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735A -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735A
KR20230009735A KR1020210090492A KR20210090492A KR20230009735A KR 20230009735 A KR20230009735 A KR 20230009735A KR 1020210090492 A KR1020210090492 A KR 1020210090492A KR 20210090492 A KR20210090492 A KR 20210090492A KR 20230009735 A KR20230009735 A KR 20230009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elanin
sambaekcho
skin whitening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191B1 (ko
Inventor
정수경
윤석균
이예린
강승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191B1/ko
Priority to CN202280045631.8A priority patent/CN117561050A/zh
Priority to PCT/KR2022/009314 priority patent/WO2023282528A1/ko
Publication of KR2023000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생성 및 분비 억제 효능, 및 피부 색소 침착 억제 효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Saururus chinensis white leaf extract}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미, 주근깨 등 피부에 생기는 색소 침착은 표피 내 멜라닌의 증가에 기인하며, 피부색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도 멜라닌에 의한 것이다.
피부 색소 형성 기전은 크게 멜라닌 생합성(melanogenesis), 멜라노좀 수송(melanosome transport), 및 멜라노좀 전달(melanosome transfer)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멜라닌 생합성 기전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티로시나제(tyrosinase), TRP-1/2 (tyrosinase related protein-1/2)의 작용으로 멜라닌이 형성되는 과정을 말한다. 멜라노좀 수송 기전은 멜라노좀이 미세소기관과 액틴에 연결되어 수상돌기 끝부분으로 이동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멜라노좀 전달 기전은 멜라노사이트의 수상돌기 끝부분으로 이동된 멜라노좀이 주변에 퍼져있는 표피로 이동되는 과정을 말한다. 위 세가지 기전들을 통해, 자외선으로부터 활성화된 멜라노사이트에서 티로시나제의 합성이 촉진되고 멜라닌의 생성이 항진되어 이를 표피 밖으로 운반,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Jody P. Ebanks, Mechanisms Regulating Skin Pigmentation: The Rise and Fall of Complexion Coloration, Int J Mol Sci. Sep; 10(9): 4066-4087, 2009).
피부색은 멜라닌의 함량, 분포 등에 따라 색이 결정되며, 세포내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된 후 세포 외부로 방출되는 멜라노좀의 수와 분포에 연관되어 있다. 피부의 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은 피부의 염증 반응 이후의 체내 호르몬 이상, 유전 질환, 자외선 조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주된 요인은 멜라닌 색소 합성 이상 및 분포 이상에 의한 것이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과도한 멜라닌의 침착은 피부 등의 병리적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기미, 주근깨, 점, 검버섯과 같은 미용적인 측면의 문제로도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멜라닌 형성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미백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에 발표된 사실에 의하면, 멜라닌 생합성 과정 뿐만 아니라 멜라노좀 수송 및 전달 과정과 연관된 주요 인자들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는 것도 피부 색소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Jong il Park at al., Inhibitory effect of 2-methyl-naphtho[1,2,3-de]quinolin-8-one on melanosome transport and skin pigmentation, Scientific Reports volume 6, Article number: 29189, 2016).
따라서,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하고, 멜라노좀 전달 과정과 연관된 인자를 저해할 수 있는 새로운 미백 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유효량의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양상은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삼백초(Asian lizard's tail, Saururus chinensis)”는 잎, 뿌리 및 꽃이 흰색을 띠어 삼백초라고 불리게 되었다. 삼백초는 꽃이 피기 전에는 잎이 초록색이었다가 개화시기가 되면 곤충들을 유혹하기 위해 잎이 흰색으로 변하며, 개화 후에는 다시 초록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삼백초의 개화시기는 6월 내지 8월로 알려져 있다. 즉, 삼백초는 특정 시기에만 “흰 잎(white leaf)”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삼백초 흰 잎”은 삼백초의 개화시기에 수확된 삼백초의 흰 잎을 의미한다. 상기 삼백초 흰 잎은 삼백초 초록 잎과 색상, 수확시기 등에 차이가 있다.
