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881A -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881A
KR20230012881A KR1020210093685A KR20210093685A KR20230012881A KR 20230012881 A KR20230012881 A KR 20230012881A KR 1020210093685 A KR1020210093685 A KR 1020210093685A KR 20210093685 A KR20210093685 A KR 20210093685A KR 20230012881 A KR20230012881 A KR 20230012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unit
compression
unit
workpiec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564B1 (ko
Inventor
손인수
허관도
하성준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3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5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7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 B29C45/67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using hydraulically connectable chambers of the clamping cylinder during the mould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2Barrel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2059/027Grinding; Pol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압착부, 제1 압착부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2 압착부, 제1 압착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실린더 및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실린더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압착부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고, 코팅부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외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피가공물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공정이 한 번의 공정으로 해결되므로 별도의 장치가 따로 요구되지 않아 편리한 효과가 있는 금형 가공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MOLD PRESSING DEVICE USING HYDRAULIC CYLINDER}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압착부, 제1 압착부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2 압착부, 제1 압착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실린더 및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실린더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압착부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고, 코팅부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외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피가공물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공정이 한 번의 공정으로 해결되므로 별도의 장치가 따로 요구되지 않아 편리한 효과가 있는 금형 가공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금형은 고정측 금형 및 가동측 금형을 포함하고, 고정측 금형 및 가동측 금형이 밀착되면, 고정측 금형 및 가동측 금형 사이에는 제품이 성형되는 캐비티가 형성된다.
이 캐비티 내에 용융수지가 사출 주입되면 제품이 성형되고 성형된 제품이 냉각 고화되면, 고정측 금형 및 가동측 금형을 이격 시켜(이를 형개라 함)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게 된다.
한편 사출성형제품에는, 이 제품을 여타 장비나 장치에 스크류 등으로 부착시키기 위해, 스크류가 삽입 고정될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된 보스부들이 다수 개 붙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보스부들이 있는 제품을 사출성형하기 위한 종래의 사출성형금형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출성형금형은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을 포함하며, 고정측 금형에는 고정측 형판(11), 고정측 설치판(12)이 포함될 수 있고, 가동측 금형 에는 가동측 형판(21), 스페이서 블록(22), 이젝터판(24, 25), 가동측 설치판(23)이 포함될 수 있다.
성형제품(1)의 보스부(1a)를 성형하기 위해 보스부(1a)의 홈 내에 삽입되는 보스 코어핀(26)이 가동측 설치판(23)에 고 정 설치되고, 보스 코어핀(26) 주위에는 보스 코어핀(26)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한 슬리브 이젝터 핀(27)이 설치 된다.
이리하여 용융수지가 로케이팅 링(13) 및 수지통로(14)를 통해 캐비티 내에 주입되면 제품이 성형되고, 성형된 제품이 냉각 고화되면, 이젝터판(24, 25)을 밀어올리면, 이젝터판(24, 25)에 고정 설치된 슬리브 이젝터 핀(27)이 보스부(1a)의 하부를 밀어 성형제품(1)을 취출한다.
