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561A -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561A
KR20180104561A KR1020180023780A KR20180023780A KR20180104561A KR 20180104561 A KR20180104561 A KR 20180104561A KR 1020180023780 A KR1020180023780 A KR 1020180023780A KR 20180023780 A KR20180023780 A KR 20180023780A KR 20180104561 A KR20180104561 A KR 2018010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harging
information
charge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764B1 (ko
Inventor
한찬희
신규식
Original Assignee
한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찬희 filed Critical 한찬희
Publication of KR2018010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G06Q50/30
    • B60L11/1824
    • B60L11/18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 그리고,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통해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주차가능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가능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이 나타나고 상기 주차불가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불가시간에는 상기 주차불가표시등이 나타나도록 상기 충전장치를 제어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CHARGING SYSTEM COMBINED PARK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면 권리자가 이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주차면과 주차면에 설치된 충전시설을 타인의 차량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주차요금 및 충전요금을 부과 및 정산하여 관계자 간에 수익을 나눌 수 있게 하며, 허가된 사용자 외에는 주차면에 주차 및 충전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에 이목이 집중됨에 따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친환경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자동차라 하여 현재 각 국가별로 보조금까지 지급해가며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뿐만 아니라, 전기자전거를 비롯하여 장애인용 휠체어, 전기바이크 등 내연기관 엔진을 대체하는 전기제품이 날로 늘어가고 있다.
전기차 보급에 가장 큰 걸림돌은 충전 시설을 확충하는 것인데, 전기차는 충전하는데 기존 석유연료 차량에 비해 훨씬 오랜시간이 소요되므로, 오랜시간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시설에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요소는 주차 공간이다. 국내의 도심 지역은 항상 주차 공간 부족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차 충전 시설 확충을 위해 별도의 주차 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이처럼, 주차 공간 부족의 문제와 전기차 충전 시설 확충의 문제는 분리시킬 수 없는 문제이다.
한편, 유료 주차장 등을 통해 주차 공간이 확보된다 하더라도, 도심 지역에서의 주차료는 전기차 충전료에 비해 훨씬 비싼 점을 감안하면 전기차 충전을 위해 해당 주차면을 비워둬야 한다는 것은, 유료 주차장을 운영하는 업자 입장에서는 상당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현재 전기차 충전 시설이 민간으로 확산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보급이 확대됨에 맞추어 전기자동차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시급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효율적으로 전기차 충전 시설을 민간 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차면 소유자, 주차면 운영자 등 주차면에 관련된 권한을 가진 자가 자신이 주차면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주차면을 공유하여 다른 사람이 주차 및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 및 충전 요금 발생에 따른 이익을 서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 그리고,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통해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달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 이동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리더기, 그리고,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가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근거리통신리더기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되고,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달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콘센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형태로 형성된 충전기에는 식별코드 리더기가 내장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상기 전기차의 연결 수단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승인하고 승인된 식별코드가 부착된 전기차 등 이동형 전동기기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식별코드 리더기는 RFID리더기고, 상기 식별코드는 RFID코드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CCTV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관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상기 전기차를 감지하며,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전기차가 상기 기 설정된 관리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시부의 감시카메라 또는 상기 CCTV가 획득한 영상을 통해 상기 전기차의 차량번호를 문자인식으로 추출하여 인식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전기차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번호판을 조회하며, 조회 결과 상기 전기차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에 상시 주차가 가능한 전기차인 경우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 정보에 상관 없이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에 주차가 허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가 구비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 상기 스피커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주차면을 표시한 지도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 예약 시간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표시부는 주차 예약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예약 표시등을 구비하여 전송 받은 주차 예약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주차 예약 표시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감시부 또는 상기 CCTV는 각각 획득한 영상을 상기 운영서버 및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을 전송 받은 상기 운영서버 또는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충전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으로서, 주차면 권리자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와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가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통해 운영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장치에는 상기 주차가능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가능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이 나타나고 상기 주차불가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불가시간에는 주차불가 표시등이 나타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주차면 권리자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차가능시간정보 및 주차불가시간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 가능한 기 지정된 차량번호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가 구비한 근거리통신리더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가 상기 주차가능시간정보 및 주차불가시간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 가능한 기 지정된 차량번호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장치는 주차 가능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 불가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기 설정된 주차 가능 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을 