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400A - 다방향 오거 비트 - Google Patents

다방향 오거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400A
KR20230011400A KR1020227044167A KR20227044167A KR20230011400A KR 20230011400 A KR20230011400 A KR 20230011400A KR 1020227044167 A KR1020227044167 A KR 1020227044167A KR 20227044167 A KR20227044167 A KR 20227044167A KR 20230011400 A KR20230011400 A KR 20230011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er
excavation
cemented carbide
auger bit
mult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미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긴조쿠 코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긴조쿠 코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긴조쿠 코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6Drill bits characterised by wear resisting parts, e.g. diamond inserts
    • E21B10/58Chisel-type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4Bits with helical conveying portion, e.g. screw type bits; Augers with leading portion or with detach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6Drill bits characterised by wear resisting parts, e.g. diamon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면에 대해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 또는 굴착 방향과 말뚝 중심 방향, 혹은 그 모든 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거 헤드에 장착되는 다방향 오거 비트로서, 오거 헤드의 축방향으로 선단이 돌출된 베이스부(2)와, 베이스부와 연속되는 레그부(3, 4)를 구비하고, 베이스부는 레그부와 연속되는 평면부(2a)와, 평면부로부터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 1 경사부(2b 내지 2d)와, 제 1 경사부로부터 연속되는 좌우의 측면부(2e, 2f)와, 제 1 경사부로부터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 레그부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 2 경사부(2g)로 이루어지고, 제 1 경사부, 측면부, 및 제 2 경사부에는 제 1 초경 칩이 배설되어 있고, 좌우의 측면부의 한쪽에서부터 제 1 경사부에 걸쳐 제 2 초경 칩이 좌우의 측면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설되어 있는 다방향 오거 비트(1)이다.

Description

다방향 오거 비트
본 발명은 굴착면에 대해서 복수 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다방향 오거 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항타기를 이용한 기성 말뚝 공법은 오거 헤드가 구동 기구에 접속되어 있고,지면에 건축물의 기초 구멍이나 연속 지중 벽체의 조성 구멍 등을 굴착하는 것으로, 오거 헤드의 선단에 설치되는 오거 비트에는 굴착을 위한 블레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강관 중공굴착 공법 등에 대해서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굴착날이 중앙 칩과 양 옆의 사이드 칩으로 이루어지고, 굴착 헤드부에는 살올림이 이루어진 착탈식 어스 오거 비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착탈식 어스 오거 비트에 있어서, 중앙 칩은 사이드 칩에 대해 만곡 상태로 돌출되는 쐐기 형상 블레이드를 구성하고 있다. 굴착날로서 굴착 작용에 따라 칼끝 부분이 탈락하고 새로운 칼끝 부분을 재생해 나가는 자생날 기능을 갖는 것이 적용되며, 굴착날은 블레이드 부재 본체에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진 봉형상의 칩이 매립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9680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착탈 구조를 개선한 착탈식 어스 오거 비트 및 어스 오거를 단순히 개시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오거 헤드용의 오거 비트와 관련하여, 케이싱의 외판 또는 내판, 혹은 외판 및 내판 양측에 장착하여, 굴착면에 대해 굴착 방향과 공벽(孔壁) 방향, 또는 굴착 방향과 말뚝 중심 방향, 혹은 그 모든 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것은 종래에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굴착 날개의 외측에 장착하여, 굴착면에 대해서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의 양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것은 종래에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굴착면에 대해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 또는 굴착 방향과 말뚝 중심 방향, 혹은 그 모든 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는, 오거 헤드에 장착되는 오거 비트로서,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으로 선단이 돌출된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에, 굴착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초경 칩과, 공벽 또는 말뚝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초경 칩을 배설하였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는, 오거 헤드에 장착되는 오거 비트로서,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으로 선단이 돌출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연속되는 