그러나 슬리브 이젝터 핀(27)이 보스부(1a)의 하부를 강제로 밀어 올릴 때, 보스 코어핀(26)의 상부측이 제품의 보스부(1a) 내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성형제품(1)의 보스부(1a)가 일부 파손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슬리브 이 젝터 핀(27)이 성형제품(1)을 밀어 올릴 때 힘의 언발란스가 발생하여 성형제품(1)에 불량을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제품을 성형한 후 성형제품에 손상이 가지 않고 안전하게 제품의 성형을 마무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9-0000242호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압착부, 제1 압착부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2 압착부, 제1 압착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실린더 및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실린더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압착부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고, 코팅부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외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피가공물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공정이 한 번의 공정으로 해결되므로 별도의 장치가 따로 요구되지 않아 편리한 효과가 있는 금형 가공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압착부, 제1 압착부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2 압착부, 제1 압착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실린더 및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실린더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압착부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부 및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는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를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피가공물의 외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코팅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부는 코팅액이 저장되는 코팅액 저장부, 코팅액이 이동하는 유입관 및 피가공물을 향해 코팅액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압착부는 피가공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피가공물의 모서리를 연마할 수 있는 연마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은 가공부의 구성으로 피가공물을 전체적으로 연마하지 않고, 모서리만 가공함으로써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면서 사용도 매우 쉽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휠부와 받침부 모두 회전하며 작업이 진행되므로 더욱 매끄럽고 균일하게 연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택효율이 향상된 피가공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가공물의 외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피가공물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공정이 한 번의 공정으로 해결되므로 별도의 장치가 따로 요구되지 않아 편리하고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사출 성형 금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압착부가 전방으로 이동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압착부가 후방으로 이동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고, '폭 방’'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일측'이라 함은 제1 프레임부(110)가 형성된 부분이고, '타측'이라 함은 제2 프레임부(120)가 형성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는 지지부(100), 압착부(200), 코팅부(30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지지부(100)는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및 제1 실린더(130)를 포함하고, 지지부(10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를 지지한다.
제1 프레임부(110)는 지지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프레임부(120)는 지지부(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실린더(130)는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의 사이에 위치되되, 일단이 지지부(100)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실린더(130)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작동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1 실린더(130)의 일단은 탈착 가능하도록 나사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제1 실린더(130)가 전,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후술할 제1 압착부(210)가 전,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 실린더(130)는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실린더(130)의 구동에 의해 후술할 제1 압착부(2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압착부(200)는 제1 압착부(210), 제2 압착부(220), 탄성 부재(230) 및 LED 센서(24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압착부(210)의 일측의 내부에는 제1 프레임부(110)가 삽입되어 있고, 제1 압착부(210)의 타측의 내부에는 제2 프레임부(120)가 삽입되어 있다.
즉, 제1 프레임부(110)의 일단에는 지지부(10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1 압착부(210) 및 제2 압착부(220)가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부(120)의 일단에는 지지부(10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1 압착부(210) 및 제2 압착부(220)가 결합된다.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내부에는 피가공물(10)이 삽입되고, 피가공물(10)의 일측과 타측에는 한 쌍의 탄성 부재(230)가 구성된다.
탄성 부재(230)는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가 이격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가공물(10)을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피가공물(10)이 성형 중에 제2 압착부(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제1 압착부(21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압착부(220)와 맞닿는 경우, 압착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 부재(230)는 스프링, 탄성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압착부(220)에 하중을 고르게 작용하기 위해서 우레탄이나 에틸렌 프로필렌디엔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압착부(220)의 일 지점에는 LED 센서(240)가 형성되고, LED 센서(240)를 통해 제1 압착부(210)의 작동 중 여부와 제1 압착부(210) 작동 완료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때, 제1 압착부(210)의 작동이란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사이에 피가공물(10)이 위치되면 제1 압착부(21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에 의해 피가공물(10)이 가압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압착부(210)가 작동 중일 때는 LED 센서(240)가 붉은색으로 점등되고, 제1 압착부(210)의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는 LED 센서(240)가 초록색으로 점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압착부(220)의 내부에 감지 센서(미도시)가 구성된다.
피가공물(10)이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사이에 삽입될 때, 감지 센서가 피가공물(10)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감지 센서는 피가공물(10)의 동작(motion)이나 존재(presence)를 검출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식이며, 동작을 검출하는 방식은 PIR(Passive Infra Red) 센서를 이용하고 센서등, 보안용 카메라 등에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지 센서는 피가공물(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며, 감지 센서가 피가공물(10)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제어부는 센서와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미도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미도시), 외부와 무선통신 가능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통신이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술한 구성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감지 센서가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사이에 있는 피가공물(10)을 감지하면, 감지 정보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가 LED 센서(240)에 감지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에 의해 피가공물(10)의 압착이 가동 중인 경우와 피가공물(10)의 압착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나타나는 LED 센서(240)의 색깔이 상이하게 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LED 센서(240)의 구성으로 피가공물(10)의 압착 완료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압착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용이하다.
