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999A -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999A
KR20230011999A KR1020227043724A KR20227043724A KR20230011999A KR 20230011999 A KR20230011999 A KR 20230011999A KR 1020227043724 A KR1020227043724 A KR 1020227043724A KR 20227043724 A KR20227043724 A KR 20227043724A KR 20230011999 A KR20230011999 A KR 20230011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es
carnitine
acetyl
methylfolate
mth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우로 마르지
모세 산타니엘로
피에트로 멜로니
마르타 파리스
파브리치오 조르지
피크 에밀리오 메를로
Original Assignee
알파시그마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시그마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알파시그마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3001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77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205Amine addition salts of organic acids; Inner quaternary ammonium salts, e.g. betaine, 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35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09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4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립 형태의 메틸폴레이트를, 카르니틴 유도체 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약학적 또는 뉴트라슈티컬 활성 성분과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및/또는 영양학적 조성물을 기재한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또한 과립 형태의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방법, 및 메틸폴레이트가 유용한, 메틸폴레이트의 감소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메틸폴레이트 (methylfolate)를 포함하는 과립을, 카르니틴 (carnitine) 유도체 염을 포함하는 과립,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약학적 또는 뉴트라슈티컬 활성 성분과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및/또는 영양학적 조성물을 기재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정제 (tablet) 또는 사쉐 (sachet) 형태로 경구 투여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또한 과립 형태의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방법, 및 메틸폴레이트가 유용한, 메틸폴레이트의 감소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L-5-메틸폴레이트는 엽산 (비타민 B9)의 대사 활성 형태 (metabolically active form)이며, 이는 메틸기의 전달을 통해 유전자 결핍이 있는 경우에도 호모시스테인을 다시 메티오닌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L-메틸폴레이트 또는 6(S)-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 [6(S)-5-MTHF]는 폴레이트의 주요 생물학적 활성 부분입체 이성질체이며, 순환하는 폴레이트의 주요 형태이다. 이는 또한 막을 통해 말초 조직, 즉 혈액-뇌 장벽을 통해 운반되는 형태이다. 세포에서, 6(S)-5-MTHF는 호모시스테인의 메틸화에 사용되어 메티오닌 및 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 (THF)를 형성한다. THF는 티미딘-DNA, 퓨린 (RNA 및 DNA) 및 메티오닌의 합성을 위한 탄소 단위의 즉각적인 수용체이다. 식품 폴레이트 및 세포 폴레이트의 약 70%는 6(S)-5-MTHF로 구성된다. 폴레이트의 합성 형태인 엽산은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MTHFR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로부터 효소적 환원을 거쳐야 한다. MTHFR의 유전자 돌연변이는 엽산을 6(S)-5-MTHF로 전환할 수 없는 세포의 능력을 결정한다. D-메틸폴레이트 또는 6(R)-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 [6(R)-5-MTHF]는 폴레이트의 다른 부분입체 이성질체이다. 1일 2.5 mg 이상의 용량을 투여한 연구에서는 L-메틸폴레이트보다 D-메틸폴레이트의 혈장 단백질 결합이 더 커서, D-메틸폴레이트보다 L-메틸폴레이트의 신장 청소율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또한, D-메틸폴레이트는 신체 조직, 주로 간에 저장된다. D-메틸폴레이트는 신체에서 대사되지 않으며, 조절 효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뇌 대사작용 및 이의 대사 경로에서 폴레이트의 중요한 역할이 알려져 있으며, 우울 증상은 폴레이트 결핍의 경우에 가장 흔한 신경정신과적 증상들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증 환자의 혈중 폴레이트 수준은 건강한 대조군보다 평균 25% 더 낮으며, 항우울제 치료의 좋지 않은 결과에 대해 낮은 폴레이트 수준은 강력한 소인 요인을 나타낸다 (Papakostas G.I. et al., Am J Psychiatry, 2012; 169 (12): 1267-74).
카르니틴 또는 이의 유도체, 및 비타민과 같은 다른 화합물이 우울증 및 신경병증과 관련된 장애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폴레이트 수용체는 소장에서 발견된다.
메틸폴레이트는 또한 당뇨병 및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에 유용하다. 신경병증은 손, 팔, 발 및 다리에 무감각 및 때로는 통증 및 쇠약을 유발한다. 이들 신경학적 문제는 또한 소화관, 심장 및 성기를 포함한 다른 장기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언제든지 신경병증 문제를 일으킬 수 있지만, 당뇨병이 심할수록 상기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커진다.
EP 2781214는 안정화제로서 무정형 칼슘 L-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 및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제제를 기재하며, 여기서 상기 제제는 MTHF 및 시스테인을 블렌딩하고 생성된 블렌드로부터 투여 제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조성물은 피임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드로스페리돈 및 에스트라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CN 107812195는 MTHF를 비타민 C 및 이의 염, 이소비타민 C 및 이의 염, 머캅토에탄올, 시스테인, 머캅토에틸 설폰산, 디티오트레이톨, 환원된 글루타티온, 리포산으로부터 선택된 환원 물질과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하고; 상기 조성물은 피임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에스트로겐 및/또는 프로게스테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http://www.gnpd.com에 보고된 Monster Multi Dietary Supplement ae는 심혈관, 뼈 건강 및 면역계에 기능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20가지 비타민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상업용 제제이다. 캡슐에 포함된 여러 성분들의 목록에 MTHF 및 L-카르니틴이 포함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441,168호는 5-메틸-(6R,S), -(6R)- 및 -(6S)-테트라하이드로 엽산의 칼슘 염의 4가지 안정한 결정형, 이의 제조 방법, 및 약제 및 식품 첨가물의 제조를 위한 이의 용도를 기재한다.
또한 카르니틴 및 카르니틴 유도체는 우울증 및 신경계 질환과 관련된 질병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S 4,346,107은 노인성 및 초로기 정신운동 퇴행 상태 및 노인성 및 초로기 치매와 같은 뇌 대사가 손상된 환자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아세틸 L-카르니틴의 용도를 기재한다.
US 4,343,816은 레이노병 (Raynaud's disease)과 같은 말초혈관 질환 환자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아세틸 L-카르니틴의 용도를 기재한다.
WO 98/57629는 향정신성 물질의 명백한 남용을 수반하는 기분저하증 (dysthymia) 및 우울, 과민 (irritable), 순환기분 인격 (cyclothymic personality) 또는 기질 (temperament)로 분류할 수 있는 기분 장애 (mood disorders)를 앓고 있는 유년층 (young) 개인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아세틸 L-카르니틴의 용도를 기재한다.
WO 03/066041에는 주요 우울 장애 (NDG-MDD)가 있는 비-치매 노인 환자의 우울증의 치료적 치료를 위한 아세틸 L-카르니틴의 용도를 기재한다.
EP 0256999는 급성 및/또는 만성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를 위한 아세틸 L-카르니틴의 용도를 기재한다.
EP 1171111은 활성 성분의 분해 없이 정제의 제조에 적합한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을 기재하고, 소량의 물의 존재하에 카르니틴 및 이의 유도체의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한다.
비타민 B군은 상기 비타민의 결핍과 관련된 신경병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고, 이들의 진통, 신경보호 및 항염증 효과로 인해 비-결핍 신경병증의 경우에도 유용한 도움이 된다. 비타민 B, 구체적으로 B6 (피리독신) 및 B12 (코발라민)는 특히 조합하여 복용하는 경우, 통각수용기 통증의 전달에 억제 작용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 및 5-하이드록시트립타민의 더 큰 이용 가능성 및/또는 효능으로 인해 진통 작용을 한다. 상기 비타민은 특히 용량-의존적 진통 효과를 갖는 신경병성 통증에 관련된 일부 병태생리학적 과정을 억제하며; 더 높은 투여량은 통증 증상에 대한 더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유익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비타민 B는 신경보호 작용으로 인해 말초 신경병증 치료에 중요한 치료 옵션이며: 이들은 수많은 세포 대사 반응 예컨대 아미노산 대사 (비타민 B6), DNA 및 지방산의 합성 및 조절, 에너지 생성 및 폴레이트 메틸화 (비타민 B12)에 참여하고; 비타민 B12는 또한 수초화 과정을 자극하여 미엘린 섬유의 주성분인 포스파티드의 대체에 참여한다.
폴레이트, 구체적으로 칼슘 염은 신경병증 및 우울 상태와 같이 신체에 상기 화합물이 결핍된 경우 모든 용도로 사용 및 시판되지만, pH, 온도, 산소의 변화 또는 빛에 대한 노출과 같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 의해 이들의 안정성이 영향을 받는다.
또한 MTHF의 임의의 분해 없이 경시적으로 안정한 우울증 및 신경병증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메틸폴레이트를 활성 성분, 예컨대 카르니틴 또는 이의 유도체, 비타민 등과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영양학적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다. 후자의 경우에, 비타민 B6 및 비타민 B12와 같은 비타민을 포함시키는 것이 또한 유용하였다.
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의 안정성 문제는 약학적 및 뉴트라슈티컬 조성물의 제조 및 보관과 특히 관련이 있으며, 또한 최종 조성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MTHF는 pH, 온도, 산소의 변화 또는 빛에 대한 노출과 같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불안정하여, 이는 식품 시스템에의 혼입을 어렵게 한다.
메틸폴레이트의 불안정성 및 이의 강한 분해 경향을 고려할 때, 경시적으로 안정한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갖는 것이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조성물 중 MTHF가 염 및/또는 수화된 성분들과 같은 조성물 중의 다른 성분들에 의해서도 분해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였다. 낮은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varc P.L et al. in J. of Food Eng. 277, 2020, 109901은 바이오폴리머의 존재하에 전자분무 공정에 의해 MTHF를 캡슐화하였다.
