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716A -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 - Google Patents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716A
KR20230017716A KR1020220064529A KR20220064529A KR20230017716A KR 20230017716 A KR20230017716 A KR 20230017716A KR 1020220064529 A KR1020220064529 A KR 1020220064529A KR 20220064529 A KR20220064529 A KR 20220064529A KR 20230017716 A KR20230017716 A KR 2023001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interface member
anchoring
moving parts
carriage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리프 타미니오
야니크 드로발
Original Assignee
에텔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텔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에텔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01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65G23/23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of electric linear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06Disassembling, repairing or modify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ear Motor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부품에 대해 이동가능한 1차 부품(70)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동 부품(10)은 캐리지(12), 1차 부품(70) 및 상기 캐리지(12)를 상기 1차 부품(70)에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12)는 공작 기계의 기계 부품과 같은 이동될 물체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지(12)는 앵커링 수용 부품(32)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을 갖는 2개의 대향 측면 및 바닥 측면(28)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는 상기 1차 부품(7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12)의 각각의 앵커링 수용 부품(32) 상에 장착된 앵커링 부분(44a, 44b, 50a, 50b)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2개의 대향 에지 부분(50a, 50b)은 정렬되어 상기 캐리지(12)의 각각의 대향 측면의 부분(18a, 18b)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MOVABLE PART OF A LINEAR MOTOR COMPRISING A CARRIAGE INTERFACE MEMBER}
본 발명은 캐리지, 리니어 모터의 1차 부품 및 캐리지를 1차 부품에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가동 부품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
리니어 모터는 공작 기계의 기계 부품과 같은 물체를 신속하게 위치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리니어 모터는 1차 부품 또는 가동 부품과 2차 부품 또는 고정 부품을 포함한다. 기계 부품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캐리지는 1차 부품에 연결된다. 2차 부품은 일반적으로 1차 부품과 2차 부품 사이의 자기 왕복 작용이 선형 가이드를 따라 캐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선형 가이드들 사이에 고정된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자기 트랙을 구비한다. 종래의 리니어 모터는 예를 들어 US8030804B2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리니어 모터에서, 1차 부품은 일반적으로 상부측으로부터 바닥측으로 캐리지를 통과하는 나사에 의해 캐리지의 바닥측에 연결된다. 일반적인 응용 분야에서, 이동될 기계 부품은 캐리지의 상측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종 복잡하고 지루한 분해 절차를 수반하는 교체 또는 유지보수 목적으로 리니어 모터에 접근하기 위해 상측부로부터 기계 부품을 먼저 제거해야 한다.
US11025152B2호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리니어 모터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조 비용이 많이 드는 엄격한 기계적 허용 오차를 필요로 하는 특히 웨지(wedges)를 구비하는 많은 부품을 포함한다. 또한, 웨지는 프론트 엔드 고성능 적용에서 피해야 하는 캐리지에 상당한 내부 응력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지, 리니어 모터의 1차 부품 및 1차 부품에 캐리지를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는 기계적 변형을 줄임으로써 이동될 물체의 위치 반복성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의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2차 부품에 대해 이동가능한 1차 부품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동 부품은 캐리지, 1차 부품 및 1차 부품에 캐리지를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는 공작 기계의 기계 부품과 같이 이동될 물체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지는 앵커링 수용 부품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을 갖는 2개의 대향하는 측면 및 바닥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는 1차 부품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의 각각의 앵커링 수용 부분에 연결된 엥커링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2개의 대향 에지 부분은 정렬되어 상기 캐리지의 각각의 대향 측면의 일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하나의 에지 부분은 캐리지의 하나의 측면 부분에 제공된 관통 구멍과 정렬된 캐리지 고정 나사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의 에지 부분은 나사에 의해 상기 하나의 측면 부분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대향 에지 부분은 테이퍼진 표면을 포함한다. 나사는 상기 캐리지의 대향 측면 부분에 제공된 나사 구멍 내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나사 구멍의 축에 수직인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 상에 힘을 생성하도록 상기 나사의 말단부가 상기 테이퍼진 표면에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는 융기된 앵커링 부분을 갖는 상부 측면 및 평평한 바닥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링 부분은 평평한 표면 및 상기 평평한 표면으로부터 상기 바닥 측면으로 연장되는 1차 부품 고정 구멍을 각각 갖는 융기된 중앙 부분, 및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2개의 대향 에지에 위치된 2개의 융기된 에지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의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의 앵커링 수용 부품 각각은 지탱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앵커링 부분 각각은 각각의 지탱 표면에 놓이는 안착 표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앵커링 부분 각각은 상기 앵커링 부분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앵커링 부분의 대향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리세스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 표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링 부분은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종방향 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의 하나의 측면 부분은 2개의 부분에 의해 측면에 위치되어 절결부를 형성한다. 보강 피스는 보강 피스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절결부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 수단의 말단부는 상기 하나의 측면 부분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이고, 상기 앵커링 부분들 사이의 종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중간에서 연장되는 릿지 형태의 보강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가동 부품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고 도면에 의해 예시된 여러 실시예의 설명의 도움으로 더 잘 이해될 것이다.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 및 1차 부품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캐리지의 사시 저면도를 도시한다.
