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418A -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418A
KR20230017418A KR1020210098864A KR20210098864A KR20230017418A KR 20230017418 A KR20230017418 A KR 20230017418A KR 1020210098864 A KR1020210098864 A KR 1020210098864A KR 20210098864 A KR20210098864 A KR 20210098864A KR 20230017418 A KR20230017418 A KR 20230017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weight
polyurethane foam
parts
average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폼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폼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폼웍스
Priority to KR102021009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418A/ko
Publication of KR2023001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커버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재생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20~6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촉매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Highly breathable polyurethane foam for car seat covers and pads}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커버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에 관한 것인 바, 상세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재생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을 촉매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영구압축줄음율 0.1~10%, 압축에너지 손실율 0.1~30%이고, 150L/min 이상의 통기성을 만족하는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은 분자 중에 우레탄 결합(-NH-COO)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 화합물을 총칭하며, 일반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와 폴리올(Polyol)을 주원료로 하여 부가반응으로 얻어지고 이는 원료의 종류가 다양하고 풍부하기 때문에 그들의 조합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분자구조와 물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재료의 합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우레탄 제조 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으로 대표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디카르복실산계 폴리에스테르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폴리카프로락톤으로 대표되는 폴리락톤 폴리올(Polylacton polyol), 그리고 카보네이트와 디올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Polycarbonate polyol)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통상적으로 석유계 원료로부터 제조되며, 특히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은 폴리우레탄 제조에 사용하는 가장 보편화된 폴리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폴리올 성분은 제조하고자 하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폼의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통상적으로 분자량이 크고 관능기 수(functionality)가 낮은 폴리올은 연질(flexible) 우레탄 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한편, 분자량이 작고 관능기 수가 높은 폴리올은 경질(rigid) 우레탄 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경우 폴리올의 분자량은 대략 1,000 보다 큰 반면,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경우 폴리올의 분자량은 대략 200 내지 4,000 수준이고 강성율(modulus of elasticity)이 약 100,000psi 이상(23℃), 유리전이온도는 20℃ 이상, 그리고 신장율은 10%를 초과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최근에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면서 바이오 폴리올을 적용한 제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우레탄 소재의 개발 분야에서도 피마자유와 대두유, 옥수수에서 유래된 폴리올 등을 이용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경화제와 주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2액형 폴리우레탄 폼시트의 제조 시에도 피마자유와 같은 바이오 폴리올의 사용이 가능하나, 주제에 단순 배합하여 사용할 시에는 작용기의 반응성 차이와 입체장애 특성, 유리 지방산의 존재로 인해 느린 경화속도를 가지게 되며, 폼시트를 형성할 시에는 가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확인되고 있다.
기존 MDI 연질폴리우레탄폼의 경우 겔화(Geling) 반응이 빨라 크로스 셀(Closed cell)이 많아 통기성이 좋지 않은 단점을 레티큘레이션(Reticulation) 공정을 통해 통기성을 확보 했으나 레티큘레이션(Reticulation) 공정을 거친 폼은 VOCs가 상승하는 단점이 확인되었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7764호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7715호 3.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6684호 4.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7882호