도 3은 제1 압착부(210)가 후방으로 후진하였을 때를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의 처음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실린더(130)는 전방,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 실린더(1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압착부(210)가 제2 압착부(220)에 맞닿게 되고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사이에 안착된 피가공물(10)이 압착된다.
즉, 제1 실린더(130)는 제1 압착부(2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제1 압착부(210)가 제2 압착부(220)를 전방으로 눌러주는 힘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가공물(10)의 성형이 완료되면 제1 압착부(210)와 결합된 제1 실린더(13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냉각된 피가공물(10)은 제2 압착부(220)의 내부에 삽입된 채로 제1 압착부(21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사이에 구성된 한 쌍의 탄성 부재(230)는 이완되고,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는 전방,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 압착부(210)를 계속해서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는 제1 압착부(210)에 제1 실린더(130)의 이동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 없으므로 홈의 존재로 인한 취약성이 없어서 본 발명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실린더(130)가 제1 압착부(2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110)는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제1 프레임부(110)의 일단에는 제1 실린더(13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부(120)는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타측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제2 프레임부(120)의 일단에는 제2 실린더(13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실린더(130)와 제2 실린더(131)가 제1 압착부(210)의 일 지점에 한 쌍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3과 비교하여 제1 압착부(210)에 결합되는 실린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 공간에 따른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외관도 개선할 수 있으며 구조 또한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피가공물(10)의 외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코팅부(300)를 도시한 것이다.
코팅부(300)는 코팅액 저장부(310), 유입관(320) 및 유입구(330)를 포함하고, 코팅액 저장부(310)는 제1 압착부(210)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코팅액 저장부(310)의 내부에는 피가공물(10)의 외면에 형성될 코팅층의 코팅액이 삽입되어 있으며, 코팅액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 코팅층은 고분자 화합물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산 등의 화학성분에 대해서도 강한 내구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물이 노출되는 경우에도 내부식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코팅층의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코팅층 저장부의 일측에는 유입관(320)이 형성되고, 유입관(320)은 제2 압착부(220) 내부에 삽입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코팅액은 유입관(320)을 통해 삽입부로 삽입되고, 피가공물(10)의 외주면에 코팅액이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후, 충분한 시간 동안 코팅액이 형성된 피가공물(10)을 건조시킨 후, 제2 압착부(220)에서 피가공물(10)을 탈착 시키거나 이후에 후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피가공물(10)의 외면을 연마하는 연마부(26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압착부(220)의 일측면에 피가공물(10)의 주위를 따라 레일부(250)가 형성되고, 레일부(250)는 피가공물(10)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연마부(260)는 휠부(261), 받침부(262), 끼움부(263) 및 가공부(264)로 구성되고, 휠부(261)의 상부에는 받침부(262)가 형성된다.
받침부(262)는 얇은 판 형태이며, 받침부(262)의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 끼움부(263)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끼움부(263)는 휠부(261)의 중앙에 결합된다.
따라서, 받침부(262)의 하부는 휠부(261)의 외주면과 맞닿지 않게 되어 휠부(261)의 회전이 제한되지 않으며, 후술할 가공부(264)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262)의 상부에는 가공부(264)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가공부(264)는 피가공물(10)의 모서리를 연마하기 위해서 롤 형태로 형성된다.
