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199A -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199A
KR20230013199A KR1020210092750A KR20210092750A KR20230013199A KR 20230013199 A KR20230013199 A KR 20230013199A KR 1020210092750 A KR1020210092750 A KR 1020210092750A KR 20210092750 A KR20210092750 A KR 20210092750A KR 20230013199 A KR20230013199 A KR 20230013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elon
collage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250B1 (ko
Inventor
유영민
Original Assignee
유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민 filed Critical 유영민
Priority to KR102021009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2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2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2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4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6Vitamin B3 nia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2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6Vitamin B8 Fo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2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참외농축액에 겔화제와 피쉬콜라겐을 혼합하는 것과 더불어 천연감미료 및 8종 비타민분말이 혼합되어 콜라겐으로 제조되는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제수 40 ~ 50중량%, 참외농축액 35 ~ 45중량%, 겔화제 1 ~ 2중량%, 피쉬콜라겐 2 ~ 3중량%, 오렌지농축액 4 ~ 5중량%, 열대과일농축액 3 ~ 4중량%,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C, 나이아신, 엽산 및 비타민E가 각각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8종 비타민분말 0.5 ~ 1중량%, 구연산나트륨 0.3 ~ 0.5중량%, 자일리톨 0.2 ~ 0.3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1 ~ 0.3중량%, 젖산칼슘 0.05 ~ 0.1중량%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70 ~ 85℃로 유지되는 교반기에 30 ~ 60분 교반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교반된 교반물을 5 ~ 20℃의 온도에서 3 ~ 4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압출기를 통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3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참외농축액은 껍질과 태좌부를 제거한 참외를 파쇄한 후 착즙기에 넣어 참외원액을 추출하고, 제거된 태좌부를 베보자기에 싸서 태좌부의 액즙만을 수득하여 착즙기에서 추출된 참외원액과 태좌부의 액즙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90 ~ 11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하여 30 ~ 40중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20 ~ 25Brix의 당도를 가지도록 농축한 후 5 ~ 10℃의 온도에서 급냉시켜 완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과일 중 당도가 좋으면서 엽산의 함량이 높은 참외를 주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참외에 포함된 엽산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인체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기능을 극대화시키게 되어 콜라겐 시장의 활성화와 더불어 참외의 소비를 촉진시켜 농가 소득의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부가가치를 발생시키고, 천연감미료 및 8종 비타민이 사용되어 콜라겐의 풍미를 향상시키면서 인체에 유익한 콜라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collagen}
본 발명은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참외농축액에 겔화제와 피쉬콜라겐을 혼합하는 것과 더불어 천연감미료 및 8종 비타민분말이 혼합되어 콜라겐으로 제조되는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 각국 나라의 여성 소비자들이 피부 미용을 위해 꾸준히 찾는 기능성 식품이다. 콜라겐은 동물의 뼈와 피부에 주로 존재하며 연골, 장기 막, 머리카락 등에도 분포되어 있는 경단백질로 물고기 비늘의 성분이기도 하다. 교원질이라고도 하며 섬유상 고체로 존재한다.
이러한 콜라겐은 피부 수분 양에 관여하기 때문에 콜라겐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피부 노화, 관절 약화, 혈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흔히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먹는 콜라겐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기술로는 특허 제10-1458175호가 있다.