점등하고, 기 설정된 주차 불가 시간에는 상기 주차불가표시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위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은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주차면을 표시한 지도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정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가 주차 예약 시간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는 주차 예약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예약 표시등을 더구비하여 전송 받은 주차 예약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주차 예약 표시등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장치가 관리하는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면에 차량이 접근하여 상기 충전장치가 기설정된 관리범위 내에 진입한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경우 감시카메라 또는 CCTV가 획득한 영상이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충전장치가 상기 영상을 통해 상기 전기차의 차량번호를 문자인식으로 추출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기설정된 상기 주차면의 권리자의 차량번호이면 주차를 안내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기설정된 상기 주차면의 권리자의 차량번호가 아니거나, 상기 주차면이 주차 불가 시간인 경우 주차 불가를 알리는 경고음 또는 경고표시등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주차면이 주차 가능 시간이면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는 주차 신청 정보 및 충전 신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의 근거리통신리더기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는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통해 운영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주차 및 충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과금이 상기 운영서버에서 이루어지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과금에 대한 수익 배분 및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에 이용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 그리고,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장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의 매개에 의해 운영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충전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되며, 기설정된 주차가능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을 나타내고 기설정된 주차불가시간에는 상기 주차불가표시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기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RFID리더기가 내장된 콘센트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상기 전기차의 연결 수단에 부착된 RFID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RFID코드를 인식하여 승인하고 승인된 RFID코드가 부착된 전기차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RFID코드는 상기 전기차 종류에 따라 각각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 및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ID리더기는 상기 RFID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들을 판독하여 상기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기차가 승인된 전기차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통해 상기 충전기의 충전에 따른 상기 전기차로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기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RFID리더기가 내장된 콘센트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상기 전기차의 연결 수단에 부착된 RFID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RFID코드를 인식하여 승인하고 승인된 RFID코드가 부착된 전기차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운영서버에는 상기 RFID코드별 RFID 고유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전기차 종류에 따라 각각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 및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충전기가 상기 RFID 고유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RFID 고유 정보와 대응되는 추가 정보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며, 상기 RFID리더기는 전송 받은 추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기차가 승인된 전기차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통해 상기 충전기의 충전에 따른 상기 전기차로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면 소유자, 주차면 운영자 등 주차면에 관련된 권한을 가진 자가 자신이 주차면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주차면을 공유하여 다른 사람이 주차 및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 요금 발생에 따른 이익을 서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 및 충전 가능 시간 설정, 주차 및 충전 예약 시간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무권리자가 주차면 권리자의 주차 공간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을 위한 별도의 주차면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충전 설비 및 과금 설비 등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주차면을 활용하여 전기차 충전 시설을 설치하고 주차면 권리자가 주차를 하지 않는 시간대에 타인의 차량에게 주차면과 전기차 충전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수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참고로 하는 도면일 뿐, 도면에 도시된 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식 가능한 식별코드가 부착된 전기차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에 부가될 수 있는 절차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사용패턴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센트 형태로 형성되는 충전기에 내장된 RFID리더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명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현재의 일반 주차장, 주택가 및 상가 주차장들은 전기 자동차 충전시설을 완벽하게 갖추기 어려우므로, 전기 자동차가 주차하여 충전을 하려 해도 곤란한 경우가 많다. 충전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이유는 주차장 부지가 임대 용지가 많아 자율적으로 전기 공사를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는 방법은, 차량 접근성이 좋은 도로 옆의 상가, 주택 등의 벽면에 전기공급 시설을 설치하고, 해당 주차면에 권한있는 자 또는 주차장 권리자가 주차면이 이용되지 않는 시간, 즉 주차 가능 일자 및 시간 등을 스마트폰 앱 혹은 PC 웹상에 정보로서 등록하면, 주차면을 이용하려는 자 또는 충전을 하려는 자는 검색을 통해 쉽고 빠르게 가장 가깝거나 또는 가장 저렴한 위치에 있는 주차장에서 주차 및/또는 충전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앱 및 웹을 통해 결제까지 가능토록 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서비스 중인 주차장 정보 공유 및 예약 서비스를 확대 변형하여 주차장 부지 소유자, 주차장 소유자 및 임차인 등 주차장에 대한 권한이 있는 자라면 누구나 주차 및 충전 서비스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주차문제와 더불어 충전 인프라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토록 한 시스템으로서, 주차에 공유 개념을 도입하고, 손쉽게 충전 인프라를 설치하여 주차장을 이용하는 자라면 누구나 충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주차장 소요자 또는 권리자의 감시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앱 및 웹 서비스를 통해 주차면 이용자에게는 검색, 예약, 결제까지 한 번에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도상의 위치표시 서비스 및 이용자 통계 서비스, 전력 사용량 표시 서비스, 이용 금액 및 조건, 시간설정 및 위치, 과금, 정산 등 전기 충전과 관련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이하,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이라 함)을 구성하는 충전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은 충전장치(10), 네트워크를 통해 충전장치(10)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30), 충전장치(10) 및 운영서버(30)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를 포함한다.
