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509A -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509A
KR20230006509A KR1020227040383A KR20227040383A KR20230006509A KR 20230006509 A KR20230006509 A KR 20230006509A KR 1020227040383 A KR1020227040383 A KR 1020227040383A KR 20227040383 A KR20227040383 A KR 20227040383A KR 20230006509 A KR20230006509 A KR 20230006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er
pass filter
module
power amplifier
low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코구레
토모히데 아라마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00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4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discharge-tube amplifiers
    • H03F1/0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discharge-tube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of amplifying modulated radio frequency waves; to raise the efficiency of amplifiers acting also as modul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71A filter circuit coupled to the output of a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17A switch coupled in the output circuit of an amplifier being controlled by a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소비 전력을 저감시킨다. 트래커 모듈(1)은 제 1 기판과 별체의 제 2 기판과,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를 구비한다. 제 1 기판에는 파워 앰프가 배치되어 있다. 트래커 부품(3)은 파워 앰프에 전원전압을 공급한다. 로우 패스 필터(4)는 트래커 부품(3)의 출력단과 파워 앰프 사이의 경로 상에 접속되어 있다. 트래커 부품(3) 및 로우 패스 필터(4)는 제 2 기판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트래커 부품을 구비하는 트래커 모듈, 트래커 부품을 구비하는 전력 증폭 모듈, 전력 증폭 모듈을 구비하는 고주파 모듈, 및, 고주파 모듈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이하 「ET 방식」이라고 한다)을 사용한 전력 증폭 회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ET 방식이란 고주파 신호의 포락선의 진폭에 따라 증폭 소자의 전원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고주파 증폭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ET 방식이란 증폭 소자의 콜렉터 전압을 출력 전압에 따라서 변화시킴으로써, 전원전압이 고정인 경우에서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전력의 로스를 줄여서 고효율화를 실현하는 기술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력 증폭 회로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해서 콜렉터로부터 출력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고주파 신호의 포락선의 진폭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전원전압을 변화시켜서 상기 전원전압을 트랜지스터에 공급한다.
국제공개 제2003/176147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력 증폭 회로에서는 트래커 부품으로부터의 전원전압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트래커 부품과 파워 앰프 사이의 경로에 로우 패스 필터가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 증폭 회로에서는 트래커 부품과 로우 패스 필터 사이의 경로에 기생 저항이 발생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발명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은 제 1 기판과 별체의 제 2 기판과, 트래커 부품과, 로우 패스 필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기판에는 파워 앰프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트래커 부품은 상기 파워 앰프에 전원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상기 트래커 부품의 출력단과 상기 파워 앰프 사이의 경로 상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트래커 부품 및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상기 제 2 기판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은 트래커 부품과, 로우 패스 필터를 구비한다. 상기 트래커 부품은 파워 앰프에 전원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상기 트래커 부품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트래커 부품과 상기 로우 패스 필터 사이의 경로의 제 1 경로길이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와 상기 파워 앰프 사이의 경로의 제 2 경로길이보다 짧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트래커 모듈과, 상기 파워 앰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은 상기 트래커 모듈과, 상기 파워 앰프와, 송신 필터를 구비한다. 상기 송신 필터는 상기 파워 앰프로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는 상기 고주파 모듈과,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고주파 모듈에 고주파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에 의하면, 트래커 모듈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동상의 트래커 모듈의 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동상의 트래커 모듈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동상의 트래커 모듈의 로우 패스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모식적인 도면이며, 도면 중의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 및 각각의 비는 반드시 실제의 치수비를 반영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실시형태)
(1)트래커 모듈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과,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와, 복수(도시예에서는 16개)의 외부 접속 단자(23)를 구비한다. 트래커 모듈(1)은 예를 들면 고주파 모듈(5)이 탑재된 단말 등의 통신 장치(7)(도 3 참조) 배터리(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고, 트래커 모듈(1)에는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압(V2)(도 3 참조)이 공급된다.
(2)고주파 모듈
다음에 트래커 모듈(1)을 사용한 고주파 모듈(5)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고주파 모듈(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커 모듈(1)과, 전력 증폭 회로(6)와, 필터(51)와, 스위치(52)와, 입력 단자(53)와, 안테나 단자(54)를 구비한다. 고주파 모듈(5)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는 후술의 안테나(71)를 통해 기지국(도시 생략)에 송신된다. 고주파 모듈(5)은 후술의 통신 장치(7) 등에 사용된다.