레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레그부와 연속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 상기 선단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 1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연속되는 좌우의 측면부와,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 상기 레그부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 2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경사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제 2 경사부에는 제 1 초경 칩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의 측면부의 한쪽에서부터 상기 제 1 경사부에 걸쳐 제 2 초경 칩이 상기 좌우의 측면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제 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초경 칩으로서 복수의 초경 칩이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착면에 대해서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 또는 굴착 방향과 말뚝 중심 방향, 혹은 그 모든 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다방향 오거 비트의 장착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방향 오거 비트의 장착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는 케이싱의 외판 또는 내판, 혹은 외판 및 내판 양측에 장착하여, 굴착면에 대해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 또는 굴착 방향과 말뚝 중심 방향, 혹은 그 모든 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거 비트는 굴착 날개의 외측에 장착하여, 굴착면에 대해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의 양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다방향 오거 비트는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 또는 굴착 방향과 말뚝 중심 방향으로 각각 초경 칩이 장착되어 있다. 굴착 방향, 공벽 방향, 말뚝 중심 방향으로 장착되는 초경 칩의 크기, 형상, 설치 각도, 및 개수는 굴착 대상에 맞게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초경 칩의 경도는 굴착 방향, 공벽 방향, 말뚝 중심 방향, 각각 굴착 대상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이 밖에, 다방향 오거 비트의 장착 방식은 착탈식(제 1 및 제 2 실시예), 용접식(제 3 실시예) 중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이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더 상세하게는, 도 1(a)는 상기 오거 비트의 사시도, 도 1(b)는 평면도, 도 1(c)는 측면도이다. 한편, 도 1(a)에서는 각 부의 구성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경질 살올림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 오거 비트(1)는 베이스부(2)와 해당 베이스부(2)로부터 뻗어 있는 2개의 레그부(3, 4)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2)측을 오거 비트(1)의 선단이라고도 부르고, 레그부(3, 4)측을 오거 헤드에의 장착측 또는 오거 비트(1)의 후단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선단이 향하고 있는 방향이 굴착 방향이고, 해당 굴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공벽 방향 또는 말뚝 중심 방향이 된다.
여기서, 말뚝 중심 방향이란, 기초 공사에 사용하는 기성 말뚝, 현장 타설 말뚝, 강관 말뚝 등의 모든 말뚝 공사에 있어서의 '말뚝의 중심'이며, 여러 가지 말뚝의 인발 공사, 장애물 철거 공사등에 사용하는 케이싱 및 굴착 날개의 중심부를 의미한다. 한편, 공벽(孔壁) 방향이란, 기초 공사에 사용하는 기성 말뚝, 현장 타설 말뚝, 강관 말뚝 등의 모든 말뚝 공사에 있어서의 말뚝의 외주측 및, 여러 가지 말뚝의 인발 공사, 장애물 철거 공사에 사용하는 케이싱 및 굴착 날개의 외주측, 즉, 지반 혹은 장애물을 굴착해 구축한 지중 구멍의 공벽(孔壁)을 의미한다.
베이스부(2)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다방향 오거 비트(1)의 선단측을 향해 꼭대기부가 돌출된 소위 산형(山型)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방향 오거 비트(1)의 베이스부(2)의 평면부(2a)는 레그부(3, 4)의 평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베이스부(2)의 평면부(2a)에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을 향해 기울어진 3개의 경사부(2b, 2c, 2d)가 연속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경사부(2b)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좌측 단부가 측면부(2e)와 연속되어 있고, 경사부(2d)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우측 단부가 측면부(2f)와 연속되어 있다.
베이스부(2)의 경사부(2b, 2c, 2d)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가로 방향으로, 즉 오거 헤드의 둘레 방향으로, 이 순서대로 연속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경사부(2b)는 경사부(2c)에 대해서 오거 헤드의 둘레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경사부(2d)는 경사부(2c)에 대해서 오거 헤드의 둘레 방향(경사부(2b)의 경사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베이스부(2)의 경사부(2b, 2c, 2d)의 하단은 경사부(2g)에 연속되어 있다. 베이스부(2)의 경사부(2g)는 베이스부(2)의 평면부(2a)와 평행한 평면에 대해서 17.5°로 오거 헤드의 축방향, 다방향 오거 비트(1)의 후단측, 즉 오거 비트(1)의 오거 헤드에의 장착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베이스부(2)에는 경질 살올림(7)이 배설되어 있다.
