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013A -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 Google Patents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013A
KR20230004013A KR1020210085766A KR20210085766A KR20230004013A KR 20230004013 A KR20230004013 A KR 20230004013A KR 1020210085766 A KR1020210085766 A KR 1020210085766A KR 20210085766 A KR20210085766 A KR 20210085766A KR 20230004013 A KR20230004013 A KR 20230004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electrode
integrated circuit
gate
circuit device
contac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진
김소라
박해리
유귀연
윤장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4013A/ko
Priority to US17/728,317 priority patent/US20230005953A1/en
Priority to CN202210737888.1A priority patent/CN115547983A/zh
Publication of KR2023000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1156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1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75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interconnection or wiring or contact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6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7/11519
    • H01L27/11521
    • H01L27/11548
    • H01L27/11556
    • H01L27/11568
    • H01L27/11575
    • H01L27/1158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1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5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region and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3/35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cell select transistors,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4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5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core and peripheral circuit reg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83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having several storage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81Disposition
    • H01L2224/0812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0813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0814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는, 셀 영역 및 셀 영역에 인접한 연결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의 주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되는 복수의 게이트 전극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연결 영역에서 계단 구조를 가지는 게이트 스택, 셀 영역 내에 배치되고 게이트 스택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연장되는 채널 구조물, 및 연결 영역 내에 배치되고 계단 구조의 복수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택 플러그를 포함하고, 연결 영역의 일부에서 복수의 게이트 전극 중에서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의 수평 방향에 따른 제1 길이는 제1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의 수평 방향에 따른 제2 길이보다 더 짧다.

Description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휘발성 수직형 메모리 소자를 구비하는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수한 성능 및 경제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집적회로 소자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는 제품의 경제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2차원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는 단위 메모리 셀이 점유하는 면적에 의해 주로 결정되기 때문에, 미세 패턴 형성 기술의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들이 필요하고, 칩 다이(die)의 면적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2차원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3차원 구조를 가지는 수직형 메모리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직형 메모리 소자를 구비하는 집적회로 소자에 있어서, 더미(dummy) 컨택 플러그가 배치되는 연결 영역에서 접지 선택 라인의 수평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함으로써, 더미 컨택 플러그를 통한 누설 전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는, 셀 영역 및 상기 셀 영역에 인접한 연결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되는 복수의 게이트 전극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 계단 구조를 가지는 게이트 스택; 상기 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스택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연장되는 채널 구조물; 및 상기 연결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 구조의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택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의 일부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 중에서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1 길이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2 길이보다 더 짧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는, 셀 영역 및 상기 셀 영역에 인접하고 서로 이웃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되는 연결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되는 복수의 게이트 전극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 계단 구조를 가지는 게이트 스택; 상기 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스택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연장되는 채널 구조물; 및 상기 연결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 구조의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택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 중에서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1 길이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2 길이보다 더 짧고,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는 제1 컨택 플러그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반도체 기판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연결 영역의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2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제1 컨택 플러그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직접 접촉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자 시스템은,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 상의 집적회로 소자; 및 상기 메인 기판 상에서 상기 집적회로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집적회로 소자는, 셀 영역 및 상기 셀 영역에 인접한 연결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되는 복수의 게이트 전극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 계단 구조를 가지는 게이트 스택; 상기 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스택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연장되는 채널 구조물; 및 상기 연결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 구조의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택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의 일부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 중에서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1 길이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2 길이보다 더 짧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 및 