(3)통신 장치
다음에 고주파 모듈(5)을 사용한 통신 장치(7)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통신 장치(7)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주파 모듈(5)과, 안테나(71)와, 신호 처리 회로(7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할 때에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이하 「ET 방식」이라고 한다)이 사용된다. ET 방식에는 아날로그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이하 「아날로그 ET 방식」이라고 한다)과, 디지털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이하 「디지털 ET 방식」이라고 한다)이 있다.
아날로그 ET 방식은 증폭 소자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포락선(엔벨로프)을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엔벨로프에 따라 증폭 소자의 전원전압의 진폭 레벨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아날로그 ET 방식에서는 엔벨로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므로, 전원전압의 진폭 레벨은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디지털 ET 방식은 증폭 소자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포락선(엔벨로프)을 이산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엔벨로프에 따라 증폭 소자의 전원전압의 진폭 레벨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디지털 ET 방식에서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 레벨을 연속적이 아닌 일정 간격으로 검출하고, 검출한 진폭 레벨을 양자화한다. 디지털 ET 방식에서는 엔벨로프를 이산적으로 검출하므로, 전원전압의 진폭 레벨은 이산적으로 변화된다(도 2 참조).
(4)트래커 모듈의 각 구성요소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4.1)기판
도 1에 나타내는 기판(2)은 파워 앰프(61)(도 3 참조)가 배치되어 있는 제 1 기판과 별체의 기판이다. 기판(2)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주면(21)과, 제 2 주면(22)을 갖는다. 제 1 주면(21) 및 제 2 주면(22)은 기판(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한다.
또한, 기판(2)의 제 2 주면(22)에는 복수(도시예에서는 16개)의 외부 접속 단자(23)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23)는 파워 앰프(61)(도 3 참조)에 접속하기 위한 파워 앰프 접속 단자(24)(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4.2)트래커 부품
트래커 부품(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워 앰프(61)에 전원전압(V1)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래커 부품(3)은 고주파 신호의 변조 신호로부터 취출한 엔벨로프에 따른 레벨의 전원전압(V1)을 생성하고, 전원전압(V1)을 전력 증폭 회로(6)에 공급한다.
트래커 부품(3)은 전원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도시 생략)와, 전원전압(V1)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는 신호 처리 회로(72)에 접속되어 있고, 신호 처리 회로(72)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트래커 부품(3)은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의거해서 전원전압(V1)을 생성한다. 이 때, 트래커 부품(3)은 신호 처리 회로(72)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에 의거해서 전원전압(V1)의 진폭을 변화시킨다. 바꿔 말하면, 트래커 부품(3)은 신호 처리 회로(72)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포락선(엔벨로프)에 따라 변동하는 전원전압(V1)을 생성하는 엔벨로프 트래킹 회로이다. 트래커 부품(3)은 예를 들면, DC-DC 컨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I상 신호 및 Q상 신호로부터 고주파 신호의 진폭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한 진폭 레벨을 사용해서 전원전압(V1)을 생성한다.
(4.3)로우 패스 필터
로우 패스 필터(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커 부품(3)의 출력 단자와 파워 앰프(61) 사이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다. 로우 패스 필터(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의 전자부품(401∼404)을 갖는다. 로우 패스 필터(4)는 예를 들면,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주구성요소로 하는 필터 소위 LC 필터이다.
실시형태의 로우 패스 필터(4)는 전원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원전압(V1)에 기인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4.4)트래커 부품, 로우 패스 필터 및 파워 앰프 접속 단자의 배치 관계
상술한 트래커 모듈(1)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 및 로우 패스 필터(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래커 부품(3) 및 로우 패스 필터(4)는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복수의 전자부품(401∼404)은 기판(2)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자부품(401∼404)은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도 4 참조)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실시형태에서는 트래커 부품(3) 및 로우 패스 필터(4)는 원패키지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트래커 부품(3)은 기판(2)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4)와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자부품(401∼404) 중 2개의 전자부품(401,402)이 트래커 부품(3)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를 더욱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파워 앰프 접속 단자(24)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고, 기판(2)의 두께 방향에서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4)와 겹쳐져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파워 앰프 접속 단자(24)는 전자부품(404)과 겹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로우 패스 필터(4)와 파워 앰프 접속 단자(24) 사이의 경로 즉 로우 패스 필터(4)와 파워 앰프(61)(도 3 참조) 사이의 경로(82)(도 4 참조)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로우 패스 필터(4)와 파워 앰프(61) 사이의 경로(82)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5)고주파 모듈의 각 구성요소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5)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5.1)전력 증폭 회로
전력 증폭 회로(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워 앰프(61)와, 제어 회로(62)를 구비한다.
