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632A -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632A
KR20230010632A KR1020227038624A KR20227038624A KR20230010632A KR 20230010632 A KR20230010632 A KR 20230010632A KR 1020227038624 A KR1020227038624 A KR 1020227038624A KR 20227038624 A KR20227038624 A KR 20227038624A KR 20230010632 A KR20230010632 A KR 2023001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winding
link
deviation
guid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그 첸니
Original Assignee
컨덕틱스 웜프러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덕틱스 웜프러 프랑스 filed Critical 컨덕틱스 웜프러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3001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48Arrangements for aligned winding
    • B65H54/2854Detection or control of aligned winding or reversal
    • B65H54/2857Reversal control
    • B65H54/2866Reversal control by detection of position, or distance made of the traver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48Arrangements for aligned winding
    • B65H54/2854Detection or control of aligned winding or re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48Arrangements for aligned winding
    • B65H54/2854Detection or control of aligned winding or reversal
    • B65H54/2869Control of the rotating speed of the reel or the traversing speed for aligned winding
    • B65H54/2878Control of the rotating speed of the reel or the traversing speed for aligned winding by detection of incorrect conditions on the wound surface, e.g. material climbing on the next layer, a gap between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65H2553/81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on a movable element

Landscapes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Filamentary Materials, Package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스풀(1) 상에 링크(L)를 감을 때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링크(L)는 두 반전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종축(X)을 따라 가이드 풀리(2)에 의해 스풀(1)에 대해 교대로 병진적으로 상대적으로 안내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이,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종축(X)을 따라서 스풀(1)에 대한 가이드 풀리(2)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이드 풀리 상에서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의 위치(P2)를 측정하는 단계로, 상기 측정은 각 반전 위치(Pi1, Pi2)를 아우르는 측정 창(F) 내에서 실시되는, 조절 장치의 위치(P2) 측정 단계,
- 상기 측정으로부터, 조절 장치의 위치(P3)와 각 반전 위치(Pi1, Pi2)에서 기준 위치(P3r) 사이의 편차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편차로부터, 권선 내의 중공 또는 범프의 형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체를 운반하거나 에너지 및/또는 신호(예컨대, 전류, 광학 신호, 기계적 장력, 유체 등)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가 스풀에 감겨서 운송, 저장 및/또는 사용되는 여러 응용분야가 있다.
일반적으로 링크는 스풀에 균일하게 감겨야 한다. 즉, 링크는 연결 코일의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층 형태로 또는 코일들 사이의 간극이 최소로 되는 형태로 스풀에 감겨 있어야 한다. 이러한 균일한 감기는 링크의 기계적 무결성(integrity)을 보장하고, 또한 링크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장력으로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링크를 감기 위한 권취 시스템에는, 스풀을 향하게 배치되어, 스풀의 코어 상에 이미 적층된 코일들에 대해 새로운 코일 각각의 위치를 조절하게 구성된 가이드 풀리를 포함하는, 횡방향 권취 시스템(transverse winding system)이 장착된다. 링크가 감길 때, 스풀은 코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고, 또는 가이드 풀리는 스풀의 두 플랜지들 각각 근방에 위치하는 두 반전 위치(reversal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스풀에 대해 병진 구동된다(또는 그 반대로).
