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10A -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 - Google Patents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10A
KR20230002110A KR1020220080052A KR20220080052A KR20230002110A KR 20230002110 A KR20230002110 A KR 20230002110A KR 1020220080052 A KR1020220080052 A KR 1020220080052A KR 20220080052 A KR20220080052 A KR 20220080052A KR 20230002110 A KR20230002110 A KR 20230002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composition
area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구
김지원
안병훈
이경원
이원재
정대연
조재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팜한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팜한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3000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0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from carboxylic acids or from esters, anhydrides, or halides thereof by reaction with ammonia or am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46N-acyl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1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by formation of carboxamide groups together with reactions not involving the carbox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2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7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7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5/7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증류하고, 상기 증류된 제1 조성물을 이용하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이로 제조된 N-아실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Method of manufactuing N-acyl derivative, composition and medical or agriculture supplies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2021년 06월 29일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084509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에 관한 것이다.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 (Methyl N-(2,6-dimethylphenyl)-D-alaninate)의 N-아실(N-acyl) 유도체는 작물보호제중 살균제로써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N-아실 유도체의 제조 방법은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와 같은 알킬 D-알라니네이트를 거쳐서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다.
다만, 이러한 합성법으로는 최종 N-아실 유도체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는 불순물이 생성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 불순물은 액체 성상을 지닌 최종물의 물성때문에 결정화 또는 재결정과 같은 일반적인 정제방법으로는 제거가 어렵다.
그러므로, 해당 유전독성 불순물의 함량을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고안하는 것은 중요한 해결과제이다.
본 명세서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이로 제조된 N-아실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 상기 증류된 제1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5]
Figure pat00005
[화학식 6]
Figure pat00006
[화학식 7]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1 내지 7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메틸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며,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1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8
[화학식 2]
Figure pat00009
[화학식 3]
Figure pat00010
[화학식 4]
Figure pat00011
[화학식 5]
Figure pat00012
[화학식 6]
Figure pat00013
[화학식 7]
Figure pat00014
[화학식 8]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1 내지 7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메틸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며,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7]
Figure pat00016
