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404B1 -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404B1
KR102267404B1 KR1020200146387A KR20200146387A KR102267404B1 KR 102267404 B1 KR102267404 B1 KR 102267404B1 KR 1020200146387 A KR1020200146387 A KR 1020200146387A KR 20200146387 A KR20200146387 A KR 20200146387A KR 102267404 B1 KR102267404 B1 KR 10226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charging
user terminal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
신동혁
김기재
Original Assignee
(주)에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바 filed Critical (주)에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Abstract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차 충전장치 이용을 위한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수단 정보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완료 정보는,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에서의 충전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된 충전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FOR ELECTRIC CAR CHARGER}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필두로 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계속 인기가 증가하여, 개인 및 비즈니스 통신 모두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으며,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신기능을 넘어 달력, 주소록, 스케줄러, 계산기, 메모 및 기록 프로그램, 미디어 플레이어, 게임 등과 같은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특징을 병합하게 되었으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기능 또한 디폴트로 탑재하는 것이 업계의 평균이다.
이처럼 근접장 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개인용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NFC 기술을 활용한 기술들이 공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에서 NFC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에 더해 스마트폰에서 이루어지는 통신, 연산처리를 통해 충분한 수준의 보안을 갖춘 개인인증처리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NFC를 이용한 결제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국제적으로 엔진차량의 증가에 따른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대기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자동차 분야에서도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과 같은 친환경 차량의 보급을 통해 배출가스 저감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런 국제적 경향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보편적 기술수준과 보급률이 나날이 상승하고 있으며, 추세에 맞추어 공용/개인용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숫자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 분야의 기술발전과 보급률 상승 혹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증가추세와 달리 충전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식별되고 이용 요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불필요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예를 들어, 개인정보 또는 결제에 필요한 정보들을 온라인을 통해 입력한 후 별도의 신청을 통해 오프라인으로 RFID용 회원카드를 수령할 수 있다. 즉, 충전기를 이용하기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고 RFID를 오프라인으로 발급받기 위한 절차가 번거롭기 때문에 전기차의 보급 및 확산에 있어서 높은 진입장벽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은, 전기차 충전장치 이용을 위한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수단 정보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완료 정보는,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에서의 충전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된 충전량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전수단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횟수의 결제가 수행되거나, 기 설정된 기간이 만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삭제되거나, 더 이상 결제에 사용될 수 없도록 만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전기차로부터 발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의 충전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완료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완료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수단 정보 요청을 획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는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예상 충전량 및 예상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예상 충전량 및 예상 요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상 요금에 대한 동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예상 요금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상 요금에 대한 동의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 전기차 충전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은,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충전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충전인증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 및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충전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전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충전완료 정보가 전송되기 이전에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요청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완료 정보는, 상기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에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장치에 상기 충전수단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전수단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로부터 제3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용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가입, 인증절차 및 결제정보 등록 등의 절차를 간소화하고, 전자적으로 발급된 결제정보를 NFC 기술을 통해 사용케 하여 이용자가 별도의 오프라인 인증수단을 휴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여 전기자동차의 사용편의성 증가에 일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인용 충전기를 사용자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프라 확대에 기여하며, 이에 따라 전기차의 보급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충전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발급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결제 정보 발급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인의 결제정보 획득을 통한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인의 결제정보 획득을 통한 결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공유를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탐색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충전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 시스템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지칭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도 1에 도시된 서버(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서버(100)가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서술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주체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110에서,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충전수단 정보 요청을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전수단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장치(20)에 전달되어 충전기에 대한 이용 권한을 획득하거나 결제를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전기차 충전장치(20)는 전기차 충전장치의 이용 및 결제를 관리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차 충전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차 충전기에 내장되거나, 전기차 충전기와 일체로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전수단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장치(20)에 전달된다. 