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512B1 -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512B1
KR102249512B1 KR1020200097917A KR20200097917A KR102249512B1 KR 102249512 B1 KR102249512 B1 KR 102249512B1 KR 1020200097917 A KR1020200097917 A KR 1020200097917A KR 20200097917 A KR20200097917 A KR 20200097917A KR 102249512 B1 KR102249512 B1 KR 102249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unit
user
brail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토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59165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4951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토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토브
Priority to KR102020009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여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며, 상기 키오스크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을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A CONTROLLER MODULE FOR DISABLED PERSON AND A KIOSK HAVING I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공기관, 쇼핑몰, 패스트푸드점과 같이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장소에 안내, 결제,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키오스크가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설치된 키오스크는 장애인에 대한 접근성이 고려되지 않은 설계로 인해 장애인이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은 일반 성인의 눈높이에 알맞게 설계된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 또는 인터페이스에 접근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는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눈높이에 맞도록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변경되는 키오스크가 제공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키오스크의 경우에도,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들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장애가 없음을 가정하여,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이나 키보드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만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시각 장애인이나 청각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공하지 않아, 시청각적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해당 키오스크를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기존에 제공되던 키오스크는 디스플레이가 일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로 눕혀져 있어서,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높이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변경되더라도 디스플레이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로 인해,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선명하게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지 장애인이 기존에 제공되던 키오스크의 화면 상단을 터치하려고 하는 경우, 손이 닿지 않아 휠체어로부터 낙상할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장애인이 키오스크와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다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높이 조절 및 회전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다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가진 휴대용 디바이스들이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정보 및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키오스크에 표시된 정보와 컨텐츠를 확인하고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멀티 뷰(Multi-view) 기능을 가지는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여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컨트롤러 모듈이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커맨드를 문자, 기호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플리킹(flicking), 태핑(tapping), 스와이핑(swiping), 슬라이딩(sliding), 로테이팅(rotating)을 포함하는 제스쳐를 수신하는 터치패드부, 상기 키오스크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을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 및 상기 컨트롤러 모듈이 상기 키오스크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는 상기 점자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들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모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정보들 또는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에 의해 돌출 또는 압입 여부가 결정되어 제1 점자를 표현하며, 상기 아이들(IDLE)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돌기들 중 일부 돌기들이 압력을 받아 압입되면, 압입된 돌기와 돌출된 돌기들에 의해 제2 점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점자를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인식하도록 점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빔 포밍(beam foaming) 기법으로 특정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를 독립된 화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부 및 비상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특수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키오스크는, 사용자에게 전달할 정보 또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높이,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 조절부, 상기 사용자의 키, 눈 높이, 손 동작 및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는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 또는 컨텐츠를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커맨드를 문자, 기호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플리킹(flicking), 태핑(tapping), 스와이핑(swiping), 슬라이딩(sliding), 로테이팅(rotating)을 포함하는 제스쳐를 수신하는 터치패드부, 상기 키오스크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을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는 상기 점자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들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모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정보들 또는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에 의해 돌출 또는 압입 여부가 결정되어 제1 점자를 표현하며, 상기 아이들(IDLE)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돌기들 중 일부 돌기들이 압력을 받아 압입되면, 압입된 돌기와 돌출된 돌기들에 의해 제2 점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점자를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인식하도록 점자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가 복수일 경우,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이전(before) 및 다음(next)을 선택하거나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가 점자로 표현된 문단들 중 이전 문단 또는 다음 문단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전 버튼 및 다음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빔 포밍(beam foaming) 기법으로 특정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를 독립된 화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부 및 비상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특수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웹 상에서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상기 웹에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웹에 대한 접속 요청을 전송하거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이 상기 웹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웹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의 작업 공간을 가진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발광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경고 표시부 및 상기 정보, 상기 컨텐츠 및 알람을 소리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사용자가 표현하는 수어 또는 제스쳐를 인식하여 자연어로 변환할 수 있는 수어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어변환 모듈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손, 몸 동작 및 얼굴 표정을 캡쳐 또는 녹화하여 상기 수어를 인식하거나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며, 인식된 수어나 제스쳐를 자연어로 변환하여 상기 키오스크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커맨드로 분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나 컨텐츠를 수어로 표현하는 캐릭터 에니메이션으로 변환하며, 상기 캐릭터 에니메이션이 아바타 또는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되거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은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장애 여부에 관계없이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는 일반적인 사용자 외에도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도록 디스플레이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가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가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가 멀티뷰(multi-view) 기능을 통해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과 화면 또는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제공하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및 수어를 사용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가 위험 상황을 알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1200)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100)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100)의 사시도이다.