레그부(3, 4)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또한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ㄷ'자 모양이 되도록, 베이스부(2)로부터 오거 헤드의 축방향, 후단측을 향해 뻗어 있다. 이 레그부(3, 4)에는 오거 헤드에 다방향 오거 비트(1)를 볼트 등으로 장착하기 위한 각 4개의 구멍부(3a, 4a)가 형성되어 있다.
다방향 오거 비트(1)의 베이스부(2)의 경사부(2b, 2c, 2d)에는, 그 하부에 제 1 초경 칩(5)이 배설되어 있다. 제 1 초경 칩(5)에 따르면, 당접면 외측의 마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다방향 오거 비트(1)의 베이스부(2)의 경사부(2d)에서부터 측면부(2f)에 걸쳐 제 2 초경 칩(6)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초경 칩(6)은 소위 산형 형상이고, 그 꼭대기부가 공벽 방향 또는 말뚝 중심 방향을 향해 있다. 여기서, 공벽 방향, 말뚝 중심 방향이란, 굴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다. 따라서, 다방향 오거 비트(1)를 케이싱의 외판에 배치한 경우에는, 제 2 초경 칩(6)은 공벽 방향을 향하고, 내판에 배치한 경우에는, 제 2 초경 칩(6)은 말뚝 중심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 제 1 및 제 2 초경 칩(5, 6)의 재종(材種) 및 경도는, 굴착 대상의 지반 또는 장해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각 부의 재질에 대해 언급하자면, 베이스부(2), 레그부(3, 4)의 모재는 SCM440(크로몰리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초경 칩(5, 6)으로는, JIS 사용 분류 기호에서 말하는 E3(재질명 MG30), E4(재질명 MG40), E5(재질명 MG50), E6(재질명 MG60) 등이나 CIS 규격의 G4(CIS 재종 기호 VC-40), G5(CIS 재종 기호 VC-50)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에 따르면, 굴착면에 대해서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 또는 굴착 방향과 말뚝 중심 방향, 혹은 그 모든 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예>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는 상기 오거 비트의 사시도, 도 2(b)는 평면도, 도 2(c)는 측면도이다. 한편, 도 2(a)에서는 각 부의 구성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경질 살올림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 오거 비트(11)는 베이스부(12)와 해당 베이스부(12)로부터 뻗어 있는 2개의 레그부(13, 14)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2)측을 다방향 오거 비트(11)의 선단이라고도 부르고, 레그부(13, 14)측을 오거 헤드에의 장착측 또는 다방향 오거 비트(11)의 후단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선단이 향하고 있는 방향이 굴착 방향이고, 해당 굴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공벽 방향 또는 말뚝 중심 방향이 된다.
베이스부(12)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다방향 오거 비트(11)의 선단측을 향해 꼭대기부가 돌출된 소위 산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방향 오거 비트(11)의 베이스부(12)의 평면부(12a)는 레그부(13, 14)의 평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베이스부(12)의 평면부(12a)에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을 향해 기울어진 3개의 경사부(12b, 12c, 12d)가 연속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경사부(12b)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좌측 단부가 측면부(12e)와 연속되어 있고, 경사부(12d)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우측 단부가 측면부(12f)와 연속되어 있다.
베이스부(12)의 경사부(12b, 12c, 12d)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가로 방향으로, 즉 오거 헤드의 둘레 방향으로, 이 순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경사부(12b)는 경사부(12c)에 대해서 오거 헤드의 둘레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경사부(12d)는 경사부(12c)에 대해서 오거 헤드의 둘레 방향(경사부(12b)의 경사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베이스부(12)의 경사부(12b, 12c, 12d)의 하단은 경사부(12g)에 연속되어 있다. 베이스부(12)의 경사부(12g)는, 베이스부(12)의 평면부(12a)와 평행한 평면에 대해서 17.5°로 오거 헤드의 축방향, 오거 비트(1)의 후단측, 즉 다방향 오거 비트(11)의 오거 헤드에의 장착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베이스부(12)에는 경질 살올림(18)이 배설되어 있다.
레그부(13, 14)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또한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ㄷ'자 모양이 되도록, 베이스부(12)로부터 오거 헤드의 축방향, 후단측을 향해 뻗어 있다. 이 레그부(13, 14)에는, 오거 헤드에 다방향 오거 비트(11)를 볼트 등으로 장착하기 위한 각 4개의 구멍부(13a, 14a)가 형성되어 있다.