본 발명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재생 폴리올, 바이오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을 촉매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영구압축줄음율 0.1~10%, 압축에너지 손실율 0.1~30%이고, 150L/min 이상의 통기성을 만족하는 자동차 시트 커버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커버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은 재생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20~6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촉매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영구압축줄음율 0.1~10% 또는 압축에너지 손실율 0.1~30%의 물성을 만족하고, 150L/min 이상의 고통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총량에 대하여, 상기 재생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 어느 하나를 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 폴리올은 연질폴리우레탄폼 제품 또는 연질폴리우레탄폼 가공중 발생한 연질 폴리우레탄폼을 해중합을 통해 제조된 복합 에멀젼 형상의 다중 폴리머 분산 폴리올로 수평균 분자량이 2,000~8,000인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 폴리올은 연질폴리우레탄폼 제품 또는 연질폴리우레탄폼 가공중 발생한 연질 폴리우레탄폼을 해중합을 통해 폴리올(polyol)에서 프로플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 PO)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 EO) 부가 중합반응을 통해 제조된 복합 에멀젼 형상의 다중 폴리머 분산 폴리올로 폴리머폴리올(Polymer Polyol) 10~30중량%를 함유하고, 수평균 분자량이 2,000~8,000인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수평균분자량 3000~10000인 EO/PO부가 폴리올로 말단이 EO로 치환된 것 또는 EO/PO가 랜덤으로 부가된 폴리올A 20~4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3000~8000인 폴리머폴리올로 SAN 고형분함량이 30~50중량%인 폴리올B 5~3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1000~8000인 폴리에테르(Polyether) 40~80중량%와 에스터(Ester) 20~6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폴리올C 5~2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3000~6000인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EO)함량이 70~90중량%인 폴리올D 1~1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500~4000인 모노올, PO 또는 BO로 이루어진 폴리올E 0.1~1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1000~3000인 Diol 폴리올F 1.0~10중량부와, 수평균분자량 2000~8000인 재생 폴리올 또는 수평균분자량 2000~6000인 바이오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영구압축줄음율 0.1~10% 또는 압축에너지 손실율 0.1~30%를 만족하고, 150L/min 이상의 통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이오 폴리올은 캐슈넛 껍질, 대두유, 옥수수, 팜 또는 파자마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 유래물로 수평균분자량 2000~6000이고, 바이오매스(Bio mass) 함량이 20~98%인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되는 폴리우레탄폼을 불꽃라미 또는 핫멜트 본딩으로 원단과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차 시트 커버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은 식물계에서 유래한 바이오 폴리올 적용 및 사용 제품의 해중합을 통한 재생 폴리올 적용을 통한 자원순환에 의한 친환경 제품으로, 바이오 폴리올에 유래한 통기성 증가 효과와 경도저하를 재생 폴리올을 사용하여 경도상승을 통해 보완하고, 통기성 확보와 물성 보완을 통해 레티큘레이션(Reticulation) 공정을 하지 않고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여 통기성 폴리우레탄폼을 구현한 제품으로,레티큘레이션(Reticulation) 공정을 하지 않아 폴리우레탄폼의 VOCs 의 발생을 낮춘 친환경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사용전/사용 후 제품 리사이클링 공정을 예시한 공정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Non-Reticulation 공정을 통한 VOCs 저감, 통기성의 증가 폴리우레탄폼을 제조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커버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된 연질폴리우레탄폼 제품 또는 연질폴리우레탄폼 가공중 발생한 연질 폴리우레탄폼 등 가공부산물을 재생하여 복합에멀전 형상의 다중폴리머 분산 폴리올로 가공된 재생 폴리올 및/또는 천연물 유래의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하여 레티큘레이션(Reticulation) 공정 없이 고통기성을 확보한 친환경적인 폴리우레탄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커버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은 재생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20~6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촉매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영구압축줄음율 0.1~10% 또는 압축에너지 손실율 0.1~30%의 물성을 만족하고, 폴리우레탄폼 제조시 레티큘레이션(Reticulation) 공정 없이도 150L/min 이상의 고통기성을 가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재생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 어느 하나를 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만일, 0.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통기성 증가 효과를 얻기 어렵고, 물성적 향상을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폼이 터져 정상적인 연질폴리우레탄폼이 되지 않거나, 혹은 폼의 수축현상으로 정상적인 연질폴리우레탄폼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바이오폴리올의 경우 임계치를 벗어날 경우에는 통지성증가의 기대효과를 얻기 어렵거나, 또는 폼이 터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재생 폴리올의 경우 임계치를 벗어날 경우 폼의 기본물성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폼의 수축현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장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오폴리올과 재생폴리올을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재생 폴리올과 바이오 폴리올을 10:10 내지 40: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최적화된 혼합비율은 재생 폴리올과 바이오폴리올을 