용어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 조건,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며, 천연물의 성분을 추출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희석, 농축, 건조, 정제, 분획, 여과, 발효, 효소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이를 분획한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아임계 추출 등 공지된 천연물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및 C1 내지 C4의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10%(v/v) 내지 90%(v/v), 20%(v/v) 내지 80%(v/v), 30%(v/v) 내지 70%(v/v), 40%(v/v) 내지 60%(v/v) 또는 50%(v/v) 에탄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삼백초 흰 잎 열수추출물 또는 삼백초 흰 잎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삼백초 흰 잎 에탄올 추출물은 삼백초 흰 잎 열수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및 멜라닌 분비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삼백초 흰 잎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조건은 추출 시간, 추출 온도 등 천연물의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 시간은 30분 내지 120시간, 30분 내지 100시간, 30분 내지 80시간, 30분 내지 60시간, 30분 내지 40시간, 30분 내지 20시간, 30분 내지 10시간, 2시간 내지 120시간, 2시간 내지 100시간, 2시간 내지 80시간, 2시간 내지 60시간, 2시간 내지 40시간, 2시간 내지 20시간, 또는 2시간 내지 10시간일 수 있으나, 추출 용매, 추출 온도 등 다른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온도는 10 내지 150℃, 10 내지 120℃, 10 내지 100℃, 10 내지 80℃, 20 내지 150℃, 20 내지 120℃, 20 내지 100℃, 20 내지 80℃, 20 내지 60℃, 20 내지 40℃, 또는 상온일 수 있으나, 추출 용매, 추출 시간 등 다른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이 첨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약물전달 및 안정화를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부성분으로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formulation)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멜라닌 생성 억제용, 멜라닌 분비 억제용, 멜라닌 감소용,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억제용,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일 수 있다.
용어 “피부 미백”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멜라닌 생성 억제”란 세포 등에서 멜라닌이 새롭게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멜라닌 분비 억제”란 세포 등에서 멜라닌이 분비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멜라닌 감소”란 세포 등에 기존에 존재하는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이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한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피부 또는 손톱, 발톱의 특정 부위에서 멜라닌 색소의 과도한 증가로 인해 다른 부위에 비해 어둡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freckle); 기미(melasma); 간반(chloasma); 검버섯(liver spot); 모반(nevus); 일광흑자(solar lentigo); 흑피증(melanosis); 포이츠-예거 증후군(peutz-jegher's syndrome); 임신성 갈색반(chloasma gravidarum); 약물 사용 후 과다색소침착; 및 염증 후 과다색소침착(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한다. 용어 “개선”은 상태의 완화 또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에 비해 높은 피부 미백 효능, 멜라닌 생성 억제능, 멜라닌 분비 억제능, 멜라닌 감소능,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억제능을 갖는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퀘르시트린(quercitrin) 및 아프젤린(afzeli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에 비해 퀘르시트린 및 아프젤린 함량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또는 분비를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및 멜라닌 분비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삼백초 흰 잎 추출물에 함유된 퀘르시트린은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및 멜라닌 분비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삼백초 잎 에탄올 추출물은 삼백초 잎 열수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및 멜라닌 분비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멜라노좀 전달에 관여하는 PAR-2(protease-activated receptor-2)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에 함유된 아프젤린은 멜라노좀 전달에 관여하는 PAR-2의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므로, 피부 색소 침착 저해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001 ㎍/ml 내지 0.1 ㎍/ml, 0.0001 ㎍/ml 내지 0.05 ㎍/ml, 또는 0.0001 ㎍/ml 내지 0.001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의 농도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적절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에 함유된 퀘르시트린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001 ㎍/ml 내지 100 ㎍/ml, 0.0001 ㎍/ml 내지 10 ㎍/ml, 0.0001 ㎍/ml 내지 1 ㎍/ml, 0.001 ㎍/ml 내지 100 ㎍/ml, 0.001 ㎍/ml 내지 10 ㎍/ml, 0.001 ㎍/ml 내지 1 ㎍/ml, 0.01 ㎍/ml 내지 100 ㎍/ml, 0.01 ㎍/ml 내지 10 ㎍/ml, 또는 0.01 ㎍/ml 내지 1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퀘르시트린의 농도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적절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001 중량% 내지 20.0 중량%, 0.0001 중량% 내지 10.0 중량%, 0.0001 중량% 내지 5.0 중량%,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01 중량% 내지 20.0 중량%, 0.001 중량% 내지 10.0 중량%, 0.001 중량% 내지 5.0 중량%,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20.0 