다방향 오거 비트(11)의 베이스부(12)의 경사부(12b, 12c, 12d)에는 그 하부에 제 1 초경 칩(15)이 배설되어 있다. 제 1 초경 칩(15)에 따르면, 당접면 외측의 마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다방향 오거 비트(11)의 베이스부(12)의 경사부(12d)에서부터 측면부(12f)에 걸쳐, 2개의 제 2 초경 칩(16, 17)이 오거 헤드의 축방향, 후단측을 향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2 초경 칩(16, 17)은 소위 산형 형상이고, 그 꼭대기부가 공벽 방향 또는 말뚝 중심 방향을 향해 있다. 여기서, 공벽 방향, 말뚝 중심 방향이란, 굴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다. 따라서, 다방향 오거 비트(11)를 케이싱의 외판에 배치한 경우에는, 제 2 초경 칩(16, 17)은 공벽 방향을 향하게 되고, 내판에 배치한 경우에는, 제 2 초경 칩(16, 17)은 말뚝 중심 방향을 향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초경 칩(15, 16, 17)의 재종 및 경도는 굴착 대상의 지반 또는 장해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각 부의 재질에 대해 언급하자면, 베이스부(12), 레그부(13, 14)의 모재는 SCM440(크로몰리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초경 칩(15, 16, 17)으로는, JIS 사용 분류 기호에서 말하는 E3(재질명 MG30), E4(재질명 MG40), E5(재질명 MG50), E6(재질명 MG60) 등이나 CIS 규격의 G4(CIS 재종 기호 VC-40), G5(CIS 재종 기호 VC-50)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거 비트에 따르면, 굴착면에 대해서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 또는 굴착 방향과 말뚝 중심 방향, 혹은 그 모든 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예>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는 상기 다방향 오거 비트의 사시도, 도 3(b)은 평면도, 도 3(c)은 측면도이다. 한편, 도 3(a)에서는 각 부의 구성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경질 살올림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 오거 비트(21)는, 베이스부(22)와, 해당 베이스부(22)로부터 뻗어 있는 레그부(용접부라고도 한다)(23)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22)측을 오거 비트(21)의 선단이라고도 부르고, 용접부(23)측을 오거 헤드에의 장착측 또는 오거 비트(21)의 후단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선단이 향해 있는 방향이 굴착 방향이고, 해당 굴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공벽 방향 또는 말뚝 중심 방향이 된다.
베이스부(22)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다방향 오거 비트(21)의 선단측을 향해 꼭대기부가 돌출된 소위 산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방향 오거 비트(21)의 베이스부(22)의 평면부(22a)는 레그부(23)의 평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베이스부(22)의 평면부(22a)에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을 향해 기울어진 3개의 경사부(22b, 22c, 22d)가 연속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경사부(22b)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좌측 단부가 측면부(22e)와 연속되어 있고, 경사부(22d)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우측 단부가 측면부(22f)와 연속되어 있다.
베이스부(22)의 경사부(22b, 22c, 22d)는 오거 헤드의 축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가로 방향으로, 즉 오거 헤드의 둘레 방향으로, 이 순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에서는, 경사부(22b)는 경사부(22c)에 대해서 오거 헤드의 둘레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경사부(22d)는 경사부(22c)에 대해서 오거 헤드의 둘레 방향(경사부(22b)의 경사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베이스부(22)의 경사부(22b, 22c, 22d)의 하단은 경사부(22g)에 연속되어 있다. 베이스부(22)의 경사부(22g)는 베이스부(22)의 평면부(22a)와 평행한 평면에 대해서 15°로 오거 헤드의 축방향, 오거 비트(21)의 후단측, 즉 오거 비트(21)의 오거 헤드에 대한 장착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베이스부(22)에는 경질 살올림(27)이 배설되어 있다. 베이스부(22)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뻗어 있는 레그부(23)는 오거 비트(1)를 오거 헤드에 고정할 때에 용접되는 부분이다.
