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819A - 수면의 질의 개선제 - Google Patents

수면의 질의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819A
KR20230005819A KR1020227034721A KR20227034721A KR20230005819A KR 20230005819 A KR20230005819 A KR 20230005819A KR 1020227034721 A KR1020227034721 A KR 1020227034721A KR 20227034721 A KR20227034721 A KR 20227034721A KR 20230005819 A KR20230005819 A KR 20230005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ic acid
sleep
agent
improvement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미 야마사키
가즈히코 가와구치
다카노리 미즈노
데츠야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5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시트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섭취 또는 투여함으로써, 포유류 (예를 들어, 인간) 대상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 스트레스 완화, 피로감의 저감의 작용이 발휘되는 유용한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면의 질의 개선제
본 발명은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면의 질의 개선제 (예를 들어,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4월 1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0-072192호, 및 2020년 7월 20 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0-12338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수면은, 심신의 휴양, 신체의 성장, 수복 혹은 신진 대사, 또는 기억의 재구성 등에 깊이 관련되어 있어, 건전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에는 적절한 수면의 취득이 필요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일본 후생 노동성의「헤이세이 28년 국민 건강·영양 조사보고」에 의하면, 수면으로 휴양이 충분히 취해지지 못한 사람의 비율은 19.7 % 로, 그 비율은 최근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 20 ∼ 50 대에서는, 그 비율이 2 할을 초과하고 있다. 생활 환경의 다양한 사정에 의해서, 충분한 수면 시간의 확보는 반드시 용이하지 않아, 일정한 수면 시간으로 만족감이 높은 수면을 취득하려면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물질로서, 오크라 종자 추출물 (특허문헌 1), 술피닐기를 갖는 함황 아미노산 (특허문헌 2) 및 글리신 (특허문헌 3)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0484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023179호 일본 특허공보 제4913410호
본 발명의 과제의 하나는, 포유 동물 (특히 인간) 의, 수면의 질의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하나는, 포유 동물 (특히 인간) 의, 스트레스 완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하나는, 포유 동물 (특히 인간) 의, 피로감의 경감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행한 바,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이, 포유 동물 (특히 인간) 의, 수면의 질의 개선, 스트레스의 완화, 피로감의 경감에 유용한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면의 질의 개선제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제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피로감의 경감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포유 동물 (특히 인간) 의, 수면의 질의 개선, 스트레스의 완화, 피로감의 경감 등에 유용하다.
도 1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센트 마리 병원 수면 질문표에 기초하여 평가한 결과 (몇 회 잠을 깼는지를 평가한 결과)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또는 플라세보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센트 마리 병원 수면 질문표에 기초하여 평가한 결과 (수면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또는 플라세보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센트 마리 병원 수면 질문표에 기초하여 평가한 결과 (얼마나 잘 잘는지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또는 플라세보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뇌파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한 결과 (중도 각성의 횟수)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또는 플라세보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뇌파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한 결과 (기상 전 2 시간의 중도 각성의 횟수)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또는 플라세보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뇌파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한 결과 (논렘 수면 스테이지 1 의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한 비율)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또는 플라세보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뇌파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한 결과 (논렘 수면 스테이지 1 의 시간)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또는 플라세보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뇌파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한 결과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한 비율)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또는 플라세보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뇌파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한 결과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시간)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가 투여된 피검자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센트 마리 병원 수면 질문표에 기초하여 평가한 결과 (기면시의 상쾌도)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가 투여된 피험자 (남성 및 여성) 의 기분·감정에 대해서, POMS2 (기분 프로필 검사) 에 기초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를 투여하는 시험의 종료 후에 있어서의, 당해 시험의 실시 전부터의 피험자의 POMS2 의 스코어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12 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가 투여된 피험자 (여성) 의 기분·감정에 대해서, POMS2 (기분 프로필 검사) 에 기초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를 투여하는 시험의 종료 후에 있어서의, 당해 시험의 실시 전부터의 피험자의 POMS2 의 스코어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13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를 투여하는 시험의 실시 전의 피험자의 맥박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 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를 투여하는 시험의 종료 후의 피험자의 맥박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 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를 투여하는 시험의 종료 후에 있어서의, 당해 시험의 실시 전부터의 피험자의 맥박수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가 투여된 피험자 (남성 및 여성) 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OSA 수면 조사표에 기초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를 투여하는 시험의 종료 후에 있어서의, 당해 시험의 실시 전부터의 피험자의 OSA 의 스코어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17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가 투여된 피험자 (여성) 의 수면의 질에 대해서, OSA 수면 조사표에 기초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를 투여하는 시험의 종료 후에 있어서의, 당해 시험의 실시 전부터의 피험자의 OSA 의 스코어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18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가 투여된 피험자 (남성 및 여성) 의 피로감에 대해서, VAS 에 의해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9 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및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함유하는 배합제 (Citrate) 또는 플라세보 (Placebo) 가 투여된 피험자 (여성) 의 피로감에 대해서, VAS 에 의해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는,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일 수 있다.
시트르산의 예로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시트르산의 수화물 (예를 들어, 시트르산 일수화물 (C6H8O7·H2O)) 및 무수 시트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시트르산의 염의 예로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시트르산의 식품 또는 의약으로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시트르산의 칼륨염을 들 수 있다.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의 예에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시트르산 일나트륨, 시트르산 이나트륨, 시트르산 삼나트륨 (본 명세서에서는, 시트르산 삼나트륨을 간단히 시트르산나트륨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및 시트르산제1철나트륨을 들 수 있다.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은, 그 수화물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이어도 된다.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예에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시트르산일칼륨, 시트르산이칼륨 및 시트르산삼칼륨 (본 명세서에서는, 시트르산삼칼륨을 간단히 시트르산칼륨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들 수 있다. 시트르산의 칼륨염은, 그 수화물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이어도 된다.