중량%,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0.01 중량% 내지 5.0 중량%, 또는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의 함량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적절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멜라닌 생성 억제용, 멜라닌 분비 억제용, 멜라닌 감소용,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억제용 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기능성 첨가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점증제, 방부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앰플, 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젤,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멜라닌 생성 억제용, 멜라닌 분비 억제용, 멜라닌 감소용,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억제용,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멜라닌 생성 억제용, 멜라닌 분비 억제용, 멜라닌 감소용,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억제용,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과립제, 산제, 액제, 정제, 캅셀제, 건조시럽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피부 미백용, 멜라닌 생성 억제용, 멜라닌 분비 억제용, 멜라닌 감소용,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억제용,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삼백초 흰 잎을 추출 용매와 인큐베이션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 용매 및 추출물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인큐베이션은 통상적인 추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조건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법은 상기 수득된 추출물을 여과 및/또는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및 건조는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유효량"이란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유효한 양을 의미한다.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transdermal), 점막, 코안(intranasal), 기관내(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피부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미백, 멜라닌 생성 및 분비 억제,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억제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생성 및 분비 억제 효능, 및 피부 색소 침착 억제 효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삼백초 흰 잎 추출물과 비교예 1의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의 LC-QTOF-MS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삼백초 흰 잎에 함유된 퀘르시트린의 MS 조각화 패턴이다.
도 3은 삼백초 흰 잎에 함유된 아프젤린의 MS 조각화 패턴이다.
도 4는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세포 독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삼백초 흰 잎 추출물에 함유된 퀘르시트린의 세포 독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삼백초 흰 잎 추출물에 함유된 아프젤린의 세포 독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멜라닌 생합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삼백초 흰 잎 추출물에 함유된 퀘르시트린의 멜라닌 생합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멜라닌 분비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삼백초 흰 잎 추출물에 함유된 퀘르시트린의 멜라닌 분비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삼백초 흰 잎 추출물에 함유된 아프젤린의 PAR-2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의 제조
삼백초에서 흰 잎만을 분리하여 50% 에탄올로 구성 성분이 깨지지 않도록 3일간 상온 침지 추출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비교예 1.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의 제조
삼백초에서 초록 잎만을 분리하여 50% 에탄올로 구성 성분이 깨지지 않도록 3일간 상온 침지 추출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삼백초 흰 잎 열수추출물의 제조
삼백초에서 흰 잎만을 분리하여 삼백초 흰 잎 원물 중량에 10배 중량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90℃의 온도로 4시간 30분 동안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한 다음, 여과액을 회전식 증발 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이 진행된 여액에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삼백초 흰 잎 열수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삼백초 초록 잎 열수추출물의 제조
삼백초에서 초록 잎만을 분리하여 삼백초 초록 잎 원물 중량에 10배 중량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90℃의 온도로 4시간 30분 동안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한 다음, 여과액을 회전식 증발 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이 진행된 여액에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삼백초 초록 잎 열수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흰 잎과 초록 잎 추출물의 2차 대사산물 확인 및 그의 함량 비교
실시예 1의 삼백초 흰 잎 추출물과 비교예 1의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의 2차 대사산물을 확인하고, 그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먼저, 삼백초 흰 잎 추출물과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을 각각 50% 메탄올에 녹여 1 mg/mL 농도가 되도록 하였다. 이후 0.45 ㎛ PVDF (Polyamide Fluoride) 필터로 여과한 후, LC-QTOF-MS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로 분석하였다. LC-QTOF-MS 분석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백초 초록 잎보다 흰 잎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이는 4개의 피크(peak)를 확인하였다. 4개의 피크에 대해 MS 조각화 패턴(fragmentation pattern)을 해석한 결과, 모두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flavonoid glycoside)로 예상할 수 있었다.
