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486A -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486A
KR20230014486A KR1020210095885A KR20210095885A KR20230014486A KR 20230014486 A KR20230014486 A KR 20230014486A KR 1020210095885 A KR1020210095885 A KR 1020210095885A KR 20210095885 A KR20210095885 A KR 20210095885A KR 20230014486 A KR20230014486 A KR 2023001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vehicle
airbag cushion
sli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775B1 (ko
Inventor
성승완
양현철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1009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75B1/ko
Priority to US17/814,006 priority patent/US11691587B2/en
Publication of KR2023001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9Obliqu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폴딩된 상태로 수용되고,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 탑승자 사이에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를 구속해서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 및 폴딩된 상기 에어백 쿠션을 감싸는 래퍼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되는 과정에서 전개 방향을 가이드하는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의 양측에는 상기 플랩의 폭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폭보다 넓게 확장한 확장부가 마련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플랩 및 에어백 쿠션의 전개 방향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해서 전개 형상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PASSENGER SEAT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시 자동차의 구조물과 탑승자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자동차의 안전벨트와 더불어 대표적인 안전장치이다. 에어백은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 에어백, 측면 에어백, 커튼 에어백 등을 포함한다.
운전석 에어백은 자동차 정면 충돌 시 운전자를 보호한다. 운전석 에어백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내부에 장착되어 일정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순간적으로 팽창한다.
조수석 에어백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 시 순간적으로 팽창하여 조수석측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러한 안전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충돌 시험은 필수적이다. 자동차 충돌 시험은 자동차 정면 충돌 시험, 측면 충돌 시험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국가별로 여러 가지 충돌 시험이 있다.
그 중에서 자동차 정면 충돌 시험은 운전석과 조수석측에 인체모형을 탑재하고, 시험용 자동차를 요구하는 시험속도로 장애물에 정면 충돌시켰을 때 머리부와 가슴부, 목부 등의 상해치를 평가한다.
세계 여러 정부 들에 의하여 발표된 최근의 안전 표준은 기존의 측면 또는 정면 충돌 시 보다 강화된 보호를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제조 및 설치 면에서 경제적이고, 자동차 제조사가 자동차 내부에 다양한 특징물들을 배치시키는 과정에서 간섭을 회피하며, 신속히 전개될 수 있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지속적으로 존재한다. 특히, 자동차의 탑승자들은 에어백의 전개 시에 자동차 내의 다양한 위치들 중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으므로, 탑승자 위치의 가능한 넓은 범위에 걸쳐서 충격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북미 FMVSS208 법규는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된 에어백에 의해 작은 체형의 여성이나 어린이의 예기치 않은 상해를 방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최근에 명확해진 한 가지 안정 요구 사항으로서,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및 '경사(oblique)' 충돌이 발생한 경우, 강화된 보호에 대한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상기 스몰 오버랩 충돌은 자동차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에서 발생하는 경우의 전방 충돌이다.
상기 경사 충돌은 앞부분에서 각도를 이루어 가해지는 충격이 발생하되 그 충격이 자동차의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에 가해지는 전방 충격이다.
