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867A -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 Google Patents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867A
KR20230004867A KR1020227042516A KR20227042516A KR20230004867A KR 20230004867 A KR20230004867 A KR 20230004867A KR 1020227042516 A KR1020227042516 A KR 1020227042516A KR 20227042516 A KR20227042516 A KR 20227042516A KR 20230004867 A KR20230004867 A KR 2023000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glass cover
frame body
touch frame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빈 위안
Original Assignee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루이 일렉트로닉스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루이 일렉트로닉스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0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는: 적외선 터치 프레임 - 적외선 터치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 및 프레임 본체 내에 마련된 PCB 어셈블리를 포함함 -; 유리 커버 플레이트 - 유리 커버 플레이트는 PCB 어셈블리의 내측에 위치함 -; 고정 구조 - 고정 구조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를 적외선 터치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는 프레임 본체의 곡률 및/또는 고정 구조를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는 것을 제어함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기술적 방안을 통하여, 유리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만입을 제어하는 것으로 인해 유리의 손실이 크고, 생산 비용이 높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본 발명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에 관한 것이다.
현재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의 적외선 감지 높이(기입 높이)는 일반적으로 3.5mm보다 높고, 심지어 일부 제품의 적외선 기입 높이는 4.5mm를 초과하여, 사용자가 기입 할 때, 심한 이격감으로 인하여 기입 경험이 저하된다. 사용자의 기입 경험을 계속하여 향상시키고 터치 기입 높이를 계속하여 낮추는 것은 필연적인 발전 추세이며, 적외선 기입 높이에서의 주요한 한계 중 하나가 바로 유리 커버 플레이트 내측 만입의 제어이다.
특히 대형 터치 패널의 경우 유리 커버 플레이트의 변형량 제어는 더 어렵고, 기존의 유리 커버 플레이트 설치 구조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의 외부 돌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으며, 적외선 기입 높이가 비교적 낮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일단 유리 커버 플레이트의 외부 돌출이 나타나면 적외선 신호는 차단되어 터치 인식의 실효를 초래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만입을 구현하기 위해 유리를 선택하는 방안을 통해서만 실현할 수 있어 유리의 손실이 매우 높고 생산 효율이 낮으며 비용이 높은 상황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을 제공하여, 종래기술에서 유리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만입을 제어함으로써 유리의 손실이 크고 비용이 높은 문제를 초래하는 것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일 방면에 따르면,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는: 적외선 터치 프레임 - 적외선 터치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 및 프레임 본체 내에 마련된 PCB 어셈블리를 포함함 -; 유리 커버 플레이트 - 유리 커버 플레이트는 PCB 어셈블리의 내측에 위치함 -; 고정 구조 - 고정 구조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를 적외선 터치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는 프레임 본체의 곡률 및/또는 고정 구조를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제어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방면에 따르면, 스마트 인터렉티브 태블릿을 제공하고, 스마트 인터렉티브 태블릿은 백라이트 모듈 및 위에서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을 적용하면, 상기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는 적외선 터치 프레임, 유리 커버 플레이트 및 고정 구조를 포함한다. 고정 구조를 이용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를 프레임 본체에 고정시켜 설치한 후에, 유리 커버 플레이트는 프레임 본체의 곡률 및/또는 고정 구조를 통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제어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로 인해 PCB 어셈블리의 적외선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외선 터치 조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면 유리를 선택함으로써 유리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방향으로의 만입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 유리의 손실을 줄이고 생산 효율을 높이며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출원을 구성하는 일부 명세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위해 제공되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부당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이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이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A의 국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B의 국부 확대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하고, 물론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다.