상기 4종의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 중 주요하게 차이를 보이는 2개의 피크에 대한 MS 조각화 패턴을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2개의 피크에 대한 MS 조각 데레플리케이션(dereplication)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RT
(분)
선구 이온 (Precursor ion) m/z 생성 이온 (Product ion) m/z 분자식 동정
9.76 471.0886
Figure pat00001

449.0886
Figure pat00002
303.0499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퀘르시트린 (quercitrin)
12.84 455.0952
Figure pat00005

433.1118
Figure pat00006
287.0553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아프젤린 (afzelin)
도 2, 도 3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백초 초록 잎보다 흰 잎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이는 2개의 주요 피크는 퀘르시트린 및 아프젤린인 것으로 예상되었다. 퀘르시트린과 아프젤린의 표준품과 함께 측정하여 해당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초록 잎보다 흰 잎에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B16 멜라노마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삼백초 흰 잎 및 초록 잎 추출물과 지표 성분 퀘르시트린의 B16 멜라노마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6웰 플레이트에 멜라노마세포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α-MSH와 10% 소혈청이 함유된 새로운 DMEM 배지로 교체하고, 각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에 2.5 mg/ml의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10배 희석시킨 배지로 교체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dimethyl sulfoxide) 2 ml을 첨가하여 생성된 MTT-formazan 결정체를 용해시켜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α-MSH를 처리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세포 독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흡광도의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 및 표 3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실험농도
(μg/ml)
세포생존율(%) 표준편차 (Stdev.) P-값
무처리군 100.48 2.07 0.856
α-MSH 처리군 100.00 3.73 1.000
α-MSH + 알부틴 100 94.31 2.97 0.108
α-MSH + 삼백초 흰 잎 추출물 (실시예 1) 0.025 94.29 0.34 0.058
0.05 95.75 0.82 0.127
0.1 93.51 1.98 0.056
0.25 0.70 0.05 0.000
α-MSH +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
(비교예 1)
0.025 93.97 1.30 0.057
0.05 92.24 0.86 0.025
0.1 86.02 0.30 0.003
0.25 0.72 0.03 0.000
α-MSH + 삼백초 흰 잎 열수추출물 (실시예 2) 0.025 93.11 1.10 0.056
0.05 94.31 0.56 0.021
0.1 92.00 0.20 0.012
0.25 0.1 0.01 0.012
α-MSH + 삼백초 초록 잎 열수추출물 (비교예 2) 0.025 92.88 1.10 0.055
0.05 91.56 0.76 0.025
0.1 85.01 0.40 0.011
0.25 0.12 0.01 0.010
시험군 실험농도
(μg/ml)
세포생존율(%) 표준편차 (Stdev.) P-값
무처리군 107.65 4.02 0.036
α-MSH 처리군 100.00 1.37 1.000
α-MSH + 알부틴 100 91.81 0.80 0.001
α-MSH + 퀘르시트린 1 104.10 2.82 0.086
10 102.96 2.01 0.103
25 108.81 4.42 0.030
50 110.19 1.26 0.001
100 104.85 4.67 0.160
250 85.99 0.67 0.000
표 2, 표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노마 세포에서 실시예 1의 삼백초 흰 잎 추출물, 비교예 1의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 실시예 2의 삼백초 흰 잎 열수추출물, 및 비교예 2의 삼백초 초록 잎 열수추출물은 모두 0.1 ㎍/ml 농도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지표성분인 퀘르시트린은 100 ㎍/ml 농도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3. 각질형성세포(HaCaT)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지표 성분 아프젤린의 각질형성세포(HaCaT)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4웰 플레이트에 각질형성세포 (HaCaT)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무혈청(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에 2.5 mg/ml의 MTT 용액을 10배 희석시킨 배지로 교체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1 ml을 첨가하여 생성된 MTT-formazan 결정체를 용해시켜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무처리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세포 독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흡광도의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실험농도
(μg/ml)
세포생존율(%) 표준편차 (Stdev.) P-값
무처리군 107.65 4.02 0.036
