 캐리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일 수 있으며; 또한, 열 교환부는 3개의 유체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유체는 냉매이고, 다른 2개의 유체는 냉각수일 수 있다. 이들 2개의 냉각수는 냉매와 열 교환하도록 제어 및 선택될 수 있고, 이어서 냉각수는 열 교환 및 온도 감소 후 냉각될 필요가 있는 구성요소를 냉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2개의 유체는 예시를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포트(51), 제2 포트(52),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에는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가 제공된다. 가교 부재(20)에는 제3 포트부(211)가 제공된다. 연결 피스에는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가 제공된다. 스로틀 요소(110) 및 가교 부재(20)는 고정되거나 위치 제한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덕트(103) 및 제2 덕트(104)(냉각수와 연통하는 2개의 덕트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같은 4개의 덕트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를 포함한다. 제1 포트부(101)는 냉각수와 연통하기 위한 제1 포트(51)를 구비한다. 제2 포트부(102)는 냉각수와 연통하기 위한 제2 포트(52)를 구비한다. 제1 포트(51)는 열 교환 코어 본체의 유동 통로를 통해 제2 포트(52)와 연통한다.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는 제1 열 교환부의 측면 플레이트의 일부일 수 있거나, 2개의 포트부가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제1 열 교환부의 열 교환 코어 본체 및/또는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포트부 및 제2 포트부는 파이프 조인트 형태로 제1 열 교환부와 함께 고정될 수도 있다.
가교 부재(20)는 제1 정합부(200) 및 제2 정합부(200')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정합부(100)를 구비하고, 정합부(100)는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와 대응하여 정합된다. 제2 열 교환부(30)는 정합부(3OO)를 구비하고, 정합부(300)는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와 대응하여 정합되고;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 및 가교 부재의 2개의 정합부는 모두 평면부를 포함한다. 제1 정합부(200)의 측에 제공되는 가교 부재의 연통을 위한 가이드부의 개구 또는 구멍 또는 그루브는 모두 제1 정합부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제1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 열 교환부는 가교 부재의 각각의 연통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의 각각의 연통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정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각각의 연통 개구는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및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가 용접 및 밀봉된 후에,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와 연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정합부의 일부를 포함한다. 2개의 연통 개구는 대향하여 배열되는 정합부에서 실질적으로 폐쇄된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제1 덕트(103)의 개구 및 제2 덕트(104)의 개구를 구비한다. 가교 부재(20)는 제1 열 교환부(10)에 대향하는 측에 대응하는 구멍(2084 및 2091)을 구비한다. 구멍(2084)의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제1 덕트(103)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구멍(2091)의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제2 덕트(104)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또한, 가교 부재(20)는 제1 열 교환부(10)에 대향하는 측에 그루브(2080)를 구비하고, 그루브(2080)는 구멍(2081')과 연통한다. 그루브의 다른 측에는 경사진 구멍(2082)이 추가로 제공된다. 경사진 구멍(2082)의 타단부는 장착부(209)의 구멍과 연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부(209)의 구멍은 경사진 구멍(2082) 및 그루브(2080)를 통해 구멍(2081')과 연통한다.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는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2 열 교환부가 가교 부재와 용접 및 밀봉된 후, 이 측면 상의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는 제2 열 교환부의 연통 개구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제2 열 교환부(3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3개의 덕트의 개구: 제3 덕트(301)의 개구, 제4 덕트(302)의 개구 및 제1 덕트(303)의 개구를 구비하며, 가교 부재(20)는 제2 열 교환부(30)에 대향하는 측에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 구멍(2081')의 개구 및 구멍(2084)의 개구를 구비한다.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의 개구는 가이드 구멍(202)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하고, 제4 덕트(302)의 개구는 구멍(2081')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1 덕트(303)의 개구는 구멍(2084)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가교 부재(20)는 제3 포트부(211), 제2 장착부(207) 및 장착부(209)를 포함한다. 제3 포트부(211)는 제3 포트(53)를 구비한다. 제3 포트부(211)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제3 포트부(211)는 가교 부재의 본체와 일체인 구조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가교 부재의 본체에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2 장착부(207)는 감지 요소(250)를 장착하는데 협동하도록 사용된다. 장착부(209)는 스로틀 요소(110)를 장착하는데 협동하도록 사용된다. 제2 장착부(207)의 구멍은 구멍(2084)과 연통한다. 감지 요소는 온도 감지 요소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 헤드(2501)가 제2 장착부(207)를 통과하여 구멍(2084)이 위치되는 유동 통로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를 통과한 후의 냉매의 온도 또는 증발기의 유출구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교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용접될 평판부의 면적을 감소시켜 용접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가교 부재(20)에는 4개의 중량-감소 구멍(2032)이 제공된다. 가교 부재(20)에는 고정을 위한 고정 구멍(221)이 추가로 제공된다.
연결 피스는 제1 연결부(441) 및 제2 연결부(44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441)는 제4 포트(54)를 포함하고, 제2 연결부(442)는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441)는 제1 덕트(303)로부터 제4 포트로의 유동 경로를 얻기 위해 제2 열 교환부(30)의 제1 덕트(303)에 대응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또한, 유동 경로는 조인트 방식으로 제1 덕트(303) 주위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442)의 제5 포트(55)는 제2 열 교환부(30)의 제4 구멍(302)에 대응하고 이에 끼워 맞춰진다. 제2 연결부(442)의 제6 포트(56)는 제2 열 교환부(30)의 제2 구멍(304)에 대응하고 이에 끼워 맞춰진다. 연결 피스는 고정 또는 위치 제한을 위한 고정 요소(4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41) 및 제2 연결부(442)는 고정 구멍(409)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요소(450)는 고정 구멍(409)에 고정되거나 위치 제한될 수 있다.