다방향 오거 비트(21)의 베이스부(22)의 경사부(22b, 22c, 22d)에는, 그 하부에 제 1 초경 칩(25)이 배설되어 있다. 제 1 초경 칩(25)에 따르면, 당접면 외측의 마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다방향 오거 비트(21)의 베이스부(22)의 경사부(22d)에서부터 측면부(22f)에 걸쳐 제 2 초경 칩(26)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초경 칩(26)은 소위 산형 형상이며, 그 꼭대기부가 공벽 방향 또는 말뚝 중심 방향을 향해 있다. 여기서, 공벽 방향, 말뚝 중심 방향이란, 굴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다. 따라서, 다방향 오거 비트(21)를 케이싱의 외판에 배치한 경우에는, 제 2 초경 칩(26)은 공벽 방향을 향하고, 내판에 배치한 경우에는, 제 2 초경 칩(26)은 말뚝 중심 방향을 향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초경 칩(25, 26)의 재종 및 경도는, 굴착 대상의 지반 또는 장해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각 부의 재질에 대해 언급하자면, 베이스부(22), 레그부(23)의 모재로서는 SCM440(크로몰리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초경 칩(25, 26)으로는, JIS 사용 분류 기호에서 말하는 E3(재질명 MG30), E4(재질명 MG40), E5(재질명 MG50), E6(재질명 MG60) 등이나 CIS 규격의 G4(CIS 재종 기호 VC-40), G5(CIS 재종 기호 VC-50)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오거 비트에 따르면, 굴착면에 대해서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 또는 굴착 방향과 말뚝 중심 방향, 혹은 그 모든 방향의 동시 굴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다방향 오거 비트의 케이싱에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그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는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b)는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c)는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 오거 비트를 케이싱의 외판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굴착 방향으로 장착한 제 1 초경 칩이 굴착 방향을 굴착하면서, 공벽 방향측에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공벽측으로부터의 토압과 마찰을 완화하는 동시에 말뚝 지름의 사이즈 업을 실시한다. 한편, 말뚝 지름의 사이즈 업은, 공벽 방향으로 장착하는 제 2 초경 칩의 사이즈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공벽 방향측에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굴착 방향으로 장착한 제 1 초경 칩이 굴착한 굴착토를, 굴착면에서부터 윗쪽으로 긁어 올리는 보조를 함으로써, 케이싱의 선단에 가해지는 토압과 마찰을 완화시켜 굴착 효율을 높인다.
또한, 공벽 방향측에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공벽을 굴착할 때, 회전 방향측에 비틀어넣기 효과를 부여하여 굴착력이 증가한다.
또한, 장해 철거 굴착에서는, 굴착 방향으로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굴착한 더 바깥쪽을, 공벽 방향으로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굴착함으로써, 보다 폭이 넓은 굴착폭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다방향 오거 비트의 설치만으로 사이즈 업된 장해 철거 굴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공벽 방향으로 장착하는 제 2 초경 칩의 수량에 변화를 줌으로써 굴착 경로(패스)가 균일하게 되므로, 말뚝 지름의 사이즈 업 효과, 혹은 장해 철거 지름의 사이즈 업 효과가 올라간다. 예를 들면, 상기 도면의 예에서는, 공벽 방향으로 장착하는 제 2 초경 칩이 1개인 다방향 오거 비트(1)와 2개인 다방향 오거 비트(11)를 교대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공벽 방향측에 제 2 초경 칩을 장착함으로써, 케이싱의 외측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기 때문에 케이싱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케이싱 내판에 오거 비트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굴착 방향으로 장착한 제 1 초경 칩이 굴착 방향을 굴착하면서, 말뚝 중심 방향측에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말뚝 중심측으로부터의 토압과 마찰을 완화한다.
그리고, 말뚝 중심 방향측에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굴착 방향측에 장착한 제 1 초경 칩이 굴착한 굴착토를 굴착면에서부터 윗쪽으로 긁어 올리는 보조를 함으로써, 케이싱의 선단에 가해지는 토압과 마찰을 완화해 굴착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케이싱 안쪽의 굴착토를 끄집어내는 효율이 올라간다.
또한, 말뚝 중심 방향측에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케이싱의 안쪽을 굴착할 때, 회전 방향측에 비틀어넣기 효과를 부여하여 굴착력이 증가한다.
