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196A -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196A
KR20230008196A KR1020227043075A KR20227043075A KR20230008196A KR 20230008196 A KR20230008196 A KR 20230008196A KR 1020227043075 A KR1020227043075 A KR 1020227043075A KR 20227043075 A KR20227043075 A KR 20227043075A KR 20230008196 A KR20230008196 A KR 20230008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hz
information
frequency bandwidth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츠지마루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한다. 해당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는,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주파수의 정보는, 해당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해당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8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미국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가 책정하고 있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규격으로서, IEEE802.11 시리즈가 알려져 있다. IEEE802.11 시리즈 규격으로서는, IEEE802.11a/b/g/n/ac/ax 규격 등의 규격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IEEE802.11ax 규격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IEEE802.11ax 규격에서는, OFDMA에 의한 무선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높은 피크 스루풋을 실현하고 있다.
IEEE에서는, 가일층의 스루풋의 향상이나 주파수 이용 효율의 개선을 위해, IEEE802.11 시리즈의 새로운 규격으로서, IEEE802.11be 규격의 책정이 검토되고 있다. IEEE802.11be 규격에서는, 주파수 대역폭을 최대 320㎒로 확장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8-50133호 공보
AP(액세스 포인트)와 STA(스테이션/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하는 통신 대역폭 등,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운용(operation)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종래는, 주파수 대역폭으로서 240㎒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의 경우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폭의 고주파측(즉 후반의) 80㎒에 관한 운용 정보의 표현 방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개시는 240㎒ 이상의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을 위한 운용 정보를 적절하게 통신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통신 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이며,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상기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는,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8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40㎒ 이상의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을 위한 운용 정보가 적절하게 통신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하거나 혹은 마찬가지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인다.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그 기술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통신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EHT Operation Element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4는 160+80㎒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지하는 운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240㎒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지하는 운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80+160㎒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지하는 운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80+80+80㎒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지하는 운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 범위에 관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는 복수의 특징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 복수의 특징 모두가 발명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으며, 또한 복수의 특징은 임의로 조합할 수 있어도 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혹은 마찬가지 구성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신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AP)(102)와, 복수의 STA(스테이션/단말 장치)(103, 104, 105)를 구비한 무선 네트워크이다. AP(102)도 중계 기능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단말 장치와 마찬가지 기능을 갖기 때문에, 단말 장치의 일 형태이다. AP(102)는, IEEE802.11be 규격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각 STA(103 내지 105)와 통신할 수 있다. AP(102)가 송신하는 신호(무선 프레임)가 도달하는 범위를 나타낸 원(101)의 내부에 있는 STA(103 내지 105)가, AP(102)와 통신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IEEE802.11be 규격에 따라서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AP(102)는, STA(103 내지 105)와 소정의 어소시에이션 프로세스 등을 통해, 무선 링크를 확립한다.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2.4㎓대, 5㎓대 및 6㎓대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통신할 수 있다. AP(102)와 STA(103 내지 105)의 각각이 사용하는 주파수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60㎓대와 같이, 다른 주파수대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20㎒, 40㎒, 80㎒, 160㎒, 240㎒ 및 320㎒의 대역폭을 사용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OFDMA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02)는 복수의 유저(STA) 수신처의 신호를 다중하는, 멀티유저(MU)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OFDMA 통신에서는, 분할된 주파수대의 일부(RU, Resource Unit)가 각 STA에 각각 겹치지 않도록 할당되고, 각 STA에 할당된 반송파가 직교한다. 그 때문에, AP(102)는 복수의 STA와 병행해서 통신할 수 있다.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IEEE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예를 들어 MAC(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인 관리 프레임(매니지먼트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관리 프레임이란, 구체적으로는, Beacon 프레임이나, Probe Request 프레임/Response 프레임, Association Request 프레임/Response 프레임을 가리킨다. 또한, 이들 프레임에 더하여, Disassociation 프레임, Authentication 프레임이나, De-Authentication 프레임, Action 프레임도, 관리 프레임이라고 불린다. Beacon 프레임은, 네트워크의 정보를 통보하는 프레임이다. 