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586A - 전기차의 충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의 충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6586A KR20230016586A KR1020220087224A KR20220087224A KR20230016586A KR 20230016586 A KR20230016586 A KR 20230016586A KR 1020220087224 A KR1020220087224 A KR 1020220087224A KR 20220087224 A KR20220087224 A KR 20220087224A KR 20230016586 A KR20230016586 A KR 202300165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er
- management server
- user
- user terminal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101000857682 Homo sapiens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2100025368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 CCD2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100115215 Caenorhabditis elegans cul-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444 catalytic combustion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66 inser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06Q50/3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0—Driver interactions by driver identif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의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Charging Device)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점하기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잠그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잠긴 상기 충전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잠긴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Charging Device)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점하기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잠그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잠긴 상기 충전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잠긴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차의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전기차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의 보급은 증가하는데 반해, 전기차 충전소의 수가 적어서 전기차의 충전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충전소에서는 충전기에 비해 충전 수요가 많아서 대기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 미사용 중인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선점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점한 충전기를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잠글 수 있는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기간동안에 대응되는 선점비용을 사용자에게 부가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Charging Device)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점하기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잠그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잠긴 상기 충전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잠긴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관리서버로 검색조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조건은 위치에 대한 위치조건 및 시간에 대한 시간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건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기까지의 거리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조건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기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는 판별시점에서 충전에 사용되지 않은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는 상기 판별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시간 동안 예약되어 있지 않은 조건을 더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이용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는 상기 판별시점에서 상기 충전기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이 점유되지 않은 조건을 더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는 판별시점에서 충전에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판별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시간 내에 상기 충전이 종료될 예정인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충전이 종료된 시점 이후에 상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상기 선점명령을 전송하여 잠글 수 있다.
또한,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대한 정보는 판별된 상기 충전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판별된 상기 충전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판별된 상기 충전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 판별된 상기 충전기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 예상 충전시간에 대한 정보 및 비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긴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전기차와의 연결을 위한 커플러(Coupler)의 걸쇠(Latch)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잠긴 상기 충전기에서, 화면에 선점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김이 해제된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따른 충전요금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3 기준기간이 지난 제 1 시점에서, 상기 전기차에 상기 충전기의 커플러(Coupler)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추가 요금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따른 제 1 선점비용을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선점비용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에 대응하여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 1 선점비용이 누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충전기 및 제 2 충전기에 상기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잠그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잠긴 상기 제 1 충전기 및 잠긴 상기 제 2 충전기에 전송하는 단계; 잠긴 상기 제 1 충전기에서, 상기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 2 충전기에서, 상기 제 1 충전기의 잠금 해제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잠김이 해제된 상기 제 1 충전기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제 1 충전기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따른 충전요금을 부가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제 1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따른 제 2 선점비용을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제 2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 2 선점비용을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선점비용은 상기 제 2 선점비용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잠긴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인증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 4 기준시간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 및 충전기(Charging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판별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점하기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잠그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잠긴 상기 충전기에 전송하고, 잠긴 상기 충전기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사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를 선점할 수 있어서 대기시간 없이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은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선점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하게 충전기를 선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설정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검색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충전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복수의 충전기를 선점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설정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검색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충전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복수의 충전기를 선점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1A)('충전 시스템'이라 칭할 수 있다)은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10),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 20) 및 충전기(Charging Device, 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즉 전기차(Electric Vehicle, 40)의 운전자에 대응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30)를 선점하기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관리서버(2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이거나 데스크탑 등의 유선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는 GPS 모듈(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30)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20)는 각각의 충전기(30)의 위치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30)에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잠글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 및 충전기(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서버(20)는 복수의 충전기(30)들과 OCPP 2.0 프로토콜(Open Charge Point Protocol)에 의해 웹소켓 (WebSocket)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기(30)는 잠긴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충전기(30)는 잠김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에 대응되는 전기차(40)를 충전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충전기(3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대응되는 전기차(4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기(30)는 전기차(40)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전기차(40)의 정보, 예를 들면 전기차의 종류, 배터리 용량, 전기차의 식별정보, 전기차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전기차(4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기(30)는 충전 시 전기차(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는 충전기(30)의 일례가 나타나 있고, 도 3에는 커플러(Coupler, 310)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충전기(30)는 본체(Main Body, 300), 커플러(310), 충전 케이블(Charging Cable, 320),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 330), 카드리더부(Card Reader Part, 340), 보관함(350), 카메라부(Camera Pat, 361, 362), 초음파 센서부(Ultrasonic Sensor Part, 37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충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기(30)가 잠긴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330)는 화면에 충전기(30)가 선점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즉 선점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리더부(340)는 터치방식 및/또는 삽입방식으로 신용카드, 충전카드 및/또는 회원카드를 읽을 수 있다.
