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550A -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550A
KR20100121550A KR1020107022798A KR20107022798A KR20100121550A KR 20100121550 A KR20100121550 A KR 20100121550A KR 1020107022798 A KR1020107022798 A KR 1020107022798A KR 20107022798 A KR20107022798 A KR 20107022798A KR 20100121550 A KR20100121550 A KR 20100121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unit
us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후지모토
겐지 고하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화상의 표시방향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제 1 변환기(8) 측이 자기 앞으로 오도록 든 경우에, 사용자는 제 1 변환키(8)를 누르게 된다.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변환키(8)가 눌러지면, CPU(100)는, 표시방향이, 제 1 변환키(8)가 아래가 되는 제 1 방향이 되도록, 표시화상을 표시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제 2 변환키(9) 측이 자기 앞으로 오도록 든 경우, 사용자는 제 2 변환키99)를 누르게 된다. 사용자에 의하여 제 2 변환키(9)가 눌러지면, CPU(100)는, 표시방향이, 제 2 변환키(9)가 아래가 되는 제 2 방향이 되도록, 표시화상을 표시시킨다.

Description

화상 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에서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가 개별로 배치되어 있다. 폴더식 휴대 전화기나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서는, 비사용 시에는 표시부와 조작부가 서로 겹쳐져 있으나, 사용 시에는, 표시부가 회동 또는 슬라이드됨으로써, 표시부와 조작부가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이 배치로 하는 것은, 표시부를 보면서 조작부에 의한 입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휴대 전화기에서, 표시부에 텔레비전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휴대 전화기가 세로방향 자세로부터 가로방향 자세로 바뀌면, 이것에 맞추어, 텔레비전 화상도 세로방향 표시로부터 가로방향 표시로 변환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경우, 또한, 휴대 전화기가 가로방향 자세로 바뀜에 따라, 조작부의 각 조작키에 부착된 문자나 기호도 가로방향 표시로 변환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012493호 공보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의 자세에 따라 자동으로 화상의 표시방향이 설정되나,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임의로 화상의 표시방향을 설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예를 들면, 대면하는 다른 사람에게 화상을 일시적으로 보이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를 손에 든 상태에서, 적절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화상의 표시방향을 변환 가능하게 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 휴대 전화기의 앞면(前面)을 모두 표시영역으로 하고, 이 표시영역에, 콘텐츠 정보의 화상과 조작 버튼의 화상을 할당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영역에는 터치 패널이 배치되고, 조작 버튼용 화상으로부터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비사용 시 등, 표시영역에 화상이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의 표시방향이 어느 방향에 있는지를, 대충 보아서는 즉시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구성의 경우에는, 손에 든 방향(시청방향)으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임의로 화면을 기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의 방향을 하나하나 신경쓰지 않아도, 소정의 조작에 의해 화면을 기동시키는 것만으로, 손에 든 방향(시청방향)으로 화상을 적정하게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상의 표시방향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화상의 표시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표시영역 상의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표시방향으로, 또한, 각 표시방향에서 동일한 위치관계가 되도록, 정보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을 상기 표시영역에 나란히 배열(line-up)하여 표시시킨다. 또한, 상기 위치 검출부는, 그 검출영역이,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각 표시방향에서 상기 조작 입력용 화상이 위치가 부여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의 화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정보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의 표시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표시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각 표시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콘텐츠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은 동일한 위치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위화감없이 각 화상을 볼 수 있고, 또는 다른 사람에게 위화감없이 화상을 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형태에 의하면, 어느 표시방향에서도 콘텐츠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의 배치위치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은, 콘텐츠 화상을 보면서 원활하게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이 때, 각 표시방향에서의 조작 입력용 화상의 배치영역이 위치 검출부의 검출영역에 의해 커버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표시방향에서도, 조작 입력용 화상을 사용한 입력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장치에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및 제 2 조작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의 어느 것이 조작되었는지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의 표시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제 1 조작부가 아래가 되는 방향으로 상기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을 표시시키고, 상기 제 2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제 2 조작부가 아래가 되는 방향으로 상기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조작부를 배치하면, 대면하는 다른 사람에게 화상을 일시적으로 보이는 경우에, 다른 사람으로부터도 간단하게 화상의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본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는, 상기표시영역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가, 상기 표시영역 상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면, 화상 표시장치의 자세를 상하 역전시킨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조작부가 표시영역 상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가 부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영역 상의 동일한 위치를 조작함으로써(터치함으로써), 화상의 표시방향을 적절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의 시청방향을 판정하는 시청방향 판정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시청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표시방향을 설정하는 조작이 상기 조작부를 통해 행하여졌을 때에 당해 조작을 무효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화상 시청 시에 잘못하여 제 1 및 제 2 조작부가 조작되어도, 화면이 시청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변환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활하게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시청방향 판정부는, 당해 화상 표시장치의 수평면으로부터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청방향 판정부는, 상기 기울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와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시청방향을 판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장치 본체가 수평방향에서 소정의 문턱값보다 크게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 화상의 표시방향을 변화시키는 조작을 무효로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상 시청 시에 잘못하여 제 1 및 제 2 조작부가 조작되어도, 화상이 시청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변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화상의 표시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표시방향으로, 또한, 각 표시방향에서 동일한 위치관계가 되도록,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을 상기 표시영역에 나란히 배열하여 표시시킨다.
