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512B1 -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9512B1 KR102249512B1 KR1020200097917A KR20200097917A KR102249512B1 KR 102249512 B1 KR102249512 B1 KR 102249512B1 KR 1020200097917 A KR1020200097917 A KR 1020200097917A KR 20200097917 A KR20200097917 A KR 20200097917A KR 102249512 B1 KR102249512 B1 KR 1022495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iosk
- unit
- user
- braill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1000006347 Intellectual Disabil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10 fast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가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가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가 멀티뷰(multi-view) 기능을 통해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과 화면 또는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00)가 제공하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및 수어를 사용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가 위험 상황을 알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100: 키오스크
1000: 제어부
1100: 디스플레이부
1200: 컨트롤러 모듈
1300: 위치 조절부
1400: 센서부
1500: 통신부
1600: 경고 표시부
1700: 스피커부
1800: 수어변환 모듈
Claims (10)
- 사용자로부터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여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컨트롤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커맨드를 문자, 기호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플리킹(flicking), 태핑(tapping), 스와이핑(swiping), 슬라이딩(sliding), 로테이팅(rotating)을 포함하는 제스쳐를 수신하는 터치패드부;
상기 키오스크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을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 및
상기 컨트롤러 모듈이 상기 키오스크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는,
상기 점자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들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모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정보들 또는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에 의해 돌출 또는 압입 여부가 결정되어 제1 점자를 표현하며,
상기 아이들(IDLE)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돌기들 중 일부 돌기들이 압력을 받아 압입되면, 압입된 돌기와 돌출된 돌기들에 의해 제2 점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점자를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인식하도록 점자 신호를 생성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빔 포밍(beam foaming) 기법으로 특정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를 독립된 화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부; 및
비상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특수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키오스크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전달할 정보 또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높이,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 조절부;
상기 사용자의 키, 눈 높이, 손 동작 및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키 또는 눈 높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는 컨트롤러 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일 경우, 상기 장애인에게 레그룸을 제공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 또는 컨텐츠를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커맨드를 문자, 기호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플리킹(flicking), 태핑(tapping), 스와이핑(swiping), 슬라이딩(sliding), 로테이팅(rotating)을 포함하는 제스쳐를 수신하는 터치패드부;
상기 키오스크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들 또는 컨텐츠들을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는,
상기 점자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들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모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정보들 또는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에 의해 돌출 또는 압입 여부가 결정되어 제1 점자를 표현하며,
상기 아이들(IDLE)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돌기들 중 일부 돌기들이 압력을 받아 압입되면, 압입된 돌기와 돌출된 돌기들에 의해 제2 점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점자를 상기 다이내믹 점자 표현부가 인식하도록 점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가 복수일 경우,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의 이전(before) 및 다음(next)을 선택하거나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가 점자로 표현된 문단들 중 이전 문단 또는 다음 문단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전 버튼 및 다음 버튼을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빔 포밍(beam foaming) 기법으로 특정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를 독립된 화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부; 및
비상 호출 버튼을 포함하는 특수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웹 상에서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상기 웹에 상기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웹에 대한 접속 요청을 전송하거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이 상기 웹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웹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의 작업 공간을 가진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 청구항 4에 있어서,
발광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경고 표시부; 및
상기 정보, 상기 컨텐츠 및 알람을 소리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사용자가 표현하는 수어 또는 제스쳐를 인식하여 자연어로 변환할 수 있는 수어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어변환 모듈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손, 몸 동작 및 얼굴 표정을 캡쳐 또는 녹화하여 상기 수어를 인식하거나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며,
인식된 수어나 제스쳐를 자연어로 변환하여 상기 키오스크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커맨드로 분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현되는 정보나 컨텐츠를 수어로 표현하는 캐릭터 에니메이션으로 변환하며,
상기 캐릭터 에니메이션이 아바타 또는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되거나 표시되도록 하는,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917A KR102249512B1 (ko) | 2020-08-05 | 2020-08-05 |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917A KR102249512B1 (ko) | 2020-08-05 | 2020-08-05 |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9512B1 true KR102249512B1 (ko) | 2021-05-07 |
Family
