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226A -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226A
KR20110071226A KR1020090127732A KR20090127732A KR20110071226A KR 20110071226 A KR20110071226 A KR 20110071226A KR 1020090127732 A KR1020090127732 A KR 1020090127732A KR 20090127732 A KR20090127732 A KR 20090127732A KR 20110071226 A KR20110071226 A KR 20110071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ignal
symbol posi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라
김건
이용훈
이용태
김진민
백명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7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226A/ko
Priority to EP10195267A priority patent/EP2348653A1/en
Publication of KR2011007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6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broadcas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broadcast or relay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67Common-wave systems, i.e. using separate transmitters operating on substantially the same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4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where broadcast information is gener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7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source locations or destination locations
    • H04H60/79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source locations or destination location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among broadcast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계열 송출 시스템 내의 무선 중계국에서 송출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별도의 자기 식별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국에서 식별 정보를 근거로 수신된 신호가 무선 중계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 송출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AB, TII, Null Symbol, 중계기

Description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Adding Transmit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중계국에서 송출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자신이 식별될 수 있는 별도의 자기 식별정보를 추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계열 송출 시스템 내의 중계국은 수신안테나, 수신부, 송신부 그리고 송출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런 중계국은 처리 방법에 따라 RF 타입, IF 타입, 기저대역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국은 송출국에서 송출된 신호가 약하게 수신되는 지역에 설치되어, 송출국의 전송(송출) 영역을 넓히는 역할을 수행한다.
DAB 계열의 TII(Transmit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신호는 시스템에서 송출국의 식별정보를 담고 있다. DAB 계열의 송출국에서 전송하는 신호의 널 심볼(Null Symbol)에는 TII 신호가 실려있다. TII 신호는 주 아이디(Main ID)와 부 아이디(Sub ID)로 구성된다. 주 아이디는 8비트로 구성된 비트 스트림으로 결정되며, 총 70개의 경우의 수를 가질 수 있다. 부 아이디는 0~23까지의 숫자로 표현되 며, TII 신호에서 일정 파워를 갖는 부 반송파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중계국은 송출국으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포함된 송출국 식별정보를 그대로 재전송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수신국에서는 수신된 신호가 송출국으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구분할 수 없다. 즉, 송출국의 신호와 중계국의 신호가 동시에 수신될 경우, 수신국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두 신호를 구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무선 중계국 에서 송출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별도의 자기 식별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식별정보 추가 장치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계열 송출 시스템 내의 송출국으로부터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에서 널심볼 위치를 찾고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하는 검출 및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계열 송출 시스템 내의 중계국에서 자기 식별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은 상기 송출 시스템 내의 송출국으로부터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전송 신호에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중계국에서 송출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별도의 자기 식별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송출국 및 무선 중계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지역에서 식별 정보를 근거로 수신된 신호를 구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는 RF(Radio Frequency) 타입, IF(Intermediate Frequency) 타입 및 기저대역(Baseband)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수신된 전송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송출국의 식별정보 신호는 전송 신호의 널 심볼(Null Symbol)에 포함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검출부 및 생 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는 수신부(100), RF 대역 통과 필터(200), 검출 및 생성부(300) 및 송신부(400)를 포함하고, RF 타입으로 수신된 전송 신호를 처리한다.
수신부(100)는 프리셀렉터(pre-selector, 110) 및 LNA(Low-Noise Amplifier, 120)를 포함하고,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계열 송출 시스템 내의 송출국으로부터 전송 신호를 수신한다.
RF 대역 통과 필터(200)는 수신된 전송 신호에서 주파수가 RF 대역에 존재하는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검출 및 생성부(300)는 검출부(310) 및 생성부(320)를 포함하고, 수신된 전송 신호에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한다.
검출부(310)는 RF 대역 통과 필터(200)를 거친 전송 신호를 전달받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100)로부터 전송 신호를 직접 전달받는다. 검출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변환부(311),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312), 프레임 동기부(Frame Synch, 313), 심볼 동기부(Symbol Synch, 314) 및 상향 변환부(Up Converter, 315)를 포함하고, 하향 변환부(3111)를 통해 전달된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변환하고, ADC(312)를 통해 하향 변환된 전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다.