카메라부(361, 362)는 충전기(30)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부(361, 362)는 충전기(30) 주변의 전기차(40)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361, 362)는 제 1 카메라부(First Camera Part, 361)와 제 2 카메라부(Second Camera Part, 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부(361)와 제 2 카메라부(362)는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300)에서 제 1 카메라부(361)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2 카메라부(362)는 디스플레이부(3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카메라부(361, 362)가 2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초음파 센서부(37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충전기(30)에 대응되는 전기차(40)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부(37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충전기(30)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을 전기차(40)가 점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충전기(30)는 초음파 센서부(370)가 검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40)가 주차공간을 점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보관함(350)은 본체(300)에 배치될 수 있다.
보관함(350)은 커플러(310)를 보관할 수 있다.
커플러(310)는 충전 케이블(320)에 의해 본체(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310)는 전기차(40)에 마련된 충전단자(Charging Port, 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충전기(30)의 본체(300)에서 공급하는 전력이 충전 케이블(320) 및 커플러(310)를 통해 전기차(40)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전기차(40)가 충전될 수 있다.
커플러(310)를 충전건이라고 할 수 있다.
커플러(310)는 커플러 몸체(Coupler Body, 314), 걸쇠(Latch, 311), 손잡이부(Handle Part, 313), 고정 버튼(Lock Button, 312) 및 충전단자(Charging Port, 315)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단자(315)는 전기차의 충전단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기(30)는 충전단자(315)를 통해 전기차(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전기차(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단자(315)는 DC전원 충전 단지, AC전원 충전 단자, 근접 감지 단자, 접지(GND) 단자 및 통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C 전원 충전 단자 및 AC 전원 충전 단자는 전기차(4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고, 통신 단자는 전기차(40)와 통신을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손잡이부(313)는 커플러 몸체(314)에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 몸체(314)에는 충전 케이블(320)이 연결될 수 있다.
걸쇠(311)는 커플러 몸체(314)에 배치될 수 있다.
걸쇠(311)는 커플러(310)가 전기차의 충전단자(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커플러(310)가 전기차의 충전단자(미도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 버튼(312)은 커플러 몸체(314) 또는 충전 케이블(320)에 배치될 수 있다.
걸쇠(311)는 고정 버튼(312)에 의해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걸쇠(311)는 고정 버튼(312)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정 버튼(312)을 누르면 걸쇠(311)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고정 버튼(312)을 놓으면 걸쇠(311)가 하측으로 복귀할 수 있다.
커플러(310)를 전기차의 충전단자에 연결할 때 사용자는 고정 버튼(312)을 눌러서 걸쇠(31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커플러(310)가 전기차의 충전단자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고정 버튼(312)을 놓으면 걸쇠(311)가 하측으로 복귀하면서 커플러(310)가 전기차의 충전단자에 고정될 수 있다.
전기차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다시 고정 버튼(312)을 누른 상태에서 커플러(310)를 전기차 충전단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설정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설정모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위한 앱(App)을 설치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설정모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가 관리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S100).
사용자 단말기(10)는 관리서버(20)로부터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위한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S110).
사용자 단말기(10)는 앱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예컨대 사용자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결재수단, 소유하고 있는 전기차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관리서버(20)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S120).
도 5 내지 도 12는 검색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검색모드는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30)를 검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검색모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설치된 앱을 실행할 수 있다(S200).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관리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0)는 관리서버(20)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10).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한 GPS정보(위치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에서는 검색조건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220).
검색조건은 위치에 대한 위치조건 및 시간에 대한 시간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건은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로부터 충전기(30)까지의 거리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조건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충전기(30)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 가능한 충전기(30)를 판별할 수 있다(S230).
또는,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및 검색조건에 대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 가능한 충전기(30)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판별한 사용 가능한 충전기(30)를 후보 충전기(30, Candidate Charging Device(CCD))라고 할 수 있다.