또한, Probe Request 프레임이란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는 프레임이며, Probe Response 프레임은 그 응답이며,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는 프레임이다. Association Request 프레임이란, 접속을 요구하는 프레임이며, Association Response 프레임은 그 응답이며, 접속의 허가나 에러 등을 나타내는 프레임이다. Disassociation 프레임이란, 접속의 절단을 행하는 프레임이다. Authentication 프레임이란, 상대 장치를 인증하는 프레임이며, De-Authentication 프레임은 상대 장치의 인증을 중단하고, 접속의 절단을 행하는 프레임이다. Action 프레임이란, 상기 이외의 추가 기능을 행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또한,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다입력 다출력)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AP(102)와 STA(103 내지 105) 각각은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송신측은,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다른 신호를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해서 보낸다. 수신측은,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해서 복수 스트림으로부터 도달한 모든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고, 각 스트림의 신호를 분리하고, 복호한다. 이와 같이, MIMO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MIMO 통신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동일한 시간에 보다 많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통신 대역폭(주파수 대역폭) 등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운용 파라미터(운용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IEEE802.11be 규격에 대응한다고 했지만, 이에 더하여, IEEE802.11be 규격보다 전의 규격인 레거시 규격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레거시 규격이란, IEEE802.11a/b/g/n/ac/ax 규격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IEEE802.11a/b/g/n/ac/ax/be 규격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IEEE802.11 시리즈 규격이라 칭한다. 또한, IEEE802.11 시리즈 규격에 더하여, Bluetooth(등록상표), NFC(Near Field Co㎜unic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MBOA(Multiple Band OFDM Alliance) 등의 다른 통신 규격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UWB에는, 와이어리스 USB, 와이어리스 1394, Winet 등이 포함된다. 또한, AP(102)와 STA(103 내지 105)는, 유선 LAN 등의 유선 통신의 통신 규격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통신 장치의 구성]
도 2a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AP(102), STA(103 내지 105))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다. 통신 장치는, 그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로서, 기억부(201), 제어부(202), 기능부(203), 입력부(204), 출력부(205), 통신부(206) 및 안테나(207)를 갖는다.
기억부(201)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1 이상의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고, 후술하는 각종 동작을 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201)로서, ROM, RAM 등의 메모리 외에,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DVD 등의 기억 매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억부(201)가 복수의 메모리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202)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되며, 기억부(201)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기억부(201)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OS(Operating System)의 협동에 의해, 통신 장치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202)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통신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터나 신호(무선 프레임)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02)가 멀티코어 등의 복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통신 장치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202)는 기능부(203)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이나, 촬상, 인쇄, 투영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기능부(203)는, 통신 장치가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다.
입력부(204)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의 접수를 행한다. 출력부(205)는 모니터 화면이나 스피커를 통해, 유저에 대하여 각종 출력을 행한다. 여기서, 출력부(205)에 의한 출력이란, 모니터 화면 상으로의 표시나, 스피커에 의한 음성 출력, 진동 출력 등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과 같이 입력부(204)와 출력부(205)의 양쪽을 하나의 모듈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입력부(204) 및 출력부(205)는, 각각 통신 장치와 일체여도 되고, 별체여도 된다.
통신부(206)는 IEEE802.11be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부(206)는 이하에 설명하는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로 통지(송신)하는 수단이 된다. 또한, 통신부(206)는 IEEE802.11be 규격에 더하여, 다른 IEEE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제어나, 유선 LAN 등의 유선 통신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통신부(206)는 안테나(207)를 제어하여, 제어부(202)에 의해 생성된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무선 프레임)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 장치가, IEEE802.11be 규격에 더하여, NFC 규격이나 Bluetooth 규격 등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이들 통신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가 복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 각각의 통신 규격에 대응한 통신부와 안테나를 개별로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통신 장치는 통신부(206)를 통해,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또한, 안테나(207)는 통신부(206)와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통신부(206)와 합해서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안테나(207)는 2.4㎓대, 5㎓대 및 6㎓대에 있어서의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다. 통신 장치는 1개의 안테나를 가져도 되고, 주파수대마다 다른 안테나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는 안테나를 복수 갖고 있는 경우, 각 안테나에 대응한 통신부(206)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2b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AP(102), STA(103 내지 105))의 제어부(202)에 의한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통신 장치는, 그 기능 구성의 일례로서, 운용 정보 결정부(211), 프레임 생성부(212) 및 UI(User Interface) 제어부(213)를 갖는다.