상기 시트르산의 염은, 그 수화물이어도 되고, 또 상이한 염 또는 그 수화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시트르산의 염이 혼합물인 경우, 구성하는 시트르산의 염의 혼합비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2 종의 시트르산의 염의 혼합물이면, 그 몰비를 0.01 ∼ 100 으로 할 수 있다. 혼합비를 몰비로 약 1 : 1 로 해도 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 에 함유되는 시트르산의 염은, 시트르산의 나트륨염과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의,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의 몰수와,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수의 혼합비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0.85 : 1.15 ∼ 1.15 : 0.85 가 바람직하고, 0.90 : 1.10 ∼ 1.10 : 0.90 이 보다 바람직하며, 0.95 : 1.05 ∼ 1.05 : 0.95 가 보다 바람직하고, 0.99 : 1.01 ∼ 1.01 : 0.99 가 더욱 바람직하고, 1 : 1 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 에 함유되는 시트르산의 염은,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과,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의,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의 몰수와,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의 몰수의 혼합비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0.85 : 1.15 ∼ 1.15 : 0.85 가 바람직하고, 0.90 : 1.10 ∼ 1.10 : 0.90 이 보다 바람직하며, 0.95 : 1.05 ∼ 1.05 : 0.95 가 보다 바람직하고, 0.99 : 1.01 ∼ 1.01 : 0.99 가 더욱 바람직하고, 1 : 1 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1 개 선택되는 물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 은,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을 함유해도 된다.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은 유효 성분일 수 있다.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은, 또, 혼합물일 수 있고, 혼합물에 있어서의, 시트르산의 몰수와,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의 몰수와,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수의 혼합비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트르산의 칼륨염, 시트르산의 나트륨염과 시트르산의 몰비를, 시트르산의 칼륨염 1 에 대해서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을 0.01 ∼ 100, 시트르산을 0.01 ∼ 100 으로 할 수 있다. 혼합비를 몰비로 약 2 : 2 : 1 로 해도 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 은, 무수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의, 무수 시트르산의 몰수와,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의 몰수와,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수의 혼합비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 1 ∼ 3 : 1 ∼ 3, 1 : 1.5 ∼ 2.5 : 1.5 ∼ 2.5 일 수 있고, 1 : 1.7 ∼ 2.3 : 1.7 ∼ 2.3 이 바람직하고, 1 : 1.9 ∼ 2.1 : 1.9 ∼ 2.1 이 보다 바람직하며, 1 : 1.95 ∼ 2.05 : 1.95 ∼ 2.05 가 더욱 바람직하고, 1 : 2 : 2 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 은, 무수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및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의, 무수 시트르산의 몰수와,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의 몰수와,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의 몰수의 혼합비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1 : 1 ∼ 3 : 1 ∼ 3, 1 : 1.5 ∼ 2.5 : 1.5 ∼ 2.5 일 수 있고, 1 : 1.7 ∼ 2.3 : 1.7 ∼ 2.3 이 바람직하고, 1 : 1.9 ∼ 2.1 : 1.9 ∼ 2.1 이 보다 바람직하며, 1 : 1.95 ∼ 2.05 : 1.95 ∼ 2.05 가 더욱 바람직하고, 1 : 2 : 2 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트르산 및 그 염 (예를 들어,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및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의 중량에 대해서 언급할 때에는, 그 중량은 건조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 은, 수면의 질의 개선 작용 ; 스트레스의 완화 작용 ; 및/또는, 피로감의 경감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이 발휘하는 작용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 작용 ; 스트레스의 완화 작용 및, 피로감의 경감 작용) 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을 섭취 또는 복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을 섭취 또는 복용했을 경우에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이 발휘하는 작용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 작용 ; 스트레스의 완화 작용 ; 및, 피로감의 경감 작용) 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을 섭취 또는 복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을 섭취 또는 복용했을 경우에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이,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을 함유하는 경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과,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비가, 1 : 0.8 ∼ 1.2, 1 : 0.9 ∼ 1.1 또는 1 : 1 이면, 그것을 섭취 또는 복용한 포유 동물 (예를 들어, 인간) 의 혈압에 대한 영향이 작거나, 또는 거의 없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신 적출-DOCA (deoxycorticosterone acetate) 부하 처치 래트에게,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시트르산을 2 : 2 : 1 로 배합한 혼합물을 3 주일 연속 경구 투여했을 경우 (2000 ㎎/㎏/day), 투여에 의한 혈압 상승은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생리 식염수를 3 주일 투여했을 경우, 투여 전과 비교하여, 3 주일 투여 후에서는 현저한 혈압 상승이 확인되었다.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및 시트르산 혼합물 (혼합비 2 : 2 : 1) 투여군의 혈중 나트륨 농도는, 생리 식염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높은 경향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도, 시트르산의 나트륨염과,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비가, 1 : 0.8 ∼ 1.2, 1 : 0.9 ∼ 1.1 또는 1 : 1 이면, 그것을 함유하는 혼합물 (예를 들어,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및 시트르산 혼합물 (혼합비 2 : 2 : 1)) 을 섭취 또는 복용한 포유 동물 (예를 들어, 인간) 의 혈압에 대한 영향은 작은 것이 지지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수면의 질의 개선제, 스트레스의 완화제, 피로감의 경감제) 은, 포유 동물 (예를 들어, 인간) 에게 섭취 또는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포유 동물」에는 포유류 (Ma㎜ alia) 로 분류되는 동물이 포함되고, 특히 인간이 바람직하다.
인간의 수면은, 통상, 천(淺)수면 (스테이지 1 및 스테이지 2 의 논렘 수면) 및 서파 수면 (심수면이라고도 하는, 스테이지 3 및 스테이지 4 의 논렘 수면) (천수면 및 서파 (徐波) 수면을 논렘 수면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REM 수면의 각 상태를 천이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 수면 도중에 각성하고, 다시 수면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중도 각성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가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수면 주기」란, 어느 REM 수면이 종료되고 나서 다음의 REM 수면이 종료될 때까지를 말한다. 「제 1 수면 주기」란, 입면 후 최초의 수면 주기를 말한다.
「수면의 질」은, 예를 들어, 중도 각성의 횟수 및 시간, 수면 효율, 조조 각성의 유무, 논렘 수면 시간 연장, 논렘 수면 및 REM 수면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 서파 수면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 서파 수면의 횟수 및 시간 그리고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서파 수면의 시간의 비율, 수면 시간, 입면 잠시 (潛時) (잠들 때까지의 시간), 혹은 논렘 수면시의 델타 파워치 (잠의 깊이의 지표) 등의 객관적인 지표, 또는 잠들기 쉬움, 잠에서 깨어날 때의 상쾌감, 숙면감, 꿈꾸기 (예를 들어, 악몽을 꾸는지의 여부, 꿈꾸기의 횟수 등), 수면의 만족도, 주간의 졸음 정도 혹은 피로감 정도 등의, 비교적, 피험자의 주관에 기초하는 지표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주관에 기초하는 지표는, 예를 들어, 센트 마리 병원 수면 질문표, POMS2, OSA 수면 조사표, VAS 등에 의해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수면의 질의 개선」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 (예를 들어,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 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중도 각성의 억제 (예를 들어, 중도 각성의 횟수의 감소), 서파 수면의 촉진 (예를 들어, 서파 수면 (예를 들어,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시간의 증가,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서파 수면 (예를 들어,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시간의 비율의 증가), 제 1 수면 주기의 델타 파워치의 증가), 조조 각성의 억제 (예를 들어, 기상 전 2 시간의 중도 각성의 횟수의 감소), 서파 수면의 시간의 증가,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서파 수면의 시간의 비율의 증가, 깊은 잠의 형성 촉진 (예를 들어, 델타 파워치 (예를 들어, 제 1 수면 주기의 델타 파워치) 의 증가), 숙면감의 향상, 기상시의 상쾌도의 향상, 기분의 상태 또는 피로감의 경감 등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중도 각성의 횟수, REM 수면, 논렘 수면, 서파 수면, 델타 파워치 등은, 공지된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뇌파계를 사용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것 등에 의해서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수면의 질의 개선」은,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서파 수면 (예를 들어,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시간의 비율의 증가이다. 수면 중에, 서파 수면 (예를 들어,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상태가 복수 회 출현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파 수면 (예를 들어,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시간이란, 복수 회 출현하는 서파 수면 (예를 들어,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상태의 각 회의 시간의 합계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서파 수면의 시간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10 % ∼ 50 %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 ∼ 35 % 증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수면의 질의 개선」은, 중도 각성의 횟수의 감소이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중도 각성의 횟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측정된 뇌파로부터 각성으로 판단되는 횟수가 5 ∼ 30 %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 20 % 감소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중도 각성의 횟수는, 수면 기간 중에 실제로 각성을 인식한 횟수로 평가해도 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1 회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도 각성이 0 회로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수면의 질의 개선」은, 숙면감의 향상으로서, 숙면감의 향상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충실한 잠을 잤다고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을 지표에 평가해도 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수면의 질의 개선」은, 깊은 잠의 형성 촉진으로서, 깊은 잠의 형성 촉진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깊은 잠을 잤다고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을 지표에 평가해도 되고, 델타 파워치의 증가를 지표에 평가해도 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수면의 질의 개선」은, 기상시의 상쾌도의 향상으로서, 상쾌도의 향상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기상시의 상쾌도가 향상되었다고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을 지표에 평가해도 된다.