그러나 가이드 풀리의 반전 위치 조정이 잘못됨으로 인해, 스풀의 플랜지 근처에 지나치게 긴 길이의 링크가 누적되어 모든 턴의 외부 표면에 범프(bump)가 발생하거나, 또는 반대로 링크가 플랜지에 감기지 않아 모든 코일의 외부 표면에 중공(hollow)이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실제로, 두 플랜지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스풀의 폭이 항상 정확하게 알려진 있지는 않다. 예를 들어, 스풀이 성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경우, 두 개의 유사한 스풀 간에 상당한 치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링크가 스풀에 감길 때, 링크의 압력으로 인해 측면이 떨어져 나갈 수 있으며 이는 스풀의 충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함은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반전 위치의 치수를 변경하여 수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감지는 정확하지 않으며, 심각한 권취 결함이 관찰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어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문헌 JPH09276932는, 고정 풀리를 향하는 2개의 횡방향 권취 방향으로 스풀을 교대로 병진 구동하기 위해, 로터리 인코더가 있는 모터, 모터에 체결된 볼 스크루 및 스풀을 포함하는, 스풀에 광섬유를 감기 위한 횡방향 권취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모터는 스풀 플랜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지지대에 배열된 근접 센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전 방향을 변경한다. 이 장치는 광섬유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풀리에서 광섬유의 속도 신호와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횡방향 권취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한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횡방향 권취 방향 변경 시에 와이어의 위치를 나타내는 곡선이 그려진다. 범프의 존재는 스풀의 플랜지에서의 잉여(extra) 스풀링 두께를 나타낸다. 이러한 잉여 두께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 장치는 횡방향 권취 방향의 반전 위치를 조정한다. 그 결과 다음 반전 위치에서 범프가 감소한다.
문헌 JPH08217333은 스풀의 플랜지들 중 하나에 대한 가이드 풀리 축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횡방향 권취 시스템을 설명한다. 횡방향 권취 방향의 변경 모멘트는 기하학적 고려 사항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와이어와 플랜지 사이의 거리가 와이어 직경의 절반보다 작으면 횡방향 권취 방향이 반전된다.
문헌 JPH08217330은 와이어 이동 속도와 스풀에 감기는 속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각 인코더에 의해 제어되는 횡방향 권취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는,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 검출 방법은 횡방향 권취 결함을 자동으로 교정하는 방법과도 호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스풀 상에 링크를 감을 때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링크는 두 반전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종축을 따라 가이드 풀리에 의해 스풀에 대해 교대로 병진적으로 상대적으로 안내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이,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종축을 따라서 스풀에 대한 가이드 풀리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이드 풀리 상에서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로, 상기 측정은 각 반전 위치를 아우르는 측정 창 내에서 실시되는, 조절 장치의 위치 측정 단계,
- 상기 측정으로부터, 조절 장치의 위치와 각 반전 위치에서 기준 위치 사이의 편차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편차로부터, 권선 내의 중공 또는 범프의 형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절 장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해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암의 단부에 배치된 풀리를 포함하는 레플리카이고, 측정되는 위치는 수직 축에 대한 레플리카의 암의 각도 위치이다.
본 설명에서, "수평"은 중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은 중력 방향을 의미한다.
특히 유리하게, 제어 장치의 위치 측정은 각각의 반전 위치를 포함하는 측정 창 내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절 장치의 최소 및 최대 위치는 각 측정 창에서 결정되고, 각각의 최소 또는 최대 위치와 조절 장치의 기준 위치 사이의 편차가 계산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상기 방법은 편차들의 절대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 사이의 편차의 절대 값이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 사이의 편차의 절대 값보다 크면, 권선 내에 중공이 형성되었음을 결정하고,
-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 사이의 편차의 절대 값이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 사이의 편차의 절대 값보다 작으면, 권선 내에 범프가 형성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렇게 계산된 편차로부터, 횡방향 권취 에러는 다음과 동일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 사이의 편차의 절대 값이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 사이의 편차의 절대 값보다 크면,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 사이의 편차,