ID=7591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7917A Active KR102249512B1 (ko) | 2020-08-05 | 2020-08-05 |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9512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0412B1 (ko) | 2022-03-24 | 2023-01-20 |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 주민생활 통합 지원 서비스를 위한 무인 민원대응 키오스크 |
KR102526883B1 (ko) * | 2022-12-12 | 2023-05-02 |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 배리어 프리 무인 안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230078850A (ko) | 2021-11-26 | 2023-06-0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키오스크 |
KR20240006275A (ko) * | 2022-07-06 | 2024-01-15 | 림스솔루션(주) | 키오스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WO2024162484A1 (ko) * | 2023-01-30 | 2024-08-08 | 주식회사 리베라빗 | 전동 휠체어 사용자용 키오스크 및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 시스템 |
KR102724369B1 (ko) | 2023-05-19 | 2024-10-31 |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점자패드 및 이의 작동방법 |
KR102726150B1 (ko) * | 2024-01-17 | 2024-11-04 | 이백훈 | 시각장애인을 위한 터치식 도어락 |
KR102770191B1 (ko) * | 2024-11-27 | 2025-02-24 | (주)페르소나에이아이 | 디지털 약자를 위한 배리어프리 ai 대화형 키오스크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4307U (ko) * | 2010-12-08 | 2012-06-18 | (주)건융아이비씨 | 시각 및 청각 장애인용 안경형 hmd를 포함한 보장구 시스템 |
US8351190B1 (en) * | 2010-11-30 | 2013-01-08 | James Sneed | Self-contained greeting card kiosk apparatus |
KR20150123022A (ko) * | 2014-04-24 | 2015-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점자를 입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180117810A (ko) * | 2017-04-20 | 2018-10-30 | 최정태 |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
-
2020
- 2020-08-05 KR KR1020200097917A patent/KR10224951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51190B1 (en) * | 2010-11-30 | 2013-01-08 | James Sneed | Self-contained greeting card kiosk apparatus |
KR20120004307U (ko) * | 2010-12-08 | 2012-06-18 | (주)건융아이비씨 | 시각 및 청각 장애인용 안경형 hmd를 포함한 보장구 시스템 |
KR20150123022A (ko) * | 2014-04-24 | 2015-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점자를 입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180117810A (ko) * | 2017-04-20 | 2018-10-30 | 최정태 |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점자 입력 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8850A (ko) | 2021-11-26 | 2023-06-0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키오스크 |
KR102490412B1 (ko) | 2022-03-24 | 2023-01-20 |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 주민생활 통합 지원 서비스를 위한 무인 민원대응 키오스크 |
KR20240006275A (ko) * | 2022-07-06 | 2024-01-15 | 림스솔루션(주) | 키오스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102678360B1 (ko) * | 2022-07-06 | 2024-06-25 | 림스솔루션(주) | 키오스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102526883B1 (ko) * | 2022-12-12 | 2023-05-02 |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 배리어 프리 무인 안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4162484A1 (ko) * | 2023-01-30 | 2024-08-08 | 주식회사 리베라빗 | 전동 휠체어 사용자용 키오스크 및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 시스템 |
KR102724369B1 (ko) | 2023-05-19 | 2024-10-31 |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점자패드 및 이의 작동방법 |
KR102726150B1 (ko) * | 2024-01-17 | 2024-11-04 | 이백훈 | 시각장애인을 위한 터치식 도어락 |
KR102770191B1 (ko) * | 2024-11-27 | 2025-02-24 | (주)페르소나에이아이 | 디지털 약자를 위한 배리어프리 ai 대화형 키오스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9512B1 (ko) |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 |
US10504515B2 (en) | Rotation and tilting of a display using voice information | |
CN204791023U (zh) | 防盗密交互系统 | |
TW201120685A (en) | Portable virtual human-machine interaction device and method therewith | |
KR102055677B1 (ko) |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 |
CN107211020A (zh) | 宿设备及其控制方法 | |
KR102415552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30001817A (ko) |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반응형 키오스크 | |
CN109388471A (zh) | 一种导航方法及装置 | |
WO2022037551A1 (zh) | 颈部穿戴设备及其系统和颈托设备 | |
CN111432356A (zh) | 数据转换装置 | |
KR102595343B1 (ko) |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 |
JP3074679B2 (ja) | 双方向対話型システム | |
JP3074677B2 (ja) | 伝送手段を介して対話者間の視線を一致させる機構を備えた双方向対話型システム | |
KR20220002061A (ko) | 스마트 더블모션 데스크 | |
KR20210045195A (ko) | 스마트 도어 | |
EP4400942A1 (en) | Touchless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system,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EP4400944A1 (en) | Touchless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system,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based on a mobile device | |
KR102788573B1 (ko) | 사용자 맥락 이해 키오스크 | |
CN218478416U (zh) | 一种智能交互轿厢及电梯 | |
CN218390216U (zh) | 智能云办公投影装置和办公桌家具 | |
EP4400955A1 (en) | Touchless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for presentations | |
US20240103650A1 (en) | Osd system for public-place-device, and self-service device | |
KR20240176661A (ko) | 안면인식 인지기능 포함된 키오스크 | |
KR102018654B1 (ko) |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3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2409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30407 Decision date: 20240923 Appeal identifier: 2023100001407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PJ0202 | Trial for correc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241202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241202 Appeal identifier: 2024105000113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500011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41202 Effective date: 20250314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2503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241202 Decision date: 20250314 Appeal identifier: 2024105000113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ublication date: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