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323B1 -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323B1
KR101411323B1 KR1020070086275A KR20070086275A KR101411323B1 KR 101411323 B1 KR101411323 B1 KR 101411323B1 KR 1020070086275 A KR1020070086275 A KR 1020070086275A KR 20070086275 A KR20070086275 A KR 20070086275A KR 101411323 B1 KR101411323 B1 KR 10141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display
display unit
siz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628A (ko
Inventor
박성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3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를 축소 또는 잘림 없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 또는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가로 이미지 또는 세로 이미지를 각각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이미지 축소, 이미지 잘림, 사이즈 정보, 회전 정보, 표시부, 배치방향, 가로 이미지, 세로 이미지

Description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 화상을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비율이 가로 비율보다 세로 비율이 큰 경우, 즉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가로 이미지는 이를 축소하거나 잘라서 디스플레이할 수밖에 없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가로로 배치한 경우에는, 세로 이미지를 축소 또는 잘림으로 디스플레이 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이미지가 축소 또는 잘리는 경우에는 관측자가 이미지를 확인 및 감상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의 축소 또는 잘림 없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의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입력하는 인터페 이스부와,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이즈 정보에 따른 상기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비교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배치방향이 가로인지 세로인지 판단하는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의 사이즈 정보는 이미지의 가로 길이 또는 폭, 세로 길이 또는 높이, 해상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즈 정보로 해상도 정보를 포함할 경우, 가로:세로의 어스펙트 비율에서 가로 비율이 세로 비율보다 크다면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에서 이미지의 배치방향이 가로이고, 가로 비율이 세로 비율보다 작다면 이미지의 배치방향이 세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는 표시부를 회전하여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는 상기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구동부는 상기 표시부에 배치된 자석 및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에 배치되고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을 갖는 전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력 또는 척력으로 표시부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할 수도 있 으며, 또는 프레임에 접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접할 경우 구동부는 표시부의 모서리에 배치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와 프레임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자석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는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을 이동시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표시부의 일 영역을 가림으로써 그 배치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표시부를 둘러싸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 측으로부터 나와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 측과 인접한 다른 측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덮개부가 감기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이미지의 제1 사이즈 정보와 회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미지가 정(正)방향으로 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와,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가 정(正)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으면 정(正)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이미지로 상기 제1 이미지를 재정렬하여 제2 이미지의 제2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 재정렬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2 사이즈 정보에 따른 상기 제2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비교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 정보로 이미지 촬영시 촬영장치의 배치정보, 얼굴인식정보, 환경인식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장치를 왼쪽으로 90°회전하여 촬영하는 경우 배치정보는 "left", 오른쪽으로 90°회전하여 촬영하는 경우 배치정보는 "right"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얼굴인식정보는 인물 얼굴의 위, 아래, 좌우를 구별하여 회전정보로 이용할 수 있으며, 환경인식정보도 나무 등의 환경의 위, 아래, 좌우를 구별하여 회전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정보가 얼굴인식정보 또는 환경인식정보인 경우,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는 얼굴 이미지 또는 환경 이미지가 정방향으로 배치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으로 배치됨은 상기 얼굴 또는 환경이 바로 서있는 것을 의미한다. 얼굴의 경우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눈,코, 입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은 예를 들어 나무가 바로 서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부를 이용하여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일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노출된 표시부 전체에 이미지를 축소 또는 잘림 없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 또는 회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의 배치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일치하도록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이미지를 축소 또는 잘림 없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의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은 이미지를 정(正) 방향으로 배치하고, 정(正) 방향으로 배치된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배치방향을 판단하며, 정(正) 방향으로 배치된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동일하도록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회전 모터, 자석 등을 이용하여 표시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배치방향을 변경 가능하며, 또한 표시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의 일부를 이용하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표시부의 일 영역을 덮어 가림으로써 노출된 표시부의 나머지 영역에 가로 이미지 또는 세로 이미지를 꽉 채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관측자로 하여금 이미지를 잘림 또는 축소함 없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회전 정보와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제공 받아, 상기 회전 정보 및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부(10), 입력부(20), 메모리(30), 이미지 재정렬부(40), 인터페이스부(50), 표시부(60), 구동부(70), 감지부(80), 판단부(90) 및 신호 처리부(100)를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부(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0)는 외장, 내장형의 배터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곳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키패드, OSD(ON Screen Display), 터치 스크린, 리모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30)는 최초로 입력된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회전 정보에 따라 재정렬된 이미지 파일을 임시로 저장 가능 하며, 그리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소정 시간 저장할 수 있는 내장형 저장부의 기능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30)는 각 기능에 적합하도록 램(RAM), 롬(ROM), 플래쉬 메모리 등의 적어도 둘 이상의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 재정렬부(40)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회전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재정렬한다. 이미지 재정렬부(40)는 이미지를 정(正) 방향으로 재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정(正) 방향이라 함은 지면에 대해 피사체가 바로 서 있는 모습을 정방향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물 이미지의 경우 인물의 얼굴에서 지면을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로 눈, 코, 입 순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 재정렬부(40)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판단부(90)의 판단에 따라 이미지를 재정렬한다.