후보 충전기(30, CCD)의 개념을 적용하면, 관리서버(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및 검색조건에 대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판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위치조건으로 5km 및 시간조건으로 10분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위치조건과 시간조건을 포함하는 검색조건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5km반경 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위치에서 전기차(40)를 이용하여 10분 이내 도착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판별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로 판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 가능한 충전기(30), 즉 판별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240).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되는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30)에 대한 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에 대한 정보는 후보 충전기(30, CCD)의 위치에 대한 정보, 후보 충전기(30, CCD)의 종류에 대한 정보, 사용자 단말기(10)와 후보 충전기(30, CCD)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 후보 충전기(30, CCD)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 예상 충전시간에 대한 정보 및 비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용에 대한 정보는 선점비용 및 충전비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점비용 및 충전비용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가 관리서버(2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후보 충전기(30, CCD)를 선택할 수 있다(S250).
사용자 단말기(10)에서 검색조건의 위치조건을 r(km)로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r(km)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판별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20)는 판별한 후보 충전기(30, CCD)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0)에서는 도 6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면에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1, CCD2, CCD3, CCD4, CCD5)의 위치를 현재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P1)에 대응되도록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1, CCD2, CCD3, CCD4, CCD5) 중 제 1 후보 충전기(30, CCD1)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에는 선택된 제 1 후보 충전기(30, CCD1)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B)에서 사용자가 선택메뉴(CMU)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 1 후보 충전기(30, CCD1)가 사용자가 원하는 충전기(30)로서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에서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P1)에서 선택된 제 1 후보 충전기(30, CCD1)의 위치까지의 경로(PH)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선택된 후보 충전기(30, CCD)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선택된 후보 충전기(30, Target Charging Device(TCD))를 타깃 충전기(30)라고 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충전기(30), 후보 충전기(30, CCD) 및 타깃 충전기(30, TCD)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입한 개념일 수 있다.
충전기(30), 후보 충전기(30, CCD) 및 타깃 충전기(30, TCD)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0)는 선택된 후보 충전기(30, CCD), 즉 타깃 충전기(30, TCD)를 선점하기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260).
그러면 관리서버(20)는 타깃 충전기(30, TCD)를 선점하기 위한 선점요청정보에 대응하여 타깃 충전기(30, TCD)에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60).
타깃 충전기(30, TCD)는 관리서버(20)로부터 수신한 선점명령신호에 대응하여 잠길 수 있다(S270).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서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선점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의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현재 해당 충전기(30)는 선점되어 잠겨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의 화면에는 인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증정보 입력창(PIW)이 표시될 수 있다.
선점요청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의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에 표시된 인증정보 입력창(PIW)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의 잠김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점요청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를 호스트 사용자(Host User)라고 할 수 있다.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서는 도 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응되는 전기차(40)와의 연결을 위한 커플러(310)의 걸쇠(311)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사용자가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의 커플러(311)를 자신의 전기차(40)의 충전단자에 연결하려고 시도하더라도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의 커플러(311)의 충전단자(315)는 호스트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의 전기차의 충전단자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20)는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 사용자 단말기(10)의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80).
자세하게는, 관리서버(20)는 선점요청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 전송할 수 있다.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서는 선점요청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즉 호스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281).
이러한 경우,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서는 어떤 사용자가 자신을 잠근 상태로 설정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로 전송되는 호스트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호스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에 대한 정보, 결재수단에 대한 정보, 인증정보, 호스트 사용자의 이름, 주민번호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회원번호, 신용카드 번호 등 호스트 사용자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관리서버(20)가 선점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가 관리서버(20)로 선점요청정보를 전송하면, 관리서버(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가 타깃 충전기(30, TCD)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비밀번호 등의 인증정보를 임시로 생성하고, 임시로 생성한 인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 및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스트 사용자는 관리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임시로 생성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서 호스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20)로부터 전송 받아서 저장하는 경우에는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와 관리서버(20) 사이에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의 잠금을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차(40)에 대한 충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애 발생 시 타깃 충전기(30, TCD)에서는 충전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통신이 재개되면 충전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후보 충전기(30), 즉 타깃 충전기(30, TCD)는 선점명령신호에 대응하여 잠긴 이후부터 잠금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타깃 충전기(30, TCD)가 선점명령신호에 대응하여 잠기는 시점부터 잠금이 해제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대기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관리서버(20)에서는 타깃 충전기(30, TCD)에 대응하여 대기시간을 판별할 수 있다(S271).
대기시간은 호스트 사용자가 타깃 충전기(30, TCD)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미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관리서버(20)가 대기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호스트 사용자가 타깃 충전기(30, TCD)를 선택하면 관리서버(20)가 호스트 사용자의 단말기, 즉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호스트 사용자가 타깃 충전기(30, TCD)에 도달하기 까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을 판별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판별한 예상 시간에 대응하여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리서버(20)는 대기시간을 판별한 이후에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선점비용을 부가할 수 있다(S272).