전기차 충전장치(20)은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기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도록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결제 승인여부를 결정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전기차 충전장치(20)는 외부 서버에 대하여 수신된 충전수단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승인이 획득되는 경우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서버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통신을 통해 결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NFC 태그를 통해 충전수단 정보를 전기차 충전장치(20)에 전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전수단 정보의 전달에는 블루투스, RFID, 마그네틱 무선전송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 통신에 기반하여서도 전기차 충전장치(20)에 대한 태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장치(20)와 사용자 단말(200)은 상호 블루투스에 기반하여 통신하되,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장치(20)와 사용자 단말(200)간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장치(20) 및 사용자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두 단말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예: 2미터) 미만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전기차 충전장치(20)에 태그 동작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전기차 충전장치(2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이 되는 것을(또는 양 단말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트리거로 하여, 양 단말 간의 태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기존의 NFC 태그의 경우 두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실제로 NFC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에서 태그를 수행해야만 태그를 인식할 수 있지만,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이보다 먼 거리에서 태그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단, 블루투스 통신의 경우 통신 거리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일정 신호 세기 이상(즉, 일정 거리 내)일 경우에만 태그가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소지하고 전기차 충전장치(2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별도의 태그 동작 없이도 태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가 태그 수행을 잊어버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서버(100)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획득되는 충전수단 정보는 제1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고,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새롭게 생성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되거나 다른 사용자에 대응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충전수단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결제 가능한 계좌나 카드정보, 예치금이 저장된 계정에 대한 정보, 추후 비용청구가 가능한 계정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30에서, 서버(100)는 상기 충전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충전수단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수단 정보는 암호화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될 수 있다. 암호화에 사용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200)과 서버(100)가 공유하는 비밀 키를 이용한 대칭키 암호화 방법이나, 사용자 단말(200)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서버(100)가 암호화를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하는 비 대칭키 암호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서버(100)가 보유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충전수단 정보가 암호화되며, 암호화된 충전수단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되고, 사용자 단말(200)이 전기차 충전장치(20)에 암호화된 충전수단 정보를 전송하며, 전기차 충전장치(20)가 다시 암호화된 충전수단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서버(100)를 제외한 다른 디바이스들의 내부 및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과정에서는 복호화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암호화되지 않은 충전수단 정보는 서버(100)에만 저장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200)이나 전기차 충전장치(20) 등의 외부 단말에는 복호화된 충전수단 정보가 기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전수단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발급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며, 이를 활용하여 전기차 충전장치(20)에 대한 이용 권한을 획득하거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결제 정보 발급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도 3에 도시된 서버(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서버(100)가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서술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주체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210에서,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충전수단 정보 요청을 획득한다.
단계 S220에서,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의 결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가 공용 전기차 충전기를 이용하고, 이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기존의 공용 전기차 충전기 이용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 시스템에 회원가입하고, 회원가입된 계정에 대응하는 결제용 RFID 회원카드를 신청한다. 회원카드 신청에는 사용자의 주소, 차종, 차량번호 등의 정보가 요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신청한 RFID 회원카드는 사용자에게 배송되며, 사용자는 배송된 카드를 수령한 후 시스템상의 본인 계정에 로그인하고, 결제를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정보는 신용카드 정보나 계좌정보, 예치금이나 포인트가 적립된 계정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사용자는 RFID 회원카드를 이용하여 공용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충전을 완료한 후 RFID 회원카드(10)를 전기차 충전장치(20)에 태그함으로써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기차 충전장치(20)는 공용 충전기에서 결제를 위하여 활용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태그된 회원카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장치(20)는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태그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버(100)에 저장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카드결제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태그를 통해 결제정보가 획득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바로 해당 결제정보를 이용한 결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단, 이러한 방식은 실물 카드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바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경우 실물 RFID 카드의 수령을 위해 소정의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00)에 충전수단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이 NFC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장치(20)에 태그하여 전달함으로써 충전기에 대한 빠른 이용 권한 획득 및 결제를 수행하고,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분야가 전기차 충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물 RFID 카드를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NFC 태그로 대체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 및 시스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시되는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전기차 충전기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회원가입 후 사용자는 본인의 계정에 결제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버(100)는 결제정보를 획득(단계 S220)하고, 이를 생성된 사용자 계정 혹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번호를 발급하며, 사용자의 결제정보 및 회원번호에 대응하는 충전수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230).
이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생성된 충전수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단계 S240).