전력 증폭 회로(6)는 후술의 RF 신호 처리 회로(75)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RF 신호)의 전력을 기지국(도시 생략)에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시키고,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 회로이다.
(5.1.1)파워 앰프
도 3에 나타내는 파워 앰프(61)는 도시하지 않지만, 트랜지스터(증폭 소자)와, 바이어스 회로와, 저항과, 입력 정합 회로와, 출력 정합 회로를 구비한다.
(5.1.2)트랜지스터
도 3에 나타내는 파워 앰프(61)의 트랜지스터(도시 생략)는 예를 들면 NPN 트랜지스터이며, 전원전압(V1)이 공급되어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소자이다. 트랜지스터는 RF 신호 처리 회로(75)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입력 정합 회로(도시 생략)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커패시터(도시 생략)를 통해 입력 정합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트래커 모듈(1)의 로우 패스 필터(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그라운드 전위이다.
파워 앰프(61)의 트랜지스터에는 전원전압(V1)이 공급된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입력 정합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저항(도시 생략)을 통해 바이어스 회로(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고, 입력 정합 회로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에 소정의 바이어스 전류가 중첩된다.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이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로부터 고주파 신호의 진폭 레벨에 따라 제어되는 전원전압(V1)이 인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출력 정합 회로(도시 생략)를 통해 필터(51)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ET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전원전압(V1)의 진폭 레벨은 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변화에 의거해서 변화된다.
(5.1.3)바이어스 회로
도 3에 나타내는 파워 앰프(61)의 바이어스 회로(도시 생략)는 파워 앰프(61)의 트랜지스터(도시 생략)를 동작점에 바이어스하기 위한 회로이다. 바이어스 회로는 예를 들면, HBT 등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바이어스 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어스 회로는 입력 정합 회로(도시 생략)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단을 갖는다. 그리고, 바이어스 회로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바이어스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는 예를 들면 고주파 모듈(5)이 탑재된 통신 장치(7) 등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이 인가된다. 바이어스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바이어스 회로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를 동작점에 바이어스하는 회로이면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5.1.4)입력 정합 회로
도 3에 나타내는 파워 앰프(61)의 입력 정합 회로(도시 생략)는 트랜지스터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의 입력측의 회로(예를 들면 RF 신호 처리 회로(75))의 출력 임피던스와 트랜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정합 회로이다. 입력 정합 회로는 예를 들면, 인덕터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어 있다.
(5.1.5)출력 정합 회로
도 3에 나타내는 파워 앰프(61)의 출력 정합 회로(도시 생략)는 트랜지스터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의 출력 임피던스와 트랜지스터의 출력측의 회로(예를 들면 필터(51))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정합 회로이다. 출력 정합 회로는 예를 들면, 인덕터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어 있다.
(5.1.6)제어 회로
제어 회로(6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워 앰프(61)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회로(62)는 파워 앰프(61)의 바이어스 회로를 제어한다.
(5.2)필터
필터(5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통신 밴드의 송신 필터이다. 필터(51)는 송신 경로 중 전력 증폭 회로(6)와 안테나 단자(54) 사이의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51)는 전력 증폭 회로(6)와 스위치(52) 사이의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필터(51)는 전력 증폭 회로(6)로 전력이 증폭되어서 전력 증폭 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킨다. 송신 경로는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71)로부터 송신하기 위해서, 입력 단자(53)와 안테나 단자(54)를 연결하는 경로이다.
또한, 필터(51)는 송신 필터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 둘다를 포함하는 듀플렉서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서이어도 좋다.
(5.3)스위치
스위치(5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단자(54)에 접속시키는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이다. 바꿔 말하면, 스위치(52)는 필터(51)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 중에서 안테나 단자(54)에 접속되는 필터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이다.