- 도 3은 도 1의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 도 4는 조립된 도 1의 가동 부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 도 5는 A-A를 따른 도 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캐리지(12), 1차 부품(70) 및 캐리지(12)를 리니어 모터의 1차 부품(70)에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10)을 도시한다. 1차 부품(70)은 종래의 방식으로 리니어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2차 부품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2차 부품은 일반적으로 선형 가이드를 따라 캐리지(12)를 이동시키기 위해 1차 부품과 2차 부품 사이의 자기 왕복 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선형 가이드 사이에 고정된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자기 트랙을 구비한다.
캐리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2)의 바닥 측면(28)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연결 부분(16)을 포함하는 평평한 표면을 갖는 상부 측면(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부분(16)은 선형 가이드(도시되지 않음)의 이동 블록에 캐리지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캐리지(12)는 공작 기계의 기계 부품과 같은 이동될 물체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동될 물체의 수직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나사 구멍 및 숄더를 포함하는 4개의 측면 장착 표면(19)에 의해 달성된다.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의 캐리지(12) 및 1차 부품(70)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 상부 측면(42) 및 바닥 측면(58)을 포함한다. 그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캐리지 바닥 측면(28)은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상부 측면(42)에 제공된 앵커링 부분과 연동하도록 성형된 4개의 앵커링 수용 부품(3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을 포함한다. 선형 그루브(38)는 앵커링 수용 부품(32)들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2개의 대향면(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의 1차 부품(70)의 2개의 측방향 상부 표면(74)을 향하도록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의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캐리지 바닥 측면(28)은 1차 부품(70)의 2개의 대향하는 상부 측면을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된 2개의 플랭킹 부분(flanking portions)(36)을 더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상부 측면(42)은 그 중간 부근에 위치되고 2개의 평행한 대향 종방향 에지 중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연장되는 2개의 융기된 중앙 부분(44a, 44b)을 포함한다. 상부 측면(42)은 2개의 대향 측면 에지 각각과 접하는 2개의 융기된 에지 부분(50a, 50b)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융기된 중앙 부분(44a, 44b)은 평평한 표면(45)으로부터 연장되고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바닥 측면(58)으로 개방되는 1차 부품 고정 구멍(20)을 구비한 상부 평평한 표면(45)을 포함한다.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바닥 측면(58)은 1차 부품(70)의 상부에 고정되는 평면이다.