가공부(264)는 받침부(262)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므로 가공부(264)를 하부에서 지지해주는 힘이 없으면, 피가공물(10)을 연마 시 상하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동이 발생하면 균일하고 매끄러운 연마작업이 곤란해져 피가공물(10)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262)의 구성으로 가공부(264)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이러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가공부(264)는 다양한 사이즈의 피가공물(10)을 성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교체할 수 있으며, 가공부(264)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휠부(261)는 레일부(250)를 따라 회전하고, 가공부(264)는 위치가 고정된 채로 회전하면서 피가공물(10)의 모서리를 더욱 균일하고 매끄럽게 연마한다.
도 7에는 한 쌍의 연마부(260)가 각각 다른 위치에 위치되어 있지만, 연마부(260)의 개수 및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피가공물(10)을 연마 시 발생하는 잔해물 및 이물질 등이 피가공물(10) 압착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 흡입구가 구성될 수 있다.
가공부(264)의 구성으로 피가공물(10)을 전체적으로 연마하지 않고, 모서리만 가공함으로써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면서 사용도 매우 쉽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덧붙여, 휠부(261)와 받침부(262) 모두 회전하며 작업이 진행되므로 더욱 매끄럽고 균일하게 연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택효율이 향상된 피가공물(10)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의 작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 실린더(13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압착부(210)가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한 쌍의 탄성 부재(230)도 마찬가지로 이완되고,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의 사이에 피가공물(10)이 주입된다.
압착 진행 중일 경우와 압착 완료될 경우에 LED 센서(240)를 통해 알 수 있고, 압착이 완료된 후 피가공물(10)이 일정 시간 동안 냉각된다.
다음으로, 코팅액 저장부(310)에서 코팅액이 유입관(320)을 통해 이동하여 피가공물(10)의 외면에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후, 제1 실린더(13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압착부(210)가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가공물(10)을 제2 압착부(220)에서 탈거 전, 연마부(260)를 통해 피가공물(10)의 모서리를 균일하게 연마하는 후처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처럼 피가공물(10)의 외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피가공물(10)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공정이 한 번의 공정으로 해결되므로 별도의 장치가 따로 요구되지 않아 편리하고 용이하다.
본 발명의 압착부(200)는 지속적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착부(200)의 일측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표면이 접하는 환경 중에 습기의 작용으로 인한 부식현상으로 상온의 공기 중에서 녹스는 대기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압착부(200)의 표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고자 부식방지 코팅을 통해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압착부(2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압착부(2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압착부(2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압착부(2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착부(2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압착부(200)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압착부(2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압착부(200)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압착부(200)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압착부(200)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Figure pat00003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압착부(20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4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피가공물,
100 : 지지부,
110 : 제1 프레임부,
120 : 제2 프레임부,
130 : 제1 실린더,
131 : 제2 실린더,
200 : 압착부,
210 : 제1 압착부,
220 : 제2 압착부,
230 : 탄성 부재,
240 : LED 센서,
250 : 레일부,
260 : 연마부,
261 : 휠부,
262 : 받침부,
263 : 끼움부,
264 : 가공부,
300 : 코팅부,
310 : 코팅액 저장부,
320 : 유입관,
330 : 삽입부.

Claims (5)

  1. 제1 압착부;
    상기 제1 압착부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2 압착부;
    상기 제1 압착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압착부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를 지지하는 것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피가공물의 외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코팅액이 저장되는 코팅액 저장부;
    상기 코팅액이 이동하는 유입관; 및
    상기 피가공물을 향해 코팅액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부는,
    상기 피가공물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의 모서리를 연마할 수 있는 연마부;가 더 포함되는 것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 장치.