기상시의 상쾌도는, 예를 들어, 잠에서 깨어날 때의 상쾌감, 기상시의 눈뜨기감, 기상시 졸림, 눈뜨기 깨끗함, 눈뜨기 쾌적, 산뜻한 눈뜨기, 눈뜨기 상쾌, 기분이 좋은 눈뜨기, 기분 좋은 눈뜨기, 개운한 눈뜨기, 상쾌한 눈뜨기, 후련한 눈뜨기, 좋은 눈뜨기, 눈뜨기 양호, 눈뜨기 good, 눈뜨기 great, 스무드한 눈뜨기, 눈뜨기 가뿐함, 건강한 눈뜨기, 눈뜨기 담박함, 기분 좋은 눈뜨기, 경쾌한 눈뜨기, 눈뜨기 발랄, 눈뜨기 쾌활, 밝은 눈뜨기, 양질의 눈뜨기 등으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을, 1 일 혹은 2 일의 기간, 5 일 이상의 기간, 또는 1 주일 혹은 2 주일의 기간 등, 섭취 또는 복용함으로써 수면의 질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야간 다뇨란, 야간의 뇨량이 증가하는 상태를 말하고, 예를 들어, 고령자에게서는, 야간 취침 중의 뇨량이 1 일의 총뇨량의 33 % 를 초과하는 상태, 청년자에게서는, 야간 취침 중의 뇨량이 1 일의 총뇨량의 20 % 를 초과하는 상태를 말한다. 야간 빈뇨란, 취침 중에 배뇨를 위해서 1 회 이상 일어나야만 하는 증상을 말한다. 야간 빈뇨는, 야간 다뇨에 의한 야간 빈뇨일 수 있다.
야간의 배뇨 횟수가 감소하면, 중도 각성이 억제될 수 있다. 중도 각성은 수면 장해를 야기하여, 수면의 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 배뇨에 이르지 않아도, 야간의 뇨의 산생량이 증가하면, 요의 (尿意) 에 의해서 각성할 수 있고, 수면 장해를 야기하여, 수면의 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빈뇨 (예를 들어, 야간 빈뇨, 또는 야간 다뇨에 의한 야간 빈뇨) 에 의한 수면 장해의 억제용의 조성물을 제공하고,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중도 각성의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용 조성물 (예를 들어, 야간 요의의 억제 또는 야간 배뇨 횟수의 저감에 의한 수면의 질의 개선용 조성물) 을 제공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배뇨 횟수의 감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또, 그것을 섭취 또는 복용한 대상 (예를 들어, 인간) 의 스트레스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를 완화시킬 수 있다. 스트레스의 완화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기분의 상태 (예를 들어, 분노, 적의, 혼란, 당혹, 답답함, 침체, 피로, 무기력, 긴장, 불안, 활기, 활력, 유효, 종합적 기분 상태 등) 를 지표에 평가해도 된다.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해서, 자율 신경계에 실조 (失調) 가 발생되면, 정신의 항진 상태가 야기되어, 조속한 입면 (유면 (誘眠)) 이 방해되고, 수면이 얕아진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을 섭취 또는 복용함으로써, 스트레스가 완화될 수 있다.
스트레스는, 정신적 스트레스 또는 육체적 (신체적) 스트레스일 수 있고, 마음이나 몸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자극 (스트레서) 에 적응하기 위해서, 정신이나 신체에 발생되는 변형일 수 있다. 스트레서의 예로는, 한정되지는 않지만,「물리적 스트레서」(더위나 추위, 소음이나 혼잡 등),「화학적 스트레서」(공해 물질, 약물, 산소 결핍·과잉, 일산화탄소 등),「심리·사회적 스트레서」(인간 관계나 업무상의 문제, 가정의 문제 등) 를 들 수 있다.
스트레서에 의해서 야기될 수 있는 정신적 스트레스로는, 활기의 저하, 초조, 불안, 답답함 (기분의 침체, 흥미·관심의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육체적 스트레스로는, 몸의 마디마디의 아픔, 두통, 어깨 결림, 요통, 눈의 피로, 동계 (動悸) 나 숨가쁨, 위통, 식욕 저하, 변비나 설사 등 다양한 증상을 들 수 있다. 정신적 스트레스가 완화되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POMS2 와 같은 기분 프로필 검사에서, 분노-적의 ; 혼란-당혹 ; 답답함-침체 ; 피로-무기력 ; 긴장-불안 ; 활기-활력 ; 우호의 7 항목 및 네거티브한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TMD 득점 중, 1 항목 이상, 2 항목 이상, 3 항목 이상, 바람직하게는 4 항목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항목 이상이 개선됨으로써 평가되어도 된다.
또, 스트레서에 의해서 교감 신경이 활발해져, 자율 신경 활동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가 부하되면 맥박수가 증가하지만, 완화되면 부교감 신경이 활발해져, 맥박수는 감소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육체적 스트레스가 완화되었는지의 여부는, 맥박수 (심박수) 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되어도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을, 예를 들어, 1 일 혹은 2 일의 기간, 5 일 이상의 기간, 또는 1 주일 혹은 2 주일의 기간 등, 섭취 또는 복용함으로써 스트레스가 완화되지만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또, 그것을 섭취 또는 복용한 대상 (예를 들어, 인간) 의 피로감을 경감할 수 있다. 피로감의 경감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 전 또는 컨트롤 혹은 플라세보와 비교하여, 피로감이 경감하고 있다고 주관적으로 느끼는 것을 지표에 평가해도 되고, VAS 등에 의해서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을, 예를 들어, 1 일 혹은 2 일의 기간, 또는 1 주일 혹은 2 주일의 기간 등, 섭취 또는 복용함으로써, 피로감이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의약일 수 있고,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품의 예에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특정 보건용 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병원 환자용 식품, 서플리먼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식품의 형태로는, 시트르산 및/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경구적으로 섭취 가능한 형태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적인 음식품의 형태여도 되고, 제제화하여, 경구 투여에 적절한 제제, 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 과립제, 젤리제, 액제 (예를 들어, 현탁제, 드링크제 등) 의 제제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들 제제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의약의 제제 기술의 분야 (이하, 제약 분야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 있어서, 그 자체로 공지된 제제 기술을, 식품의 제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제제화되지 않고, 통상적인 음식품의 형태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시트르산 및/또는 그 염을 배합한 통상적인 음식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양태에 있어서, 당업자는, 상기 음식품을 적절히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식품 소재에 시트르산 및/또는 그 염을 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음식품의 예로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음료, 간장, 우유, 요구르트, 된장, 드레싱 등의 액상 또는 유상 (乳狀) 또는 페이스트상 식품 ; 젤리, 구미 등의 반고형상 식품 ; 엿, 껌, 두부, 서플리먼트 등의 고형상 식품 ; 또는 분말상 식품을 들 수 있다. 조미료도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의 예로서 들 수 있다.