Liu Y. et al. in J. Agric. Food Chem. 2013, 61, 1, 247-254는 아스코르베이트 마이크로-캡슐화 기술을 통해 MTHF 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폴레이트 결핍이 있는 모든 개인 및 메틸폴레이트가 유익한 작용을 하는 모든 개인에게 유용한, 재현 가능한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약학적 또는 뉴트라슈티컬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정하고 산업적으로 확장 가능한 MTHF 제제를 수득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또한 완성된 제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L-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를 다른 활성 성분들과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뉴트라슈티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며,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과립을, 카르니틴 유도체 염,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L-카르니틴 염을 포함하는 과립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천연 또는 합성 활성 성분과 함께 포함하는 안정한 조성물을 발견하였고, 이는 본 발명의 주제이다.
상기 조성물은 완성된 조성물의 중량에 기반하여 5 내지 40% (w/w)의 양의 결정형의 칼슘 L-메틸폴레이트 (MTHF)를 포함하는 과립을, 50 내지 90%의 양의 카르니틴 유도체 염,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L-카르니틴 염을 포함하는 과립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MTHF의 분해 없이, 적어도 6개월 동안 25℃에서 안정하다.
최종 조성물에 포함된 메틸폴레이트 과립은 과립체 중량의 2 내지 10 중량% 범위의 양의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완성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w/w)의 양의 결정형의 칼슘 L-메틸폴레이트 (MTHF)를 포함하는 과립, 바람직하게는 과립의 중량에 대해 3 내지 30% (w/w)의 양의 항산화제 또는 안정화제, 및 완성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50 내지 90% (w/w)의 양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을 포함하는 과립,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약학적 또는 뉴트라슈티컬 활성 성분과 함께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메틸폴레이트 과립은 항산화제 또는 안정화제를 메틸폴레이트/항산화제 중에 중량비 1:1 내지 1:20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a)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3 내지 10% (w/w)의 양의 MTHF를 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w/w)의 양의 항산화제 또는 안정화제, 및 선택적으로 50 내지 90% (w/w)의 양의 희석제 및 4 내지 10% (w/w)의 양의 결합제와 혼합한 후에, 건식 또는 습식 과립화를 포함하는, MTHF를 포함하는 과립의 제조 단계;
b)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75 내지 90% (w/w)의 카르니틴 유도체 염, 바람직하게는 L-아세틸 카르니틴 염산염을, 선택적으로 5 내지 10% (w/w)의 미세결정 셀룰로스 및 5 내지 10% (w/w)의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의 과립화를 포함하는, 카르니틴 유도체 염,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L-카르니틴 염을 포함하는 과립의 제조 단계;
c) 단계 a)에 따라 수득된 MTHF를 포함하는 과립을 단계 b)에 따라 수득된 카르니틴 유도체 염, 바람직하게는 아세틸-L-카르니틴의 염을 포함하는 과립과, 과립외 부형제 (extragranular excipients)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d) 단계 c)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압축하는 단계.
MTHF 과립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메틸폴레이트가 유용하고 유익한 효과를 갖는 모든 개인, 이의 식이 섭취가 불충분한 개인, 뇌척수액, 혈장 및/또는 혈액 중 L-메틸폴레이트의 수치가 낮은 개인, 모든 형태의 우울증 (기분 장애), 양극성 장애, 인지 장애, 정신병 장애, 정신분열증 및 내피 기능장애와 관련된 장애 예컨대 신경병증, 말초 신경병증 또는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관련된 증상이 있는 개인에게 유용하다.
도 1은 식염수로 3일 동안 i.p. 처리한 대조군 (Ctrl) 마우스 및 식염수, MF 3 mg/Kg, LAC 30 mg/Kg 또는 LAC 30+MF 3 mg/Kg으로 3일 동안 i.p. 처리한 CUS 마우스에 대한 FST의 부동 시간 (Immobility time) (A)을 보고한다. 처리 3일 후에, CUS 마우스에서 부동 시간은 하기에 의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LAC 30 mg/Kg + MF 3 mg/Kg, n=8, 평균 ± SEM. * p<0.05 vs CUS 식염수, CUS LAC 30 mg/Kg 및 CUS MF 3 mg/Kg in A, 및 vs Ctrl 식염수 in B. F (4,35) = 10,95 in A, 및 F (4,35) = 3,028 in B.
도 2는 식염수로 14일 동안 i.p. 처리한 Ctrl 마우스, 및 식염수. MF 3 mg/Kg. LAC 30 mg/Kg. 또는 LAC 30 +MF 3으로 14일 동안 i.p. 처리한 CUS 마우스의 전두엽 피질에서 웨스턴 블롯 분석 및 BDNF 단백질 (성숙한 형태)의 대표적인 블롯을 보고한다. n= 2-6 mice per group. *p<0.05 vs all other groups. F(4.20) = 7.459.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칼슘 L-5-메틸-(6S)-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 (또한, L-5-MTHF, L-메틸폴레이트, L-5 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 또는 (6S)-5-MTHF, L-5-Me-TH FA, L-5-Me-H4FA, L-5-Me-H4F, L-메틸폴레이트 및 Metafolin®, 이후 메틸폴레이트 또는 MHTF 또는 칼슘 메틸폴레이트로 지칭됨)를 포함하는 과립 (이후, MTHF 과립으로 지칭됨)을, 카르니틴 유도체 염을 포함하는 과립 (이후, 카르니틴 과립으로 지칭됨),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약학적 또는 뉴트라슈티컬 활성 성분을 함께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을 기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칼슘 L-5-메틸-(6S)-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 (MTHF)는 US 6,441,168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형태 I, 형태 II, 형태 III, 형태 IV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형태 I인 결정형이다.
과립 형태의 MTHF 및 과립 형태의 카르니틴 유도체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MTHF 및 카르니틴 유도체가 유용하고 유익한 효과를 갖는 모든 개인에게 유용하다. MTHF는 우울증, 정신분열증, 인지 장애 또는 정신병 장애와 관련된 증상이 있고, 뇌척수액, 혈장 및/또는 혈액 중 L-메틸폴레이트의 수치가 낮은 개인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울증, 인지 장애 또는 정신병 장애와 관련된 증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MTHF는 또한 내피 기능장애 예컨대 신경병증, 말초 신경병증 및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관련된 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울증 및/또는 정신분열증, 말초 신경병증 및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관련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기재된 조성물은 약학적 또는 뉴트라슈티컬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이다.
고체 형태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정제, 캡슐 또는 현탁용 과립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최종 조성물의 중량의 5 내지 40% (w/w) 범위의 양의 과립 형태의 MTHF 및 조성물의 총 중량과 비교하여 50 내지 90%의 아세틸 L-카르니틴을 포함한다.
상기 MTHF 과립은 1:1 내지 1:20 범위의 항산화제/안정화제 중량비에 대한 메틸폴레이트 중 항산화제 및/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THF 과립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2 내지 10% (w/w) 범위의 양의 MTHF 및 3 내지 30% (w/w) 범위의 양의 항산화제 및/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MTHF 과립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산화제 또는 안정화제. 상기 천연 물질은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레스베라트롤, 비타민 E, 카로티노이드, 코엔자임 Q1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소르비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산화제 또는 안정화제는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합성 물질은 Captisol® (사이클로덱스트린), Vivapur®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미세결정 셀룰로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과립은 또한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 만니톨, 옥수수 전분, 셀룰로스, 미세결정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락토스, 수크로스, 크실리톨, 소르비톨, 제2 인산칼슘, 탄산칼슘, 카올린, 무수 또는 수화 황산칼슘, 천연 고무, 맥아, 젤라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희석제;
- 전호화 전분,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PEG, 수크로스, 소르비톨, 셀룰로스 유도체,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아라비아 검, 코포비돈, 전분 지시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결합제.
상기 MTHF 과립은 또한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 인산염, 인산 칼륨 또는 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또는 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완충제;
-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나트륨염, 시트르산, 소르비톨, 타르타르산, 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킬레이트제;
- 미세결정 셀룰로스, 락토스, 콜로이드 실리카, 카올린, 산화티탄, 알루미나, 라우릴 황산나트륨, 규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탈수제.
일 양상에서, 상기 MTHF 과립은 완성된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2 내지 10% (w/w) 범위의 양의 MTHF, 3 내지 30% (w/w) 범위의 양의 항산화제 및/또는 안정화제, 50% 내지 90% (w/w) 범위의 양의 희석제, 및 2 내지 10% (w/w) 범위의 양의 결합제를 포함한다.
상기 MTHF 과립은 완성된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2 내지 8% (w/w) 범위의 양의 MTHF, 5 내지 25% (w/w) 범위의 양의 항산화제 및/또는 안정화제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 60 내지 90% (w/w) 범위의 양의 희석제, 및 3 내지 8% (w/w) 범위의 양의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THF 과립은 완성된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2 내지 8% (w/w)의 MTHF, 5 내지 25% (w/w)의 시트르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60 내지 90% (w/w)의 옥수수 전분 또는 미세결정 셀룰로스, 및 3 내지 8% (w/w)의 전호화 전분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과립은 완성된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2 내지 8% (w/w)의 MTHF, 5 내지 15% (w/w)의 아스코르브산, 70 내지 90% (w/w)의 만니톨 또는 변형된 전분, 및 2 내지 6% (w/w)의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과립은 완성된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2 내지 8% (w/w)의 MTHF, 5 내지 15% (w/w)의 시트르산, 2 내지 6% (w/w)의 전호화 전분, 및 70 내지 90% (w/w)의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과립은 완성된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3 내지 8% (w/w)의 MTHF, 5 내지 15% (w/w)의 아스코르브산, 2 내지 6% (w/w)의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70 내지 90% (w/w)의 미세결정 셀룰로스를 포함한다.