충전장치(10)는 충전기(11), 표시부(12), 센서부(13), 인식부(14), 근거리통신리더기(15), 감시부(16), 스피커(17), CCTV(18)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11)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한다. 여기서, 충전이란 상기 전기차가 구비한 전력 저장 수단으로서의 배터리 등을 충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충전 방식에 따라 충전기(11)는 전기차에 외부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콘센트를 구비하거나, 상기 전기차에 기저장된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충전기(11)가 상기 전기차에 외부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콘센트를 구비하는 경우, 충전기(11)는 상기 전기차의 코드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인식된 식별코드가 부착된 전기차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별코드가 부착된 전기차 등 이동형 전동기기에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는 전력 충전을 위해 콘센트에 연결 가능한 연결 수단(코드 등)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 수단에는 RFID, QR코드, 바코드 등의 식별코드가 내장될 수 있다. 이 때, 충전기(11)는 상기 연결 수단에 내장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식별코드 리더기(인식 수단)을 구비하여 연결 수단에 내장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국내의 경우 전기요금이 사용용도에 따라 가정용, 상업용, 산업용, 농업용, 전기용 등에 따라 각기 다르기 때문에 전기차 전용요금제로 승인된 콘센트에 릴케이블을 연결하고, 이에 에어컨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부정사용이 우려되어, 한국전력에서는 이를 승인하지 않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전원플러그에 캡슐형태의RFID를 삽입하고 충전기 콘센트에 RFID리더기를 장착하여 RFID리더기가 전원플러그의 RFID정보를 판독하여 승인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RFID캡슐형태를 이용한 전기공급방법은 승인된 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절단한 후 비 승인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사용패턴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전기사용패턴정보는 최소전류 또는 최대전류, 정전류(CC), 정전압(CV), 충전한계량을 시간대별 전기사용 범위로 정하여 사용될 수 있고, 기기 유형별 전기사용 범위를 벗어나는 전기사용패턴은 부정사용으로 간주하여 전기공급을 차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가기 유형별 전기사용 범위란 예를 들어 기기 유형별로 최소전류는 최소전류 이하의 전류가 공급될 때, 최대전류는 최대전류 이상의 전류가 공급될 때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도 8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정전류(CC)와 정전압(CV)의 충전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정시간 동안에 전압곡선은 상승하다가 그대로 유지하는데 전류곡선(점선)은 그대로 유지하다가 오히려 하강하는 현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각 배터리들의 충전 패턴을 이용하여 등록된 기기와 동일한 충전 패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예를 들어 시간대별 전류 변화의 정도를 전기사용 범위로 정해 정상기기인지를 판단해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이용하는 에어컨 등은 일정시간 동안 전기공급이 되다가 실내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멈추었다가 또 시간이 지나면 다시 전기가 공급되는 방식으로 반복적인 형태를 보이는데 이러한 변화를 전기사용 범위로 정해 전기사용패턴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RFID 정보를 통해 부정사용 RFID를 찾아내는 방법도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번째로,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에 들어가는 RFID에 RFID의 고유정보(제품출하 시 지정된 시리얼넘버 등) 외에 추가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정보는 기기 종류에 따라 달리하는 지정값 정보와 상술한 전기사용패턴정보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콘센트 형태의 충전기에 전원플러그가 꼽히면 RFID리더기가 상기 전원플러그의 RFID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RFID 정보가 승인된 기기의 지정값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하여 전기를 공급하고, 전기가 공급되는 전기사용패턴이 상기 RFID에서 읽어온 전기사용패턴정보와 상이하면 전기공급을 차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형 충전기에 내장된 RFID리더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에서 나온 안테나가 콘센트 주변에 에워싸는 형태로 장착되어야 안정적으로 전원플러그의 RFID 정보를 읽어 올 수 있다.
두번째로,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에 들어가는 RFID에는 제품출하 시 제공된 고유번호만이 존재하고 RFID별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기기 정보와 전기사용패턴정보를 운영서버에 저장해 놓고, 운영서버로 상기 콘센트형 충전기의 RFID리더기가 전원플러그의RFID고유번호를 전송해 오면 운영서버가 상기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전기사용패턴정보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여 상기 전원플러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가 전기사용패턴정보와 상이하면 전기공급을 차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콘센트 형태의 부정사용 RFID를 찾아냈을 때 이를 막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기사용패턴정보를 이용하여 부정사용 RFID를 찾아내 전기사용을 차단했다 하더라도 매번 이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은 전기사용에 이상이 없으므로 지속적으로 부정사용을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정사용이 일정횟수(예컨데 3회) 이상 이루어지는 RFID에 대해서는 불량 RFID로 분류해서 처음부터 전기사용을 차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 요금이 일반 가정의 전기료에 비해 저렴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충전기(11)와 에어컨 간의 연결 등 충전기(11)는 승인되지 않은 기기와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충전기(11)가 식별코드를 인식한 결과 충전기(11)가 제공하는 정격 전압이나 전류가 전기차에 적용될 수 없거나, 전기차가 충전기(11)가 충전할 수 없는 종류의 전기차라고 판단되면 충전기(11)는 충전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인식 결과 전기차가 충전 가능 전기차이거나, 권한이 있는 전기차인 경우 충전기(11)는 전기차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기(11)는 이동형 충전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기차 뿐만 아니라, 전동 스쿠터, 장애인 전동휠체어 등 각종 전동기기와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기(11)가 콘센트 형태로 제공될 시에는 주차 및 충전 겸용 콘센트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전기오토바이나 장애인전동스쿠터 등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100)은 주차 기능이 없는 충전 기능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11)와 네트워크를 통해 충전기(11)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RFID리더기가 내장된 콘센트 형태로 제공되며, 충전기(11)는 충전기(11)와 연결되는 상기 전기차의 연결 수단에 부착된 RFID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RFID코드를 인식하여 승인하고 승인된 RFID코드가 부착된 전기차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RFID코드는 상기 전기차 종류에 따라 각각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 및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ID리더기는 상기 RFID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들을 판독하여 상기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기차가 승인된 전기차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통해 충전기(11)의 충전에 따른 상기 전기차로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11)와 네트워크를 통해 충전기(11)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30)를 포함하고, 충전기(11)는 RFID리더기가 내장된 콘센트 형태로 제공되며, 충전기(11)는 충전기(11)와 연결되는 상기 전기차의 연결 수단에 부착된 RFID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RFID코드를 인식하여 승인하고 승인된 RFID코드가 부착된 전기차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하되, 운영서버(30)에는 상기 RFID코드별 RFID 고유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전기차 종류에 따라 각각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 및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충전기(11)가 상기 RFID 