인터페이스부(50)는 메모리 카드, HDD, FD 등과 같은 외장형 저장부와 접속하여 상기 외장형 저장부로부터 회전 정보와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을 읽어올 수 있다. 외장형 저장부는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정보제공사이트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등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부(50)는 상기 외장형 저장부와 유,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제공 받을 수도 있다.
표시부(60)는 회전 정보에 따라 재정렬된 이미지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부(60)는 액정 표시장치(LCD),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OLED),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70)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판단부(90)의 판단에 따라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70)는 표시부(60)를 회전하여 그 배치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70)는 표시부(6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자석과, 상기 표시부(60)를 둘러싸는 프레임에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을 갖는 전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60)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배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70)는 표시부(60)를 둘러싸는 프레임으로 상기 표시부(60)의 일부를 가리어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70)의 장치적인 요소들은 도 5 내지 11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감지부(80)는 상기 표시부(60)의 배치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80)는 구동부(70)의 동작 상태, 또는 표시부(60)의 위치 상태 등을 감지하여 그 배치 상 태가 가로인지 세로 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구동부(7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로는 예를 들어, 회전 모터의 스텝 수를 계산 또는 인식하여 표시부(60)의 배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에 장착된 복수의 전자석들 중 어느 위치에 장착된 전자석과 자석이 매칭되는지 여부, 상기 표시부(60)일 영역을 가리는 덮개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표시부(60)의 배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부(80)는 표시부(60) 또는 프레임 등에 지면에 대해 얼마나 기울어지는 감지하는 경사 센서 등을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60)의 배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60)의 배치 상태를 감지함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가로 비율이 세로 비율보다 큰 경우 가로 배치 상태, 그 반대이면 세로 배치 상태로 감지함을 의미한다.
판단부(90)는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92)와, 이미지 배치방향과 표시부(60) 배치방향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비교판단부(94)를 포함한다. 그리고 판단부(90)는 이미지 배치방향이 가로인지 세로인지를 판단하는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92)는 이미지 파일의 회전 정보에 따라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정(正) 방향이라 함은 지면에 대해 피사체가 바로 서 있는 이미지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92)에서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판단 결과를 이미지 재정렬부(40)에 전송하여 이미지 재정렬부(40)에서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재정렬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이미지의 제1 사이 즈 정보와 회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파일이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된 경우,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92)는 상기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92)의 판단 결과 제1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으면, 이미지 재정렬부(40)에서 제1 이미지를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이미지로 재정렬하여 제2 이미지의 제2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재정렬 전의 제1 사이즈 정보와 재정렬 후의 제2 사이즈 정보는 일치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비교판단부(94)는 이미지 배치방향과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미지 배치방향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여기서 사이즈 정보라 함은 이미지의 가로 길이 또는 폭, 세로 길이 또는 높이, 해상도 정보,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의 1024*768 해상도 정보로부터 4:3 어스펙트(Aspect) 비율인 사이즈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가 4:3이면 상기 이미지의 배치방향은 가로이다. 그리고 감지부(80)로부터 감지된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세로이면, 즉 표시부(60)의 화면 비율이 3:4 이면 비교판단부(94)는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또는 감지부(80)로부터 감지된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가로이면, 즉 표시부(60)의 화면 비율이 4:3이면 비교판단부(94)는 이미지 및 표시부(60) 각각의 배치방향이 일치한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은 비교판단부(94)의 판단 결과는 구동부(70)로 전송되어, 구동 부(70)에서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변경한다. 비교판단부(94)의 판단 결과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구동부(70)에서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배치방향은 가로이고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은 세로라면, 구동부(70)는 회전 모터를 이용하여 표시부(60)를 90°회전시킨다.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96)는 이미지 파일의 배치방향을 판단한다.