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027A - 릴레이 - Google Patents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027A
KR20230003027A KR1020227041154A KR20227041154A KR20230003027A KR 20230003027 A KR20230003027 A KR 20230003027A KR 1020227041154 A KR1020227041154 A KR 1020227041154A KR 20227041154 A KR20227041154 A KR 20227041154A KR 20230003027 A KR20230003027 A KR 20230003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magnetic yoke
disposed
contact assembl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오퉁 야오
루젠 왕
쓰위안 류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3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릴레이(100)는, 하우징(1) 내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11); 하우징(1) 상에 이격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캐비티(11)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접점들(12); 구동 샤프트(2)의 축방향을 따라 하우징(1)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축방향의 일 단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캐비티(11) 내로 연장되는 지지 부분(21)이 제공되는 구동 샤프트(2); 가동 접점 조립체(3)가 고정 접점(12)과 접촉하는 제1 위치와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먼 제2 위치 사이에서 지지 부분(2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구조체에 의해 지지 부분(21)과 협력하는 가동 접점 조립체(3); 및 제1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이동 접점 조립체(3)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해 가동 접점 조립체(3)와 지지 부분편(2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릴레이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개시내용은 BYD Company Limited에 의해 2020년 5월 29일자로 출원된 "RELAY"이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2020964230.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분야
본 개시내용은 전기 장비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는 고전압 및 고전력 전원을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이다. 이동 접점이 고정 접점과 접촉하면, 고전압이 스위치 온된다. 릴레이의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아크 소멸을 달성하기 위해 아크 소멸 가스로 채워진다. 그러나, 관련 기술들에서, 릴레이의 구조적 제한으로 인해, 아크 소멸 가스의 역류 효과가 불량하고, 아크 소멸 효과가 불량하다.
본 개시내용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은 릴레이를 제공하며, 여기서 슬라이딩 구조체가 이동 방향에서 이동 접점 조립체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이는 고정 접점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 조립체의 일 측면의 공간이 비어 있게 할 수 있어, 아크 소멸 가스가 원활하게 유동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는, 하우징-하우징 내에 캐비티가 형성됨-; 다수의 고정 접점들-고정 접점들은 하우징 상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고정 접점들 각각은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됨-; 구동 샤프트-구동 샤프트는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 단부에는 캐비티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지지 단편이 제공됨-; 이동 접점 조립체-이동 접점 조립체는 슬라이딩 구조체를 통해 지지 단편과 정합되어, 이동 접점 조립체는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제1 위치와 고정 접점으로부터 먼 제2 위치 사이에서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지지 단편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슬라이딩 구조체는 이동 방향에서 이동 접점 조립체의 측면 상에 배치됨-; 및 탄성 부재-탄성 부재는 제1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이동 접점 조립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해 이동 접점 조립체와 지지 단편 사이에 배치됨-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에서, 슬라이딩 구조체는 이동 방향에서 이동 접점 조립체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는 이동 접점 조립체와 지지 단편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 접점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 조립체의 측면 상의 공간이 비어 있게 할 수 있어, 아크 소멸 가스가 원활하게 유동하고, 동시에, 릴레이가 스위치 온될 때, 큰 접촉력이 이동 접점 조립체와 고정 접점 사이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딩 구조체는 슬라이딩 슬롯 및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한다. 지지 단편 및 이동 접점 조립체 중 하나는 슬라이딩 슬롯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슬롯의 2개의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 정지 벽 및 제2 정지 벽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슬롯은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딩 블록은 지지 단편 및 이동 접점 조립체 중 다른 하나 상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블록은 슬라이딩 슬롯과 정합되고, 따라서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제1 정지 벽과 제2 정지 벽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딩 슬롯은 지지 단편 상에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록은 이동 접점 조립체 상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블록이 탄성 부재의 탄성력 하에서 제1 정지 벽에 접촉할 때, 이동 접점은 제1 위치에 배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단편에는 2개의 지지 아암이 제공된다. 2개의 지지 아암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지지 아암들 각각에는 슬라이딩 슬롯이 각각 형성된다. 