전자 시스템은, 더미 컨택 플러그가 배치되는 연결 영역에서 접지 선택 라인의 수평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함으로써, 더미 컨택 플러그를 통한 누설 전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Ⅵ-Ⅵ'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Ⅶ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4의 Ⅷ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4의 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집적회로 소자(10)는 메모리 셀 어레이(20) 및 주변 회로(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20)는 복수의 메모리 셀 블록(BLK1, BLK2, …, BLKn)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블록(BLK1, BLK2, …, BLKn)은 각각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블록(BLK1, BLK2, …, BLKn)은 비트 라인(BL), 워드 라인(WL),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을 통해 주변 회로(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20)는 비트 라인(BL)을 통해 페이지 버퍼(34)에 연결될 수 있고, 워드 라인(WL),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을 통해 로우 디코더(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20)에서, 복수의 메모리 셀 블록(BLK1, BLK2, …, BLKn)에 포함된 복수의 메모리 셀은 각각 플래시 메모리 셀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20)는 3차원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메모리 셀 어레이는 복수의 낸드(NAND) 스트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낸드 스트링은 각각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의 워드 라인(WL)에 연결된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30)는 로우 디코더(32), 페이지 버퍼(34), 데이터 입출력 회로(36), 및 제어 로직(3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주변 회로(30)는 집적회로 소자(1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전압들을 생성하는 전압 생성 회로, 메모리 셀 어레이(2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 정정 회로,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회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주변 회로(30)는 집적회로 소자(10)의 외부로부터 어드레스(ADDR), 커맨드(CMD), 및 제어 신호(CTRL)를 수신할 수 있고, 집적회로 소자(10)의 외부에 있는 장치와 데이터(DATA)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3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로우 디코더(32)는 외부로부터의 어드레스(ADDR)에 응답하여 복수의 메모리 셀 블록(BLK1, BLK2, …, BLKn)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메모리 셀 블록의 워드 라인(WL), 스트링 선택 라인(SSL),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로우 디코더(32)는 선택된 메모리 셀 블록의 워드 라인(WL)에 메모리 동작 수행을 위한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페이지 버퍼(34)는 비트 라인(BL)을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버퍼(34)는 프로그램 동작 시에는 기입 드라이버로 동작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20)에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DATA)에 따른 전압을 비트 라인(BL)에 인가할 수 있으며, 독출 동작 시에는 감지 증폭기로 동작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20)에 저장된 데이터(DATA)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버퍼(34)는 제어 로직(38)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PCTL)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 입출력 회로(36)는 데이터 라인들(DLs)을 통해 페이지 버퍼(3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출력 회로(36)는 프로그램 동작 시 메모리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데이터(DATA)를 수신하고, 제어 로직(38)으로부터 제공되는 컬럼 어드레스(C_ADDR)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데이터(DATA)를 페이지 버퍼(3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출력 회로(36)는 독출 동작 시 제어 로직(38)으로부터 제공되는 컬럼 어드레스(C_ADDR)에 기초하여 페이지 버퍼(34)에 저장된 독출 데이터(DATA)를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출력 회로(36)는 입력되는 어드레스 또는 명령어를 제어 로직(38) 또는 로우 디코더(32)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로직(38)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커맨드(CMD) 및 제어 신호(CTRL)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로직(38)은 로우 어드레스(R_ADDR)를 로우 디코더(32)에 제공하고, 컬럼 어드레스(C_ADDR)를 데이터 입출력 회로(36)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로직(38)은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집적회로 소자(10) 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내부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로직(38)은 프로그램 동작 또는 소거 동작 등의 메모리 동작 수행 시 워드 라인(WL) 및 비트 라인(BL)으로 제공되는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직 채널 구조를 갖는 수직형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등가 회로도가 예시되어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MCA)는 복수의 메모리 셀 스트링(M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MCA)는 복수의 비트 라인(BL), 복수의 워드 라인(WL),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 적어도 하나의 접지 선택 라인(GSL), 및 공통 소스 라인(CSL)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비트 라인(BL) 및 공통 소스 라인(CSL)의 사이에 복수의 메모리 셀 스트링(MS)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의 메모리 셀 스트링(MS)이 각각 2개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메모리 셀 스트링(MS)은 각각 1개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메모리 셀 스트링(MS)은 각각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및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1, MC2, …, MCn-1, MCn)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의 드레인 영역은 비트 라인(BL)과 연결되며,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의 소스 영역은 공통 소스 라인(CSL)과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은 복수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의 소스 영역이 공통으로 연결된 영역일 수 있다.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는 스트링 선택 라인(SSL)과 연결될 수 있고,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는 접지 선택 라인(GSL)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1, MC2, …, MCn-1, MCn)는 각각 복수의 워드 라인(WL)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Ⅵ-Ⅵ'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Ⅶ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4의 Ⅷ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4의 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집적회로 소자(100)는 메모리 셀 영역(MCR) 및 연결 영역(CON)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 구조물(CS)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영역(MCR)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수직 채널 구조 낸드 타입의 메모리 셀 어레이(MCA)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연결 영역(CON)은 메모리 셀 영역(MCR)에 형성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MCA)와 주변 회로 영역(미도시)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패드부(PAD)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1)은 반도체 물질, 예를 들어, Ⅳ족 반도체,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또는 Ⅱ-Ⅵ족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Ⅳ족 반도체는 실리콘(Si), 저머늄(Ge), 또는 