-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 사이의 편차의 절대 값이 기준 위치에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른 오프셋을 더한 것과 최소 위치 사이의 편차의 절대 값보다 크면,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 사이의 편차,
- 다른 경우에는,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 사이의 편차.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스풀 상에 링크를 감을 때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상기 링크는 두 반전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종축을 따라 가이드 풀리에 의해 스풀에 대해 교대로 병진적으로 상대적으로 안내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종축을 따라서 스풀에 대한 가이드 풀리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
- 각 반전 위치를 아우르는 측정 창 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이드 풀리 상에서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a) 제1 및 제2 센서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각 반전 위치에서 기준 위치와 조절 장치의 위치 사이의 편차를 결정하고,
(b) 상기 편차로부터, 권선 내 중공 또는 범프의 형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절 장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해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암의 단부에 배치된 풀리를 포함하는 레플리카이고, 측정되는 위치는 수직 축에 대한 레플리카 암의 각도 위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축을 중심으로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 스풀 상에 링크를 감기 위한 권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권취 시스템은,
- 종축을 중심으로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 스풀러,
- 가이드 풀리로, 스풀 상에 풀리에 의해 안내되는 링크가 나선상으로 고르게 권취될 수 있도록, 두 반전 위치들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스풀에 대해 링크를 교대로 병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풀리,
-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링크의 경로 상에서 가이드 풀리의 상류에 배치되는 조절 장치,
- 전술한 바와 같은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풀러는 스풀을 오로지 회전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 풀리를 종축을 따라 병진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풀리는 고정되어 있고, 스풀러는 스풀을 가이드 풀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병진 가능하게 구동시키게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권취 시스템을 포함하는 링크 와인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구현되는, 스풀에 링크를 감기 위한 권취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 도 2는 링크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의 위치 측정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스풀에 링크(L)를 감기 위한 권취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링크를 제조한 후 또는 링크 테스트를 한 후에 상기 링크를 스풀에 저장하는 기능인 기계인 와인더(winder)의 일부이다.
링크는 전기 케이블, 광섬유 또는 광섬유 번들, 기계적 케이블, 유압 또는 공압 도관, 또는 유체를 전송하거나 에너지 및/또는 신호를 전송하기에 적절한 기타 수단일 수 있다.
스풀(1)은 균일하게 감긴 코일의 형태로 링크를 수용하는 원통형 코어(10)와, 코어에 링크를 유지하기 위한 2개의 플랜지(11, 12)를 포함한다.
스풀은 원통형 코어(10)의 회전 축인 종축 X를 따라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하는 스풀러(도시되지 않음)와 일체이다.
스풀은 압출 라인, 링크 시험기 또는 링크가 스풀에 감기기 전에 링크가 전진되는 기타 기계를 포함하는, 링크 생산 기계의 출구에 있을 수 있다. 와인더는 이 기계의 통합된 부분이거나 기계와 병치될 수 있다.
기계는 링크에 기계적 장력을 가하는 기능인 출구 캡스턴(4)을 제외하고 도 1에 나타내지 않았다.
캡스턴(4)과 스풀 사이에는 다수의 풀리가 배열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아이템 32로, 다른 하나는 아이템 21로 표시되어 있다. 다만, 필요한 모든 풀리들이 도 1에 모두 표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스풀에 링크를 감는 것은 다음 두 가지 동작을 결합하여 얻는, 결합 코일이있는 나선형 랩 형태로 수행된다.
- 축(X)을 중심으로 하는 스풀의 회전,
- 횡방향 권취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링크의 축 방향(즉, X축을 따라) 이동. 그 기능은 와이어의 진입 지점을 스풀의 회전에 비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풀에 링크를 균일하게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X)은, 링크 권취가 구현되는 설비의 바닥 평면과 일반적으로 평행한 수평 평면에 위치한다.
횡방향 권취 시스템은 링크의 진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와, 링크를 안내하는 가이드 풀리를 포함한다.
링크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복귀 하중에 대해 축(X)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암(31)과 선회 축 반대쪽의 암 단부에 배치된 풀리(30)를 포함하는 레플리카(3)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도 1에서, 암(31)은 수직 축(Z)과 동일선상에 있지만, 이 축에 대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암(31)의 각도 위치는 링크의 진행 속도의 차이를 조절하도록 조정된다.
가이드 풀리(2)는 링크 경로 상에서 레플리카(3)와 스풀(1) 사이에 위치한다.
풀리(2)의 기능은 링크가 스풀의 코어를 향하도록 하여 감기를 안내하는 것이다.