각각의 융기된 에지 부분(50a, 50b)은 또한 평평한 표면(51)으로부터 연장되고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바닥 측면(58) 상으로 개방되는 1차 부품 고정 구멍(53)을 구비한 상부 평평한 표면(51)을 포함한다. 하나의 융기 에지 부분(50a)은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가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에 장착될 때 각각의 축이 캐리지 상부 측면(14)의 평면에 평행한 캐리지 고정 나사 구멍(54)을 구비한 캔틸레버 부분을 더 포함한다. 다른 융기 에지 부분(50b)은 상부 편평한 표면(51)과, 상부 편평한 표면으로부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대응하는 측방향 에지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표면(52)을 포함한다. 후자는 상부 측면(42) 상에 선형 릿지 또는 벌지(bulge) 형태의 보강재(56)를 포함한다. 보강재(56)는 앵커링 부분(44a, 44b, 50a, 50b)들 사이의 2개의 대향 측면 중 하나에서 다른 측면으로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중간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2개의 융기된 중앙 부분(44a, 44b) 및 하나의 융기된 에지 부분(50b)은 각각 보강재(56)의 양측면에 배치된 2개의 리세스(48)를 포함하여 안착 표면(49)을 형성한다. 융기된 에지 부분(50a)의 캔틸레버 부분의 하부 표면은 안착 표면(49)의 기능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직사각형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의 4개의 앵커링 수용 부품(32) 각각은 캐리지 상부 측면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지탱 표면(33)을 형성한다.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 앵커링 부분(44a, 44b, 50a, 50b)의 안착 표면(49)은 각각의 지탱 표면(33)에 놓이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2)는 직사각형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의 각각의 대향 측면에 인접하는 2개의 대향 측면 부분(18a, 18b)을 포함한다. 측면 부분(18a)에는 관통 구멍(20)이 제공된다. 이러한 관통 구멍(20)의 축은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가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에 장착될 때 캐리지 상부 측면(14)의 평면에 평행하다. 나사 구멍(21)은 측면 부분(18b)에 제공된다. 이들 구멍의 축은 관통 구멍(20)에 평행하다.
캐리지(12)는 기계가공에 의해 쉽게 제조되도록 설계되었다. 캐리지(12)의 상부 측면(14)에 있는 슬롯(17)은 대응하는 안착면(49)이 놓이는 지탱 표면(33)을 기계가공한 결과이다. 또한, 선형 그루브(38) 및 앵커링 수용 부품(32)은 캐리지(15)의 바닥 측면(28)을 기계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마찬가지로,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바닥 측면(58)에 있는 기다란 개구(60)는 안착 표면(49)을 기계가공한 결과이다.
가동 부품(1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바닥 측면(58)은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1차 부품 고정 구멍(46, 53)을 통해 연장되는 다중 나사(55)에 의해 리니어 모터의 1차 부품(70)의 상부에 고정되고, 각각의 고정 지점(72) 내에 나사 결합된 그 단부는 1차 부품(70)의 상부 측면에 제공된다.
그 다음,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는 직사각형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 내부에 끼워지며, 그 앵커링 부분(44a, 44b, 50a, 50b) 및 그 보강재(56)는 각각 대응하는 앵커링 수용 부품(32) 및 선형 그루브(38) 내부에 위치된다. 그 다음,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2)의 대응하는 지탱 표면(33)에 대해 안착 표면(49)을 가져오기 위해 캐리지 상부 측면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캐리지(12)에 대해 병진이동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융기된 에지 부분(50a)의 캔틸레버 부분의 캐리지 고정 나사 구멍(54)은 캐리지(12)의 측면 부분(18a)의 관통 구멍(20)과 정렬된다. 그 다음, 이러한 캔틸레버 부분은 나사(22)에 의해 인접한 측면 부분(18a)에 고정된다. 헤드리스 나사(23)는 융기된 에지 부분(50a)의 테이퍼진 표면(52)에 맞닿도록 대향된 측면 부분(18b)의 나사 구멍(21) 내부에서 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착 표면(49)이 지탱 표면(33)에 단단히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 힘이 또한 생성된다.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는 40 W/mK, 바람직하게 약 50 W/mK를 초과하는 높은 열전도성 강으로 제조된다.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직사각형 형상 및 치수는 열전달을 증가시키도록 모터 접촉 표면 전체를 덮도록 선택되어 모터의 열 거동을 개선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피스(24)는 통상적인 적용이 캐리지에 높은 기계적 응력을 생성할 때 그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캐리지(12)의 절결부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보강 피스(24)의 일측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24)에 의해 측면 부분(18a)에 연결된다. 이러한 나사(24)는 보강 피스의 두께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각각의 관통 구멍(26) 내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2개의 대향하는 융기된 에지 부분은 캐리지의 대향된 측면 부분에 제공된 관통 구멍 및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의 2개의 대향하는 융기된 에지 부분에 제공된 대응하는 구멍에 압입되는 핀과 같은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캐리지의 측면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10: 가동 부품