아프젤린 1 104.10 2.82 0.086
10 102.96 2.01 0.103
25 108.81 4.42 0.030
50 110.19 1.26 0.001
100 104.85 4.67 0.160
250 85.99 0.67 0.000
표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표성분인 아프젤린은 각질형성세포에 대해 100 ㎍/ml 농도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4. 멜라노마세포에서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미백 효능 측정
삼백초 흰 잎 및 초록 잎 추출물과 지표성분 퀘르시트린의 멜라노마세포에서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미백 효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6웰 플레이트에 멜라노마세포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α-MSH와 10% 소혈청이 함유된 새로운 DMEM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배지로 분비된 멜라닌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배지를 96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단위 세포당 멜라닌 분비량을 구하였다. 그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한 세포를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2 ml로 세척하고, 1N NaOH 0.25 ml을 처리하여 세포를 1.5 ml 튜브로 수거하여 세포 내 멜라닌을 얻었다. 수거한 세포 용해물(lysate)을 60℃에서 30분 인큐베이션 한 후, 볼텍싱(Vortexing) 한 다음, 96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성량을 구하였다. α-MSH 처리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알부틴(arbutin, 제조사: HyundaiBioland)을 사용하였다.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합성 결과는 표 5 및 표 6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으며, 단위 세포당 멜라닌 분비율 결과는 표 7 및 표 8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실험농도
(μg/ml)
단위 세포당 멜라닌생성율(%) 표준편차 (Stdev.) P-값
무처리군 58.42 2.71 0.000
α-MSH 처리군 100.00 0.53 1.000
α-MSH + 알부틴 100 64.82 2.33 0.000
α-MSH + 삼백초 흰 잎 추출물 (실시예 1) 0.025 88.24 1.53 0.000
0.05 73.03 1.26 0.000
0.1 67.55 3.60 0.000
α-MSH +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 (비교예 1) 0.025 96.79 1.83 0.043
0.05 76.39 0.71 0.000
0.1 76.19 2.59 0.000
α-MSH + 삼백초 흰 잎 열수추출물 (실시예 2) 0.025 98.12 2.12 0.000
0.05 85.12 1.11 0.000
0.1 79.99 3.12 0.000
α-MSH + 삼백초 초록 잎 열수추출물 (비교예 2) 0.025 99.19 1.43 0.043
0.05 88.39 1.51 0.000
0.1 81.19 0.01 0.000
시험군 실험농도
(μg/ml)
단위 세포당 멜라닌생성율(%) 표준편차 (Stdev.) P-값
무처리군 45.04 2.47 0.000
α-MSH 처리군 100.00 0.66 1.000
α-MSH + 알부틴 100 64.07 1.46 0.000
α-MSH + 퀘르시트린 1 89.58 1.15 0.000
10 92.92 1.72 0.003
25 82.06 2.37 0.000
50 80.00 3.35 0.001
100 84.48 2.02 0.000
시험군 실험농도
(μg/ml)
단위 세포당 멜라닌분비율(%) 표준편차 (Stdev.) P-값
무처리군 58.03 2.53 0.000
α-MSH 처리군 100.00 2.23 1.000
α-MSH + 알부틴 100 73.56 0.76 0.000
α-MSH + 삼백초 흰 잎 추출물 (실시예 1) 0.025 91.97 7.18 0.138
0.05 79.30 1.69 0.000
0.1 69.36 1.09 0.000
α-MSH +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 (비교예 1) 0.025 100.29 2.40 0.885
0.05 79.65 3.07 0.001
0.1 76.52 0.88 0.000
시험군 실험농도
(μg/ml)
단위 세포당 멜라닌분비율(%) 표준편차 (Stdev.) P-값
무처리군 47.74 1.84 0.000
α-MSH 처리군 100.00 0.75 1.000
α-MSH + 알부틴 100 69.16 1.88 0.000
α-MSH + 퀘르시트린 1 93.96 4.50 0.083
10 96.63 2.46 0.086
25 86.41 2.26 0.001
50 74.12 1.13 0.000
100 82.36 1.49 0.000
표 5 내지 8 및 도 7 내지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백초 흰 잎 에탄올 추출물 및 초록 잎 에탄올 추출물은 α-MSH 로 인해 증가된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성율과 분비율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특히, 삼백초 흰 잎 에탄올 추출물이 초록 잎 에탄올 추출물보다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성 및 분비 저해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표성분인 퀘르시트린도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성율과 분비율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합성 및 분비 저해에 의한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삼백초 흰 잎과 초록 잎 모두에서 열수추출물 대비 에탄올 추출물이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성율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표피로 전달되는 멜라노좀을 억제하여 피부 색소 침착을 저해하는 미백 효능 측정