자세하게는, 관리서버(20)는 타깃 충전기(30, TCD)의 대기시간 동안 타깃 충전기(30, TCD)가 사용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타깃 충전기(30, TCD)의 선점에 따른 비용, 즉 선점비용을 부가할 수 있다.
이처럼, 타깃 충전기(30, TCD)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따른 비용을 제 1 선점 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된 제 1 선점비용은 반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선점비용은 선납으로 부가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선점 비용은 타깃 충전기(30, TCD)를 잠그는 시점에 대응하여 부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호스트 사용자는 신용카드 번호 등 결재수단을 관리서버(20)에 미리 등록할 필요가 있다.
타깃 충전기(30, TCD)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즉 대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제 1 선점비용이 누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호스트 사용자가 타깃 충전기(30, TCD)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5분이라고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관리서버(20)는 타깃 충전기(30, TCD)를 5분 동안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잠그는데 필요한 비용, 즉 제 1 선점비용을 500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호스트 사용자가 타깃 충전기(30, TCD)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10분이라고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서버(20)는 타깃 충전기(30, TCD)를 10분 동안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잠그는데 필요한 제 1 선점비용을 1500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선점비용은 호스트 사용자가 전송한 선점요청정보에 대응하여 관리서버(20)가 선점명령신호를 이용하여 타깃 충전기(30, TCD)를 잠그는 시점에 대응하여 호스트 사용자에게 부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 후보 충전기(30, CCD)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가 관리서버(20)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면,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충전기(30)에 대응하여 현재 사용되지 않는 상태(미연결 상태)인지를 판단(S221)할 수 있다.
제 S221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의 커플러(310)가 전기차(40)에 연결된 상태라면 해당 충전기(30)를 사용불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228).
반면에, 제 S221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가 미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관리서버(20)는 해당 충전기(30)를 후보 충전기(30, CCD)로 설정할 수 있다.
충전기(30)의 커플러(310)가 전기차(40)의 충전단자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충전기(30)와 전기차(40)가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20)는 충전기(30)의 커플러(310)가 전기차(40)에 연결되어 있는지 혹은 연결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 가능한 충전기(30) 혹은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 가능한 충전기(30)를 후보 충전기(30, CCD)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충전기(30, CCD)는 판별시점에서 미연결된 상태로서 충전에 사용되지 않은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30) 중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충전기(30)를 후보 충전기(30, CCD)로 판별할 수 있다.
또는,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30) 중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충전기(30)를 후보 충전기(30, CCD)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제 S221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가 미연결된 상태인 경우에 관리서버(20)는 충전기(30)에 대응하는 주차공간의 점유상태를 확인(S222)하고, 충전기(30)에 대응하는 주차공간이 현재 점유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23).
관리서버(20)는 충전기(30)에 대응하는 주차공간이 현재 점유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충전기(30)의 초음파 센서부(370)가 센싱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부(370)는 충전기(30)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을 향하고, 주차공간에 전기차(40)가 주차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제 S223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에 대응하는 주차공간이 현재 점유된 상태인 경우에는 관리서버(20)는 해당 충전기(30)를 사용불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228).
반면에 제 S223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에 대응하는 주차공간이 현재 점유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관리서버(20)는 해당 충전기(30)를 후보 충전기(30, CCD)로 판별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후보 충전기(30, CCD)는 점유상태를 판별하는 판별시점에서 충전기(30)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이 점유되지 않은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한편, 제 S223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에 대응하는 주차공간이 현재 점유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관리서버(20)는 충전기(30)가 예약된 상태인지를 판단(S224)하고, 충전기(30)가 예약된 상태가 아니라면 해당 충전기(30)를 사용 가능한 충전기(30), 즉 후보 충전기(30, CCD)로 설정할 수 있다(S227).
다른 관점에서 보면, 후보 충전기(30, CCD)는 예약시간을 판별하는 판별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시간 동안 예약되어 있지 않은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제 S224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가 예약된 상태라면 관리서버(20)는 충전기(30)의 예약시간을 확인(S225)하고, 예약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시간(First Reference Time) 이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26).
제 S226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의 예약시간이 제 1 기준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관리서버(20)는 해당 충전기(30)를 사용불가로 판단할 수 있다(S228).