[화학식 10]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7 및 10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술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의 제조방법은 유전독성을 유발하는 불순물의 함유량이 낮은 N-아실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의 제조방법은 고순도의 N-아실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 상기 증류된 제1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 상기 증류된 제1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 및 상기 증류된 제2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18
상기 화학식 1 내지 7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메틸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며,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이러한 합성법 자체로는 최종 N-아실 유도체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는 하기 화학식 10과 같은 불순물이 생성될 수 밖에 없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10의 물질은 유전독성(genotoxicity) 및 염색체이상유발성(clastogenicity)를 지녀 유전자를 이루는 DNA의 변이에 원인이 되며, 이는 유전적 장애의 발현으로써 후세대에 재해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제과정을 거쳐 제거하거나 매우 낮은 수치로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과 화학식 9의 화합물은 대량공정에서 증류하기 어려운 295℃ 이상인 고온의 끓는점을 가지기 ?문에 최종 조성물 상태에서 증류로 분리정제가 어렵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화학식 7의 합성 전(前) 단계에서 상기 화합물 10을 생성하게 하는 전구체를 증류로 제거하여 상기 화합물 10의 생성확률을 낮추어 보다 쉽게 순도가 높은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이는 제1 조성물의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제2 조성물의 화학식 6의 화합물은 대량공정에서도 증류가 가능한 수준의 끓는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반응식과 같이, 화학식 1의 불순물인 화학식 8로부터 화학식 10이 생성된다.
[반응식]
Figure pat00020
상기 반응식에서, R1 내지 R5의 정의는 화학식 1 내지 7에서의 정의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학식 1을 반응에 참여시키기 전에 증류를 통해 상기 화학식 8의 일부 제거하여 불순물이 생성될 확률을 낮추어, 최종 N-아실 유도체를 합성했을 때 분리하기 힘든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함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을 함께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증류하여, 제1 조성물로부터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제거하여 제1 조성물 내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을 감소시켰다.
[화학식 8]
Figure pat00021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에서 증류는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회 이상, 2회 이상, 또는 3회 이상으로 수회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의 증류를 통해, 상기 제1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 0.04 면적% 이하 또는 0.03 면적%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으므로 하한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는, 40 torr 내지 60torr의 압력과, 70℃ 내지 100℃의 온도의 온도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증류한다. 이 경우 다음 증류 단계에서 제거 대상인 화학식 9의 생성량이 감소되므로 화학식 5의 함량이 더욱 높은 제2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조성물의 증류조건이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는 고온이거나 너무 낮은 진공 압력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대량생산 공정에서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학식 5를 반응에 참여시키기 전에 증류를 통해 상기 화학식 9의 일부 제거하여 불순물이 생성될 확률을 낮추어, 최종물을 합성했을 때 분리하기 힘든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함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을 함께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증류하여, 제2 조성물로부터 하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제거하여 제2 조성물 내 화학식 9의 화합물의 함량을 감소시켰다.
[화학식 9]
Figure pat00022