12: 캐리지
14: 상부 측면
16: 연결 부분
17: 슬롯
18a, 18b: 측면 부분
20: 관통 구멍
22: 나사
21: 나사 구멍
23: 헤드리스 나사
24: 보강 피스
26: 관통 구멍
27: 나사
19: 측면 장착 표면
28: 하부 측면
30: 인터페이스 수용 부분
32: 앵커링 수용 부품
33: 지탱 표면
34: 대향면
36: 플랭킹 부분
38: 선형 그루브
40: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
42: 상부 측면
앵커링 부분
44a, 44b: 융기된 중앙 부분
45: 상부 평평한 표면
46: 1차 부품 고정 구멍
48: 리세스
49: 안착 표면
50a, 50b: 융기된 에지 부분
51: 상부 평평한 표면
52: 테이퍼진 표면
53: 1차 부품 고정 구멍
54: 캐리지 고정 나사 구멍
55: 나사
56: 보강재
58: 하부 측면
60: 기다란 개구
70: 1차 부품
72: 고정 지점
74: 측면 상부 표면

Claims (10)

  1. 2차 부품에 대해 이동가능한 1차 부품(70)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10)으로서, 상기 가동 부품(10)은 캐리지(12), 1차 부품(70) 및 상기 캐리지(12)를 상기 1차 부품(70)에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12)는 공작 기계의 기계 부품과 같은 이동될 물체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캐리지(12)는 앵커링 수용 부품(32)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부재 수용 부분(30)을 갖는 2개의 대향 측면 및 바닥 측면(28)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는 상기 1차 부품(7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12)의 각각의 앵커링 수용 부품(32) 상에 장착된 앵커링 부분(44a, 44b, 50a, 50b)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2개의 대향 에지 부분(50a, 50b)은 정렬되어 상기 캐리지(12)의 각각의 대향 측면의 부분(18a, 18b)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하나의 에지 부분(50a)은 상기 캐리지(12)의 하나의 측면 부분(18a) 상에 제공된 관통 구멍(20)과 정렬된 캐리지 고정 나사 구멍(54)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에지 부분(50a)은 나사(22)에 의해 상기 하나의 측면 부분(18a)에 고정되는,
    가동 부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대향 에지 부분(50b)은 테이퍼진 표면(52)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12)의 대향 측면 부분(18b) 상에 제공된 나사 구멍(212)에 나사(23)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나사 구멍의 축에 수직인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 상에 힘을 생성하도록 상기 나사(23)의 말단부가 상기 테이퍼진 표면(52)에 맞닿는,
    가동 부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는 융기된 앵커링 부분(44a, 44b, 50a, 50b)을 갖는 상부 측면(42) 및 평평한 바닥 측면(58)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 부분은 평평한 표면(45) 및 상기 평평한 표면(45)으로부터 상기 바닥 측면(58)으로 연장되는 1차 부품 고정 구멍(46)을 갖는 융기된 중앙 부분(44a, 44b)과,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2개의 대향 에지에 위치된 2개의 융기된 에지 부분(50a, 50b)을 포함하는,
    가동 부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각각의 앵커링 수용 부품(32)은 지탱 표면(33)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각각의 앵커링 부분(44a, 44b, 50a, 50b)은 각각의 지탱 표면(33) 상에 놓이는 안착 표면(49)을 포함하는,
    가동 부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앵커링 부분(30) 각각은 상기 앵커링 부분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앵커링 부분의 대향된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리세스(48)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 표면(49)을 형성하는,
    가동 부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부분(44a, 44b, 50a, 50b)은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를 가로질러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의 하나의 대향 종방향 측면으로부터 다른 대향 종방향 측면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동 부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측면 부분(18a)이 2개의 부분에 의해 측면에 위치되어 절결부를 형성하고, 보강 피스(24)가 상기 보강 피스(24)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고정 수단(27)에 의해 상기 절결부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 수단(27)의 말단부는 상기 하나의 측면 부분(18a)에 연결되는,