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가로 비율이 세로 비율보다 크면 이미지 파일의 배치방향을 가로로 판단하고, 가로 비율이 세로 비율보다 작으면 세로로 판단한다.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가 4:3 또는 3:4로 고정된 경우에는 4:3 일 때를 가로 3:4일 때는 세로로 판단하면 되지만, 다양한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의 경우에는 각 이미지 파일의 배치 정보를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96)에서 사이즈 정보의 가로 비율과 세로 비율을 비교 판단하여 각 이미지의 배치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가 4:3이라면 가로 비율이 세로 비율보다 크므로 상기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96)는 제1 이미지 파일의 배치방향을 가로로 판단한다. 제2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가 2:3이면 가로 비율보다 세로 비율이 크므로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96)는 제2 이미지 파일의 배치방향을 세로로 판단한다. 또는 제3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가 9:16이면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96)는 제2 이미지 파일의 배치방향을 세로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96)의 판단에 따른 이미지 배치방향과 감지 부(80)에서 감지된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비교판단부(94)에서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0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구성부에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정보와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재정렬한 후 사이즈 정보에 따라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비교 판단하여,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 가능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재정렬 없이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재정렬하는 이미지 재정렬부(40)와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92)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이미지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 화상을 나타낼 수 있는 전자 액자, TV, PC 모니터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의 화면 비율이 4:3이고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 정보가 4:3 또는 3:4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제1 이미지의 제1 사이즈 정보와 회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파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하고(S11), 상기 이미지 파일을 분석 한다(S12).
상기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회전 정보를 추출한다(S13). 상기 회전 정보는 촬영 당시의 촬영 장치의 배치 정보, 얼굴인식정보, 환경인식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정보는 이미지 촬영 당시 자동으로 생성되어 이미지 파일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이미지 촬영 후 사용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어 이미지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정보로부터 제1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는지 판단한다(S14). 예를 들어 입력된 이미지 파일들은 도 3a와 같은 이미지들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첫 번째 이미지 파일은 사이즈 정보가 3:4로 바로 서 있는 인물의 전신 이미지(1a)로 디스플레이되고, 두 번째 이미지 파일은 사이즈 정보가 3:4로, 바로 서 있는 인물의 옆면 이미지(2a)로 디스플레이되며, 세 번째 이미지 파일은 사이즈 정보가 4:3으로 거꾸로 서 있는 2명의 상반신 이미지(3a)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네 번째 이미지 파일은 4:3의 사이즈 정보를 가지며 우측으로 90°회전된 이미지(4a)를 포함한다.
첫 번째 이미지(1a)와 두 번째 이미지(2a)는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어 재정렬이 필요 없으며, 세 번째 이미지(3a)와 네 번째 이미지(4a)는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아 이미지 재정렬이 필요하다.
재정렬 전의 제1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이미지를 재정렬한다(S15). 따라서 제1 이미지를 정(正)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이미지로 재정렬하여, 제2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세 번째 이미지(3a)와 네 번째 이미지(4a)는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아 재정렬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3b와 같은 이미지들로 재정렬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재정렬 후, 첫 번째 이미지(1b)와 두 번째 이미지(2b)는 입력된 이미지와 같이 3:4의 사이즈 정보를 갖는 이미지들로 디스플레이되고, 세 번째 이미지(3b)는 4:3의 사이즈 정보를 갖는 2명의 상반신 인물들이 바로 서 있는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되며, 네 번째 이미지(4b)는 3:4 사이즈 정보를 갖는 나무가 바로 서 있는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미지를 재정렬하는 경우, 세 번째 이미지(3b)와 같이 재정렬 전의 제1 이미지의 제1 사이즈 정보와 재정렬 후의 제2 이미지의 제2 사이즈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네 번째 이미지(4b)와 같이 제1 사이즈 정보가 재정렬 후의 제2 사이즈 정보와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은 경우, 제1 이미지를 재정렬하여 정(正)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이미지로 정렬하여 제2 이미지의 제2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재정렬된 복수의 제2 이미지 파일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다(S16).
또는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이미지 재정렬을 하지 않으며, 재정렬되지 않은 복수의 제1 이미지 파일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다(S16).