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사실상 단지 설명적인 것이고 본 발명 및 그 응용 또는 사용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적 노력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는 적외선 터치 프레임(10), 유리 커버 플레이트(20) 및 고정 구조를 포함하고, 적외선 터치 프레임(10)은 프레임 본체(11) 및 프레임 본체(11) 내에 마련된 PCB 어셈블리(12)를 포함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PCB 어셈블리(12)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터치하는 것을 통해 터치 조작을 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11)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 사이에 마련된 고정 구조를 이용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프레임 본체(11) 상에 고정할 수 있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프레임 본체(11)의 곡률 및 고정 구조를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응용하면, 고정 구조를 이용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프레임 본체(11)에 고정시켜 설치한 후에, 프레임 본체(11)의 곡률과 고정 구조를 통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제어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로 인해 PCB 어셈블리(12)의 적외선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적외선 터치 조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과 같은 상술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면, 유리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 유리의 손실을 줄이고, 생산 효율을 높이며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으로써, 굽힘 성형을 통해 얻어지고, 롤 포밍(roll forming)과 같은 다양한 형식의 가공을 통하여 얻을 수 있어 프레임 본체(11)가 내측 만입면을 형성하여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하고, 프레임 본체(11)의 두께는 일정함을 유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11)의 두께는 일정함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고, PCB 어셈블리(12)는 프레임 본체(11) 내에 설치되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PCB 어셈블리(12)의 내측에 위치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프레임 본체(11) 내에는 PCB 어셈블리(12)가 마련되어 있고, PCB 어셈블리(12) 상에는 적외선 송신관 및 적외선 수신관이 마련되며, 적외선 송신관의 적외선은 적외선 수신관에 의해 수신되며, 유리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가로 세로로 교차하는 적외선 매트릭스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할 때, 컨트롤러는 스크린 상의 구체적인 위치에서의 터치 포인트를 판단하여 적외선 터치 조작을 완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PCB 어셈블리(12)의 내측에 위치하고, 프레임 본체(11)가 내측 방향으로 굽혀지므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프레임 본체(11)에 고정시켜 설치한 후에,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굽혀진 프레임 본체(11)와 서로 접합되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본체(11)는 내측 만입된 아크면을 형성하였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와 프레임 본체(11)가 고정 연결될 경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프레임 본체(11)의 만입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구현하고, 다시 고정부재(60)를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프레임 본체 상에 고정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유지하고, 따라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에 의해 PCB 어셈블리(12)가 전송하는 적외선 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화살표는 적외선 신호의 전송을 나타내고, 이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내측 만입되고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어 적외선 터치 조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11)에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내측 만입면(31)이 마련되어 있고, 내측 만입면(31)은 PCB 어셈블리(12)를 멀리하는 일측으로 만입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일부 표면은 내측 만입면(31)에 부착되어 마련되고, 고정 구조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적외선 터치 프레임 상에 고정할 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만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프레임 본체(11) 전체의 변형 작업을 통해 그 위에 설치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만입을 구현하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본체(11)의 PCB 어셈블리(12)를 멀리하는 일측이 굽혀져 만입을 형성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프레임 본체(11)에 고정 설치되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하고, 즉 프레임 본체(11)는 내측으로 만입된 내측 만입면(31)을 형성하고, 구체적으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프레임 본체(11) 내에 고정 연결될 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프레임 본체(11)의 만입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구현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에 의해 PCB 어셈블리(12)의 적외선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적외선 터치 조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 만입면(31)은 아크형 만입면이다. 아크형 만입면의 구조를 사용하면 아크형 만입면을 이용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데에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아크형 만입면은 대칭 구조이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대칭되게 만입될 수 있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이 더욱 안정적이게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아크형 만입면의 최고점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양단과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고, 아크형 만입면의 최저점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중심점과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며, 아크형 만입면의 최고점은 프레임 본체(11)의 양단과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고, 아크형 만입면의 최저점은 프레임 본체(11)의 긴 변의 중심점과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균일한 만입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국부적 만입의 변형 과다로 인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파열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길이가 길어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중심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쉽게 굽힘이 발생하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구현하며, 이는 바람직한 방안이다.