지표 성분 아프젤린의 멜라노좀 억제에 의한 피부 색소 침착 저해 효능을 측정하였다.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표피로 멜라노좀이 전달되는 과정인 멜라노좀 전달(melanosome transfer)에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있는데, 이 중 핵심매개인자인 PAR-2 (protease-activated receptor-2)에 의한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PAR-2의 발현을 저해시킴으로써 표피로 전달되는 멜라노좀을 억제하여 피부 색소 침착을 저해하는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다(Eun-Jung CHOI at al, Macelignan Inhibits Melanosome Transfer Mediated by Protease-Activated Receptor-2 in Keratinocytes, Biol. Pharm. Bull. 34(5) 748―754, 2011).
60 mm 배양 디쉬 (corning)에 각질형성세포(HaCaT)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HBSS (Hank's Buffered Salt Solution)로 세척을 2번 한 다음, HBSS를 넣고 UVB 30 mJ/㎠ 를 조사하였다. 그 후, 무혈청(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각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8시간 동안 배양 후, 세포를 QIAzol™ Lysis Reagent (Qiagen)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PCR에 사용된 PAR-2, β-Actin 프라이머는 코스모진텍사(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프라이머 서열은 표 9에 나타내었다. UVB 조사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제조사: Sigma)을 사용하였다. PAR-2 발현 결과는 표 10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서열 서열번호
PAR-2 정방향 5'- TGC TAG CAG CCT CTC TCT CC -3' 1
역방향 5'- CCA GTG AGG ACA GAT GCA GA -3' 2
β-Actin 정방향 5'-GGC ACC CAG CAC AAT GAA G -3' 3
역방향 5'-CCG ATC CAC ACG GAG TAC TTG -3' 4
시험군 실험농도
(μg/ml)
PAR-2 mRNA 발현율 (%) 표준편차 (Stdev.) P-값
비조사군 56.11 2.43 0.000
UVB 30 mJ/㎠ 100.00 0.00 1.000
UVB + 나이아신아마이드 100 67.90 3.29 0.000
UVB + 아프젤린 50 109.05 4.80 0.037
100 81.24 6.64 0.013
250 77.99 4.48 0.001
표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표성분인 아프젤린을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하면 UVB로 인해 증가된 PAR-2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표성분 아프젤린은 표피로 전달되는 멜라노좀을 억제하여 피부 색소 침착을 저해하는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EQUENCE LISTING <110> Cosmax, INC. <120>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Saururus chinensis white leaf extract <130> PN139191KR <160> 4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AR-2 forward primer <400> 1 tgctagcagc ctctctctc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AR-2 reverse primer <400> 2 ccagtgagga cagatgcaga 20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β-Actin forward primer <400> 3 ggcacccagc acaatgaag 19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β-Actin reverse primer <400> 4 ccgatccaca cggagtactt g 21

Claims (10)

  1.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10%(v/v) 내지 90%(v/v) 에탄올인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은 삼백초 초록 잎 추출물에 비해 높은 피부 미백 효능을 갖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퀘르시트린(quercitrin) 및 아프젤린(afzeli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멜라닌 생성 또는 분비를 저해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멜라노좀 전달에 관여하는 PAR-2(protease-activated receptor-2)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freckle); 기미(melasma); 간반(chloasma); 검버섯(liver spot); 모반(nevus); 일광흑자(solar lentigo); 흑피증(melanosis); 포이츠-예거 증후군(peutz-jegher's syndrome); 임신성 갈색반(chloasma gravidarum); 약물 사용 후 과다색소침착; 및 염증 후 과다색소침착(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090492A 2021-07-09 2021-07-09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60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492A KR102560191B1 (ko) 2021-07-09 2021-07-09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202280045631.8A CN117561050A (zh) 2021-07-09 2022-06-29 一种包括三白草白叶提取物的用于皮肤美白的组合物