추출된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배치방향과 표시부 배치방향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7). 표시부의 배치방향은 감지부에 의해 미리 감지 및 인식될 수 있다.
일치하지 않으면,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한다(S18). 구동부를 이용하여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데, 이는 이후 도 5 내지 11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한 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9).
또는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일치하면,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함 없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9).
이미지 디스플레이 후, 다음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0). 다음 이미지 파일이 존재한다면, 다음 이미지 파일로부터 사이즈 정보를 추출하여(S16)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다음 이미지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전 이미지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하거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S21).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OFF) 시킬 수도 있으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재생 모드를 종료할 수도 있다.
도 4는 서로 다른 사이즈 정보를 갖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4:3 사이즈 정보를 갖는 이미지 파일, 2:3 사이즈 정보를 갖는 이미지 파일, 9:16 사이즈 정보를 갖는 이미지 파일들을 4:3 화면 비율의 표시부를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미지 파일들을 입력하여(S31), 분석한다(S32). 상기 이미지 파일들로부터 회전 정보를 추출하여(S33),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는지 판단한다(S34). 그리고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으면 이미지를 재정렬하 여(S35) 재정렬된 이미지의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다(S36). 또는 이미지가 정(正) 방향으로 배치되면 재정렬하지 않고 사이즈 정보를 추출한다(S36).
상기 사이즈 정보로부터 이미지 배치방향이 가로인지 판단한다(S37). 예를 들어, 4:3 사이즈 정보를 갖는 이미지 파일은 가로 비율이 세로 비율보다 크므로 이미지 배치방향을 가로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미지 배치방향이 가로인 경우,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가로인지 판단한다(S38). 표시부의 배치방향은 감지부를 통해 알 수 있으며, 표시부의 화면 비율이 4:3이면 그 배치방향은 가로이다. 표시부의 배치방향도 가로이면,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일치하므로 상기 표시부에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한다(S41). 또는 표시부의 화면 비율이 3:4라면 그 배치방향이 세로이므로,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한다(S39). 따라서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가로로 변경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S41).
이미지 파일이 2:3의 사이즈 정보를 갖는 경우, 이미지의 배치방향은 세로로, 즉 가로가 아님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세로인지 판단한다(S40). 표시부의 화면 비율이 3:4로 그 배치방향이 세로이면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S41),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가로이면 그 배치방향을 변경한다(S39). 그리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S41).
이미지 디스플레이 후에, 다음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42), 존재하지 않으면 이전 이미지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하거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종료한다(S43). 다음 이미지가 존재한다면 예를 들어 9:16의 사이즈 정보를 갖는 다음 이미지 파일이 존재한다면 다음 이미지 파일로부터 사이즈 정보를 추출하고 이미지의 배치방향이 가로인지 판단한다. 9:16의 사이즈 정보를 가지므로 상기 다음 이미지의 배치방향은 가로가 아니고, 세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이하, 도 5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5, 6a 및 6b를 참조하여 모터를 이용하여 표시부를 회전시켜 그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60)를 둘러싸는 프레임(151)과 상기 표시부(60)를 지지하는 스탠드부(162) 및 상기 스탠드부(162)를 지지하는 본체부(160)를 구비한다. 스탠드부(162) 및 본체부(160)는 도 1에 도시된 판단부(90), 신호 처리부(100) 등의 각 구성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체부(160)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기능 버튼들의 입력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60) 및 스탠드부(162)는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부들의 외장 케이스 역할을 한다.
표시부(60)의 뒷면에 돌출 부재로서 제1 연결부(71)가 형성되고, 스탠드부(162)에 제1 연결부(71)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72)가 형성된다. 제1 연결부(71)와 제2 연결부(72)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스탠드부(162)에는 제2 연결부(72)를 통해 제1 연결부(7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73)를 구비한다. 따라서 모터(73)를 작동시켜 표시부(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와 연결하여 보면, 상기 제1 연결 부(71), 제2 연결부(72) 및 모터(73)는 구동부(70)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9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부(70)는, 구체적으로 모터(73)는 제2 연결부(72)를 통해 제1 연결부(71)를 회전시킴으로써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로 변경하기 위하여, 모터(73)의 스텝 수를 조절함으로써 표시부(60)를 90°만큼 회전할 수 있다.
