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549A -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549A
KR20190099549A KR1020180018994A KR20180018994A KR20190099549A KR 20190099549 A KR20190099549 A KR 20190099549A KR 1020180018994 A KR1020180018994 A KR 1020180018994A KR 20180018994 A KR20180018994 A KR 20180018994A KR 20190099549 A KR20190099549 A KR 20190099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display
vertical member
elastic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성
Original Assignee
(주)나래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래컴즈 filed Critical (주)나래컴즈
Priority to KR1020180018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9549A/ko
Publication of KR2019009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한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탄성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 본체의 수직부재에는 스마트폰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클립은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는 삼각형상의 결합커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로 업무를 보더라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착탈결합 구조로부터 호환성 및 휴대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Supporter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0001]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결합이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휴대성으로 인하여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으며, 그 기능으로부터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횟수도 마찬가지로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무직 종사자들은 사무실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는 관계로 여건상 스마트폰의 착신을 무음 또는 진동으로 설정하고,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의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거나 서류 작업을 수행한다.
즉, 사무실에서는 휴대폰을 진동이나 무음 모드로 설정하여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는데, 이럴 경우 업무용 전화나 메시지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므로 책상에 별도의 휴대폰 거치대를 마련하여 거치대에 휴대폰을 올려두고 보관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럴 경우에도 사용자가 컴퓨터로 업무를 할 때는 모니터에 시선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휴대폰 확인이 어려우며, 따라서 업무용 전화나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수시로 휴대폰을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업무에 지장이 발생 됨은 물론, 휴대폰을 위한 거치대와 또한 이러한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충전케이블 등이 별도로 비치되므로 책상 위가 산만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TV 또는 평면형 모니터의 일측에 거치암을 매개로 스마트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거치암을 이용한 기술은 상기 디지털TV 또는 평면형 모니터의 후방에 상기 거치암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별도로 구성해야 하는 것으로 특정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어 사용할 수밖에 없는 호환성 및 휴대성이 제한되어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06607호(2014.01.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착탈결합 구조로부터 호환성 및 휴대성을 높인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판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로 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한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탄성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 본체의 수직부재에는 스마트폰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클립은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는 삼각형상의 결합커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의 개방된 진입부에는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롤러가 형성되고, 안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부터로 각각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리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점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 본체와 탄성클립 사이에 힌지결합부를 형성하여 상호 접철되는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클립과, 높이조절용 플레이트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로 업무를 보더라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착탈결합 구조로부터 호환성 및 휴대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가 노트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탄성클립 구성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판상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120)를 구비한 거치대 본체(100)와,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D)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탄성클립(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거치대 본체(100)는 상기 스마트폰을 세우는 방향으로 수납보관하는 것으로, 판상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재(110)와 직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받치부재(120)의 구성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은 경사지게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그에 따른 고정상태를 안전감 있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수직부재(110)에는 스마트폰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재(110)를 연장시킬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를 형성하는 이유는 다양한 스마트폰 크기(길이)에 맞추어 상기 수직부재(110)의 높이가 연장되는 구조로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는 상기 수직부재(110)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판 형상으로 제작하며, 일측 표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조절돌기(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110)에는 상기 높이조절돌기(131)가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되는 장공의 가이드홈(1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는 상기 가이드홈(111)에 결합된 높이조절돌기(131)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홈(111)의 길이방향 내면 일측 또는 양측면에는 파형 구조의 탄성걸림편(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돌기(131)의 이동 거리를 다단구조로 걸림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120)는 거치된 스마트폰이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단턱을 형성한 구조로서, 폭방향 중심부에는 거치되는 스마트폰에 대하여 충전 케이블이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케이블 출입공간(12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1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패드(122)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탄성클립(200)은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TV 또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D)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탄성클립(200)의 구성에 의해 상기 거치대 본체(100)를 상기 디스플레이([0029] D)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클립(200)은 디스플레이(D)의 모서리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는 삼각형상의 결합커버(210)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커버(210)는 디스플레이(D)의 모서리 둘레면 전체를 감싸는 심플한 결합구조에 의해 깔끔한 외관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서리 둘레면 전체를 직,간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그에 따른 결합 고정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커버(210)는 상기 디스플레이(D)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공간부(211)를 형성한 전면커버(212)와 후면커버(213)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용공간부(211)의 개방된 진입부에는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롤러(220)가 형성되고, 안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D)의 표면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23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다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볼(ball)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전면커버(212)와 후면커버(213)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각 커버(212,213)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리콘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30)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점가 증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D)의 다양한 두께 사이즈에 대응하여 밀착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압되는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 본체(100)와 탄성클립(200) 사이에 힌지결합부(400)를 형성하여 상호 접철되는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추어 스마트폰을 편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클립(200과, 높이조절용 플레이트(130)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D)의 일측 가장자리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로 업무를 보더라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착탈결합 구조로부터 호환성 및 휴대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거치대 본체
110 : 수직부재
111 : 가이드홈
120 : 받침부재
130 : 높이조절용 플레이트
131 : 높이조절돌기
200 : 탄성클립
210 : 결합커버
211 : 수용공간부
212 : 전면커버
213 : 후면커버
220 : 가이드롤러
230 : 탄성부재
400 : 힌지결합부