10:20의 중량비고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해당 중량비에서 바이오 폴리올에 의해 증가하는 통기성 비율과 재생 폴리올에 의해 증가하는 물성이 최적화된 폼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재생 폴리올은 첨부도면 도 1의 예시된 리사이클링 공정에 따라 가공되어지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생 폴리올은 연질폴리우레탄폼 사용후 제품 또는 연질폴리우레탄폼 가공중 발생한 연질 폴리우레탄폼을 해중합을 통해 제조된 복합 에멀젼 형상의 다중 폴리머 분산 폴리올로 수평균 분자량이 2,000~8,000인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생 폴리올은 연질폴리우레탄폼을 0.5㎝~5㎝의 크기로 가공한 뒤, 저분자의 글리콜 또는 고리형 탄산에스테르에 의해 120~200℃의 온도범위에서 분해되어 형성되는 복합에멀전형 폴리올로 수평균 분자량이 2,000~8,000인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수평균분자량 3000~10000인 EO/PO부가 폴리올로 말단이 EO로 치환된 것 또는 EO/PO가 랜덤으로 부가된 폴리올A 20~40중량부와,
수평균분자량 3000~8000인 폴리머폴리올로 SAN 고형분함량이 30~50중량%인 폴리올B 5~30중량부와,
수평균분자량 1000~8000인 폴리에테르(Polyether) 40~80중량%와 에스터(Ester) 20~6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폴리올C 5~20중량부와,
수평균분자량 3000~6000인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EO)함량이 70~90중량%인 폴리올D 1~10중량부와,
수평균분자량 500~4000인 모노올, PO 또는 BO로 이루어진 폴리올E 0.1~10중량부와,
수평균분자량 1000~3000인 Diol(또는 해당부분 삭제) 폴리올F 1.0~10중량부와,
수평균분자량 2000~8000인 재생 폴리올 또는 수평균분자량 2000~6000인 바이오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0.1~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이오 폴리올은 캐슈넛 껍질, 대두유, 옥수수, 팜 또는 파자마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 유래물로 수평균분자량 2000~6000이고, 바이오매스(Bio mass) 함량이 20~98%인 폴리올을 사용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라 개시되는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영구압축줄음율 0.1~10% 또는 압축에너지 손실율 0.1~30%를 만족하고, 150L/min 이상의 통기성을 가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개시되는 상기 폴리우레탄폼을 불꽃라미 또는 핫멜트 본딩으로 원단과 합지된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폼의 가공방법을 설명하면,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조합, 첨가제의 물리적 혼합에 의해 만들어진 폴리우레탄폼을 자연 숙성 과정을 거친 통기성 폴리우레탄폼과 물리적인 폼 크러싱을 거쳐 통기성이 증가된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의 제조공정으로 가공되어지는 것으로, 특히 Reticulation 공정 없이도 고통기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원하는 형태로 재단하여 고통기 제품으로 사용되어 진다. 또한,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기 소화성을 가지는 거나, 촉매사용양의 감소로 발생하는 VOCs가 감소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도 2 참조)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그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올 조성물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준비하여 도 1 및 2에서 예시된 공정에 따라 폴리우레탄 폼을 가공한 다음, ASTM D 3574 규격에 의한 통기성 평가, FMVSS No.302 규격에 의한 연소성 평가, KS I ISO 16000 규격에 의한 VOCs 방출량 평가, KS M 6672 규격에 의한 영구압축줄음율 평가, ASTM D3574 방법에 의한 압축에너지 손실율을 측정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재생 폴리올과 바이오폴리올을 10:2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물성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통기성평가(ASTM D 3574)
ISO 7231에 따라 250(± 2%) Pa 까지 압을 가하는 장비가 사용되어야 하며, 시험편 크기는 50mm x 50 mm x 25 mm를 기준으로 한다. 두께가 모자랄 경우에는 샘플을 겹쳐 25mm가 되게 한다. 샘플을 지그(jig)에 맞추어 놓은 후 상단 부를 덮고 125 Pa의 압력으로 진공 펌프를 가동 시킨다. 10초간 가동하여 나온 Flowmeter를 값으로 취득하여 3번 실험 후의 평균값을 결과로 취한다.
2. 연소성평가(FMVSS No.302)
온도 21± 5℃, 상대습도 55 ± 5% RH에서 24시간 상태조절을 하고 그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시험을 실시함
불꽃에 15초간 닿아도 전혀 연소하지 않는 것은 불연성으로 한다.
착화는 하지만 표선까지 연소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는 자기소화성(SE)으로 한다. 또한 표선(시험편의 끝단으로부터 38 mm 위치)을 넘어도 60초 이내에 꺼지면서 50 mm 이하로 연소하는 경우를 모두 만족하면 자기소화성으로 한다.
연소속도 80 mm/min 이하 또는 계측점으로 부터 50 mm 이상 연소하지 않으면서 60초 이내에 꺼져야한다.
연소속도(B mm/min) = 연소길이(D , mm) / 연소시간(T, 초) x 60
3. VOCs 평가(KS I ISO 16000)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뜻하며, TVOC 및 알데히드류 등을 포함한다.
이중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4. 영구압축줄음율(KS M 6672)
두께 25mm 인 시험편을 사용하여 초기 두께의 50%로 압축 고정하여 70 ± 1 ℃의 열풍식 오븐에서 22시간 방치한다 . 시험편을 압축장치에서 꺼내어 30분 실온에 방치 후, 초기 두께를 측정했던 부위를 각각 측정하여 영구압축률 평균치를 구한다
CS = (T0-T1 ) / T0 x 100 (CS:영구압축률(%), T0 : 초기 시험편의 두께(mm), T1 : 시험후의 시험편의 두께(mm)
5. 압축에너지 손실율(ASTM D3574)
가압시의 하중면적(B)와 감압시의 하중면적(A+B)의 비율에 따른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았을 때 손실비율을 측정함.
<그림 1> 힘-압축곡선
Figure pat00003
압축에너지 손실률(%) = 면적(A) / 면적(A + B)
6. 냄새시험법 (VDA270)
6단계로 구분하여 1~3등급을 합격으로함, 0.5단위로 세분하여 판정,4 L의 유리용기에 3 x 3 x 두께의 시험 시편을 준비하여 오븐에 80도 2시간 조건으로 가열한후 실온에서 60분 방치하여 식힌 후 평가자 한사람씩 2인이상의 평가로 평균 수치를 구한다.