상기 화학식 9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에서 증류는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회 이상, 2회 이상, 또는 3회 이상으로 수회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성물의 증류를 통해, 상기 제2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 0.04 면적% 이하 또는 0.03 면적%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으므로 하한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는, 2 torr 내지 20torr의 압력과, 130℃ 내지 200℃의 온도의 온도에서 상기 제2 조성물을 증류한다. 이 경우 다음 증류 단계에서 제거 대상인 화학식 10의 생성량이 감소되므로 화학식 7의 함량이 더욱 높은 제3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함량은 1.0 당량 내지 2.0 당량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의 함량은 2.0 당량 내지 10.0 당량이다. 이 경우, 상기 화학식 4의 사용 당량이 적절하여 반응속도는 빨라지면서 부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함량은 1.0 당량 내지 2.0 당량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3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이다. 전체 반응스킴 중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5의 화합물을 각각 반응참여 전에 증류를 통해 불순물인 화학식 8과 9의 화합물을 제거하여 최종합성된 최종물에서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함량은 0.05 면적% 이하, 0.04 면적% 이하, 0.03 면적% 이하 또는 0.02 면적% 이하이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10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1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1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2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24
[화학식 2]
Figure pat00025
[화학식 3]
Figure pat00026
[화학식 4]
Figure pat00027
[화학식 5]
Figure pat00028
[화학식 6]
Figure pat00029
[화학식 7]
Figure pat00030
[화학식 8]
Figure pat00031
[화학식 9]
Figure pat00032
상기 화학식 1 내지 7 및 9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메틸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며,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7]
Figure pat00033
[화학식 10]
Figure pat00034
상기 화학식 7 및 10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여기서, N-아실 유도체의 설명은 앞서 설명한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의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아릴기가 단환식 아릴기인 경우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6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단환식 아릴기로는 페닐기, 비페닐기, 터페닐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릴기가 다환식 아릴기인 경우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10 내지 24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다환식 아릴기로는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릴기, 파이레닐기, 페릴레닐기, 크라이세닐기, 플루오레닐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레닐기는 치환될 수 있으며, 인접한 치환기들이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R1은 메틸기; 또는 메틸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R1은 메틸기; 또는
Figure pat00035
이며,
Figure pat00036
는 결합위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R2 및 R3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R2 및 R3는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을 제공한다. 이때, 조성물 내 N-아실 유도체를 그대로 포함하는 상태뿐 아니라, 각각의 용도에 맞게 변경된, 즉 필수적인 화학반응을 통해 변경된 유도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품은 제초제, 작물보호제, 살균제 등 다양한 농업용 화학물품일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메틸 L-락테이트(Methyl L-lactate) 100g(TCI 제조, 순도 98%up(GC), 0.96mol)를 포함하는 용액을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내부 압력을 60 torr로 조절하고, 온도를 70℃로 승온하였다.
내부 압력을 다시 60 torr에서 40 torr로 낮추면서 온도는 70℃에서 100℃로 승온 조절하여 메틸 L-락테이트를 증류했다. 그 결과, 증류가 완료된 용액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L-젖산(L-Lactic acid)이 0.05 면적%로 포함되도록 증류하여 수율 95%의 메틸 L-락테이트를 수득했다.
상온에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400 mL가 들어있는 반응기에 증류된 메틸-L-락테이트(104.11g, 1.0 mol) 및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154.60mL, 111.31g, 1.1 mol)을 첨가하고, 내부 온도를 0℃로 냉각하였다. 내부온도를 0℃ 내지 5℃로 유지하면서 p-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p-Toluenesulfonyl chloride) (209.70g, 1.1 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첨가가 완료된 후 내부 온도를 0℃ 내지 5℃로 유지하면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 내에 잔류한 미반응 메틸-L-락테이트가 1.0 면적%(GC분석 결과)이하임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 내부 온도를 15℃ 내지 20℃로 유지하면서 1N 염산(HCl) 수용액 400mL를 첨가하여 교반한 뒤, 층분리하여 얻은 유기층에 1%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수용액 400 mL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그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농축하여 메틸 (s)-2-(p-톨루엔설포닐록시)프로파노에이트(Methyl (s)-2-(p-Toluenesulfonyloxy)propanoate)를 순도 98.40 GC면적%, 수율 79%(204.05g, 0.79mol)로 얻었다.