우선, 키오스크(Kiosk)(100)는 일반적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 단말기를 의미한다. 키오스크(100)는 일반 대중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키오스크(100)라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제어부(1000), 충전부(1010), 디스플레이부(1100), 컨트롤러 모듈(1200), 위치 조절부(1300), 센서부(1400) 및 통신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이 외에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 표시부(1600), 스피커부(1700), 수어변환 모듈(1800) 및 서비스 모듈(190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100) 본체의 하부에 오목부(110)를 포함한다.
오목부(110)는 키오스크(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일 경우, 장애인의 하체와 휠체어의 일부분을 커버(cover) 또는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오목부(110)는 책상의 다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같은 수용 공간을 휠체어에 탄 장애인에게 제공하여, 해당 장애인이 키오스크(100)를 사용 시, 디스플레이부(1100)와 컨트롤러 모듈(1200)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오목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0)의 하부 또는 컨트롤러 모듈(1200)의 하단과 연결된 부분부터 지면까지 완만하게 원호를 그리면서 키오스크(100) 본체의 내부 쪽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구성되거나 경사진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0)는 센서부(1400)를 통해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를 인식하고, 위치 조절부(1300)를 제어해,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 및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0)는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될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분류,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
충전부(1010)는 키오스크(10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전동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일 경우, 그 전동 휠체어에 탑재된 배터리, 예를 들어 2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충전부(101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전동 휠체어와 충전부(10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충전용 단자(1011)와 충전용 단자(1011)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전동 휠체어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표시등(1012)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 케이블은 전동 휠체어에 연결되기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충전 케이블을 미사용할 경우, 충전부(1010) 내부에 구비된 릴(Reel)에 권선된 상태로 보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케이블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충전용 단자(1011) 또는 충전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것 만으로 릴(Reel)에 감긴 충전 케이블을 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충전부(1010)는 키오스크(100)에 공급되는 전력 중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는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충전부(1010)는 충전부(1010)의 작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전원 인가 버튼(1013) 및/충전 케이블을 회수하여 릴에 권선시키는 케이블 회수 버튼(10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0)는 키오스크(10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전달할 정보 또는 컨텐츠를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일반적인 사용자들 즉, 성인, 어린이를 포함하며, 이 외에도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 즉, 시청각 장애인, 하지 장애인, 지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들이 화면을 터치하는 것 만으로도 키오스크(10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 모듈(1200)은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이 키오스크(100)와 좀 더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은 컨트롤러 모듈에 입력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고, 키오스크(100)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모듈(1200)은 디스플레이부(1100)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 또는 컨텐츠를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를 더 포함한다. 시각 장애인은 이러한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를 통해 표현되는 점자를 촉각으로 인지하여,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컨텐츠를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 모듈(1200)은 키오스크(100)를 볼 수 없는 장애인이 키오스크(100)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나 컨텐츠를 점자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컨트롤러 모듈(1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위치 조절부(1300)는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유압식이나 기어식 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같은 높이조절수단과 볼 베어링, 모터와 같은 다양한 회전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0)는 키오스크(100) 사용자의 키, 눈 높이, 손 동작 및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410)와 키넥트센서(1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0) 상부나, 디스플레이부(1100)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카메라(1410)와 키넥트센서(142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410)나 키넥트센서(1420)를 통해 사용자의 키, 눈 높이, 손 동작 및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은 기존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1500)는 키오스크(100)가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통신부(150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모바일 와이맥스, 무선 LAN, HSDPA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며, 5G 통신 방식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부(1500)는 키오스크(100)가 다른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 모듈(1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100) 본체에 결합되어 키오스크(100)에 내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키오스크(100)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컨트롤러 모듈(1200)이 키오스크(100)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도 제공될 경우, 컨트롤러 모듈(1200)은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240)를 통해, 키오스크(10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 때,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24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5G 통신 연결과 같은 무선 연결 방식과 유선 연결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고 표시부(1600), 스피커부(1700), 수어변환 모듈(1800) 및 서비스 모듈(190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경고 표시부(1600)는 키오스크(100) 사용자에게 위험 등의 요소를 알리기 위한 알람 기능을 가지는 발광 장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경고 표시부(1600)는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100) 상부에 배치되는 알람등 또는 경광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부(1700)는 키오스크(100) 사용자에게 정보와 컨텐츠를 소리로 전달하고, 위험 등의 요소를 알리기 위한 알람 소리를 생성하는 스피커 장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피커부(1700)는 도 2에 도시된 센서부(14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스피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수어변환 모듈(1800)은 센서부(1400)를 통해, 사용자의 손, 몸 동작 및 얼굴 표정을 캡쳐 및/또는 녹화하여 사용자가 수어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수어변환 모듈(1800)이 센서부(1400)를 통해 캡쳐 및/또는 녹화된 사용자의 손, 몸 동작 및 얼굴 표정에 수어 또는 이와 관련된 제스쳐가 있다고 판단하면, 수어변환 모듈(1800)은 사용자가 표현하는 수어 또는 제스쳐를 인식 및 기록하고, 이를 자연어로 변환한다.