고유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운영서버(30)는 상기 RFID 고유 정보와 대응되는 추가 정보를 충전기(11)로 전송하며, 상기 RFID리더기는 전송 받은 추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기차가 승인된 전기차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통해 충전기(11)의 충전에 따른 상기 전기차로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2)는 주차가능표시등, 주차불가표시등, 주차예약표시등을 구비하여 상기 소정 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 정보, 주차 예약 여부 정보 및 충전 가능 여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는 복수의 표시등을 구비하고, 외부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주차 예약 정보와 각각의 표시등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 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 정보, 주차 예약 여부 정보, 충전 가능 여부 정보 및 주차 경고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2)는 빨간색 표시등, 파란색 표시등, 노란색 표시등 및 초록색 표시등을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표시등이 켜진 경우 주차 불가, 주차 가능, 예약됨, 충전 가능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는 주차 경고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빨간색 표시등을 점멸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표시등의 점멸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부(12)는 점등에 따라 주차 가능, 주차 불가 등의 문구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 가능, 주차 불가, 주차 예약 등의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2)는 주차 가능 표시를 나타내는 제1표시등 및 주차 불가 표시를 나타내는 제2표시등을 구비하여 기 지정된 주차 가능 시간에는 제1표시등을 점등하고 기 지정된 주차 불가 시간에는 제2표시등을 점등 수 있다. 제1표시등 및 제2표시등은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서로 다른 문구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각각 포함함으로써 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부(12)는 주차 예약 표시를 나타내는 제3표시등을 구비할 수 있고, 제3표시등이 점등된 경우 해당 소정 공간은 예약이 완료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는 주차 경고 표시를 나타내는 제4표시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술한 제1표시등 내지 제4표시등은 각각, 주차 가능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가능 표시등, 주차 불가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불가 표시등, 주차 예약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예약 표시등 및 주차 경고 표시를 나타내는 경고 표시등일 수 있다. 주차 가능, 주차 불가, 주차 예약 및 경고에 관한 정보는 각 표시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등을 점등하여 특정 색상 또는 문구를 나타냄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주차면의 주차 가능 시간은, 예컨대, 상기 소정 공간이 관공서에서 운영하는 거주자 우선 주차면인 경우 장기 주차를 신청한 주민이 이용하는 시간(주간 또는 야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장기 주차를 신청한 주민의 차량은 상시 주차 가능한 차량으로 분류될 수 있고, 해당 차량의 번호 조회를 통해 상시 주차 가능한 차량임이 확인될 수 있다.
센서부(13)는 상기 소정 공간으로의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센서부(13)는 적외선 센서, 거리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고, 관리 범위를 설정하여 관리 범위로 상기 전기차가 진입하는 경우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는 스피커 모듈을 구비하여 센싱된 경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센서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인식부(14)는 상기 전기차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 때 아래 설명될 감시부(16) 또는 CCTV(18)가 획득한 감시카메라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인식부(14)는 센서부(13)가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전기차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번호판에 적힌 숫자, 문자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는 기 설정된 관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상기 전기차를 감지하고, 인식부(14)는 센서부(13)가 상기 전기차가 상기 기 설정된 관리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아래에서 설명될 감시부(16)의 감시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 또는 별도의 CCTV(18)가 획득한 CCTV 영상을 통해 상기 전기차의 차량번호를 문자인식으로 추출하여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인식부(14)가 전기차의 번호판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전기차가 소정 공간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인식부(14)가 번호판 인식을 문제 없이 수행할 수 있으나, 인식부(14)가 전기차의 번호판을 비스듬히 바라보는 방향 또는 전기차가 감시카메라의 사각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인식부(14)가 번호판 인식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감시부(16)는 센서부(13)가 상기 소정 공간으로의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상하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사진은 관제 센터 혹은 운영서버로 보내질 수 있다. 이 후, 관제센터 혹은 운영서버에서 촬영된 사진을 재차 분석하여 인식부(14)와 별도로 번호판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번호판 인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인식부(14)는 추출된 숫자, 문자 등을 토대로 상기 전기차의 번호판을 운영서버(30)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은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소정 공간으로의 상기 전기차의 진입 허용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운영서버(30)에 상기 전기차의 번호판 인식을 통해 추출한 상기 전기차의 차량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인식부(14)는 상기 소정 공간으로의 상기 전기차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불허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100)은 조회 결과 상기 전기차가 상기 소정 공간의 권리자 소유의 전기차인 경우 상기 소정 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 정보에 상관 없이 상기 소정 공간에 주차가 허용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이 때, 아래에서 설명될 스피커(17)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은 특정 주차면 등의 형태인 상기 소정 공간의 소유자 또는 권리자는 상기 소정 공간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타인에게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리더기(15)는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21) 및/또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의 웹 또는 앱을 통해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 받거나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21) 및/또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로 특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감시부(16)는 감시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공간 또는 특정 관리 범위를 촬영하고 감시할 수 있다. 예컨대, 감시부(16)는 별도의 CCTV(18)와 함께 상기 소정 공간으로의 상기 전기차의 진입 과정부터 상기 소정 공간에서의 상기 전기차의 진출 과정까지를 촬영할 수 있다. 