링크 경로에서 레플리카의 상류에 배열된 풀리(32)는, 레플리카(30)에 대한 바 피드를 증가시키고 레플리카의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풀리(21)는 가이드 쉬브(sheave)의 위치에 관계없이 레플리카와 횡방향 권취 시스템 사이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된 보상기 기능을 수행한다. 풀리(21)는 각각의 횡방향 권취 피치에서 횡방향 권취 피치의 절반만큼 축(X)을 따라 이동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스풀은 병진적으로 고정되고, 가이드 풀리는 이와는 다르게 스풀의 축(X)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가이드 풀리(2)는 벨트(20)와 통합되어 있다. 모터(도시되지 않음)는 축(X)을 따라 벨트를 교대로 병진 이동시킨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도시되지 않음)에서, 가이드 풀리는 병진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스풀이 축(X)을 따라 (회전 운동에 더하여) 병진 이동할 수 있다.
스풀에 대한 가이드 풀리(2)의 이동은 스풀에 대한 가이드 풀리의 이동의 극단 위치인 2개의 반전 위치(reversal position) 사이에서 양 방향으로 교대로 수행된다.
각 나선형 랩의 첫 번째 코일과 마지막 코일이 각 플랜지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하여 랩의 외부 표면에 중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플랜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반전 위치들이 결정된다.
실제로, 반전 위치는, 새로운 스풀을 적재할 때, 플랜지들 중 하나의 위치를 측정의 원점으로 간주되는 다른 플랜지에 대해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횡방향 권취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데, 이들 센서는 시판되는 횡방향 권취 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특별히 추가될 필요는 없다.
제1 센서는 시간에 따라 축(X)을 따라 스풀(1)에 대한 가이드 풀리(2)의 위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이 센서는 가이드 풀리와 통합된 벨트를 작동시키는 모터의 인코더일 수 있다.
제2 센서는 시간에 따른 축(Z)에 대한 레플리카(3)의 각도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시스템은 횡방향 권취 결함을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다양한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데이터로부터, 프로세서는 각 반전 위치에서 레플리카의 각도 위치와 기준 각도 위치 간의 편차를 결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편차로부터, 프로세서는 권취 내에 중공 또는 범프의 형성을 감지한다.
도 2는 레플리카의 각도 위치를 측정하는 원리를 보여준다.
가로 축은 시간 축이다.
세로 축은 가이드 풀리의 위치와 레플리카의 각도 위치(임의 단위)를 나타낸다.
삼각형 그래프 P2는 시간에 따른 가이드 풀리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다. 이 위치는 삼각형들의 팁에 해당하는 두 개의 연속적인 반전 위치 Pi1과 Pi2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경된다.
곡선 P3은 시간 경과에 따른 Z축에 대한 레플리카의 각도 위치 변화를 나타낸다.
곡선 P3r은 시간에 따른 Z축에 대한 레플리카의 기준 각도 위치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이 기준 각도 위치는 두 개의 반전 위치 Pi1, Pi2 사이에서 가이드 풀리가 전진 및 후진 이동하는 동안 두 개의 서로 다른 일정한 값을 취하는 것이 관찰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레플리카의 각도 위치는 때때로 각 반전 위치에서 측정되지 않고, 각 반전을 포함하는 측정 시간 창 F에서 측정된다.
기준 각도 위치 P3r은 동일한 반전 위치 Pi1 또는 Pi2에 대해 현재 측정 이전의 여러 측정(예: 50회 측정) 동안 창을 열 때 측정된 레플리카의 순간 각도 위치의 산술 평균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측정을 원활하게 하고, 실제 레플리카 이동과 관련된 유용한 신호를 변경하지 않고 작은 교란에 대한 고려를 피한다.
상기 측정 창의 개폐 사이에, 레플리카의 순간 각도 위치가 기록된다. 창 F에서 최소 p3min 및 최대 p3max 위치가 결정되고 저장된다.