특정 양상에서, 상기 과립은 30 그람 (grams)의 칼슘 메틸폴레이트, 60 그람의 아스코르브산, 1200 그람의 옥수수 전분 및 50 그람의 전호화 전분을 함유한다.
상기 조성물은 완성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w/w) 범위의 양의 MTHF 과립 및 60 내지 95% (w/w) 범위의 양의 카르니틴 유도체 염을 포함하는 과립을 포함한다.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는 아세틸 L-카르니틴, 프로피오닐 카르니틴 및 염산염, 푸마레이트, 타우리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는 아세틸 L-카르니틴,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이다.
일 양상에서,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 염은 과립 형태이다.
일 양상에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미세결정 셀룰로스를 갖는 과립 형태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은 완성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50 내지 90% (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카르니틴 과립은 완성된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75 내지 90% (w/w) 범위의 양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5 내지 10% (w/w) 범위의 양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5 내지 10% (w/w) 범위의 양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한다. 특정 일 양상에서, 상기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은 EP 1171111에 따라 제조된다.
일 양상에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정제 또는 과립체의 형태이다.
상기 정제는 완성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w/w) 범위의 양의 MTHF 과립 및 50 내지 95% (w/w) 범위의 양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정제 형태의 조성물은 정제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w/w) 범위의 양의 MTHF 과립, 50 내지 90% (w/w) 범위의 양의 아세틸 L-카르니틴,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과립, 0.1 내지 15% (w/w) 범위의 양의 활택제, 0.1 내지 5% (w/w) 범위의 양의 유동화제 (glidants) 및 0 내지 10% (w/w) 범위의 양의 희석제를 포함한다.
상기 MTHF 과립 및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은 필요에 따라 투여량을 변경할 수 있는 단일-용량 사쉐 (single-dose sachets)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과립외 부형제는 붕해제, 유동화제, 활택제 및 희석제, 비타민, 다른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포비돈 (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 크로스포비돈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전호화 전분,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카르멜로스), 가교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크로스카르멜로스),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활택제는 마그네슘 또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수소화 식물성 오일, 미네랄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글리세리드, 소듐 벤조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유동화제는 탈크, 콜로이드 실리카, 침강 실리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제는 보존제, 풍미제, 착색제 또는 감미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선택적으로 제어-방출 코팅제일 수 있는 필름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정제 형태의 단위 조성은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다.
성분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60-80
MTHF 과립 5-40
활택제 4-15
유동화제 1-5
희석제 0-10
일 양상에서, 정제 조성물은 50 내지 500 mg 범위의 MTHF 과립, 500 내지 800 mg 범위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및 정제 제조에 유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정제 조성물은 2 내지 30 mg 범위의 MTHF, 400 내지 700 mg 범위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20 내지 50 mg 범위의 아스코르브산 또는 시트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50 mg 범위의 활택제, 0.1 내지 10 mg 범위의 유동화제, 및 0 내지 100 mg 범위의 희석제를, 정제 제조를 위한 약학적으로 유용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한다.
특정 일 양상에서, 정제 형태의 단위 조성이 표 2에 제시된다.
성분 양 (mg)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L-카르니틴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폴리비닐피롤리돈 56
메틸폴레이트 과립 (GR6) MTHF 15
아스코르브산 33
옥수수 전분 172
전호화 전분 23
과립외 부형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과립외 부형제 콜로이드 실리카 3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40
다른 양상에서, 정제 형태의 단위 조성이 표 3에 제시된다.
성분 양 (mg)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 L-카르니틴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폴리비닐피롤리돈 56
MTHF 과립 GR15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7.5
아스코르브산 33
미세결정 셀룰로스 190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12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콜로이드 실리카 3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40
다른 양상에서, 정제 형태의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및 지용성 비타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비타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B1 (티아민 또는 아뉴린),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또는 락토플라빈), 비타민 B3 또는 비타민 PP (니아신 또는 니코틴산), 비타민 B5 또는 비타민 W (판토텐산), 비타민 B6 또는 비타민 Y (피리독신 또는 피리독사민 또는 피리독살), 비타민 B8 또는 비타민 H 또는 비타민 I (비오틴), 비타민 B9 또는 비타민 BC 또는 비타민 M (엽산 또는 프테로일(모노)글루탐산 또는 폴라신), 및 비타민 B12 (코발라민)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지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A (레티놀 및 레티노이드), 비타민 D (D2: 에르고칼시페롤, D3: 콜레칼시페롤), 비타민 E (토코페롤), 비타민 K (K1: 나프토퀴논, K2: 필로퀴논, K3: 메나퀴논, 메나디온), 비타민 F (알파-리놀렌산, 오메가 3) 및 비타민 Q (유비퀴논, 코엔자임 Q)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비타민은 분말 및/또는 과립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상기 조성물은 완성된 정제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w/w) 범위의 양의 MTHF 과립, 50 내지 90% (w/w) 범위의 아세틸 L-카르니틴, 바람직하게는 HCl 과립, 0 내지 10% (w/w) 범위의 수용성 비타민, 0.1 내지 5% (w/w) 범위의 활택제, 0.1 내지 1% (w/w) 범위의 유동화제, 및 0 내지 10% (w/w) 범위의 희석제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는 선택적으로 필름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활성 성분의 제어 방출을 달성하도록 디자인된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30% (w/w) 범위의 양의 MTHF 과립, 60 내지 90% (w/w) 범위의 아세틸 L-카르니틴, 바람직하게는 HCl 과립, 1 내지 5% (w/w) 범위의 수용성 비타민, 1 내지 5% (w/w) 범위의 활택제, 0.1 내지 1% (w/w) 범위의 유동화제, 및 0 내지 10% (w/w) 범위의 희석제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는 선택적으로 필름 코팅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정제 조성물은 50 내지 500 mg 범위의 MTHF 과립, 500 내지 800 mg 범위의 아세틸 L-카르니틴, 바람직하게는 HCl 과립, 2 내지 50 mg 범위의 수용성 비타민, 1 내지 50 mg 범위의 활택제, 1 내지 10 mg 범위의 유동화제, 및 1 내지 100 mg 범위의 희석제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정제 조성물은 400 내지 700 mg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2 내지 25 mg 범위의 MTHF의 양에 해당하는 MTHF 과립, 10 내지 50 mg 범위의 비타민 B6, 1 내지 10 mg 범위의 비타민 B12, 5 내지 50 mg 범위의 아스코르브산 또는 시트르산, 1 내지 50 mg 범위의 활택제, 1 내지 10 mg 범위의 유동화제, 및 0 내지 100 mg 범위의 희석제를 포함한다.
특정 일 양상에서, 정제 형태의 단위 조성이 표 4에 제시된다.
성분 양 (mg)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 L-카르니틴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폴리비닐피롤리돈 56
MTHF 과립
GR3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3
아스코르브산 6
옥수수 전분 FU 72
전호화 전분 5
과립외 부형제 비타민 B6 35
과립외 부형제 비타민 B12 2
과립외 부형제 옥수수 전분 FU 48
과립외 부형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과립외 부형제 콜로이드 실리카 3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35
본 발명에 따르면, 5 내지 40% (w/w)의 양의 MTHF 과립 및 50 내지 90% (w/w)의 양의 아세틸 L-카르니틴, 바람직하게는 HCl 과립을 포함하는 정제는 25℃, RH 60%에서 적어도 6개월 동안, 및 40℃, RH 75%에서 6개월 동안 보관 시에 안정하다는 이점을 가지며, 안정성 (stability)은 MTHF 분석 값이 90%보다 더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5 내지 40% (w/w)의 양의 MTHF 과립 및 50 내지 90% (w/w)의 양의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바람직하게는 HCl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으로 결정한 수분 함량이 5% 미만, 경도 값 범위가 4 내지 20 Kp, 마손도 (friability) 값 범위가 0.1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선택적으로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과립 형태의 MTHF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분해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과립의 MTHF는 통상 분해로 이어지는 수화된 성분, 예컨대 비타민 또는 염의 존재에서 조차도 안정하게 유지된다.
과립의 MTHF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MTHF가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분말의 형태로 정제 조성물에 존재하고 직접 압축되는 조성물 (비교예)과 달리, T0와 비교하여 분석 값의 회복을 야기한다.
MTHF 과립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안정하고, MTHF 분석 값은 어떠한 메틸폴레이트 분해 없이, 25℃의 온도에서 적어도 6개월 동안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완성된 조성물과 비교하여, 5 내지 40% (w/w)의 양의 MTHF 과립 및 50 내지 90% (w/w)의 양의 아세틸 L-카르니틴, 바람직하게는 HCl 과립을 포함하는 정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MTHF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b) 카르니틴 유도체 염,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L-카르니틴, 바람직하게는 HCl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c) 단계 a) 및 b)에서 수득된 과립들을 과립외 부형제와 혼합하는 단계;
d) 단계 c)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압축하는 단계, 및
e) 선택적으로 필름 코팅하는 단계.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MTHF 과립 및 카르니틴 유도체 염,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L-카르니틴, 바람직하게는 HCl 과립을 과립외 부형제와 혼합하는 단계;
- 이와 같이 수득된 혼합물을 압축하는 단계, 및
- 선택적으로 필름 코팅하는 단계.
단계 a)에 따라 수득된 과립이 단일-용량 사쉐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다른 활성 성분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MTHF 과립은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3 내지 10% (w/w) 범위의 양의 MTHF를 3 내지 15% (w/w) 범위의 양의 항산화제 또는 안정화제, 50 내지 90% (w/w) 범위의 양의 희석제 및 4 내지 10% (w/w) 범위의 양의 결합제를 혼합하여 건식 또는 습식 과립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카르니틴 과립의 제조는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75 내지 90% (w/w) 범위의 카르니틴 유도체 염,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L-카르니틴,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을 5 내지 10% (w/w) 범위의 미세결정 셀룰로스 및 5 내지 10% (w/w) 범위의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의 과립화를 포함한다.