스위치(52)는 공통 단자(521)와, 복수(도시예에서는 2개)의 선택 단자(522,523)를 갖는다. 공통 단자(521)는 안테나 단자(54)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 단자(522)는 필터(51)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 단자(523)는 필터(51)와는 상이한 다른 필터(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52)는 예를 들면, 공통 단자(521)에 복수의 선택 단자(522,523) 중 어느 하나를 접속 가능한 스위치이다. 스위치(52)는 예를 들면, 스위치 IC(Integrated Circuit)이다. 스위치(52)는 예를 들면, 후술의 신호 처리 회로(72)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52)는 신호 처리 회로(72)의 RF 신호 처리 회로(75)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통 단자(521)와 복수의 선택 단자(522,523)의 접속 상태를 스위칭한다. 또한, 스위치(52)는 공통 단자(521)에 복수의 선택 단자(522,523)를 동시에 접속 가능한 스위치이어도 좋다. 이 경우, 스위치(52)는 일대다의 접속이 가능한 스위치이다.
(5.4)안테나 단자
안테나 단자(5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의 안테나(71)가 접속되는 단자이다. 고주파 모듈(5)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는 안테나 단자(54)를 통해 안테나(71)에 출력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안테나(71)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는 안테나 단자(54)를 통해 고주파 모듈(5)에 출력된다.
(6)통신 장치의 각 구성요소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7)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6.1)안테나
안테나(7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주파 모듈(5)의 안테나 단자(54)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71)는 고주파 모듈(5)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송신 신호)를 전파로 방사하는 방사 기능과, 고주파 신호(수신 신호)를 전파로서 외부로부터 수신해서 고주파 모듈(5)에 출력하는 수신 기능을 갖는다.
(6.2)신호 처리 회로
신호 처리 회로(7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74)와, RF 신호 처리 회로(75)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회로(72)는 고주파 모듈(5)에 고주파 신호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74)는 예를 들면 BBIC(baseband Integrated Circuit)이며, 고주파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행한다.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수백MHz로부터 수GHz 정도이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74)는 베이스밴드 신호로부터 I상 신호 및 Q상 신호를 생성한다. 베이스밴드 신호는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화상 신호 등이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74)는 I상 신호와 Q상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IQ 변조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송신 신호는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 신호를 상기 반송파 신호의 주기보다 긴 주기로 진폭변조한 변조 신호(IQ 신호)로서 생성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74)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신호는 IQ 신호로서 출력된다. IQ 신호란 진폭 및 위상을 IQ 평면 상에서 나타낸 신호이다. IQ 신호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수MHz로부터 수십MHz 정도이다.
RF 신호 처리 회로(75)는 예를 들면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며, 고주파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행한다. RF 신호 처리 회로(75)는 예를 들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74)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신호(IQ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RF 신호 처리 회로(75)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74)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신호에 대하여 업컨버트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고, 신호 처리가 행해진 고주파 신호를 전력 증폭 회로(6)에 출력한다. 또한, RF 신호 처리 회로(75)는 변조 신호로부터 고주파 신호로의 다이렉트 컨버전을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RF 신호 처리 회로(75)는 변조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IF)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IF 신호로부터 고주파 신호가 생성되도록 해도 좋다.
신호 처리 회로(72)는 트래커 모듈(1)의 트래커 부품(3)에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제어 신호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이며, 전원전압(V1)의 진폭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신호 처리 회로(72)로부터 트래커 모듈(1)에 출력된다. 전원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I상 신호 및 Q상 신호이다.
(7)트래커 모듈의 동작
다음에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커 부품(3)이 전원전압(V1)을 출력한다.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의 제 1 경로길이(L1)가 짧으므로, 경로(81)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 기생 용량 성분 및 인덕턴스 성분의 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로우 패스 필터(4)는 트래커 부품(3)으로부터의 전원전압(V1)을 통과시킨다. 로우 패스 필터(4)는 전원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킨다. 즉, 로우 패스 필터(4)는 전원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차단하고, 전원전압(V1)의 기본파 성분을 통과시킨다.
그 후, 파워 앰프(61)에는 로우 패스 필터(4)를 통과한 전원전압(V1)이 인가된다. 이 때, 로우 패스 필터(4)와 파워 앰프(61) 사이의 경로(82)의 제 2 경로길이(L2)가 짧으므로, 경로(82)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 기생 용량 성분 및 인덕턴스 성분의 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로(81,82)에 발생하는 기생 용량 성분 및 인덕턴스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 패스 필터(4)에서는 감쇠극에 있어서 급준한 감쇠가 얻어진다(도 5의 특성 A1). 한편, 상기 경로가 긴 경우, 기생 용량 성분 및 인덕턴스 성분이 크기 때문에 로우 패스 필터(4)에서는 감쇠극에서의 감쇠가 10dB 정도 열화된다(도 5의 특성 A2).
