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729B1 -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729B1
KR102202729B1 KR1020180152469A KR20180152469A KR102202729B1 KR 102202729 B1 KR102202729 B1 KR 102202729B1 KR 1020180152469 A KR1020180152469 A KR 1020180152469A KR 20180152469 A KR20180152469 A KR 20180152469A KR 102202729 B1 KR102202729 B1 KR 10220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anthocyanin
alginic acid
complex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443A (ko
Inventor
장익순
조은비
이제호
장봉근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729B1/ko
Priority to PCT/KR2019/014662 priority patent/WO2020111540A1/ko
Publication of KR2020006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4Anthocyan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26Alg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가 안토시아닌의 체내 흡수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활성산소(ROS) 및 일산화질소(NO)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이미 발생한 활성산소의 감소를 유도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복합체가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는바, 상기의 물질은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의 관련 개발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ging or an aging-related disease comprising an anthocyanin-polysaccharide complex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aging)는 시간경과에 따른 자연적 현상으로 태어나서 성장하고 늙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화가 되며, 그에 따른 질병이 생기게 되고 사망 확률이 점차 증가하여 결국 지속적인 삶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노화과정이 반드시 노인성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나 노화 정도에 따라 질환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은 사실이다. 여전히 노화과정에 대한 정확한 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은 없으나 노화현상은 생명체의 내적 또는 외적 인자들이 관여하는 다인자성 현상임이 확인되었다. 상기의 다인자 중 PPKO(Phenyl-2-PyridiylKetoxime)는 노화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를 둘러싼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에서 세포노화를 촉진하는 물질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PPKO는 세포노화를 촉진시키는 활성산소(ROS)를 증가시키고 상기 활성산소는 다른 활성산소종인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유도해 세포의 노화를 촉진한다. 따라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세포의 산화(노화)를 막는 방법이며, 이와 같이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이 항산화이다.
한편, 아로니아가 항산화 작용에 관여한다는 사실은 많은 문헌에서 소개되었고 특히, 아로니아추출물 유래 안토시아닌의 항산화 효과는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섭취 시 실질적인 흡수율은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연구는 있으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4130호), 안토시아닌의 흡수율을 증진시키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항산화제의 원료를 발굴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아로니아추출물(ABF) 유래 안토시아닌이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안토시아닌이 알긴산과 복합체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안토시아닌의 체내 흡수율 향상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과 알긴산을 포함하는, 안토시아닌 효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긴산 용액에 아로니아추출물(ABF)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토시아닌의 효능 증진용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알긴산은 안토시아닌과 이온 결합함으로써, 안정도와 용해도를 향상시키고, 안토시아닌의 체내 흡수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활성산소 또는 산화질소는 PPKO(Phenyl-2-PyridiylKetoxime)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노화 관련 질환은 피부 주름, 광노화증, 흑화증,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화상, 피부 염증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과 알긴산을 포함하는, 안토시아닌 효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효능은 안토시아닌의 안정화도, 용해도 및 체내 흡수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알긴산 용액에 아로니아추출물(ABF)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토시아닌의 효능 증진용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가 안토시아닌의 체내 흡수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활성산소(ROS) 및 일산화질소(NO)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이미 발생한 활성산소의 감소를 유도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복합체가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는바, 상기의 물질은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의 관련 개발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가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의 세포 내 항산화 능력(antioxidant activity)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세포의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현이 증가하는 베타-갈락토시다아제(ß-galactosidase) 발현여부의 관찰을 통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노화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와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브산(AA) 또는 N-아세틸시스테인(NAC)이 일산화질소(NO)의 발생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가 활성산소(ROS)의 발생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브산(AA)이 활성산소(ROS)의 발생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c는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N-아세틸시스테인(NAC)이 활성산소(ROS)의 발생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가 이미 발생한 활성산소(ROS)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브산(AA)이 이미 발생한 활성산소(ROS)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N-아세틸시스테인(NAC)이 이미 발생한 활성산소(ROS)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가 안토시아닌의 체내 흡수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활성산소(ROS) 및 일산화질소(NO)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이미 발생한 활성산소의 감소를 유도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복합체가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토시아닌”은 플라보노이드계 색소군으로, 아글리콘의 수산기의 1개 혹은 양쪽에 당(glucose, galactose, xylose, rhamnose 또는 arabinose)과 산(malic acid, p-hydroxy benzoic acid, succinic acid, p-coumaric acid, coffeic acid 및 ferulic acid)이 배당체로 결합한 색소배당체를 지칭한다. 