운용 정보 결정부(211)는, 다른 통신 장치로 통지하는 운용 정보를 결정한다. 운용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레임 생성부(212)는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하기(통지를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 UI 제어부(213)는 통신 장치의 유저에 의한 통신 장치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UI 제어부(213)는 입력부(204)로부터 얻어진 유저로부터의 입력 내용을, 운용 정보 결정부(211)로 보내는 등에 의해, 통신 장치에 설정한다.
[EHT Operation Element의 구성]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용 정보는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관리 프레임을 사용해서 다른 통신 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프레임을 사용해서 운용 정보를 통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3에, 관리 프레임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의 하나인 EHT Operation Element(30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Element ID 필드(302), Length 필드(303), Element ID Extension 필드(304)는, 이하에 나타내는 표 1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EHT Operation Information 필드(305)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운용 정보가 포함된다. 운용 정보에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 등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는 EHT Operation Information 필드(305)에 포함되는,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 필드(307)(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정보), 및 Control 필드(306)에 포함되는 EHT Channel Width 필드(308)(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의 조합에 의해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HT Channel Width 필드(308)가 0, 또한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 필드(307)가 0인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160㎒ 이하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EHT Channel Width 필드(308)가 0, 또한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 필드(307)가 0 이외인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EHT Channel Width 필드(308)가 1인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320㎒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 필드(307)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후반/고주파측의(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폭의 최대 주파수를 포함하는 고주파측의, 혹은 세컨더리) 80㎒ 또는 160㎒에 대해서, 어느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160㎒ 이하인 경우,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 필드(307)는 0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된다.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 필드(307)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인 경우, 고주파측의 16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160+80㎒인 경우, 고주파수측의 8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80+160㎒인 경우, 고주파측의 16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 80+80+80㎒인 경우, 고주파측의 8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320㎒인 경우에는,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 필드(307)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 160+160㎒인 경우, 세컨더리(예를 들어 고주파측의) 16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 주파수 대역폭이 320㎒인 경우, 세컨더리 160㎒의 선두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EHT Operation Element(301)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구체예를 표 1, 2, 3에 나타낸다. 표 1은 EHT Operation Element(301)에 있어서의 각 필드의 설명을 나타내고, 표 2는 EHT Operation Information 필드(305)에 있어서의 서브 필드의 설명을 나타내고, 표 3은 Control 필드(306)에 있어서의 서브 필드의 설명을 나타낸다. 필드/서브 필드의 이름이나, 비트의 위치·사이즈는 표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마찬가지 정보가 다른 필드명/서브 필드명이나 다른 순서나 사이즈로 저장되어도 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운용 정보의 통지 수순의 설명]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운용 정보의 통지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관리 프레임을 사용하여,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운용 정보는 운용 정보 결정부(211)에 의해 결정/설정되고, 당해 운용 정보를 포함한 관리 프레임이 프레임 생성부(212)에서 생성되고, 생성된 관리 프레임은 통신부(206)를 통해 송신된다.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 및 당해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주파수의 정보(예를 들어 당해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주파대의 중심 주파수의 정보(채널값 등))는, 미리 통신 장치(AP(102), STA(103 내지 105))에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이들 정보는, 통신 장치의 유저가 입력부(204)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통신 장치에 설정되어도 되고, 통신 장치는 임의의 방법으로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7에 공통되는 사항을 설명한다. 저주파측(전반)의 160㎒의 정보는, IEEE802.11be 규격보다 전의 규격인 레거시 규격에 있어서 규정된 관리 프레임에 의해 통지되거나, 즉 CCFS0, CCFS1, Channel Width는 레거시 규격에 있어서 규정된 관리 프레임에 의해 통지되는 값이다. CCFS0은 프라이머리 8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을 나타낸다. CCFS1은 세컨더리 80㎒(프라이머리 80㎒와 인접하는 경우에는 합해서 16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을 나타낸다. Channel Width는, 프라이머리 80㎒와 세컨더리 80㎒가 인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이다. CCFS0, CCFS1, Channel Width는, 레거시 규격에 있어서 규정된 관리 프레임의 요소인 VHT Operation element, HT Operation element, 6㎓ Operation information에 의해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 각 채널은 5㎒ 마다 겹쳐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 식 (1)은 CFFS0과 CFFS1의 차의 절댓값, 식 (2)는 CCFS1과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필드(307))의 차의 절댓값, 식 (3)은 EHT Channel Width(필드(308))의 값을 나타낸다.