상기 표 2의 물성시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폼제품이 비교예의 폼제품에 비해 요구되는 물성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재생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20~6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촉매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영구압축율 0.1~10% 또는 압축에너지 손실율 0.1~30%의 물성을 만족하고, 150L/min 이상의 고통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총량에 대하여, 상기 재생 폴리올, 바이오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 어느 하나를 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폴리올은 연질폴리우레탄폼 사용 후 제품 또는 연질폴리우레탄폼 가공중 발생한 연질 폴리우레탄폼을 해중합을 통해 제조된 복합 에멀젼 형상의 다중 폴리머 분산 폴리올로 수평균 분자량이 2,000~8,000인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수평균분자량 3000~10000인 EO/PO부가 폴리올로 말단이 EO로 치환된 것 또는 EO/PO가 랜덤으로 부가된 폴리올A 20~4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3000~8000인 폴리머폴리올로 SAN 고형분함량이 30~50중량%인 폴리올B 5~3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1000~8000인 폴리에테르(Polyether) 40~80중량%와 에스터(Ester) 20~6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폴리올C 5~2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3000~6000인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EO)함량이 70~90중량%인 폴리올D 1~1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500~4000인 모노올, PO 또는 BO로 이루어진 폴리올E 0.1~1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1000~3000인 Diol(또는 해당부분 삭제) 폴리올F 1.0~10중량부와, 수평균분자량 2000~8000인 재생 폴리올 또는 수평균분자량 2000~6000인 바이오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커버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폴리올은 캐슈넛 껍질, 대두유, 옥수수, 팜 또는 파자마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유래물로 수평균분자량 2000~6000이고, 바이오매스(Bio mass) 함량이 20~98%인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커버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바이오매스 함량비율이 0.016% ~ 40.83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재생 폴리올 사용비율이 0.08%~42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10.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항 기재의 폴리우레탄폼을 불꽃라미 또는 핫멜트 본딩으로 원단과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및 패드.
KR1020210098864A 2021-07-28 2021-07-28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KR20230017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64A KR20230017418A (ko) 2021-07-28 2021-07-28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64A KR20230017418A (ko) 2021-07-28 2021-07-28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18A true KR20230017418A (ko) 2023-02-06

Family

ID=8522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864A KR20230017418A (ko) 2021-07-28 2021-07-28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41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82B1 (ko) 2007-01-12 2008-07-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냄새 저감 및 항균성이 부가된 연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및 폼의 제조방법
KR20130077715A (ko) 2011-12-29 2013-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마자유 유래 폴리올을 사용한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폼
KR101606684B1 (ko) 2010-08-06 2016-03-28 미쓰이 카가쿠 에스케이씨 폴리우레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 폴리올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연질 폴리우레탄 폼
KR101737764B1 (ko) 2015-05-29 2017-05-19 주식회사 빅스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한 미세기공형 폼시트용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82B1 (ko) 2007-01-12 2008-07-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냄새 저감 및 항균성이 부가된 연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및 폼의 제조방법
KR101606684B1 (ko) 2010-08-06 2016-03-28 미쓰이 카가쿠 에스케이씨 폴리우레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 폴리올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연질 폴리우레탄 폼
KR20130077715A (ko) 2011-12-29 2013-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마자유 유래 폴리올을 사용한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폼
KR101737764B1 (ko) 2015-05-29 2017-05-19 주식회사 빅스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한 미세기공형 폼시트용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2780B1 (en) Polyurethane foam
KR101896769B1 (ko) 폴리우레탄 필터 폼
CN103965434A (zh) 用于制备聚氨酯体系的组合物
KR101797462B1 (ko)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KR100936319B1 (ko) 저밀도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5510955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品を製造する方法
JP4943139B2 (ja) ポリエステル系ポリウレタン発泡体
KR20200027690A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JPH0255470B2 (ko)
JP4792240B2 (ja) ポリウレタン発泡体からなる止水材
JPH0368677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シーリング材の製造方法
KR20230017418A (ko) 자동차 시트 및 패드용 고통기성 폴리우레탄폼
JP5914177B2 (ja) 水シール材
KR100738140B1 (ko)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우레탄 발포체
JP4283142B2 (ja) 低反発性ポリウレタン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5595B2 (ja) 硬化して低硬度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ゲル材を与える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硬化して得られた低硬度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ゲル材
JPH10218956A (ja) 難燃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23528832A (ja) 改善された自己消火性火災試験性能を有する連続気泡軟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
EP3317315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olyurethanes
KR100916423B1 (ko) 저밀도 폴리실리콘 발포 폼 조성물
KR102667179B1 (ko) 폴리우레탄에 관련된 개선
JP4943138B2 (ja) ポリエステル系ポリウレタン発泡体
KR100727169B1 (ko) 폴리우레탄 발포폼 조성물
EP4141040A1 (en)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and polyurethane foam comprising cured product thereof
Bays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bustion modified polyureth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