    가동 부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4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이고, 상기 앵커링 부분들 사이에서 종방향을 따라 상기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중간으로 연장되는 릿지의 형태인 보강재(stiffener)를 포함하는,
    가동 부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동 부품을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
KR1020220064529A 2021-07-28 2022-05-26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 KR202300177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88165.1A EP4125194A1 (en) 2021-07-28 2021-07-28 Movable part of a linear motor comprising a carriage interface member
EP21188165.1 2021-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716A true KR20230017716A (ko) 2023-02-06

Family

ID=7710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529A KR20230017716A (ko) 2021-07-28 2022-05-26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73393B2 (ko)
EP (1) EP4125194A1 (ko)
JP (1) JP2023020880A (ko)
KR (1) KR20230017716A (ko)
CN (1) CN115694115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7768A (ja) * 1984-12-18 1986-07-05 Fujitsu Ltd リニアパルスモ−タのギヤツプ設定方法
JP3227320B2 (ja) * 1994-11-07 2001-11-12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リニア直流モータ
AU7328598A (en) * 1997-05-02 1998-11-27 Ats Automation Tooling Systems Inc. Modular conveyor system having multiple moving elements under independent ontrol
WO2009035050A1 (ja) 2007-09-14 2009-03-19 Thk Co., Ltd. リニアモータ及びリニアモータのコギング低減方法
JP6046919B2 (ja) * 2012-05-28 2016-12-21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スライド装置
WO2014141887A1 (ja) * 2013-03-13 2014-09-18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リニアモータ
EP3324521B1 (de) * 2016-11-16 2020-04-15 Etel S. A.. Kühlplatte für einen linearmotor
EP3672044B1 (de) 2018-12-19 2024-05-22 Etel S.A. Linearmotorsystem sowie schnittstellenvorrichtung für einen linear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5194A1 (en) 2023-02-01
US20230031626A1 (en) 2023-02-02
JP2023020880A (ja) 2023-02-09
US11973393B2 (en) 2024-04-30
CN115694115A (zh)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089B1 (ko) 조 전지
US6402381B1 (en) Relative linear motion apparatus
KR20020077017A (ko) 선형운동 안내유니트
KR102142201B1 (ko) 웨지 드라이브
CN116194703B (zh) 用于加工工具的机器框架以及加工工具
CN111816484B (zh) 键盘装置
KR20230017716A (ko) 캐리지 인터페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 부품
EP3945222A1 (en) Fastener and housing device including the fastener
JP2017507035A (ja) 工具スライド
KR20200077390A (ko) 리니어 모터 시스템 및 리니어 모터용 인터페이스 장치
JPH083372B2 (ja) 空気調和機における熱交換器の固定装置
KR20190041401A (ko) 무철심 리니어 모터용 보조부품 및 무철심 리니어 모터
KR200492867Y1 (ko) 저분진 리니어 모듈
US20090096297A1 (en) Linear motor, drive stage, and XY drive stage
JPH02286900A (ja) ファンの取付構造
KR0178630B1 (ko) 자동차 조립용 정반
CN209954540U (zh) 气缸盖的装配夹具
JP2644633B2 (ja) 板状部材の保持構造
WO2023026695A1 (ja) 電磁接触器
KR0125591Y1 (ko) 부품 고정 팔레트의 클램핑 지그 장치
US4882987A (en) Attaching device in a spring-charged dot printer
CN212179068U (zh) 一种空调阀板与底盘装配结构及空调器
KR101102929B1 (ko)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고정자 고정 구조
CN113167321B (zh) 线性运动引导件
JP4337137B2 (ja) 回路基板の固定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