감시부(16) 및 CCTV(18)가 촬영한 영상은 운영서버(30), 외부 단말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21) 및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감시부(16)는 센서부(13)가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을 운영서버(20) 및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을 전송 받은 운영서버(20) 또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충전기(11) 및 스피커(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을 전송 받은 운영서버(20) 또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는 기 지정된 주차 가능 시간이 아니거나, 기 지정된 주차 불가 시간에 상기 영상을 전송 받은 경우, 스피커(17)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입력받은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을 전송 받은 운영서버(20) 또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는 기 지정된 주차 가능 시간이 아니거나, 기 지정된 주차 불가 시간에 상기 영상을 전송 받은 경우, 충전기(11)를 제어하여 충전기(11)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기차의 충전을 불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100)은 감시카메라를 보유한 감시부(16)와 별도의 CCTV(18)를 연동 및 연계하여 주차면 권리자가 주차면에 타인이 주차를 하거나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봉쇄하는 감시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감시카메라와 CCTV(18) 모두 주차 공간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동일/유사하거나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CCTV(18)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일정 범위 내의 영역에 대한 경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면 권리자는 스마트폰 등의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를 통해 감시부(16)가 획득한 감시카메라 영상 및/또는 경비를 목적으로 하는 CCTV(18)가 획득한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피커(17)는 인식부(14)의 진입 허용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음성을 통해 상기 소정 공간으로의 상기 전기차의 진입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7)는 운영서버(30)로부터 전송된 과금 정보, 결제 정보 및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주차 가능 여부 정보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진입 허용 결과가 진입 불가능인 경고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단말기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일 수 있다. 예컨대,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가 구비한 마이크를 통해 실제 주차면 권리자의 음성 또는 기 녹음된 음성이 입력된 경우, 해당 음성이 스피커(1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상기 전기차의 주차 정보, 충전 정보, 상기 소정 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 정보, 주차 예약 여부 정보 및 충전 가능 여부 정보, 주차가능시간정보 및 주차불가시간정보 및 상기 소정 공간에 주차 가능한 기 지정된 차량번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충전장치(10)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충전장치(10) 또는 운영서버(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운영서버(30)로 하여금 이러한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밖에도, 외부 단말기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운영서버(30)로 전송하거나, 이로부터 특정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단말기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21) 또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일 수 있다.
이 때, 외부 단말기는 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 단말기는 LTE 등의 이동통신망 또는 Wi-Fi 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Bluetooth, NFC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 단말기는 웹, 앱, 이동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각종 정보들을 충전장치(10) 및/또는 운영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의 주차 정보, 충전 정보, 상기 소정 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 정보, 주차 예약 여부 정보 및 충전 가능 여부 정보, 주차가능시간정보 및 주차불가시간정보 및 상기 소정 공간에 주차 가능한 기 지정된 차량번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충전장치(10)가 구비한 근거리통신리더기(1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가 구비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 충전장치(10)의 스피커(17)로 전달될 수 있다.
운영서버(30)는 네트워크(예컨대, 이동통신망 또는 Wi-Fi망)을 이용하여 충전장치(10)를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운영서버(30)에는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각종 정보들이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30)는 전기차의 주차 정보 및 충전 정보에 따라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수익 배분 방법 또는 정보에 따라 과금 정보에 따른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를 통해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가 상기 운영서버(3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가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에서 근거리통신리더기(15)를 통해 충전장치(10)로 전송되고,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구현예들에 있어서,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를 통해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가 운영서버(30)로 전송되면, 운영서버(30)는 상기 주차가능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가능시간에는 주차가능표시등이 나타나고 상기 주차불가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불가시간에는 상기 주차불가표시등이 나타나도록 충전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차면 권리자나 사용자의 단말기가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대신하는 경우에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차 시간 또는 충전 시간, 충전량을 입력하고 해당 단말기를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에 인식시키고, 이에 따라, 충전장치에 내장된 NFC 또는 블루투스 리더기 등의 근거리통신리더기가 해당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다시 운영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100)은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21)에는 상기 주차면을 표시한 지도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정보가 표시되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21)는 주차 예약 시간 정보를 충전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는 주차 예약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예약 표시등을 구비하여 전송 받은 주차 예약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주차 예약 표시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은 상술한 충전기, 표시부, 센서부, 인식부, 근거리통신리더기, 감시부 등이 일체화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단일의 장치를 형성하는 형태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충전 장치(10),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21),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22) 및 운영서버(30)는 각각 개별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에 이용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 그리고,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장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의 매개에 의해 운영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충전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되며, 기설정된 주차가능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을 나타내고 기설정된 주차불가시간에는 상기 주차불가표시등을 나타내는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100)을 운영하는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에 부가될 수 있는 절차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지금부터 설명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들은 상술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100)을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일 운영 방법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으로서, 주차면 권리자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와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가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통해 운영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s401), 그리고, 상기 충전장치에는 상기 주차가능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가능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이 나타나고 상기 주차불가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불가시간에는 주차불가 표시등이 나타나는 단계(s402)를 포함한다. 