생성된 과립은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800 μm 메쉬 스크린을 통해 체질된다.
상기 MTHF 과립은 카르니틴 과립,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과, 1:3 내지 1:10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생성된 균일한 혼합물은 과립외 부형제와 혼합된다.
5 내지 40% (w/w) 범위의 양의 MTHF 과립은 55 내지 85% (w/w) 범위의 양의 카르니틴 과립,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및 0.1 내지 5% (w/w) 범위의 양의 활택제, 0.1 내지 5% (w/w) 범위의 유동화제 및 0 내지 10% (w/w) 범위의 희석제와 혼합하고, 상기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한다.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천연 또는 합성 활성 성분을 상기 혼합물에 부가할 수 있다.
완성된 조성물의 중량의 0 내지 10% (w/w) 범위의 양의 비타민 B는 단계 c)에서 수득된 MTHF 과립 및 카르니틴 과립, 바람직하게는 이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의 혼합물에 부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압축하고, 생성된 정제를 필름 코팅한다.
본 발명은 인 비보 우울증 동물 모델에서, MTHF 및 LAC (아세틸 L-카르니틴)의 조합이 우울증 치료에 시너지 효과로 효능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상기 동물 연구는 J H Cryan et al. in J.Neubiorev. 2005, 03, 00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우울증 표현형 CUS (Chronic Unpredictable Stress)를 유도하기 위해 4주의 기간 동안 CUS (Chronic Unpredictable Stress)를 받는 검증된 실험 모델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CUS는 표준 항우울제 치료에 반응하는 우울증 표현형이 포유동물에서 인 비보에서 재현되도록 한다. 상기 동물을 5개 그룹으로 나누고, MTHF와 LAC의 조합을 투여받은 그룹을 MTHF 및 LAC를 별도로 투여받은 그룹과 비교하였다. 모든 그룹을 식염수 용액을 투여받은 그룹 및 CUS로 처리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였다.
상기 마우스는 4주 동안 CUS를 수행하였고, 약물 치료는 CUS의 3주째부터 시작하여, 4주 치료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하였다.
선택된 제품인 LAC 및 MTHF의 항우울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J H Cryan et al. in J. Neubiorev. 2005, 03, 00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동물을 FST (Forced swimming test)를 수행하고, 4개의 동물 그룹에서 표시된 전체 부동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물 그룹을 MTHF 및 LAC로 3일 처리한 후에, 강제 수영의 부동 시간은 다른 처리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동물 연구로부터 우울증 모델에서 MTHF 및 LAC의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조합의 효능은 MTHF 5 내지 95 mg/일 및 LAC 100 내지 1000 mg/일의 인간 투여량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는 1일 1회 또는 2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우울제 화합물과 조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수득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진술할 수 있다:
1) 식염수 용액으로 처리한 그룹 I 및 식염수로 처리하고 CUS를 수행한 그룹 II 간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만성 스트레스 (CUS)에 대한 노출은 대조군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조건과 비교한 경우 전체 부동 시간이 증가하였고;
2)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여 MTHF로 처리한 그룹 III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만성 스트레스 (CUS)의 효과는 3 mg/kg MTHF에 의해 길항되지 않았으며 (그룹 III);
3) 대조군 그룹 (그룹 II)과 비교하여 LAC로 처리한 그룹 (그룹 IV)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만성 스트레스 (CUS)의 효과는 30 mg/kg LAC에 의해 길항되지 않았고;
4) 그룹 II 및 그룹 V 간의 비교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만성 스트레스 (CUS)의 효과는 LAC+MTHF를 각각 동일 용량으로 병용-투여함으로써 길항되었다.
흥미롭게도, 3 mg/kg MTHF 및 LAC 30 mg/kg으로 처리한 그룹의 마우스는 이들의 전체 부동 시간이 대조군 그룹으로 보고된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대조군 마우스 (그룹 I)의 것과 상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데이터는 LAC+MTHF의 병용-투여가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 FTS 성능을 개선시키지 않는 용량으로 테스트한 경우 전체 부동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었음을 나타낸다. 인 비보 연구는 LAC 및 MTHF의 병용-투여에 의해 유의미한 항우울제-유사 효과를 입증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4주간의 CUS 및 2주간의 약리학적 처리 후, 5주째의 종료 시에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BDNF 단백질의 수준을 웨스턴 블롯에 의해 전두엽 피질에서 측정하였다.
BDNF는 변연계 구조 (즉, 전두엽 피질 및 해마)내 수준의 감소가 만성 스트레스 및 우울증에 의해 생성된 신경가소성의 전반적인 감쇠와 관련되어 있는 중요한 신경 영양 인자 (neuronal trophic factor)이다 (Licznerski et Jonas, Proc Natl Acad Sci U S A.; 115(15): 3742-3744, 2018).
식염수-처리한 대조군 CUS 마우스 (그룹 II)와 비교할 때 LAC 30 mg/Kg와 MF 3 mg/Kg의 조합 (그룹 V)으로 공동-처리한 후 CUS에 노출된 마우스의 전두엽 피질내 양쪽 변연계 구조에서 BDNF 수준이 증가하였다. 이들 데이터로부터 LAC + MTHF의 병용-투여가 동일한 실험에서 LAC + MTH 공동-치료에 의해 생성된 항우울제-유사 효과의 거동 결과와 적합한 BDNF에 대한 효과를 발휘하였음을 입증하였다.
도 2는 웨스턴 블롯에 의해 마우스 전두엽 피질에서 측정된 BDNF 단백질 발현 수준을 보여준다. 상기 마우스 전두엽 피질의 BDNF 수준은 30 mg/kg LAC 및 MTHF 3 mg/Kg로 처리한 그룹 (그룹 V)에서, LAC 및 MTHF로 별도로 처리한 그룹 (그룹 III 및 IV)과 비교하여 증가를 나타내었다.
MTHF 과립 및 카르니틴 과립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구조적 신경 가소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유용하다.
병태의 종류 및 수준에 따라, 치료제는 1일 1 내지 6회 예컨대 1일 1, 2, 3, 4, 5 또는 6회로 투여될 수 있다. 대상체가 MDD (주요 우울 장애)를 가질 위험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제제 및 항우울제 약물의 병용 요법 또는 보조 요법이 권장, 선택 또는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항우울제 약물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또는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SNRI)이다. 일부 경우에, 병용 요법 또는 보조 요법에는 폴레이트 제제 및 SSRI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병용 요법 또는 보조 요법은 폴레이트 제제 및 SNRI를 포함한다. 다양한 타입 또는 부류의 항우울제가 알려져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항우울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RI),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세로토닌 및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SDRI),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SNRI), 세로토닌-노르아드레날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SNDRI), 노르아드레날린성 및 특정 세로토닌성 항우울제 (NASSA),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NDRI),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NRI),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MAOI),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증강제 (SSRE), 멜라토닌성 효능제, 트립타민, 트리사이클릭 항우울제 (TCA), 및 비정형 항우울제를 포함한다. SSRI는 시냅스 전 뉴런 (presynaptic neuron)에 의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방지하여, 시냅스에서 높은 수준의 세로토닌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MTHF의 투여가 유용한 모든 개인에게 유용하다. MTHF 및 아세틸 L-카르니틴, 바람직하게는 염산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울증, 인지 또는 정신병 장애와 관련된 장애가 있는 개인, 또는 내피 기능장애 예컨대 신경병증, 말초 신경병증 및 당뇨병성 신경병증 말초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며, 이는 유익한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보장하고 지침에 표시된 고전적인 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유용한 지원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일 1, 2, 3 또는 4회로 1, 2 또는 3개의 정제의 투여량으로 우울증 질환에 사용하기 위해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어떠한 부작용도 없이, MTHF 투여량은 5 내지 90 mg/일의 범위이고, 아세틸 L-카르니틴 투여량은 100 mg 내지 3g/일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용 시에 항우울제 치료와 병용 치료로서 투여될 수 있다.
최종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w/w) 범위의 양의 MTHF 과립 및 50 내지 90% (w/w) 범위의 양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은 우울증 또는 정신분열증과 관련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5 내지 20 mg의 MTHF 과립 및 400 내지 750 mg의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1일 1, 2, 3 또는 4회로, 1, 2 또는 3개의 정제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우울증 또는 정신분열증과 관련된 장애에 사용하기 위해 MTHF의 1일 투여량은 5 내지 90 mg/일의 범위이고, 아세틸 L-카르니틴의 1일 투여량은 100 mg 내지 1000 mg/일의 범위이다.
구체적으로, MTHF 과립 7.5 및 15 mg 및 아세틸 L-카르니틴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약 590 mg에 해당) 과립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울 상태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또한, 비타민 B군이 MTHF 및 LAC를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0.1 내지 10% (w/w)의 양의 비타민 B군은 최종 조성물과 비교하여 5 내지 40% (w/w) 범위의 양의 MTHF 과립 및 50 내지 90% (w/w) 범위의 양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을 갖는 조성물에 함유되며, 상기 조성물은 신경병증, 구체적으로 말초 신경병증 또는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관련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2 내지 6 mg의 MTHF 과립, 100 내지 1000 mg의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및 비타민, 구체적으로 비타민 B 예컨대 B6 및/또는 B12 2 내지 50 mg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1일 1, 2, 3 또는 4회로 1, 2 또는 3개의 정제의 비율로 투여될 수 있으며, 신경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해, 2 내지 24 mg/일 범위의 MTHF의 용량, 400 mg 내지 3 g/일 범위의 아세틸 L-카르니틴의 용량, 2 내지 200 mg/일 범위의 비타민 B6 및 B12를 제공한다.