이와 같은 충돌들은 충격이 발생하는 측부에서 자동차 구조물의 큰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충돌은 자동차의 중심이 회전하여 이동선으로부터 이탈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자동차 내부의 탑승자는 전방 및 측방의 성분들을 갖는 벡터를 가지고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은 다양한 충돌 시나리오에 대하여 탑승자의 머리부 및 가슴부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구속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 다수에 조수석 에어백 장치 구성을 개시하여 특허 출원해서 등록받은 바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는 상기한 북미 FMVSS208 법규에 대응해서 LRD(Low Risk Deployment)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에어백 쿠션이 초기 전개되는 과정에서 차량 내부의 구조물,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와의 간섭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플랩이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플랩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저항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전개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어려운 문제점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상기 플랩의 폭을 폴딩된 에어백 쿠션이 수용되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제조함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와 같은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의 불완전한 전개로 인해, 에어백의 전개 성능이 저하되고,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807660호(2017년 12월 12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781384호(2017년 9월 25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 탑승자 사이에서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를 구속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 에어백 쿠션의 간섭을 방지하는 플랩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랩의 폭을 증가시켜 에어백 쿠션의 전개 방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차량 내부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폴딩된 상태로 수용되고,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 탑승자 사이에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를 구속해서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 및 폴딩된 상기 에어백 쿠션을 감싸는 래퍼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되는 과정에서 전개 방향을 가이드하는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의 양측에는 상기 플랩의 폭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폭보다 넓게 확장한 확장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의하면, 플랩의 양측에 각각 확장부를 마련해서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인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랩의 각 확장부와 중앙부 사이에 복수 쌍의 슬릿을 형성해서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플랩에 작용하는 전개압을 분산시켜 플랩의 확장부를 양측을 향해 효과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랩 및 에어백 쿠션의 전개 방향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해서 전개 형상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랩 양측의 확장부를 2단 이상으로 마련하고, 플랩에 형성되는 슬릿의 개수를 증가시켜 플랩의 폭을 더욱 확장시킴으로써, 전개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플랩 및 에어백 쿠션을 안정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랩과 에어백 쿠션의 폴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과 도 4는 각각 종래기술과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랩의 전개도,
도 5는 형상이 변형된 제2 슬릿을 예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각각 종래의 플랩과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랩의 팽창 전개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플랩의 전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랩과 에어백 쿠션의 폴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에서 시트를 기준으로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20), 하우징(20) 내부에 폴딩된 상태로 수용되고,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 탑승자 사이에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를 구속해서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30) 및 폴딩된 에어백 쿠션(30)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에어백 쿠션(30)이 팽창 전개되는 과정에서 전개 방향을 가이드하는 플랩(4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대략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량 내부의 구조물,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0)의 개구된 일면은 탑승자를 향하는 후면일 수 있다. 그래서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된 에어백 쿠션(30)은 탑승자의 상체를 향하도록, 후방 또는 후방 및 상방을 향해 팽창 전개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의 개구에는 커버(도면 미도시)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에어백 쿠션(30)의 팽창 전개시 절개되는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는 평상시에는 차량 내부의 구조물,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에어백 쿠션(30)의 팽창 전개시 상기 절개선이 절개되면서 하우징(20)의 개구를 개방하는 도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30)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전방 패널과,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팽창 전개시 탑승자와 접촉되는 후방 패널의 가장자리를 재봉해서 대략 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30)의 전방 패널에는 인플레이터(도면 미도시)로부터 가스가 도입되는 도입부가 형성되고, 후방 패널에는 팽창 전개된 에어백 쿠션(20) 내부의 가스를 서서히 배출하는 벤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 쿠션(30)은 폴딩 방식 또는 롤링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백 쿠션(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된 에어백 쿠션(30)을 감싸는 래퍼(3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래퍼(33)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래퍼(33)의 일단, 도 2에서 보았을 때 좌측단은 재봉 방식으로 형성되는 재봉선(34)에 의해 폴딩된 에어백 쿠션(3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래퍼(33)에는 에어백 쿠션(30)의 팽창 전개시 절단되는 절단선(35)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랩(40)은 에어백 쿠션(30)을 비정상 착좌 상태인 어린이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타고 넘어가도록 팽창 전개시킴으로써, 에어백 쿠션(30)이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눌러서 발생하는 목 부위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플랩(40)은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감싸서 에어백 쿠션(30)과 탑승자의 머리 부분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플랩(40)은 에어백 쿠션(30)과 플랩(40)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에어백 쿠션(30)과 동일한 재질 또는 유사한 천 재질로 마련되고, 래퍼(33)에 비해 길게 연장된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랩(40)은 재봉선(34)에 