충전수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상술한 단계 S130에 따른 전달방법 및 이에 수반되는 암호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수단 정보에는 사용자의 계정이나 회원번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결제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충전수단 정보에는 태그를 통해 이를 획득한 전기차 충전장치(20)가 이용 권한 부여 및 결제를 위하여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직접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결제는 사용자 계정에 적립된 예치금이나 포인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즉시 계좌나 카드로부터 비용결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비용은 후불제로 정산되도록 하여 이용금액이 누적되고, 소정 주기로 등록된 충전수단에 따른 비용결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실물 RFID 카드를 소지하지 않고도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충전수단 정보를 보관하며, 보관된 충전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장치(20)에 대한 태그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며,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카드 미배송 혹은 오배송에 따른 비용 지연과 재신청 절차, 카드 분실에 따른 재발급 등으로 인한 사용자와 업체의 리소스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회원번호 발급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한 RFID 카드 정보 전달(충전수단 정보 전달) 및 카드 등록과정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충전수단 정보에 따른 결제는 사용자 단말(200)에서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원가입 후 충전수단 정보를 요청하면서, 본인의 디바이스인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되는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번호나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개인키에 대응하는 공개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태그를 통해 충전수단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이를 전달받은 서버(100)는 해당 충전수단 정보를 태그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태그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와 서버(10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의한 태그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결제 및 이용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에 암호화 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수단 정보를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뒤 전기차 충전장치(20)에 전달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장치(20)로부터 암호화된 충전수단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서버(100)는 이를 복호화하여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등록 및 확인에는 사용자 단말(200)의 하드웨어에 저장되는 PIN 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PIN 이 서버(100)에 미리 등록되는 경우, 결제시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PIN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입력되는 PIN 은 서버(100)에도 전송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하드웨어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PIN 인증을 수행하고, 서버(100)는 서버(10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PIN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양 단에서의 인증이 모두 성공하는 경우, 서버(100)는 결제 진행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서버(100)에 저장된 개인키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등록되는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되, 사용자 단말(200)의 하드웨어에 저장된 PIN을 공개키와 결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IN은 공개키의 소정 위치에 삽입되거나, PIN에 포함된 숫자들이 분할되어 공개키의 서로 다른 위치에 삽입될 수도 있다. PIN이 삽입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간에 미리 약속된 위치일 수도 있고, 실시 예에 따라 PIN 이 1234 인 경우, 공개키의 12번째 숫자로 34를 입력하는 방식과 같이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PIN을 이용하여 공개키를 획득하며, 이는 공개키를 이용한 암호화가 필요할 때마다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그를 통한 결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PIN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가 PIN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PIN을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는 경우 해당 PIN을 이용하여 공개키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수단 정보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태그하고, 전기차 충전장치(20)는 암호화된 충전수단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암호화된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으로써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고 결제를 승인 및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등록된 디바이스라 하더라도 타인에 의하여 이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Fraud Dete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한 결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결제 요청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요청에 대한 정보는 이용된 차량에 대한 정보, 충전량에 대한 정보와 같이 이용된 충전내역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의 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소의 충전성향 혹은 충전하는 차량과 상이한 차량에 대한 결제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본인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의 터치 위치, 메뉴 선택 순서 및 이에 소요되는 시간 등에 기초하여, 서버(100)는 평소의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본인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장치(20)에 사용자 단말(200)이 태그된 위치에 기반하여서도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 단말(200)이 보통 전기차 충전장치(20)의 우상단 방향에서 주로 태그가 이루어진 기록이 있을 때, 사용자 단말(200)이 좌측 하단에서 태그가 이루어지는 경우 서버(100)는 이를 이상 상황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인의 결제정보 획득을 통한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시된 시스템은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도 1에 도시된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하며,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충전수단 정보는 서버(100)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이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장치(20)에 대한 태그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충전수단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것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충전수단 정보는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RFID 결제 카드(12)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300)의 RFID 결제 카드(12) 정보는 서버(100)에 기 저장된, RFID 결제 카드(12)의 발급에 이용된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RFID 카드(12)에 대한 정보는 RFID 태그 장치를 이용하여 RFID 카드(12)로부터 획득 및 복사된 정보일 수도 있다.
획득된 RFID 카드(12)의 충전수단 정보는 서버(100)에 저장되고, 서버(100)에 충전수단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충전수단 정보는 암호화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암호화된 충전수단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장치(20)에 대한 태그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인의 결제정보 획득을 통한 결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도 5에 도시된 서버(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서버(100)가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서술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주체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310에서, 서버(100)는 제2 사용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사용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제2 사용자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를 타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본인의 집이나 본인이 이용하는 주차장에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를 보유할 수 있으며, 충전 시 개인의 RFID 카드를 이용하여 태그함으로써 충전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는 반드시 1인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 특정 공간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함께 이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가 아닌, 특정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들에 대해서도 개시된 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비가입자가 서비스 가입자의 결제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이 이해될 수도 있다.