또한, 수어변환 모듈(1800)이 수어나 제스쳐가 변환된 자연어를 키오스크(1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커맨드로 분류하면, 키오스크(100) 및 키오스크(100)에 포함된 제어부(1000)는 해당 입력 커맨드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 외에도, 수어변환 모듈(1800)은 수어를 표현할 수 있는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고, 해당 캐릭터 애니메이션이 디스플레이부(1100)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나 컨텐츠를 수어로 표현하도록 할 수 있다. 수어변환 모듈(1800)이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될 정보나 컨텐츠를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통해 수어로 표현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서비스 모듈(1900)은 사용자가 키오스크(100)를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 서비스, 콜택시 호출 서비스 및/또는 차량의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와 같은 부가적인 서비스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개별적인 모듈들의 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모듈(1900)에 포함되는 결제 서비스 모듈은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카드 투입구(1901), 영수증 출력 장치(1902), 신용카드 정보 리더 장치 및 결제 정보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 모듈(12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1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1200)에 대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의 평면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1200)은 예시적으로 키패드부(1210), 터치패드부(1220),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240), 마이크부(1250), 특수버튼부(1260) 및 헤드셋 접속부(1270)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부(1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커맨드를 문자, 기호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키패드들은 번호와 함께 일정한 점자를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이 고유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또한, 키패드부(1210)는 복수의 화면 스크롤 버튼들(1211a, 1211b), 선택 확인 버튼(1212), 새로운 윈도우 오픈 버튼(1213), 선택 취소 버튼(1214)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부(1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플리킹(flicking), 태핑(tapping), 스와이핑(swiping), 슬라이딩(sliding), 로테이팅(rotating)을 포함하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패드로 구성된다.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는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100)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을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는 개별 점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들(12310)을 포함하는 점자 세그먼트(1231)를 포함한다. 한편,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디스플레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키오스크(1000)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쉽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자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표현된 '점자디스플레이'장치를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나의 점자 세그먼트(1231)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돌기들(12310, 1231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개별 돌기들(12310, 12311)은 전기 신호에 의해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의 기판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압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점자 세그먼트(1231)와 인접한 다른 점자 세그먼트(1232) 역시,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돌기들(12320, 1232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점자 세그먼트들(1231, 1232)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를 구성한다.
여기서 의미하는 전기 신호는,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100)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는 문단 변환키(1233)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문단 변환키(1233)는 다수의 점자들로 여러 문장들이 구성될 경우, 문단 간 전환이 쉽도록 한다. 도 5에서는 이러한 문단 변환키(1233)가 복수의 점자 세그먼트들(1231, 1232) 양 옆으로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단 변환키(1233)는 업-키(up-key)(1233a)와 다운-키(down-key)(123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업-키(1233a)를 누르면 점자로 구성된 복수의 문단 중 상위 문단을 선택하여 점자 세그먼트 별(1231, 1232)로 점자를 형성하여 표시하고, 다운-키(1233b)를 누르면 하위 문단을 선택하여 점자 세그먼트 별(1231, 1232)로 점자로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들은 주로 사용하는 손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여부를 떠나서,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를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단 변환키(1233)를 복수의 점자 세그먼트들(1231, 1232) 양 옆으로 배치하였다. 즉, 키오스크(100)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이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일 경우, 왼손으로 문단 변환키(1233)를 조작하고, 복수의 점자 세그먼트들(1231, 1232)를 오른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키오스크(100)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이 왼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일 경우, 오른손으로 문단 변환키(1233)를 조작하고, 복수의 점자 세그먼트들(1231, 1232)를 왼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단 변환키(1233)'는 '업-키(up-key)(1233a)'와 '다운-키(down-key)(1233b)'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지만, '이전글 버튼(1233a)' 및 '다음글 버튼(1233b)'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이전글 버튼(1233a)' 및 '다음글 버튼(1233b)'이라는 용어에서 기능을 유추할 수 있듯이, 점자로 구성된 복수의 문단들이 상하 배열되어 있지 않고 길게 나열되어 있는 경우, '이전글 버튼(1233a)' 또는 '다음글 버튼(1233b)'을 누르면, 길게 나열된 복수의 문단들 중 이전 문단과 다음 문단을 오고 가면서 해당 문단을 점자로 표현할 수 있다.