본 실시예에서, 아크형 만입면의 최고점과 아크형 만입면의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H이고, H 값의 범위는 0.5mm-5mm이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상술한 H 값이 너무 작은 경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굽힘이 확실치 않게 되어, 이때의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적외선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는 것이 쉽게 초래된다. H 값이 너무 큰 경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에 파열이 쉽게 발생되게 므로, 상술한 범위는 H 값의 바람직한 방안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외곽은 직사각형이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과 내측 만입면(31)은 서로 연결되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에 쉽게 변형이 발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11)는 롤 포밍 타입 재료로서, 즉 프레임 본체(11)는 롤 포밍 방식의 가공을 통하여 내측으로 만입된 아크면을 형성하고, 가공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여기서 프레임 본체(11)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11)에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제1 단차부(111)가 마련되어 있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일부 표면은 제1 단차부(111)의 단차면과 서로 접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단부는 제1 단차부(111)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술한 구조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설치를 더욱 편리하게 하고 접합이 더욱 안정적이게 한다.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제1 단차부(111)에 배치한 후에, 고정 구조를 이용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에 대해 고정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단차부(111)는 하나의 포지셔닝 기능을 가져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설치가 편리하다. 여기서 도 1의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단부와 제1 단차부(111) 사이에는 간격이 있고, 각 부재의 가공 과정에서 가공 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간격을 마련하는 것을 통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순조롭게 프레임 본체(11) 내에 설치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 만입면(31)은 제1 단차부(111)의 단차면 상에 마련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제1 단차부(111)에 배치한 후에, 제1 단차부(111)를 이용하여 포지셔닝하는 동시에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하고, 각 고정부재(60)는 각각 프레임 본체(11) 및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표면과 서로 연결되고, 이로써 고정부재(60)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표면을 프레임과 고정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프레임 본체(11)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60)의 제1단은 나사를 통해 프레임 본체(11)와 연결되고, 고정부재(60)의 제2단은 제1 단차부(111)의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부재(60)의 제2단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 상에 압착되어 마련되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프레임 본체(11) 내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60)는 유리 가압 블록이고, 각 유리 가압 블록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프레임 본체(11)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짧은 변 상에 유리 가압 블록을 마련할 수도 있고, 단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길이가 비교적 길고, 긴 변 상에 유리 가압 블록을 마련하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안정적인 연결을 더욱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설치할 때, 나사를 체결하는 것을 통해 유리 가압 블록을 체결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만입되고 프레임 본체(11) 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만입면(31)과 접착 연결할 수 있다. 즉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양면 테이프 또는 액체 접착제를 사용하여 프레임 본체(11) 내에 접착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와 프레임 본체(11) 사이의 고정 연결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11)는 제1 설치 홈(112)을 포함하고, PCB 어셈블리(12)는 제1 설치 홈(112) 내에 마련되며 이로써 PCB 어셈블리(12)의 설치 및 보호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설치 홈(112)의 홈 벽에는 클램핑 슬롯(1121) 및 제2 단차부(1122)가 마련되어 있고, PCB 어셈블리(12)의 일단은 클램핑 슬롯(1121)과 서로 클램핑되고, PCB 어셈블리(12)의 다른 일단은 제2 단차부(1122)의 단차면과 서로 접하여 PCB 어셈블리(12)가 제1 설치 홈(112) 내에 안정적으로 마련되도록 하여 PCB 어셈블리(12)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터치 조작의 정상적인 작동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는 광학 필터 스트립(40)을 더 포함하고, 광학 필터 스트립(40)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하여 광학 필터 스트립(40)은 제1 설치 홈(112)의 홈 개구에 설치된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PCB 어셈블리(12)를 멀리하는 프레임 본체(11)의 일측은 굽혀져 만입을 형성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프레임 본체(11)에 고정 설치되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프레임 본체(11) 내에 고정 연결될 때, 프레임 본체(11)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프레임 본체(11)의 만입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구현함으로써,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에 의하여 PCB 어셈블리(12)의 적외선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외선 터치 조작의 정상적인 진행을 확보한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면 유리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 유리의 손실을 줄이고 생산 효율을 높이며, 프레임 본체(11) 전체의 변형 작업을 사용하여 그 위에 설치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만입을 구현하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실시예 2에서는 프레임 본체(11)의 중심부의 두께가 프레임 본체(11)의 양단의 두께보다 두꺼워져 내측 만입면(31)을 형성한다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11)에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가공면이 마련되어 있고, 가공면은 내측 만입면(31)이고, 가공면은 기계 가공을 통하여 얻을 수 있으며, 내측 만입면(31)은 아크형 만입면일 수 있고, 단차면일 수도 있으며 가공면이 그 양단을 따라 중심부로 점차 만입되면 된다.