제2 사용자는 본인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를 공유하고,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기의 공유정보를 웹을 통해 공개한다. 공개된 정보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하여 검색되고, 제2 사용자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 이용을 선택 및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서버(100)는 이를 승인하고, 제2 사용자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를 타인(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사용자)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공유를 위한 시스템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즉, 서버(1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기 이용 요청을 획득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2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충전비용 결제를 위한 충전수단 정보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서버(100)로부터 제2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충전비용 결제를 위한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면, 제1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40)의 전기차 충전장치(20)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에 따른 충전비용은 제2 사용자에게 청구되거나, 제2 사용자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된다.
즉,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은 제2 사용자가 결제를 위하여 이용하는 RFID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NFC를 통해 전기차 충전장치(20)에 태그함으로써 제2 사용자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40)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충전비용을 포함하는 이용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에게 청구되거나 제2 사용자에 의하여 결제된 충전비용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기 이용에 따른 비용을 획득하고, 획득된 비용을 제2 사용자에게 정산하여, 제2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기 공유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사용자에게 정산되는 비용이 제2 사용자에게 청구되거나 제2 사용자에 의하여 결제된 충전비용을 초과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단계 S320에서, 서버(100)는 제2 사용자의 결제정보를 획득하고, 단계 S330에서 제2 사용자의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충전수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사용자의 결제정보는 제2 사용자가 보유한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결제가능한 수단(예를 들어, 카드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버(100)는 해당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충전수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서버(100)는 생성된 충전수단 정보를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서버(100)가 충전수단 정보를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 및 이에 수반되는 암호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단계 S130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상기 충전수단 정보는 횟수나 기한이 제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가 전달받은 충전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기 설정된 횟수의 결제가 수행되거나, 기 설정된 기간이 만료하는 경우, 제1 사용자에게 제공된 충전수단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삭제되거나, 더 이상 결제에 사용될 수 없도록 만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비용 정산을 위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이용한 충전량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이용한 충전량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주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가 충전을 위하여 주차장을 이용함에 따른 주차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주차비용은 제1 사용자가 별도로 결제하거나, 제2 사용자에 의하여 결제되도록 한 후 제1 사용자로부터 받은 사용비용을 이용하여 정산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용청구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이용한 충전량에 일정량의 추가 비용을 더하거나 제1 사용자가 이용한 충전량에 일정량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산정될 수도 있고, 제1 사용자가 이용한 충전량, 제1 사용자의 주차요금 및 추가 비용을 더하는 방식으로 산정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비용청구 정보는 충전량과 무관하게 제1 사용자의 주차시간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주차장을 이용하는 시간동안 충전을 수행한 것으로 가정하여, 제2 사용자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40)의 시간당 충전량에 기반하여 시간당 이용요금이 미리 산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의 이용비용은 주차요금 개념으로 부과될 수도 있으며, 해당 주차요금에 기본적으로 충전요금이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기차 충전장치(20)는 근거리 무선통신(예: NFC, RFID, 블루투스 등)만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은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차 충전장치(2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충전완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전기차 충전장치(20)의 이용을 위해 태그(예: NFC 통신을 위한 태그)를 수행하고, 마찬가지로 전기차 충전장치(20)의 이용 종료를 위해서도 태그를 수행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장치(20)는 사용자 단말(200)이 충전완료를 위해 태그를 수행하는 경우, 충전량이나 충전시간 등과 같이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충전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예: NFC 통신을 이용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전기차 충전장치(20)로부터 전달되는 충전완료 정보를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이 전기차 충전장치(20)에 충전완료 정보를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충전완료 태그를 하지 않고 충전기를 전기차와 분리한후 이동하거나, 제1 사용자가 충전완료 태그를 하기 전에 제3 사용자가 충전기를 분리하고 자신의 전기차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기차 충전장치(20)는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을 위해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전기차 충전장치(20)에 태그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되지 못한 상태라면, 전기차 충전장치(20)는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태그된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은 전달받은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서비스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전기차 충전장치(20)로부터 본인이 아닌 다른 사용자(즉,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이를 서버(1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가 충전완료 후 완료를 위한 태그를 수행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 이후(예: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충전수단 정보 요청을 획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이 전기차 충전장치(2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는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제1 사용자가 충전완료 태그 없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속도를 사용자 단말(200)의 GPS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하고, 제1 사용자의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이 되는 경우 차를 타고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사용자가 충전완료 태그 없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예상 충전량 및 이에 따른 예상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상 요금은 시간정보 혹은 제1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정보 