음료로는, 과즙·과실 음료, 커피 음료, 우롱차 음료, 녹차 음료, 홍차 음료, 보리차 음료, 야채 음료, 소프트 드링크인 탄산 음료, 과실 엑기스들이 음료, 야채 엑기스들이 쥬스, 니어 워터, 스포츠 음료, 다이어트 음료, 알코올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음료에는, 산화 방지제, 향료, 각종 에스테르류, 유기산류, 유기산 염류, 무기산류, 무기산 염류, 무기 염류, 색소류, 유화제, 보존료, 조미료, 감미료, 산미료, 과즙 엑기스류, 야채 엑기스류, 화밀 엑기스류, pH 조정제, 품질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음료의 농축물 (액체) 로서, 물, 탄산수, 알코올 수용액 등의 희석재로 희석함으로써 통상적인 음용 상태로 할 수 있는 농축 타입의 음료, 예를 들어, 농축 음료, 칵테일 농축, 시럽도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의 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음료의 농축물 (과립) 로서, 물, 탄산수, 알코올 수용액 등에 용해시킴으로써 통상적인 음용 상태로 할 수 있는 농축 타입의 과립도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에 의한 시트르산 및/또는 그 염의 섭취 또는 투여량은, 상기 유효 성분의 종류, 섭취 또는 투여 방법, 섭취하는 대상 또는 투여하는 대상의 연령, 체중, 성별, 증상, 상기 유효 성분에 대한 감수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여성에게 섭취 또는 복용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남성 및 여성에게 섭취 또는 복용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이 식품인 경우, 병적이지 않은 사람으로서,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싶다고 느끼는 인간이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이 식품인 경우, 병적이지 않은 사람으로서, 정신적 스트레스 및/또는 육체적 스트레스를 느끼는 인간이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이 식품인 경우, 병적이지 않은 사람으로서, 피로감을 경감하고 싶다고 느끼는 인간이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식품 또는 의약은, 1 식당의 단위 포장 형태 또는 단위 투여 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르산 및/또는 그 염을 1 ㎎ 이상, 10 ㎎ 이상, 50 ㎎ 이상, 100 ㎎ 이상, 200 ㎎ 이상, 400 ㎎ 이상, 500 ㎎ 이상, 1 g 이상, 3 g 이상 또는 5 g 이상 함유해도 되고, 예를 들어, 50 ㎎ 이상 10 g 이하, 100 ㎎ 이상 10 g 이하, 200 ㎎ 이상 10 g 이하, 400 ㎎ 이상 10 g 이하, 500 ㎎ 이상 10 g 이하, 1 g 이상 10 g 이하, 3 g 이상 10 g 이하, 5 g 이상 10 g 이하, 50 ㎎ 이상 5 g 이하, 100 ㎎ 이상 5 g 이하, 200 ㎎ 이상 5 g 이하, 400 ㎎ 이상 5 g 이하, 500 ㎎ 이상 5 g 이하, 1 g 이상 5 g 이하, 3 g 이상 5 g 이하, 50 ㎎ 이상 3 g 이하, 100 ㎎ 이상 3 g 이하, 200 ㎎ 이상 3 g 이하, 400 ㎎ 이상 3 g 이하, 500 ㎎ 이상 3 g 이하, 1 g 이상 3 g 이하, 50 ㎎ 이상 1 g 이하, 100 ㎎ 이상 1 g 이하, 200 ㎎ 이상 1 g 이하, 400 ㎎ 이상 1 g 이하, 50 ㎎ 이상 500 ㎎ 이하, 100 ㎎ 이상 500 ㎎ 이하, 200 ㎎ 이상 500 ㎎ 이하, 400 ㎎ 이상 500 ㎎ 이하, 50 ㎎ 이상 200 ㎎ 이하, 100 ㎎ 이상 200 ㎎ 이하, 10 ㎎ 이상 500 ㎎ 이하, 10 ㎎ 이상 200 ㎎ 이하, 10 ㎎ 이상 100 ㎎ 이하, 10 ㎎ 이상 50 ㎎ 이하, 1 ㎎ 이상 500 ㎎ 이하, 1 ㎎ 이상 200 ㎎ 이하, 1 ㎎ 이상 100 ㎎ 이하, 1 ㎎ 이상 50 ㎎ 이하 또는 1 ㎎ 이상 10 ㎎ 이하 함유해도 된다. 이와 같은 단위 포장 형태 또는 단위 투여 형태를, 1 회/일, 2 회/일 또는 3 회/일에 섭식 또는 복용해도 된다. 2 회/일의 경우, 조식 후와 취침 전에 섭식 또는 복용해도 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식품 또는 의약은, 1 식당의 단위 포장 형태 또는 단위 투여 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을 1 ㎎ 이상, 10 ㎎ 이상, 50 ㎎ 이상, 100 ㎎ 이상, 200 ㎎ 이상, 300 ㎎ 이상, 400 ㎎ 이상, 500 ㎎ 이상, 1 g 이상, 3 g 이상 또는 5 g 이상 함유해도 되고, 예를 들어, 50 ㎎ 이상 10 g 이하, 100 ㎎ 이상 10 g 이하, 200 ㎎ 이상 10 g 이하, 400 ㎎ 이상 10 g 이하, 500 ㎎ 이상 10 g 이하, 1 g 이상 10 g 이하, 3 g 이상 10 g 이하, 5 g 이상 10 g 이하, 50 ㎎ 이상 5 g 이하, 100 ㎎ 이상 5 g 이하, 200 ㎎ 이상 5 g 이하, 400 ㎎ 이상 5 g 이하, 500 ㎎ 이상 5 g 이하, 1 g 이상 5 g 이하, 3 g 이상 5 g 이하, 200 ㎎ 이상 3 g 이하, 300 ㎎ 이상 3 g 이하, 400 ㎎ 이상 3 g 이하, 500 ㎎ 이상 3 g 이하, 200 ㎎ 이상 2 g 이하, 300 ㎎ 이상 2 g 이하, 400 ㎎ 이상 2 g 이하, 500 ㎎ 이상 2 g 이하, 1 ㎎ 이상 1 g 이하, 100 ㎎ 이상 1 g 이하, 200 ㎎ 이상 1 g 이하, 300 ㎎ 이상 1 g 이하, 400 ㎎ 이상 1 g 이하, 500 ㎎ 이상 1 g 이하, 10 ㎎ 이상 500 ㎎ 이하, 10 ㎎ 이상 200 ㎎ 이하, 10 ㎎ 이상 100 ㎎ 이하, 10 ㎎ 이상 50 ㎎ 이하, 1 ㎎ 이상 500 ㎎ 이하, 1 ㎎ 이상 200 ㎎ 이하, 1 ㎎ 이상 100 ㎎ 이하, 1 ㎎ 이상 50 ㎎ 이하 또는 1 ㎎ 이상 10 ㎎ 이하 함유해도 된다. 이와 같은 단위 포장 형태 또는 단위 투여 형태를, 1 회/일, 2 회/일 또는 3 회/일에 섭식 또는 복용해도 된다. 2 회/일의 경우, 조식 후와 취침 전에 섭식 또는 복용해도 된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보조 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또는 병원 환자용 식품의 경우, 1 식분의 식품당, 무수 시트르산,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및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을 합계로 1 ∼ 3 g 의 1/3 량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보조 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병원 환자용 식품 또는 서플리먼트가 정제로서 제공되는 경우, 예를 들어, 1 정당, 300 ㎎ ∼ 600 ㎎ 의 정제에, 70 ∼ 95 중량% 의 시트르산 (예를 들어, 무수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예를 들어,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 (예를 들어,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의약) 의, 섭취 또는 투여 기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일 이상, 2 일 이상, 3 일 이상, 5 일 이상, 1 주일 이상, 2 주일 이상, 4 주일 이상, 1 주일 또는 2 주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수면의 질의 개선 작용, 스트레스의 완화 작용, 및/또는, 피로감의 경감 작용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수면의 질의 개선용 조성물 (예를 들어, 중도 각성의 억제용 조성물, 조조 각성의 억제용 조성물, 숙면감의 향상용 조성물, 서파 수면의 촉진용 조성물, 기상시의 눈뜨기감의 개선용 조성물), 스트레스의 완화용 조성물, 및/또는, 피로감의 경감용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수면의 질의 개선 (예를 들어, 중도 각성의 억제, 조조 각성의 억제, 숙면감의 향상, 서파 수면의 촉진, 기상시의 눈뜨기감의 개선) 을 위한,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및/또는, 피로감의 경감을 위한, 시트르산 및/또는 그 염의 사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실시양태의 다른 예로는, 이하의 (1) ∼ (2-33) 을 들 수 있다.
(1)
수면의 질의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의 사용 ;
(2)
수면의 질의 개선이, 중도 각성의 억제인, (1) 에 기재된 사용 ;
(3)
수면의 질의 개선이, 조조 각성의 억제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사용 ;
(4)
수면의 질의 개선이, 숙면감의 향상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5)
수면의 질의 개선이, 서파 수면의 촉진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6)