열 교환 조립체는 열 관리 시스템의 설치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결된 파이프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 열 교환 조립체를 적용할 때, 이들 구성요소는 실제 사용 시에 고정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명료화를 위해, 냉매의 유동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명료화 및 설명을 위한 것이다. 특정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냉매 시스템 및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30 및 다른 도면을 참고하면,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은 열 교환 조립체의 제1 포트부(101), 제2 포트부(102),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와 연통하는 제1 열 교환부 내 유동 통로부를 포함한다. 배터리의 열은 냉각수로 전달될 수 있고, 이 열은 제1 포트(51) 또는 제2 포트(52)를 통해 제1 열 교환부의 통로의 일부를 통과하고, 제1 열 교환부 내 다른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다. 냉각 후, 냉각수는 역류하여 배터리를 냉각시킨다.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는 냉매 시스템의 연통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응축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하거나, 저장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온 및 고압의 냉매가 가이드 구멍(202)을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로 이동하고, 제2 열 교환부(30) 내 다른 유동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 후, 제4 덕트(302)로 유동한다. 제4 덕트(302)로의 냉매는 두 부분으로 분할되는데: 냉매의 일부는 제5 포트(55)로부터 제2 연결부(442)를 통해 유출되는데, 예를 들어, 제5 포트(55)를 통해 전방 증발기 또는 다른 증발기로 유동하며, 스로틀 요소는 전방 증발기 앞에 배열될 수 있다. 냉매의 다른 부분은 가교 부재의 구멍(2081'), 그루브(2080) 및 경사진 구멍(2082)을 통해 스로틀 요소(110)로 진입한다. 스로틀 요소(110)에 의해 조절된 후에, 냉매는 구멍(2091)을 통해 제1 열 교환부(10)의 제2 덕트(104)로 이동하고, 제1 열 교환부의 냉매 유동 통로 내 냉각수 통로의 냉각수와 열 교환하고, 제1 덕트(103)로 유동한다. 냉매는 예를 들어, 압축기로 역류하기 위해, 가교 부재의 구멍(2084),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 및 제1 덕트(303)와 연통하는 제4 포트를 통해 유출된다; 또한, 제6 포트(56)는 전방 증발기 또는 다른 증발기로부터 역류하는 냉매와 연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저온 냉매가 제2 열 교환부의 제2 덕트(304)를 통해 제1 덕트(303)로 유동하고, 제3 덕트(301)로부터 제4 덕트(302)로 유동하는 고온 냉매와 열 교환한다. 제1 덕트(303)에서, 냉매의 두 부분은 합쳐진 후 제4 포트를 통해 압축기로 역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온 냉매의 일부는 고온 냉매를 냉각하는데 사용되고, 이는 압축기로 복귀하는 냉매의 온도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냉매의 응축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유동 방향은 단지 예시일 뿐, 제한 또는 요건 배제를 위한 것은 아니며, 압축기 앞에 다른 제어 밸브를 추가하는 것과 같이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열 교환 조립체는 도 33 내지 도 37에도 도시될 수 있으며, 도 33은 열 교환 조립체의 제6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4는 열 교환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35는 두 방향에서의 열 교환 조립체의 가교 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가교 부재에 대한 정면 및 배면의 개략도이고, 도 37은 두 방향에서의 도 33에 도시된 열 교환 조립체의 연결 피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열 교환부(10), 스로틀 요소(1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45)를 포함한다. 가교 부재(20)의 대부분은 제1 열 교환부(10)와 제2 열 교환부(30) 사이에 위치되고, 연결 피스(45)는 제2 열 교환부(30)의 타측에 위치된다. 즉, 가교 부재(20) 및 연결 피스(45)는 각각 제2 열 교환부의 양측에 배열된다.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및 제2 열 교환부(30)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거나,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열 교환 코어 본체를 구비하고, 제1 열 교환부(10)는 열 교환을 위해 유체가 유동할 때 통과하는 2개의 유동 통로를 구비하고, 2개의 유체 유동 통로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제1 열 교환부(10)는 플레이트 스택에 의해 분리되는 중간층 유동 통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유체가 제1 열 교환부(10)를 통해 유동할 수 있고, 2개의 유체는 제1 열 교환부에서 열을 교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유체는 냉매이고, 다른 유체는 배터리와 같은 가열 요소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일 수 있으며, 또한, 열 교환부는 3개의 유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유체는 냉매이고, 다른 2개의 유체는 냉각수일 수 있다. 2개의 냉각수는 냉매와 열 교환하도록 제어 및 선택될 수 있고, 그 후 냉각수는 열 교환 및 온도 저하 후 냉각될 필요가 있는 구성요소를 냉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유체는 예시를 위한 일 예로서 사용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포트(51), 제2 포트(52),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에는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가 제공된다. 가교 부재(20)에는 제3 포트부(211)가 제공된다. 연결 피스(45)에는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가 제공된다. 스로틀 요소(110) 및 제1 열 교환부(10)는 고정적으로 배열되거나 위치 제한적으로 배열된다.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덕트(103) 및 제2 덕트(104)(도면에 전부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와 같은 4개의 덕트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10)에는 추가로 제2 덕트(104) 내 연통 포트(105)를 갖는 파이프가 제공된다. 제2 덕트(104)는 가교 부재에 근접한 측에서는 연통하지 않으며, 연통 포트(105)는 스로틀 요소(110)의 유입구와 연통한다. 