제조된 메틸 (s)-2-(p-톨루엔설포닐록시)프로파노에이트 (20.00 g, 77.43 mmol)에 2,6-디메틸아닐린(2,6-Dimethylaniline)(56.30 g, 464.58 mmol)을 첨가하고, 내부 온도를 120℃~130℃로 승온하여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 내에 잔류한 미반응 메틸 (s)-2-(p-톨루엔설포닐록시)프로파노에이트가 1.0면적%(GC 분석 결과) 이하임을 확인 후 내부 압력을 20 torr로 서서히 낮추면서 잔류한 2,6-디메틸아닐린을 증류로 분리하여 폐기했다. 이후로 내부 압력을 20torr에서 2 torr로 낮추면서 온도는 130℃에서 200℃로 승온 조절하여 불순물을 증류로 분리하여 Crude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를 순도 95.22 GC면적%, 수율 85%(13.64g, 65.82 mmol)로 얻었다.
증류하여 수득한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를 그대로 톨루엔(100 mL)에 희석 후 1N HCl 수용액(20 mL)으로 1회 수세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증류수(30 mL)로 1회 수세한 다음에 감압농축하여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를 순도 98.52 GC면적%, 수율 81%(13.00 g, 62.72 mmol)로 얻었다.
여기에 NaHCO3(6.85 g, 81.54 mmol)과 톨루엔(52 mL)을 첨가한 후 -5℃ ~ 0℃로 냉각한 다음에 메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8.85 g, 81.54 mmol)를 적가했다. 적가 완료 후 내부온도 10℃ ~ 15℃를 유지하도록 3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 내에 잔류한 미반응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가 1.0면적%(GC 분석 결과) 이하를 확인 후 H2O(52 mL)를 첨가한 뒤에, 1N NaOH를 적가하여 pH 7~8을 확인 후 층분리하여, 수층은 폐기했다. 분리된 유기층에 H2O(26 mL)를 첨가하고, 교반 후 층분리하여, 수층을 다시 폐기했다. 분리된 유기층을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감압농축하여 메틸 N-(2,6-디메틸페닐)-N-(메톡시아세틸)-D-알라니네이트를 순도 98.82 GC면적%, 수율 84%(14.72 g, 52.68 mmol)로 얻었다. 이때, 수득된 메틸 N-(2,6-디메틸페닐)-N-(메톡시아세틸)-D-알라니네이트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유전독성 물질은 0.02면적%였다.
[실시예 2]
메틸 L-락테이트 100g(TCI 제조, 순도 98%up(GC), 0.96mol)를 포함하는 용액을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내부 압력을 60 torr로 조절하고, 온도를 70℃로 승온하였다.
내부 압력을 다시 60torr에서 40 torr로 낮추면서 온도는 70℃에서 100℃로 승온 조절하여 메틸 L-락테이트를 증류했다. 그 결과, 증류가 완료된 용액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L-젖산이 0.05 면적%로 포함되도록 증류로 얻어진 메틸 L-락테이트(104.11 g, 1.0 mol)를 상온에서 디클로로메탄 400 mL가 들어있는 반응기에 투입했다.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154.60mL, 111.31g, 1.1 mol)을 더 첨가하고, 내부 온도를 0℃로 냉각하였다. 내부온도를 0℃ 내지 5℃로 유지하면서 p-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 (209.70g, 1.1 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첨가가 완료된 후 내부 온도를 0℃ 내지 5℃로 유지하면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 내에 잔류한 미반응 메틸-L-락테이트가 1.0 면적%(GC분석 결과)이하임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 내부 온도를 15℃ 내지 20℃로 유지하면서 1N 염산(HCl) 수용액 400mL를 첨가하여 교반한 뒤, 층분리하여 얻은 유기층에 1%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수용액 400 mL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그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농축하여 메틸 (s)-2-(p-톨루엔설포닐록시)프로파노에이트를 순도 98.36 GC면적%, 수율 79%(204.44g, 0.79mol)로 얻었다.
제조된 메틸 (s)-2-(p-톨루엔설포닐록시)프로파노에이트(20.00 g, 77.43 mmol)에 2,6-디메틸아닐린(56.30 g, 464.58 mmol)을 첨가하고, 내부 온도를 120℃ ~ 130℃로 승온하여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 내에 잔류한 미반응 메틸 (s)-2-(p-톨루엔설포닐록시)프로파노에이트가 1.0면적%(GC 분석 결과) 이하를 확인 후 내부온도를 상온(RT, Room Temperature)으로 냉각하고, 톨루엔(100 mL)을 첨가한 뒤에 다시 0℃로 냉각하여 1시간 동안 교반 후 여과했다. 이 여액을 1N HCl 수용액(20 mL)로 2회 수세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증류수(30 mL)로 1회 수세한 다음에 감압농축하여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를 순도 97.42 GC면적%, 수율 63%(10.11 g, 48.78 mmol)로 얻었다.