수면의 질의 개선이,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시간의 비율의 증가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7)
수면의 질의 개선이, 논렘 수면에 있어서의 스테이지 1 의 시간의 비율을 감소시키고, 스테이지 3 의 시간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서파 수면의 촉진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8)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의 수면의 질의 개선인,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9)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의 델타 파워치의 증가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10)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 깊은 잠의 형성 촉진인,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11)
수면의 질의 개선이, 빈뇨에 수반하는 수면 장해의 억제인,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12)
수면의 질의 개선이, 빈뇨에 수반하는 중도 각성의 억제인,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13)
수면의 질의 개선이, 기상시의 상쾌감의 개선인,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14)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정신 상태의 개선인,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15)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의 사용 ;
(16)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의 사용 ;
(17)
피로감의 경감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의 사용 ;
(18)
조성물이, 시트르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19)
조성물이, 시트르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20)
시트르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 수화물, 또는 시트르산의 칼륨염 또는 그 수화물인, (19) 에 기재된 사용 ;
(21)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이,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인, (20) 에 기재된 사용 ;
(22)
시트르산의 칼륨염이,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인, (20) 에 기재된 사용 ;
(23)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이,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 수화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 또는 그 수화물의 혼합물인, (1)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24)
시트르산의 나트륨염과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비가, 0.85 : 1.15 ∼ 1.15 : 0.85 인, (23) 에 기재된 사용 ;
(25)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이,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 수화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 또는 그 수화물의 혼합물인, (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26)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비가, 1 : 1.7 ∼ 2.3 : 1.7 ∼ 2.3 인, (25) 에 기재된 사용 ;
(27)
시트르산이 무수 시트르산이고,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이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이며, 시트르산의 칼륨염이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인, (25) 또는 (26) 에 기재된 사용 ;
(28)
조성물이 식품인, (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29)
조성물이, 1 식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500 ㎎ 이상 함유하는 식품인, (1) ∼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30)
조성물이, 1 식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500 ㎎ 이상 2 g 이하 함유하는 식품인, (1) ∼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31)
조성물이, 포장, 용기, 또는 설명서에, 수면의 질의 개선의 효과, 스트레스 완화의 효과 또는 피로감의 경감의 효과가 표시되어 있는 식품인, (1) ∼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32)
조성물이, 포장, 용기, 또는 설명서에,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서파 수면의 시간의 비율의 증가, 중도 각성의 횟수의 감소 또는 숙면감의 향상의 효과가 표시되어 있는 식품인, (1) ∼ (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33)
조성물이, 여성에게 투여 또는 섭취되는, (1) ∼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
(2-1)
수면의 질의 개선이 필요한 대상에게, 유효량의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의 질의 개선 방법 ;
(2-2)
수면의 질의 개선이, 중도 각성의 억제인, (2-1) 에 기재된 방법 ;
(2-3)
수면의 질의 개선이, 조조 각성의 억제인, (2-1) 또는 (2-2) 에 기재된 방법 ;
(2-4)
수면의 질의 개선이, 숙면감의 향상인, (2-1)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5)
수면의 질의 개선이, 서파 수면의 촉진인, (2-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6)
수면의 질의 개선이,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시간의 비율의 증가인, (2-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7)
수면의 질의 개선이, 논렘 수면에 있어서의 스테이지 1 의 시간의 비율을 감소시키고, 스테이지 3 의 시간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서파 수면의 촉진인, (2-1) ∼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8)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의 수면의 질의 개선인, (2-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9)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의 델타 파워치의 증가인, (2-1) ∼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10)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 깊은 잠의 형성 촉진인, (2-1) ∼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11)
수면의 질의 개선이, 빈뇨에 수반하는 수면 장해의 억제인, (2-1) ∼ (2-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12)
수면의 질의 개선이, 빈뇨에 수반하는 중도 각성의 억제인, (2-1) ∼ (2-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13)
수면의 질의 개선이, 기상시의 상쾌감의 개선인, (2-1) ∼ (2-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14)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정신 상태의 개선인, (2-1) ∼ (2-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15)
스트레스 완화가 필요한 대상에게, 유효량의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트레스의 완화 방법 ;
(2-16)