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표면은 내측 만입면(31)에 부착되고, 이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내측 만입면(31)과 서로 긴밀하게 접착되며, 고정부재를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프레임 본체(11) 상에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굽혀지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게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로 인해 PCB 어셈블리(12)가 송신하는 적외선 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를 통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프레임 본체(11) 상에 고정 연결하는 것은 실시예 1의 방안과 같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응용하면, 유리 커버 플레이트는 내측 만입면(31)에 부착되어 마련되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로 인해 PCB 어셈블리(12)가 전송하는 적외선 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외선 터치 조작의 정상적인 진행을 확보한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면 단지 프레임 본체(11) 상에서만 가공하여 내측 만입면(31)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리를 선택하는 것을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 유리의 손실을 줄이고, 생산 효율을 높이며, 내측 만입면(31)의 가공 비용을 줄이면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구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11)의 중심부의 두께는 프레임 본체(11)의 양단의 두께보다 두껍고, 즉 프레임 본체(11)의 양단을 절삭하는 것을 통해 내측 만입면(31)을 형성하여 프레임 본체의 내측 만입면(31)의 가공이 더욱 간편하도록 한다.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외곽은 직사각형이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은 내측 만입면(31)과 서로 연결되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길이가 길어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이 내측 만입면(31)과 연결될 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쉽게 만입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내측 만입면(31)은 아크형 만입면이고, 아크형 만입면은 대칭 구조이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대칭되게 만입되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균일한 내측 만입 변형을 일으키도록 한다. 아크형 만입면의 최고점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양단과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며, 즉 아크형 만입면의 최고점은 프레임 본체(11)의 양단점이거나 또는 프레임 본체(11)의 양단점 근처에 있고, 아크형 만입면의 최저점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중심점과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며, 즉 아크형 만입면의 최저점은 프레임 본체(11)의 중심점이거나 또는 프레임 본체(11)의 중심점 근처에 있으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균일한 만입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국부적 만입의 변형 과다로 인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파열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아크형 만입면의 최고점과 아크형 만입면의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H이고, H 값의 범위는 0.5mm-5mm이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상술한 H 값이 너무 작을 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굽힘이 확실치 않게 되어, 이때의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적외선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는 것이 쉽게 초래된다. H 값이 너무 큰 경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에 파열이 발생하는 것을 쉽게 초래하므로, 상술한 범위는 H 값의 바람직한 방안이다.
실시예 2의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사용하면, 프레임 본체(11)에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데에 사용하는 가공면이 마련되어 있고, 가공면은 내측 만입면(31)이고, 내측 만입면(31)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배면은 내측 만입면(31)에 부착되고, 고정부재를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프레임 본체(11)에 연결 고정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로 인해 PCB 어셈블리(12)의 적외선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외선 터치 조작의 정상적인 진행을 확보한다. 이때, 상술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지 프레임 본체(11) 상에서만 가공하여 내측 만입면(31)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리를 선택하는 것을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 유리의 손실을 줄이고, 생산 효율을 높이며, 내측 만입면(31)의 가공 비용이 낮아져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구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실시예 3과 실시예 1의 차이점은, 실시예 3에서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와 프레임 본체(11) 사이에 지지 패드(32)가 마련되고, 지지 패드(32)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하는 작용력을 생성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한다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외표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을 향하고, 설명이 필요한 것은, PCB 어셈블리(12) 상에는 일대일로 대응되는 적외선 송신관과 적외선 수신관이 마련되어 있어, 스크린 상에 가로 세로로 교차하는 적외선 매트릭스가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할 때, 컨트롤러는 스크린 상의 구체적인 위치에서의 터치 포인트를 판단하여 적외선 터치 조작을 완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어셈블리(12)는 프레임 본체(11) 내에 설치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PCB 어셈블리(12)의 내측에 위치하며, 즉 적외선 송신관의 적외선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외표면의 상부에 위치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양단은 프레임 본체(11) 내에 고정 연결된다.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양단이 프레임 본체(11)와 고정 연결되므로 지지 패드(32)를 프레임 본체(11)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을 통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지지 패드(32)의 지지하에 변형이 발생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구조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고, 고정부재(60)의 양단은 각각 프레임 본체(11) 및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표면과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양단은 유리 가압 블록을 통하여 프레임 본체(11)와 서로 고정되고, 지지 패드(32)는 지지 포인트를 형성하며, 지지 패드(32)를 이용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압축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에 의해 PCB 어셈블리(12)가 송신하는 적외선 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화살표는 적외선 신호의 전송을 나타내고 이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내측 만입되고 신호는 정상적으로 전송되어 적외선 터치 조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면 유리를 선택하는 것을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 유리의 손실을 줄이고, 생산 효율을 높이며, 지지 