Claims (5)

  1. 판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한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탄성클립을 포함하되,상기 거치대 본체의 수직부재에는 스마트폰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직부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용 플레이트가 설치되며,상기 탄성클립은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드 결합이 이루어지는 삼각형상의 결합커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구성되며,상기 수용공간부의 개방된 진입부에는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롤러가 형성되고, 안쪽에는 상기디스플레이의 표면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부터로 각각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리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점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와 탄성클립 사이에 힌지결합부를 형성하여 상호 접철되는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80018994A 2018-02-18 2018-02-18 스마트폰 거치대 KR20190099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994A KR20190099549A (ko) 2018-02-18 2018-02-18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994A KR20190099549A (ko) 2018-02-18 2018-02-18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549A true KR20190099549A (ko) 2019-08-28

Family

ID=6777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994A KR20190099549A (ko) 2018-02-18 2018-02-18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95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7666A (zh) * 2020-01-06 2021-07-06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
KR20220150562A (ko) * 2021-05-04 2022-11-11 최승효 헤드랜턴 장착용 브라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7666A (zh) * 2020-01-06 2021-07-06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
WO2021141201A1 (en) * 2020-01-06 2021-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403973B2 (en) 2020-01-06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05024B2 (en) 2020-01-06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3077666B (zh) * 2020-01-06 2024-03-29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
US11996016B2 (en) 2020-01-06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20150562A (ko) * 2021-05-04 2022-11-11 최승효 헤드랜턴 장착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5771B2 (en) Electronic apparatus
US7695149B2 (en) Electronic apparatus emitting light through a unitary transparent base chassis
US8936229B2 (en)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7009052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235617A1 (en) Pivoting mechanism for stand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20138429A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170069567A (ko) 스마트폰 거치대
US11226656B2 (en) Computer
CN110285297B (zh) 支撑装置
KR20190099549A (ko) 스마트폰 거치대
TWM455309U (zh) 電話機
KR101754892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10996714B1 (en) Slotted base display device
US20220171430A1 (en) Vertical stand for mobile terminals
US6902431B2 (en) Multi-function clip structure for a wireless adapter
KR20120129728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US7016491B2 (en) Telephone with cantilever beam type cradle and handset cradled thereon
CN207249547U (zh) 具有支撑结构的输入装置
KR102432362B1 (ko) 휴대폰과 주변장치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
TWI545466B (zh) 具有輔助支撐結構的鍵盤
KR200461647Y1 (ko) 스마트폰용 거치대
JP2018181994A (ja) 電子機器の支持機構
TWI711785B (zh) 支撐裝置
CN210203903U (zh) 桌面可倾斜的学习桌
KR102255370B1 (ko) 스마트기기용 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