스트레스 완화가 필요한 대상에게, 유효량의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신적 스트레스의 완화 방법 ;
(2-17)
피로감의 경감이 필요한 대상에게, 유효량의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로감의 경감 방법 ;
(2-18)
조성물이, 시트르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2-1) ∼ (2-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19)
조성물이, 시트르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2-1) ∼ (2-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20)
시트르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 수화물, 또는 시트르산의 칼륨염 또는 그 수화물인, (2-19) 에 기재된 방법 ;
(2-21)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이,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인, (2-20) 에 기재된 방법 ;
(2-22)
시트르산의 칼륨염이,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인, (2-20) 에 기재된 방법 ;
(2-23)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이,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 수화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 또는 그 수화물의 혼합물인, (2-1) ∼ (2-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24)
시트르산의 나트륨염과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비가, 0.85 : 1.15 ∼ 1.15 : 0.85 인, (2-23) 에 기재된 방법 ;
(2-25)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이,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 수화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 또는 그 수화물의 혼합물인, (2-1) ∼ (2-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26)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비가, 1 : 1.7 ∼ 2.3 : 1.7 ∼ 2.3 인, (2-25) 에 기재된 방법 ;
(2-27)
시트르산이 무수 시트르산이고,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이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이며, 시트르산의 칼륨염이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인, (2-25) 또는 (2-26) 에 기재된 방법 ;
(2-28)
조성물이 식품인, (2-1) ∼ (2-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29)
조성물이, 1 식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500 ㎎ 이상 함유하는 식품인, (2-1) ∼ (2-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30)
조성물이, 1 식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500 ㎎ 이상 2 g 이하 함유하는 식품인, (2-1) ∼ (2-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31)
조성물이, 포장, 용기, 또는 설명서에, 수면의 질의 개선의 효과, 스트레스 완화의 효과 또는 피로감의 경감의 효과가 표시되어 있는 식품인, (2-1) ∼ (2-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32)
조성물이, 포장, 용기, 또는 설명서에,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서파 수면의 시간의 비율의 증가, 중도 각성의 횟수의 감소 또는 숙면감의 향상의 효과가 표시되어 있는 식품인, (2-1) ∼ (2-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
(2-33)
조성물이, 여성에게 투여 또는 섭취되는, (2-1) ∼ (2-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아테네식 불면 척도에 의한 스코어가 6 이상 9 이하로「불면증의 의심이 있다」고 판정된 남녀 25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는 플라세보 (placebo) 혹은 시트르산염 (citrate) 3 g 이 들어간 캡슐 (1392 ㎎ 의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1170 ㎎ 의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 및 438 ㎎ 의 시트르산을 포함한다) 을 조식 후와 취침 30 분 전에 2 주일씩 매일 복용하였다. 휴약 기간은 1 주일로 하였다. 복용 최종일 이튿날 아침에 피험자 전원에게 센트 마리 병원 수면 질문표 (SMH) 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9 명에 대해서는 취침시에 뇌파계를 장착하고, 기상시까지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해석 대상자는 SMH 23 명 (평균 연령 38.4 세), 뇌파 측정 8 명 (평균 연령 43.5 세) 으로 하고, Wilcoxon 부호가 부여된 순위합 검정에 의한 플라세보와의 비교를 행하였다. 그 결과, 이하의 것이 확인되었다.
센트 마리 병원 수면 질문표에 의한 조사의 결과로부터, citrate 군은 placebo 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중도 각성 횟수를 줄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
citrate 군은 placebo 군에 비해서, 깊이 잠들고 (도 2), 좋은 잠이 얻어지는 (도 3) 것이 확인되었다.
뇌파 측정 결과로부터, citrate 군은 placebo 군에 비해서, 중도 각성 횟수 (도 4) 및 조조 각성 횟수 (도 5) 를 줄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citrate 군은 placebo 군에 비해서 논렘 수면 스테이지 1 (천수면) 비율 (도 6) 및 시간 (도 7) 을 줄이고,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서파 수면) 비율 (도 8) 및 시간 (도 9) 을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citrate 군의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의 델타 파워치는, placebo 군의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의 델타 파워치의 약 1.2 배로 증가하였다. 시트르산칼륨 및 시트르산나트륨의 수화물의 배합제는, 수면 전체에 대한 서파 수면의 비율 및 시간을 증가시켜, 중도 각성 (예를 들어, 조조 각성) 을 감소시키는 것,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2
시트르산칼륨·시트르산나트륨 수화물·시트르산 배합 제제 및 탄산수소나트륨 (중조) 제제의, 야간뇨량, 야간 배뇨 횟수 및 뇨 pH 에 대한 효과의 확인을 목적으로 한 비맹검 크로스오버 테스트를, 정상 남자 (29 세 ∼ 63 세) 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엔트리 인원수 : 30 명). 피험자에게 이하의 1) ∼ 3) 의 처치를 사이에 1 주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행하였다 :
1) 시트르산칼륨 (C6H5K3O7·H2O) 231.5 ㎎, 시트르산나트륨 수화물 (C6H5Na3O7·2H2O) 195.0 ㎎ 및 무수 시트르산 72.5 ㎎ 을 함유하는 정제를 1 회 2 정, 1 일 3 회 (아침, 점심, 저녁), 7 일간 경구 투여 (A 군 : 시트르산 제제 투여군) ;
2) 탄산수소나트륨 500 ㎎ 을 함유하는 정제를 1 회 4 정, 1 일 3 회 (아침, 점심, 저녁), 7 일간 경구 투여 (B 군 : 중조 투여군) ;
3) 약제 투여 없음 7 일간 (C 군 : 컨트롤).
각 군의 약제 투여 최종일에, 유린메이트 (등록상표) P (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 주식회사로부터 입수) 를 사용하여, 24 시간 뇨를 채취하고, 배뇨마다, 시각, 뇨량, 및, 뇨 pH 를 기록하였다. 「22 : 00 (이후) ∼ 조조 제 1 뇨」를「야간뇨」,「제 2 뇨 ∼ 22 : 00」를「주간뇨」라고 하였다.
「야간뇨」「주간뇨」에 대해서,「뇨량」「배뇨 횟수」를 3 군의 사이에 비교하였다. 덧붙여,「제 1 뇨」「제 2 뇨」의 pH 에 미치는 효과와 뇨량의 관련을 조사하였다.
또한, 축뇨일에 있어서, 피험자의 식사를 관리하고, 피험자간에 있어서의 식사 (염분, 당류, 단백질 섭취량 등) 의 영향을 가능한 한 배제하였다.