특허 제10-1458175호는 돈피를 이용하여 콜라겐을 함유한 젤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1) 세척하고 털을 제거한 돈피 900 ~ 1100 중량부를 준비하는 단계; (B1) 상기 돈피를, 된장 180 ~ 220 중량부, 무즙 2 ~ 4 중량부 및 천궁 6 ~ 8 중량부를 포함하는 냄새제거용 향신료가 혼합된 물 1100 ~ 1300 중량부에 넣고, 1200 ~ 1400℃의 불에 4 ~ 6분 동안 삶아서 돈피의 누린내 및 잡냄새를 제거한 후, 다시 400 ~ 500℃의 불에 20 ~ 30분 동안 삶아서 상기 냄새제거용 향신료가 상기 돈피에 스며들게 하는 단계; (C1) 상기 (B1) 통해 삶아진 돈피를 찬물로 냉각하고, 나이프를 통해 돈피의 진피 상부의 표피층을 제거하고, 진피 하부의 피하지방층을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제거하여 콜라겐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진피층만을 추출하는 단계; (C2) 상기 (C1) 단계를 통해 지방이 제거된 돈피를, 마늘 90 ~ 110 중량부, 양파 90 ~ 110 중량부 및 녹차가루 2 ~ 4 중량부가 혼합된 물 800 ~ 1000 중량부에 넣고, 1200 ~ 1400℃의 불에 4 ~ 6분 동안 삶아서 돈피의 누린내를 다시 한번 제거한 후, 다시 400 ~ 500℃의 불에 4 ~ 6분 동안 삶아서 상기 마늘, 양파 및 녹차가루가 혼합된 물이 상기 돈피에 스며들게 하는 단계; (D1) 상기 (C1) 단계를 거쳐 지방이 제거된 돈피를 부드럽게 하고 맛의 풍미를 더하기 위해, 배즙 1 ~ 2중량부, 사과즙 1 ~ 2 중량부 및 생강즙 4 ~ 6 중량부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한 후 소정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E1) 상기 (D1) 단계를 통해 숙성된 돈피를, 새우젓 40 ~ 60 중량부 및 천일염 1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향미료가 혼합된 물에 넣고, 400 ~ 500℃의 불에 4 ~ 6분 동안 삶아서 풍미를 더함과 동시에 젤라틴을 생성하는 단계; (F1) 상기 (E1) 단계를 거친 돈피를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는 단계; (F2) 상기 (F1) 단계를 통해 분쇄된 돈피를, 청양고추 40 ~ 50 중량부, 매실 액기스 40 ~ 50 중량부 및 표고버섯가루 5 ~ 7 중량부가 혼합된 물에 넣은 후 1200 ~ 1400℃의 불에 4 ~ 6분 동안 삶아서 풍미를 더하는 단계; 및 (G1) 상기 분쇄된 돈피를 고정 틀에 넣고, 13 ~ 17℃의 온도에서 5 ~ 6시간 동안 응고시켜 젤리 형태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콜라겐의 섭취 시 콜라겐의 유효한 성분에 대한 인체의 흡수가 중요하지만 인체내에 아미노산 종류 중 하나인 호모시스테인은 콜라겐 합성을 방해하고, 심지어는 인체에 생성된 기존의 콜라겐을 파괴까지 이르게 한다.
이러한 호모시스테인은 육류에서 섭취한 메티오닌이 변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육류를 즐기는 현재사회에서 인체에 계속적으로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콜라겐의 섭취시 유효한 성분에 대한 인체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 중 당도가 좋으면서 엽산의 함량이 높은 참외와 겔화제 및 피쉬콜라겐을 혼합하고, 더불어 천연감미료 및 8종 비타민분말이 혼합되어 콜라겐으로 제조됨으로써, 참외에 포함된 엽산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인체에 유익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기능을 극대화시키는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제수 40 ~ 50중량%, 참외농축액 35 ~ 45중량%, 겔화제 1 ~ 2중량%, 피쉬콜라겐 2 ~ 3중량%, 오렌지농축액 4 ~ 5중량%, 열대과일농축액 3 ~ 4중량%,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C, 나이아신, 엽산 및 비타민E가 각각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8종 비타민분말 0.5 ~ 1중량%, 구연산나트륨 0.3 ~ 0.5중량%, 자일리톨 0.2 ~ 0.3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1 ~ 0.3중량%, 젖산칼슘 0.05 ~ 0.1중량%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70 ~ 85℃로 유지되는 교반기에 30 ~ 60분 교반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교반된 교반물을 5 ~ 20℃의 온도에서 3 ~ 4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압출기를 통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3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참외농축액은 참외를 착즙기에 넣어 참외원액을 추출하고, 추출된 참외원액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90 ~ 11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하여 30 ~ 40중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20 ~ 25Brix의 당도를 가지도록 농축한 후 5 ~ 10℃의 온도에서 급냉시켜 완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과일 중 당도가 좋으면서 엽산의 함량이 높은 참외를 주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참외에 포함된 엽산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인체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기능을 극대화시키게 되어 콜라겐 시장의 활성화와 더불어 기존의 콜라겐에 사용되는 과실은 주로 석류 위주로 되어 있어 참외를 기반으로 하는 콜라겐을 개발함으로써, 독보적으로 콜라겐 시장의 판도를 이어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참외는 우리나라에서만 먹는 과일로 본 발명인 콜라겐을 통해 참외를 세계시장에서도 어필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휘된다.