패드(32)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구현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비용이 저렴하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외곽은 직사각형이고, 하나의 지지 패드(32)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중심에 배치되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길이가 길어서,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중심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쉽게 만입되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대칭적 굽힘을 제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쉽게 파열되지 않도록 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짧은 변 상에 지지 패드(32)를 마련할 수도 있지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좋지 않은 굽힘 효과 및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충분하지 못한 내측 만입 정도를 초래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지 패드(32)를 마련할 수 있고, 복수의 지지 패드(32)는 균일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패드(32)는 블록형이고, 지지 패드(32)의 길이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길이의 비는 a이고, 여기서 a 값의 범위는 1/8 내지 1/12 사이이고; 지지 패드(32)의 두께와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두께의 비는 b이고, 여기서 b 값의 범위는 1/3 내지 1/4 사이이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지지 패드(32)의 길이가 너무 작으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국부가 압력을 받아 파열이 쉽게 발생하고, 지지 패드(32)의 길이가 너무 길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압축할 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와의 접촉이 충분하지 않아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굽힘 효과가 불확실하게 된다. 지지 패드(32)의 두께가 너무 작으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굽힘과 내측 만입이 명확하지 않고, 지지 패드(32)의 두께가 너무 크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쉽게 파열되므로 상술한 범위의 a와 b는 바람직한 방안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패드(32)는 프레임 본체(11)에 접착되어 지지 패드(32)와 프레임 본체(11)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패드(32)는 체결재 등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프레임 본체(11) 상에 고정될 수 있고, 접착의 형식을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고 견고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패드(32)의 재료는 플라스틱 또는 폼(foam; 발포 합성 수지)이고, 이로써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압축할 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쉽게 파손되게 하지 않아 상기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설치할 때, 우선 유리 커버 플레이트(20) 양단의 유리 압축 블록을 압축하고, 이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 중심부의 지지 패드(32)는 압축되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에 구부러짐이 발생하도록 하고, 다음 유리 커버 플레이트(20) 중심부의 유리 가압 블록을 체결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만입되도록 하여 프레임 본체(11) 상에 고정한다.
실시예 3의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사용하면,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양단은 프레임 본체(11)와 서로 고정되고, 지지 패드(32)를 이용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압축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돌출로 인해 PCB 어셈블리(12)의 적외선 신호 전송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외선 터치 조작의 정상적인 진행을 확보한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을 사용하면 유리를 선택하는 것을 통하여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 유리의 손실을 줄이고, 생산 효율을 높이며 지지 패드(32)는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내측 만입을 구현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을 제공하였고, 백라이트 모듈 및 상술한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백라이트 모듈은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의 내측에 마련된다.
주의할 것은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구체적인 실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 방식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하는 단수 형태는 복수 형태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및/또는 "함유"를 사용할 때, 이는 특징, 단계, 조작, 기기, 어셈블리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컴포넌트 및 단계의 상대적인 배치, 수치 표현 및 수치 값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동시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각 부분의 치수는 실제 비례 관계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관련 기술 분야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미 알려진 기술,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적절한 경우 상기 기술, 방법 및 장치는 승인된 명세서의 일부로 간주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모든 예에서, 임의의 구체적인 값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표기 및 문자는 다음의 도면에서 유사한 항목을 나타내고, 따라서 어느 한 항목이 하나의 도면에서 정의되면 후속 도면에서 이에 대하여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앞, 뒤, 위, 아래, 왼쪽, 오른쪽", "가로, 세로, 수직, 수평" 및 "상, 하"와 같은 방향성 단어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일반적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을 간편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방향성 단어는 가리키는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 위치를 가져야하거나 또는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가리키거나 암시하지 않기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방향성 단어 "내, 외"는 각 부재에 대한 자체의 윤곽의 내외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에", "…상부에", "…표면에", "…상면에" 등과 같은 공간적인 상대적 용어를 사용하여 도면에서 도시하는 하나의 기기 또는 특징의 기타 기기 또는 특징과의 공간 위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공간적인 상대적 용어는 기기가 도면에 도시된 방향 외의 사용 또는 조작 중의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장치가 뒤집힌 경우 "기타 기기 또는 구조의 상부" 또는 "기타 기기 또는 구조 위에"로 설명된 요소는 "기타 기기 또는 구조의 하부" 또는 "기타 기기 또는 구조 아래에"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 용어 "…상부"는 "…상부" 및 "…하부" 두 가지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포지셔닝(90도 회전 또는 기타 방향에 위치함)될 수 있고, 여기서 사용하는 공간의 상대적 설명에 대하여 상응한 해석을 하였다.