실리콘-저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01)은 벌크 웨이퍼 또는 에피택셜층이 형성된 웨이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101)은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 또는 GeOI(germanium on insulator) 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이트 스택(GS)이 반도체 기판(101) 상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101)의 주면에 평행한 제1 수평 방향(X 방향) 및 제2 수평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스택(GS)은 복수의 게이트 전극(130) 및 복수의 절연층(14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게이트 전극(130)과 복수의 절연층(140)은 반도체 기판(101)의 상면에 수직 방향(Z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스택(GS)의 최상부에는 상부 절연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은 매립 도전층(132)과, 상기 매립 도전층(132)의 상면, 바닥면, 및 측면을 둘러싸는 절연 라이너(1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립 도전층(132)은 텅스텐과 같은 금속, 텅스텐 실리사이드와 같은 금속 실리사이드, 도핑된 폴리실리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연 라이너(134)는 알루미늄 산화물과 같은 고유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전극(130)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메모리 셀 스트링(MS)을 구성하는 접지 선택 라인(GSL), 워드 라인(WL), 및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하층의 게이트 전극(130)은 접지 선택 라인(GSL)으로 기능하고, 최상층의 게이트 전극(130)은 스트링 선택 라인(SSL)으로 기능하며, 나머지 게이트 전극(130)은 워드 라인(WL)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및 이들 사이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1, MC2, …, MCn-1, MCn)가 직렬 연결된 메모리 셀 스트링(MS)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하층의 게이트 전극(130)을 제1 게이트 전극(130_1)으로 지칭하고,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30_1)의 바로 위층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130)을 제2 게이트 전극(130_2)으로 지칭한다. 즉,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30_1)은 접지 선택 라인(GSL)으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제2 게이트 전극(130_2)은 워드 라인(WL)으로 기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130_1, 130_2)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기판(101) 상에는 복수의 워드 라인 컷(170)이 제1 수평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워드 라인 컷(170)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스택(GS)이 하나의 블록을 구성할 수 있고, 한 쌍의 워드 라인 컷(170)은 게이트 스택(GS)의 제2 수평 방향(Y 방향)을 따른 폭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워드 라인 컷(170)은 절연 스페이서(172) 및 절연 분리층(17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워드 라인 컷(170)은 절연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1)에는 복수의 공통 소스 영역(CSR)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통 소스 영역(CSR)은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불순물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채널 구조물(160)은 메모리 셀 영역(MCR)에서 반도체 기판(101)의 상면으로부터 게이트 전극(130)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 구조물(160)은 제1 수평 방향(X 방향) 및 제2 수평 방향(Y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 구조물(160)은 지그재그 형상 또는 엇갈린(staggered)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 구조물(160)은 게이트 스택(GS)을 관통하는 채널홀(160H)의 내부에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 구조물(160) 각각은 게이트 절연층(162), 채널층(164), 매립 절연층(166), 및 도전 플러그(168)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홀(160H)의 측벽 상에 게이트 절연층(162)과 채널층(164)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162)은 채널홀(160H)의 측벽 상에 컨포멀하게 배치되고, 채널층(164)이 채널홀(160H)의 측벽과 바닥부 상에 컨포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채널층(164) 상에서 채널홀(160H)의 잔류 공간을 채우는 매립 절연층(166)이 배치될 수 있다. 채널홀(160H)의 상측에는 채널층(164)과 접촉하며 채널홀(160H)의 입구(예를 들어, 최상단)를 막는 도전 플러그(168)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매립 절연층(166)이 생략되고, 채널층(164)이 채널홀(160H)의 잔류 부분을 채우는 필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 구조물(160)은 반도체 기판(101)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채널층(164)은 채널홀(160H)의 바닥부에서 반도체 기판(101)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채널홀(160H)의 바닥부에서 반도체 기판(101) 상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컨택 반도체층(미도시)이 형성되고, 채널층(164)이 상기 컨택 반도체층을 통해 반도체 기판(1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162)은 채널층(164)의 외측벽 상에 순차적으로 터널링 유전막(162A), 전하 저장막(162B), 및 블로킹 유전막(162C)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62)을 이루는 터널링 유전막(162A), 전하 저장막(162B), 및 블로킹 유전막(162C)의 상대적인 두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터널링 유전막(162A)은 실리콘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 저장막(162B)은 채널층(164)으로부터 터널링 유전막(162A)을 통과한 전자들이 저장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실리콘 질화물, 보론 질화물, 실리콘 보론 질화물, 또는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킹 유전막(162C)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보다 유전율이 더 큰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블록 내에서 최상부의 게이트 전극(130)은 스트링 분리 절연층(미도시)에 의해 평면적으로 두 개의 부분들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부분들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트링 선택 라인(SSL)을 구성할 수 있다.
연결 영역(CON)에서 게이트 전극(130)의 단부를 패드부(PAD)로 지칭할 수 있고, 상기 패드부(PAD)의 적어도 일 측면을 덮는 커버 절연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영역(CON)에서 복수의 게이트 전극(130)은 반도체 기판(10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Z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제1 수평 방향(X 방향)으로 더욱 짧은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영역(CON)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130)은 계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집적회로 소자(100)에서는,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연결 영역(CON)에서 제2 수평 방향(Y 방향)을 따라 상기 게이트 전극(130)의 단부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 형상은, 교번적으로 직사각 형태의 돌출부 및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영역(CON)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130)이 제1 수평 방향(X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제1 부분(CON1) 및 상기 게이트 전극(130)이 제1 수평 방향(X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 부분(CON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영역(CON)에서 커버 절연층(120) 및 절연층(140)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130)의 패드부(PAD)에 연결되는 컨택 플러그(CNT)가 컨택홀(CNTH)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 플러그(CNT)는 상부 영역에서 하부 영역으로 수직 방향(Z 방향)을 따라 반도체 기판(101)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tapered)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컨택 플러그(CNT)의 하면의 폭(W1)은 상면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반도체 기판(101)의 주면 상에 배치되는 모든 컨택 플러그(CNT)에 적용되는 특징일 수 있다.