3 mg의 MTHF 과립, 500 mg의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및 비타민, 구체적으로 비타민 B 예컨대 B6 및/또는 B12 2 내지 50 mg 범위의 양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신경병증 예컨대 말초 신경병증 또는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상기 정제는 1일 1, 2, 3 또는 4회 투여될 수 있으며, MTHF 2 내지 12 mg, 아세틸 L-카르니틴 0.5 내지 2 g 및 비타민 B 2 내지 140 mg의 1일 용량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효과적이고, 내약성이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 형태의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우울증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과 함께 병용 사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수득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의 제조
유동층을 사용하여 590 g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을 35 g의 미세결정 셀룰로스 및 56 g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습식 과립화하였다. 상기 과립을 건조시키고, 600μm 메쉬 스크린을 통해 체질하였다.
실시예 2: 칼슘 L-5-메틸폴레이트 (MTHF) 과립의 제조
건식 과립화 및 습식 과립화 공정에 의해 칼슘 메틸폴레이트 과립을 수득하였다.
a) 건식 과립화
과립 제조 성분들을 표 5에 개시된 양으로 혼합기에 넣은 다음에 혼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건식 압착기에서 과립화하였다. 상기 과립을 분쇄하고, 600 μm 메쉬 스크린을 통해 체질하고, 생성된 과립을 사용하였다.
성분 GR1 (g) GR2 (g)
칼슘 L-5- 메틸폴레이트 30 30
아스코르브산 - 260
만니톨 710 71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 5
GR1 및 GR2 과립은 벌크 밀도 (bulk density: BD)가 0.68 g/ml이고 탭 밀도 (tap density: TD)가 0.79 g/ml이다.
GR1 및 GR2 과립은 하기와 같은 입자 크기 분포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를 특징으로 한다:
10% <125 μm; 50% <425 μm; 90% <600 μm.
b) 습식 과립화
칼슘 L-5-메틸폴레이트를 표 6에 개시된 비율로, 다양한 성분들의 비례 양과 함께 고-전단 혼합기에 넣었다.
성분 GR3 (g) GR4 (g) GR5 (g) GR6 (g) GR15 (g)
L-5-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30 15 15 15 7.5
아스코르브산 30 16.5 - 16.5 16.5
시트르산 - - 16.5 - -
옥수수 전분 FU 720 172 172 - -
미세결정 셀룰로스 PH101 - - - 183 190
전호화 전분
(Starch® 1500)
25 11.5 11.5 - -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 - - 6 6
동시에, 안정화제/항산화제 (아스코르브산 또는 시트르산) 및 결합제 (변성 전분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표 5에 개시된 양으로 균질화기에서 제조하였고, 결합제 용액을 고체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생성된 과립을 유동층 장치에 넣어 건조시켰다.
생성된 과립을 분쇄하고, 600 μm 메쉬 스크린을 통해 체질하였다.
GR3, GR4 및 GR5 과립은 벌크 밀도 (BD)가 0.58 g/ml이고 탭 밀도 (TD)가 0.67 g/ml이다.
GR3, GR4 및 GR5 과립은 하기와 같은 입자 크기 분포 (PSD)를 특징으로 한다: 10% <53 μm; 50% <180 μm; 90% <425 μm.
GR6 과립은 벌크 밀도 (BD)가 0.38 g/ml이고 탭 밀도 (TD)가 0.46 g/ml이다.
GR6 과립은 하기와 같은 입자 크기 분포 (PSD)를 특징으로 한다: 10% <53 μm; 50% <180 μm; 90% <425 μm.
수득된 과립은 즉시 사용하거나, 또는 고체 제제에 사용하기 위해 보관할 수 있다.
실시예 3: 칼슘 메틸폴레이트 과립의 안정성의 결정
실시예 2에서 제조된 GR1-GR6 과립들의 안정성을 40 ± 2℃, RH 75%에서 1개월 동안 테스트하였다.
GR1-GR6 과립들의 MTHF 분석 값은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HPLC로 결정하였다. Spherisorb-SCX 4.6x250 mm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5 μm 입자와 함께 사용하였고; MTHF는 pH 2.5에서 50 mM KH2PO4/CH3CN (32/68) 용출액을 사용하여 등용매 조건하에 용출시켰고; 유속 1.2 mL/분 및 220 nm 파장 UV 검출기.
분석 값은 T0과 비교하여 메틸폴레이트의 회수 퍼센트로 표시된다.
표 7은 40℃, RH 75%에서 GR1-GR6 과립들의 분석 값을 보여준다.
MTHF 분석 값
T=1 개월
GR1 95.4% ± 3.2
GR2 97.4% ± 2.5
GR3 91.7% ± 3.1
GR4 101.6% ± 3.9
GR5 91.5% ± 4.1
GR6 95.4% ± 4.6
실시예 4: 메틸폴레이트 및 비타민 B6 및 B12를 포함하는 과립의 제조
a) 건식 과립화
과립 제조 성분들을 표 8에 개시된 양으로 혼합기에 넣었다. 생성된 혼합물을 건식 압착기에서 과립화하였다. 상기 과립을 분쇄하고, 600 μm 메쉬 스크린을 통해 체질하여 사용하였다.
성분 GR7 (g)
L-5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3
비타민 B6 35
비타민 B12 2
만니톨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8
b) 습식 과립화
표 9에 보고된 과립을 제조하였다.
성분 GR8(g) GR9(g) GR10(g) GR11(g) GR12(g) GR13(g)
아세틸 L-카르니틴 HCl 590
L-5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3 3 3 3 3 3
비타민 B6 35 35 35 35
비타민 B12 2 2 2 2 2 2
아스코르브산 30 6 15
시트르산 24
아세틸 시스테인 6
만니톨 250 250
옥수수 전분 FU 50 50 60
변성 전분 60 8
PVP 28 28
GR8, GR9, GR10 및 GR11의 제조: L-5-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비타민 B6, 비타민 B12 및 희석제 (만니톨 또는 옥수수 전분 FU)를 표 9에 개시된 양으로 고전단 혼합기에 넣었다. 결합제 또는 안정화제/항산화제 (표 9에 개시된 양으로, PVP 또는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세틸시스테인)를 탈염수에 용해시켜서 제조한 과립화 용액으로 상기 혼합물을 과립화한 다음에, 오븐 또는 유동층 건조기에서 수분 함량이 <5%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시켰다. 생성된 과립체를 600 μm 메쉬 스크린을 통해 분쇄하였다.
GR12의 제조: L-5-메틸폴레이트 칼슘 염을 시트르산의 존재 하에 물에 용해시켰다. 변성 전분 및 비타민 B6 및 B12를 표 9에 개시된 양으로 용액에 부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동결-건조하고, 600 μm 메쉬 스크린을 통해 분쇄하였다.
GR13의 제조: L-5-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비타민 B6, 비타민 B12 및 옥수수 전분 FU를 표 9에 개시된 양으로 고전단 혼합기에 넣었다. 동시에, UltraTurrax 또는 Silverson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탈염수에 변성 전분 및 아스코르브산을 분산시켜 과립화 용액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을 과립화하고, 수분 함량이 <5%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시켰다. 상기 과립을 분쇄하고, 600 μm 메쉬 체에서 건조시켰다.
GR8-GR13 과립들의 안정성은 40 ± 2℃, RH 75%에서 1개월 동안 테스트하였다.
GR8-GR13 과립들의 MTHF 분석 값은 HPLC로 결정하였다. Spherisorb-SCX 4.6x250 mm, 5 μm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사용하였다: MTHF는 pH = 2.5, 유속 = 1.2 mL/min에서 220 nm 파장 UV 검출기로 용출액 50 mM KH2PO4/CH3CN (32/68)을 사용하여 등용매 조건하에 용출시켰다.
분석 값은 T0과 비교하여 회수 퍼센트로 표시된다.
40℃, RH 75%에서 GR8-GR13 과립들에서 MTHF의 안정성은 표 10에 개시되어 있다.
MTHF 분석 값
T=1 개월
GR8 62.8% ± 4.1
GR9 89.0% ± 4.3
GR10 99.9% ± 3.1
GR11 101.1% ± 3.9
GR12 66.5% ± 2.8
GR13 70.3% ± 3.3
실시예 5: 비타민 B6 및 B12를 포함하는 과립의 제조
과립 제조 성분들을 표 10에 개시된 양으로 혼합기에 넣은 다음에, 혼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건식 압착기에서 과립화하였다. 상기 과립을 분쇄하고, 600 μm 메쉬 스크린을 통해 체질하고, 생성된 과립을 사용하였다.
과립의 조성은 표 11에 개시되어 있다.
성분 GR14 (g)
비타민 B6 350
비타민 B12 20
만니톨 71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
실시예 6: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및 아세틸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1)
실시예 1에 따른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681 g을 혼합기에 넣고, GR4 제조에 따른 칼슘 메틸폴레이트 과립 243 g에 해당하는 양을 부가하였다. 10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상기 정제는 표 12에 개시된 단위당 조성을 갖는다.
성분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 L-카르니틴 HCl 590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0.4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3.6
폴리비닐피롤리돈 56 5.7
메틸폴레이트 과립 GR4 칼슘 메틸폴레이트 15 1.5
아스코르브산 33 3.4
전분 172 17.6
변성 전분 23 2.3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1.0
콜로이드 실리카 3 0.31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40 4.1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8%, 경도 값 10 ± 3 Kp, 마손도 값 0.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1)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함량을 실시예 10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실시예 7: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및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2)
실시예 1에 따른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681 g을 혼합기에 넣고, GR5 제조에 따라 수득된 칼슘 메틸폴레이트 과립 243 g에 해당하는 양을 부가하였다. 10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상기 정제는 표 13에 개시된 단위당 조성을 갖는다.