하나의 점자 세그먼트(1231)에 포함된 개별 돌기들(12310, 12311)은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가 수신한 전기 신호에 따라서 각각 기판으로부터 돌출되거나 기판에 압입되어 하나의 점자를 형성하고, 사용자 중에 시각적으로 장애를 가지는 사용자는 이러한 점자를 촉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나의 점자 세그먼트(1231)는 인접한 다른 점자 세그먼트(1232)와 별개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점자 세그먼트(1232)에 포함된 개별 돌기들(12320, 12321) 역시, 전기 신호에 의해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의 기판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압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나의 점자 세그먼트(1231)는 인접한 다른 점자 세그먼트(1232)와 각각 다른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각각 포함하고 있는 개별 돌기들(12310, 12311, 12320, 12321)의 돌출 및 압입 여부를 달리하여, 하나의 점자 세그먼트(1231)와 다른 점자 세그먼트(1232)가 서로 다른 점자를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개별 돌기들(12310, 12311, 12320, 12321)은, 아이들(IDLE) 상태 즉, 정보나 컨텐츠에 대한 전기 신호가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에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모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가 키오스크(100) 또는 제어부(1000)로부터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에 대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는 개별 돌기들(12310, 12311, 12320, 12321)의 돌출 또는 압입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제1 점자를 표현한다. 여기서, 제1 점자는 키오스크(100) 또는 제어부(1000)로부터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에 대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가 해당 정보 또는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점자를 의미한다.
또한, 개별 돌기들(12310, 12311, 12320, 12321)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돌기들(12310, 12311, 12320, 12321) 중 일부 돌기들이 압력을 받아 압입되면, 압입된 돌기와 돌출된 돌기들에 의해 제2 점자를 형성하며, 동시에 제2 점자에 대한 점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는 점자 신호를 인식하여 제2 점자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커맨드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제2 점자는 사용자가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를 통해 입력한 입력 커맨드로서의 점자를 의미한다.
한편, 컨트롤러 모듈(1200)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24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 모듈(1200)과 키오스크(100)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이 경우에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5G 통신 연결과 같은 무선 연결 방식과 유선 연결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 모듈(1200)은 키오스크(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더라도 키오스크(100)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을 수 있고, 키오스크(100)에 입력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마이크부(125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 및 인식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키오스크(100)에 대한 입력 커맨드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컨트롤러 모듈(1200)에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부(1250)는 빔 포밍(beam foaming) 기능을 가진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마이크에 음성 명령을 입력시켜 키오스크(100)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크부(1250)는 빔 포밍(beam foaming) 기능 외에도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부(1250)는 특정한 공간에서 키오스크(100)가 사용자라고 판단한 사용자를 독립 화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 외 다른 사람의 소리나 주변 소리를 노이즈로 분류하고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나 기법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는 키오스크(100) 관리자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특수 버튼부(126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호출 버튼이나 안내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키패드부(1210)나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를 조작하기 어려운 지적 장애인들이 더욱더 쉽고 간단하게 컨트롤러 모듈(1200)을 조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헤드셋 접속부(1270)는 사용자가 키오스크(100)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셋 및/또는 이어폰을 장착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제공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 모듈(1200)은 예시적으로 가로형 모듈 또는 세로형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 모듈(1200)이 가로형 모듈로 구성될 경우, 키패드부(1210)와 터치패드부(1220), 마이크부(1250) 및 특수버튼부(1260)와 같은 구성들은 언급된 순서대로 횡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는 키패드부(12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 모듈(1200)이 세로형 모듈로 구성될 경우,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부(1210)와 터치패드부(1220), 마이크부(1250) 및 특수버튼부(1260)와 같은 구성들은 언급된 순서대로 종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1230)는 키패드부(12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 모듈(1200)의 세부 구성들 배치 상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인체 공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배치와는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사용자의 키, 눈 높이 또는 키오스크(100)와의 위치 관계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우선, 제어부(1000)는 센서부(1400)에 포함된 센서, 카메라(1410) 또는 키넥트 센서(1420)를 이용하여 키오스크(1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 키 및/또는 눈 높이를 측정 및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0)는 사용자의 위치, 키 및/또는 눈 높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0)를 바라보기에 가장 적합한 높이와 회전 각도를 계산한다.