PCT/KR2022/009314 WO2023282528A1 (ko) 2021-07-09 2022-06-29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492A KR102560191B1 (ko) 2021-07-09 2021-07-09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735A true KR20230009735A (ko) 2023-01-17
KR102560191B1 KR102560191B1 (ko) 2023-07-27

Family

ID=8480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492A KR102560191B1 (ko) 2021-07-09 2021-07-09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60191B1 (ko)
CN (1) CN117561050A (ko)
WO (1) WO202328252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9188A (ja) * 2004-12-17 2006-06-29 Shiseido Co Ltd 美白用皮膚外用剤、美白剤、美白方法および美白用皮膚外用剤の製造方法
KR100865071B1 (ko) * 2007-04-27 2008-10-2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00086728A (ko) * 2009-01-23 2010-08-0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3601A (ko) * 2015-02-03 2015-03-05 (주)아모레퍼시픽 삼백초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180117296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진켐 피부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554B1 (ko) * 2019-07-23 2021-01-14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삼백초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고두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9188A (ja) * 2004-12-17 2006-06-29 Shiseido Co Ltd 美白用皮膚外用剤、美白剤、美白方法および美白用皮膚外用剤の製造方法
KR100865071B1 (ko) * 2007-04-27 2008-10-2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00086728A (ko) * 2009-01-23 2010-08-0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3601A (ko) * 2015-02-03 2015-03-05 (주)아모레퍼시픽 삼백초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180117296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진켐 피부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대중 외 1명. 삼백초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피부 미백작용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61050A (zh) 2024-02-13
WO2023282528A1 (ko) 2023-01-12
KR102560191B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633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고체발효시킨 발효 인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TWI747280B (zh) 余甘子萃取發酵物及其製備與應用
KR20170037570A (ko)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04150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인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560191B1 (ko)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03732B1 (ko) 배향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9642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195117B1 (ko) 도인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 치료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00028202A (ko)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90036060A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02729B1 (ko)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4782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표고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7028803B2 (ja) 美白剤
KR20190089748A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86125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항노화 조성물
KR10261380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배양물 및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18472B1 (ko) 개싱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28619B1 (ko) 포토박테리움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30150099A (ko) 큰세잎쥐손이 및 흰꽃나도사프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29943B1 (ko) 마에루아 에둘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685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61354B1 (ko) 물여뀌 추출물에서 분리한 ecg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148102A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