제1 열 교환부(10)의 제1 포트부(101)는 냉각수와 연통하기 위한 제1 포트(51)를 구비한다. 제2 포트부(102)는 냉각수와 연통하기 위한 제2 포트(52)를 구비한다. 제1 포트(51)는 열 교환 코어 본체의 유동 통로를 통해 제2 포트(52)와 연통한다. 제1 포트부(101) 및 제2 포트부(102)는 제1 열 교환부의 측면 플레이트의 일부일 수 있으며, 또는 두 포트부가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제1 열 교환부의 열 교환 코어 본체 및/또는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가교 부재(20)는 제1 정합부(200) 및 제2 정합부(200')를 구비한다. 대응하여, 제1 열 교환부(10)는 정합부(100)를 구비하고, 정합부(100)는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와 대응하여 정합된다. 제2 열 교환부(30)는 정합부(300)를 구비하고, 정합부(300)는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와 대응하여 정합되고;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 및 가교 부재의 2개의 정합부 모두에는 평면부가 제공된다. 제1 정합부(200) 측에 제공되는 연통용 가교 부재의 가이드부의 개구 또는 연통용 구멍 또는 그루브는 모두 제1 정합부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제1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 열 교환부는 가교 부재의 각각의 연통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를 구비한다. 제1 열 교환부의 각각의 연통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의 정합부 내부에 위치되고, 각각의 연통 개구는 정합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10)의 정합부(100) 및 가교 부재의 제1 정합부(200)가 용접 및 밀봉된 후에,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는 제1 열 교환부에 대응하는 연통 개구와 연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연통 개구의 둘레는 정합부의 일부를 포함한다. 2개의 연통 개구는 대향하여 배열되는 정합부에서 실질적으로 폐쇄된 구조를 형성한다. 제2 열 교환부(30)의 정합부(300)는 가교 부재의 제2 정합부(200')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2 열 교환부가 가교 부재와 용접 및 밀봉된 후에, 이 측면 상의 가교 부재의 연통 개구는 모두 제2 열 교환부의 연통 개구와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열 교환부(3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3개의 덕트의 개구: 제3 덕트(301)의 개구, 제4 덕트(302)의 개구 및 제1 덕트(303)의 개구를 구비하며, 가교 부재(20)는 제2 열 교환부(30)에 대향하는 측, 즉 제2 정합부 상에 가이드 그루브(264)의 개구, 구멍(262)의 개구 및 구멍(266)의 개구를 구비한다. 구멍(266)의 직경은 구멍(262)의 직경 이상이다.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의 개구는 가이드 그루브(264)의 개구의 일부에 대응한다. 제4 덕트(302)의 개구는 구멍(262)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1 덕트(303)의 개구는 구멍(266)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가이드 그루브(264)는 제1 부(2641), 제2 부(2642) 및 전이부(2640)를 포함한다. 제1 부(2641)는 비교적 제3 포트부에 근접하고, 제2 부(2642)는 비교적 제3 포트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전이부(2640)는 제1 부(2641)와 제2 부(2642)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부(2641)의 깊이는 제2 부(2642)의 깊이를 초과한다. 제3 포트부에 근접한 제1 부(2641)의 깊이는 가교 부재의 두께의 절반 이상이거나, 가교 부재의 두께의 절반에 근접한다. 예를 들어, 제3 포트부에 근접한 제1 부(2641)의 깊이는 가교 부재의 두께의 1/3 이상 가교 부재의 두께의 2/3 미만이다. 제1 부(2641)는 제3 포트와 연통한다. 제1 열 교환부(10)는 가교 부재(20)에 대향하는 측에 스로틀 요소와 연통하는 연통 포트(105) 및 제1 덕트(103)의 개구를 구비한다. 가교 부재(20)는 제1 열 교환부(10)에 대향하는 측에 대응하는 제3 그루브(263) 및 제4 그루브(265)를 구비한다. 제3 그루브(263)는 보다 작은 구멍(262)과 연통하고, 제4 그루브(265)는 보다 큰 구멍(266)과 연통한다. 제4 그루브(265)의 개구의 일부는 제1 열 교환부의 제1 덕트(103)의 개구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3 그루브(263)의 개구는 스로틀 요소의 연통 포트(105)와 연통한다. 정면측에서 가이드 그루브(264) 및 제3 포트(53) 중 하나를 투영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제3 그루브(263)에 위치되고, 정면측에서 가이드 그루브(264)를 투영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그루브(265)에 위치된다. 가이드 그루브(26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제4 그루브(265)의 뒤에 있으며, 제4 그루브(265)와 직접 연통하지 않는다. 제1, 제2, 제3, 제4 및 다른 연속하는 번호는 본 명세서에서는 식별 및 설명을 위한 것에 불과하고, 그루브 또는 구멍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가교 부재(20)는 제3 포트부(211)를 포함하고, 제3 포트부(211)는 제3 포트(53)를 구비한다. 제3 포트부(211)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제3 포트부(211)는 가교 부재의 본체와 일체를 이루는 구조이거나, 별도로 가공되어 용접에 의해 가교 부재의 본체에 고정되는 구조일 있다. 가교 부재(20)에는 추가로 2개의 중량-감소 구멍(2032)이 제공된다. 가이드 그루브(264)의 제1 부(2641)는 제3 포트부에 근접한다. 가이드 그루브(264)의 제2 부(2642)는 비교적 제3 포트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가이드 그루브(264)는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3 포트(53)는 가이드 그루브(264)의 제1 부(2641)과 연통한다. 가이드 그루브(264)의 제2 부(2642)의 깊이는 가교 부재의 두께의 절반 미만, 가교 부재의 두께의 0.4배 이하이며; 제4 그루브(265) 및 제3 그루브(263)의 깊이는 둘 모두 가교 부재의 두께의 절반 미만이고, 심지어 제4 그루브(265) 및 제3 그루브(263)의 깊이는 둘 모두 가교 부재의 두께의 0.4배 이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루브는 2개의 열 교환부와의 비교적 독립적인 유동 통로를 형성하도록 가교 부재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전체 조립체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교 부재의 두께는 가교 부재의 2개의 정합부의 두께를 의미한다. 가교 부재(20)에는 2개의 숄더부(212, 213)가 추가로 제공된다. 