본 형태의 화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 1 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표시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각 표시방향에서 보았을 때, 사용자는 위화감없이 각 화상을 볼 수 있고, 또는, 다른 사람에게 위화감없이 화상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형태 및 제 2 형태에서, 「정보 제공용 화상」이란, 텔레비전 화상이나 메일 화상, 메뉴 화상 등 사용자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화상을 말하며, 「조작 입력용 화상」이란, 조작키를 나타내는 화상 등, 사용자가 소정의 조작 입력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화상을 말한다.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조금도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텔레비전 모드 및 메일 모드의 표시화상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방향의 변환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변경예 1에 관한, 표시방향의 변환처리의 흐름도,
도 6은 변경예 1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경사각(α)과 문턱값(β)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변경예 3에 관한, 제 1 및 제 2 변환키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PD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면은 전적으로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이 비춰지는 면을 디스플레이면이라 하고, 이 디스플레이면 전면(全面)에 비추는 화상의 것을 표시화상이라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표시기(2)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부」에 상당하고, 터치 센서(4)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위치 검출부」에 상당한다. 또, 제 1 변환키(8), 제 2 변환키(9)가, 각각,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조작부」,「제 2 조작부」에 상당한다. 또한, 각도센서(14)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울기 검출부」에 상당한다. 또한, 청구범위에서의 「표시 제어부」 및 「시청방향 판정부」는, 메모리(101)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CPU(100)에 부여되는 기능으로서 실현되고 있다. 또한, 상기 청구범위에 기재된 각 부와 본 실시형태와의 대응 기재는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본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각각,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그 외곽을 구성하는 캐비닛(1)을 구비한다. 캐비닛(1)은, 정면에서 보아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캐비닛(1)의 정면 측에는, 액정 표시기(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액정 표시기(2)의 디스플레이면(3)이 캐비닛(1)의 정면을 향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면(3)은, 캐비닛(1)과 마찬가지로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있고, 캐비닛(1) 정면의 대략 전면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휴대 전화기는, 상하 좌우로 대략 대칭인 형상을 하고 있어, 정면에서 보면 디스플레이면(3)이 배치되어 있을 뿐이다. 즉, 이 휴대 전화기는, 그 외관에서는 상하방향을 즉시 인식할 수 없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액정 표시기(2)의 앞쪽에는, 투명한 터치 패널(4)이 배치되어 있다. 터치 패널(4)은, 사용자에게 눌러진 디스플레이면(3) 상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따른 신호(위치신호)를 출력한다. 터치 패널(4)의 앞쪽에는, 투명한 보호 패널(5)이 배치되어 있다. 보호 패널(5)은, 터치 패널(4)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이 휴대 전화기에서는, 디스플레이면(3)에 각종 기능 모드(메일 모드, 텔레비전 모드, 뮤직 모드, 인터넷 모드, 카메라 모드 등)에 따른 표시화상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면(3) 상에서,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이들 기능 모드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면(3)에 표시되는 표시화상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6)가 포함되어 있다. 바(6)는 표시화상을 상하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바(6)보다 위의 영역이 정보 표시영역(R1)이 되고, 아래 영역이 조작영역(R2)이 된다. 정보 표시영역(R1)에는, 텔레비전 화상이나 사진화상, 텍스트 화상 등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또, 조작영역(R2)에는, 여러가지 조작키(7)(소프트 키)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들 조작키(7)는, 기능 모드에 따라 터치 패널(4) 상에 할당된다.