여기서, s402단계는 상기 주차가능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가능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이 나타나고 상기 주차불가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불가시간에는 주차불가 표시등이 나타나도록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충전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다른 운영 방법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주차면 권리자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차가능시간정보 및 주차불가시간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 가능한 기 지정된 차량번호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가 구비한 근거리통신리더기로 전송하는 단계(s501),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가 상기 주차가능시간정보 및 주차불가시간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 가능한 기 지정된 차량번호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이를 저장하는 단계(s502), 그리고, 상기 충전장치는 주차 가능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 불가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기 설정된 주차 가능 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을 점등하고, 기 설정된 주차 불가 시간에는 상기 주차불가표시등을 점등하는 단계(s5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장치가 관리하는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들은 각각 상기 주차면에 차량이 접근하여 상기 충전장치가 기설정된 관리범위 내에 진입한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경우 감시카메라 또는 CCTV가 획득한 영상이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되는 단계(s601), 상기 충전장치가 상기 영상을 통해 상기 전기차의 차량번호를 문자인식으로 추출하여 인식하는 단계(s602),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기설정된 상기 주차면의 권리자의 차량번호이면 주차를 안내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기설정된 상기 주차면의 권리자의 차량번호가 아니거나, 상기 주차면이 주차 불가 시간인 경우 주차 불가를 알리는 경고음 또는 경고표시등을 작동시키는 단계(s603), 상기 주차면이 주차 가능 시간이면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는 주차 신청 정보 및 충전 신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의 근거리통신리더기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는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통해 운영서버로 전송되는 단계(s604), 상기 전기차의 주차 및 충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과금이 상기 운영서버에서 이루어지는 단계(s605)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과금에 대한 수익 배분 및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은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들은 각각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주차면을 표시한 지도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정보가 표시되는 단계(s701),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가 주차 예약 시간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702),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주차 예약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예약 표시등을 더구비하여 전송 받은 주차 예약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주차 예약 표시등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면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주차장(소정 공간) 중 거리가 가깝거나 가격이 저렴한 조건 등에 맞는 주차장을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주차장을 이용하기 위하여 자신의 정보를 웹상에 등록하여 주차 또는 충전을 예약할 수 있다. 이 정보로는 주차면 이용자의 차량번호, 주차면 이용시간 등이 있다.
이후, 주차면 이용자는 예약된 시간에 예약된 주차장에서 주차 및 충전을 해결하고, 충전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주차 요금은 주차장에 대해 직접 결제하거나, 산정된 주차 요금을 결제회사에 대해 결제할 수 있으며, 주차 및 충전 요금은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운영서버에서 산정되고, 각 정산자들에게 이득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면 소유자, 주차면 운영자 등 주차면에 관련된 권한을 가진 주차면 권리자가 자신이 주차면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주차면을 공유하여 다른 사람이 주차 및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 요금 발생에 따른 이익을 서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 및 충전 가능 시간 설정, 주차 및 충전 예약 시간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주차면 권리자는 무권리자가 주차면 권리자의 주차 공간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을 위한 별도의 주차면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충전 설비 및 과금 설비 등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주차면을 활용하여 전기차 충전 시설을 설치하고 주차면 권리자가 주차를 하지 않는 시간대에 타인의 차량에게 주차면과 전기차 충전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 그리고,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통해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가 상기 운영서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2.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 이동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리더기, 그리고,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가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근거리통신리더기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되고,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콘센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형태로 형성된 충전기에는 식별코드 리더기가 내장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상기 전기차의 연결 수단에 부착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승인하고 승인된 식별코드가 부착된 전기차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식별코드 리더기는 RFID리더기고, 상기 식별코드는 RFID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RFID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ID코드는 상기 전기차 종류에 따라 각각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 및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ID리더기는 상기 RFID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들을 판독하여 상기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기차가 승인된 전기차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통해 상기 충전기의 충전에 따른 상기 전기차로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에는 상기 RFID코드별 RFID 고유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전기차 종류에 따라 각각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 및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충전장치가 상기 RFID 고유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RFID 고유 정보와 대응되는 추가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RFID리더기는 전송 받은 추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기차가 승인된 전기차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통해 상기 충전기의 충전에 따른 상기 전기차로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CTV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관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상기 전기차를 감지하며,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전기차가 상기 기 설정된 관리 범위 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시부의 감시카메라 또는 상기 CCTV가 획득한 영상을 통해 상기 전기차의 차량번호를 문자인식으로 추출하여 인식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전기차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운영서버를 통해 상기 번호판을 조회하며,