여기서, 컨택 플러그(CNT)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컨택 플러그(CNT1, CNT2)로 구별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 플러그(CNT)는, 상기 계단 구조의 최하층에 접촉하는 제1 컨택 플러그(CNT1) 및 상기 제1 컨택 플러그(CNT1)의 상층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컨택 플러그(CNT2)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메모리 셀 영역(MCR)과 상기 제1 컨택 플러그(CNT1) 사이의 수평 거리는 상기 메모리 셀 영역(MCR)과 상기 복수의 제2 컨택 플러그(CNT2) 사이의 수평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제1 컨택 플러그(CNT1)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더미 컨택 플러그(CNT1D) 및 접지 컨택 플러그(CNT1G)로 다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더미 컨택 플러그(CNT1D)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30_1)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반도체 기판(10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접지 컨택 플러그(CNT1G)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30_1)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101)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더미 컨택 플러그(CNT1D)의 수직 방향(Z 방향)에 따른 제1 높이(H1)는, 상기 접지 컨택 플러그(CNT1G)의 수직 방향(Z 방향)에 따른 제2 높이(H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영역(CON)의 제1 부분(CON1)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30_1) 및 상기 제2 게이트 전극(130_2) 각각의 단부의 측벽은 상기 제1 컨택 플러그(CNT1)의 측벽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결 영역(CON)의 제2 부분(CON2)에서, 상기 제2 게이트 전극(130_2)의 단부의 측벽은 상기 제1 컨택 플러그(CNT1)의 측벽과 마주보되,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30_1)의 단부의 측벽은 상기 제1 컨택 플러그(CNT1)의 측벽과 마주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100)에서, 상기 연결 영역(CON)의 제1 부분(CON1)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130) 중에서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130_1)의 수평 방향에 따른 제1 길이(130_1L1)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30_1)의 바로 위층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130_2)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2 길이(130_2L1)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결 영역(CON)의 제2 부분(CON2)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30_1)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1 길이(130_1L2)는, 상기 제2 게이트 전극(130_2)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2 길이(130_2L2)보다 더 길 수 있다.
비트 라인 컨택(BLC)은 상부 절연층(150)을 관통하여 채널 구조물(160)의 도전 플러그(168)와 접촉할 수 있고, 상부 절연층(150) 상에는 비트 라인 컨택(BLC)과 접촉하는 비트 라인(BL)이 제2 수평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영역(CON)에서 상부 절연층(150) 상에 도전 라인(ML)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절연층(150)과 비트 라인(BL)의 사이 및 상부 절연층(150)과 도전 라인(ML)의 사이에는 상부 지지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지 컨택 플러그(CNT1G)의 상면에는 도전 라인(M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더미 컨택 플러그(CNT1D)의 상면에는 도전 라인(ML)이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더미 컨택 플러그(CNT1D)는 플로팅(floating) 상태일 수 있다.
최근 들어, 게이트 스택(GS)의 높이가 커질수록 컨택 플러그(CNT)의 종횡비, 즉, 컨택 플러그(CNT)의 폭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게이트 스택(GS)에 다수의 게이트 전극(130)이 포함되는 구조에서는 컨택 플러그(CNT)의 종횡비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최하층의 제1 게이트 전극(130_1)에 접촉하는 제1 컨택 플러그(CNT1)의 종횡비는 제2 컨택 플러그들(CNT2)의 종횡비에 비하여 더 클 수 있다.
일반적인 3차원 구조를 가지는 수직형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연결 영역에서 컨택 플러그가 필요하지 않은 부분에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더미 컨택 플러그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해짐에 따라, 일부의 더미 컨택 플러그가 최하층의 게이트 전극(예를 들어, 접지 선택 라인)을 완전히 관통하여, 반도체 기판과 맞닿게 되는 원치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최하층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더미 컨택 플러그를 따라 반도체 기판으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100)에서는, 더미 컨택 플러그(CNT1D)가 배치되는 연결 영역(CON)의 제1 부분(CON1)에서 접지 선택 라인(GSL)에 해당하는 제1 게이트 전극(130_1)의 수평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함으로써, 더미 컨택 플러그(CNT1D)가 제1 게이트 전극(130_1)과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를 통해, 집적회로 소자(100)에서는, 일부의 더미 컨택 플러그(CNT1D)가 제1 게이트 전극(130_1)을 관통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100)는, 누설 전류와 같은 불량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의 난이도를 줄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집적회로 소자들(200, 300, 400, 500)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구성 요소 및 상기 구성 요소를 이루는 물질은, 앞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집적회로 소자(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집적회로 소자(100)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집적회로 소자(200)는 주변 회로 구조물(PS)과,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PS)보다 높은 수직 레벨에 배치되는 셀 어레이 구조물(C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집적회로 소자(200)는, 주변 회로 구조물(PS) 상에 셀 어레이 구조물(CS)이 배치되는 COP(Cell On Periphery)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PS)과 셀 어레이 구조물(CS)의 사이에는 베이스 구조물(110)이 배치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PS)은 반도체 기판(101) 상에 배치된 주변 회로 트랜지스터(60TR)와 주변 회로 배선(7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1)에는 소자 분리막(102)에 의해 활성 영역(AC)이 정의될 수 있고, 활성 영역(AC) 상에 복수의 주변 