반면에, 제 S226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의 예약시간이 제 1 기준시간 이후인 경우에는 관리서버(20)는 해당 충전기(30)를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S227)하여 후보 충전기(30, CCD)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준시간은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는 전기차(40)의 충전에 필요한 최소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는 전기차(40)의 충전에 대략 20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 1 기준시간은 20분 혹은 20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기준시간은 호스트 사용자의 전기차(40)의 충전에 필요한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20)는 충전기(30)의 커플러(310)가 전기차(40)의 충전단자에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만족한다면 해당 충전기(30)를 후보 충전기(30)로 판별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리서버(20)는 제 S221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기(30)의 커플러(310)가 전기차(40)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 충전기(30)의 충전 종료예정시간을 판별할 수 있다(S290).
예를 들면, 관리서버(20)는 현재 충전기(30)의 커플러(310)에 연결된 전기차(40)의 배터리용량, 충전속도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충전 종료예정시간을 판별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20)는 충전 종료예정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시간(Second Reference Time)이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91).
관리서버(20)는 제 S291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 종료예정시간이 제 2 기준시간 이후인 경우에는 해당 충전기(30)를 충전불가로 판별할 수 있다(S228).
반면에, 관리서버(20)는 제 S291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 종료예정시간이 제 2 기준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해당 충전기(30)를 사용 가능한 후보 충전기(30, CCD)로 판별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후보 충전기(30, CCD)는 충전 종료예정시간을 판별하는 판별시점에서 충전에 사용되고 있으며 판별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시간 내에 충전이 종료될 예정인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20)는 제 S291 단계에서 판단결과 충전 종료예정시간이 제 2 기준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충전기(30)에 대응하는 주차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전기차(40)의 운전자를 판별할 수 있다(S292).
이후, 관리서버(20)는 전기차(40)에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지를 판단(S293)하고,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충전기(30)를 사용불가로 판별할 수 있다.
반면에, 관리서버(20)는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충전기(30)를 후보 충전기(30, CCD)로 판별할 수 있다(S227).
다른 관점에서 보면, 후보 충전기(30, CCD)는 판별시점에서 충전기(30)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을 점유하는 전기차(40)의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인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20)에서, 주차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전기차(40)의 충전이 종료된 시점 이후에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에 선점명령을 전송하여 잠글 수 있다(S270).
전기차(40)에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리서버(20)는 충전기(30)의 커플러(310)에 연결된 전기차(40)에 대한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S294).
예를 들면, 전기차(40)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전기차(40)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면 전기차(40)에서 충전단자의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
충전기(30)에서는 카메라부(361, 362)를 이용하여 주차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전기차(40)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95).
충전기(30)는 촬영한 영상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20)에서는 충전기(30)가 커플러(310)를 통해 획득한 전기차(40)에 대한 정보 및 충전기(30)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전기차(40)의 방향을 판별(S296)하고, 아울러 전기차(40)에 운전석의 위치를 판별(S297)할 수 있다.
이후, 판별한 운전석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운전자를 판별할 수 있다(S292).
도 12의 (A)의 경우와 같이 전기차(40)가 주차공간에서 충전기(30)를 정면에 두고 주차한 상태에서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도 12의 (B)의 경우와 같이 충전기(30)가 전기차(40)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오른쪽 제 1 영역(AR1)에 운전석이 위치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2 (B)에서 제 1 영역(AR1)에 사람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운전석에 운전자가 위치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충전기(30)에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제 1 카메라부(361)와 제 2 카메라부(362)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면 운전자의 유무를 보다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2의 (C)의 경우와 같이 전기차(40)가 주차공간에서 충전기(30)를 후방에 두고 주차한 상태에서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도 12의 (D)의 경우와 같이 충전기(30)가 전기차(40)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왼쪽 제 2 영역(AR2)에 운전석이 위치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이처럼, 관리서버(20)에서는 충전기(30)의 카메라부(361, 362)가 촬영한 영상과 충전기(30)가 커플러(310)를 통해 전기차(4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에 정보 및 운석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충전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충전모드는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의 잠금을 해제하고 전기차(40)에 대해 충전을 진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선점명령신호에 대응하여 잠긴 상태의 타깃 충전기(30, TCD)는 잠금이 해제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S300).
잠긴 상태의 타깃 충전기(30, TCD)에서 호스트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인증정보는 호스트 사용자의 신용카드 번호, 회원번호,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인증정보는 관리서버(20)가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임시로 부여한 비밀번호 등의 임시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S310 단계에서 잠긴 상태의 타깃 충전기(30, TCD)가 판단결과 인증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가 잠긴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4 기준시간(Fourth Reference Time)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11).