또한, 참외의 소비를 촉진시켜 농가 소득의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부가가치를 발생시키고, 천연감미료 및 8종 비타민이 사용되어 콜라겐의 풍미를 향상시키면서 인체에 유익한 콜라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은 제1, 2, 3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이루어진다.
제1단계는 본 발명인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로, 정제수 40 ~ 50중량%, 참외농축액 35 ~ 45중량%, 겔화제 1 ~ 2중량%, 피쉬콜라겐 2 ~ 3중량%, 오렌지농축액 4 ~ 5중량%, 열대과일농축액 3 ~ 4중량%,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C, 나이아신, 엽산 및 비타민E가 각각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8종 비타민분말 0.5 ~ 1중량%, 구연산나트륨 0.3 ~ 0.5중량%, 자일리톨 0.2 ~ 0.3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1 ~ 0.3중량%, 젖산칼슘 0.05 ~ 0.1중량%를 준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참외는 영양학적 및 약리적 효능을 조사해 보면, 참외는 오이와 마찬가지로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이를 섭취하면 우리 몸의 체온을 낮춰주는 효능을 갖고 있지만, 참외는 가래를 묽게 하고 기관지염을 개선하며, 칼슘이 풍부해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뼈를 튼튼하게 유지해준다. 또한, 참외에는 칼륨이 풍부하여 몸속의 비정상인 나트륨 함량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해 고혈압을 예방하며, 비타민C가 많이 들어 있어 피부를 윤기있고 탄력있게 해주고 피부 트러블도 진정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엽산의 함량이 높는 것이 주특징이다.
즉, 엽산은 콜라겐의 섭취 시 콜라겐의 유효한 성분이 인체에 흡수를 방지하는 호모시스테인을 메티오닌으로 재생시켜주고, 엽산의 함량이 높은 참외가 콜라겐에 포함되어 인체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기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겔화제는 콜라겐의 조직감을 부여하는데 사용되며, 그 종류로는 펙틴, 한천, 젤라틴, 전분,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잔탄검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피쉬콜라겐은 겔화제와 동일하게 조직감을 부여하는데 사용되며, 어류에서 추출한 콜라겐으로 동물성콜라겐과 비교할 때 불순물 함량이 적고 알르레기 유발 인자도 적어 안정성이 높고 흡수율 또한 동물성콜라겐에 비해 월등하여 피부건강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고 뼈를 강화시키는 등의 콜라겐이 가지는 인체에 유효한 성분을 제공하게 된다.
겔화제와 피쉬콜라겐의 함량을 상기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콜라겐으로 성형되었을 때 젤리와 같은 식감을 부여하면서 콜라겐 자체의 영영학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함이다.
오렌지농축액과 열대과일농축액은 콜라겐에 과일 특유의 풍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효소처리스테비아는 백색이나 엷은 황색의 분말 또는 액체로서 감미도가 설탕의 약 100 ~ 200배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오렌지농축액과 열대과일농축액만으로 다소 부족할 수 있는 단맛을 나게 하여 콜라겐의 풍미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자일리톨은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감미료로서, 설탕과 비슷한 당도를 유지하면서도 당을 발효시켜 산을 생성함으로써 발생하는 충치균을 약화시키고 당의 발효를 막아서 이 과정을 차단함으로 해서 충치의 원인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
즉, 오렌지농축액, 열대과일농축액, 자일리톨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는 본 발명인 참외와 더불어 부족한 단맛을 내기 위해 천연감미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인공당원에 비해 인체에 유익하면서 지나친 단맛이 나는 것을 방지한다.
구연산나트륨과 젖산칼슘은 콜라겐의 산도 조절과 더불어 변색 및 산패를 방지하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게 하여 식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함량율이 높으면 지나치게 신맛이 나타나 식용콜라겐으로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타민은 우리 몸에서 충분한 양을 생산할 수 없으며 음식에서 섭취하여야 하는 필수 영양소로서, 본 발명의 8종 비타민 분말 또한 콜라겐의 영양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비타민A는 시력 유지, 신체의 저항력 강화는 물론 생체막 조직의 구조와 기능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비타민B1는 탄수화물의 에너지 전환과 뇌·신경 기능 유지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비타민B2는 리보플라빈(Riboflavin)은 세포 기능 촉진 및 신체 발육, 점막 보호에 기여한다.