(8)효과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파워 앰프(61)가 배치되어 있는 제 1 기판과 별체의 기판(2)(제 2 기판)에 트래커 부품(3) 및 로우 패스 필터(4)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트래커 모듈(1)이 파워 앰프(61)에 전원전압(V1)을 공급할 때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4)는 트래커 부품(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갖고,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특성에 의해 특성이 결정된다. 로우 패스 필터(4)가 기판(2)(제 2 기판)에 배치됨으로써,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위치 관계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되게 로우 패스 필터(4)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트래커 부품(3) 및 로우 패스 필터(4)가 원패키지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의 소비 전력(파워 앰프(61)에 전원전압(V1)을 공급할 때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기판(2)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이 로우 패스 필터(4)와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를 더욱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의 소비 전력(파워 앰프(61)에 전원전압(V1)을 공급할 때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기판(2)(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파워 앰프 접속 단자(24)가 로우 패스 필터(4)와 겹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로우 패스 필터(4)와 파워 앰프 접속 단자(24) 사이의 경로 즉 로우 패스 필터(4)와 파워 앰프(61) 사이의 경로(82)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로우 패스 필터(4)와 파워 앰프(61) 사이의 경로(82)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의 소비 전력(파워 앰프(61)에 전원전압(V1)을 공급할 때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로우 패스 필터(4)가 전원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원전압(V1)에 기인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변형예)
이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1)변형예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고주파 모듈(5a)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커 모듈(1a)과, 전력 증폭 회로(6a)와, 필터(51)와, 스위치(52)와, 입력 단자(53)와, 안테나 단자(54)를 구비한다.
트래커 모듈(1a)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래커 부품(3a)과, 복수(도시예에서는 2개)의 로우 패스 필터(41,42)를 구비한다.
트래커 부품(3a)은 실시형태 1의 트래커 부품(3)과 마찬가지로, 파워 앰프(61a)에 전원전압(V11,V12)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래커 부품(3a)은 전원전압(V11)을 로우 패스 필터(41)에 출력하고, 전원전압(V12)을 로우 패스 필터(42)에 출력한다.
전력 증폭 회로(6a)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워 앰프(61a)와, 제어 회로(62a)를 구비한다.
도 6에 나타내는 파워 앰프(61a)는 도시하지 않지만, 복수(예를 들면 2개)의 트랜지스터(증폭 소자)와, 복수(예를 들면 2개)의 바이어스 회로와,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저항과, 입력 정합 회로와, 출력 정합 회로와, 정합 회로를 구비한다. 복수의 트랜지스터는 제 1 트랜지스터(도시 생략)와, 제 2 트랜지스터(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복수의 바이어스 회로는 제 1 바이어스 회로(도시 생략)와, 제 2 바이어스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복수의 저항은 제 1 저항(도시 생략)과, 제 2 저항(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제 1 트랜지스터(도시 생략)에는 전원전압(V11)이 공급된다.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입력 정합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 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제 1 저항을 통해 제 1 바이어스 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입력 정합 회로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에 소정의 바이어스 전류가 중첩 된다.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a)이 접속되어 있다.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a)로부터 고주파 신호의 진폭 레벨에 따라 제어되는 전원전압(V11)이 인가된다. 또한,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정합 회로(도시 생략)를 통해 제 2 트랜지스터(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트랜지스터(도시 생략)에는 전원전압(V12)이 공급된다.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정합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제 2 저항을 통해 제 2 바이어스 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정합 회로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에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중첩된다.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a)이 접속되어 있다.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a)로부터 고주파 신호의 진폭 레벨에 따라 제어되는 전원전압(V12)이 인가된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출력 정합 회로(도시 생략)를 통해 필터(51)에 접속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파워 앰프(61a)의 제 1 바이어스 회로(도시 생략)는 제 1 트랜지스터(도시 생략)를 동작점에 바이어스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 6에 나타내는 파워 앰프(61a)의 제 2 바이어스 회로(도시 생략)는 제 2 트랜지스터(도시 생략)를 동작점에 바이어스하기 위한 회로이다.