회로 트랜지스터(60TR)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주변 회로 트랜지스터(60TR)는 주변 회로 게이트(60G)와, 주변 회로 게이트(60G)의 양측의 반도체 기판(101) 일부분에 배치되는 소스/드레인 영역(62)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 배선(70)은 복수의 주변 회로 컨택(72)과 복수의 주변 회로 금속층(74)을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101) 상에는 주변 회로 트랜지스터(60TR)와 주변 회로 배선(70)을 덮는 층간 절연막(8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주변 회로 금속층(74)은 서로 다른 수직 레벨에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의 주변 회로 금속층(74)이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일부 레벨에 배치되는(예를 들어, 최상부 레벨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 금속층(74)이 나머지 레벨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 금속층(74)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컨택 플러그(CNT1) 중 더미 컨택 플러그(CNT1D)가 배치되는 연결 영역(CON)에서 접지 선택 라인에 해당하는 제1 게이트 전극(130_1)의 수평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함으로써, 더미 컨택 플러그(CNT1D)가 제1 게이트 전극(130_1)과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를 통해, 집적회로 소자(200)에서는, 일부의 더미 컨택 플러그(CNT1D)가 제1 게이트 전극(130_1)을 관통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200)는, 누설 전류와 같은 불량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의 난이도를 줄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집적회로 소자(300)는 하부의 제1 게이트 스택(GS1) 및 상부의 제2 게이트 스택(GS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집적회로 소자(300)에서, 제1 게이트 스택(GS1)은 복수의 제1 게이트 전극(130) 및 복수의 제1 절연층(14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게이트 전극(130)과 복수의 제1 절연층(140)은 베이스 구조물(110)의 상면에 수직한 제3 방향(Z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게이트 스택(GS1)의 최상부에는 제1 상부 절연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스택(GS2)은 복수의 제2 게이트 전극(230) 및 복수의 제2 절연층(24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게이트 전극(230)과 복수의 제2 절연층(240)은 제1 게이트 스택(GS1)의 상부에 제3 방향(Z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게이트 스택(GS2)의 최상부에는 제2 상부 절연층(25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영역(CON)에서, 제1 게이트 스택(GS1)은 제1 계단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2 게이트 스택(GS2)은 제2 계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채널 구조물(160)은 제1 게이트 스택(GS1)을 관통하는 제1 채널홀(160H1)과 제2 게이트 스택(GS2)을 관통하는 제2 채널홀(160H2)의 내부에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 구조물(160)은 제1 채널홀(160H1)과 제2 채널홀(160H2)의 경계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채널 구조물(160)은 상부 베이스층(110U)과 하부 베이스층(110L)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구조물(110)을 관통하여 반도체 기판(101)에 접촉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층(110L)과 동일한 레벨에서 게이트 절연층(162) 부분이 제거되고 채널층(164)이 하부 베이스층(110L)의 연장부(110LE)와 접촉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62)의 측벽 부분(162S)과 바닥 부분(162L)이 하부 베이스층(110L)의 연장부(110LE)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게이트 절연층(162)의 바닥 부분(162L)이 채널층(164)의 바닥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채널층(164)은 반도체 기판(101)과 직접 접촉하는 대신, 하부 베이스층(110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컨택 플러그(CNT1) 중 더미 컨택 플러그(CNT1D)가 배치되는 연결 영역(CON)에서 접지 선택 라인에 해당하는 제1 게이트 전극(130_1)의 수평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함으로써, 더미 컨택 플러그(CNT1D)가 제1 게이트 전극(130_1)과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를 통해, 집적회로 소자(300)에서는, 일부의 더미 컨택 플러그(CNT1D)가 제1 게이트 전극(130_1)을 관통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300)는, 누설 전류와 같은 불량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의 난이도를 줄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집적회로 소자(400)는 주변 회로 구조물(PS)과, 상기 주변 회로 구조물(PS)보다 높은 수직 레벨에 배치되는 제1 게이트 스택(GS1) 및 제2 게이트 스택(GS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집적회로 소자(400)는, 집적회로 소자(200, 도 10 참조)와 집적회로 소자(300, 도 11 참조)의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집적회로 소자(500)는 칩투칩(chip to chip)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집적회로 소자(500)는, 셀 어레이 구조물(CS)을 포함하는 상부 칩을 제작하고, 주변 회로 구조물(PS)을 포함하는 하부 칩을 제작한 후, 상부 칩과 하부 칩을 본딩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칩투칩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딩 방식은 상부 칩의 최상부에 형성된 본딩 패드와 하부 칩의 최상부에 형성된 본딩 패드를 서로 접촉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본딩 방식은 금속-금속 본딩 구조물, TSV(through silicon via), BVS(back via stack), 유테틱 본딩(eutectic bonding) 구조물, BGA 본딩(ball grid array bonding) 구조물, 복수의 배선 라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 구조물(PS)은 회로 기판(301), 층간 절연층(310), 복수의 회로 소자(360), 상기 복수의 회로 소자(360) 각각과 연결되는 제1 금속층(330), 상기 제1 금속층(330) 상에 형성되는 제2 금속층(340)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310)은 복수의 회로 소자(360), 제1 금속층(330), 및 제2 금속층(340)을 커버하도록 회로 기판(301) 상에 배치되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워드 라인 본딩 영역(BA1)의 제2 금속층(340) 상에 하부 본딩 패드(370)가 형성될 수 있다. 워드 라인 본딩 영역(BA1)에서, 주변 회로 구조물(PS)의 하부 본딩 패드(370)는 셀 어레이 구조물(CS)의 상부 본딩 패드(470)와 본딩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물(CS)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셀 어레이 구조물(CS)은 셀 기판(401) 및 공통 소스 라인(CSL)을 포함할 수 있다. 셀 기판(401) 상에는 제3 방향(Z 방향)으로 복수의 워드 라인(430)이 적층될 수 있다.