디스플레이면(3) 하부의 왼쪽 코너부의 위치에는, 터치 패널(4) 상에 제 1 변환키(8)가 할당되어 있다. 또, 제 1 변환키(8)와 디스플레이면(3) 상에서 대각이 되는 위치, 즉, 디스플레이면(3) 상부의 오른쪽 코너부의 위치에는, 터치 패널(4) 상에 제 2 변환키(9)가 할당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변환키(8, 9)의 화상은, 디스플레이면(3)에 기능 모드의 표시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 그 표시화상의 표시방향에 따른 소정의 표시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가, 대기상태(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면(3)의 표시가 지워져, 이들 변환키(8, 9)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게 되나, 사용자에 의해 각 변환키(8, 9)에 대응하는 영역이 눌러지면, 그 기능이 받아들여진다.
바(6)는, 조그다이얼(10)의 조작에 의하여 표시화상 위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그다이얼(10)은, 캐비닛(1) 배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조그다이얼(10)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바(6)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조그다이얼(10)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바(6)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기능 모드에 따라서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패널(4)의 조작에 따라, 바(6)가 상하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조그다이얼(10)의 좌우에는, 각각, R 버튼(11)과 L 버튼(12)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R 버튼(11) 및 L 버튼(12)에 의하여 일정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캐비닛(1)의 내부에는, 그 상부에 카메라 모듈(13)이 배치되고 있다. 이 카메라 모듈(13)의 촬상 렌즈(13a)와 플래시부(13b)가 캐비닛(1)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비닛(11)의 내부에는, 각도 센서(14)가 배치되어 있다. 각도 센서(14)는, 휴대 전화기의 세로방향(길이방향)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α)을 검출한다.
이 휴대 전화기에서는, 바(6)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각종 기능 모드의 표시화상의 변환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화상 위에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고정위치(예를 들면, L1∼L6)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그다이얼(10)을 조작하여, 바(6)를 고정위치(L5)로 이동시키고, 바(6)가 고정위치(L5)에 있는 상태에서 R 버튼(11)을 누르면, 텔레비전 모드의 표시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바(6)를 고정위치(L6)로 이동시켜 R 버튼(11)을 누르면, 텔레비전 모드의 표시화상으로부터 메일 모드의 표시화상으로 변환된다.
도 2(a)는, 텔레비전 모드의 표시화상을 나타낸다. 또, 도 2(b)는, 메일 모드의 표시화상을 나타낸다. 텔레비전 모드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 콘텐츠(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동화상)가 정보 표시영역(R1)에 표시되고, 영상표시에 관련되는 조작을 위한 복수의 조작키(7)가 조작영역(R2)에 표시된다. 메일 모드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된 문자 등이 정보 표시영역(R1)에 표시되고, 메일문서의 입력이나 송수신을 위한 복수의 조작키(7)가 조작영역(R2)에 표시된다. 또한, 조작키(7)는, 기능 문자를 네모난 선으로 둘러싸는 등으로 함으로써, 인접하는 기능과의 경계를 알 수 있는 표시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도 1에 의해 설명한 구성부품 외에, CPU(100), 메모리(101), TV 모듈(102), 영상 인코더(103), 마이크(104), 음성 인코더(105), 통신 모듈(106), 백라이트 구동회로(107), 영상 디코더(108), 음성 디코더(109), 음성 출력회로(110), 스피커(111)를 구비하고 있다.
TV 모듈(102)은, TV 튜너, DEMUX(Demultiplexer) 등을 포함하고, 안테나(102a)를 거쳐 수신한 지상 디지털 방송파, 지상 아날로그 방송파 등의 전파를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에 보낸다.
카메라 모듈(13)에는, 촬상 소자(13c)가 설치되어 있다. 촬상 렌즈(13a)로부터 도입된 피사체의 상은, 촬상 소자(13c) 위에 결상된다. 촬상 소자(13c)는, 예를 들면 CCD로 이루어지고, 도입한 화상에 따른 촬상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인코더(103)에 출력한다. 영상 인코더(103)는, 촬상 소자(13c)로부터의 촬상신호를, CPU(100)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촬상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에 출력한다.