성분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 L-카르니틴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0.4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3.6
폴리비닐피롤리돈 56 5.7
MTHF 과립 GR5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15 1.5
시트르산 33 3.4
옥수수 전분 172 17.6
전호화 전분 23 2.3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1.0
콜로이드 실리카 3 0.3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40 4.1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8%, 경도 값 17 ± 3 Kp 및 마손도 값 0.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2)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함량을 실시예 10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실시예 8: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및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3 및 정제 12)
실시예 1에 따른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681 g을 biconical 혼합기에 넣고, GR6 제제에 따라 수득된 칼슘 메틸폴레이트 과립 243 g에 해당하는 양을 부가하였다. 10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상기 정제는 표 14에 개시된 단위당 조성을 갖는다.
정제 3 정제 12
성분 양 (mg)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 L-카르니틴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0.4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35 3.6
폴리비닐피롤리돈 56 56 5.7
MTHF 과립 GR6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15 - 1.5
아스코르브산 33 - 3.4
미세결정 셀룰로스 183 - 18.7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12 - 1.2
MTHF 과립 GR15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 7.5 0.77
아스코르브산 - 33 3.4
미세결정 셀룰로스 - 190 19.5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 12 1.2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10 1.0
콜로이드 실리카 3 3 0.3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40 40 4.1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8%, 경도 값 12 ± 1 Kp 및 마손도 값 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3)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분석 값을 실시예 10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9: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및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4 - 비교예)
590 g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을 혼합기에 넣고, 15 g의 칼슘 메틸폴레이트를 35 g의 미세결정 셀룰로스, 56 g의 폴리비닐피롤리돈, 33 g의 아스코르브산, 172 g의 옥수수 전분 및 23 g의 변성 전분과 함께 부가하였다. 10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상기 정제는 표 15에 개시된 단위당 조성을 갖는다.
성분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0.4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3.6
폴리비닐피롤리돈 56 5.7
칼슘 메틸폴레이트 15 1.5
아스코르브산 33 3.4
전분 172 17.6
변성 전분 23 2.3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1.0
콜로이드 실리카 3 0.3
Opadry AMB II 40 4.1
코팅된 정제 (정제 4)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2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함량을 실시예 10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0: 정제 1-4에서 조성물의 안정성
정제 1-4의 안정성은 25 ± 2℃, RH 60%에서 12개월 동안,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였다.
상기 메틸폴레이트 분석 값은 입자 크기가 5 μm인 Spherisorb SCX 4.6x250 mm 컬럼 및 220 nm 파장 UV 검출기를 사용하여 HPLC로 결정하였다. 메틸폴레이트를 pH 2.5에서 용출액 50mM KH2PO4/CH3CN: (32/68)을 사용하여 등용매 조건하에 용출시켰다.
안정성은 T0과 비교한 회수 퍼센트로 표시되며, 표 16 및 17에 보고된다.
메틸폴레이트 분석 값, T=25±2℃, RH 60%
T1
(2 개월)
T2
(3 개월)
T3
(6 개월)
T4
(9 개월)
T5
(12 개월)

SD
정제 1 96.6% 96.7% 95.2% 4.8
정제 2 95.0% 99.5% 98.5% 5.4
정제 3 90.6% 94.7% 94.40% 91.94% 5.3
정제 4
비교
90.00% 87.00% 85.00% 2.1
메틸폴레이트 분석 값, T=40±2℃, RH 75%
T1
(1 개월)
T1
(2 개월)
T2
(3 개월)
T3
(6 개월)

SD
정제 1 99.8% 98.5% 97.8% 4.8
정제 2 100.1% 98.0% 99.3% 5.4
정제 3 100.1% 88.0% 96.1% 88.88% 5.3
정제 4
비교예
80.00% 75.00% 65.00% 2.1
실시예 11: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아세틸 L-카르니틴 및 비타민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5 - 비교예)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681 g, 칼슘 메틸폴레이트 3 g, 비타민 B6 35 g 및 비타민 B12 2 g을 기하 희석 기술 (geometric dilution technique)을 사용하여 45분간 혼합하였다. 14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정제 5의 단위당 조성은 표 18에 개시되어 있다.
성분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681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5
칼슘 메틸폴레이트 3 0.3
비타민 B6 35 4.5
비타민 B12 2 0.2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4 1.8
콜로이드 실리카 3 0.3
Opadry AMB II 32 4.1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7%, 경도 값 12 ± 2 Kp 및 마손도 값 0.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5)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함량은 실시예 18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2: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아세틸 L-카르니틴 및 비타민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6 - 비교예)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681 g, 칼슘 메틸폴레이트 3 g, 비타민 B6 35 g, 비타민 B12 2 g 및 아스코르브산 50 g을 약 45분간 혼합하였다. 14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정제 6의 단위당 조성은 표 19에 개시되어 있다.
성분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681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1
칼슘 메틸폴레이트 3 0.3
아스코르브산 50 6.0
비타민 B6 35 4.3
비타민 B12 2 0.2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4 1.7
콜로이드 실리카 3 0.3
Opadry AMB II 32 4.1
전체 820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2%, 경도 값 10 ± 2 Kp 및 마손도 값 0.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6)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함량을 실시예 18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3: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아세틸 L-카르니틴 및 비타민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7)
실시예 1에 따른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681 g을 biconical 혼합기에 넣고, GR1 제조에 따라 수득된 칼슘 메틸폴레이트 과립 74.5 g, GR14 제조에 따라 수득된 비타민 B6 및 B12를 포함하는 과립 108.5 g에 해당하는 양을 부가하였다. 7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단위 조성은 표 20에 개시되어 있다.
성분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 L-카르니틴 -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5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3.8
폴리비닐피롤리돈 56 6.1
메틸폴레이트 과립 GR1 칼슘 메틸폴레이트 3 0.3
만니톨 71 7.8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 0.1
비타민 과립 GR14 비타민 B6 35 3.8
만니톨 71 7.8
비타민 B12 2 0.2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 0.1
콜로이드 실리카 3 0.3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7 0.8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37 4.0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5%, 경도 값 19 ± 3 Kp 및 마손도 값 0.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7)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함량을 실시예 18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4: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아세틸 L-카르니틴 및 비타민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8)
실시예 1에 따른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681 g, GR2 제조에 따라 수득된 칼슘 메틸폴레이트 과립 100.5 g 및 GR14 제조에 따라 수득된 비타민 B6 및 B12를 포함하는 과립 108.5 g에 해당하는 양을 혼합기에 넣었다. 7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정제 8의 단위당 조성은 표 21에 개시되어 있다.
성분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 L-카르니틴 -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3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3.7
폴리비닐피롤리돈 56 6
메틸폴레이트 과립 GR2 칼슘 메틸폴레이트 3 0.3
만니톨 71 7.6
아스코르브산 26 2.8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 0.15
비타민 과립 GR14 비타민 B6 35 3.7
비타민 B12 2 0.2
만니톨 71 7.6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 0.1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7 0.7
콜로이드 실리카 3 0.3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37 4.0
전체 937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8%, 경도 값 19 ± 3 Kp 및 마손도 값 0.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8)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분석 값을 실시예 18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실시예 15: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아세틸 L-카르니틴 및 비타민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9)
실시예 1에 따른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681 g을 혼합기에 넣고, GR3 제조에 따라 수득된 칼슘 메틸폴레이트 과립 86 g에 해당하는 양, 비타민 B6 35 g, 및 48 g의 옥수수 전분에 미리 희석된 비타민 B12 2 g을 부가하였다. 10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정제 9의 단위당 조성은 표 22에 개시되어 있다.
성분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 L-카르니틴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5.6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3.9
폴리비닐피롤리돈 56 6.2
MTHF 과립 GR3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3 0.3
아스코르브산 6 0.7
옥수수 전분 72 8.0
전호화 전분 5 0.5
비타민 B6 35 3.9
비타민 B12 2 0.2
옥수수 전분 FU 48 5.3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1.1
콜로이드 실리카 3 0.3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35 3.9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7%, 경도 값 9 ± 2 Kp 및 마손도 값 0.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9)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함량을 실시예 18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6: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아세틸 L-카르니틴 및 비타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10)
713 g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칼슘 메틸폴레이트 및 GR13 제조에 따라 수득된 비타민 B6 및 B12, 8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biconical 혼합기에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정제 5의 단위당 조성은 표 23에 개시되어 있다.
성분
(mg)
%
(w/w)
과립 GR 13 아세틸 L-카르니틴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78.3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3 0.4
아스코르브산 15 2.0
옥수수 전분 FU 60 8.0
변성 전분 8 1.0
비타민 B6 35 4.6
비타민 B12 2 0.3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8 1.0
콜로이드 실리카 3 0.4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29 3.8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5%, 경도 값 5 ± 1 Kp 및 마손도 값 0.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10)의 안정성을 25 ± 2℃, RH 60%,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고, 메틸폴레이트 함량을 실시예 18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7: 메틸폴레이트,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및 비타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정제 11)
실시예 1에 따른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 681 g을 혼합기에 넣고, 칼슘 메틸폴레이트 과립 140.8 g에 동등한 양 및 GR7 제조에 따라 수득된 비타민 B6 및 B12를 부가하였다. 7 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3 g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분 동안 (20 rpm) 교반한 다음에, 정제 프레스에서 압축하였다. 생성된 정제를 Opadry AMB II로 코팅하였다.
정제 5의 단위당 조성은 표 24에 개시되어 있다.