또한, "제1", "제2" 등 용어의 사용으로 부품을 한정하는 것은 단지 상응하는 부품에 대한 구별을 간편히 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상술한 단어는 특별한 의미가 없기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대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진행하는 어떠한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0: 적외선 터치 프레임
11: 프레임 본체
111: 제1 단차부
112: 제1 설치 홈
1121: 클램핑 슬롯
1122: 제2 단차부
12: PCB 어셈블리
20: 유리 커버 플레이트
31: 내측 만입면
32: 지지 패드
40: 광학 필터 스트립
60: 고정부재

Claims (20)

  1.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로서,
    적외선 터치 프레임(10) - 상기 적외선 터치 프레임(10)은 프레임 본체(11) 및 상기 프레임 본체(11) 내에 마련된 PCB 어셈블리(12)를 포함함 -;
    유리 커버 플레이트(20) -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PCB 어셈블리(12)의 내측에 위치함 -;
    고정 구조 -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상기 적외선 터치 프레임(10)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프레임 본체(11)의 곡률 및/또는 상기 고정 구조를 통하여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제어함 -
    를 포함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1)에는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와 매칭하도록 구성되는 내측 만입면(3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일부 표면은 상기 내측 만입면(31)에 부착되어 마련되며,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상기 적외선 터치 프레임(10) 상에 고정시킬 경우,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만입 상태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만입면(31)은 아크형 만입면인,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형 만입면은 대칭 구조이고,
    상기 아크형 만입면의 최고점은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양단과 대응되게 마련되며, 상기 아크형 만입면의 최저점은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중심점과 대응되게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아크형 만입면의 최고점은 상기 프레임 본체(11)의 양단과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아크형 만입면의 최저점은 상기 프레임 본체(11)의 긴 변의 중심점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형 만입면의 최고점과 상기 아크형 만입면의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H이고, H 값의 범위는 0.5mm-5mm인,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외곽은 직사각형인,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은 상기 내측 만입면(31)에 부착되어 마련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60)의 일단은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 상에 압착되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60)의 다른 일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11) 상에 고정되어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상기 적외선 터치 프레임(10) 상에 고정되는 것을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 구조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내측 만입면(31)과 접착 연결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1)는 곡선 프레임 본체이고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어, 상기 내측 만입면(31)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11)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 본체(11)의 중심부의 두께가 상기 프레임 본체(11)의 양단의 두께보다 두꺼워 상기 내측 만입면(31)을 형성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0.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1)에는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단차부(11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일부 표면은 상기 제1 단차부(111)의 단차면과 서로 접하고,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단부는 상기 제1 단차부(111)에 의하여 지지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1)는 제1 설치 홈(112)을 포함하고, 상기 PCB 어셈블리(12)는 상기 제1 설치 홈(112) 내에 마련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 홈(112)의 홈 벽에는 클램핑 슬롯(1121) 및 제2 단차부(112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PCB 어셈블리(12)의 일단은 상기 클램핑 슬롯(1121)과 서로 클램핑되고, 상기 PCB 어셈블리(12)의 다른 일단은 상기 제2 단차부(1122)의 단차면과 서로 접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는 광학 필터 스트립(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터 스트립(40)은 상기 제1 설치 홈(112)의 홈 개구에 설치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와 상기 프레임 본체(11) 사이에는 지지 패드(32)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패드(32)는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하는 작용력을 생성하여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내측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외곽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지지 패드(32)는 하나이고, 상기 지지 패드(32)는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중심점에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 패드(32)는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패드(32)는 균일한 간격으로 마련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32)는 블록형이고,
    상기 지지 패드(32)의 길이와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긴 변의 길이의 비는 a이고, 여기서 a 값의 범위는 1/8 내지 1/12 사이이거나; 및/또는