마이크(104)는,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인코더(105)에 출력한다. 음성 인코더(105)는, 마이크(104)부터의 음성 신호를, CPU(100)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에 출력한다.
통신 모듈(106)은, CPU(100)로부터의 음성 신호나 화상 신호, 텍스트 신호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106a)를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또, 안테나(106a)를 거쳐 수신한 무선 신호를 음성 신호나 화상 신호, 텍스트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CPU(100)에 출력한다.
액정 표시기(2)는, 액정표시패널(2a)과, 액정표시패널(2a)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장치(2b)를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 구동회로(107)는, CPU(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백라이트장치(2b)에 공급한다. 백라이트장치(2b)는, 전압 신호에 따른 광량을 액정표시패널(2a)에 공급한다. 영상 디코더(108)는, CPU(10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액정표시패널(2a)에서 표시할 수 있는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액정표시패널(2a)에 출력한다. 액정표시패널(2a)은,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디스플레이면(3)에 표시한다.
음성 디코더(109)는, CPU(10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스피커(111)로 출력할 수 있는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회로(110)에 출력한다. 음성 출력회로(110)에는, 음성 디코더(109)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CPU(100)로부터 음량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된다. 음성 출력회로(110)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CPU(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증폭하여, 스피커(111)에 출력한다. 스피커(111)는, 음성 출력회로(11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한다.
메모리(101)에는, 카메라 모듈(13)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나 통신 모듈(106)을 거쳐 외부로부터 도입된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메일 데이터) 등이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보존되어 있다.
메모리(101)는 RAM, ROM을 포함한다. RAM은, CPU(100)가 액정 표시기(2)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할 때의 워크 에어리어(work area)로서 기능한다. ROM에는, CPU(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CPU(100)는, 터치 패널(4), 조그다이얼(10), R 버튼(11), L 버튼(12), 마이크(104), 촬상 소자(13c) 등 각 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통신 모듈(106), 영상 디코더(108), 음성 디코더(109) 등의 각 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종 기능 모드의 처리를 행한다.
또, CPU(100)는, 제 1 변환키(8) 및 제 2 변환키(9)의 조작에 따른 표시방향으로, 디스플레이면(3)에 각 기능 모드의 표시화상을 표시시킨다.
도 4는, 제 1 및 제 2 변환키(8, 9)의 조작에 따른 표시화상의 표시방향의 변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CPU(100)에 의한 표시방향의 변환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텔레비전 모드의 표시화상을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기능 모드의 표시화상에서도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는, CPU(100)는, 액정 표시기(2)를 비구동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배터리(도시 생략)의 전력 소비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변환키(8) 및 제 2 변환키(9)의 화상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 영역이 눌러지면, 키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CPU(100)는, 대기상태에서, 제 1 변환키(8) 및 제 2 변환키(9)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
대기상태일 때, 휴대 전화기는, 통상, 가방이나 포켓에 넣어져 있다. 이 휴대 전화기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가방 등으로부터 꺼내어 사용하려고 하였을 때, 디스프레이면(3)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언뜻 보아 기기의 상하방향이 인식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제 1 변환키(8)가 배치된 쪽이나 제 2 변환키(9)가 배치된 쪽의 어느 한쪽이 자기 앞으로 오도록 하여, 휴대 전화기를 든다. 그러나, 어느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를 가진 경우에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면(3)의 왼쪽 아래의 코너부분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적정한 방향으로, 표시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제 1 변환키(8)쪽이 자기 앞으로 오도록 든 경우, 사용자는 제 1 변환키(8)를 누르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제 1 변환키(8)가 눌러지면, CPU(100)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방향이, 제 1 변환키(8)가 아래가 되는 제 1 방향이 되도록, 표시화상을 표시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제 2 변환키(9)쪽이 자기 앞으로 오도록 든 경우, 사용자는 제 2 변환키(9)를 누르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제 2 변환키(9)가 눌러지면, CPU(100)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방향이, 제 2 변환키(9)가 아래가 되는 제 2 방향이 되도록, 표시화상을 표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어느 방향으로 든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면(3)의 왼쪽 아래의 코너부분에 닿는 것만으로, 자기 앞쪽이 아래가 되는 방향으로, 표시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의 상하방향을 확인하거나, 표시가 거꾸로일 때에 휴대 전화기를 바꿔 들거나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성이 좋아진다.