제 2 바이어스 회로(도시 생략)는 제 2 트랜지스터(도시 생략)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바이어스 회로는 정합 회로(도시 생략)의 출력단과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단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바이어스 회로는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워 앰프(61a)의 정합 회로(도시 생략)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출력 임피던스와 제 2 트랜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정합 회로이다. 정합 회로는 예를 들면, 인덕터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62a)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워 앰프(61a)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회로(62a)는 파워 앰프(61a)의 복수의 바이어스 회로를 제어한다.
(2)변형예 2
실시형태의 변형예 2로서, 트래커 모듈(1b)(고주파 모듈(5b))은 도 7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좋다. 변형예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은 트래커 부품(3b)과, 로우 패스 필터(4b)를 구비한다. 트래커 부품(3b)은 파워 앰프(61b)의 전원전압(V1)을 출력한다. 로우 패스 필터(4b)는 트래커 부품(3b)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기판(55)의 주면(551)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b)과 로우 패스 필터(4b) 사이의 경로(81b)의 제 1 경로길이(L3)는 로우 패스 필터(4b)와 파워 앰프(61b) 사이의 경로(82b)의 제 2 경로길이(L4)보다 짧다.
변형예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에서는 트래커 부품(3b)과 로우 패스 필터(4b) 사이의 경로(81b)의 제 1 경로길이(L3)가 로우 패스 필터(4b)와 파워 앰프(61) 사이의 경로(82b)의 제 2 경로길이(L4)보다 짧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b)과 로우 패스 필터(4b) 사이의 경로(81b)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b)의 소비 전력(트래커 모듈(1b)이 파워 앰프(61)에 전원전압(V1)을 공급할 때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래커 부품(3b)과 로우 패스 필터(4b) 사이의 경로(81b)의 제 1 경로길이(L3)와 로우 패스 필터(4b)와 파워 앰프(61) 사이의 경로(82b)의 제 2 경로길이(L4)의 관계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래커 부품(3b)과 로우 패스 필터(4b) 사이의 경로(81b)의 제 1 경로길이(L3)는 로우 패스 필터(4b)와 파워 앰프(61) 사이의 경로(82b)의 제 2 경로길이(L4)보다 길어도 좋다.
(3)다른 변형예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트래커 모듈(1)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 및 로우 패스 필터(4)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로서, 트래커 모듈(1)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4)는 기판(2)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과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전자부품을 통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우 패스 필터(4)에서는 복수의 전자부품(401∼404) 중 2개의 전자부품(401,402)이 트래커 부품(3)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전자부품(401∼404) 중 1개의 전자부품만이 트래커 부품(3)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전자부품(401∼404) 중 3개의 전자부품이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복수의 전자부품(401∼404) 전체가 트래커 부품(3)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로우 패스 필터(4)는 복수의 전자부품(401∼40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우 패스 필터(4)는 1개의 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력 증폭 회로(6)는 전력 증폭 모듈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전력 증폭 모듈은 트래커 모듈(1)과, 파워 앰프(61)를 구비한다. 파워 앰프(61)는 트래커 모듈(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V1)에 의해 구동해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에서는 트래커 모듈(1)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 및 로우 패스 필터(4)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과 로우 패스 필터(4) 사이의 경로(81)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의 소비 전력(트래커 모듈(1)이 파워 앰프(61)에 전원전압(V1)을 공급할 때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예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설계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양태)
본 명세서에는 이하의 양태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은 제 1 기판과 별체의 제 2 기판(기판(2))과,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를 구비한다. 제 1 기판에는 파워 앰프(61;61a)가 배치되어 있다. 트래커 부품(3;3a;3b)은 파워 앰프(61;61a)에 전원전압(V1;V11;V12)을 공급한다. 로우 패스 필터(4;41;42;4b)는 트래커 부품(3;3a;3b)의 출력단과 파워 앰프(61;61a) 사이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다. 트래커 부품(3;3a;3b) 및 로우 패스 필터(4;41;42;4b)는 제 2 기판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 의하면,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1a;1b)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4;41;42;4b)는 트래커 부품(3;3a;3b)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V1;V11;V12)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갖고,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특성에 의해 특성이 결정된다. 로우 패스 필터(4;41;42;4b)가 제 2 기판(기판(2))에 배치됨으로써,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위치 관계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되게 로우 패스 필터(4;41;42;4b)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3a;3b) 및 로우 패스 필터(4;41;42;4b)는 원패키지화되어 있다.