식물에서 안토시아닌은 극한의 추위로부터 식물체의 동사(凍死)를 방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잎의 세포사멸 비율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안토시아닌이 시험관내에서 항산화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생체 내에서는 안토시아닌이 5% 미만으로 보전되며, 흡수되는 안토시아닌의 대부분은 빠르게 화학적으로 변형되어 대사산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질환인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은 시간경과에 따른 자연적 현상으로 태어나서 성장하고 늙어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 노화 관련 질환은 피부 주름, 광노화증, 흑화증,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화상, 피부 염증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알긴산 음이온은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아로니아추출물 유래 안토시아닌 양이온과 이온 결합을 이루어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체내에서 안토시아닌의 구조적 안정도, 용해도 및 체내 흡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PKO(Phenyl 2-pyridyl ketoxime)”는 늙은 섬유아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소형 화합물이다. PPKO는 세포노화와 관련 있는 활성산소(ROS)를 증가시키고 다른 활성산소종인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유도해 세포의 노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구를 통해 규명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의 세포분화 촉진 능력, 라디칼 소거 능력과 활성산소 발생억제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때, 실험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브산(AA)과 N-아세틸시스테인(NAC)에 대한 비교실험을 추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안토시안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가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상기 복합체를 저농도로 적용한 군(1, 5, 10㎍/㎖)에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한다는 것을 관찰하여 상기 복합체가 세포분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안토시안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의 라디칼 소거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assay를 수행한 결과,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브산과 N-아세틸시스테인의 DPPH 라디칼 소거 능력 값과 상기 복합체의 DPPH 라디칼 소거 능력 값은 모든 농도에서 거의 동일한 수준이며 특히, 농도 100㎍/㎖에서는 동일한 DPPH 라디칼 소거 능력 값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어린 세포의 노화 진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SA-ß-gal staining을 수행한 결과, 어린 인간 피부섬유아세포에 PPKO를 처리하면 노화의 마커인 베타-갈락토시다아제(ß-galactosidase)가 발현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1 참조).
상기 PPKO를 세포에 처리하면 베타-갈락토시다아제가 발현되고, 활성산소와 일산화질소의 발생을 유도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세포에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적용한 후 1mM PPKO를 처리하면 상기 복합체는 일산화질소의 발생량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활성산소의 발생량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mM PPKO를 먼저 세포에 처리하고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적용하면 상기 복합체가 이미 발생한 활성산소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2 참조).
상기 실시예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가 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주어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며 라디칼 소거와 활성산소 발생량 감소에 관여하여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갖는다는 것이 입증된 바, 상기 복합체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식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또는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또는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사제, 흡입제, 피부 외용제 또는 경구 섭취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피부, 비강 또는 기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kg 당 0.001 내지 150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신경계 퇴행성 질환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하여 해당 질환의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키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로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 이외에, 상기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와 반응하여 피부보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틸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틸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틸헥실디메틸파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그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및 아미노벤조산(파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안토시아닌과 알긴산을 포함하는, 안토시아닌 효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효능”은 안토시아닌의 안정화도, 용해도 및 체내 흡수도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알긴산 용액에 아로니아추출물(ABF)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토시아닌의 효능 증진용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안토시아닌의 농도와 알긴산의 농도 비는 1 대 4 내지 1 대 1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대 8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쥐(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험준비 및 실험방법
1-1. 실험에 사용된 시약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3-(4,5-디메틸티아졸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3-(4,5-dimethylthiazole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NAC), 5-브로모-4-클로로-3-인돌일-β-D-갈락토피라노사이드(5-bromo-4-chloro-3-indolyl-β-D-galactopyranoside, X-gal), L-NG-니트로알지닌메틸에스터(L-NG-nitroargininemethylester, L-NAME), 프로피디움아이오다이드(propidiumiodide),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페니실린(penicill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그 외 세포배양(cell culture)에 사용된 시약들은 Life Technologies(Grand Island, NY, USA)로 부터 구입하였다. L-NG-모노메틸알지닌(L-NG-monomethylarginine, L-NMMA)은 Calbiochem(LaJolla, CA,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1-2. 세포배양(Cell culture)
세포를 10% 소 태아 혈청(FBS)이 함유된 DMEM에서 배양하였으며, 페닐-2-피리딜케토옥심(Phenyl-2-pyridylketoxime, PPKO)을 처리하기 전 1 내지 2일 동안 60 내지 70% 세포 밀도(confluence)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1-3. DPPH assay
DDPH 라디칼 소거 능력의 측정실험은 임의의 물질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DDPH 라디칼은 보라색이며 상기 라디칼이 항산화제와 반응하면 옅은 노란색으로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항산화제의 DDPH 라디칼 소거 능력(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흡광도를 측정하는 517nm의 파장은 보라색은 감지되나, 노란색은 감지되지 않아 항산화 능력이 좋은 시료는 작은 흡광도를 가지고, 항산화 능력이 좋지 못한 시료는 큰 흡광도를 갖는다.