검출부(310)는 전송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 후 프레임 동기부(313)를 통해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여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찾는다.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찾은 검출부(310)는 심볼 동기부(314)를 통해 심볼 동기를 수행하여 정확한 심볼 위치를 찾고, 찾은 정확한 심볼 위치를 근거로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보정한다.
생성부(320)는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생성한다.
검출부(310)는 상향 변환부(315)를 통해 생성된 자기 식별정보 신호의 주파수를 상향 변환한다.
검출 및 생성부(300)는 보정된 널 심볼 위치에서 주파수가 상향 변환된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한다.
송신부(400)는 HPA(High Power Amplifier, 410) 및 채널 필터(420)를 포함하고, 자기 식별정보 신호가 추가된 전송 신호를 검출 및 생성부(300)로부터 전달받아 전송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도 4 또는 도 5의 검출부 및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는 수신부(500), IF 대역 통과 필터(600), 검출 및 생성부(700) 및 송신부(800)를 포함하고, IF 타입으로 수신된 전송 신호를 처리한다.
수신부(500)는 프리셀렉터(510), LNA(520) 및 하향 변환부(530)를 포함하고,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계열 송출 시스템 내의 송출국으로부터 전송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500)는 수신된 전송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부(530)를 통해 하향 변환한다.
IF 대역 통과 필터(600)는 하향 변환된 전송 신호에서 주파수가 IF 주파수대에 존재하는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여기서는 IF 대역 통과 필터(600)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SAW(Surface Acoustic Wave)필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검출 및 생성부(700)는 검출부(710) 및 생성부(720)를 포함한다.
검출부(710)로 IF 대역 통과 필터(600)를 거친 전송 신호가 전달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변환부(530)를 통해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전송 신호가 전달된다. 검출부(7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C(711), 프레임 동기부(712) 및 심볼 동기부(713)를 포함하고, 입력된 전송 신호를 ADC(711)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다.
검출부(710)는 전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 후 프레임 동기부(712)를 통해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여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찾는다.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찾은 검출부(710)는 심볼 동기부(713)를 통해 심볼 동기를 수행하여 정확한 심볼 위치를 찾고, 찾은 정확한 심볼 위치를 근거로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보정한다.
생성부(720)는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생성한다.
검출 및 생성부(700)는 보정된 널 심볼 위치에서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한다.
송신부(800)는 상향 변환부(810), HPA(820) 및 채널 필터(830)를 포함한다. 송신부(800)는 검출 및 생성부(700)로부터 전달된 자기 식별정보 신호가 추가된 전송 신호의 주파수를 상향 변환부(810)를 통해 상향 변환한 후 전송한다.
이상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검출부 및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는 수신부(900), 궤환신호부(1000), 검출 및 생성부(1100) 및 송신부(1200)를 포함하고, 기저대역 타입으로 수신된 전송 신호를 처리한다.
수신부(900)는 프리셀렉터(910), LNA(920), 하향 변환기(930) 및 ADC(940)를 포함하고, 수신된 전송 신호에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한다.
하향 변환부(930)는 수신된 전송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한다.
ADC(940)는 하향 변환된 전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다.
궤환신호 제거부(1000)는 감산부(1010) 및 궤환신호 생성부(1020)를 포함하고, 송신안테나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수신안테나로 수신되는 궤환신호(F/B : FeedBack 신호)를 제거한다.
검출 및 생성부(1100)는 검출부(1110) 및 생성부(1120)를 포함한다.
검출부(1110)는 하향 변환부(930)를 통해 주파수가 하향 변환되고, ADC(94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 전송 신호를 전달받는다.
검출부(1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동기부(1111) 및 심볼 동기부(1112)를 포함하고,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 전송 신호에 대해 프레임 동기부(1111)를 통해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여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찾는다.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찾은 검출부(1110)는 심볼 동기부(1112)를 통해 심볼 동기를 수행하여 정확한 심볼 위치를 찾고, 찾은 정확한 심볼 위치를 근거로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보정한다.
생성부(1120)는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생성한다.
검출 및 생성부(1100)는 보정된 널 심볼 위치에서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한다.
송신부(1200)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210), 상향 변환기(1220), HPA(1230) 및 채널 필터(1240)를 포함한다.
송신부(1200)는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한 전송 신호를 검출 및 생성부(1100)로부터 전달받아 DAC(121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된 전송 신호의 주파수 옵셋을 상향 변환기(1220)를 통해 처리한 후 HPA(1230)와 채널 필터(1240)를 거쳐 출력된 전송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수신된 전송 신호를 기저대역 타입으로 처리할 경우, 상향 변환기(1220)는 주파수 옵셋을 처리하는 역할만을 담당하고, RF 타입 또는 IF 타입으로 처리할 경우, 상향 변환부(315, 810)는 상향 변환 및 주파수 옵셋을 함께 처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는 송출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별도의 자기 식별정보(무선 중계국 식별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출국 및 무선 중계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지역(수신국)에서 식별 정보를 근거로 수신된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한 블럭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검출부 및 생성부를 설명한 블럭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한 블럭도.
도 6은 도 4 또는 도 5의 검출부 및 생성부를 설명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를 설명한 블럭도.
도 8은 도 7의 검출부 및 생성부를 설명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수신부 200 : 신호처리부
220 : 검출부 230 : 생성부
300 : 송신부

Claims (15)