여기서 높이란,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0)의 상단과 지면이 이루는 높이(h1, h5)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각도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하는 가상의 법선이 디스플레이부(1100)와 이루는 각도들(a1, a2)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센서부(1400)를 통해 측정된 키오스크(1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 키 및/또는 눈 높이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0)를 바라보기에 가장 적합한 높이와 회전 각도를 계산한다.
제어부(1000)가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계산하면, 위치 조절부(1300)를 제어하여,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0)를 d1 또는 d2 방향 즉, 상하로 이동시키고,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0)를 r1 또는 r2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제어부(10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절부(13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고, 디스플레이부(1100)를 회전 또는 틸팅시켜서 디스플레이부(1100)가 지면과 수직인 가상의 선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할 때, 일반적인 평균 성인의 키를 175cm라고 하고, 어린이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눈 높이를 120cm라고 하면, 위치 조절부(1300)를 통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는 140cm에서 170cm의 범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인 평균 성인의 키를 고려하면, 제어부(1000)는 위치 조절부(13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를 h5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h5는 오차범위 ±1~2cm 내에서 170cm에 근접하는 값이 되는 것이 성인의 시야각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린이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눈 높이를 고려하면, 제어부(1000)는 위치 조절부(13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를 h5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h1는 오차범위 ±1~2cm 내에서 140cm에 근접하는 값이 되는 것이 어린이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시야각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위와 같이 가정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100)에서 디스플레이부(1100)와 컨트롤러 모듈(1200) 만을 따로 분리하여 이들의 높이를 h2라고 정의하면, h2는 오차범위 ±1~2cm 내에서 97cm에 근접하는 값이 되는 것이 사용자의 시야각 및 컨트롤러 모듈(1200)에 대한 조작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키오스크(100)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를 h1으로 조절할 경우, 키오스크(100)는 오목부(110)를 통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에게 높이 약 50cm의 레그룸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h1과 h5의 값은 본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으며, 키오스크(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눈 높이 또는 키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눈 높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를 h1과 h5 사이의 값인 167cm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키오스크(100)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에게 약 70cm 높이의 레그룸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든 사용자들의 시야각을 고려할 때,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100)의 폭 w는 오차범위 ±1~2cm 내에서 128cm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의 (a) 및 (b)를 참조할 때, 일반적인 평균 성인의 키를 175cm라고 가정하고 어린이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눈 높이를 120cm라고 하면, 서로 다른 눈 높이를 가진 사용자들 각각의 시야각을 고려해 위치 조절부(1300)가 디스플레이부(1100)를 r1 또는 r2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선과 디스플레이부(1100)가 이루는 각도의 범위가 15°에서 45°사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눈 높이가 120cm일 경우, 위치 조절부(1300)는 디스플레이부(1100)를 r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선과 디스플레이부(1100)가 이루는 각도가 15°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예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75cm의 키를 가지는 성인이 키오스크(100)를 사용할 경우, 위치 조절부(1300)는 디스플레이부(1100)를 r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선과 디스플레이부(1100)가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를 인식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시야각을 고려해, 디스플레이부(1100)의 높이와 틸팅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키오스크(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들과 디스플레이부(110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컨텐츠 및/또는 화면(스크린)을 공유하는 멀티뷰(multi-view) 기능이 구현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멀티뷰(multi-view) 기능을 통해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과 화면 또는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통신부(1500)를 통해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 스마트폰(201), 스마트워치(202), AR 글래스(203) 및/또는 태블릿 디바이스(204)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외부 디바이스들(201, 202, 203, 204)은 키오스크(100)와 화면을 공유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다면, 이를 실행하여,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되는 화면(sc1) 및/또는 컨텐츠들(a, b, c)을 동일하게 자신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멀티뷰(multi-view)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뷰 기능이 구현될 경우,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201, 202, 203, 204)은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되는 화면(sc1)을 그대로 자신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1)은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되는 화면(sc1)을 그대로 자신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202, 203, 204)은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되는 화면(sc1) 전체가 아닌 개별 컨텐츠들(a, b, c)을 각각 자신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워치(202)는 개별 컨텐츠(a)를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으며, AR 