등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에 산출된 요금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요금에 대한 동의정보가 획득되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동의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서버(100)는 전기차 충전장치(20)에서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이 태그되는 경우 전기차 충전장치(20)로부터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되는,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반하여 요금 산정 및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산정된 비용청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비용결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결제된 비용으로부터 수수료를 제하고, 결제된 비용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서버(100)는 지급되는 비용정산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기차는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이나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메시지, 혹은 사용자 단말(200)에 수신되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전기차(1)의 충전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기차를 구입할 때 제공되는 기본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구매한 전기차를 제어하거나 전기차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전기차의 충전중 여부, 충전완료여부, 충전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메시지, 혹은 사용자 단말(200)에 수신되는 메시지 등의 형태로 획득될 수 있으며, 서버(100)는 해당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제1 사용자의 전기차(1)가 제2 사용자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40)를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기차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전기차의 완충 정보를 MMS 문자메세지나 SNS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된 MMS 문자메세지나 SNS 메시지는 전달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시간은 충전 중인 전기차의 충전 완료 시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된 MMS 문자메세지나 SNS 메시지의 전달시간을 활용하여 제1 사용자의 충전량을 획득 및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시간을 통해 완충 이후에도 제1 사용자의 전기차가 주차 공간에 얼마나 긴 시간동안 주차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완충 이후의 시간에 대하여 오직 주차 비용 명목으로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서버(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충전량을 획득하거나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주차시간에 따라 비용을 청구하는 경우에도, 충전중인 시간대와 충전이 아닌 시간대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요금을 청구할 수도 있다. 즉, 제1 사용자가 충전을 완료한 후에도 충전에 따른 비용이 청구되지 않도록 상이한 비용이 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 제1 사용자가 충전을 완료한 이후에 해당 위치에서 주차를 지속하여 다른 사용자가 충전을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충전을 완료한 경우에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주차를 이용하는 경우 추가 요금을 부과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40)를 이용하고자 할 때, 제1 사용자의 전기차(1)가 충전중인 경우 해당 충전기는 이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제1 사용자의 전기차(1)가 주차된 상태이나, 충전 중이 아닐 때에는 예약 혹은 이용신청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3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3 사용자는 이용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사용자에게 다른 사용자가 해당 충전위치를 이용하고자 한다는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가 전달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사용자에 대하여 부과되는 주차료가 가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사용자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40)가 설치된 위치가 외부인이 입장할 수 없도록 설정된 주차장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00)는 제2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기(40)가 위치한 주차장의 관리 서버(400)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관리 서버(400)에 제1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입차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제2 사용자의 방문객인 것으로 입차 등록을 관리 서버(400)에 요청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정기적인 불특정 사용자의 입차 등록을 위하여 서버(100)는 관리 서버(400)에 대하여 소정의 비용을 주기적으로 정산할 수도 있다.
입차 등록이 완료되는 경우, 관리 서버(400)는 제1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하고자 하는 경우 차단기(30)를 제어하여 제1 사용자의 차량 입차를 허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주차장이 외부 차량의 입차가 가능하나 주차비가 있는 공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가 직접 주차비를 지불할 수도 있지만, 서버(100)가 관리 단말(40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주차비를 면제 혹은 할인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고, 주차비용을 제2 사용자에게 청구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사용자에게 청구된 주차비용은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 정산에 고려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탐색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과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지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지도에는 하나 이상의 공유된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1 및 2)의 위치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를 선택하여 해당 충전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이용요금이나 사양 등)를 획득하고, 사용요청 혹은 사용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의 이용요금은 이를 공유하는 제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산정될 수도 있고, 서버(100)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서버(100)가 하나 이사의 비용옵션을 제2 사용자에게 제안하고, 제2 사용자가 이를 참조하여 비용을 선택하거나 소정의 범위 내에서 결정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충전기의 위치와 주변의 다른 충전기들의 이용요금을 참조하여 제2 사용자에게 가능한 요금의 범위를 제시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는 이로부터 요금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요금은 전기세나 주변 시세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는 자동으로 변동되는 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소정의 비용 하한선이나 상한선을 설정하거나, 개인의 선택에 따라 고정 요금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충전위치들은 해당 충전위치의 사용상태 및 사용 가능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충전위치에서 다른 사용자가 전기차를 충전하고 있는지 여부가 지도에 표시될 수 있고, 또한 상기한 실시 예와 같이 다른 사용자가 전기차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인지, 그리고 충전이 완료된 후 주차상태인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충전위치를 이용중인 사용자의 예상 출차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상 출차시간 이후의 일 시점에 이용예약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용예약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 충전중인 사용자에게 해당 예약시간 전에 출차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프로세서(102)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102)는 프로세서(102)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4)에는 프로세서(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는 도 10과 같은 이동형 충전기(100')일 수 있다. 이동형 충전기(100')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양한 통신 수단에 의하여 충전 요청을 받을 경우 충전 요청 신호에 따라 전기차가 위치된 곳까지 이동하여 해당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따른 이동형 충전기(100')는 본체를 구성하는 바디(110'), 바디(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이동형 충전기(100')의 이동을 담당하는 휠(120'),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센서, 바디(1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동형 충전기(100')를 보호하는 범퍼, 휠(12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휠(120')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충전 수요가 없을 때, 이동형 충전기(100')는 별도의 충전소(200')와 결합되어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제1 사용자의 차량이 충전소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경우, 제1 사용자는 이동형 충전기(100')를 통해 차량을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차 충전장치(20)는 이동형 충전기(100')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충전소(200')에 내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제2 사용자 단말

