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955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955A
KR20230006955A KR1020210087573A KR20210087573A KR20230006955A KR 20230006955 A KR20230006955 A KR 20230006955A KR 1020210087573 A KR1020210087573 A KR 1020210087573A KR 20210087573 A KR20210087573 A KR 20210087573A KR 20230006955 A KR20230006955 A KR 2023000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kiosk
button
end pillar
pill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102021008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955A/ko
Publication of KR2023000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는 영상이 출력되고 터치 방식으로 조작이 가능한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과 연결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단 기둥부와, 버튼이 부착되어 있고 상단 기둥부가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며 전체 키오스크를 지탱할 수 있는 하단 기둥부와, 상기 하단 기둥부에 부착되어 실제 키오스크 스탠드의 높이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버튼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고안)은 키오스크와 연결된 충분한 부피의 2단의 기둥부를 통해 전선의 엉킴이나 합선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높이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단 기둥부와 하단 기둥부 모두 터치스크린의 오류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하단 기둥부에 부착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the button type kiosk system capable of height control}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점, 카페와 같은 매장에 설치되어 영유아나 장애인과 같이 평균적인 높이의 키오스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버튼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3-0037380호와 같이 키오스크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접근하는 사용자를 촬영해 신장에 따라 키오스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또한,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71226호와 같이 키오스크에 물체감지센서와 높이센서를 설치하여, 키오스크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센서가 인식하여 만약 높이센서가 키가 작은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면 그에 맞춰 키오스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였다.
KR 1020130037380 B1 ((주)엘리비젼) 2013.04.05 KR 1020110071226 B1 ((주)엘리비젼) 2013.04.05
키오스크의 터치스크린이 충분히 큼을 고려할 때 예측 가능한 사용자의 신장 범위에 비해 복잡한 구조로 상기 키오스크는 많은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카메라와 센서가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 센서와 카메라가 사용자를 인식하고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키오스크 앞에서 대기시간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는 영상이 출력되고 터치 방식으로 조작이 가능한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과 연결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단 기둥부와, 버튼이 부착되어 있고 상단 기둥부가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며 전체 키오스크를 지탱할 수 있는 하단 기둥부와, 상기 하단 기둥부에 부착되어 실제 키오스크 스탠드의 높이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버튼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고안)은 키오스크와 연결된 충분한 부피의 2단의 기둥부를 통해 전선의 엉킴이나 합선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높이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단 기둥부와 하단 기둥부 모두 터치스크린의 오류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단 기둥부에 부착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의 2단계 높이 조절 양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상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10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스크린부(10), 상단 기둥부(20), 하단 기둥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100)은 음식점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키오스크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우선, 상기 터치스크린부(10)는 키오스크 시스템에 설치되어 다양한 영상을 출력하고 화면을 터치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모니터(11)와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11)를 보호하며 모니터의 실질적인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컴퓨터(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단 기둥부(2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0)와 연결되어 키오스크 시스템에 설치되되, 버튼(31)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때 하단 기둥부(3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두께의 플라스틱 기둥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부(10)의 하중이 20kg일 때, 상기 상단 기둥부(20)가 하단 기둥부(30)의 내부에 들어간 상태일지라도 실제로 터치스크린을 지탱하는 것은 상단 기둥부이므로 하중인 20kg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지니도록 설계하여 터치스크린이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단 기둥부(30)는 상단 기둥부(20)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높이조절장치와 연결된 버튼(31)이 부착되어 있으며, 바닥에 넓게 형성된 지지대(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31)을 사용자가 작동하게 되면 버튼과 연결된 높이조절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상단 기둥부(20)가 하단 기둥 내부(32)로 들어감에 따라 ‘상단 기둥부(20)의 길이’만큼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100)의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높이가 줄어든 상태에서 다시 버튼(31)을 작동하게 되면, 하단 기둥 내부(32)에 들어간 상단 기둥부(20)가 다시 올라오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100)의 높이가 늘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단 기둥부(20)의 길이가 50cm, 단면적이 100cm^2인 경우 하단 기둥부(30)의 길이는 최소 50cm 이상이 되어야 하고 단면적은 100cm^2+하단 기둥부(30)의 두께+하단 기둥부의 전선부(34)가 엉키지 않고 들어갈 수 있는 면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일체형 구조였던 스탠드를 상/하단 기둥부로 분리하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성년자나 장애인과 같이 키오스크 이용이 어려웠던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있다. 해당 발명은 대상이 되는 이용자 뿐만 아니라 평균적인 이용자도 문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재의 기술로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10 : 터치스크린부 11 : 모니터 12 : 컴퓨터
20 : 상단 기둥부 30 : 하단 기둥부
31 : 버튼(높이조절장치) 32 : 하단 기둥 내부 33 : 지지대 34 : 전선부
100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Claims (4)

  1. 사용자의 눈높이에 따라 높이가 변화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높이를 전환할 수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키오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얇은 상단부와 두꺼운 하단부로 구성되고, 스위치를 누르면 상단부가 하단부의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키오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는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접혀진 상태에서도 전선의 엉킴이나 합선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키오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는 스탠드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스탠드의 상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높이를 낮추거나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키오스크.
KR1020210087573A 2021-07-05 2021-07-05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KR20230006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73A KR20230006955A (ko) 2021-07-05 2021-07-05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73A KR20230006955A (ko) 2021-07-05 2021-07-05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955A true KR20230006955A (ko) 2023-01-12

Family

ID=8492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573A KR20230006955A (ko) 2021-07-05 2021-07-05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695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1226A (ko)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
KR20130037380A (ko) 2011-10-06 2013-04-16 박기홍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1226A (ko)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
KR20130037380A (ko) 2011-10-06 2013-04-16 박기홍 사면 조성용 식물 재배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7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assist in capturing images
JP5124886B2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認識方法
JP5329681B2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EP0905663A1 (en) Multipurpose learning device
US10269283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070049729A (ko)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US20120249398A1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program, and display method
JP2008097571A (ja) 電子機器および有効な機能の選択方法
KR102249512B1 (ko)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KR20100121550A (ko) 화상 표시장치
KR2023000695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JP5353090B2 (ja) 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
KR202101218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647464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411323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JP7281865B2 (ja) 制御装置および電動ベッド
JP6454506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US9438708B2 (en) Mobile terminal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device
JP2017169871A (ja) 寝台装置
KR102467408B1 (ko) 단말기케이스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vr콘텐츠출력 자동 전환 시스템
JP2024005440A (ja) 入出力装置、入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237203U (ja) 意思疎通支援装置
EP4184744A1 (en)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H0917950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6002211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