통계 해석은, Wilcoxon 부호가 부여된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 3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시트르산 제제의 투여 (A 군) 에 의해서, 컨트롤군 (C 군) 과 비교하여 야간의 뇨량이 감소하였다 (표 1). 또, 시트르산 제제의 투여 (A 군) 에 의해서, 컨트롤군 (C 군) 과 비교하여 1 일 뇨량에 있어서의 야간뇨의 비율이 저하되었다 (표 1). 중조 제제의 투여 (B 군) 에 의해서도, 컨트롤군 (C 군) 과 비교하여 야간의 뇨량이 감소하였다 (표 1). 또, 중조 제제의 투여 (B 군) 에 의해서, 컨트롤군 (C 군) 과 비교하여 1 일 뇨량에 있어서의 야간뇨의 비율이 저하되었다 (표 1).
배뇨 횟수에 대해서는, 시트르산 제제의 투여 (A 군) 에 의해서, 컨트롤군 (C 군) 과 비교하여 주간의 배뇨 횟수는 변하지 않았지만, 야간의 배뇨 횟수가 감소하였다 (표 2). 중조 제제의 투여 (B 군) 에 의해서도, 컨트롤군 (C 군) 과 비교하여 주간의 배뇨 횟수는 변하지 않았지만, 야간의 배뇨 횟수가 감소하였다 (표 2).
뇨 pH 에 대해서는, 시트르산 제제의 투여 (A 군) 및 중조 제제의 투여 (B 군) 에 의해서, 컨트롤군 (C 군) 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값이 되고 (알칼리화되고), 시험된 투여량에서는, 시트르산 제제의 투여 (A 군) 와 비교하여, 중조 제제의 투여 (B 군) 에 의해서, 뇨의 pH 는 보다 높아졌다 (알칼리화되었다) (표 3). 그러나, 시트르산 제제와 중조 제제의 뇨의 알칼리화의 효과의 정도는, 양 제제의 야간뇨량의 저하 효과의 정도에 반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트르산 제제에 의한 야간뇨량의 저하 효과는, 뇨의 알칼리화뿐만 아니라, 시트르산 제제가 갖는 뇨의 알칼리화 이외의 시트르산의 작용에도 기인하고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표 1 및 표 3). 동일하게, 시트르산 제제와 중조 제제의 뇨의 알칼리화의 효과의 정도는, 양 제제의 야간 배뇨 횟수의 저하 효과의 정도에 반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시트르산 제제에 의한 야간 배뇨 횟수의 저하 효과는, 뇨의 알칼리화뿐만 아니라, 시트르산 제제가 갖는 뇨의 알칼리화 이외의 시트르산의 작용에서도 기인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표 2 및 표 3).
실시예 3
(시험 방법)
아테네식 불면 척도에 의한 스코어가 6 이상 9 이하로「불면증의 의심이 있다」고 판정된 남녀 25 명 (44 ± 11.4 세) 을 대상으로 한 병행군간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플라세보 (Placebo) 혹은 시트르산염 (Citrate) 3 g 이 들어간 캡슐 (1392 ㎎ 의 시트르산칼륨 일수화물, 1170 ㎎ 의 시트르산나트륨 이수화물 및 438 ㎎ 의 시트르산을 포함한다) 을 조식 후와 취침 30 분 전에 2 주일씩 매일 복용하였다. 피험자는 시험 기간 중 다음의 것을 실시하였다.
·센트 마리 병원 수면 질문표 (SMH) : 복용 개시 이튿날 아침부터 복용 최종일 이튿날 아침까지의 매일
·OSA 수면 조사표 : 시험 개시 전, 시험 종료시
·POMS2 단축판 : 시험 개시 전, 시험 종료시
·맥박수 : 시험 개시 전, 시험 종료시
·피로감 VAS : 섭취 개시 전 3 일간, 섭취 개시 1 주째 3 일간, 섭취 개시 2 주째 3 일간
(결과)
센트 마리 병원 수면 질문표에 의한 조사의 결과로부터, Citrate 군은 Placebo 군과 비교하여 1 일째에 대한「기상시의 상쾌도」의 스코어가 5 일째 이후 높아지는 (개선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0).
OSA 수면 조사표의 결과로부터, Citrate 군은 Placebo 군과 비교하여「기상시 졸림」, 여성에 있어서는 이에 더하여「꿈꾸기」「피로 회복」의 스코어가 높다 (도 16 및 도 17).
Placebo 군의 맥박수는 시험 종료 전에 비하여 시험 종료시에 높아졌지만, Citrate 군은 변화하지 않았다 (도 13 ∼ 도 15). Placebo 군은 시험 참가에 대한 스트레스가 맥박수의 증가로서 나타났지만, Citrate 군은 그것을 나타내지 않았다라고 생각된다.
POMS2 의 결과로부터, Citrate 군은 Placebo 군과 비교하여, AH (분노-적의), CB (혼란-당혹), DD (답답함-침체), FI (피로-무기력), TA (긴장-불안), VA (활기-활력), TMD (종합적 기분 상태) 등의 기분 프로필에 관한 스코어가 대체로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효과는 여성에 있어서 보다 현저하였다 (도 11 및 도 12). POMS2 의 결과는, Citrate 투여에 의해서 스트레스가 완화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피로감 VAS 의 결과로부터, Citrate 군은 투여 개시 1 주째보다 현저하게 피로감이 개선되고, 2 주째도 그 효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또, 그 효과는 Placebo 군과 비교해도 컸다. 추가로 여성에게서 그 개선 효과는 보다 명명하였다 (도 18 및 도 19).
이상으로부터, Citrate 투여에 의해서 스트레스가 완화되고, 질이 좋은 수면을 취할 수 있으며, 피로도가 개선되고, 기상시의 상쾌도가 개선되는 것이 나타났다.
포유 동물, 특히 인간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 ; 스트레스의 완화 ; 또는 피로감의 경감에 유용한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3)

  1.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면의 질의 개선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중도 각성의 억제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조조 각성의 억제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숙면감의 향상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서파 수면의 촉진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논렘 수면 스테이지 3 의 시간의 비율의 증가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논렘 수면에 있어서의 스테이지 1 의 시간의 비율을 감소시키고, 스테이지 3 의 시간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서파 수면의 촉진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의 수면의 질의 개선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의 델타 파워치의 증가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제 1 수면 주기에 있어서 깊은 잠의 형성 촉진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빈뇨에 수반하는 수면 장해의 억제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빈뇨에 수반하는 중도 각성의 억제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기상시의 상쾌감의 개선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의 개선이, 정신 상태의 개선인, 수면의 질의 개선제.
  15.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제.
  16.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제.