도 6a는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가로인 경우 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세로인 경우 세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8 9a 및 9b를 참조하여 표시부를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회전시켜 그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도 표시부(60)를 둘러싸는 프레임(152)과,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162) 및 상기 스탠드부(162)를 지지하는 본체부(160)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152)은 원형으로 표시부(60)와 접하면서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구동부(도 1의 70)로서, 표시부(60)의 모서리에 형성된 자석(76)과 프레임(152)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들(74a, 74b, 74c, 74d, 75a, 75b, 75c, 75d)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60)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때 표시부(60)의 네 모서리들과 가장 근접한 프레임(152)의 위치에 제1 전자석들(74a, 74b, 74c, 74d) 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자석들(74a, 74b, 74c, 74d)에 제1 방향의 전류를 흘려주어 표시부(60)의 모서리에 배치된 자석(76)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표시부(60)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는 표시부(60)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때 표시부(60)의 네 모서리들과 가장 근접한 프레임(152)의 위치에 제2 전자석들(75a, 75b, 75c, 75d)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들(75a, 75b, 75c, 75d)에 제1 방향의 전류를 흘려주어 표시부(60)의 모서리에 배치된 자석(76)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표시부(60)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들(74a, 74b, 74c, 74d, 75a, 75b, 75c, 75d)에 제2 방향의 전류를 흘려주어 상기 자석(76)과 척력이 발생하거나 제1 방향의 전류를 흘려주어 자석(76)과 인력이 번갈아 발생하도록 하여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가로에서 세로 또는 세로에서 가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석들(74a, 74b, 74c, 74d)에 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 전자석들(74a, 74b, 74c, 74d)에 자석(76)이 고정되면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가로로 감지할 수 있고, 제2 전자석들(75a, 75b, 75c, 75d)에도 센서를 더 구비하여 제2 전자석들(75a, 75b, 75c, 75d)에 자석(76)이 고정되면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세로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60)에 제어 신호 등을 인가하기 위하여 스탠드부(162) 또는 본체부(160)로부터 연결되는 케이블(16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신호는 무선으로도 표시부(6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전자석들(74a, 74b, 74c, 74d, 75a, 75b, 75c, 75d)을 구비함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52)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전자석들을 구비하여 표시부(60)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60)는 프레임(152)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전자석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으나, 프레임(152)과 접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부(60)와 프레임(152)이 접하는 경우,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표시부(60)의 네 모서리에는 롤러(77)를 구비하고, 프레임(152)의 본체부(152a)에 롤러(77)가 지날 수 있는 가이드부(152b)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52b)는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77)의 회전축을 자석(76)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롤러(77) 전체를 자석(76)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a는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가로인 경우 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세로인 경우 세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a, 10b 및 11을 참조하여 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를 가림으로써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세로로, 표시부(60)의 상단 일 영역(60a)을 가려서 가로 이미지를 잘림 없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예를 들어, 표시부(60)의 화면 비율이 3:4로 그 배치방향이 세로이다. 따라서 표시부(60)의 화면 전체를 이용하여 세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표시부(60)의 상단(또는 하단도 가능)의 일 영역(60a)을 덮개부(153b)로 가리어 노출된 표시부(60)의 나머지 영역(60b)의 화면 비율이 4:3으로 그 배치방향을 가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0b는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이 가로로, 예를 들어 그 화면 비율이 4:3이다. 따라서 표시부(60)의 화면 전체를 이용하여 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60)의 좌측(또는 우측도 가능) 일 영역(60a)을 덮개부(153b)로 가리어 노출된 표시부(60)의 나머지 영역의 화면 비율을 3:4로 변경하여, 즉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세로로 변경하여 세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의 전체 화면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 10a에 도시된 덮개부(153b)와 도 10b에 도시된 덮개부(153b)를 모두 구비하여, 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도 10a에 도시된 덮개부(153b)가 표시부의 상단 일 영역(60a)을 가리고, 세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도 10b에 도시된 덮개부(153b)가 표시부의 좌측 일 영역(60a)을 가리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153b)들은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되어 각각에 해당하는 표시부(60)의 일 영역(60a)을 가려야 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프레임은 표시부(60)를 둘러싸는 본체부(153a), 상기 본체부(153a)의 적어도 일 측으로부터 나와 표시부(60)의 일 영역(60a)을 덮는 덮개부(153b), 및 본체부(153a)의 일 측과 인접한 다른 측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53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53b)는 본체부(153a)와 같은 색, 재질 또는 무늬를 갖는 것으로, 마치 프레임의 일 부로 관측자에게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부(153b)가 본체부(153a)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롤에 감기기 위해서는 접혀질 수 있도록 복수의 플라스틱 막대들과, 이들의 이음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약국 등의 상점의 문과 같은 원리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53c)는 상기 덮개부(153b)가 이탈하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덮개부(153b)의 측면이 삽입될 수 있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덮개부는 천과 같이 용이하게 롤에 감기는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천을 잡아당기는 피니언(pinion)이 더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는 상기 피니언이과 맞물리는 요철 구조의 랙(rack)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53b)를 이동시켜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구동부는 