또한, 사용자가 드는 방향에 따라, 문자나 화상의 방향이 바뀔 뿐만 아니라, 정보 표시영역(R1)과 조작영역(R2)의 위치가 교체되어, 조작영역(R2)이 반드시 자기 앞으로 온다. 따라서, 조작성이 나빠지는 일도 없다.
또한, 제 1 변환키(8)와 제 2 변환키(9)는 대각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가 상하 거꾸로가 되어도 키의 위치가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의 상하 어느 쪽 측을 들어도, 동일한 감각으로 변환키를 조작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변환키(8, 9)가 좌우 어느 쪽의 코너부에 있는지 파악해 두면, 대기상태 등, 표시영역에 화상이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고, 이들 변환키(8, 9)의 표시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이들 변환키(8, 9)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 본체의 방향을 특별히 신경쓰지 않고, 원활하고도 간편하게, 화면을 기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가 사용되고 있을 때, 디스플레이면(3)에는, 텔레비전 모드의 표시화상과 함께, 제 1 변환키(8)와 제 2 변환키(9)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 때, 제 2 변환키(9)는, 정보 표시영역(R1)에 표시되게 되기 때문에, 제 2 변환키(9)의 화상이 거기에 표시되는 화상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주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2 변환키(9)는, 가능하면 눈에 띄지 않는 표시형태가 된다. 예를 들면, 제 2 변환키(9)는, 영역을 나타내는 프레임만이 가는 선으로 그려지거나, 키의 형태가 엷은 색(주위의 색보다 조금 짙은 색)으로 그려진다. 제 1 변환키(8)는, 조작영역(R2)에 표시되게 되기 때문에, 눈에 띄지 않는 표시형태로 할 필요는 없고, 제 2 변환키(9)보다, 굵은 프레임으로 그려지거나 짙은 색으로 그려진다.
이 화상 표시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 1 변환키(8)가 눌러져도, 키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제 2 변환기(9)가 눌러지면, CPU(100)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방향이 상기 제 2 방향이 되도록 표시화상을 표시시킨다.
도 4(c)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상태에서는, 상기와는 반대로, 제 1 변환키(8)가 정보 표시영역(R1)에 표시되게 되기 때문에, 제 1 변환키(8)와 제 2 변환키(9)의 표시형태가 교체된다. 이 화상 표시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 2 변환키(9)가 눌러져도, 키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제 1 변환키(8)가 눌러지면, CPU(100)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방향이 상기 제 1 방향이 되도록 표시화상을 표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눈앞의 상대에게 휴대 전화기를 건네 줄 때에는, 사용자 자신이나 상대가 제 1 변환키(8)나 제 2 변환키(9)를 눌러 표시방향을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에게 건네 줄 때에 휴대 전화기의 방향을 바꾸지 않아도 되어, 원활한 주고 받기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변경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가 사용되어 있고, 도 4(b),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잘못하여 제 1 변환키(8)나 제 2 변환키(9)를 누르면, 표시방향이 변환된다.
그래서, 변경예 1의 구성에서는, 이와 같은 오동작에 대한 보호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보호기능에는, 도 3에 나타내는 각도센서(14)가 사용된다. 이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경우의 표시방향의 변환처리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표시방향의 변환처리의 흐름도이고, 도 6은 휴대 전화기의 경사각(α)과 문턱값(β)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PU(100)는, 제 1 변환키(8)가 눌러졌다고 판단되면(S101 : YES), 표시방향이 상기 제 2 방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 CPU(100)는, 제 2 방향이라고 판단되면(S102 : YES), 경사각(α)이 문턱값(β)(미리 정한 소정 각도)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3).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각(α)은, 휴대 전화기의 조작영역(R2) 측에 대한 정보 표시영역(R1) 측의 수평면으로부터의 상향각이다.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표시화상이 보기 쉬운 각도가 되기 때문에,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각(α)은 큰 각도가 되어, 문턱값(β)을 넘는다고 생각된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상대에게 건네 주고자 할 때는, 휴대 전화기는 수평에 가까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각(α)은 작은 각도가 되어, 문턱값(β) 이하가 된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CPU(100)는, 경사각(α)이 문턱값(β) 이하라고 판단되면(S103 : YES), 키가 적정하게 눌러졌다고 판단하여, 표시화상의 표시방향을 제 1 방향으로 반전시킨다(S104). 한편, CPU(100)는, 경사각(α)이 문턱값(β)을 넘어 있다고 판단되면(S103 : NO), 키가 잘못 눌러졌다고 판단하여, 키를 무효로 한다(표시방향을 반전시키지 않는다).