글래스(203)는 개별 컨텐츠(a)를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태블릿 디바이스(204)는 개별 컨텐츠(c)를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키오스크(100)가 화면(sc1)을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201, 202, 203, 204)과 공유하기 위해서,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201, 202, 203, 204)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멀티뷰(multi-view) 기능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장애인일 경우, 이러한 멀티뷰(multi-view)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웹 상에 키오스크(100)가 표시 중인 화면(sc1),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표시 또는 업로드하고,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201, 202, 203, 204)이 해당 웹에 선택적 또는 자동적으로 접속하도록 하여,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의 설치 없이도 키오스크(100)와 화면(sc1)을 공유하는 멀티뷰(multi-view)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제어부(1000)가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웹 상에 현재 키오스크(100)가 표시 중인 화면(sc1),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업로드하고,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201, 202, 203, 204)에게 해당 웹에 대한 접속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요청은 사용자가 사용중인 외부 디바이스(201, 202, 203, 204)가 키오스크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경우, 별도의 사용자 승인 없이 자동적으로 해당 외부 디바이스(201, 202, 203, 204)가 웹에 대한 접속 요청을 승낙하여 웹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0)는 이러한 접속 요청을 QR 코드와 같은 접속점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QR 코드 즉, 접속점을 해당 디바이스(201, 202, 203, 204)로 촬영 또는 스캔하여 별도의 사용자 승인 행위에 의해 현재 키오스크(100)가 표시 중인 화면(sc1),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웹으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서버는 키오스크(100)와 별도로 구성된 서버일 수도 있지만, 키오스크(100) 자체적으로 서버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서버 자체가 키오스크(100)화 될 수도 있고, 키오스크(100)가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키오스크(100) 자체적으로 웹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특히, 이렇게 키오스크(100)가 서버 또는 서버의 기능을 포함할 경우, 해당 서버는 반드시 물리적 서버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가상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키오스크(100)가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경우, 클라우드 서버는 웹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제어부(1000)는 가상의 작업 공간에서 웹을 구동하며, 해당 웹에 현재 현재 키오스크(100)가 표시 중인 화면(sc1),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동일하게 표시하거나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디바이스(201, 202, 203, 204)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 설치없이도 키오스크(100)와 화면,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멀티뷰(multi-view)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좀 더 손쉽게 멀티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수어변환 모듈(1800)을 사용하여 수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어를 인식하고, 수어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수어로 정보를 전달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제공하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및 수어를 사용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수어변환 모듈(1800)은 센서부(1400)를 통해, 사용자의 손, 몸 동작 및 얼굴 표정을 캡쳐 및/또는 녹화하여 사용자가 수어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100)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직접 수어 사용 여부를 선택하여 키오스크(100)와 상호 작용에 수어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0)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화면(sc2)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에 해당하면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sc2)에서 일반 사용자 아이콘(ui1)을 선택하여 다음 메뉴로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청각 장애를 가진 사용자이거나, 시각 장애를 가진 사용자라면, 각각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sc2)에서 청각 장애인 아이콘(ui2) 또는 시각 장애인 아이콘(ui3)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시각 장애를 가진 사용자는 직접 디스플레이부(1100)를 볼 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시각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아이콘(ui3)을 클릭하는 대신 사용자가 음성으로 시각 장애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발성을 하면, 키오스크(100)가 이를 인식하여 시각 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직접 이어폰 단자를 찾아 해당 단자에 이어폰을 연결하면, 키오스크(100)가 이를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시각 장애인 아이콘(ui3)을 선택하고 시각 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수어 사용 선택하거나 사용자의 수어 사용이 인식되면, 수어변환 모듈(1800)이 구동된다. 그리고, 수어변환 모듈(1800)은 센서부(1400)를 통해 캡쳐 및/또는 녹화된 사용자의 수어를 데이터베이스(1801)에 저장된 수어 템플릿과 비교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1801)에 접속해 템플릿 검색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언급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수어변환 모듈(1800)이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수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수어변환 모듈(1800)과 별도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수어변환 모듈(180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필요한 경우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수어변환 모듈(1800)이 데이터베이스(1801)를 검색하여, 수어 번역에 기준이 되는 수어 템플릿을 찾으면, 수어변환 모듈(1800)이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수어 번역 모듈(1802)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수어를 수어 템플릿과 비교하여 자연어로 번역한다. 그리고, 번역된 자연어는 사용자가 사용한 수어 및 검색된 수어 템플릿과 한 쌍으로 이루어져 데이터베이스(1801)에 저장되고, 번역 오류가 있는지 검증된다.