숄더부(212, 213)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부로부터 돌출하고, 가교 부재(20)에는 고정 구멍(221)이 제공되고, 고정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숄더부 또는 숄더부 근처에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감소 구멍(2032)은 중량을 감소시키고, 가교 부재가 제1 열 교환부 및 제2 열 교환부와 용접하기에 적합하도록 한다. 구멍(2032)은 제1 열 교환부에 근접한 측으로부터 가교 부재의 제2 열 교환부에 근접한 측까지 관통한다. 구멍(2032)은 제1 열 교환부의 통로와 연통하지 않는다. 구멍(2032)은 제2 열 교환부의 통로와 연통하지 않는다. 구멍(2032)은 가교 부재가 연통용으로 사용하는 구멍 또는 그루브와 연통하지 않으며; 구멍(2032)과 제1 열 교환부에 면하거나 이에 근접한 가교 부재의 연통용으로 사용되는 구멍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고, 구멍(2032)과 제1 열 교환부에 면하거나 이에 근접한 가교 부재의 연통용으로 사용되는 그루브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며; 구멍(2032)과 제2 열 교환부에 면하거나 이에 근접한 가교 부재의 연통용으로 사용되는 구멍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고, 관통 구멍(2032)과 가교 부재에 면하거나 제2 열 교환부에 근접한 연통용 그루브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다. 그러나, 중량-감소 구멍은 관통 구멍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가교 부재의 양측은 내측으로 오목하여 양측에 막힌 구멍 또는 그루브를 형성하고, 이로써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관통 구멍의 가공이 더 적합한다. 연결 피스(45)는 본체부(4510) 및 연장부(4511)를 포함한다. 연결 피스(40)에는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가 제공되고, 추가로 정합, 고정 또는 위치 제한을 위한 고정 구멍(459)이 제공된다. 연결 피스(45)는 제2 열 교환부(30)에 면하는 측에 그루브(455)를 구비하고, 그루브(455)는 막힌 구멍형 구조를 구비한다. 그루브(455)는 연장부로부터 제6 포트(56)가 위치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그루브(455)는 제6 포트(56)와 연통한다. 연결 피스는 고정 또는 위치 제한을 위한 고정 요소(4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요소(450)는 고정 구멍(409)에 고정되거나 위치 제한될 수 있다. 제2 열 교환부는 연결 피스(40)를 향해 제4 덕트(302), 제1 덕트(303) 및 제2 덕트(304)를 구비한다. 연결 피스(40)의 제4 포트(54)는 제1 덕트(303)에 대응한다. 제5 덕트(55)는 제4 덕트(302)에 대응한다. 제6 덕트(56)는 그루브(455)를 통해 제2 덕트(304)와 연통한다.
열 교환 조립체는 열 관리 시스템의 설치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결된 파이프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 열 교환 조립체를 적용할 때, 이들 구성요소는 실제 사용 시에 상대적으로 고정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명료화를 위해, 냉매의 유동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명료화 및 설명을 위한 것이다. 특정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냉매 시스템 및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34 및 다른 도면을 참고하면,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은 열 교환 조립체의 제1 포트부(101), 제2 포트부(102),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와 연통하는 제1 열 교환부 내 유동 통로부를 포함한다. 배터리의 열은 냉각수로 전달될 수 있고, 이 열은 제1 포트(51) 또는 제2 포트(52)를 통해 제1 열 교환부의 통로의 일부로 유동하고, 제1 열 교환부 내 다른 유동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다. 냉각 후, 냉각수는 역류하여 배터리를 냉각시킨다.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는 각각 냉매 시스템과의 연통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응축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하거나, 저장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가 제3 포트(53)를 통해 열 교환 조립체로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온 및 고압의 냉매가 가이드 그루브(264)가 위치되는 공간에 의해, 그리고 가교 부재 및 제2 열 교환부의 협력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를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3 덕트(301)로 유동한다. 제2 열 교환부(30) 내 다른 유동 통로의 냉매와 열 교환한 후, 고온 및 고압 냉매는 제4 덕트(302)로 이동한다. 제4 덕트(302)로의 냉매는 두 부분으로 분할되는데: 냉매의 일부는 연결 피스(45) 및 제5 포트(55)를 통해 유출되는데, 예를 들어, 제5 포트(55)를 통해 전방 증발기 또는 다른 증발기로 유동하고, 스로틀 요소는 전방 증발기 앞에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냉매는 조절(throttling) 후에 2개의 증발기로 방향전환되거나, 증발기로 방향전환되어 조절되는 등이다. 냉매의 다른 부분은 가교 부재의 구멍(262), 제3 그루브(263)가 위치되는 공간에 의해 그리고 가교 부재 및 제1 열 교환부의 협동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 및 스로틀 요소와 연통하는 연통 포트(105)를 통해 스로틀 요소(110)로 진입한다. 스로틀 요소(110)에 의해 조절된 후에, 냉매는 제1 열 교환부(10)의 제2 덕트(104)로 진입하고, 제1 열 교환부의 냉각수 통로 내 냉각수와 열 교환하고, 제1 덕트(103)로 유동하고, 그 후 냉매는 가교 부재 및 제1 열 교환부의 정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를 통해 구멍(266)을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로 이동하고, 예를 들어 압축기로 역류하기 위해, 제1 덕트(303)에 대응하는 제4 포트를 통해 유출되며; 유동 통로는 제4 그루브(265)가 위치되는 공간에 형성된다. 또한, 제6 포트(56)는 전방 증발기 및/또는 다른 증발기로부터 역류하는 냉매와 연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저온 냉매의 이 부분은 그루브(455)가 위치되는 공간에 의해 그리고 연결 피스(45) 및 제2 열 교환부의 협동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 통로를 통해 제2 열 교환부의 제2 덕트(304)로 유동하고, 그 후 냉매는 제1 덕트(303)로 유동하고, 제3 덕트(301)로부터 제4 덕트(302)로 유동하는 고온 냉매와 열 교환한다. 제1 덕트(303)에서, 냉매의 두 부분은 합쳐진 후 제4 포트(54)를 통해 압축기로 역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온 냉매의 일부는 고온 냉매를 냉각하는데 사용되고, 이는 압축기로 복귀하는 냉매의 온도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냉매의 응축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온도 감지 요소와 같은 감지 요소(250)를 장착하기 위해 제2 정합부(207)가 가교 부재(20) 상에 추가로 제공된다. 