이동 접점 조립체는 2개의 지지 아암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블록들은 2개의 지지 아암들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 조립체의 2개의 측면들 상에 각각 배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릴레이는 제1 자기 요크(first magnetic yoke)를 더 포함한다. 이동 접점 조립체는 이동 접점 및 제2 자기 요크를 포함한다. 제1 자기 요크는 고정 접점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제2 자기 요크는 고정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이동 접점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요크는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동 접점은 제2 자기 요크에 장착된다. 제2 자기 요크는 슬라이딩 구조체를 통해 지지 단편과 정합된다. 탄성 부재는 제2 자기 요크와 지지 단편 사이에서 정지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단편은 제1 자기 요크를 향해 개방되는 슬라이딩 캐비티를 형성한다. 이동 접점 조립체는 슬라이딩 캐비티와 이동가능하게 정합된다.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제1 자기 요크의 단부는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고정 접점의 단부 밖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제1 자기 요크의 단부와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고정 접점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L이고, L은 0≤L≤1 mm을 충족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자기 요크는 바닥 플레이트 단편 및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을 포함한다.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은 바닥 플레이트 단편의 2개의 측면 상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장착 홈이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과 바닥 플레이트 단편 사이에 형성된다. 이동 접점은 장착 홈에 배치된다. 구동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제1 자기 요크의 단부와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고정 접점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L이고, L은 0≤L≤1 mm을 충족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동 접점에는 정합 돌출부 및 정합 홈 중 하나가 제공되고, 바닥 플레이트 단편에는 정합 돌출부 및 정합 홈 중 다른 하나가 제공된다. 정합 돌출부는 정합 홈과 억지 끼워맞춤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동 샤프트는 샤프트 본체 단편 및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절연 부재는 지지 단편과 샤프트 본체 단편 사이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착 관통 구멍이 지지 단편 상에 형성된다. 절연 부재는 장착 관통 구멍과 정합된다. 위치결정 부재가 탄성 부재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샤프트 본체 단편으로부터 먼 절연 부재의 단부 상에 배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태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주어지고,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명백해지거나 본 개시내용의 실시를 통해 학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부분적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부분적 구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자기 요크 및 제2 자기 요크의 인력의 개략도이며, 제1 자기 요크와 제2 자기 요크 사이의 갭(M)은 제로가 아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자기 요크 및 제2 자기 요크의 인력의 개략도이며, 제1 자기 요크와 제2 자기 요크 사이의 갭은 제로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부분 개략도이며, 릴레이는 온 상태에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부분 개략도이며, 릴레이는 오프 상태에 있다.
참조 번호들:
릴레이 100;
하우징 1; 캐비티 11; 고정 접점 12; 제1 자기 요크 13;
구동 샤프트 2;
지지 단편 21; 지지 아암 211; 슬라이딩 캐비티 212; 장착 관통 구멍 213;
샤프트 본체 단편 22; 절연 부재 23; 위치결정 부재 231;
이동 접점 조립체 3; 이동 접점 31; 정합 돌출부 311; 제2 자기 요크 32; 바닥 플레이트 단편 321; 측면 플레이트 단편 322; 장착 홈 323;
슬라이딩 구조체 4; 슬라이딩 슬롯 41; 제1 정지 벽 411; 제2 정지 벽 412; 슬라이딩 블록 42;
탄성 부재 5;
자기 부재 6;
제한 부재 7; 제한 구멍 71;
완충 스프링 8; 및 코일 9.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되고, 실시예들의 예를 첨부 도면에 도시하며,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로 나타낸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이며,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려는 것이며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의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상이한 구조들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상이한 실시예들 또는 예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을 단순화하기 위해, 특정 예들의 구성요소들 및 설정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확실히, 이들은 단지 예일 뿐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참조 번호들 및/또는 문자들은 본 개시내용의 상이한 예들에서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간략함 및 명확함을 위한 것이며, 이는 논의된 실시예들 및/또는 설정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구체적인 프로세스들 및 재료들의 예들을 제공하지만, 해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프로세스들의 적용 및/또는 다른 재료들의 사용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00)는 하우징(1), 고정 접점(12), 제1 자기 요크(13), 구동 샤프트(2), 이동 접점 조립체(3), 슬라이딩 구조체(4), 탄성 부재(5), 자기 부재(6), 제한 부재(7), 완충 스프링(8) 및 코일(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비티(11)가 하우징(1) 내에 형성된다. 