이들 측정으로부터, 각 반전 위치에 대해 대응하는 창에서의 기준 위치 P3r과 레플리카의 최소 각도 위치 p3min 사이의 편차(deviation)와 동일한 편차 Δmin이 결정되고, 그 창에서 기준 위치 P3r과 레플리카의 최대 각도 위치 p3max 간의 편차와 동일한 편차 Δmax가 결정된다.
특히 유리하기로는, 편차 Δmin은 레플리카가 반전 시 내추럴(natural)(감소하는) 모션을 갖는다는 사실을 고려하기 위해 최소 위치 p3min에 적용된 오프셋을 통합한다. 이 오프셋은 링크의 감기 속도의 함수이다. 제어 유닛은 권취 속도의 함수로서 적용될 오프셋의 상이한 미리 결정된 값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창 내에서 두 편차 Δmin 및 Δmax의 절대값을 비교함으로써, 권취에 중공 또는 범프를 형성하는 경향을 감지할 수 있다.
실제로, 중공은 더 작은 링크 권취 반경이 특징이다. 따라서 스풀의 주어진 회전 속도에 대해, 감기는 링크 길이가 더 작아져서 편차 Δmax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슈(shoe)가 이동한다. 따라서 Δmin의 절대 값보다 Δmax의 절대값이 더 크다는 것은 권선에 중공이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반대로 범프는 더 큰 링크 권취 반경이 특징이다. 따라서, 스풀의 주어진 회전 속도에 대해, 감기는 링크 길이가 더 길어지고, 이는 편차 Δmin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슈의 움직임을 초래한다. 따라서 Δmin의 절대 값보다 Δmax의 절대값이 작다는 것은 권취에 범프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횡방향 권취 에러는 Δmax 및 Δmin의 가장 큰 절대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두 편차가 근접한 값을 가지는 경우, 정확하게 결정되지 않은 오프셋에 의해 편향되는 범프보다 중공의 검출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중공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제로 Δmax의 절대값이 Δmin의 절대값보다 크면, Δmax 값이 횡방향 권취 오차에 할당된다. Δmin의 절대값이 권취 속도의 함수인 오프셋을 더한 Δmax의 절대값보다 크면, Δmin의 값이 횡 방향 권취 오차에 할당된다. Δmax 및 Δmin의 절대값이 근접하면, Δmax 값이 횡방향 권취 오차에 할당된다.
레플리카 진동의 진폭은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증가하므로, 스풀의 속도에 비례하는 오차 조화 항을 적용하여, 스풀의 속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편차에 대해 오차의 크기가 같은 차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특히 가늘고 및/또는 깨지기 쉬운 링크를 감는 데 자주 사용되며, 수직에 대해 각도 위치가 측정되는 조절 레플리카(regulation replica)에 대해 작성되었지만, 해당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는 위치 센서가 장착된 다른 조절 장치를 사용하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리에 따라 각 반전 위치를 포함하는 측정 창에서 이 위치의 측정값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된 조절 장치에 관계없이, 본 발명은 이 조절 장치에 통합된 센서를 사용하여 추가 측정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의 구현은 횡방향 권취 시스템의 구조적 수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더 낮은 비용으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0)

  1. 종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스풀(1) 상에 링크(L)를 감을 때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링크(L)는 두 반전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종축(X)을 따라 가이드 풀리(2)에 의해 스풀(1)에 대해 교대로 병진적으로 상대적으로 안내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이,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종축(X)을 따라서 스풀(1)에 대한 가이드 풀리(2)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이드 풀리 상에서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의 위치(P2)를 측정하는 단계로, 상기 측정은 각 반전 위치(Pi1, Pi2)를 아우르는 측정 창(F) 내에서 실시되는, 조절 장치의 위치(P2) 측정 단계,
    - 상기 측정으로부터, 조절 장치의 위치(P3)와 각 반전 위치(Pi1, Pi2)에서 기준 위치(P3r) 사이의 편차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편차로부터, 권선 내의 중공 또는 범프의 형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에 있어서,