온도 감지용 센서 헤드(2501)가 장착부를 통과하여 구멍(266) 및/또는 제4 그루브(265)가 위치되는 유동 통로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 교환부를 통과한 후의 냉매의 온도 또는 증발기의 유출구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제2 열 교환부가 고온 냉매와 저온 냉매의 일부 사이의 열 교환을 실현할 수 있고, 고온 냉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압축기로 복귀하는 냉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열 교환부, 가교 부재 및 제2 열 교환부를 포함한다. 가교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열 교환부와 제2 열 교환부 사이에 위치되고, 2개의 열 교환부 사이의 유체 연통은 가교 부재에 의해 비교적 편리하게 실현될 수 있다. 상이한 시스템 요건은 체계적인 파이프라인이 단순화되고, 포트들 사이의 파이프라인 설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시스템 연결이 간단하고 편리하도록, 가교 부재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조립체의 제1 열 교환부의 냉매 유동 통로는 단일 유동 경로, 즉 제2 덕트(104)로부터 제1 덕트(103)로의 유동이거나, 3개의 유동 경로, 즉 제1 열 교환부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3개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유동 경로는 제2 덕트(104)의 최하부로부터 제1 덕트(103)의 최하부까지이고, 제2 유동 경로는 제1 덕트(103)의 중간부로부터 제2 덕트(104)의 중간부까지이고, 제3 유동 경로는 제2 덕트(104)의 상부로부터 제1 덕트(103)의 상부까지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덕트(103)로부터 유동하는 냉매만 설명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가교 부재의 두께는 가교 부재의 2개의 정합부의 평면부 사이의 두께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동 방향은 단지 예시일 뿐, 제한 또는 요건 배제를 위한 것은 아니며, 압축기 앞에 다른 제어 밸브를 추가하는 것과 같이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로 안내하는 유동 경로는 증발기 앞 스로틀 요소를 포함하며, 심지어는 제어 밸브 등을 구비하며; 여기서, 제1 열 교환부의 제2 덕트(104)는 스로틀 요소(110)의 유출구와 연통하지만, 가교 부재에 면하는 경우에는 개구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도면은 통로의 위치를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이들 기술적 해결책은 실제 시스템에 따라 수정될 수 있으며, 연결 상황은 특정 기술적 해결책에 종속된다. 예를 들어, 제1 포트가 제2 포트와 연통하는 경우에, 이와 동시에 제1 포트가 다른 포트와도 연결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위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을 예시하고자 사용된 것으로서,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위" 및 "아래"와 같은 방향성의 정의와 같은 본 출원에 따라 설명된 기술적 해결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는 위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출원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당업자는 본 출원을 수정하거나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모든 기술적 해결책 및 개선사항이 본 출원의 청구항에 의해 청구된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3)

  1. 열 교환 조립체로서,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제2 열 교환부(30) 및 연결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 부재(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1 열 교환부(10)와 상기 제2 열 교환부(3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10), 가교 부재(20) 및 제2 열 교환부(30)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열 교환부(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 부재(20)와 연결 피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10)는 열 교환 코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10)는 서로 연통하지 않는 적어도 2개의 유체 유동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열 교환 조립체는 적어도 6개의 포트: 제1 포트(51), 제2 포트(52), 제3 포트(53),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피스는 제4 포트(54), 제5 포트(55) 및 제6 포트(56)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열 교환부(30)는 4개의 덕트: 제1 덕트(303), 제2 덕트(304), 제3 덕트(301) 및 제4 덕트(302)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포트(54)는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와 연통하고, 상기 제5 포트(55)는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제4 덕트(302)와 연통하며; 상기 제6 포트(56)는 상기 제2 열 교환부(30)를 통해 제4 포트(54)와 연통하거나, 상기 제6 포트(56)는 유동 통로를 통해 제4 포트(54)와 연통하며; 상기 제1 열 교환부(10)는 2개의 덕트: 제1 덕트(103) 및 제2 덕트(10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의 제1 덕트(103)는 상기 가교 부재(20)를 통해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와 연통하고, 상기 가교 부재(20)는 연통을 위해 상기 제1 열 교환부(10)에 면하는 2개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 부재(20)는 상기 제2 열 교환부(30)와 연통하는 적어도 2개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열 교환부(30)와 연통하는 상기 가교 부재(20)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의 개구는 상기 제2 열 교환부(30)에 면하는 열 교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피스는 제2 열 교환부(3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6 포트(56)는 제2 열 교환부의 제2 덕트(304)와 연통하고,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는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제2 덕트(304)와 연통하며; 상기 연결 피스는 본체부(4010, 