캐비티(11)는 수소와 같은 아크 소멸 가스로 채워진다. 다수의 고정 접점(12)이 간격을 두고 하우징(1)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비티(11) 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고정 접점(12)은 캐비티(11)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캐비티(11) 내에 완전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은 세라믹 하우징일 수 있다. 세라믹 하우징은 고전압 절연 효과를 가질 수 있어서, 릴레이(100)에서의 고정 접점(12)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하우징(1)에서의 고전압에 의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릴레이(100)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개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샤프트(2)는 구동 샤프트(2)의 축방향으로 하우징(1)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구동 샤프트(2)의 축방향 단부에는 캐비티(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지지 단편(21)이 제공된다. 이동 접점 조립체(3)는 슬라이딩 구조체(4)를 통해 지지 단편(21)에 정합되어, 이동 접점 조립체(3)는 고정 접점(12)과 접촉하는 제1 위치(도 5에서의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위치를 지칭함)와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먼 제2 위치(도 7에서의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위치를 지칭함) 사이에서 구동 샤프트(2)의 축방향에서 지지 단편(21)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딩 구조체(4)는 이동 방향에서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5)는 제1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이동 접점 조립체(3)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해 이동 접점 조립체(3)와 지지 단편(21)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5)는 스프링이다. 탄성 부재(5)는 항상 상향력을 이동 접점 조립체(3)에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접점 조립체(3)가 고정 접점(12)에 접촉하도록 이동하게 구동 샤프트(2)에 의해 구동될 때, 이동 접점(31)은 고정 접점(12)과 전기적으로 연통되고, 릴레이(100)는 스위치 온된다. 이때, 이동 접점 조립체(3)와 고정 접점(12) 사이의 접촉력으로 인해, 이동 접점 조립체(3)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탄성 부재(5)는 더 압축되며, 이에 의해 오버런(overrun)을 달성하고, 이동 접점 조립체(3)와 고정 접점(12) 사이의 큰 접촉력을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동 접점 조립체(3)가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구동 샤프트(2)에 의해 구동될 때,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에는 전도가 없다. 탄성 부재(5)는 제1 위치로 복귀한다. 릴레이(100)는 스위치 오프된다.
관련 기술에서는, 고정 접점을 향한 이동 접점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고정 접점에 대향하는 이동 접점의 측면 상에 제한 구성요소가 배치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한 구성요소는 고정 접점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의 측면 상의 공간을 점유하고 아크 소멸 가스 유동을 차단하며, 이는 아크 소멸 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의해 측방향 아크 블로우 방식(lateral arc blowing way)만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측방향 아크 블로우 방식이 아크 소멸을 위해 사용되더라도, 아크 블로우 가스의 역류 효과는 제한 구성요소의 차단으로 인해 불량하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에서는, 슬라이딩 구조체(4)는 이동 방향에서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측면 상에 배치되며, 이는 고정 접점(12)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측면 상의 공간이 비어 있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아크 소멸 가스가 원활하게 유동하게 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00)에서, 슬라이딩 구조체(4)는 이동 방향에서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탄성 부재(5)는 이동 접점 조립체(3)와 지지 단편(21) 사이에 배치되며, 따라서 고정 접점(12)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측면 상의 공간이 비어 있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아크 소멸 가스는 원활하게 유동하고, 동시에, 릴레이(100)가 스위치 온될 때, 오버런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동 접점 조립체(3)와 고정 접점(12) 사이의 큰 접촉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구조체(4)는 슬라이딩 슬롯(41) 및 슬라이딩 블록(42)을 포함한다. 