의해 일단이 래퍼(33)에 재봉 방식으로 연결되고, 폴딩된 상태로 래퍼(33)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도 4는 각각 종래기술과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랩의 전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플랩(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된 에어백 쿠션(30)의 폭에 대응되는 폭(w)을 갖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종래의 플랩(40)은 에어백 쿠션(30)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차량 내부의 구조물,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와의 간섭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함에 따라, 에어백 쿠션(30)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랩(40)은 에어백 쿠션(30)의 전개시 전개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개압으로 인해 불완전하게 전개됨에 따라,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덮도록 완벽하게 전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플랩(40)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 방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하기 어렵고, 비정상 착좌 상태의 어린이 탑승자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10)에 적용되는 플랩(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랩(40)의 일단, 도 4에서 보았을 때 상단부(41)는 재봉선(34)에 의해 재봉 방식으로 래퍼(3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랩(40)은 폴딩 또는 롤링 방식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래퍼(30) 내부에 배치되고, 폴딩된 플랩(40)의 일단부는 도 1에 도시된 가재봉선(36)을 따라 가재봉 방식으로 래퍼(33)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플랩(40)은 종래의 플랩(40)에 비해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40)의 상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와 하단부는 폴딩된 에어백 쿠션(30)의 폭에 비해 +α만큼 양측으로 확장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랩(40)은 종래의 플랩(40)의 폭(w)보다 넓은 폭(w+2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된 플랩(40)의 양측부, 즉 한 쌍의 확장부(42)는 각각 종래의 플랩(40) 양단에 대응되는 폴딩 라인(43)을 따라 플랩(40)의 중앙부에 겹쳐지도록 접힐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플랩(40)에는 에어백 쿠션(30)의 팽창 전개시 플랩(40)의 전개를 방해하는 전개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40)의 하단에는 플랩(40)의 하단부를 양측으로 전개시키는 한 쌍의 제1 슬릿(44)이 형성되고, 제1 슬릿(44)의 상부에는 플랩(40) 양측의 확장부(42)를 양측으로 전개시키는 한 쌍 이상의 제2 슬릿(45)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제1 슬릿(44)은 단면이 대략 '∧' 형상이나 '∩' 형상과 같이, 상방으로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슬릿(44)은 에어백 쿠션(30)의 팽창 전개시 플랩(40)의 하단부에서 제1 슬릿(44)이 형성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려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슬릿(44)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제2 슬릿(45)은 플랩(40)의 중앙 상방을 향해 경사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랩(40) 중앙의 가상선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제2 슬릿(45)은 상기 가상선 상방을 향해 우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슬릿(45)은 상기 가상선 상방을 향해 좌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2 슬릿(45)은 에어백 쿠션(30)의 팽창 전개시 플랩(40) 양측의 확장부(42)를 양측으로 벌려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슬릿(45)은 플랩(40)의 상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변경될 수 잇다.
즉, 제2 슬릿(45)은 플랩(40)의 상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플랩(40)의 상하 길이가 길어지면 2쌍 또는 3쌍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제2 슬릿(45)은 하나 이상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플랩(40)의 상부측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슬릿(45)은 각각 1개로 도시되어 있고, 플랩(40)의 하부측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슬릿(45)은 각각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제2 슬릿(45)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슬릿(45)은 경사진 직선 형상뿐만 아니라, 호 형상, 반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물론, 제2 슬릿(45)은 플랩(40)의 전개 동작시 작용하는 작용력의 분산 효과를 높이기 위해, 경사진 직선 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형상이 변형된 제2 슬릿을 예시한 도면이다.
즉, 제2 슬릿(45)은 도 5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이나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도록 삼각 형상, 마름모 형상이나 사각 형상, 또는 육각이나 팔각 형상 등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슬릿을 타원이나 원 형상, 다각 형상과 같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플랩의 팽창 전개시 작용하는 작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플랩 양측의 확장부를 더욱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슬릿(44,45)은 대략 폴딩 라인(4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슬릿(44,45)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플랩(40) 양측의 확장부(45)를 양측으로 벌려 확장시키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 제1 및 제2 슬릿(44,45)은 각 확장부(42)의 외측단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다만, 제1 및 제2 슬릿(44,45)이 각 확장부(42)의 외측단에 과도하게 근접하는 경우, 플랩(40) 가장자리를 절단 과정에서 제1 및 제2 슬릿(44,45)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깔끔하게 절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슬릿(44,45)은 각 확장부(42)의 외측단에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랩의 양측에 각각 확장부를 마련해서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인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랩의 각 확장부와 중앙부 사이에 복수 쌍의 슬릿을 형성해서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플랩에 작용하는 전개압을 분산시켜 플랩의 확장부를 양측을 향해 효과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플랩 및 에어백 쿠션의 전개 방향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해서 전개 형상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결합 관계 및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에어백 쿠션(30)의 일단에 래퍼(33)와 플랩(40)의 일단부를 겹쳐지게 배치한 상태에서 재봉선(34)을 따라 재봉 방식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플랩(40)을 폴딩 또는 롤링 방식으로 폴딩한 후, 폴딩된 플랩(40)의 단부를 래퍼(33)에 가재봉선(36)을 따라 가 재봉 방식으로 연결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에어백 쿠션(30)을 폴딩 또는 롤링 방식으로 폴딩하고, 폴딩된 에어백 쿠션(30)의 외면에 래퍼(33)를 감은 후, 래퍼(33)의 단부를 에어백 쿠션(30)에 재봉 방식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래퍼(33)에 의해 감싸진 에어백 쿠션(30)은 하우징(20)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하우징(20)의 개구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 내부의 구조물,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된다.