또한, 장해 철거 굴착에서는, 굴착 방향으로 장착한 제 1 초경 칩이 굴착한 더 안쪽을, 말뚝 중심 방향으로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굴착함으로써, 보다 폭이 넓은 굴착폭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오거 비트의 설치만으로 케이싱 안쪽의 장애물의 사이즈 다운이 가능해져, 케이싱 안쪽의 장애물을 끄집어내는 효율이 올라간다. 한편, 장애물의 사이즈 다운은, 말뚝 중심 방향으로 장착하는 제 2 초경 칩의 사이즈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말뚝 중심 방향으로 장착하는 제 2 초경 칩의 수량에 변화를 줌으로써, 굴착 경로(패스)가 균일해지므로, 굴착토 및 장애물을 끄집어내는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도면의 예에서는, 말뚝 중심 방향으로 장착하는 칩이 1개인 다방향 오거 비트(1)와 2개인 다방향 오거 비트(11)를 교대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말뚝 중심 방향측에 제 2 초경 칩을 장착함으로써, 케이싱 안쪽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기 때문에 케이싱 자체의 내구성이 올라간다.
이하,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다방향 오거 비트의 스크류 형상의 오거 헤드(굴착 날개라고도 한다)의 외측에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그 효과를 설명한다. 한편, 도 5(a)는 다방향 오거 비트의 오거 헤드에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다방향 오거 비트의 오거 헤드에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 오거 비트를 굴착 날개의 외측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굴착 방향으로 장착한 제 1 초경 칩이 굴착 방향을 굴착하면서, 공벽 방향측에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공벽측으로부터의 토압과 마찰을 완화하는 동시에, 말뚝 지름의 사이즈 업을 실시한다. 또한, 말뚝 지름의 사이즈 업은, 공벽 방향으로 장착하는 제 2 칩의 사이즈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공벽 방향측에 장착한 제 2 초경 칩이 공벽을 굴착할 때, 회전 방향측에 추가로 비틀어넣기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에 굴착 방향에 대한 침투력이 늘어나, 굴착 효율이 높아진다.
게다가, 굴착 방향과 공벽 방향의 양쪽 모두에 장착한 제 1 및 제 2 칩이 동시에 굴착을 실시함으로써, 굴착 날개의 스파이럴에 긁혀 올려지는 굴착 토량이 늘어나 굴착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공벽 방향측에 제 2 초경 칩을 장착함으로써, 굴착 날개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기 때문에, 굴착 날개 자체의 내구성이 올라간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개량·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오거용의 다방향 오거 비트는, 예를 들면, 기성 말뚝 공법이나 강관 중공굴착 공법 등을 이용한 공사에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공사시에 초경 칩의 결손, 활락, 및 마모가 종래에 비해 적어진다.
1: 다방향 오거 비트 2: 베이스부
2a: 평면부 2b, 2c, 2d: 경사부
2e, 2f: 측면부 2g: 경사부
3: 레그부 3a: 구멍부
4: 레그부 4a: 구멍부
5: 초경 칩 6: 초경 칩
7: 경질 살올림 11: 다방향 오거 비트
12: 베이스부 12a: 평면부
12b, 12c, 12d: 경사부 12e, 12f: 측면부
12g: 경사부 13: 레그부
13a: 구멍부 14: 레그부
14a: 구멍부 15: 초경 칩
17: 초경 칩 18: 경질 살올림
21: 다방향 오거 비트 22: 베이스부
22a: 평면부 22b, 22c, 22d: 경사부
22e, 22f: 측면부 22g: 경사부
23: 레그부 25: 초경 칩
26: 초경 칩 27: 경질 살올림

Claims (3)

  1. 오거 헤드에 장착되는 다방향 오거 비트로서,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으로 선단이 돌출된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에, 굴착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초경 칩과, 공벽 또는 말뚝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초경 칩을 배설한 다방향 오거 비트.