  17.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피로감의 경감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 수화물, 또는 시트르산의 칼륨염 또는 그 수화물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이,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의 칼륨염이,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이,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 수화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 또는 그 수화물의 혼합물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의 나트륨염과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비가, 0.85 : 1.15 ∼ 1.15 : 0.85 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5.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이,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또는 그 수화물, 및 시트르산의 칼륨염 또는 그 수화물의 혼합물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 시트르산의 나트륨염, 시트르산의 칼륨염의 몰비가, 1 : 1.7 ∼ 2.3 : 1.7 ∼ 2.3 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시트르산이 무수 시트르산이고, 시트르산의 나트륨염이 시트르산나트륨의 이수화물 (C6H5Na3O7·2H2O) 이며, 시트르산의 칼륨염이 시트르산칼륨의 일수화물 (C6H5K3O7·H2O) 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식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500 ㎎ 이상 함유하는 식품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식당의 단위 포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르산 또는 그 염을 500 ㎎ 이상 2 g 이하 함유하는 식품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장, 용기, 또는 설명서에, 수면의 질의 개선의 효과, 스트레스의 완화의 효과 또는 피로감의 경감의 효과가 표시되어 있는 식품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장, 용기, 또는 설명서에, 수면 시간 전체에 대한 서파 수면의 시간의 비율의 증가, 중도 각성의 횟수의 감소 또는 숙면감의 향상의 효과가 표시되어 있는 식품인,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성에게 투여 또는 섭취되기 위한, 개선제, 경감제 또는 완화제.
KR1020227034721A 2020-04-14 2021-04-13 수면의 질의 개선제 KR20230005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2192 2020-04-14
JPJP-P-2020-072192 2020-04-14
JPJP-P-2020-123385 2020-07-20
JP2020123385 2020-07-20
PCT/JP2021/015273 WO2021210565A1 (ja) 2020-04-14 2021-04-13 睡眠の質の改善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819A true KR20230005819A (ko) 2023-01-10

Family

ID=7808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721A KR20230005819A (ko) 2020-04-14 2021-04-13 수면의 질의 개선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149330A1 (ko)
EP (1) EP4137206A4 (ko)
JP (1) JPWO2021210565A1 (ko)
KR (1) KR20230005819A (ko)
CN (1) CN115397262A (ko)
AU (1) AU2021257176A1 (ko)
BR (1) BR112022020334A2 (ko)
CA (1) CA3175207A1 (ko)
IL (1) IL297227A (ko)
MX (1) MX2022012735A (ko)
WO (1) WO202121056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410B1 (ko) 1970-05-29 1974-03-30
JP2019023179A (ja) 2017-07-21 2019-02-14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睡眠改善剤
JP2020048481A (ja) 2018-09-26 2020-04-02 ビーエイチエヌ株式会社 睡眠の質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45A (zh) * 1997-07-18 1998-02-11 杨巍 柠檬酸盐溶石液及其制备方法
KR100379596B1 (ko) * 1999-09-13 2003-04-10 주식회사 한국팜비오 구연산칼륨을 주제로 한 요로결석치료제의 제조방법
JP3907964B2 (ja) * 2001-04-25 2007-04-18 株式会社 伊藤園 精神疲労軽減組成物、集中力維持増強組成物及び精神的活力維持増強組成物
EP1609375B1 (en) 2004-01-14 2016-04-13 Ajinomoto Co., Inc. Glycine-containing food and use thereof
US8852656B2 (en) * 2004-04-06 2014-10-07 Taiyokagaku Co., Ltd. Sleep improvement composition
JP2007230954A (ja) * 2006-03-02 2007-09-13 Fancl Corp 睡眠誘導剤及びストレス性不眠症改善剤
JP2009023948A (ja) * 2007-07-19 2009-02-05 Pokka Corp ドーパミン抑制剤
JP5282202B2 (ja) * 2008-04-11 2013-09-04 成都金麒麟生物健康科技有限公司 抗ストレス剤または睡眠改善剤
DK3225250T3 (da) * 2008-05-21 2019-11-04 Ferring Bv Orodispersibel desmopressin til forlængelse af den indledende søvnperiode, som ikke forstyrres af nykturi
JP2014172892A (ja) * 2013-03-12 2014-09-22 Fujifilm Corp 睡眠改善剤、ノンレム睡眠時間増加剤及び鎮静剤
WO2014152789A1 (en) * 2013-03-15 2014-09-25 New York University Citrate containing beverage
US20210369654A1 (en) * 2018-10-16 2021-12-02 Nippon Chemiphar Co., Ltd. Agent for improving quality of sleep
JP7482033B2 (ja) * 2018-10-17 2024-05-13 日本ケミファ株式会社 夜間多尿の治療又は予防剤
JP7192399B2 (ja) 2018-10-31 2022-12-20 Tdk株式会社 薄膜キャパシタ
JP6815547B2 (ja) 2020-04-21 2021-01-20 株式会社フジタ 床振動解析プログラムおよび床振動解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410B1 (ko) 1970-05-29 1974-03-30
JP2019023179A (ja) 2017-07-21 2019-02-14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睡眠改善剤
JP2020048481A (ja) 2018-09-26 2020-04-02 ビーエイチエヌ株式会社 睡眠の質改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7206A1 (en) 2023-02-22
CN115397262A (zh) 2022-11-25
WO2021210565A1 (ja) 2021-10-21
CA3175207A1 (en) 2021-10-21
JPWO2021210565A1 (ko) 2021-10-21
BR112022020334A2 (pt) 2022-11-22
AU2021257176A1 (en) 2022-11-10
EP4137206A4 (en) 2024-05-22
IL297227A (en) 2022-12-01
MX2022012735A (es) 2022-11-07
US20230149330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812503A (en)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enhancing weight loss while inhibiting loss of lean body mass
TWI583390B (zh) 富含鞣花單寧之萃取物組成物
US2021035367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innamaldehyde and zinc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ES2586669T3 (es) Batido de frutas con base láctea para estimular el crecimiento en niños
CN106470691B (zh) 包含肉桂醛和锌的组合物及此类组合物的使用方法
US7645795B2 (en) Method for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KR20230005819A (ko) 수면의 질의 개선제
JP6947495B2 (ja) Gabaを有効成分とする活気および/または活力向上剤
JP6650852B2 (ja) ドコサヘキサエン酸を含有する睡眠の質改善剤
JP6513103B2 (ja) 嚥下を改善するためシンナムアルデヒド及び亜鉛を含む組成物
US20200261485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3'-o-glucuronide epicatechi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compositions
Wahlqvist et al. Nutrition for maturity and ageing
WO2022239714A1 (ja) 夜間頻尿、中途覚醒又は頻尿の予防又は改善剤
JP6391066B2 (ja) オルニチン含有体組成改善用組成物
CN109481446B (zh) 改善孕妇产妇乳母胎儿机体功能的组合物及制备工艺
CA2985564C (en) Compositions comprising cinnamaldehyde and zinc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US20220000953A1 (en) Antihypertensive Composition
KR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an Ayurvedic Preparation “Sangfer” for the Treatment of Anemia in Pregnant Women: An Open-labeled Clinical Study
JP2014159381A (ja) オルニチン含有体組成改善用組成物
Comeaux The Definitive Guide to Natural Pregnancy Health-Why Your Prenatal Vitamin May Not Be Enough
JP2021120358A (ja) 経口皮膚バリア機能向上剤
KR20040094717A (ko) 고혈압 예방용 조성물
JP2006265115A (ja) IgE抗体産生抑制剤、及びIgE抗体産生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