또한, 수어 번역 모듈(1802)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나 컨텐츠를 수어로 번역하는 역할도 한다. 제어부(1000)는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현될 정보나 컨텐츠를 수어 번역 모듈(1802)에 제공하여, 해당 정보나 컨텐츠에 포함된 자연어를 수어로 번역하도록 한다.
이러한 자연어가 수어 번역 모듈(1802)에서 수어로 번역되면, 수어변환 모듈(1800)에 포함된 애니메이션 생성 모듈(1803)은 번역된 수어를 수신하여, 해당 수어를 표현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캐릭터(ac)를 생성한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캐릭터(ac)는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sc2)에 등장한 캐릭터(ac)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수어는 정지된 동작으로 표현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이나 제스쳐를 취하면서 표현되는 수어도 있으므로, 애니메이션 생성 모듈(1803)에서 생성된 애니메이션 캐릭터(ac)는 수어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모습이 표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어변환 모듈(1800)은 애니메이션 캐릭터(ac)가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표현되도록 애니메이션 플레이어(1804)를 더 포함한다.
애니메이션 플레이어(1804)는 수어 번역 모듈(1802)에서 번역된 수어에 대한 자연어 스크립트를 전송받아 애니메이션 캐릭터(ac)가 움직이는 모습을 재생하며, 이를 디스플레이부(1100)의 화면(sc2)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렇게 화면(sc2)에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ac)에 의해 표현되는 수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청각 장애인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를 사용하면 수어를 표현하는 것 만으로도 키오스크(100)와 상호 작용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키오스크에 비해 좀 더 쉽게 키오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상황 발생 시, 화면(sc3)에 경고 안내 문구와 경고 안내를 알려주는 애니메이션 캐릭터(ac)를 표시하여 청각 장애인에게도 알람을 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위험 상황을 알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는 화면(sc3)에 경고 안내 문구와 경고 안내를 알려주는 애니메이션 캐릭터(ac)를 표시하는 것 외에도 경고 표시부(1600)에 포함된 경고등의 발광과 스피커부(1700)에서 출력되는 알람 음성 신호를 사용하여 시청각적으로 동시에 알람을 발생시키므로, 키오스크(100) 주변의 일반 사용자부터 시청각적으로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에게 위험 상황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서버
100: 키오스크
1000: 제어부
1100: 디스플레이부
1200: 컨트롤러 모듈
1300: 위치 조절부
1400: 센서부
1500: 통신부
1600: 경고 표시부
1700: 스피커부
1800: 수어변환 모듈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여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컨트롤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커맨드를 문자, 기호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플리킹(flicking), 태핑(tapping), 스와이핑(swiping), 슬라이딩(sliding), 로테이팅(rotating)을 포함하는 제스쳐를 수신하는 터치패드부;
    상기 키오스크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을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 및
    상기 컨트롤러 모듈이 상기 키오스크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는,
    상기 점자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들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모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정보들 또는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에 의해 돌출 또는 압입 여부가 결정되어 제1 점자를 표현하며,
    상기 아이들(IDLE)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돌기들 중 일부 돌기들이 압력을 받아 압입되면, 압입된 돌기와 돌출된 돌기들에 의해 제2 점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점자를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인식하도록 점자 신호를 생성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빔 포밍(beam foaming) 기법으로 특정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를 독립된 화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부; 및
    비상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특수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4.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키오스크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전달할 정보 또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높이,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 조절부;
    상기 사용자의 키, 눈 높이, 손 동작 및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는 컨트롤러 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일 경우, 상기 장애인에게 레그룸을 제공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 또는 컨텐츠를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커맨드를 문자, 기호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플리킹(flicking), 태핑(tapping), 스와이핑(swiping), 슬라이딩(sliding), 로테이팅(rotating)을 포함하는 제스쳐를 수신하는 터치패드부;
    상기 키오스크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을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는,
    상기 점자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들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모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정보들 또는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에 의해 돌출 또는 압입 여부가 결정되어 제1 점자를 표현하며,
    상기 아이들(IDLE)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돌기들 중 일부 돌기들이 압력을 받아 압입되면, 압입된 돌기와 돌출된 돌기들에 의해 제2 점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점자를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인식하도록 점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가 복수일 경우,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이전(before) 및 다음(next)을 선택하거나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가 점자로 표현된 문단들 중 이전 문단 또는 다음 문단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전 버튼 및 다음 버튼을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빔 포밍(beam foaming) 기법으로 특정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를 독립된 화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부; 및