비타민B6은 단백질 및 아미노산 이용, 혈액의 호모시스테인 수준 정상 유지에 필요하며, 특히 비타민B6은 콜라겐 합성의 첫 대사과정인 알리신(allysine) 형성에 관여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기능도 가진다.
비타민C는 강력한 환원제로써 항산화 작용이 있고, 콜라젠 합성 효소와 생물의 에너지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의 보조 효소이다.
나이아신은 비타민B3로도 불리는 유기물질이며, 전체 물질 대사에 필요한 영양소 신경전달 물질 생산 및 피부 수분 유지에 도움을 준다.
엽산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육류의 섭취로 인해 인체에 축척된 호모시스테인을 잡기 위해 사용된다.
비타민E는 근기능 유지, 항산화기능에 관여하는 비타민이다.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70 ~ 85℃로 유지되는 교반기에 30 ~ 60분 교반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에서 비교적 고온인 70 ~ 85℃에서 교반이 수행되어 혼합물 중의 분말을 포함한 조성물의 분산이 용이하게 되고, 30 ~ 6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교반과정에서 거품을 최소화하면서 조성물의 맛과 향이 적절히 이루어지게 되어 양질의 콜라겐 원액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제3단계는 제2단계에서 교반된 교반물을 5 ~ 20℃의 온도에서 3 ~ 4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압출기를 통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제3단계에서 5 ~ 20℃의 온도에서 3 ~ 4시간 동안 냉각하는 것은 교반물의 자연스러운 냉각과정에서 견고한 콜라겐 형태로 반응하기 위한 시간 및 온도이며, 콜라겐 형태로 냉각되면 포장재에 개별적으로 포장하기 위하여 압출기를 통해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콜라겐은 과일 중 당도가 좋으면서 엽산의 함량이 높은 참외를 주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참외에 포함된 엽산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인체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기능을 극대화시키게 되어 콜라겐 시장의 활성화와 더불어 참외의 소비를 촉진시켜 농가 소득의 증대에 기여하여 다양한 부가가치를 발생시키고, 천연감미료 및 8종 비타민이 사용되어 콜라겐의 풍미를 향상시키면서 인체에 유익한 콜라겐을 제조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참외농축액은 참외를 착즙기에 넣어 참외원액을 추출하고, 추출된 참외원액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불순물이 없는 참외원액을 수득한다.
수득한 참외원액을 90 ~ 11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하여 30 ~ 40중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20 ~ 25Brix의 당도를 가지도록 농축한 후 5 ~ 10℃의 온도에서 급냉시켜 완성된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얻어진 참외농축액은 20 ~ 25Brix의 당도를 유지하여 참외의 엽산함량에 따른 기능성은 물론 맛에서도 기존의 젤리성 콜라겐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양질의 콜라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90 ~ 11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5 ~ 10℃의 온도에서 급냉과정은 가열된 참외농축액을 캔과 같은 금속용기에 밀봉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하여 냉각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변질을 원천적으로 예방하고, 보관과정에서도 맛이나 영양상태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제3단계에서 압출기를 통해 성형된 콜라겐의 외면에 알파미분을 코팅시킬 수 있다.
알파미분은 쌀을 증숙 및 고압 사출하여 쌀의 전분질을 알파화(호화)하여 분쇄한 것으로 콜라겐의 단맛과 더불어 구수한 맛을 어우러지게 하여 간식 및 식사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알파미분은 콜라겐과 0.5 ~ 2 : 10의 중량비율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단계에서 준비된 혼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완두콩분말 4 ~ 5중량부, 율피분말 2 ~ 3중량부, 시금치분말 2 ~ 3중량부, 산마늘분말 1 ~ 2중량부를 각각 혼합하여 엽산의 함량을 극대화시키도록 한다.
이때, 참외농축액은 참외농축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당화액을 10 ~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 ~ 120℃의 조건에서 20 ~ 30분 동안 가열하여 농축시켜 완두콩 분말, 율피분말, 시금치분말, 산마늘분말을 포함시킴으로써 떨어지는 당도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완두콩은 엽산과 비타민B6의 함량이 높은 것은 물론 단백질 및 식이섬유 등이 매우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다.
율피는 밤의 과육으로부터 외피를 제거하여 과육의 표면에 보존된 것으로서 밤의 속껍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율피는 엽산이 풍부한 밤이 포함되어 엽산의 함량이 높고, 면역력, 항염증 기능이 있고 장기에도 좋은 영향을 주며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주는 폴리페놀 함량율도 높아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다.