지지 단편(21) 및 이동 접점 조립체(3) 중 하나는 슬라이딩 슬롯(41)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슬롯(41)의 2개의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 정지 벽(411) 및 제2 정지 벽(412)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슬라이딩 슬롯(41)은 구동 샤프트(2)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딩 블록(42)은 지지 단편(21) 및 이동 접점 조립체(3) 중 다른 하나 상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블록(42)은 슬라이딩 슬롯(41)과 정합되고, 따라서 제1 정지 벽(411)과 제2 정지 벽(412) 사이에서 구동 샤프트(2)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다. 따라서, 이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구동 샤프트(2)의 축방향에서의 지지 단편(21)에 대한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이동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비용이 낮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선택적 실시예들에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슬롯(41)은 지지 단편(21) 상에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록(42)은 이동 접점 조립체(3) 상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블록(42)이 탄성 부재(5)의 탄성력 하에서 제1 정지 벽(411)과 접촉할 때(도 6 참조), 이동 접점(31)은 제1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정지 벽(411)은 고정 접점(12)을 향한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연속적인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이는 릴레이(100)의 동작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종래의 릴레이(100)와 비교하여, 슬라이딩 블록(42)과 제1 정지 벽(411)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릴레이(100)가 스위치 오프될 때, 지지체와 슬라이딩 블록(42) 사이에서 생성되는 충격 소음이 감소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블록(42)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정지 벽(412)을 향해 소정 거리 이동할 때, 이동 접점 조립체(3)는 제2 위치에 도달한다(도 7 참조). 제2 위치에서, 슬라이딩 블록(42)은 제1 정지 벽(411)과 제2 정지 벽(41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정지 벽(411) 및 제2 정지 벽(412)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릴레이(100)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스위칭될 때, 이동 접점 조립체(3)와 고정 접점(12) 사이의 충격에 대한 탄성 부재(5)의 완충 효과가 보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동 접점 조립체(3) 및 고정 접점(12)의 마모 및 변형을 감소시키고, 릴레이(100)의 서비스 수명의 연장을 용이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선택적 실시예들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단편(21)에는 2개의 지지 아암(211)이 제공된다. 2개의 지지 아암(211)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각각의 지지 아암(211)은 그 위에 슬라이딩 슬롯(41)이 각각 형성된다. 이동 접점 조립체(3)는 2개의 지지 아암(211)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블록들(42)은 2개의 지지 아암(211)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 조립체(3)의 2개의 측면 상에 각각 배치된다. 2개의 슬라이딩 슬롯(41)이 2개의 슬라이딩 블록(42)과 하나씩 대응적으로 정합되고, 이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구동 샤프트(2)의 축방향에서의 지지 단편(21)에 대한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이동의 신뢰성을 추가로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더욱이, 지지 단편(21)의 구조는 더 단순화되며, 이는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릴레이(100)는 제1 자기 요크(13)를 더 포함한다. 이동 접점 조립체(3)는 이동 접점(31) 및 제2 자기 요크(32)를 포함한다. 제1 자기 요크(13) 및 제2 자기 요크(32)는 이동 접점(31)의 2개의 측면 상에 각각 배치된다. 이동 접점 조립체(3)가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 사이에 자기 인력이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자기 요크(13)는 고정 접점(12)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31)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2 자기 요크(32)는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이동 접점(31)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동 접점 조립체(3)가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이동 접점(31)은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12)과 접촉하여 대응하는 고정 접점(12)을 전도한다. 전류는 이동 접점(31)을 통해 흘러 이동 접점(31) 주위에 자기장을 생성한다. 제1 자기 요크(13) 및 제2 자기 요크(32)는 자화되고, 제1 자기 요크(13) 및 제2 자기 요크(32)는 자성이 상이하다. 자기 인력은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 사이에 생성된다. 이동 접점(31)은 이동 접점(31)이 고정 접점(12)과 접촉 연통할 때 발생되는 반발력에 저항하도록 제2 자기 요크(32)에 의해 고정 접점(12)을 향해 눌린다.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접촉 압력이 증가되어,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접촉 안정성이 개선되고, 릴레이(100)의 동작 안정성이 보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자기 요크(13)는 캐비티(11) 내에 배치되고 고정 접점(12)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동 접점(31)은 제2 자기 요크(32)에 장착된다. 제2 자기 요크(32)는 슬라이딩 구조체(4)를 통해 지지 단편(21)과 정합된다. 탄성 부재(5)는 제2 자기 요크(32)와 지지 단편(21) 사이에서 정지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상단에는 2개의 이격된 고정 접점(12)이 제공된다. 제1 자기 요크(13)는 2개의 고정 접점(12) 사이의 캐비티(11) 내에 배치된다.