Claims (11)

  1.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차 충전장치 이용을 위한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수단 정보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완료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완료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완료 정보는,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에서의 충전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된 충전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횟수의 결제가 수행되거나, 기 설정된 기간이 만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삭제되거나, 더 이상 결제에 사용될 수 없도록 만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전기차로부터 발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차의 충전량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수단 정보 요청을 획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는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예상 충전량 및 예상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예상 충전량 및 예상 요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상 요금에 대한 동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예상 요금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예상 요금에 대한 동의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6. 전기차 충전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충전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충전인증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 및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충전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충전완료 정보가 전송되기 이전에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요청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완료 정보는, 상기 제3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비용청구 정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인,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7. 삭제
  8.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장치에 상기 충전수단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수단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차 충전장치로부터 제3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9. 삭제
  10.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항, 제6 항 또는 제8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1.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 제6 항 또는 제8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00146387A 2019-12-19 2020-11-04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67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92 2019-12-19
KR20190170592 2019-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404B1 true KR102267404B1 (ko) 2021-06-21

Family

ID=7660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387A KR102267404B1 (ko) 2019-12-19 2020-11-04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385A (ko) 2021-11-18 2023-05-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기차 무인 충전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139A (ko) * 2011-04-04 2012-10-12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KR20180028978A (ko)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차지인 전기 자동차 충전용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 방법
KR20180104561A (ko) * 2017-03-13 2018-09-21 한찬희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139A (ko) * 2011-04-04 2012-10-12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KR20180028978A (ko)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차지인 전기 자동차 충전용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 방법
KR20180104561A (ko) * 2017-03-13 2018-09-21 한찬희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385A (ko) 2021-11-18 2023-05-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기차 무인 충전 결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0374B1 (en) Credit payment method and device based on mobile terminal p2p
EP2900519B1 (en) Authorization of service using vehicl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KR102409474B1 (ko) 요금 계산 처리 방법과 장치 및 차량 결제 시스템
KR10123379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CN109168139B (zh) 一种基于区块链的WiFi共享方法及服务器
WO2016082687A1 (zh) 一种利用智能汽车在服务点进行支付的系统和方法
KR20190103925A (ko) 차량 충전 방법, 단말기 및 서버
JP2019079346A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67404B1 (ko) 전기차 충전장치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12108156A1 (ja) 電気車両充電システム、電気車両用充電器、サーバ、無線基地局及び充電方法
CN113978291A (zh) 一种充电系统、充电方法及集成设备
KR20170006740A (ko) 사용자 단말,중앙 서버 및 이들에 의한 요금 결제 방법
JP2009301555A (ja) 自動料金支払いシステムにおける車載器
JPWO2019082919A1 (ja) 充電課金システム及び充電課金方法
US201902136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marketplace platfor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20210128276A (ko) 소셜 결제를 통한 전기차 충전 인증 및 결제 방법
KR20140047249A (ko) 모바일 주유 결제 시스템
CN112001726A (zh) 一种交通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533853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2단계 위치 측위를 이용한 체크인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613194B1 (ko) 레거시 인터페이스와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레거시 카드결제 시스템과 스마트 결제시스템 간의 연계형 온라인 카드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230245250A1 (en) Charg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 vehicles
US2023003468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capable of integrating multiple identities
US11907978B2 (en) Subscription-based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TWI810956B (zh) 電動車之漫遊充電之合約建立方法及系統
US20220340036A1 (en)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