또한, 율피는 피부의 독성물질인 과산화지질 합성을 저해해 피부 미백 활성을 유도하는 등 기능성화장품의 원료로도 사용될 만큼 우수한 기능을 가진다.
시금치는 나물, 국물재료 및 샐러드와 같은 식재료로 많이 사용되며, 시금치에는 잎채소 중 엽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비타민, 무기질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한다.
산마늘은 잎에서 마늘 향이 나며 섬유질이 많아 육류와 궁합이 잘 맞고, 울릉도에서는 춘궁기에 목숨을 이어준다 하여 명이나물이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산마늘은 엽산과 비타민C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참외와 함께 엽산의 함량이 높은 완두콩 분말, 율피분말, 시금치분말 및 산마늘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엽산의 함량이 극대화되는 콜라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첨가하여 떨어지는 당도를 당화액으로 보충하여 맛과 영양을 모두 담보할 수 있는 콜라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완두콩분말, 율피분말, 시금치분말 및 산마늘분말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우선, 완두콩은 초음파세척기로 표면을 깨끗히 세척한 후 물에 10시간 동안 불려 놓는다.
또한, 율피와, 시금치 및 산마늘은 물로 깨끗히 세척하고, 정제수 10ℓ 기준으로 식초 0.3 ~ 0.5ℓ, 소금 50 ~ 60g이 혼합된 혼합물에 율피와, 시금치 및 산마늘을 1 ~ 2시간 침지시킨다.
이는 정제수에 포함된 소금과 식초를 통해 율피와, 시금치 및 산마늘의 풋내를 잡아주어 추후 콜라겐에 첨가되었을 때 맛의 저하를 방지하고 그 형태를 온전히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침지된 율피와, 시금치 및 산마늘과 미리 세척시켜 불린 완두콩을 100℃의 온도로 10 ~ 20분 증숙한 후 증숙과정에서 생성된 물기를 건조하고, 건조된 율피와, 시금치, 산마늘 및 완두콩을 분쇄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당화액은 쌀 10kg를 24시간 동안 물에 불린 후 찜기에 1시간 동안 익혀 호화시키고 호화된 쌀 10kg와 엿기름 2kg와 정제수 10ℓ 및 베타 아밀라아제로 된 당화효소 10g를 보온기에서 10 ~ 15시간 숙성시키고, 숙성된 숙성물의 액즙만을 수득하며, 수득된 숙성물의 액즙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키위추출물 8 ~ 10중량부, 참외추출물 8 ~ 10중량부, 딸기추출물 8 ~ 10중량부, 토마토추출물 8 ~ 10중량부를 각각 혼합한 후 농축시켜 완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키위, 참외, 딸기 및 토마토는 단맛을 내면서도 엽산의 함량이 높아 인체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정제수 40 ~ 50중량%, 참외농축액 35 ~ 45중량%, 겔화제 1 ~ 2중량%, 피쉬콜라겐 2 ~ 3중량%, 오렌지농축액 4 ~ 5중량%, 열대과일농축액 3 ~ 4중량%,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C, 나이아신, 엽산 및 비타민E가 각각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8종 비타민분말 0.5 ~ 1중량%, 구연산나트륨 0.3 ~ 0.5중량%, 자일리톨 0.2 ~ 0.3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1 ~ 0.3중량%, 젖산칼슘 0.05 ~ 0.1중량%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70 ~ 85℃로 유지되는 교반기에 30 ~ 60분 교반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교반된 교반물을 5 ~ 20℃의 온도에서 3 ~ 4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압출기를 통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3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참외농축액은 참외를 착즙기에 넣어 참외원액을 추출하고, 추출된 참외원액을 여과하여 정제시킨 후 90 ~ 11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가열하여 30 ~ 40중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20 ~ 25Brix의 당도를 가지도록 농축한 후 5 ~ 10℃의 온도에서 급냉시켜 완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된 혼합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완두콩 분말 4 ~ 5중량부, 율피분말 2 ~ 3중량부, 시금치분말 2 ~ 3중량부, 산마늘분말 1 ~ 2중량부를 각각 혼합하고,