대기시간은 잠긴 상태의 타깃 충전기(30, TCD)가 선점명령신호에 대응하여 잠긴 시점부터 카운팅될 수 있다.
제 S311 단계에서 판단결과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가 잠긴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4 기준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제 S30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311 단계에서 판단결과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가 잠긴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4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는 스스로 호스트 단말기에 의한 선점을 해제(S312)하고, 잠금을 해제(S313)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서, 인증정보가 미리 설정된 제 4 기준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잠금 및 선점을 해제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호스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임의의 제 1 충전기(30)를 선택하여 타깃 충전기(30, TCD)로 설정하고, 대기시간으로 10분을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는 제 1 사용자가 타깃 충전기(30, TCD)에 10분 안에 도착할 것이라는 약속일 수 있다.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서는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10분에 여유 마진을 1분(사용자가 설정한 대기시간의 1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4 기준시간은 총 11분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가 11분 이내에 타깃 충전기(30, TCD)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타깃 충전기(30, TCD)는 제 1 사용자에 의한 선점을 해제하고, 아울러 스스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사용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도 잠금이 풀린 제 1 충전기(30)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대기시간 10분에 대응하는 선점비용은 반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 S310 단계에서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가 판단결과 인증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인증정보가 타깃 충전기(30, TCD)가 관리서버(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인증정보와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제 S320 단계에서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가 판단한 결과 매칭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제 S300 단계로 진행하고, 매칭이 되는 경우에는 스스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S330).
다르게 표현하면,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서, 호스트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와 관리서버(20) 간에 통신이 원활한 경우에는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는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20)에서는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에 입력된 인증정보가 관리서버(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매칭이 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와 관리서버(20) 간에 통신이 불량한 경우에는 잠긴 타깃 충전기(30, TCD)는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이전에 관리서버(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던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매칭이 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타깃 충전기(30, TCD)에서 잠금을 해제한 이후에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는 전기차(40)에 충전을 할 수 있다(S340).
즉, 잠김이 해제된 타깃 충전기(30, TCD)에서,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되는 전기차(4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후, 전기차(40)의 충전이 종료(S350)되면 관리서버(20)에서는 전기차(40)의 배터리의 충전에 따른 충전요금을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할 수 있다(S360).
관리서버(20)는 충전이 종료된 이후에 타깃 충전기(30, TCD)의 커플러(310)가 전기차(40)에서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70).
제 S370 단계에서 판단결과 커플러(310)가 전기차(40)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관리서버(20)는 해당 전기차(40)에 대응하는 충전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S380).
반면에, 제 S370 단계에서 판단결과 커플러(310)가 전기차(40)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는 관리서버(20)는 전기차(40)의 충전이 종료된 이후부터 미리 설정된 제 3 기준시간(Third Reference Time)이 지났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71).
제 S371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3 기준시간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제 S37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371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 3 기준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추가요금을 부가할 수 있다(S372).
다른 관점에서 보면, 관리서버(20)에서, 전기차(40)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 3 기준기간이 지난 제 1 시점에서, 전기차(40)에 타깃 충전기(30, TCD)의 커플러(31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추가 요금을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스트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타깃 충전기(30, TCD)의 점유를 해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사용자가 복수의 충전기(30)를 선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복수의 충전기를 선점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0)에서는 도 14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면에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1, CCD2, CCD3, CCD4, CCD5)의 위치를 현재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P1)에 대응되도록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1, CCD2, CCD3, CCD4, CCD5) 중 복수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1, CCD2, CCD3, CCD4, CCD5) 중 제 4 후보 충전기(30, CCD4) 및 제 5 후보 충전기(30, CCD5)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4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의 화면에는 선택된 제 4 후보 충전기(30, CCD4) 및 제 5 후보 충전기(30, CCD5)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4의 (B)에서 사용자가 제 4 후보 충전기(30, CCD4)에 대응되는 선택메뉴(CMU) 및 제 5 후보 충전기(30, CCD5)에 대응되는 선택메뉴(CMU)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 4 후보 충전기(30, CCD4) 및 제 5 후보 충전기(30, CCD5)가 사용자가 원하는 타깃 충전기(30, TCD)로서 선택될 수 있다.
긴급하게 전기차(40)의 충전을 원하는 사용자가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리서버(20)에서는 판별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S240)한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51).