여기에 NaHCO3(5.33 g, 63.41 mmol)과 톨루엔(40 mL)을 첨가 후 -5℃ ~ 0℃로 냉각한 다음에 메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6.88 g, 63.41 mmol)를 적가했다. 적가 완료 후 내부온도 10℃ ~ 15℃를 유지하도록 3시간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 내에 잔류한 미반응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가 1.0면적%(GC 분석 결과) 이하를 확인 후 H2O(40 mL)를 첨가한 뒤에, 1N NaOH를 적가하여 pH 7~8을 확인 후 층분리하여, 수층을 폐기했다. 분리된 유기층에 H2O(20 mL)를 첨가하고, 교반 후 층분리 하여, 수층을 폐기했다. 분리된 유기층을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감압농축하여 메틸 N-(2,6-디메틸페닐)-N-(메톡시아세틸)-D-알라니네이트를 순도 97.62 GC면적%, 수율 84%(11.45 g, 40.98 mmol)로 얻었다. 이때, 수득된 메틸 N-(2,6-디메틸페닐)-N-(메톡시아세틸)-D-알라니네이트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유전독성 물질은 0.11면적%였다.
[비교예 1]
증류를 거치지 않아 전체 GC 면적 중 L-젖산을 0.20 면적%로 포함하고 있는 메틸 L-락테이트(104.11g, 1.0 mol)를 상온에서 디클로로메탄 400mL가 들어있는 반응기에 투입 후 트리에틸아민(154 mL, 111.31 g, 1.1 mol)을 첨가하고, 내부 온도를 0℃로 냉각하였다. 내부온도를 0℃ 내지 5℃로 유지하면서 p-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 (209.70g, 1.1 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첨가가 완료된 후 내부 온도를 0℃ 내지 5℃로 유지하면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 내에 잔류한 미반응 메틸-L-락테이트가 1.0 면적%(GC분석 결과)이하임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 내부 온도를 15℃ 내지 20℃로 유지하면서 1N 염산(HCl) 수용액 400mL를 첨가하여 교반한 뒤, 층분리하여 얻은 유기층에 1%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수용액 400 mL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그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감압농축하여 메틸 (s)-2-(p-톨루엔설포닐록시)프로파노에이트를 순도 98.23 GC면적%, 수율 79%(204.38g, 0.79mol)로 얻었다.
제조된 메틸 (s)-2-(p-톨루엔설포닐록시)프로파노에이트 (20.00 g, 77.43 mmol)에 2,6-디메틸아닐린 (56.30 g, 464.58 mmol)를 첨가하고, 내부 온도를 120℃ ~ 130℃로 승온하여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 내에 잔류한 미반응 메틸 (s)-2-(p-톨루엔설포닐록시)프로파노에이트가 1.0면적%(GC 분석 결과) 이하를 확인 후 내부온도를 상온(RT, Room Temperature)으로 냉각하고, 톨루엔(100 mL)을 첨가한 뒤에 다시 0℃로 냉각하여 1시간 동안 교반 후 여과했다. 이 여액을 1N HCl 수용액(20 mL)로 2회 수세하여 얻어진 유기층을 증류수(30 mL)로 1회 수세한 다음에 감압농축하여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를 순도 97.40 GC면적%, 수율 64%(10.27 g, 49.56 mmol)로 얻었다.
여기에 NaHCO3(5.41 g, 64.43 mmol)과 톨루엔 (40 mL)을 첨가 후 -5℃ ~ 0℃로 냉각한 다음에 메톡시아세틸 클로라이드(6.99 g, 64.43 mmol)를 적가했다. 적가 완료 후 내부온도 10℃ ~ 15℃를 유지하도록 3시간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 내에 잔류한 미반응 메틸 N-(2,6-디메틸페닐)-D-알라니네이트가 1.0면적%(GC 분석 결과) 이하를 확인 후 H2O(40 mL)를 첨가한 뒤에, 1N NaOH를 적가하여 pH 7~8을 확인 후 층분리하여, 수층을 폐기했다. 분리된 유기층에 H2O(20 mL)를 첨가하고, 교반 후 층분리하여, 수층을 폐기했다. 분리된 유기층을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감압농축하여 메틸 N-(2,6-디메틸페닐)-N-(메톡시아세틸)-D-알라니네이트를 순도 97.57 GC면적%, 수율 83%(11.49 g, 41.13 mmol)로 얻었다. 이때, 수득된 메틸 N-(2,6-디메틸페닐)-N-(메톡시아세틸)-D-알라니네이트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유전독성 물질은 0.19 면적%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합성의 각단계에서 시료를 채취했고, GC / FID(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분석은 Shimadzu, GC-2030을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했다. 이때, 각 순도 및 함량은 GC/FID로 전체 GC area를 기준으로 GC area%를 의미한다.
Column: [HP-5 ] (0.25 mm ID × 30 m L, 0.25 μm d.f. capillary)
Oven temperature
Initial Value & Hold Time: 50℃ 5min
Program Rate: 10℃/min
Final Value & Hold Time: 320℃, 18 min
Injector temperature: 340℃
Detector temperature: 340℃
Gas Flow rate: Column(N2): 1 mL/min
Split ratio: 1/20
Injection volume: 1.0 uL
화학식 1의
L-lactic acid 함유량
화학식 5
증류여부
화학식 7
순도(GC면적%)
화학식 10의
함량(면적%)
비교예 1 0.20 면적%
(증류 X)
증류 X 97.57 0.19
실시예 1 0.05 면적%
(증류 O)
증류 O 98.82 0.02
실시예 2 0.05 면적%
(증류 O)
증류 X 97.62 0.11
상기 표 1을 통해, 증류를 한번도 수행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최종 화합물의 순도도 낮고, 화학식 10의 불순물의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만 증류한 실시예 2와 비교하더라도, 화학식 1 및 5의 화합물에 대해 모두 증류를 수행한 실시예 1이 더 높은 순도와 화학식 10의 불순물의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
    상기 증류된 제1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37