제 2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 의하면,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1a;1b)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제 3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서는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4;41;42;4b)는 제 2 기판(기판(2))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3a;3b)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 3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 의하면,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를 더욱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더욱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1a;1b)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제 4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서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4;41;42;4b)는 복수의 전자부품(401∼404)을 갖는다. 복수의 전자부품(401∼404) 중 적어도 1개가 트래커 부품(3;3a;3b)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 5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서는 제 1∼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2 기판(기판(2))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 (21) 및 제 2 주면 (22)을 갖고, 또한, 파워 앰프(61;61a)에 접속하기 위한 파워 앰프 접속 단자(24)를 갖는다. 트래커 부품(3;3a;3b) 및 로우 패스 필터(4;41;42;4b)는 제 2 기판의 제 1 주면 (21)에 배치되어 있다. 파워 앰프 접속 단자(24)는 제 2 기판의 제 2 주면 (22)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4;41;42;4b)와 겹쳐져 있다.
제 5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 의하면, 로우 패스 필터(4;41;42;4b)와 파워 앰프 접속 단자(24) 사이의 경로 즉 로우 패스 필터(4;41;42;4b)와 파워 앰프(61;61a) 사이의 경로(82;82b)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로우 패스 필터(4;41;42;4b)와 파워 앰프(61;61a) 사이의 경로(82;82b)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1a;1b)의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제 6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서는 제 1∼제 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4;41;42;4b)는 1개의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7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은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를 구비한다. 트래커 부품(3;3a;3b)은 파워 앰프(61;61a)의 전원전압(V1;V11;V12)을 출력한다. 로우 패스 필터(4;41;42;4b)는 트래커 부품(3;3a;3b)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a;42;4b) 사이의 경로(81;81b)의 제 1 경로길이(L1;L3)는 로우 패스 필터(4;41;42;4b)와 파워 앰프(61;61a) 사이의 경로(82;82b)의 제 2 경로길이(L2;L4)보다 짧다.
제 7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에 의하면,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1a;1b)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8 양태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은 제 1∼제 7 양태 중 어느 하나의 트래커 모듈(1;1a;1b)과, 파워 앰프(61;61a)를 구비한다.
제 8 양태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에 의하면, 트래커 모듈(1;1a;1b)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1a;1b)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9 양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5)은 제 1∼제 7 양태 중 어느 하나의 트래커 모듈(1;1a;1b)과, 파워 앰프(61;61a)와, 송신 필터(필터(51))를 구비한다. 송신 필터는 파워 앰프(61;61a)로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킨다.
제 9 양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5)에 의하면, 트래커 모듈(1;1a;1b)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1a;1b)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10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7)는 제 9 양태의 고주파 모듈(5)과, 신호 처리 회로(72)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회로(72)는 고주파 모듈(5)에 고주파 신호를 출력한다.
제 10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7)에 의하면, 트래커 모듈(1;1a;1b)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3a;3b)과 로우 패스 필터(4;41;42;4b) 사이의 경로(81;81b)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트래커 모듈(1;1a;1b)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1, 1a, 1b 트래커 모듈
2 기판(제 2 기판)
21 제 1 주면
22 제 2 주면
23 외부 접속 단자
24 파워 앰프 접속 단자
3, 3a, 3b 트래커 부품
4, 41, 42, 4b 로우 패스 필터
401∼404 전자부품
5, 5a, 5b 고주파 모듈
51 필터
52 스위치
521 공통 단자
522, 523 선택 단자
53 입력 단자
54 안테나 단자
55 기판
551 주면
6, 6a 전력 증폭 회로
61, 61a, 61b 파워 앰프
62, 62a 제어 회로
7 통신 장치
71 안테나
72 신호 처리 회로
74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
75 RF 신호 처리 회로
81, 81b 경로
82, 82b 경로
L1, L3 제 1 경로길이
L2, L4 제 2 경로길이
V1, V11, V12 전원전압
V2 배터리 전압
A1, A2 특성

Claims (10)

  1. 파워 앰프가 배치되어 있는 제 1 기판과 별체의 제 2 기판과,
    상기 파워 앰프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트래커 부품과,
    상기 트래커 부품의 출력단과 상기 파워 앰프 사이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는 로우 패스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트래커 부품 및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상기 제 2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트래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커 부품 및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원패키지화되어 있는 트래커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상기 제 2 기판에 있어서, 상기 트래커 부품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트래커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복수의 전자부품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전자부품 중 적어도 1개가 상기 트래커 부품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트래커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을 갖고, 또한,
    상기 파워 앰프에 접속하기 위한 파워 앰프 접속 단자를 갖고,
    상기 트래커 부품 및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1 주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워 앰프 접속 단자는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와 겹쳐져 있는 트래커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1개의 칩으로 구성되어 있는 트래커 모듈.