  1.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계열 송출 시스템 내의 송출국으로부터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에서 널심볼 위치를 찾고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하는 검출 및 생성부
    를 포함하는 식별정보 추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타입, IF(Intermediate Frequency) 타입 및 기저대역(Baseband)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처리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국은 상기 전송 신호의 널 심볼(Null Symbol)에 자신의 식별정보 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 및 생성부는,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여 널 심볼 위치를 검출하고, 심볼 동기를 수행하여 정확한 심볼 위치를 찾으며, 상기 정확한 심볼 위치를 근거로 상기 검출된 널 심볼 위치를 보정하는 검출부; 및
    상기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보정된 상기 널 심볼 위치에서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RF 타입으로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처리할 경우, 상기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기 전에, RF 대역 통과 필터를 거친 상기 전송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고, 하향 변환된 상기 전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되, 생성된 상기 자기 식별정보 신호의 주파수를 상향 변환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IF 타입으로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처리할 경우, 상기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기 전에,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상기 전송 신호가 IF 대역 통과 필터를 거쳐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전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기저대역 타입으로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처리할 경우,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상기 전송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전환되면, 디지털 신호로 전 환된 상기 전송 신호에 대해 상기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여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검출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한 전송 신호를 상기 검출 및 생성부로부터 전달받아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전달된 상기 전송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된 전송 신호의 주파수 옵셋을 처리하는 상향 변환기
    를 포함하는 것인 식별정보 추가 장치.
  8.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계열 송출 시스템 내의 중계국에서 자기 식별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출 시스템 내의 송출국으로부터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에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별정보 추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타입, IF(Intermediate Frequency) 타입 및 기저대역(Baseband)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중계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국은 상기 전송 신호의 널 심볼(Null Symbol)에 자신의 식별정보 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추가하는 단계는,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여 대략적인 널 심볼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심볼 동기를 수행하여 정확한 심볼 위치를 찾는 단계;
    찾은 상기 정확한 심볼 위치를 근거로 검출된 상기 널 심볼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보정된 상기 널 심볼 위치에서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식별정보 추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RF 타입으로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중계할 경우,
    상기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기 전에,
    RF 대역통과 필터를 거친 상기 전송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단계; 및
    하향 변환된 상기 전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자기 식별정보 신호를 상향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IF 타입으로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중계할 경우,
    상기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기 전에,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상기 전송 신호가 IF 대역통과 필터를 거쳐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전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기저대역 타입으로 수신된 상기 전송 신호를 중계할 경 우,
    상기 널 심볼 위치를 찾는 단계는,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상기 전송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전환되면,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 상기 전송 신호에 대해 상기 프레임 동기를 수행하여 널 심볼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식별정보 추가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식별정보 신호가 추가된 상기 전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추가된 상기 전송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는 단계; 및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된 상기 전송 신호의 주파수 옵셋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식별정보 추가 방법.
KR1020090127732A 2009-12-21 2009-12-21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 KR20110071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732A KR20110071226A (ko) 2009-12-21 2009-12-21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
EP10195267A EP2348653A1 (en) 2009-12-21 2010-12-15 Apparatus and method adding transmit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732A KR20110071226A (ko) 2009-12-21 2009-12-21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226A true KR20110071226A (ko) 2011-06-29

Family

ID=4375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732A KR20110071226A (ko) 2009-12-21 2009-12-21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348653A1 (ko)
KR (1) KR201100712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660A (ko) 2020-12-10 2022-06-17 김동현 각도 조절 기능을 탑재한 비접촉 온도계
KR20230006955A (ko) 2021-07-05 2023-01-12 정현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308B1 (ko) * 2005-01-25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료 이동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구조, 유료이동형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동형 방송 수신기
KR100732036B1 (ko) * 2005-04-21 2007-06-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8677B1 (ko) * 2007-10-29 2010-07-06 한국방송공사 수신신호에 동기 되는 분산중계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660A (ko) 2020-12-10 2022-06-17 김동현 각도 조절 기능을 탑재한 비접촉 온도계
KR20230006955A (ko) 2021-07-05 2023-01-12 정현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튼형 키오스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48653A1 (en)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8265B2 (en) Cell site passive intermodulation detection receiver
US7522556B2 (en) Signal recognition in an on-frequency repeater
KR100540171B1 (ko)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위한 동일채널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100873486B1 (ko)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09410A (ko)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WO20051148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ATH OR DEVICES ON THE PATH OF A COMMUNICATION SIGNAL USING (1+r(T)) AMPLITUDE MODULATION
CN102282893A (zh) 用于小区搜索的方法和装置
US775647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on-channel repeater
US90141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base station cell synchronization in LTE downlink
CN102668658A (zh) Fm信号的基于自相关性的频谱感测
ZA200802968B (en) Itra-frequency and inter-frequency measurement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71226A (ko) 자기 식별정보 추가 장치 및 방법
WO2006040862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9634872B2 (en) Multimode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therefor
JP615865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848360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y apparatus
WO20150661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service using multiple channels
KR20080099553A (ko) 동일채널 중계장치 및 그 방법
JP2009077224A (ja) 無線通信装置
KR20040108468A (ko) 시분할 이중화 시스템에서 기지국 신호로부터 송수신스위칭 동기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EP3977641A1 (en) Repeater system using umbrella base station
JP4914321B2 (ja) 地上デジタル放送波受信装置
KR100763580B1 (ko) 부분상관을 이용한 식별신호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100813238B1 (ko) 전대역 듀플렉서
JP6866920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タイミング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