도 4는 160+80㎒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지하는 운용 정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60+80㎒ 중, 저주파측(전반)의 160㎒의 정보인 CCFS0, CCFS1, Channel Width는 레거시 규격에 있어서 규정된 관리 프레임에 의해 통지된다. 이들 저주파측의 160㎒의 정보에 더하여, 전술한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필드(307))와 EHT Channel Width(필드(308))를 사용한다. 이때,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는 고주파측의 8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이며, EHT Channel Width는 240㎒인 것을 나타내는 0의 값이다. 도 4에 있어서의 식 (2)에 의해, 전체의 240㎒ 중, 저주파측(전반)의 160㎒와 고주파측(후반)의 80㎒가 인접하고 있지 않은 것이 나타난다. 또한, CCFS0, CCFS1,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의 값으로부터, 160㎒+80㎒에 어느 주파수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통지할 수 있다.
도 5는 240㎒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지하는 운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60+80㎒ 중, 저주파측(전반)의 160㎒의 정보인 CCFS0, CCFS1, Channel Width는, 레거시 규격에 있어서 규정된 관리 프레임에 의해 통지된다. 이들 저주파측의 160㎒의 정보에 더하여, 전술한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필드(307))와 EHT Channel Width(필드(308))를 사용한다. 이때,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는, 고주파측의 16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이며, EHT Channel Width는, 240㎒인 것을 나타내는 0의 값이다. 도 5에 있어서의 식 (2)에 의해, 전체의 240㎒ 중, 저주파측(전반)의 160㎒와 고주파측(후반)의 80㎒가 인접하고 있는 것이 나타난다. 또한, CCFS0, CCFS1,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의 값으로부터, 240㎒의 주파수 대역폭에 어느 주파수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통지할 수 있다.
도 6은 80+160㎒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지하는 운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60+80㎒ 중, 저주파측(전반)의 160㎒의 정보인 CCFS0, CCFS1, Channel Width는, 레거시 규격에 있어서 규정된 관리 프레임에 의해 통지된다. 이들 저주파측의 160㎒의 정보에 더하여, 전술한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필드(307))와 EHT Channel Width(필드(308))를 사용한다. 이때,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는, 고주파측의 16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이며, EHT Channel Width는, 240㎒인 것을 나타내는 0의 값이다. 도 6에 있어서의 식 (1)과 식 (2)에 의해, 전체의 240㎒ 중, 저주파측(전반)의 80㎒와 고주파측(후반)의 160㎒가 인접하고 있지 않은 것이 나타난다. 또한, CCFS0, CCFS1,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의 값에 의해, 80+160㎒의 주파수 대역폭에 어느 주파수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통지할 수 있다.
도 7은 80+80+80㎒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지하는 운용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60+80㎒ 중, 저주파측(전반)의 160㎒의 정보인 CCFS0, CCFS1, Channel Width는, 레거시 규격에 있어서 규정된 관리 프레임에 의해 통지된다. 이들 저주파측의 160㎒의 정보에 더하여, 전술한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필드(307))와 EHT Channel Width(필드(308))를 사용한다. 이때,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는, 고주파측의 8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값이며, EHT Channel Width는, 240㎒인 것을 나타내는 0의 값이다. 도 7에 있어서의 식 (1)과 식 (2)에 의해, 전체의 240㎒ 중, 어느 80㎒도 인접하고 있지 않은 것이 나타난다. 또한, CCFS0, CCFS1, EHT Channel Center Frequency Segment의 값에 의해, 80+80+80㎒의 주파수 대역폭에 어느 주파수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통지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EHT Operation Element(301)의 구성 요소의 변형예를 표 4에 나타낸다. EHT Operation Element(301)를 사용해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지정하는 경우에, Control 필드(306)의 내용을 표 4와 같이 확장함으로써, 주파수 대역폭의 지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HT Channel Width 필드(308)(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가 0인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160㎒ 이하인 것을 나타내고, EHTChannel Width 필드(308)가 1인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인 것을 나타내고, EHT Channel Width 필드(308)가 2인 경우, 사용 주파수 대역폭이 320㎒인 것을 나타내도 된다. 필드/서브 필드의 이름이나, 비트의 위치·사이즈는 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마찬가지 정보가 다른 필드명/서브 필드명이나 다른 순서나 사이즈로 저장되어도 된다. 표 4와 같이 EHT Channel Width 필드(308)를 정하는 경우,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 EHT Channel Width 필드(308)=1로 변경함으로써, 주파수 대역폭의 통지와 주파수 채널의 통지가 가능해진다.