4510) 및 연장부(4011, 4511)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4010, 4510)에는 열 교환 조립체의 적어도 3개의 포트가 제공되고; 상기 연결 피스는 제2 열 교환부(30)에 면하는 측에 그루브(405, 455)를 구비하고, 상기 그루브(405, 455)는 상기 제2 열 교환부(30)의 하나의 덕트 및 상기 포트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하고; 상기 그루브(405, 455)는 부분적으로 상기 본체부(4010, 4510)에 위치되고, 부분적으로 상기 연장부(4011, 4511)에 위치되는 열 교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피스는 연결 블록(411), 연결 플레이트(412) 및 2개 또는 3개의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1, 4132, 413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411), 연결 플레이트(412) 및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1, 4132, 4133)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연결 피스, 제2 열 교환부(30), 가교 부재(20) 및 제1 열 교환부(10)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연결 블록(411)의 두께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12)의 두께를 초과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1, 4132, 4133)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제공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412)에는 적어도 4개의 관통 구멍(4121, 4122, 4123, 4124, 4125)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 블록(411)에는 적어도 3개의 관통 구멍(4111, 4112, 4113)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 파이프 정합부(4131, 4132, 4133)의 각각의 포트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12)의 관통 구멍 중 하나와 연통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412)의 각각의 관통 구멍은 상기 연결 블록(411)의 하나의 관통 구멍과 연통하고, 상기 연결 블록(411)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412)의 2개의 관통 구멍과 연통하고, 상기 연결 블록(411)의 각각의 관통 구멍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412)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과 연통하고; 상기 연결 블록(411)은 각각 상기 제2 열 교환부(30)의 덕트와 연통하는 적어도 2개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열 교환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조립체는 제7 포트(57)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7 포트(57)는 연결 피스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열 교환부(30)의 제4 덕트(302)와 연통하고; 상기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포트부 및 제2 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부에는 제1 포트(51)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포트부에는 제2 포트(52)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포트부 및 제2 포트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열 교환부(10)는 제1 포트부 및 제2 포트부와 고정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열 교환 조립체는 제3 포트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포트부에는 제3 포트(53)가 제공되고, 상기 가교 부재(20)가 상기 제3 포트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연결 피스가 상기 제3 포트부를 포함하는 열 교환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조립체는 상기 연결 피스 상에 배열되는 제7 포트(57) 및 제8 포트(58)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7 포트(57)는 상기 제2 열 교환부(30)의 제4 덕트(302)와 연통하고; 상기 제8 포트(58)는 상기 제2 열 교환부(30)를 통해 제4 덕트(54)와 연통하거나, 상기 제8 포트(58)는 상기 유동 통로를 통해 제4 포트(54)와 연통하며; 상기 열 교환 조립체는 제1 포트부 및 제2 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부에는 제1 포트(51)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포트부에는 제2 포트(52)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열 교환부는 제1 포트부 및 제2 포트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열 교환부(10)는 상기 제1 포트부 및 제2 포트부와 고정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열 교환 조립체는 제3 포트(53)가 제공되는 제3 포트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교 부재(20)가 상기 제3 포트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연결 피스가 상기 제3 포트부를 포함하는 열 교환 조립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부재(20)는 장착부(209)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틀 요소(110) 및 상기 가교 부재(20)는 고정적으로 배열되거나 위치 제한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스로틀 요소(110)는 상기 장착부(209)에 고정되거나 위치 제한되며; 상기 스로틀 요소(110)의 포트는 상기 제1 열 교환부의 제2 덕트(104)와 연통하는 열 교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교환부(10)와 연통하는 가교 부재(20)의 2개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는 구멍(2091)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2091)은 상기 장착부(209)에 위치되고, 상기 스로틀 요소(110)의 유출구와 연통하며, 상기 스로틀 요소(110)의 유출구는 상기 구멍(2091)을 통해 상기 제1 열 교환부의 제2 덕트(104)와 연통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10)와 연통하는 가교 부재(20)의 다른 구멍 및/또는 그루브는 상기 제1 열 교환부의 제1 덕트(103)와 연통하며, 상기 제2 열 교환부(30)와 연통하는 가교 부재(20)의 2개의 구멍 및/또는 그루브 중 하나는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와 연통하며, 상기 제2 열 교환부(30)와 연통하는 다른 구멍 및/또는 그루브는 