한편, 차량의 충돌 발생시 인플레이터에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30) 내부로 도입되면, 에어백 쿠션(30)은 커버와 래퍼(33)를 절단하면서 하우징(20) 외부로 팽창 전개된다.
이때, 플랩(40)은 래퍼(33)에 가재봉된 가 재봉선(36)이 래퍼(33)에서 분리되면서 에어백 쿠션(30)과 함께 팽창 전개된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은 각각 종래의 플랩(40)과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랩(40)의 팽창 전개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의 (a)와 (b)에는 각각 종래의 플랩(40)과 에어백 쿠션(30)의 초기 전개 상태와 완전 전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의 (a)와 (b)에는 각각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랩(40)과 에어백 쿠션(30)의 초기 전개 상태에 완전 전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플랩(40)은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과정에서 작용하는 전개압으로 인해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전개 상태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더미의 머리부분을 완전하게 커버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랩(40) 양측의 확장부(42)는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초기에 플랩(4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 슬릿(44,45)이 확장되면서 전개압이 분산됨에 따라, 양측으로 벌어져 확장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랩(40)은 더미의 머리부분을 완벽하게 커버하고, 에어백 쿠션(30)의 전개 방향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해서 전개 성능 및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플랩의 양측에 각각 확장부를 마련해서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인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랩의 각 확장부와 중앙부 사이에 복수 쌍의 슬릿을 형성해서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플랩에 작용하는 전개압을 분산시켜 플랩의 확장부를 양측을 향해 효과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플랩 및 에어백 쿠션의 전개 방향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해서 전개 형상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 예에서 플랩(40)에는 양측에 한 쌍의 확장부(42)가 마련되고, 제1 및 제2 슬릿(44,45)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플랩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10)에 적용되는 플랩(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40) 양측의 확장부(42)가 2단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폴딩 라인(43)을 기준으로 서로 겹쳐지게 접힐 수 있다.
그리고 플랩(4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슬릿(44,45)은 각각 복수의 쌍으로 마련되고, 각 제1 슬릿(44)과 제2 슬릿(45)도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랩 양측의 확장부를 2단 이상으로 마련하고, 플랩에 형성되는 슬릿의 개수를 증가시켜 플랩의 폭을 더욱 확장시킴으로써, 전개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플랩 및 에어백 쿠션을 안정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플랩 및 에어백 쿠션의 전개 방향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해서 전개 형상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20: 하우징
30: 에어백 쿠션
33: 래퍼 34: 재봉선
35: 절단선 36: 가재봉선
40: 플랩
41: 상단부 42: 확장부
43: 폴딩 라인 44,45: 제1, 제2 슬릿

Claims (9)

  1. 차량 내부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폴딩된 상태로 수용되고,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차량 내부의 구조물과 탑승자 사이에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를 구속해서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 및
    폴딩된 상기 에어백 쿠션을 감싸는 래퍼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되는 과정에서 전개 방향을 가이드하는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의 양측에는 상기 플랩의 폭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폭보다 넓게 확장한 확장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 및 플랩의 팽창 전개시 작용하는 작용력을 분산시켜 상기 플랩을 양측으로 확장시키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플랩이 상기 에어백 쿠션에 연결되는 일단부의 반대측에 마련된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플랩의 일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플랩의 팽창 전개시 상기 플랩의 타단부를 양측으로 확장시키도록, 상기 플랩의 타단부에서 상기 플랩의 일단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플랩의 팽창 전개시 상기 확장부를 양측으로 확장시키도록, 상기 플랩 중앙의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플랩의 일단부를 향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은 각각 상기 플랩 양측의 확장부가 상기 플랩에 겹쳐지도록 접히는 한 쌍의 폴딩 라인 주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슬릿은 각각 상기 플랩 양측의 확장부 외측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은 각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양측의 확장부는 각각 복수의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플랩에 접히도록 2단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0210095885A 2021-07-21 2021-07-21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58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85A KR102580775B1 (ko) 2021-07-21 2021-07-21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17/814,006 US11691587B2 (en) 2021-07-21 2022-07-21 Passenger seat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85A KR102580775B1 (ko) 2021-07-21 2021-07-21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86A true KR20230014486A (ko) 2023-01-30
KR102580775B1 KR102580775B1 (ko) 2023-09-21

Family

ID=8497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885A KR102580775B1 (ko) 2021-07-21 2021-07-21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91587B2 (ko)