    상기 지지 패드(32)의 두께와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의 두께의 비는 b이고, 여기서 b 값의 범위는 1/3 내지 1/4 사이인,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60)의 일단은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 상에 압착되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60)의 다른 일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11) 상에 고정되어 상기 유리 커버 플레이트(20)가 상기 적외선 터치 프레임(10) 상에 고정되는 것을 유지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32)는 상기 프레임 본체(11)에 접착되는,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32)의 재료는 플라스틱 또는 폼(foam)인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20.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으로서, 백라이트 모듈 및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KR1020227042516A 2020-12-31 2020-12-31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KR202300048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42416 WO2022141520A1 (zh) 2020-12-31 2020-12-31 触摸框组件以及智能交互平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867A true KR20230004867A (ko) 2023-01-06

Family

ID=8226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516A KR20230004867A (ko) 2020-12-31 2020-12-31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7739A1 (ko)
EP (1) EP4141626A4 (ko)
JP (1) JP2023527900A (ko)
KR (1) KR20230004867A (ko)
CN (1) CN115668110A (ko)
WO (1) WO20221415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008421A (en) * 2008-06-18 2010-02-16 N trig ltd Methods for connecting two substrates having conductive pads thereon using a double-sided adhesive
US9207800B1 (en) * 2014-09-23 2015-12-08 Neonode Inc. Integrated light guide and touch screen frame and multi-touch determination method
US9323084B2 (en) * 2012-11-08 2016-04-26 Lg Display Co., Ltd.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531940B (zh) * 2014-05-08 2016-05-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弧形觸控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US10209819B2 (en) * 2015-12-31 2019-02-19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180037749A (ko) * 2016-10-05 2018-04-1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HUE059960T2 (hu) * 2016-12-07 2023-01-28 Flatfrog Lab Ab Ívelt érintésérzékelõ eszköz
KR102481172B1 (ko) * 2017-12-07 2022-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액정표시장치
CN109884825A (zh) * 2019-02-19 2019-06-1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显示设备、显示屏及其贴合方法
CN210038749U (zh) * 2019-06-12 2020-02-07 猫岐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触控装置
CN210573710U (zh) * 2019-09-26 2020-05-19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内凹显示组件、触控模组及智能交互设备
US11042060B2 (en) * 2019-10-04 2021-06-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210573725U (zh) * 2019-11-18 2020-05-19 深圳市他山石电子有限公司 一种红外触显托盘结构
US11709568B2 (en) * 2020-02-25 2023-07-25 Promethean Limited Convex interactive touch display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20113832A1 (en) * 2020-10-13 2022-04-14 Zhenwu Huang Touchless Display Interfa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1626A4 (en) 2023-08-09
WO2022141520A1 (zh) 2022-07-07
US20230087739A1 (en) 2023-03-23
CN115668110A (zh) 2023-01-31
EP4141626A1 (en) 2023-03-01
JP2023527900A (ja)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94313B (en) Frame for holding a rectangular display panel having an image display surfa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0623123B1 (ko) 상대 비등방성 팽창 특성을 갖는 프레임으로 한정된 필름
KR102494018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2256237B1 (ko) 표시 장치
KR101828833B1 (ko)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EP3905665A1 (en) Display module and television
CN111028691B (zh) 一种柔性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230004867A (ko) 터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KR20090113517A (ko) 램프 가이드와 그 액정표시장치 모듈
EP3905704A1 (en) Display module and television
CN216434585U (zh) 显示模组及显示设备
EP3051335B1 (en) Display apparatus
CN106707620A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213904011U (zh) 一种显示装置及其背光模组
TWM482084U (zh) 無膠框框架式背板結構
KR102236168B1 (ko) 표시 장치
KR102217199B1 (ko) 곡면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필름 가압구조물
CN114675446B (zh) 曲面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216610187U (zh) 保压设备
CN107148183B (zh) 固定组件及具有该固定组件的电子设备
KR20190099549A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10073164U (zh) 一种结构稳定的背光模组
WO2022141521A1 (zh) 触摸框组件以及智能交互平板
CN112606526A (zh) 贴合装置及贴合方法
CN216351653U (zh) 一种模组结构及显示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