릴레이(100)가 온 상태에 있을 때, 이동 접점(31)은 고정 접점(12)과 전기적으로 연통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평면에 수직인 외향 전류가 이동 접점(31)을 통해 흐르므로, 이동 접점(31) 주위에 반시계 방향의 자기장이 생성된다. 이동 접점(31)은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자기 요크(13) 및 제2 자기 요크(32)는 자화되고, 제1 자기 요크(13) 및 제2 자기 요크(32)는 서로를 끌어당긴다. 제1 자기 요크(13)는 하우징(1)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동 접점(31)은 제1 자기 요크(13)의 자기 인력 하에서 고정 접점(1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2 자기 요크(32)에 의해 눌려서, 제1 자기 요크(13)를 향한 가압력이 이동 접점(31)에 대해 제2 자기 요크(32)에 의해 제공되고, 이에 의해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전기-충격 반발력을 효과적으로 상쇄하여,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고,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접촉을 더 안정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부 예들에서, 하우징(1)은 세라믹 하우징이다. 제1 자기 요크(13)는 하우징(1)에 용접된다. 제1 자기 요크(13)와 하우징(1) 사이의 용접력은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전자기력보다 훨씬 커서, 제1 자기 요크(13)는 하우징(1)에 대해 고정된다. 제1 자기 요크가 이동 접점 조립체 상에 배치되는 관련 기술과 비교하여, 이동 접점 조립체(3)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고, 릴레이(100)의 동작 전압이 감소될 수 있으며, 동작 효율이 개선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기 요크(13) 및 제2 자기 요크(32)의 크기가 더 클 수 있고, 이는 릴레이(100)가 온 상태에 있을 때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더 안정된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제1 자기 요크(13) 및 제2 자기 요크(32)의 열 소산 용량의 개선을 용이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선택적 실시예들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지지 단편(21)은 제1 자기 요크(13)를 향해 개방되는 슬라이딩 캐비티(212)를 형성한다. 이동 접점 조립체(3)는 슬라이딩 캐비티(212)에 이동가능하게 정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접점 조립체(3)와 대면하는 제1 자기 요크(13)의 단부는 이동 접점 조립체(3)와 대면하는 고정 접점(12)의 단부 밖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구동 샤프트(2)의 축방향에서 이동 접점 조립체(3)와 대면하는 제1 자기 요크(13)의 단부와 이동 접점 조립체(3)와 대면하는 고정 접점(12)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L이고, L은 0≤L≤1 mm을 충족한다. 예를 들어, L은 0.02 mm, 0.04 mm, 0.06 mm, 0.08 mm, 0.1 mm, 0.12 mm, 0.14 mm, 0.16 mm, 0.18 mm, 0.2 mm, 0.25 mm, 0.3 mm, 0.4 mm, 0.5 mm, 0.6 mm, 0.7 mm, 0.8 mm, 0.9 mm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접점(31)이 고정 접점(12)(도 9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통될 때, 한편으로는, 제1 자기 요크(13)와 이동 접점(31) 사이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 사이의 갭(M)(도 7 참조)이 비교적 작을 수 있으며, 이는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접촉 압력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되어,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접촉이 안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선택적 실시예들에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자기 요크(32)는 바닥 플레이트 단편(321) 및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322)을 포함한다.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322)은 바닥 플레이트 단편(321)의 2개의 측면 상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장착 홈(323)이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322)과 바닥 플레이트 단편(321) 사이에 형성된다. 이동 접점(31)은 장착 홈(323)에 배치된다. 고정 접점(12)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31)의 단부는 제1 자기 요크(13)와 대면하는 측면 플레이트 단편(322)의 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있다. 따라서, 이동 접점(31)이 고정 접점(12)과 전기적으로 연통될 때, 이는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 사이의 자기 전도성 섹션의 이용률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또한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를 갭이 없이 접촉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접촉 압력이 더 증가되어,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접촉이 더 안정적이 된다.
물론, 본 개시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접점(12)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31)의 단부는 제1 자기 요크(13)와 대면하는 측면 플레이트 단편(322)의 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동 접점(31)이 고정 접점(12)과 전기적으로 연통될 때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 사이의 갭(M)이 0 내지 1 mm인 것이 보장되는 한, 고정 접점(12)과 대면하는 이동 접점(31)의 단부는 제1 자기 요크(13)와 대면하는 측면 플레이트 단편(322)의 단부를 초과하거나 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 사이의 갭(M)은 이동 접점(31)이 고정 접점(12)과 전기적으로 연통될 때 제로이며, 이에 의해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 사이의 자기 전도성 섹션의 이용률의 추가 증가를 용이하게 하여,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에 더 안정적인 접촉을 초래한다.
일부 예들에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322)은 바닥 플레이트 단편(321)에 수직이다. 제2 자기 요크(32)는 이동 접점(31)의 바닥 표면 및 2개의 대향 측벽을 감싼다. 물론, 본 개시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322)은 대안적으로 이동 접점(31)의 중심을 향해 경사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자기 요크(32)와 이동 접점(3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의 개선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 접점(31)은 플레이트 유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 접점(31)의 2개의 길이방향 단부는 각각 장착 홈(323) 밖으로 연장된다. 이동 접점(31)의 2개의 길이방향 단부는 릴레이(100)가 온 상태에 있을 때 2개의 고정 접점(12)과 각각 접촉한다.