상기 스로틀 요소(110)의 유입구를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제4 덕트(302)와 연통시키는 열 교환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 교환부(30)는 상기 제1 열 교환부(10)보다 크지 않고, 상기 장착부(209)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열 교환부(30)로부터 돌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교 부재는 순환용 구멍(2084)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2084)은 상기 제1 열 교환부의 제1 덕트(103)의 위치에 대응하거나 이와 연통하고, 상기 구멍(2084)은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제1 덕트(303)의 위치에 대응하거나 이와 연통하며; 상기 가교 부재(20)에는 상기 제1 열 교환부(10)에 대향하는 측에 그루브(2080)가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가교 부재(20)는 관통 구멍(2081, 2081')을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2080)의 일 측에 구멍(2081, 2081')이 제공되거나, 상기 그루브(2080)의 일 측이 상기 구멍(2081, 2081')과 연통하며; 상기 그루브(2080)의 타측에 경사진 구멍(2082)이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경사진 구멍(2082)은 상기 장착부(209)의 구멍과 상기 그루브(2080)를 연통시키고, 상기 스로틀 요소(110)의 유입구는 상기 경사진 구멍(2082), 상기 그루브(2080) 및 상기 구멍(2081, 2081')을 통해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제2 덕트(304)와 연통하는 열 교환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부재(20)는 제1 정합부(200) 및 제2 정합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10)는 정합부(10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의 정합부(100)는 상기 가교 부재(20)의 제1 정합부(200)에 대응하여 정합되고; 상기 제2 열 교환부(30)는 정합부(30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정합부(300)는 상기 가교 부재(20)의 제2 정합부(200')에 대응하여 정합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의 정합부(100), 상기 제2 열 교환부의 정합부(300) 및 상기 가교 부재(20)의 2개의 정합부는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 교환부(10)에 면하거나 이에 근접하는 가교 부재(20)의 연통용 구멍 또는 그루브의 개구는 상기 제1 정합부(2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열 교환부(30)와 연통할 수 있는 가교 부재(20)의 구멍 또는 그루브의 상기 제2 열 교환부(30)에 근접한 개구는 상기 제2 정합부(200') 내부에 위치되는 열 교환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부재는 적어도 중량-감소 구멍(2032)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중량-감소 구멍(2032)은 상기 제1 열 교환부(10)의 덕트 및 상기 제2 열 교환부(30)의 덕트와 연통하지 않으며, 상기 중량-감소 구멍(2032)은 상기 가교 부재(20)의 연통용 구멍 또는 그루브와 연통하지 않으며; 상기 중량-감소 구멍(2032)과 상기 제1 열 교환부(10)에 면하거나 이에 근접한 상기 가교 부재(20)의 연통용 구멍 또는 그루브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고; 상기 중량-감소 구멍(2032)과 상기 제2 열 교환부(30)에 면하거나 이에 근접하는 상기 가교 부재(20)의 연통용 구멍 또는 그루브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인 열 교환 조립체.
  11. 차량 열 관리 시스템으로서,
    냉매 유동 통로 및 냉각수 유동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 교환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및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동 통로는 상기 제1 포트부, 제2 포트부, 및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와 연통하는 상기 제1 열 교환부(10)의 유동 통로부를 통해 유동하며; 상기 응축기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또는 파이프라인 및 액체 저장부를 통해 상기 제3 포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의 유입구는 상기 제4 포트(54)와 연통하고, 상기 증발기의 유입구는 상기 제5 포트(55)와 연통하며, 또는 상기 차량 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증발기의 유입구와 상기 제5 포트(55) 사이에 스로틀 요소(11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의 유출구는 상기 제6 포트(56)와 연통하는 차량 열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전방 증발기 및 후방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 조립체는 제7 포트(57)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 중 하나의 유입구는 상기 제5 포트(55)와 연통하며, 또는 상기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는 상기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 중 하나의 유입구와 상기 제5 포트(55) 사이에 스로틀 요소(110)가 제공되고, 다른 증발기의 유입구는 상기 제7 포트(57)와 연통하며, 또는 상기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는 상기 전방 증발기 및 후방 증발기 중 다른 하나의 유입구와 상기 제7 포트(57) 사이에 스로틀 요소(110)가 제공되고, 상기 전방 증발기 및/또는 후방 증발기의 유출구는 상기 제6 포트(56)와 연통하는 차량 열 관리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전방 증발기 및 후방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 조립체는 제7 포트(57) 및 제8 포트(58)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 중 하나의 유입구는 상기 제5 포트(55)와 연통하며, 또는 상기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는 상기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 중 하나의 유입구와 상기 제5 포트(55) 사이에 스로틀 요소(110)가 제공되고, 다른 증발기의 유입구는 상기 제7 포트(57)와 연통하며, 또는 상기 차량 열 관리 시스템에는 상기 전방 증발기 및 후방 증발기 중 다른 하나의 유입구와 상기 제7 포트(57) 사이에 스로틀 요소(110)가 제공되고, 상기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 중 하나의 유출구는 상기 제6 포트(56)와 연통하고, 상기 전방 증발기 또는 후방 증발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8 포트(58)와 연통하는 차량 열 관리 시스템.