덮개부가 감기는 회전축(78)과, 상기 회전축(78)을 회전시키는 모터(7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8)과 상기 모터(79)는 프레임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회전축(78)이 회전하여 덮개부(153b)가 풀림으로써 본체부(153a)로부터 표시부(60)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153b)가 본체부(153a)로부터 나올 수 있는 출입구(153d)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의 일 부인 덮개부(153b)를 이용하여 표시부(60)의 배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상기에서 상술된 것은 일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덮개부(153b) 등을 설계하는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53b)의 재질, 구동 방법 등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 하며, 상기 덮개부(153b)를 이용하여 표시부(60)를 가려 그 배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및 3b 각각은 이미지를 재정렬하기 전 및 한 후 전 및 후의 이미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6a 및 6b는 표시부를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그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8 9a 및 9b는 표시부를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회전시켜 그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10b 및 11은 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표시부를 가림으로써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Claims (8)

  1. 이미지의 제1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이미지가 정(正)방향으로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이미지 정방향 판단부;
    상기 사이즈 정보에 따른 상기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일치하는지 비교 판단하는 비교판단부; 및
    상기 비교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배치방향이 가로인지 세로인지 판단하는 이미지 배치방향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부를 회전하여 표시부의 배치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부에 배치된 자석 및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에 배치되고,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을 갖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을 이동시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표시부의 일 영역을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 측으로부터 나와 상기 표시부의 일 영역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 측과 인접한 다른 측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덮개부가 감기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86275A 2007-08-27 2007-08-27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1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75A KR101411323B1 (ko) 2007-08-27 2007-08-27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275A KR101411323B1 (ko) 2007-08-27 2007-08-27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628A KR20090021628A (ko) 2009-03-04
KR101411323B1 true KR101411323B1 (ko) 2014-06-24

Family

ID=4069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275A KR101411323B1 (ko) 2007-08-27 2007-08-27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0989B2 (en) 2020-01-03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648B1 (ko) * 2010-05-04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598428A1 (en) 2018-07-17 2020-01-22 Thomson Licensing Device and method for image display
CN111679731A (zh) 2019-03-11 2020-09-18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004A (ja) * 2003-10-17 2005-05-12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装置、携帯電話、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5253003A (ja) * 2004-03-08 2005-09-15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6086848A (ja) * 2004-09-16 2006-03-30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スライド表示起動方法およびスライド表示起動プログラム
KR20070010758A (ko) * 2005-07-20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부 회전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영상이미지출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004A (ja) * 2003-10-17 2005-05-12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装置、携帯電話、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5253003A (ja) * 2004-03-08 2005-09-15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6086848A (ja) * 2004-09-16 2006-03-30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スライド表示起動方法およびスライド表示起動プログラム
KR20070010758A (ko) * 2005-07-20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부 회전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영상이미지출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0989B2 (en) 2020-01-03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628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59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콘텐트 표시 방법
KR101351166B1 (ko) 모바일 정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7436674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panel
KR101411323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69977A1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40262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US9865033B1 (en) Motion-based image views
WO2015053188A1 (ja) 表示装置及び画像変形方法
US11403973B2 (en) Display apparatus
US20150215532A1 (en) Panoramic image capture
KR20180018941A (ko)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177380A1 (en) Vision assistive devices and user interfaces
KR102452199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US11543894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132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074629A5 (ko)
US20070216762A1 (en) Video Device
KR20120064831A (ko) 3차원카메라장치 및 3차원카메라장치 제어방법
JP201110128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2060547A (ja) 電子鏡システム
KR102432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244666B2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99793B1 (ko) 전방향 열람이 가능한 전자탁자
JP2012198385A (ja) 立体表示装置
JP2005086773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