2,2-디페닐-1-피크릴히드라질(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는 80%의 에탄올(ethanol)에 녹여 최종 농도, 0.2mM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 아스코르브산(AA)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을 각각 0, 25, 50, 100, 200, 500 및 1000㎍/㎖의 농도를 갖는 용액으로 만들었으며, 96 웰-플레이트의 각 실험군에 상기 용액을 100㎕씩 적용하였다. 그 후 상기 실험군에 0.2mM DPPH 시약 100㎕를 첨가하고, 37℃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ER reader(Multiskan EX; Thermo Lab system, Boverly,MA,USA)를 사용하여 517nm 파장으로 DDPH 라디칼 소거 능력을 측정하였다.
1-4. MTT assay
MTT assay는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이며, MTT시약의 노란색 테트라졸리움(tetrazolium)이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나오는 탈수소효소(Reductase)에 의해 링(Ring) 구조를 잃고 폴마잔(Formazan)이라는 보라색 결정체로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실험이다. 세포에 임의의 시약을 처리하였을 때 상기 시약으로 인해 다량의 세포가 사멸하였다면 세포가 모두 살아있는 경우에 비해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이 작아지며 이에 따라 탈수소효소의 작용이 줄어들어 노란색 MTT시약의 소량만이 보라색으로 변한다. 따라서 보라색이 진할수록 세포가 많이 생존한 것을 의미하며, 세포 생존율이 높게 측정된다.
세포를 96 웰-플레이트에 2 X 104 cell/well로 시딩(seeding)하였으며, 80 내지 90% 세포 밀도가 되었을 때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X PBS 100㎕를 이용하여 두 차례 웰을 세척하였으며, DPPH assay 결과를 바탕으로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 아스코르브산(AA)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 각각을 0, 1, 5, 10, 50, 100 및 200㎍/㎖의 농도로 각 실험군에 적용하였다. 37℃ 및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및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배양 배지(cell media)에 1/10로 희석한 Cell counting kit-8(CCK-8) 100㎕를 각 웰에 분주하고, 37℃ 및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ELISER reader(Multiskan EX; Thermo Lab system, Boverly,MA,USA)를 이용하여 파장 450nm에서 발색 정도를 측정하였다.
1-5. SA ß-gal staining(Cellular Senescence ß-gal staining)
세포를 96 웰-플레이트에 4.75 X 105 cell/well로 시딩(seeding)하고, senescence ß-galactosidase staining kit(Cell signaling technology co.)를 사용하여 베타-갈락토시다아제(ß-galactosidase)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1-6. 활성산소(ROS)의 측정
세포를 96 웰-플레이트에 4 X 104 cell/㎖로 분주하고, 각 웰 당 80 내지 90% 세포 밀도가 되었을 때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어린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FBS(free DMEM에 200μM 농도로 제조)를 처리하고 4시간 동안 세포기아(starvation)상태를 유지하였다. 그 다음, 1mM PPKO를 0.5, 1 및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샘플처리가 끝나는 시점에 DPBS 200㎕로 한 차례 세척하고, DPBS를 사용하여 1/1000 로 희석한 DCFH-DA 100㎕를 처리하였다. 이때, DCFH-DA의 최종 농도는 10μM이었으며, 37℃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excitation filter는 485nm, emission filter는 535 nm의 조건에서 활성산소(ROS)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이후에 cell counting assay kit-8(CCK-8)을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하였다.