    각 측정 창(F)에서 조절 장치의 최소(p3min) 및 최대(p3max) 위치가 결정되고, 조절 장치의 기준 위치(P3r)와 각 최소(p3min) 또는 최대(p3max) 위치 사이의 편차(Δmin, Δmax)가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절 장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해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암(30)의 단부에 배치된 풀리(31)를 포함하는 레플리카(3)이고, 측정되는 위치는 수직 축(Z)에 대한 레플리카(3)의 암의 각도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편차(Δmin, Δmax)들의 절대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p3max) 사이의 편차(Δmax)의 절대 값이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p3min) 사이의 편차(Δmin)의 절대 값보다 크면, 권선 내에 중공이 형성되었음을 결정하고,
    -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p3max) 사이의 편차(Δmax)의 절대 값이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p3min) 사이의 편차(Δmin)의 절대 값보다 작으면, 권선 내에 범프가 형성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 권취 에러가,
    -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p3max) 사이의 편차(Δmax)의 절대 값이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p3min) 사이의 편차(Δmin)의 절대 값보다 크면,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p3max) 사이의 편차(Δmax)와,
    -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p3min) 사이의 편차(Δmin)의 절대 값이 기준 위치에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른 오프셋을 더한 것과 최소 위치(p3min) 사이의 편차(Δmax)의 절대 값보다 크면, 기준 위치와 최소 위치(p3min) 사이의 편차(Δmin)와,
    - 다른 경우에는, 기준 위치와 최대 위치(p3max) 사이의 편차(Δmax)와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5. 종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스풀(1) 상에 링크(L)를 감을 때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상기 링크(L)는 두 반전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종축(X)을 따라 가이드 풀리(2)에 의해 스풀(1)에 대해 교대로 병진적으로 상대적으로 안내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시스템이,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종축을 따라서 스풀에 대한 가이드 풀리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
    - 각 반전 위치(Pi1, Pi2)를 아우르는 측정 창(F) 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이드 풀리 상에서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a) 제2 센서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각 측정 창(F) 내에서 조절 장치의 최소 위치(p3min)와 최대 위치(p3max)를 결정하고,
    (b) 제1 및 제2 센서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각 반전 위치에서 기준 위치(P3r)와 조절 장치의 위치 사이의 편차(Δmin, Δmax)를 결정하고,
    (c) 상기 편차로부터, 권선 내 중공 또는 범프의 형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절 장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해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암(30)의 단부에 배치된 풀리(31)를 포함하는 레플리카(3)이고, 측정되는 위치는 수직 축(Z)에 대한 레플리카(3) 암의 각도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시스템.
  7. 종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스풀(1) 상에 링크(L)를 감기 위한 권취 시스템으로,
    - 종축(X)을 중심으로 스풀(1)을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 스풀러,
    - 가이드 풀리(2)로, 스풀 상에 풀리에 의해 안내되는 링크가 나선상으로 고르게 권취될 수 있도록, 두 반전 위치들 사이에서 종축(X)을 따라 스풀(1)에 대해 링크(L)를 교대로 병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풀리(2),
    - 링크의 전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링크의 경로 상에서 가이드 풀리(2)의 상류에 배치되는 조절 장치(3),
    -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횡방향 권취 결함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스풀러는 스풀(1)을 오로지 회전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 풀리(2)를 종축(X)을 따라 병진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가이드 풀리(2)는 고정되어 있고, 스풀러는 스풀(1)을 가이드 풀리(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병진 가능하게 구동시키게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권취 시스템을 포함하는 링크 와인더.