제 S251 단계에서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는 선택된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 즉 하나의 타깃 충전기(30, TCD)의 선점을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260).
반면에, 제 S251 단계에서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서버(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52).
관리서버(20)에서는 제 S252 단계에서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253).
제 1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충전기(30, CCD)가 선택되기 까지 대기하는 기능, 검색조건을 변경하는 기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제 S252 단계에서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를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는 선택된 복수의 후보 충전기(30, CCD), 즉 복수의 타깃 충전기(30, TCD)의 선점을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260).
이러한 경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깃 충전기(30, TCD)가 잠길 수 있다(S27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가 복수의 타깃 충전기(30, TCD)의 선점을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하는 경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타깃 충전기(30, TCD)가 잠길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20)는 잠긴 적어도 하나의 타깃 충전기(30, TCD)에 사용자 단말기(10)의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80).
예를 들어, 복수의 타깃 충전기(30, TCD)가 잠긴 상태에서는 관리서버(20)는 잠긴 복수의 타깃 충전기(30, TCD)에 각각 사용자 단말기(10)의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80).
아울러, 복수의 타깃 충전기(30, TCD)가 잠긴 상태에서는 관리서버(20)는 각각의 타깃 충전기(30, TCD)에 대응하여 별도로 선점비용을 부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20)에서는 복수의 타깃 충전기(30, TCD)에 대응하여 대기시간을 판별할 수 있다(S271).
관리서버(20)에서는 복수의 타깃 충전기(30, TCD)에 각각 가중치를 할당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호스트 사용자가 선택하는 타깃 충전기(30, TCD)의 개수에 따라 타깃 충전기(30, TCD)에 할당되는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서버(20)는 호스트 사용자가 선택하는 타깃 충전기(30, TCD)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타깃 충전기(30, TCD)에 할당되는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20)는 호스트 사용자에게 복수의 타깃 충전기(30, TCD)의 잠금에 대응하는 선점비용을 각각 부가할 수 있다(S272).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된 선점비용은 반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사용자가 하나의 타깃 충전기(30, TCD)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16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타깃 충전기(30, TCD)에 할당되는 가중치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기시간이 10분인 경우 선점비용은 500원, 15분인 경우 1000원, 20분인 경우 2000원, 25분인 경우 4000원, 30분인 경우 8000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대기시간이 증가할수록 선점비용은 누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호스트 사용자가 2개의 타깃 충전기(30, TCD)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1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타깃 충전기(30, TCD)에 할당되는 가중치를 1.2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기시간이 10분인 경우 선점비용은 600원, 15분인 경우 1200원, 20분인 경우 2400원, 25분인 경우 4800원, 30분인 경우 9600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호스트 사용자가 3개의 타깃 충전기(30, TCD)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1.2보다 더 높은 가중치, 예를 들면 1.5의 가중치를 3개의 타깃 충전기(30, TCD)에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이처럼 호스트 사용자가 선택하는 타깃 충전기(30, TCD)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선점비용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호스트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하게 많은 수의 타깃 충전기(30, TCD)를 선점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호스트 사용자가 2개의 후보 충전기(30, CCD), 즉 제 1 충전기(30)와 제 2 충전기(30)를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관리서버(20)에서, 호스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충전기(30) 및 제 2 충전기(30)에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잠글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20)에서,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즉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잠긴 제 1 충전기(30) 및 잠긴 제 2 충전기(30)에 전송할 수 있다.
호스트 사용자가 제 1 충전기(30) 및 제 2 충전기(30) 중에서 제 1 충전기(30)를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사용자는 제 1 충전기(30)에 미리 설정된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 사용자는 제 1 충전기(30)의 카드리더기(340)에 신용카드, 회원카드 등을 근접시키는 방법으로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호스트 사용자는 제 1 충전기(30)의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된 인증정보 입력창(PIW)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충전기(30)에서, 호스트 사용자의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후, 호스트 사용자는 잠김이 해제된 제 1 충전기(30)에서, 전기차(4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20)에서, 제 1 충전기(30)에 대응하여 전기차(40)의 배터리의 충전에 따른 충전요금을 호스트 사용자에게 부가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서버(20)에서, 제 1 충전기(30)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따른 제 2 선점비용을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할 수 있다.
제 2 선점비용은 선불형태로 청구되며 반납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선점비용은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2의 가중치가 할당된 금액일 수 있다.
만약 호스트 사용자가 하나의 타깃 충전기(30, TCD)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가중치 1이 할당된 선점비용(제 1 선점비용)이 호스트 사용자에게 부가될 수 있다.