Figure pct00004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대 장치와의 사이에서 240㎒ 이상의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에 사용할 운용 정보를 적절하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운용 정보의 통지 수순을 주로 설명했지만, 당해 운용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그 경우, 도 2a에 나타내는 통신부(206)는, 상기에 설명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이 된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처리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를 공표하기 위해서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202)0년 5월 18일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특원2020-086913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14)

  1.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이며,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상기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는,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8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이며,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상기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상기 주파수의 정보의 조합은,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8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8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이며,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상기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는,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16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이며,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상기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상기 주파수의 정보의 조합은,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16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160㎒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운용 정보를,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관리 프레임을 사용해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 공정을 갖고,
    상기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는,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8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 공정을 갖고,
    상기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상기 주파수의 정보의 조합은,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8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 공정을 갖고,
    상기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는,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16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IEEE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무선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 공정을 갖고,
    상기 운용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주파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의 정보와 상기 주파수의 정보의 조합은,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주파수의 정보는,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240㎒ 이상인 경우에, 상기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고주파측의 160㎒에 있어서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컴퓨터를,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27043075A 2020-05-18 2021-04-05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30008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6913A JP2021182677A (ja) 2020-05-18 2020-05-18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20-086913 2020-05-18
PCT/JP2021/014483 WO2021235120A1 (ja) 2020-05-18 2021-04-05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196A true KR20230008196A (ko) 2023-01-13

Family

ID=7860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075A KR20230008196A (ko) 2020-05-18 2021-04-05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63592A1 (ko)
EP (1) EP4156739A1 (ko)
JP (1) JP2021182677A (ko)
KR (1) KR20230008196A (ko)
CN (1) CN115553021A (ko)
BR (1) BR112022023017A2 (ko)
TW (2) TWI823077B (ko)
WO (1) WO2021235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06492A (ja) * 2022-07-01 2024-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0133A (ja) 2016-09-20 2018-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6311B2 (en) * 2018-03-06 2020-12-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communicating via sub-band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190289612A1 (en) * 2018-03-16 2019-09-1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via a large bandwidth channel
US20190297561A1 (en) * 2018-03-20 2019-09-26 Qualcomm Incorporated Width and channel number signaling for multiband devices
CN110557843B (zh) * 2018-05-31 2023-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数据传输方法及装置
MX2021001248A (es) * 2018-08-06 2021-04-12 Sony Corp Aparato de comunicacion.
JP7293620B2 (ja) 2018-11-26 2023-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ェスチャ検出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0133A (ja) 2016-09-20 2018-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3077B (zh) 2023-11-21
TW202145819A (zh) 2021-12-01
WO2021235120A1 (ja) 2021-11-25
JP2021182677A (ja) 2021-11-25
TW202408268A (zh) 2024-02-16
BR112022023017A2 (pt) 2022-12-20
EP4156739A1 (en) 2023-03-29
CN115553021A (zh) 2022-12-30
US20230063592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477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point
WO2021131974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06359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20963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21141463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29898A (ko)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23037903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095544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106031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037904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210335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26278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24004588A1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210140A1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2185446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38920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05956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20115100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40019141A (ko) 액세스 포인트, 단말, 및 통신 방법
CN117981458A (zh) 通信设备、通信方法和程序
KR20230042070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2022021844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