% 계산법은 먼저 농도에 따른 흡광도 값을 CCK-8 assay 결과로 나온 셀 값의 평균 % 로 나눠 주며 흡광도/control 흡광도 * 100 = ROS 값으로 구하였다.
1-7.일산화질소(NO)의 측정
세포를 24 웰-플레이트에 3 X 104 cell/well로 시딩(seeding) 하였으며 각 웰 당 80 내지 90% 세포 밀도가 되었을 때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실험군에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 아스코르브산(AA)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을 각각 10, 50 및 100㎍/㎖의 농도로 적용했다. 그 다음, 1mM PPKO를 0.5, 1 및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 시간은 0.5, 1 및 2시간이다. 각 시간 경과 후 배지를 제거하였으며, 0.22㎛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를 사용하여 필터링하였다. 그 다음, 96 웰-플레이트에 각 100㎕씩 분주한 다음 nitric oxide(NO) plus detection kit(iNtRON biotechnology.co) 제품을 사용하여 일산화질소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의 제조
아로니아추출물(ABF) 20mg을 pH 3의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 수용액 20㎖에 침전물이 보이지 않도록 용해시켰으며, 알긴산 160mg을 증류수 20㎖에 침전물이 보이지 않도록 용해시킨 알긴산 용액에 상기 아로니아추출물(ABF)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시켜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아로니아 추출물과 알긴산의 비율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한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시아플렉스-A(Cyaplex-A)라고 명명하였다.
No. 원료명 영문명 약칭 농도
1 아로니아추출물
(ABF)
Aronia Bio-active Fraction ABF ABF : 13.75mg/㎖
2 시아플렉스 A Cyaplex-A Cyaplex-A ABF : Alginate비율 (1:8)
(13.75mg : 110mg/㎖)
실시예 3. 시아플렉스-A가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의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를 세포에 처리한 경우,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복합체를 세포에 적용하고 각각 24시간 및 48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를 적용하고 24시간 후에 측정한 세포의 생존율은, 상기 복합체의 모든 농도 군에서,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를 적용하고 48시간 후에 측정한 세포의 생존율은, 상기 복합체의 고농도 처리군(100, 200㎍/㎖)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저농도군(1, 5, 10㎍/㎖)에서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안토시아닌이 세포 증식(세포의 성장과 분할에 대한 결과)에 관여하여 상기 세포 분화의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안토시아닌을 저농도로 적용하였을때 높은 세포생존율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시아플렉스-A의 DPPH 라디칼 소거 능력의 확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A)과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NAC)은 항산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물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의 항산화 능력(antioxidant activity)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3의 DPPH assay를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브산(AA)과 N-아세틸시스테인(NAC)에 대한 비교실험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는 상기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들과 모든 농도에서 거의 동일한 수준의 DPPH 라디칼 소거능력 값을 가지며, 농도 100㎍/㎖에서는 동일한 DPPH 라디칼 소거능력 값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시아플렉스-A가 활성산소와 일산화질소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의 확인
5-1. SA-ß-gal staining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포 증식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베타-갈락토시다아제(ß-galactosidase)는 젖당(lactose)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하는 효소이며, β-gal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p16 ink4A 와 함께 세포의 노화를 확인하기 위한 대표적인 바이오 마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노화 진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5의 SA-ß-gal staining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늙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는 PPKO를 처리하지 않아도 노화의 마커인 베타-갈락토시다아제가 다량 발현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어린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PPKO를 처리하여 노화를 유도하고 3일 및 5일 경과한 후 SA-ß-gal staining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기 노화가 유도된 섬유아세포에서 노화의 마커인 베타-갈락토시다아제가 다량 발현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늙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와 PPKO에 의한 유도된 노화세포를 비교한 결과 형태학적으로(morphology)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5-2. 시아플렉스-A가 활성산소와 일산화질소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의 확인
일산화질소(NO)는 미토콘드리아 호흡(mitochondrial respiration)이나 DNA 생산(DNA synthesis) 등을 저해하여 노화에 관여하며, 활성산소(ROS)은 DNA 산화 및 이로 인한 DNA 부산물을 생성하고 과산화 지질(lipid peroxide) 등을 생성하여 세포독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PKO는 늙은 섬유아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소형 화합물로, 활성산소(ROS)를 증가시키고 다른 활성산소종인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유도해 세포의 노화를 촉진한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규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 아스코르브산(AA)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을 각각 세포에 적용하여 상기 물질들이 PPKO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와 일산화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6 및 1-7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세포에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를 적용한 후 PPKO를 처리하고 0.5, 1 및 2시간 경과한 경우 상기 복합체는 일산화질소(NO)의 발생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도 5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세포에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를 적용한 후 PPKO를 처리하고 0.5시간이 경과한 경우 활성산소의 발생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복합체가 활성산소의 발생량의 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실험결과는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브산(AA)을 적용한 경우(도 5b의 1mM PPKO의 0.5시간 처리 실험결과)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을 적용한 경우(도 5c의 1mM PPKO의 0.5시간 처리 실험결과)에서의 경향과 일치한다.