    [화학식 2]
    Figure pat00038

    [화학식 3]
    Figure pat00039

    [화학식 4]
    Figure pat00040

    [화학식 5]
    Figure pat00041

    [화학식 6]
    Figure pat00042

    [화학식 7]
    Figure pat00043

    상기 화학식 1 내지 7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메틸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며,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증류된 제2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인 것인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3.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1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44

    [화학식 2]
    Figure pat00045

    [화학식 3]
    Figure pat00046

    [화학식 4]
    Figure pat00047

    [화학식 5]
    Figure pat00048

    [화학식 6]
    Figure pat00049

    [화학식 7]
    Figure pat00050

    [화학식 8]
    Figure pat00051

    상기 화학식 1 내지 7에서,
    R1은 메틸기 또는 메틸기로 치환된 아릴기이며,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2 조성물에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인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9]
    Figure pat00052

    상기 화학식 9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는 메틸기이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는, 40 torr 내지 60 torr의 압력과,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것인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는, 2 torr 내지 20 torr의 압력과, 13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상기 조성물을 증류하는 것인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인 것인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8]
    Figure pat00053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성물을 증류하는 단계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인 것인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9]
    Figure pat00054

    상기 화학식 9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는 메틸기이다.
  9.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합성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제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3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것인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0]
    Figure pat00055

    상기 화학식 10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10.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의 전체 GC 면적을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함량이 0.05 면적% 이하인 조성물:
    [화학식 7]
    Figure pat00056

    [화학식 10]
    Figure pat00057

    상기 화학식 7 및 10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4 및 R5는 메틸기이다.
  11. 청구항 10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12. 청구항 10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업용품.
KR1020220080052A 2021-06-29 2022-06-29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 KR202300021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84509 2021-06-29
KR1020210084509 2021-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10A true KR20230002110A (ko) 2023-01-05

Family

ID=8469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052A KR20230002110A (ko) 2021-06-29 2022-06-29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02110A (ko)
CN (1) CN116829531A (ko)
WO (1) WO20232775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3491A (en) * 1994-07-11 1998-03-03 Novartis Corporation Fung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fungus infestation
WO1998026654A2 (en) * 1996-12-19 1998-06-25 Isagro S.P.A. Fungicidal compositions based on (n-phenylacetyl-n-2,6-xylyl)methyl alaninate
ITMI991330A1 (it) * 1999-06-15 2000-12-15 Isagro Spa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fungicidi otticamente attivi costituiti da n-acil derivati del metil n-(2,6-dimetilfenil)-d-alaninato
KR101810384B1 (ko) * 2013-02-14 2017-12-19 푸락 바이오켐 비.브이. 메틸 락테이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587A1 (ko) 2023-01-05
CN116829531A (zh) 2023-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339B1 (ko) 아폽토시스-유도제의 제조 방법
CN1129941A (zh) 取代的氮杂二氢亚吲哚基化合物及其制备方法
WO1997008153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derives de quinazolin-4-one
US10544175B2 (en) Crystalline fosaprepitant dicyclohexylamine salt and its preparation
NZ274848A (en) 2-n-amidinocarbamoyl-3-aminopiperazine derivatives substituted by a phenyl substituted piperazinyl moiety
JP2022526893A (ja) D-メチロシ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JPS61243052A (ja) 医薬組成物
KR20180043360A (ko) 자일렌 결합된 사이클램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230002110A (ko) N-아실 유도체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
CN115260153A (zh) 一种6取代手性纯二氟哌啶喹唑啉衍生物及其制备方法
EP2522673B1 (en) Method for producing n-substituted-2-amino-4-(hydroxymethylphosphinyl)-2-butenoic acid
KR20230001684A (ko) 알킬-d-알라니네이트의 제조방법, 알킬-d-알라니네이트, 알킬-d-알라니네이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농업용품
TW200846006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high-purity 4a, 5, 9, 10, 11, 12,-hexahydro-6h-benzofuro [3a, 3, 2-ef] [2] benzazepine, and the derivatives thereof
JPS60208963A (ja) ジアミノピリ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EP3679030B1 (en) A process for preparation of triaminopyrimidine compound and intermediates thereof
KR20220035678A (ko)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20220033267A (ko) 알킬-d-알라니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1057304B1 (ko) 키랄 촉매를 이용한 아스파르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3161999B2 (ja) 2,4−ジオキソ−3−アザビシクロ[3.1.0]ヘキサンの製法
JPS6277370A (ja) 含フツ素ピラゾ−ル誘導体
Ricke Synthesis of Adamantyl H-Phosphinate Esters
JPS5838261A (ja) 新規な1,3−二置換イミダゾ−ル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130396B2 (ja) 光学異性体分離法
KR101677599B1 (ko) 신규한 피라진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905931B2 (ja) 光学活性2―シクロペンテノン類の製造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