본 개시내용에서는 제1 자기 요크(13)와 제2 자기 요크(32) 사이에 제로 갭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5000 A의 전류가 이동 접점(31)을 통해 흐를 때,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추가적으로 증가된 압력이 20 N일 수 있고, 이는 단락 회로 프로세스에서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반발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어, 릴레이(100)의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의 아크에 의해 야기되는 제품 고장이 방지된다는 것이 이론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정격 전류가 릴레이(100)를 통해 흐를 때, 증가된 접촉 압력은 1 N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릴레이(100)의 정상적인 단절은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접점(31)에는 정합 돌출부(311) 및 정합 홈 중 하나가 제공되고, 바닥 플레이트 단편(321)에는 정합 돌출부(311) 및 정합 홈 중 다른 하나(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정합 돌출부(311)는 정합 홈과 억지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이동 접점(31)과 고정 접점(12)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개선된다. 구조는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이동 접점(31)에는 정합 돌출부(311)가 제공된다. 바닥 플레이트 단편(321)에는 정합 홈이 제공된다. 정합 돌출부(311) 및 정합 홈은 리벳팅(riveting)에 의해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샤프트(2)는 샤프트 본체 단편(22) 및 절연 부재(23)를 더 포함한다. 절연 부재(23)는 지지 단편(21)과 샤프트 본체 단편(22) 사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절연 부재(23)를 배치함으로써, 지지체와 샤프트 본체 단편(22) 사이의 고전압/저전압 절연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성된 지지 단편(21) 및 샤프트 본체 단편(22)은 사출 성형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지지 단편(21)과 샤프트 본체 단편(22)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개선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단편(21)에는 장착 관통 구멍(213)이 제공된다. 절연 부재(23)는 장착 관통 구멍(213)과 정합된다. 위치결정 부재(231)가 탄성 부재(5)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샤프트 본체 단편(22)으로부터 먼 절연 부재(23)의 단부 상에 배치된다. 위치결정 부재(231)는 탄성 부재(5)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절연 부재(23) 상에 배치되고, 이는 가압 동안 탄성 부재(5)의 이탈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에 의해 릴레이(100)의 동작 신뢰성을 보장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5) 및 이동 접점 조립체(3)가 조립될 때, 탄성 부재(5)는 먼저 지지 단편(21)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그 다음, 리벳팅된 이동 접점(31) 및 제2 자기 요크(32)는 지지 단편(21) 내로 스냅핑될 수 있어, 슬라이딩 블록(42)은 슬라이딩 슬롯과 정합된다. 그 다음, 탄성 부재(5)의 2개의 축방향 단부는 각각 제2 자기 요크(32) 상의 위치결정 구멍 및 절연 부재(23) 상의 위치결정 부재(231) 내에 스냅핑된다. 이때, 탄성 부재(5)는 압축된 상태에 있고, 슬라이딩 블록(42)은 탄성 부재(5)의 작용 하에서 제1 정지 벽(411)과 맞닿아 맞물린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2)의 다른 단부에는 자기 부재(6) 및 제한 부재(7)가 제공된다. 완충 스프링(8)이 자기 부재(6)와 제한 부재(7)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 스프링(8)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자기 부재(6) 및 제한 부재(7)에 맞닿는다. 따라서, 완충 스프링(8)은 자기 부재(6)와 제한 부재(7)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 샤프트(2)가 자기 부재(6)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동될 때, 완충 스프링(8)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로 인해 완충 스프링(8)은 탄성 변형된다. 그러나, 이동 접점 조립체(3)가 고정 접점(12)과 전기적으로 연결해제될 때, 자기 부재(6)는 제3 탄성 부재(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눌려서 그 작용 하에서 구동 샤프트(2)를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동작이 간단하고 가동이 안정적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코일(9)은 자기 부재(6)의 외부에 감길 수 있다. 릴레이(100)는 전자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구동 샤프트(2)의 다른 단부에는 자기 부재(6)가 제공되고, 코일(9)은 자기 부재(6)의 외부에 감겨진다. 구동 샤프트(2)와 하우징(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고정 접점(12)과 연통되도록 이동 접점 조립체(3)를 구동하는 전자기 구동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한 부재(7)는 구동 샤프트(2)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구동 샤프트(2)가 너무 멀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릴레이(100) 내의 구성요소들의 손상이 회피된다. 릴레이(100)의 가동 안정성 및 신뢰성이 개선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한 부재(7) 및 자기 부재(6)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제한 구멍(71)이 형성된다. 완충 스프링(8)은 제한 구멍(71)에 배치된다. 즉, 제한 구멍(71)은 제한 부재(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스프링(8)은 제한 구멍(71)에 배치된다. 제한 구멍(71)은 대안적으로 자기 부재(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스프링(8)은 제한 구멍(71)에 배치된다. 따라서, 완충 스프링(8)의 고정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가압될 때 완충 스프링(8)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릴레이(100)의 가동 안정성을 개선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100)의 다른 구성들 및 동작들은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중심", "길이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위", "아래", "수직", "수평", "상단", "바닥", "내부", "외부",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축방향", "반경 방향", 및 "원주방향" 같은 용어에 의해 나타낸 배향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는 배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하며,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요소가 특정 배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 배향으로 구성 및 동작되어야 함을 명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본 개시내용의 용이하고 간결한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사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및 "제2"라는 용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명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표시된 기술적 특징들의 수량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에 의해 제한된 특징은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달리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복수의"는 2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장착하다", "연결하다", "연결" 및 "고정하다"와 같은 용어는, 달리 명시적으로 구체화되거나 정의되지 않는 한,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은 고정된 연결, 분리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 있거나; 또는 연결은 기계적 연결, 전기적 연결, 또는 연통일 수 있거나; 또는 연결은 직접적 연결, 중개자를 통한 간접적 연결, 또는 2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내부 연통 또는 2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 상황에 