또한,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mM PPKO를 먼저 세포에 처리하고 0.5, 1 및 2시간 경과한 후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시아플렉스-A)를 적용한 경우, 상기 복합체가 이미 발생한 활성산소(ROS)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실험결과는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브산(AA)을 적용한 경우(도 5b)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을 적용한 경우(도 5c)에서의 경향과 일치한다.
이로써, 노화세포에 상기 복합체(시아플렉스-A)를 적용하는 경우, 노화세포에서 어린 인간 피부섬유아세포가 가지는 기능의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노화 관련 질환은 피부 주름, 광노화증, 흑화증,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화상, 피부 염증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복합체는 10 내지 100㎍/㎖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은 안토시아닌과 이온 결합함으로써, 안정화도와 용해도를 향상시키고, 체내 흡수도를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산소 또는 산화질소는 PPKO(Phenyl-2-PyridiylKetoxime)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토시아닌은 아로니아추출물(ABF)에서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노화 관련 질환은 피부 주름, 광노화증, 흑화증,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화상, 피부 염증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복합체는 10 내지 100㎍/㎖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안토시아닌-알긴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복합체는 10 내지 100㎍/㎖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52469A 2018-11-30 2018-11-30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2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469A KR102202729B1 (ko) 2018-11-30 2018-11-30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19/014662 WO2020111540A1 (ko) 2018-11-30 2019-11-01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469A KR102202729B1 (ko) 2018-11-30 2018-11-30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443A KR20200066443A (ko) 2020-06-10
KR102202729B1 true KR102202729B1 (ko) 2021-01-14

Family

ID=7085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469A KR102202729B1 (ko) 2018-11-30 2018-11-30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2729B1 (ko)
WO (1) WO20201115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4391B1 (fr) * 2021-06-29 2024-01-19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parfumée comprenant au moins un sucre, un colorant anthocyani(di)ne et une matière parfumante, et procédé de traitement de matière kératinique et/ou de vêtement mettant en œuvre la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798B1 (ko) * 2011-05-12 2014-02-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전하성 다당류를 이용한 안토시아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33072A (ko) * 2011-09-26 2013-04-03 주식회사 푸드웰 포도과피 유래 안토시아닌 색소 안정화 방법 및 그 분말의 제조방법
KR20180021618A (ko) * 2016-08-22 2018-03-05 주식회사 케미메디 안토시아닌 나노 복합체
KR20180043908A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케미메디 안토시아닌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색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540A1 (ko) 2020-06-04
KR20200066443A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954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U2018315055A1 (en) Use of polyphenol containing sugar cane extracts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 skin condition
JP2012184270A (ja) 皮膚外用剤
KR20130083800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5114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1213472B2 (en) VEGFC production promoter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15294B1 (ko) 디오스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202729B1 (ko)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86747A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506620B1 (ko) 크리소에리올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528448B1 (ko) 살비아놀릭산 b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75267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21499B1 (ko) 속수자 추출물을 포함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652809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71055B1 (ko) 수용성 진주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염증 및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86125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항노화 조성물
KR102626704B1 (ko) 장미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06041B1 (ko)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5545A (ko) 3,3',4-tri-O-methylellag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08266B1 (ko) 위드롤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30009735A (ko)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