  7. 파워 앰프의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트래커 부품과,
    상기 트래커 부품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는 로우 패스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트래커 부품과 상기 로우 패스 필터 사이의 경로의 제 1 경로길이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와 상기 파워 앰프 사이의 경로의 제 2 경로길이보다 짧은 트래커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래커 모듈과,
    상기 파워 앰프를 구비하는 전력 증폭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래커 모듈과,
    상기 파워 앰프와,
    상기 파워 앰프로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송신 필터를 구비하는 고주파 모듈.
  10. 제 9 항에 기재된 고주파 모듈과,
    상기 고주파 모듈에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KR1020227040383A 2020-05-25 2021-05-24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KR20230006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0955 2020-05-25
JP2020090955 2020-05-25
PCT/JP2021/019521 WO2021241474A1 (ja) 2020-05-25 2021-05-24 トラッカモジュール、電力増幅モジュール、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509A true KR20230006509A (ko) 2023-01-10

Family

ID=7874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383A KR20230006509A (ko) 2020-05-25 2021-05-24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5733A1 (ko)
KR (1) KR20230006509A (ko)
CN (1) CN115668759A (ko)
DE (1) DE112021002963T5 (ko)
WO (1) WO2021241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458A1 (ja) * 2022-02-10 2023-08-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ッカモジュール、電力増幅モジュール及び高周波モジュ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7614A2 (de) 2001-08-17 2003-0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daten über verschiedene schnittstell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6988B2 (ja) * 2006-07-24 2011-07-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層プリント基板
JP4450079B2 (ja) * 2008-01-31 2010-04-14 Tdk株式会社 高周波モジュール
JP2010278704A (ja) * 2009-05-28 2010-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電力増幅器
JP2011120142A (ja) * 2009-12-07 2011-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電力増幅装置
US9065393B2 (en) * 2010-10-05 2015-06-23 Nec Corporation Power amplifier, radio-frequency power amplification device, and amplification control method
EP2673881B1 (en) * 2011-02-07 2019-02-06 Skyworks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velope tracking calibration
US9831834B2 (en) * 2014-07-29 2017-11-28 Skyworks Solutions, Inc. Envelope tracking with low frequency loss corr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7614A2 (de) 2001-08-17 2003-0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daten über verschiedene schnittstel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474A1 (ja) 2021-12-02
CN115668759A (zh) 2023-01-31
DE112021002963T5 (de) 2023-03-16
US20230075733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1998B (zh) 用于功率放大器的装置和方法
US1017105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 amplifiers with an injection-locked oscillator driver stage
US20220255568A1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10084265A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CN103546101A (zh) 用于低噪声放大器的系统及方法
US9209769B2 (en) Powe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870401B2 (en) Power amplifier module,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10826457B2 (en) Broadband power amplifier and matching network for multi-band millimeter-wave 5G communication
KR20230006509A (ko)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US11539385B2 (en) Radio-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20376665A1 (en) Radio-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1241233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電力増幅モジュール、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WO2021161928A1 (ja) 電力増幅回路、高周波回路及び通信装置
KR101960651B1 (ko) 낮은 임피던스 공급 피드를 가진 포락선 추적 전력 증폭기
US7675366B2 (en) Integrated amplifier circuit
US6803817B2 (en) Dual band power amplifier with improved isolation
US20240088841A1 (en) Radio 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2255389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CN113809999B (zh) 功率放大模块
US20240097626A1 (en) Radio 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40178868A1 (en) Radio frequency circuit,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amplification method for radio frequency circuit
WO2023203858A1 (ja) 高周波回路および通信装置
CN117378141A (zh) 高频电路和通信装置
KR20200123571A (ko) 전력 증폭기들 전단의 커플링 장치
JP2002353739A (ja) 無線送信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