KR1020210093685A 2021-07-16 2021-07-16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 KR10249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685A KR102496564B1 (ko) 2021-07-16 2021-07-16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685A KR102496564B1 (ko) 2021-07-16 2021-07-16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881A true KR20230012881A (ko) 2023-01-26
KR102496564B1 KR102496564B1 (ko) 2023-02-06

Family

ID=8511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685A KR102496564B1 (ko) 2021-07-16 2021-07-16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56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5465A (ja) * 1993-12-28 1995-08-01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
JPH08238648A (ja) * 1995-03-03 1996-09-17 Mitsubishi Materials Corp 鍔付き筒体の成形用金型装置
KR960040608A (ko) * 1995-05-25 1996-12-17 권문구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JPH11207749A (ja) * 1998-01-26 1999-08-03 Japan Steel Works Ltd:The 金型内インサート品の保持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KR100334118B1 (ko) * 2000-01-19 2002-04-26 전성도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JP2003127198A (ja) * 2001-10-25 2003-05-08 Canon Electronics Inc 射出成形装置
KR20060102587A (ko) * 2005-03-24 2006-09-28 김동학 사출 성형기용 금형장치
KR20090000242U (ko) 2007-07-05 2009-01-08 주식회사우리엠텍 사출성형금형
KR20110109120A (ko) * 2010-03-30 2011-10-06 김융식 용기 제조장치의 코팅장치
KR20180061599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050758B1 (ko) * 2019-07-29 2019-12-02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금형 성형제품의 게이트 자동커팅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5465A (ja) * 1993-12-28 1995-08-01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
JPH08238648A (ja) * 1995-03-03 1996-09-17 Mitsubishi Materials Corp 鍔付き筒体の成形用金型装置
KR960040608A (ko) * 1995-05-25 1996-12-17 권문구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JPH11207749A (ja) * 1998-01-26 1999-08-03 Japan Steel Works Ltd:The 金型内インサート品の保持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KR100334118B1 (ko) * 2000-01-19 2002-04-26 전성도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JP2003127198A (ja) * 2001-10-25 2003-05-08 Canon Electronics Inc 射出成形装置
KR20060102587A (ko) * 2005-03-24 2006-09-28 김동학 사출 성형기용 금형장치
KR20090000242U (ko) 2007-07-05 2009-01-08 주식회사우리엠텍 사출성형금형
KR20110109120A (ko) * 2010-03-30 2011-10-06 김융식 용기 제조장치의 코팅장치
KR20180061599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050758B1 (ko) * 2019-07-29 2019-12-02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금형 성형제품의 게이트 자동커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564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937B1 (ko) 고품위 의장면을 갖는 만곡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부재
KR102496564B1 (ko)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
WO2005092010A2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retaining ring
WO2006132905A3 (en) Polish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fect improvement by reduced particle stiction on copper surface
WO2009057258A1 (ja) ワーク研磨用ヘッド及びこの研磨ヘッドを備えた研磨装置
CN103753412B (zh) 一种尼龙磨块的配方
CN106470800B (zh) 研磨膜
CN212095823U (zh) 浮动打磨组件
CN106832712A (zh) 一种聚丙烯酸酯橡胶旋转轴唇形密封圈及其制备方法
KR20230033910A (ko) 진공부가 구성되는 사출 금형 가공장치
CN104493783B (zh) 一种制动卡钳的活塞装配工装
US11446784B2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for polishing workpiece
KR101598849B1 (ko) 반제품 방수검사 장치
CN105837980A (zh) 防划破的pvc胶皮
CN102626846A (zh) 超细磨砂辊的制作工艺
CN105199173A (zh) 一种普通耐热输送带覆盖胶及其制备方法
US20050181197A1 (en) Porous ceramic sintered body for slidable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al ring
KR102497340B1 (ko) 냉각오일이 공급되는 성형장치
JP2018130811A (ja) 研磨装置のヘッド進退装置
KR20230012877A (ko) 용융된 성형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압착기계
CN105499034A (zh) 脱硫塔体内部防腐处理工艺
KR20230033418A (ko) 언더컷 성형핀을 포함하는 사출 금형 장치
KR102433479B1 (ko) 프레임부의 교체가 가능한 프레스 벤딩 장치
CN107740029A (zh) 一种抗震支吊架表面防腐工艺
CN212442903U (zh) 一种五金件加工用的冲压模具安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