KR (1) KR1025807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429A (ko) *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14051251A (ja) * 2012-09-10 2014-03-20 Calsonic Kansei Corp 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60033A (ko) * 2013-11-25 2015-06-0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
JP2016026942A (ja) * 2013-10-31 2016-02-1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781384B1 (ko) 2016-06-21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807660B1 (ko) 2016-09-06 2017-12-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5867A (en) * 1996-05-03 1998-06-16 Alliedsignal Inc. Air bag with externally mounted tether
JP3430841B2 (ja) 1997-03-05 2003-07-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DE19813054A1 (de) * 1998-03-25 1999-10-07 Daimler Chrysler Ag Airbag-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WO2006003748A1 (ja) * 2004-06-30 2006-01-12 Autoliv Development Ab エアバッグ装置
JP4364081B2 (ja) 2004-07-14 2009-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165559B2 (ja) 2005-12-16 2008-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0699173B1 (ko) 2005-12-16 2007-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WO2008109053A2 (en) * 2007-03-05 2008-09-12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with deployment control flap
DE112008003109T5 (de) * 2007-11-22 2010-10-14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vorrichtung für einen Beifahrersitz
US7845672B2 (en) 2007-11-26 2010-12-07 Takata Corporation Airbag cover and airbag apparatus
US8272664B2 (en) * 2007-12-13 2012-09-25 Autoliv Asp, Inc. Airbag lateral flap
US7695013B2 (en) * 2008-05-20 2010-04-13 Tk Holdings Inc. Deployment control device for airbag
US7712781B2 (en) * 2008-09-17 2010-05-11 Tk Holdings Inc. Protective cushion wrap with slip feature
JP5791184B2 (ja) * 2011-08-22 2015-10-0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伸張部材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968704B2 (ja) * 2012-07-12 2016-08-10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A2922234C (en) * 2013-08-23 2019-02-12 Honda Motor Co., Ltd. Air bag device
KR20150054573A (ko) * 2013-11-12 2015-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US9783148B2 (en) * 2015-05-14 2017-10-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cover with integrated steering panel
US9682678B2 (en) * 2015-11-02 2017-06-20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protectors and related methods
JP6589799B2 (ja) * 2016-09-28 2019-10-16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に用いられるラッピング材
JP6789262B2 (ja) * 2018-03-23 2020-11-2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フラップ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US10864883B2 (en) * 2018-03-28 2020-12-15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US10994687B2 (en) * 2018-12-11 2021-05-04 Autoliv Asp, Inc. Airbag compression wrappers and related airbag assemblies
US11465580B2 (en) * 2020-04-08 2022-10-11 Autoliv Asp, Inc. Bi-directional airbag cushion wrappers and related airbag assembli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429A (ko) *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14051251A (ja) * 2012-09-10 2014-03-20 Calsonic Kansei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2016026942A (ja) * 2013-10-31 2016-02-1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60033A (ko) * 2013-11-25 2015-06-0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
KR101781384B1 (ko) 2016-06-21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807660B1 (ko) 2016-09-06 2017-12-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775B1 (ko) 2023-09-21
US11691587B2 (en) 2023-07-04
US20230025221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539B2 (en) Airbag module with deployment control flap
EP2072348B1 (en) Knee airbag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WO2016002384A1 (ja) エアバッグ装置
US7712781B2 (en) Protective cushion wrap with slip feature
WO2016147684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758811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20190070174A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0938327B1 (ko) 무릎 에어백
JP2020152266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30014486A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CN113365882B (zh) 安全气囊装置
KR102581851B1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및 그의 폴딩 방법
KR102545852B1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KR102638130B1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626944B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의 폴딩 방법
KR10261410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KR102581842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482088B1 (ko) 에어백 쿠션
WO2022237290A1 (zh) 安全气囊和车辆
WO2024070721A1 (ja)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70100123A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060084913A (ko) 에어백장치
KR20090090010A (ko) 무릎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