CPU(100)는, 제 2 변환키(9)가 눌러졌을 때도(S105 ; YES), 표시방향이 상기제 1 방향이라고 판단되면(S106 : YES), 경사각(α)을 문턱값(β)과 비교하여 (S103), 경사각(α)이 문턱값(β) 이하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만, 표시화상의 표시방향을 제 2 방향으로 반전시킨다(S104).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기가 대기상태가 되고, 표시가 지워질 때까지 (S107 : YES), 이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변경예 1의 구성으로 하면, 제 1 및 제 2 변환키(8, 9)가 잘못 눌러져, 표시가 변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경예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b), 도 4(c)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변환키(8, 9)를 디스플레이면(3) 위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정보 표시영역(R1) 측의 변환키만 받아들임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화상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변환키(8, 9)의 어느 것이 눌러져도, 그 때의 표시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표시방향이 변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사용자가 상대에게 휴대 전화기를 건네 줄 때, 자기 앞쪽의 변환키[도 4(b)의 경우, 제 1 변환키(8)]를 누르면 되게 되어, 사용상 편리성이 좋아진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조작영역(R2) 측의 변환키가 조작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비하여 오조작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변경예 1의 보호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조작영역(R2) 측의 변환키가 특수한 조작, 예를 들면, 길게 눌러지거나, 복수회 눌러지면, 비로소 키가 받아들여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영역(R1)의 표시가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을 우선하는 경우에는, 정보 표시영역(R1) 측의 변환키의 표시를 지우고, 조작영역(R2) 측의 변환키만으로 표시방향의 변환이 실행되도록 하여도 된다.
<변경예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변환키(8, 9)가 디스플레이면(3) 내, 즉 터치 패널(4) 위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면(3)의 밖, 즉,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변환키(8, 9)가, 캐비닛(1)의 하부와 상부의 대각이 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변환키(8)가 캐비닛(1)의 왼쪽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 2 변환키(9)가 캐비닛(1)의 오른쪽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대기상태일 때에 디스플레이면(3)의 표시가 지워져 있어도, 사용자가 확실하게 제 1 및 제 2 변환키(8, 9)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외에,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PD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PDA는, 캐비닛(51)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 형상을 하고 있다. 캐비닛(51)의 정면에는, 그 대략 전면에 걸쳐, 액정표시패널(도시 생략)의 디스플레이면(52)이 배치되어 있다. 또, 디스플레이면(52)의 앞면에는, 터치 패널(53)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그 앞면에는, 보호 패널(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면(52)에 표시되는 각종 기능 모드(예를 들면, 텔레비전 모드)의 표시화상은, 정보 표시영역(R3)과 조작영역(R4)으로 구획된다. 정보 표시영역(R3)에는, 영상 콘텐츠(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 각종 정보가 표시되고, 조작영역(R4)에는, 각종 조작키(54)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면(52) 내의 4개의 모서리 위치에는, 터치 패널(53) 위에, 제 1변환키(55), 제 2 변환키(56), 제 3 변환키(57), 제 4 변환키(58)가 할당되어 있다. 이들 변환키(55∼58)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면(52) 위에, 각 기능 모드의 표시화상과 함께 소정의 표시형태로 표시된다.
이 PDA에서,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상태에서, 오른쪽면 측에 있는 제 2 변환키(56)와 제 4 변환키(58)가 동시에 눌러지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방향이 도면의 오른쪽이 되도록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왼쪽면 측에 있는 2개의 변환키(55, 57)가 동시에 눌러지면, 표시방향이 도면의 왼쪽이 되도록 변환되고, 위쪽에 있는 2개의 변환키(57, 58)가 동시에 눌러지면, 표시방향이 도면의 상방향이 되도록 변환된다.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상대의 방향에 따라, PDA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성이 좋아진다.