    상기 참외농축액은 참외농축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당화액 10 ~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 ~ 120℃의 조건에서 20 ~ 30분 동안 가열하여 농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두콩분말, 율피분말, 시금치분말 및 산마늘분말은 율피와, 시금치 및 산마늘은 물로 깨끗히 세척하고, 정제수 10ℓ 기준으로 식초 0.3 ~ 0.5ℓ, 소금 50 ~ 60g이 혼합된 혼합물에 율피와, 시금치 및 산마늘을 1 ~ 2시간 침지시키며, 침지된 율피와, 시금치 및 산마늘과 세척시킨 완두콩을 100℃의 온도로 10 ~ 20분 증숙한 후 증숙과정에서 생성된 물기를 건조하고, 건조된 율피와, 시금치, 산마늘 및 완두콩을 분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당화액은 쌀 10kg를 24시간 동안 물에 불린 후 찜기에 1시간 동안 익혀 호화시키고 호화된 쌀 10kg와 엿기름 2kg와 정제수 10ℓ를 보온기에 보온기에 10 ~ 15시간 숙성시키고, 숙성된 숙성물의 액즙만을 수득하며, 수득된 숙성물의 액즙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키위추출물 8 ~ 10중량부, 참외추출물 8 ~ 10중량부, 딸기추출물 8 ~ 10중량부, 토마토추출물 8 ~ 10중량부를 각각 혼합한 후 농축시켜 완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KR1020210092750A 2021-07-15 2021-07-15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KR102622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50A KR102622250B1 (ko) 2021-07-15 2021-07-15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50A KR102622250B1 (ko) 2021-07-15 2021-07-15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199A true KR20230013199A (ko) 2023-01-26
KR102622250B1 KR102622250B1 (ko) 2024-01-08

Family

ID=8511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750A KR102622250B1 (ko) 2021-07-15 2021-07-15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2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299A (ko) * 2010-05-04 2011-11-10 주식회사 제주건국내츄럴 감귤류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CN102657353A (zh) * 2012-05-15 2012-09-12 广州市龙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胶原蛋白饮料
KR20130099795A (ko) * 2012-02-29 2013-09-06 김정원 돈피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22412A (ko) * 2015-04-14 2016-10-24 김기 식물성(배추, 오가피 등) 원료와 동물성(우족) 원료를 이용한 편식해소용 영양식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299A (ko) * 2010-05-04 2011-11-10 주식회사 제주건국내츄럴 감귤류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20130099795A (ko) * 2012-02-29 2013-09-06 김정원 돈피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657353A (zh) * 2012-05-15 2012-09-12 广州市龙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胶原蛋白饮料
KR20160122412A (ko) * 2015-04-14 2016-10-24 김기 식물성(배추, 오가피 등) 원료와 동물성(우족) 원료를 이용한 편식해소용 영양식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250B1 (ko) 202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3089B (zh) 一种包心鳗鱼丸及其制备方法
EP3407737B1 (en) A process for preparing fish bone powder
KR101458175B1 (ko) 돈피를 이용한 콜라겐 젤리 제조방법
KR100976354B1 (ko) 오리 훈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리 훈연제품
KR101227169B1 (ko) 알밤 백김치 제조방법
CN104305155A (zh) 一种白牛肝菌鸡肉酱及其制备方法
KR101423194B1 (ko) 간장소스의 제조방법
KR100515973B1 (ko) 식품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20210012433A (ko) 닭발을 이용한 육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한 닭발을 이용한 육수
CN102907593B (zh) 一种熟食果冻及其制作方法
CN106418523B (zh) 一种稳定型软枣猕猴桃功能保健凝乳
KR102622250B1 (ko) 참외를 이용한 콜라겐의 제조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CN106689855A (zh) 一种芹菜营养酱菜及其制备方法
KR101006076B1 (ko) 뽕잎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60114B1 (ko) 황칠나무분말과 재첩살이 포함된 볶음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CN109123599A (zh) 一种鸡\鸭心肝调味酱的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275347B1 (ko) 연자육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4198B1 (ko) 조림 간장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233176B1 (ko) 레토르트 추어탕 제조방법
CN107927628A (zh) 西柚豆豉鱼的制备方法
CN106616385A (zh) 一种裹蒸菜及其制作方法
CN106235045A (zh) 一种火腿酸木瓜鸡及其制作方法
CN105962099A (zh) 一种蒜香牛肉制品
KR20230146198A (ko) 사찰식 김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