성분 양 (mg) % (w/w)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아세틸 L-카르니틴 HCl 590
(= 500 mg 아세틸
L-카르니틴)
68.2
미세결정 셀룰로스 35 4.1
폴리비닐피롤리돈 56 6.5
MTHF 과립
GR7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3 0.3
비타민 B6 35 4.1
비타민 B12 2 0.2
만니톨 100 11.6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8 0.1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7 0.8
콜로이드 실리카 3 0.3
필름 코팅제 Opadry AMB II 33.2 3,8
비코팅된 정제는 Karl Fischer 방법에 의해 결정된 수분 함량 1.7%, 경도 값 19 ± 3 Kp 및 마손도 값 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팅된 정제 (정제 11)의 안정성을 테스트하고 함량을 실시예 18에 보고된 바와 같이 T0과 비교하여 경시적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8: 정제 5-11의 안정성
정제 5-11의 안정성을 25 ± 2℃, RH 60%에서 12개월 동안, 및 40 ± 2℃, RH 75%에서 6개월 동안 테스트하였다.
상기 메틸폴레이트 분석 값을 입자 크기가 5 μm인 Spherisorb SCX 4.6x250 mm 컬럼 및 220 nm 파장 UV 검출기를 사용하는 HPLC로 결정하였다. 메틸폴레이트를 pH 2.5에서 용출액 50mM KH2PO4/CH3CN: (32/68)을 사용하여 등용매 조건하에 용출시켰다.
안정성은 T0에서의 농도와 비교하여 회수 퍼센트로 표시되며, 표 25 및 26에 보고된다.
25℃, RH 60%에서 칼슘 L-5-메틸폴레이트 분석 값
역가 %
T=2 개월
역가 %
T=3 개월
역가 %
T=6 개월
역가 %
T=9 개월
역가 %
T=12 개월
SD
정제 5
비교예
93.2% 85.1% 72.8% 2.3
정제 6
비교예
94.5% 95.1% 93.3% 2.1
정제 7 99.5% 95.5% 91.1% 4.8
정제 8 104.3% 102.6% 99.5% 3.2
정제 9 100.1% 102.8% 102.8% 91.66% 97.22% 4.8
정제 10 89.0% 80.9% 67.0% 3.3
정제 11 88.2% 84.4% 77.7% 6.1
40℃, RH 75%에서 칼슘 L-5-메틸폴레이트 분석 값
% 분석 값
T=30 일
% 분석 값
T=60 일
% 분석 값
T=90 일
% 분석 값
T=180 일
SD
정제 5
비교예
81.6% 72.0% 71.1% 67.4% 2.3
정제 6
비교예
82.2% 79.5% 76.8% 65.7% 2.1
정제 7 82.0% 78.6% 70.9% 69.9% 4.8
정제 8 99.2% 93.5% 88.4% 84.2% 3.2
정제 9 100.0% 100.0% 97.2% 88.9% 4.8
정제 10 74.2% 70.2% 54.3% 20.6% 3.3
정제 11 86.8% 78.2% 76.3% 68.1% 6.1
실시예 19: 인간 우울증의 검증된 동물 모델에서 메틸 폴레이트 및 L-아세틸 카르니틴의 병용 투여의 효과.
40마리의 7 주령 수컷 C57Black/6J 마우스를 J H Cryan et al. in J.Neubiorev. 2005, 03, 00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우울증 표현형을 허용하는 검증된 모델인 CUS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로 처리하였다.
상기 동물을 5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다음과 같은 처리로 투여하였다:
그룹 I: 동물 8마리, 대조군, 식염수 용액
그룹 II: 동물 8마리, CUS, 식염수 용액
그룹 III: 동물 8마리, CUS, 메틸 폴레이트 (MTHF) 3 mg/kg
그룹 IV: 동물 8마리, CUS, L-아세틸 카르니틴 (LAC) 30 mg/kg 및 식염수
그룹 V: 동물 8마리, CUS, LAC 30 mg/kg 및 MTHF 3 mg/kg의 병용-투여
마우스를 12시간의 명/암 기간으로 제어된 온도 (21-23 ℃)의 방에서 음식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케이지당 4-5마리로 수용하였다. ACL 및 MF의 조합된 항우울제 효과를 CUS를 받은 동물 및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대조군 동물 모두에서 평가하였다.
상기 마우스를 4주 동안 CUS에 노출시켰으며, 그 동안 다양한 타입의 스트레스를 1일 2회 무작위 및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상기 동물에게 적용하였다: 한 세션은 낮에 1-3 시간 지속되고, 한 세션은 밤에 지속되었으며 (12시간 지속), 두 세션들 간에 적어도 6시간의 간격이 있다. 적용되는 스트레스가 많은 절차는 하기와 같다: 식량 박탈; 회전 플랫폼에 놓인 케이지; 45°기울어진 케이지; 젖은 깔짚 (litter) (깔짚 750 ml에 대해 21℃의 물 250 ml); 밤에 라이트 켜기; 낮에 라이트 끄기; 0.4 cm 개구부, 125x5 cm 크기의 환기가 잘 되는 특수 투명 Plexiglas 실린더 내부 격납, 여기서 상기 동물은 앞뒤로 조금씩 움직일 수 있지만 몸을 돌릴 수는 없음; 케이지 교체 (마우스를 다른 마우스가 이미 점유한 케이지에 넣음); 밤 동안 섬광등. 상기 CUS 동물 및 각 대조군은 우울증-유사 표현형 및 후속 약리학적 치료에 의해 유도된 항우울제 효과를 평가하기에 적합한 거동 테스트를 받았다.
약물 치료는 CUS 3주차에 시작하여, 이를 2주 동안 유지하였고, 상기 연구는 실험 시작 5주차에 종료하였다. 거동 테스트는 치료 시작 3일 후에 수행하였으며, 상기 마우스 뇌의 사후 단백질 연구는 치료 14일 후, 5주차 종료시에 수행하였다.
선택된 생성물 LAC 및 MEF의 항우울제 거동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J H Cryan et al. in J. Neubiorev. 2005, 03, 00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동물을 FST (Forced swimming test)를 수행하고, 동물들의 5개의 그룹에서 전체 부동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FST는 이전에 여러 논문에서 검증되었으며, 전체 부동 시간은 표준 항우울제 약물, 예컨대 세로토닌-재흡수 억제제 (SSRI)를 사용한 급성, 아급성 및 만성 치료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테스트 동안, 상기 마우스의 뒷다리가 실린더의 바닥에 닿지 않도록 충분한 양의 따뜻한 물 (28℃)로 채워진 투명한 plexiglass 실린더 (높이 25 cm, 직경 22 cm)에 상기 마우스를 6분 동안 개별적으로 넣었다. 상기 동물을 비디오로 녹화한 다음에, 테스트의 마지막 4분 동안 부동 시간 (초로 표시)을 측정하였다. 표 27은 마우스에서의 거동 항우울제 테스트를 보고한다.
강제 수영 테스트 전체 부동 시간 (sec)+SD
그룹 I (식염수) 184.87 ± 41.47
그룹 II (CUS-식염수) 214.25 ± 36.83
그룹 III (MTHF 3 mg/Kg) 230 ± 14.20
그룹 IV (LAC 30 mg/Kg) 245.75 ± 30.34
그룹 V (LAC30+MTHF 3 mg/kg) 149.5 ± 33.93
Anova Fisher's exact 테스트를 사용한 통계 분석 실행은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F(4.35) =10.95
실시예 20: 만성 스트레스에 노출된 마우스의 변연계 구조에서 MTHF 및/또는 LAC를 사용한 처리에 의한 BDNF의 발현
실시예 1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마우스를 처리하였다. CUS 4주 및 약리학적 처리 2주 후에 (실시예 19에 기재된 바와 같음), 5주 종료 시에, 상기 동물을 희생시키고, BDNF 단백질의 수준을 웨스턴 블롯에 의해 해마 및 전두엽 피질에서 측정하였다. 표 28은 마우스의 전두엽 피질에서 만성 스트레스 및 우울증과 관련된 신경 영양 인자인 BDNF의 단백질 수준을 보고한다.
전두엽 피질에서 웨스턴 블롯 BDNF 광학 밀도 밴드±SD
그룹 I (식염수) 100.64±23.05
그룹 II (CUS-식염수) 104.70±21
그룹 III (MTHF 3 mg/Kg) 138.46±18.26
그룹 IV (LAC 30 mg/Kg) 113.29±28.95
그룹 V (MTHF 3+LAC 30 mg/Kg) 203.47±72.06
전두엽 피질에서 BDNF에 대한 웨스턴 블롯의 경우, Anova Fisher's exact는 F(6.23)=5.886이었다.