<기타>
상기 실시형태나 변경예에서는, 디스플레이면(3)(52) 내에 변환키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보호 패널(5)에, 그 변환키의 외형을 나타내는 홈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디스플레이면(3)에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사용자가 변환키의 위치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 변환키는, 기기의 양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위치나 수는, 상기 실시형태나 변경예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그 위치를 바꾸거나 그 수를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변경예 1의 경사각(α)이,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위치 검출부로서, 터치 패널(4)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위치 검출부는, 표시영역 상의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밖의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8)

  1.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영역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화상의 표시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표시영역 상의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표시방향으로, 또한, 각 표시방향에서 동일한 위치관계가 되도록,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을 상기 표시영역에 나란히 배열하여 표시시키고,
    상기 위치 검출부는, 그 검출영역이,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각 표시방향에서 상기 조작 입력용 화상이 위치 부여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시영역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및 제 2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의 어느 것이 조작되었는지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의 표시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제 1 조작부가 아래가 되는 방향으로 상기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을 표시시키고, 상기 제 2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제 2 조작부가 아래가 되는 방향으로 상기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는,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는, 상기 표시영역 상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의 시청방향을 판정하는 시청방향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시청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표시방향을 설정하는 조작이 상기 조작부를 통해 행하여졌을 때에 당해 조작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방향 판정부는, 당해 화상 표시장치의 수평면으로부터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울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와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시청방향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8.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영역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화상의 표시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표시방향으로, 또한, 각 표시방향에서 동일한 위치관계가 되도록, 정보 제시용 화상과 조작 입력용 화상을 상기 표시영역에 나란히 배열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KR1020107022798A 2008-03-13 2009-03-11 화상 표시장치 KR201001215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4761A JP5149046B2 (ja) 2008-03-13 2008-03-13 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JP-P-2008-064761 2008-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550A true KR20100121550A (ko) 2010-11-17

Family

ID=4106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798A KR20100121550A (ko) 2008-03-13 2009-03-11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70345B2 (ko)
JP (1) JP5149046B2 (ko)
KR (1) KR20100121550A (ko)
WO (1) WO2009113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3556A (ja) 2010-03-25 2011-11-04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US9733712B2 (en) 2011-08-29 2017-08-15 Kyocera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5959372B2 (ja) * 2011-08-29 2016-08-02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53382B1 (ko) * 2011-09-21 201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표시제어장치 및 방법
JP2013218560A (ja) * 2012-04-10 2013-10-24 Nidec Sankyo Corp モータ制御機器用コンソール
CN102662474B (zh) * 2012-04-17 2015-12-02 华为终端有限公司 控制终端的方法、装置和终端
JP6024789B2 (ja) * 2015-05-25 2016-11-16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表示変更プログラム
JP6846305B2 (ja) * 2017-07-20 2021-03-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携帯型端末装置
CN115348631B (zh) * 2022-07-01 2024-04-16 鹏城实验室 一种超密集网络中切换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529A (ja) * 1993-12-14 1995-07-04 Hitachi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H10301695A (ja) * 1997-04-25 1998-11-13 Hitachi Ltd 状態検出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JPH11175228A (ja) * 1997-12-17 1999-07-02 Hitachi Ltd 情報端末装置
JP2007188525A (ja) * 1999-05-28 2007-07-26 Sony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並びに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撮像方法
JP3582433B2 (ja) * 1999-12-02 2004-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1350588A (ja) * 2000-06-07 2001-12-21 Totoku Electric Co Ltd テーブル型表示装置
JP2005012493A (ja) 2003-06-19 2005-01-13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JP2007164614A (ja) 2005-12-15 2007-06-28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100156939A1 (en) * 2008-12-22 2010-06-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49046B2 (ja) 2013-02-20
JP2009224896A (ja) 2009-10-01
US8570345B2 (en) 2013-10-29
US20110007095A1 (en) 2011-01-13
WO2009113587A1 (ja)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1550A (ko) 화상 표시장치
US111944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383053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US8493334B2 (en) Input device, storage medium,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4600121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5248870B2 (ja) 映像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US20120098773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20249398A1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program, and display method
JP5660868B2 (ja) 携帯端末装置
US20110009170A1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function of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embodying a displaying function program for communication device
KR101422290B1 (ko) 영상 통화 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가려진 이미지 전송방법 및 영상 통화 장치
JP5951719B2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の制御方法
JP5625133B1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の制御方法
JP5583869B2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
JP5781172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JP5545786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22

Effective date: 2013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