  2. 오거 헤드에 장착되는 다방향 오거 비트로서,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으로 선단이 돌출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연속되는 레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레그부와 연속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 상기 선단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 1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연속되는 좌우의 측면부와,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 상기 레그부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 2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경사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제 2 경사부에는 제 1 초경 칩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의 측면부의 한쪽에서부터 상기 제 1 경사부에 걸쳐 제 2 초경 칩이 상기 좌우의 측면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설되어 있는 다방향 오거 비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초경 칩으로서, 복수의 초경 칩이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오거 헤드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는 다방향 오거 비트.
KR1020227044167A 2020-10-13 2021-10-04 다방향 오거 비트 KR20230011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2348A JP6868924B1 (ja) 2020-10-13 2020-10-13 多方向オーガービット
JPJP-P-2020-172348 2020-10-13
PCT/JP2021/036552 WO2022080161A1 (ja) 2020-10-13 2021-10-04 多方向オーガービ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400A true KR20230011400A (ko) 2023-01-20

Family

ID=7580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167A KR20230011400A (ko) 2020-10-13 2021-10-04 다방향 오거 비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91613A1 (ko)
EP (1) EP4230836A1 (ko)
JP (2) JP6868924B1 (ko)
KR (1) KR20230011400A (ko)
CN (1) CN115698461A (ko)
WO (1) WO2022080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1661B1 (ja) * 2022-09-12 2022-12-01 金属工具株式会社 ツインビ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680A (ja) 2001-05-21 2002-11-27 Toshiba Tungaloy Co Ltd 着脱式アースオーガビット及びアースオー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831Y2 (ko) * 1980-11-29 1986-09-02
JPH0169893U (ko) * 1987-10-22 1989-05-09
JP3135097B2 (ja) * 1993-07-06 2001-02-13 日本タングステン株式会社 超硬チップを備えた衝撃部材
JP3085847U (ja) * 2001-11-06 2002-05-24 有限会社エヌテイマテックス 掘削用ビット
JP3924679B2 (ja) * 2002-08-30 2007-06-06 日本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掘削用ビット
US10077607B2 (en) * 2015-02-10 2018-09-18 Belltec Industries, Inc. Drill head borer
JP6601897B1 (ja) * 2019-04-08 2019-11-06 金属工具株式会社 ケーシング保護ビ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680A (ja) 2001-05-21 2002-11-27 Toshiba Tungaloy Co Ltd 着脱式アースオーガビット及びアースオー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0836A1 (en) 2023-08-23
JP2022064272A (ja) 2022-04-25
JP2022063934A (ja) 2022-04-25
JP6868924B1 (ja) 2021-05-12
CN115698461A (zh) 2023-02-03
US20230091613A1 (en) 2023-03-23
WO2022080161A1 (ja)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0509B2 (ja) 建設機械用掘削刃
RU2480586C2 (ru) Отбойный или землеройный инструмент, содержащий вставку и кольцо из цементированного карбида вольфрама, машина для удаления материал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такой инструмен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6789635B2 (en) Drill bit for directional drilling in cobble formations
CN112400049B (zh) 刀头
CN113767199B (zh) 钢管保护钻头
KR20230011400A (ko) 다방향 오거 비트
US4611417A (en) Non-rotatable tooth for a cylindrical socket bore
CA2919481C (en) Cutter support element
JP3428430B2 (ja) ケーシングカッタおよびケーシングカッタ用ビット
JP4463154B2 (ja) 鋼管の外周ビット
JP2021179082A (ja) 切削用チップ及びビット
JP2006188873A (ja) 掘削装置
KR102632811B1 (ko) 오거 비트
JPS635553B2 (ko)
WO2024057916A1 (ja) ツインビット
JP3924679B2 (ja) 掘削用ビット
JPH09287375A (ja) 掘削用ビット及び掘削装置
JP2000328869A (ja) 掘削工具
JP3485968B2 (ja) 掘削用ビット
JP2001073663A (ja) オールケーシング工法用ファーストチューブ
JPH1181369A (ja) 地中連続壁用掘削装置および地中連続壁用掘削装置カッタービット
JP4270328B1 (ja) シールド掘進機
JP4034198B2 (ja) 掘削工具およびボーリング削孔装置
JP2002081287A (ja) 複合ビット
JPH10252372A (ja) 掘削用ビ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掘削用ケーシン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