비트 라인 본딩 영역(BA2)에서, 채널 구조물(460)은 제3 방향(Z 방향)으로 워드 라인들(430), 스트링 선택 라인들, 및 접지 선택 라인을 관통할 수 있다.
워드 라인 본딩 영역(BA1)에서, 워드 라인들(430)은 셀 기판(401)의 상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컨택 플러그(CNT)와 연결될 수 있다. 워드 라인들(430)과 컨택 플러그들(CNT)은 워드 라인들(430)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어 제공하는 패드부(PAD)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는 공통 소스 라인 컨택(480)이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 컨택(480)은 금속, 금속 화합물, 또는 폴리실리콘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공통 소스 라인(C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는 입출력 패드들(350, 450)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301)의 하부에는 회로 기판(301)의 하면을 덮는 하부막(320) 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막(320) 상에 제1 입출력 패드(350)가 형성될 수 있다. 셀 기판(401)의 상부에는 셀 기판(401)의 상면을 덮는 상부막(4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막(420) 상에 제2 입출력 패드(45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통 소스 라인 컨택(480) 중 더미 컨택(480D)이 배치되는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서 공통 소스 라인(CSL)의 수평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더미 컨택(480D)이 공통 소스 라인(CSL)과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를 통해, 집적회로 소자(500)에서는, 공통 소스 라인 컨택(480) 중 일부의 더미 컨택(480D)이 공통 소스 라인(CSL)을 관통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500)는, 누설 전류와 같은 불량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의 난이도를 줄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시스템(1000)은 집적회로 소자(1100) 및 집적회로 소자(1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0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집적회로 소자(1100)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 또는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 소자(1100)를 포함하는 SSD 장치(solid state drive device), USB(Universal Serial Bus), 컴퓨팅 시스템, 의료 장치, 또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집적회로 소자(1100)는 비휘발성 수직형 메모리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적회로 소자(1100)는 앞서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집적회로 소자(100, 200, 300, 400, 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일 수 있다. 집적회로 소자(1100)는 제1 구조물(1100F) 및 제1 구조물(1100F) 상의 제2 구조물(1100S)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구조물(1100F)은 제2 구조물(1100S)의 옆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구조물(1100F)은 디코더 회로(1110), 페이지 버퍼(1120), 및 로직 회로(1130)를 포함하는 주변 회로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구조물(1100S)은 비트 라인(BL), 공통 소스 라인(CSL), 복수의 워드 라인(WL), 제1 및 제2 게이트 상부 라인(UL1, UL2), 제1 및 제2 게이트 하부 라인(LL1, LL2), 및 비트 라인(BL)과 공통 소스 라인(CSL) 사이에 있는 복수의 메모리 셀 스트링(CSTR)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구조물(1100S)에서 복수의 메모리 셀 스트링(CSTR)은 각각 공통 소스 라인(CSL)에 인접하는 하부 트랜지스터(LT1, LT2), 비트 라인(BL)에 인접하는 상부 트랜지스터(UT1, UT2), 및 하부 트랜지스터(LT1, LT2)와 상부 트랜지스터(UT1, UT2)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T)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트랜지스터(LT1, LT2)의 개수와 상부 트랜지스터(UT1, UT2)의 개수는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부 트랜지스터(UT1, UT2)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트랜지스터(LT1, LT2)는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하부 라인(LL1, LL2)은 각각 하부 트랜지스터(LT1, LT2)의 게이트 전극일 수 있다. 워드 라인(WL)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T)의 게이트 전극일 수 있고, 게이트 상부 라인(UL1, UL2)은 상부 트랜지스터(UT1, UT2)의 게이트 전극일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 복수의 게이트 하부 라인(LL1, LL2), 복수의 워드 라인(WL), 및 복수의 게이트 상부 라인(UL1, UL2)은 제1 구조물(1100F) 내에서 제2 구조물(1100S)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배선(1115)을 통해 디코더 회로(1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비트 라인(BL)은 제1 구조물(1100F) 내에서 제2 구조물(1100S)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연결 배선(1125)을 통해 페이지 버퍼(1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100F)에서 디코더 회로(1110) 및 페이지 버퍼(1120)는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디코더 회로(1110) 및 페이지 버퍼(1120)는 로직 회로(1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집적회로 소자(1100)는 로직 회로(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1101)를 통해 컨트롤러(1200)와 통신할 수 있다. 입출력 패드(1101)는 제1 구조물(1100F) 내에서 제2 구조물(1100S)까지 연장되는 입출력 연결 배선(1135)을 통해 로직 회로(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200)는 프로세서(1210), 낸드 컨트롤러(1220),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시스템(1000)은 복수의 집적회로 소자(1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트롤러(1200)는 복수의 집적회로 소자(1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컨트롤러(1200)를 포함한 전자 시스템(10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소정의 펌웨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낸드 컨트롤러(1220)를 제어하여 집적회로 소자(1100)에 억세스할 수 있다. 낸드 컨트롤러(1220)는 집적회로 소자(110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낸드 인터페이스(1221)를 포함할 수 있다. 