따라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구체화되거나 또는 정의되지 않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되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 또는 제1 특징이 중개자를 통해 제2 특징과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은 제2 특징의 "상방에", "그에 걸쳐" 또는 "상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상방에 있거나 비스듬히 상방에 있음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단순히 제1 특징의 수평 위치가 제2 특징의 수평 위치보다 높음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에", "하방에" 및 "하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에 또는 비스듬히 아래에 있다는 것일 나타낼 있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위치가 제2 특징의 수평 위치보다 낮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일 예", "구체적인 예" 또는 "일부 예"와 같은 참조 용어의 설명은 실시예 또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용어의 개략적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에 관한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적합한 방식으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와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의 특징은 서로 모순되지 않으면서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합 및 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변화들, 수정들, 대체들, 및 변형들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규정된 것과 같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1)

  1. 릴레이이며,
    하우징-상기 하우징 내에 캐비티가 형성됨-;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접점-상기 복수의 고정 접점 각각은 상기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됨-;
    구동 샤프트-상기 구동 샤프트는 상기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 단부에는 상기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지지 단편이 제공됨-;
    이동 접점 조립체-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는 슬라이딩 구조체를 통해 상기 지지 단편과 정합되어,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는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먼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의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지지 단편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는 이동 방향에서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의 측면 상에 배치됨-; 및
    탄성 부재-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와 상기 지지 단편 사이에 배치됨-을 포함하는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는,
    슬라이딩 슬롯-상기 지지 단편 및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 중 하나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슬롯의 2개의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 정지 벽 및 제2 정지 벽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슬롯은 상기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연장됨-; 및
    슬라이딩 블록-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지지 단편 및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 중 다른 하나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구동 샤프트의 상기 축방향에서 상기 제1 정지 벽과 상기 제2 정지 벽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정합됨-을 포함하는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슬롯은 상기 지지 단편 상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하에서 상기 제1 정지 벽에 접촉할 때, 상기 이동 접점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릴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단편에는 2개의 지지 아암이 제공되고, 상기 2개의 지지 아암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지지 아암에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는 상기 2개의 지지 아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에는 상기 2개의 지지 아암과 대면하는 2개의 측면에 위치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제공되는 릴레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제1 자기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는 이동 접점 및 제2 자기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기 요크는 상기 고정 접점에 대면하는 상기 이동 접점의 측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자기 요크는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기 이동 접점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릴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요크는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이동 접점은 상기 제2 자기 요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자기 요크는 상기 슬라이딩 구조체를 통해 상기 지지 단편과 정합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자기 요크와 상기 지지 단편 사이에서 정지되는 릴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단편은 상기 제1 자기 요크를 향해 개방되는 슬라이딩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딩 캐비티와 이동가능하게 정합되며,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상기 제1 자기 요크의 단부는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상기 고정 접점의 단부 밖으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구동 샤프트의 상기 축방향에서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상기 제1 자기 요크의 상기 단부와 상기 이동 접점 조립체와 대면하는 상기 고정 접점의 상기 단부 사이의 거리는 L이고, 상기 L은 0≤L≤1 mm을 충족하는 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기 요크는 바닥 플레이트 단편 및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은 상기 바닥 플레이트 단편의 2개의 측면 상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편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 단편 사이에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접점은 상기 장착 홈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접점과 대면하는 상기 이동 접점의 상기 단부는 상기 제1 자기 요크와 대면하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 단편의 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있는 릴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접점에는 정합 돌출부 및 정합 홈 중 하나가 제공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 단편에는 상기 정합 돌출부 및 상기 정합 홈 중 다른 하나가 제공되며, 상기 정합 돌출부는 상기 정합 홈과 억지 끼워맞춤되는 릴레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는,
    샤프트 본체 단편; 및
    연 부재-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지지 단편과 상기 샤프트 본체 단편 사이에 연결되어 있음-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단편 상에 장착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장착 관통 구멍과 정합되며, 상기 탄성 부재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 본체 단편으로부터 먼 상기 절연 부재의 단부 상에 위치결정 부재가 배치되는 릴레이.