    조회 결과 상기 전기차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에 상시 주차가 가능한 전기차인 경우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 정보에 상관 없이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에 주차가 허용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가 구비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 상기 스피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주차면을 표시한 지도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 예약 시간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표시부는 주차 예약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예약 표시등을 구비하여 전송 받은 주차 예약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주차 예약 표시등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감시부 또는 상기 CCTV는 각각 획득한 영상을 상기 운영서버 및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을 전송 받은 상기 운영서버 또는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충전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12.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으로서,
    주차면 권리자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가능시간 정보 및 주차불가시간 정보와 주차면 권리자가 지정한 차량번호가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통해 운영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장치에는 상기 주차가능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가능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이 나타나고 상기 주차불가시간 정보에 따른 주차불가시간에는 주차불가 표시등이 나타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
  13.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운영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충전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충전장치 및 상기 운영서버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주차면 권리자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차가능시간정보 및 주차불가시간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 가능한 기 지정된 차량번호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가 구비한 근거리통신리더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가 상기 주차가능시간정보 및 주차불가시간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 가능한 기 지정된 차량번호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가 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장치는 주차 가능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 불가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기 설정된 주차 가능 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을 점등하고, 기 설정된 주차 불가 시간에는 상기 주차불가표시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은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주차면을 표시한 지도와 상기 주차면의 주차가능시간정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주차면 사용자 단말기가 주차 예약 시간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는 주차 예약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예약 표시등을 더구비하여 전송 받은 주차 예약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주차 예약 표시등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장치가 관리하는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면에 차량이 접근하여 상기 충전장치가 기설정된 관리범위 내에 진입한 상기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경우 감시카메라 또는 CCTV가 획득한 영상이 상기 충전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충전장치가 상기 영상을 통해 상기 전기차의 차량번호를 문자인식으로 추출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기설정된 상기 주차면의 권리자의 차량번호이면 주차를 안내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가 기설정된 상기 주차면의 권리자의 차량번호가 아니거나, 상기 주차면이 주차 불가 시간인 경우 주차 불가를 알리는 경고음 또는 경고표시등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주차면이 주차 가능 시간이면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는 주차 신청 정보 및 충전 신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충전장치의 근거리통신리더기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는 상기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를 통해 운영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기차의 주차 및 충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과금이 상기 운영서버에서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과금에 대한 수익 배분 및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의 운영 방법.
  16. 주차면에 전기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한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에 이용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주차가능표시등 및 주차불가표시등을 구비하여 주차가능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주차면의 소정 공간으로 전기차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부, 그리고,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장치는 주차면 권리자 단말기의 매개에 의해 운영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충전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되며,
    기설정된 주차가능시간에는 상기 주차가능표시등을 나타내고 기설정된 주차불가시간에는 상기 주차불가표시등을 나타내는 충전장치.
  17.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기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RFID리더기가 내장된 콘센트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상기 전기차의 연결 수단에 부착된 RFID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RFID코드를 인식하여 승인하고 승인된 RFID코드가 부착된 전기차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RFID코드는 상기 전기차 종류에 따라 각각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 및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ID리더기는 상기 RFID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들을 판독하여 상기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기차가 승인된 전기차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통해 상기 충전기의 충전에 따른 상기 전기차로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시스템.
  18.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기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RFID리더기가 내장된 콘센트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상기 전기차의 연결 수단에 부착된 RFID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RFID코드를 인식하여 승인하고 승인된 RFID코드가 부착된 전기차에 한하여 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운영서버에는 상기 RFID코드별 RFID 고유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전기차 종류에 따라 각각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 및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충전기가 상기 RFID 고유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RFID 고유 정보와 대응되는 추가 정보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며,
    상기 RFID리더기는 전송 받은 추가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기 지정되는 지정값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기차가 승인된 전기차인지 판단하고 상기 전기사용패턴정보를 통해 상기 충전기의 충전에 따른 상기 전기차로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시스템.