낸드 인터페이스(1221)를 통해, 집적회로 소자(1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집적회로 소자(1100)의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T)에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 집적회로 소자(1100)의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CT)로부터 읽어오고자 하는 데이터 등이 전송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는 전자 시스템(1000)과 외부 호스트 사이의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를 통해 외부 호스트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210)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집적회로 소자(1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2000)은 메인 기판(2001), 메인 기판(2001)에 실장되는 컨트롤러(2002), 하나 이상의 반도체 패키지(2003), 및 디램(2004)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2001)은 외부 호스트와 결합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200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06)에서 상기 복수의 핀의 개수와 배치는 전자 시스템(2000)과 상기 외부 호스트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시스템(2000)은 USB, PCI-Express(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UFS(Universal Flash Storage)용 M-Phy 등의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외부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시스템(2000)은 커넥터(2006)를 통해 외부 호스트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2000)은 상기 외부 호스트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컨트롤러(2002) 및 반도체 패키지(2003)에 분배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반도체 패키지(2003) 및 디램(2004)은 메인 기판(2001)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선 패턴(2005)에 의해 컨트롤러(2002)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2)는 반도체 패키지(2003)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반도체 패키지(2003)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으며, 전자 시스템(2000)의 동작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디램(2004)은 데이터 저장 공간인 반도체 패키지(2003)와 외부 호스트의 속도 차이를 완화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일 수 있다. 전자 시스템(2000)에 포함되는 디램(2004)은 일종의 캐시 메모리로도 동작할 수 있으며, 반도체 패키지(2003)에 대한 제어 동작에서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 시스템(2000)에 디램(2004)이 포함되는 경우, 컨트롤러(2002)는 반도체 패키지(2003)를 제어하기 위한 낸드 컨트롤러 외에 디램(2004)을 제어하기 위한 디램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2003)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2003a, 200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2003a, 2003b) 각각은 복수의 반도체 칩(2200)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2003a, 2003b) 각각은 패키지 기판(2100), 패키지 기판(2100) 상의 복수의 반도체 칩(2200), 복수의 반도체 칩(2200) 각각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접착층(2300), 복수의 반도체 칩(2200)과 패키지 기판(2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구조물(2400), 및 패키지 기판(2100) 상에서 복수의 반도체 칩(2200)과 연결 구조물(2400)을 덮는 몰딩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 기판(2100)은 복수의 패키지 상부 패드(2130)를 포함하는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칩(2200)은 각각 입출력 패드(2201)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패드(2201)는 도 14의 입출력 패드(1101)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칩(2200) 각각은 복수의 게이트 스택(3210) 및 복수의 채널 구조물(3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칩(2200)은 앞서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집적회로 소자(100, 200, 300, 400, 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구조물(2400)은 입출력 패드(2201)와 패키지 상부 패드(2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 와이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2003a, 2003b)에서, 복수의 반도체 칩(2200)은 본딩 와이어 방식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패키지 기판(2100)의 패키지 상부 패드(2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2003a, 2003b)에서, 복수의 반도체 칩(2200)은 본딩 와이어 방식의 연결 구조물(2400) 대신에, 관통 전극(Through Silicon Via, TSV)을 포함하는 연결 구조물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트롤러(2002)와 복수의 반도체 칩(2200)은 하나의 패키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인 기판(2001)과 다른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에 컨트롤러(2002)와 복수의 반도체 칩(2200)이 실장되고, 상기 인터포저 기판에 형성되는 배선에 의해 컨트롤러(2002)와 복수의 반도체 칩(2200)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도 17에는 도 15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의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3003)에서, 패키지 기판(2100)은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다.
패키지 기판(2100)은 바디부(2120), 바디부(2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키지 상부 패드(2130, 도 15 참조), 바디부(2120)의 하면에 배치되거나 하면을 통해 노출되는 복수의 하부 패드(2125), 및 바디부(2120) 내부에서 복수의 상부 패드(2130)와 복수의 하부 패드(21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내부 배선(213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패드(2130)는 복수의 연결 구조물(2400, 도 15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하부 패드(2125)는 복수의 도전성 연결부(2800)를 통해 도 15에 예시한 전자 시스템(2000)의 메인 기판(2001) 상의 복수의 배선 패턴(2005)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칩(2200) 각각은 반도체 기판(3010), 반도체 기판(3010) 상에 차례로 적층되는 제1 구조물(3100) 및 제2 구조물(3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3100)은 복수의 주변 배선(3110)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3100)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 회로 트랜지스터(60TR)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구조물(3100)이 도 10에 예시한 집적회로 소자(200)의 주변 회로 영역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구조물(3200)은 공통 소스 라인(3205), 공통 소스 라인(3205) 상의 게이트 스택(3210), 게이트 스택(3210)을 관통하는 채널 구조물(3220), 및 채널 구조물(3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트 라인(3240)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스택(3210)은 도 11에 예시한 제1 및 제2 게이트 스택(GS1, GS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스택(GS1, GS2)은 복수의 게이트 전극(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칩(2200) 각각은 게이트 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컨택 플러그(CNT)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칩(2200) 각각은 제1 구조물(3100)의 복수의 주변 배선(3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구조물(3200) 내로 연장되는 관통 배선(3245)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배선(3245)은 게이트 스택(3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패키지(3003)는 게이트 스택(3210)을 관통하는 관통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칩(2200) 각각은 제1 구조물(3100)의 복수의 주변 배선(3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2201, 도 15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4003)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반도체 패키지(3003)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단, 반도체 패키지(4003)는 복수의 반도체 칩(2200a)을 포함한다.