KR1020227041154A 2020-05-29 2021-03-30 릴레이 KR202300030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964230.0 2020-05-29
CN202020964230.0U CN211980527U (zh) 2020-05-29 2020-05-29 继电器
PCT/CN2021/083922 WO2021238388A1 (zh) 2020-05-29 2021-03-30 继电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027A true KR20230003027A (ko) 2023-01-05

Family

ID=7337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154A KR20230003027A (ko) 2020-05-29 2021-03-30 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97386A1 (ko)
EP (1) EP4160647A4 (ko)
JP (1) JP7480359B2 (ko)
KR (1) KR20230003027A (ko)
CN (1) CN211980527U (ko)
WO (1) WO2021238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980527U (zh) * 2020-05-29 2020-11-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继电器
CN218299710U (zh) * 2022-09-08 2023-01-13 泰科电子科技(苏州工业园区)有限公司 接触器
CN218385041U (zh) * 2022-10-12 2023-01-2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推动杆组件及继电器
CN218996617U (zh) * 2022-10-12 2023-05-09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继电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2982A (ja) 2010-07-16 2012-02-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接点装置
DE102012201966A1 (de) 2012-02-09 2013-08-14 Tyco Electronics Amp Gmbh Schaltkontaktbaugruppe mit Schaltkontaktbrücke und Kontaktbrückenhalter
DE102016011341A1 (de) * 2016-09-21 2017-03-30 Daimler Ag Hochvoltschaltschütz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Überführen einer Hochvoltschaltschützanordnung zwischen einem geöffneten und einem geschlossenen Zustand
JP6919504B2 (ja) * 2017-10-31 2021-08-1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102324514B1 (ko) * 2018-08-31 2021-11-10 엘에스일렉트릭 (주) 직류 릴레이
CN210006676U (zh) * 2019-07-09 2020-01-31 东莞市中汇瑞德电子股份有限公司 高压直流继电器的推动结构
CN110349811A (zh) * 2019-08-08 2019-10-18 东莞市中汇瑞德电子股份有限公司 高容量继电器的抗短路结构
CN211980527U (zh) * 2020-05-29 2020-11-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继电器
CN212810187U (zh) * 2020-06-09 2021-03-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继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60647A1 (en) 2023-04-05
JP7480359B2 (ja) 2024-05-09
JP2023527849A (ja) 2023-06-30
EP4160647A4 (en) 2023-11-08
US20230197386A1 (en) 2023-06-22
WO2021238388A1 (zh) 2021-12-02
CN211980527U (zh)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3027A (ko) 릴레이
KR102610601B1 (ko) 고용량 릴레이의 단락 방지 구조
JP7119213B2 (ja) 直流リレー
JP7223119B2 (ja) 直流リレー
JP7464699B2 (ja) アーク経路形成部及びそれを含む直流リレー
JP7076633B2 (ja) 直流リレー
CN210142625U (zh) 高容量继电器的抗短路结构
KR20200096195A (ko) 직류 릴레이
CN112967906A (zh) 一种可动式抗短路直流继电器
US20240029985A1 (en) Relay
KR102537549B1 (ko) 직류 릴레이
KR102606007B1 (ko) 직류 릴레이
CN107507739B (zh) 一种密封式触点组件
WO2021237878A1 (zh) 一种具备高可靠性和高抗振性能的继电器
KR102097642B1 (ko) 직류 릴레이
JP2011210576A (ja) 接点開閉器
CN220963159U (zh) 一种辅助触头组件及带辅助触点的高压直流继电器
CN214542051U (zh) 继电器
JP5610045B2 (ja) 接点開閉器
CN221125822U (zh) 一种高压直流继电器用抗短路结构
CN213936054U (zh) 具有高抗短路能力的直流接触器
CN218385044U (zh) 一种继电器
CN219321255U (zh) 一种高压直流继电器
CN220796595U (zh) 电磁继电器及电力设备
CN220691929U (zh) 高压直流继电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