    비상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특수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웹 상에서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상기 웹에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웹에 대한 접속 요청을 전송하거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이 상기 웹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웹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의 작업 공간을 가진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9. 청구항 4에 있어서,
    발광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경고 표시부; 및
    상기 정보, 상기 컨텐츠 및 알람을 소리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사용자가 표현하는 수어 또는 제스쳐를 인식하여 자연어로 변환할 수 있는 수어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어변환 모듈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손, 몸 동작 및 얼굴 표정을 캡쳐 또는 녹화하여 상기 수어를 인식하거나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며,
    인식된 수어나 제스쳐를 자연어로 변환하여 상기 키오스크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커맨드로 분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나 컨텐츠를 수어로 표현하는 캐릭터 에니메이션으로 변환하며,
    상기 캐릭터 에니메이션이 아바타 또는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되거나 표시되도록 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KR1020200097917A 2020-08-05 2020-08-05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KR102249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917A KR102249512B1 (ko) 2020-08-05 2020-08-05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917A KR102249512B1 (ko) 2020-08-05 2020-08-05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512B1 true KR102249512B1 (ko) 2021-05-07

Family

ID=7591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917A KR102249512B1 (ko) 2020-08-05 2020-08-05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5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412B1 (ko) 2022-03-24 2023-01-20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주민생활 통합 지원 서비스를 위한 무인 민원대응 키오스크
KR102526883B1 (ko) * 2022-12-12 2023-05-02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배리어 프리 무인 안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78850A (ko) 2021-11-26 2023-06-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키오스크
KR102678360B1 (ko) * 2022-07-06 2024-06-25 림스솔루션(주) 키오스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307U (ko) * 2010-12-08 2012-06-18 (주)건융아이비씨 시각 및 청각 장애인용 안경형 hmd를 포함한 보장구 시스템
US8351190B1 (en) * 2010-11-30 2013-01-08 James Sneed Self-contained greeting card kiosk apparatus
KR20150123022A (ko) * 2014-04-24 201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자를 입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17810A (ko) * 2017-04-20 2018-10-30 최정태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1190B1 (en) * 2010-11-30 2013-01-08 James Sneed Self-contained greeting card kiosk apparatus
KR20120004307U (ko) * 2010-12-08 2012-06-18 (주)건융아이비씨 시각 및 청각 장애인용 안경형 hmd를 포함한 보장구 시스템
KR20150123022A (ko) * 2014-04-24 201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자를 입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17810A (ko) * 2017-04-20 2018-10-30 최정태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850A (ko) 2021-11-26 2023-06-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키오스크
KR102490412B1 (ko) 2022-03-24 2023-01-20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주민생활 통합 지원 서비스를 위한 무인 민원대응 키오스크
KR102678360B1 (ko) * 2022-07-06 2024-06-25 림스솔루션(주) 키오스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26883B1 (ko) * 2022-12-12 2023-05-02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배리어 프리 무인 안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512B1 (ko)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US10504515B2 (en) Rotation and tilting of a display using voice information
KR101541561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기록 매체
WO2020020063A1 (zh) 对象识别方法及移动终端
WO2014190886A1 (zh) 智能交互系统及其软件系统
WO20131630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utput of content based on human recognition data detection
CN107211020A (zh) 宿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055677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TW201120685A (en) Portable virtual human-machine interaction device and method therewith
CN104364746B (zh) 显示系统、显示装置、显示终端、显示终端的显示方法
CN107529699A (zh)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JP2014220805A (ja) インターフェース画面、ハードウェアリモコン装置、電子デバイス用カバーおよびリモコンシステム
WO2015184701A1 (zh) 单呼即通实况通信终端、方法及工具
CN110941381A (zh) 会议一体机的显示屏亮度调节方法、系统及会议一体机
KR20230001817A (ko)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반응형 키오스크
CN109388471A (zh) 一种导航方法及装置
CN212341838U (zh) 驾驶体验系统
KR20220002061A (ko) 스마트 더블모션 데스크
JP3074677B2 (ja) 伝送手段を介して対話者間の視線を一致させる機構を備えた双方向対話型システム
KR20210045195A (ko) 스마트 도어
JP2970661B2 (ja) モニタ像の表示方法
JPH09130768A (ja) 伝送手段を介して対話者間の視線を一致させる機構を備えた双方向対話型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撮像装置
CN218390216U (zh) 智能云办公投影装置和办公桌家具
CN218478416U (zh) 一种智能交互轿厢及电梯
CN210839889U (zh) 一种智能电视机的3d体感控制设备、智能电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