KR1020227046433A 2020-07-25 2021-07-23 열 교환 조립체 및 차량 열 관리 시스템 KR202300191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26730.5A CN113970263A (zh) 2020-07-25 2020-07-25 一种换热组件及一种车辆热管理系统
CN202010726730.5 2020-07-25
PCT/CN2021/108079 WO2022022410A1 (zh) 2020-07-25 2021-07-23 一种换热组件及一种车辆热管理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167A true KR20230019167A (ko) 2023-02-07

Family

ID=7958593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155A KR20230044251A (ko) 2020-07-25 2021-07-22 교축 열 교환 어셈블리
KR1020227046433A KR20230019167A (ko) 2020-07-25 2021-07-23 열 교환 조립체 및 차량 열 관리 시스템
KR1020227046428A KR20230019165A (ko) 2020-07-25 2021-07-23 열 교환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155A KR20230044251A (ko) 2020-07-25 2021-07-22 교축 열 교환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6428A KR20230019165A (ko) 2020-07-25 2021-07-23 열 교환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230272986A1 (ko)
EP (3) EP4170274A1 (ko)
JP (3) JP7480415B2 (ko)
KR (3) KR20230044251A (ko)
CN (2) CN113970263A (ko)
WO (3) WO20220223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6831A (en) * 1989-05-12 1990-05-22 Earl Gregory K Fuel vaporization apparatus
FR2748100B1 (fr) * 1996-04-30 1998-06-05 Valeo Climatisation Echangeur de chaleur a plaques empilees, en particulier evaporateur pour circuit de climatisation
SE518475C2 (sv) 2001-02-20 2002-10-15 Alfa Laval Ab Plattvärmeväxlare med sensoranordning
DE10135215C1 (de) * 2001-07-24 2002-07-25 Berg Hans Gmbh & Co Kg Plattenheizkörper
DE102010012869A1 (de) * 2009-03-26 2010-09-30 Modine Manufacturing Co., Racine Wärmetauschermodul
FR2950682B1 (fr) * 2009-09-30 2012-06-01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pour vehicule automobile a integration amelioree
DE102011008653A1 (de) * 2011-01-14 2012-07-19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
US8899062B2 (en) * 2011-02-17 2014-12-02 Delphi Technologies, Inc. Plate-type heat pump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for a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US9291405B2 (en) * 2011-08-02 2016-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pack liquid channel and coldplate cooling system
CN102809311B (zh) * 2012-09-12 2015-05-20 江苏宝得换热设备有限公司 一种带二次节流的板式换热器
FR3006754B1 (fr) 2013-06-07 2015-06-26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de connexion, echangeur thermique, et ensemble d'echange thermique correspondant
US9903663B2 (en) 2013-11-12 2018-02-27 Trane International Inc. Brazed heat exchanger with fluid flow to serially exchange heat with different refrigerant circuits
WO2016033694A1 (en) * 2014-09-05 2016-03-10 Dana Canada Corporation Expandable stacked plate heat exchanger for a battery unit
CN104315757B (zh) * 2014-10-28 2016-08-24 武汉麦丘科技有限公司 冷凝-节流-蒸发一体化微型换热器
DE102015207593A1 (de) * 2015-04-24 2016-10-27 Mahle International Gmbh Ölkühler
CN105066750B (zh) * 2015-08-24 2017-09-26 佛山神威热交换器有限公司 一种板式换热器
CN107621182B (zh) 2016-07-14 2020-08-07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换热组件
CN107796140A (zh) * 2016-08-31 2018-03-13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半导体制冷设备的热端换热装置与半导体制冷设备
CN110073164B (zh) * 2016-11-09 2021-07-20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流体换热组件及车辆热管理系统
CN108068576B (zh) * 2016-11-09 2020-09-25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流体换热组件
CN108068572B (zh) * 2016-11-09 2022-08-05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流体换热组件及车辆热管理系统
CN108068581B (zh) * 2016-11-09 2022-12-20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流体换热组件及车辆热管理系统
CN111255933A (zh) * 2017-05-09 2020-06-09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子膨胀阀、热管理组件、冷却系统以及电子膨胀阀制造方法
CN208186924U (zh) * 2017-10-27 2018-12-0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流体控制组件
CN208139903U (zh) * 2018-02-08 2018-11-23 株洲鸿新实业有限公司 一种分流式组合双工况板式热交换器
CN110411247B (zh) 2018-04-27 2021-12-24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流体换热装置及热管理系统
CN209485114U (zh) * 2018-12-24 2019-10-11 国家电投集团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板式换热器
CN110044200A (zh) * 2019-04-19 2019-07-23 富奥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换热板及使用该换热板的板式换热器
CN110486974B (zh) * 2019-08-29 2021-08-24 上海理工大学 具有中间入口的二级叠层交错微通道节流换热制冷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4298A1 (en) 2023-06-29
JP2023534264A (ja) 2023-08-08
KR20230019165A (ko) 2023-02-07
CN113970268A (zh) 2022-01-25
JP7480415B2 (ja) 2024-05-09
KR20230044251A (ko) 2023-04-03
JP2023533371A (ja) 2023-08-02
EP4170274A1 (en) 2023-04-26
US20230226878A1 (en) 2023-07-20
EP4191189A1 (en) 2023-06-07
JP2023534244A (ja) 2023-08-08
WO2022022371A1 (zh) 2022-02-03
WO2022022410A1 (zh) 2022-02-03
EP4191186A1 (en) 2023-06-07
CN113970263A (zh) 2022-01-25
US20230272986A1 (en) 2023-08-31
WO2022022409A1 (zh)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8511B2 (en) Heat exchange device
KR20230019167A (ko) 열 교환 조립체 및 차량 열 관리 시스템
CN215295918U (zh) 一种换热器
CN113970267A (zh) 一种换热组件及一种车辆热管理系统
CN114076530A (zh) 一种换热组件及一种热管理系统
CN113970259A (zh) 一种节流换热组件
CN114056034A (zh) 一种换热组件及一种车辆热管理系统
EP4235075A1 (en)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assembly, and heat management system
US20240042825A1 (en) Connecting device and integrated assembly
CN218764093U (zh) 流体控制组件及制冷系统
EP4331874A1 (en) Connection apparatus and integrated assembly
CN114593618A (zh) 一种换热组件及热管理系统
CN116118418A (zh) 一种流体控制组件以及热管理系统
CN115703325A (zh) 流体控制组件以及热管理系统
CN116118419A (zh) 流体控制组件以及热管理系统
CN116278580A (zh) 流体控制组件
CN115479484A (zh) 一种流道组件及一种集成组件
CN114608360A (zh) 一种换热器
CN114763974A (zh) 一种换热组件及一种车辆热管理系统
CN115703330A (zh) 热管理系统
CN115610178A (zh) 热管理组件以及热管理系统
CN117628239A (zh) 热管理系统
CN116804522A (zh) 热管理集成组件及热管理系统
CN115930639A (zh) 换热机构、换热系统
CN116278581A (zh) 流道板组件、流体控制组件以及热管理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