KR1020180023780A 2017-03-13 2018-02-27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2038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31345 2017-03-13
KR1020170031345 2017-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561A true KR20180104561A (ko) 2018-09-21
KR102038764B1 KR102038764B1 (ko) 2019-10-30

Family

ID=6352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780A KR102038764B1 (ko) 2017-03-13 2018-02-27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8764B1 (ko)
WO (1) WO2018169132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47A (ko) * 2018-10-02 2020-04-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방법 및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시스템
KR20200129684A (ko) * 2019-05-09 2020-11-1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용 전기차 번호판 판별 시스템
KR102197356B1 (ko) * 2020-05-20 2020-12-31 이광현 전기차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가로등 분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지원 시스템
KR20210024742A (ko) * 2019-08-26 2021-03-08 정재훈 스마트 셔터 기반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전기차 충전 제공 방법
KR20210061515A (ko) * 2019-11-19 2021-05-28 가가전력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e-모빌리티 충전이 가능한 복합 전기 충전 시스템
KR102267404B1 (ko) * 2019-12-19 2021-06-21 (주)에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113698A (ko) * 2020-03-08 2021-09-17 주식회사 에이플러스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 뱅크 및 e-모빌리티에 충전이 가능한 복합 전기 충전 시스템
KR20210150909A (ko) * 2020-06-04 2021-12-13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US20220118877A1 (en) * 2019-01-31 2022-04-21 Ange Technologies System for recharging with energy electrical apparatuses, in particular front-wheel drive electric vehicles, and connecting cable usable in such a system
KR20220074505A (ko) * 2020-11-27 2022-06-03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전기 자동차 충전기 공유 관리 시스템 장치
WO2023172672A1 (en) * 2022-03-10 2023-09-14 Volta Charg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harging station compatibility
KR102583432B1 (ko) * 2022-07-13 2023-10-04 (주)엠알솔루텍 공동 주택의 지하 주차장용 전기 자동차 충전설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382A (ko) 2020-08-25 2022-03-04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지능형 스마트미터링 인프라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87326B1 (ko) 2020-09-25 2023-01-11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스마트미터링 인프라를 이용한 전기차 이중과금 방지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207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윌디앤테크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예약 방법 및 그 예약 시스템
KR20140043007A (ko) * 2012-09-28 2014-04-08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통합 관리 장치
KR101492137B1 (ko) * 2013-12-11 2015-02-13 아토컴퍼니 주식회사 구획별 무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8270A (ko) * 2014-02-19 2015-08-28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주차 유도 및 관리시스템
KR20150129970A (ko) * 2014-05-12 2015-11-23 주식회사 파워큐브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028A (ko) * 2012-03-19 2013-09-27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전기자동차 주차 및 충전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602137B1 (ko) * 2013-09-12 2016-03-15 (주) 에프엠테크놀러지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754139B1 (ko) * 2014-03-28 2017-07-19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101681849B1 (ko) * 2015-10-22 2016-12-12 한형우 주거지전용주차장 공유주차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207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윌디앤테크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예약 방법 및 그 예약 시스템
KR20140043007A (ko) * 2012-09-28 2014-04-08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통합 관리 장치
KR101492137B1 (ko) * 2013-12-11 2015-02-13 아토컴퍼니 주식회사 구획별 무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8270A (ko) * 2014-02-19 2015-08-28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주차 유도 및 관리시스템
KR20150129970A (ko) * 2014-05-12 2015-11-23 주식회사 파워큐브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047A (ko) * 2018-10-02 2020-04-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방법 및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시스템
US20220118877A1 (en) * 2019-01-31 2022-04-21 Ange Technologies System for recharging with energy electrical apparatuses, in particular front-wheel drive electric vehicles, and connecting cable usable in such a system
KR20200129684A (ko) * 2019-05-09 2020-11-1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용 전기차 번호판 판별 시스템
KR20210024742A (ko) * 2019-08-26 2021-03-08 정재훈 스마트 셔터 기반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전기차 충전 제공 방법
KR20210061515A (ko) * 2019-11-19 2021-05-28 가가전력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e-모빌리티 충전이 가능한 복합 전기 충전 시스템
KR102267404B1 (ko) * 2019-12-19 2021-06-21 (주)에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113698A (ko) * 2020-03-08 2021-09-17 주식회사 에이플러스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 뱅크 및 e-모빌리티에 충전이 가능한 복합 전기 충전 시스템
KR102197356B1 (ko) * 2020-05-20 2020-12-31 이광현 전기차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가로등 분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지원 시스템
KR20210150909A (ko) * 2020-06-04 2021-12-13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KR20220074505A (ko) * 2020-11-27 2022-06-03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전기 자동차 충전기 공유 관리 시스템 장치
WO2023172672A1 (en) * 2022-03-10 2023-09-14 Volta Charg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harging station compatibility
KR102583432B1 (ko) * 2022-07-13 2023-10-04 (주)엠알솔루텍 공동 주택의 지하 주차장용 전기 자동차 충전설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9132A1 (ko) 2018-09-20
KR102038764B1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561A (ko)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US11420528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activat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EP2109203B1 (en) Battery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EP286786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cellular parking with occupancy control
RU2515120C2 (ru) Система пункта подсчета и измерения для измерения и подсчет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US20060250277A1 (en) Public service system
CN110626195A (zh) 一种智能共享充电桩系统、使用方法及共享商业模式
TWI565610B (zh) 充電站系統與相關電動車充電方法
KR101831987B1 (ko) 주차공간 유료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10168838A (zh) 充电系统、充电控制器、充电器、用户终端、充电方法和记录介质
CN111196174A (zh) 充电站监视系统
KR102197356B1 (ko) 전기차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가로등 분전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지원 시스템
KR101492137B1 (ko) 구획별 무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370453B1 (ko) 전기차 충전 기능을 갖는 스마트 가로등 및 가로등 시스템
CN208291012U (zh) 电动车辆充电灯杆及充电灯杆管理系统
WO2021229851A1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66978A (ko) 주차장 제어 시스템
KR102437948B1 (ko)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1863665B1 (ko) 스마트 전기 접속구를 이용한 전력 제어 시스템
KR20130007081A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WO2024038913A1 (ja) エネルギー供給を制御するシステム
TWI621555B (zh) 無線充電板與無線充電系統
US20240185723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arking in a parking stall
KR20200143040A (ko) 전기차 충전정보 제공장치
EP4124501A1 (en)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