복수의 반도체 칩(2200a) 각각은 반도체 기판(4010), 반도체 기판(4010) 상의 제1 구조물(4100), 및 제1 구조물(4100) 상에서 웨이퍼 본딩 방식으로 제1 구조물(4100)과 접합된 제2 구조물(4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4100)은 주변 배선(4110) 및 복수의 제1 접합 구조물(4150)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4100)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 회로 트랜지스터(60TR)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구조물(4100)이 도 10에 예시한 집적회로 소자(200)의 주변 회로 영역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구조물(4200)은 공통 소스 라인(4205), 공통 소스 라인(4205)과 제1 구조물(4100) 사이의 게이트 스택(4210), 및 게이트 스택(4210)을 관통하는 채널 구조물(4220)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스택(4210)은 도 11에 예시한 제1 및 제2 게이트 스택(GS1, GS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스택(GS1, GS2)은 복수의 게이트 전극(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칩(2200a) 각각은 게이트 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컨택 플러그(C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칩(2200a) 각각은 게이트 스택(4210)의 복수의 게이트 전극(13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접합 구조물(42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접합 구조물(4250) 중 일부는 채널 구조물(4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트 라인(42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접합 구조물(4250) 중 다른 일부는 복수의 컨택 플러그(CNT)를 통해 게이트 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조물(4100)의 복수의 제1 접합 구조물(4150) 및 제2 구조물(4200)의 복수의 제2 접합 구조물(4250)은 서로 접촉하면서 접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접합 구조물(4150) 및 복수의 제2 접합 구조물(4250)의 접합되는 부분들은 금속, 예를 들어,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100, 200, 300, 400, 500: 집적회로 소자
101: 반도체 기판 110: 베이스 구조물
120: 커버 절연층 130: 게이트 전극
140: 절연층 150: 상부 절연층
160: 채널 구조물 170: 워드 라인 컷
1000: 전자 시스템
CON: 연결 영역 CNT: 컨택 플러그

Claims (10)

  1. 셀 영역 및 상기 셀 영역에 인접한 연결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되는 복수의 게이트 전극 및 복수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에서 계단 구조를 가지는 게이트 스택;
    상기 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스택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연장되는 채널 구조물; 및
    상기 연결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 구조의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택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의 일부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 중에서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1 길이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2 길이보다 더 짧은,
    집적회로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택 플러그 중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는 제1 컨택 플러그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반도체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 플러그는 더미(dummy) 컨택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의 다른 일부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1 길이는,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의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제2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택 플러그 중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는 제1 컨택 플러그는,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 플러그는 접지 컨택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소자.
  7. 제4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연결 영역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의 단부는 요철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요철 형상은, 교번적으로 직사각 형태의 돌출부 및 함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택 플러그는 각각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주면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tapered) 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게이트 스택의 사이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소자.
KR1020210085766A 2021-06-30 2021-06-30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004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66A KR20230004013A (ko) 2021-06-30 2021-06-30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17/728,317 US20230005953A1 (en) 2021-06-30 2022-04-25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same
CN202210737888.1A CN115547983A (zh) 2021-06-30 2022-06-27 集成电路装置和包括其的电子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66A KR20230004013A (ko) 2021-06-30 2021-06-30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013A true KR20230004013A (ko) 2023-01-06

Family

ID=8472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766A KR20230004013A (ko) 2021-06-30 2021-06-30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05953A1 (ko)
KR (1) KR20230004013A (ko)
CN (1) CN11554798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47983A (zh) 2022-12-30
US20230005953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7525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US20220384467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CN114256270A (zh) 集成电路器件和包括该集成电路器件的电子系统
KR20230004013A (ko)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093700A (ko)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20240064979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1201084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30041500A (ko) 집적회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의 제조 방법
US2024003866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2017302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2002764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20208787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EP4307858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2022035219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20246537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056023A (ko)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20117596A (ko)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081364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CN118159031A (zh) 集成电路装置和包括该集成电路装置的电子系统
KR20240050999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175015A (ko)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40000961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30142097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20240041728A (ko) 집적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CN118159025A (zh) 半导体装置和包括该半导体装置的电子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