제 2 선점 비용은 제 1 선점 비용보다 더 클 수 있다.
제 2 충전기(30)에서는, 제 1 충전기(30)의 잠금 해제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제 1 충전기(30)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시점에서 제 2 충전기(3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서버(20)에서, 제 2 충전기(30)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따른 제 2 선점비용을 호스트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할 수 있다.
제 2 충전기(30)는 호스트 사용자의 전기차(40)의 충전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충전기(30)에 대한 충전비용은 호스트 사용자에게 부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Charging Device)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선점하기 위한 선점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에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잠그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잠긴 상기 충전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잠긴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관리서버로 검색조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조건은 위치에 대한 위치조건 및 시간에 대한 시간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건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기까지의 거리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조건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충전기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는 판별시점에서 충전에 사용되지 않은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잠긴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전기차와의 연결을 위한 커플러(Coupler)의 걸쇠(Latch)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잠김이 해제된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따른 충전요금을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따른 제 1 선점비용을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선점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충전기 및 제 2 충전기에 상기 선점명령신호를 전송하여 잠그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잠긴 상기 제 1 충전기 및 잠긴 상기 제 2 충전기에 전송하는 단계;
잠긴 상기 제 1 충전기에서, 상기 인증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 2 충전기에서, 상기 제 1 충전기의 잠금 해제에 대응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잠김이 해제된 상기 제 1 충전기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제 1 충전기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따른 충전요금을 부가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제 1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따른 제 2 선점비용을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제 2 충전기를 잠그는 시점부터 잠금을 해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 2 선점비용을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여 부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선점비용은 상기 제 1 선점비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2186673.4A EP4124501A1 (en) | 2021-07-26 | 2022-07-25 |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CN202210882812.8A CN115675146A (zh) | 2021-07-26 | 2022-07-26 | 电动汽车的充电系统及充电方法 |
JP2022118924A JP7385950B2 (ja) | 2021-07-26 | 2022-07-26 | 電気自動車充電方法およびその方法 |
US17/814,958 US20230026182A1 (en) | 2021-07-26 | 2022-07-26 |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098153 | 2021-07-26 | ||
KR1020210098153 | 2021-07-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6586A true KR20230016586A (ko) | 2023-02-02 |
Family
ID=8522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7224A KR20230016586A (ko) | 2021-07-26 | 2022-07-14 | 전기차의 충전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1658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0169A (ko) | 2017-10-19 | 2018-01-30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전기차 충전 예약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예약이 가능한 충전기 |
-
2022
- 2022-07-14 KR KR1020220087224A patent/KR202300165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0169A (ko) | 2017-10-19 | 2018-01-30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전기차 충전 예약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예약이 가능한 충전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26574B2 (ja) |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車両貸出返却方法 | |
CN103661269B (zh) | 用于在车辆中管理用户的生物识别数据的设备和方法 | |
CN110546670A (zh) | 共享系统 | |
US11535115B2 (en) | Electric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power to another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ystem | |
US9989971B2 (en) |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management method | |
KR20180104561A (ko) |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 |
US947204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ower-charging space for a vehicle, especially a self-service electrical vehicle | |
EP3656603A1 (en) | Charging station and system with vehicle presence sensor and authentication function | |
CN110392082B (zh) | 车辆控制方法和系统 | |
JP5365797B2 (ja) | 共用車両管理システム及び共用車両管理方法 | |
CN111932780B (zh) |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电力管理系统 | |
KR20220023435A (ko) | V2v 충전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12406614A (zh) | 一种电动车辆智能充电方法及系统 | |
US20120303257A1 (en) | Power charging station administration device | |
JP2019159768A (ja) | 車両貸出システムおよび車両貸出管理装置 | |
CN109887326A (zh) | 车位预约控制方法及车位预约控制装置 | |
EP3747691A1 (en) | Vehicle battery exchan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2005135070A (ja) |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検知装置、及び情報通信端末 | |
CN111823918A (zh) | 一种充电桩的充电控制方法 | |
CN109584607A (zh) | 一种停车场自动泊车的方法及系统 | |
KR20230016586A (ko) | 전기차의 충전 방법 및 시스템 | |
CN108621833A (zh) | 基于车辆用户主动触发的充电桩解锁方法、装置及系统 | |
EP4124501A1 (en) |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
EP3868596B1 (en) | System for managing an electric charging service in a vehicle and vehicle supplying an electric charging service | |
CN107862769B (zh) |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