KR1020227038624A 2020-05-19 2021-05-17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0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005125 2020-05-19
FR2005125A FR3110563B1 (fr) 2020-05-19 2020-05-19 Procédé et système de détection d’un défaut de trancanage
PCT/FR2021/050848 WO2021234256A1 (fr) 2020-05-19 2021-05-17 Procédé et système de détection d'un défaut de trancan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632A true KR20230010632A (ko) 2023-01-19

Family

ID=7226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624A KR20230010632A (ko) 2020-05-19 2021-05-17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192438A1 (ko)
EP (1) EP4153518A1 (ko)
JP (1) JP2023526589A (ko)
KR (1) KR20230010632A (ko)
CN (1) CN115667109A (ko)
BR (1) BR112022023534A2 (ko)
FR (1) FR3110563B1 (ko)
WO (1) WO20212342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330A (ja) 1995-02-08 1996-08-27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線条体の巻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217333A (ja) 1995-02-09 1996-08-27 Fujikura Ltd 線条体の巻取制御方法
JP3779768B2 (ja) 1996-04-17 2006-05-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線材の巻取方法及び装置
WO2000039013A1 (en) * 1998-12-29 2000-07-06 Corning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urnaround position in spool winders
JP4087150B2 (ja) * 2002-05-21 2008-05-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線材の巻取り方法
JP4349982B2 (ja) * 2004-06-24 2009-10-21 株式会社フジクラ 線材巻取方法及びその装置
JP4339877B2 (ja) * 2006-06-21 2009-10-07 宮▲崎▼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線材巻取装置
JP5051019B2 (ja) * 2008-06-19 2012-10-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巻取り方法
DE102011015802A1 (de) * 2011-04-01 2012-10-04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wickeln einer Randscheibenhülse
WO2015151073A1 (en) * 2014-04-03 2015-10-08 Samp S.P.A. Con Unico Socio Method for implementing a correct winding of a wire on a sp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10563A1 (fr) 2021-11-26
BR112022023534A2 (pt) 2023-01-17
US20230192438A1 (en) 2023-06-22
WO2021234256A1 (fr) 2021-11-25
EP4153518A1 (fr) 2023-03-29
JP2023526589A (ja) 2023-06-22
CN115667109A (zh) 2023-01-31
FR3110563B1 (fr)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7701B2 (ja) トラバース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1348200B (zh) 纱线卷绕装置
US20120160819A1 (en) Wire feed speed measurement device
WO2016175083A1 (ja) 線材巻き取り装置
CA2920793C (en) Microduct-tube winder, double station winder, processing system for empty plastics microduct tubes and method for winding up such tubes
US20130037647A1 (en) 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inding Machine
BR112015013452B1 (pt) Sistema para alimentar um fio metálico em uma máquina e método de alimentar um fio metálico em uma máquina
KR20030015377A (ko) 가변 인장 섬유 권취
KR20230010632A (ko) 횡방향 권취 결함 검출 방법 및 시스템
JP6695330B2 (ja) スプール上にワイヤを正しく巻き取るための方法およびマシン
KR20180089948A (ko) 평행 권사 장치 및 방법
JPH05229733A (ja) 線材の拘束装置
WO2006041385A1 (en) Reel-up and also a method and measuring unit in such a reel-up
CN111132918B (zh) 纱线卷取机
JP2009242094A (ja) テンションセンサ及び自動ワインダ
CA3109332C (en) A winding apparatus
JP5804789B2 (ja) 綾巻きパッケージ交換装置を運転する方法ならびに綾巻きパッケージ交換装置
JP2806230B2 (ja) ワインダのトラバース制御装置
JPH1087168A (ja) 線材巻取り機の整列巻き制御装置
JP5167231B2 (ja) 柄経糸用部分整経機の回転式クリールと、柄経糸用部分整経機、およびボビン直径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
JP3652901B2 (ja) 糸条の張力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5822265A (ja) 線条体の整列巻取法
CN117537754A (zh) 一种自动跟随光纤检测系统及检测方法
JP2022082520A (ja) 綾巻きパッケージの重量を求める方法
CZ20001252A3 (cs) Zařízení k navíjení kuželových křížem soukaných cívek při konstantní rychlosti nit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