도 2는 웨스턴 블롯에 의해 마우스 I 전두엽 피질에서 측정한 BDNF 단백질 발현 수준을 보여준다. 항체는 17 KDa BDNF의 성숙한 형태를 인식한다. LAC 30 mg 및 MTHF 3 mg 조합으로 처리하면 BDNF를 블롯하기 위한 특정 항체를 사용한 웨스턴 블롯의 세기가 LAC 및 MTHF를 별도로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Claims (18)

  1. 완성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w/w)의 양의 결정형 칼슘 L-메틸폴레이트 (MTHF) 과립 및 50 내지 90% (w/w)의 양의 카르니틴 유도체 염을 포함하는 과립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정제 조성물 (tablet composition)로서, 상기 메틸폴레이트 과립은 적어도 항산화제 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정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 또는 안정화제는 과립의 중량에 대해 3 내지 30% (w/w)의 양으로 아스코르브산 및 시트르산으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틸폴레이트 과립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2-10% (w/w)의 칼슘 메틸폴레이트;
    - 3-30% (w/w)의 항산화제(들) 또는 안정화제(들);
    - 50-90% (w/w)의 희석제(들);
    - 4-10% (w/w)의 결합제(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MTHF 과립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2-8% (w/w)의 칼슘 메틸폴레이트;
    - 5-25% (w/w)의 항산화제(들) 또는 안정화제(들);
    - 60-90% (w/w)의 희석제(들);
    - 3-8% (w/w)의 결합제(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과립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2-8% (w/w)의 칼슘 메틸폴레이트;
    - 5-25% (w/w)의 시트르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 60-90% (w/w)의 옥수수 전분 또는 미세결정 셀룰로스;
    - 3-8% (w/w)의 전호화 전분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 염은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인 것인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L-카르니틴 과립은 과립의 중량에 대해, 75% 내지 90% (w/w)의 양의 아세틸-L-카르니틴, 3 내지 10% (w/w)의 양의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3 내지 10% (w/w)의 양의 미세결정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 5-40% (w/w)의 MTHF 과립;
    - 50-90% (w/w)의 아세틸 L-카르니틴 과립;
    - 0.1-15% (w/w)의 활택제;
    - 0.1-5% (w/w)의 유동화제;
    - 0-10% (w/w)의 희석제;
    - 0-10% (w/w)의 비타민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필름-형성 코팅제로 필름 코팅되는 것인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2 내지 30 mg의 칼슘-L-메틸폴레이트 과립, 및 400 내지 700 mg의 아세틸 L-카르니틴 염산염 과립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 590 mg의 아세틸 L-카르니틴 HCl,
    - 35 mg의 미세결정 셀룰로스,
    - 56 mg의 폴리비닐피롤리돈,
    - 15 mg의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 33 mg의 아스코르브산,
    - 172 mg의 옥수수 전분,
    - 23 mg의 전호화 전분,
    - 10 m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3 mg의 콜로이드 실리카 및 필름-형성 코팅제로 구성된 것인 조성물.
  11. 청구항 8에 있어서,
    - 590 mg의 아세틸 L-카르니틴 HCl,
    - 35 mg의 미세결정 셀룰로스,
    - 56 mg의 폴리비닐피롤리돈,
    - 7.5 mg의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 33 mg의 아스코르브산,
    - 190 mg의 옥수수 전분,
    - 23 mg의 전호화 전분,
    - 10 m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3 mg의 콜로이드 실리카 및 필름-형성 코팅제로 구성된 것인 조성물.
  12. 청구항 8에 있어서,
    - 590 mg의 아세틸 L-카르니틴 HCl,
    - 35 mg의 미세결정 셀룰로스,
    - 56 mg의 폴리비닐피롤리돈,
    - 3 mg의 메틸폴레이트 칼슘 염,
    - 6 mg의 아스코르브산;
    - 120 mg의 옥수수 전분;
    - 5 mg의 전호화 전분,
    - 35 mg의 비타민 B6,
    - 2 mg의 비타민 B12,
    - 10 mg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3 mg의 콜로이드 실리카 및 필름-형성 코팅제로 구성된 것인 조성물.
  13.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a) 과립체의 중량에 대해, 3 내지 10% (w/w)의 양의 MTHF를 3 내지 15% (w/w)의 양의 항산화제 또는 안정화제, 50 내지 90% (w/w)의 양의 희석제 및 4 내지 10% (w/w)의 양의 결합제와 혼합하는, MTHF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b) 과립체의 최종 중량에 대해, 75 내지 90% (w/w)의 양의 아세틸-L-카르니틴 염산염을 5 내지 10% (w/w)의 양의 미세결정 셀룰로스 및 5 내지 10% (w/w)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혼합하는, 카르니틴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c) 단계 a)에서 수득된 MTHF 과립 및 단계 b)에서 수득된 카르니틴 유도체 과립을 과립외 부형제 (extragranular excipients)와 혼합하고, 정제 형태 (tablet form)로 압축하는 단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단계 c에서, 단계 a) 및 b)에서 수득된 과립들을 완성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0 내지 10%의 양의 비타민 B군과 혼합하는 것인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우울증 및/또는 정신분열증과 관련된 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조성물.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MTHF 투여량은 5 내지 90 mg/일이고, LAC 투여량은 100 내지 1000 mg/일이며, 상기 조성물은 1일 1회 또는 2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우울제 화합물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는 것인 조성물.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신경병증과 관련된 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조성물.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MTHF는 2 내지 6 mg의 투여량으로 존재하고, 아세틸 L-카르니틴은 100 mg 내지 1000 mg의 투여량으로 존재하며, 비타민 B군, 예컨대 B6 및/또는 B12는 2 내지 50 mg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KR1020227043724A 2020-05-15 2021-05-10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300119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0000010741 2020-05-15
IT202000010741 2020-05-15
PCT/EP2021/062374 WO2021228788A1 (en) 2020-05-15 2021-05-10 Composition comprising methylfo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999A true KR20230011999A (ko) 2023-01-25

Family

ID=7166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724A KR20230011999A (ko) 2020-05-15 2021-05-10 메틸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181475A1 (ko)
EP (1) EP4149437A1 (ko)
JP (1) JP2023525840A (ko)
KR (1) KR20230011999A (ko)
CN (1) CN115605188A (ko)
AU (1) AU2021272292A1 (ko)
CA (1) CA3172190A1 (ko)
IL (1) IL298209A (ko)
MX (1) MX2022012693A (ko)
WO (1) WO20212287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6954B (it) 1979-02-12 1989-05-17 Sigma Tau Ind Farmaceuti Agenti terapeutici a base di un acil derivato della carnitina per la cura di vasculopatie periferiche
US4346107A (en) 1979-02-12 1982-08-24 Claudio Cavazz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cyl-carnitine for the treatment of impaired cerebral metabolism
IT1196564B (it) 1986-08-04 1988-11-16 Sigma Tau Ind Farmaceuti Impiego di acetil l-carnitina nel trattamento terapeutico delle neuropatie periferiche
IT1291930B1 (it) 1997-06-18 1999-01-21 Sigma Tau Ind Farmaceuti Composizione riequilibratrice delle turbe dell'umore in individui sani
IT1305308B1 (it) 1999-03-26 2001-05-04 Biosint S P A Granulato ad alto contenuto di l-carnitina o alcanoil-l-carnitina,particolarmente adatto alla produzione di compresse per compressione
CH693905A5 (de) 1999-04-15 2004-04-15 Eprova Ag Stabile kristalline Salze von 5-Methyltetrahydrofolsäure.
EP1471904A1 (en) 2002-02-07 2004-11-03 Sigma-Tau Industrie Farmaceutiche Riunite S.p.A. Carnitine in the treatment of geriatric depression
EP2781214A1 (en) 2013-03-22 2014-09-24 Chemo Research, S.L. Formulation of amorphous calcium L-5-methyltetrahydrofolate (L-5-MTHF-Ca)
CN107812195B (zh) 2014-09-04 2021-04-20 连云港金康和信药业有限公司 (6s)‐5‐甲基‐四氢叶酸钙盐的稳定药物组合物
US10265363B2 (en) * 2015-08-03 2019-04-23 Sarah Morgan Formulations that provide support during vaccinations and adaptive immune system response
CN109498771B (zh) * 2018-12-06 2021-09-28 江西恒康药业有限公司 一种改善轻度认知功能障碍的靶向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72292A1 (en) 2023-02-02
MX2022012693A (es) 2022-11-07
CA3172190A1 (en) 2021-11-18
JP2023525840A (ja) 2023-06-19
EP4149437A1 (en) 2023-03-22
US20230181475A1 (en) 2023-06-15
WO2021228788A1 (en) 2021-11-18
CN115605188A (zh) 2023-01-13
IL298209A (en) 202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22856B2 (en) Use of levodopa, carbidopa and entacapone for treating Parkinson&#39;s disease
US20230321021A1 (en) Methods of normalizing amino acid metabolism
EP3646858A1 (en) Encapsulated formulations
KR20140146207A (ko) 운동 장애의 개선된 관리에 적합한 경구로 이용 가능한 약학적 제형
US20180071240A1 (en) Once daily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isotretinoin
MXPA06004327A (es) Composiciones y forma de dosificacion para el efecto retardado de levodopa.
EP2073846B1 (en) Combinations of antipsychotic drugs and tetracyclines in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KR20160002836A (ko) 안정화된 비타민 d 제형
US2023018147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methylfolate
JP2016525576A (ja) 安定化された修飾放出型葉酸誘導体組成物、その治療用途および製造方法
US20220280461A1 (en) Solid oral dosage form comprising naproxen and vitamin b12
CN112618533A (zh) 一种左旋多巴/甜菜碱药物组合物以及应用
US20030004130A1 (en) Homogeneou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zidovudine and lamivudine
US20220280462A1 (en) Solid oral dosage form comprising naproxen and vitamin b1
CA3157712C (en) Synergistic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enhancing atp efficiency
EP4021417B1 (en) Solid oral dosage form comprising naproxen and vitamin b6
US20230225979A1 (en) Solid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site monolithic matrices for chronotropic administr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WO2014046129A1 (ja) 溶出性及び/又は吸収性が改善された経口投与用医薬組成物
US20240024246A1 (en) Stable prolonged release formulation of vitamin c and a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WO2023084531A1 (en) A synergistic composition for activating intracellular secondary messenger(camp) pathway
KR101515222B1 (ko) 티아넵틴 나트륨 함유 제어방출성 경구용 단층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022951A1 (en) Multivitamin composition for improving verbal fluency, decreasing performance anxiety symptom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T516484A2 (de) Kombinationspräparat enthaltend Ademetionin, Vitamin B12 und Huperzin zur Prävention der Prodromalstadien und Behandlung der Alzheimer-Krankheit mit spätem Beginn (LOAD) durch Neuroprotek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