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78A -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78A
KR20230001378A KR1020210084166A KR20210084166A KR20230001378A KR 20230001378 A KR20230001378 A KR 20230001378A KR 1020210084166 A KR1020210084166 A KR 1020210084166A KR 20210084166 A KR20210084166 A KR 20210084166A KR 20230001378 A KR20230001378 A KR 2023000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cancer
apoptosis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834B1 (ko
Inventor
최대옥
김광일
김항건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83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규한 화합물이 카스파제를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대장암 및 피부암과 같은 암질환을 예방, 치료 및 개선할 수 있는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NOVEL COMPOUND FOR INDUCING APOPTOSIS AND COMPOSITION FOR ANTICANC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가 죽는 과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이 중 외부적 문제에 의해 손상된 세포가 그 외부의 요인으로 인하여 죽게 되는 경우를 괴사(Necrosis)라 부른다. 이에 반해 세포가 감염되거나 손상을 받은 경우나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종종 세포 스스로에 의해 조절되는 세포의 자살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세포자멸사(Apoptosis)라고 부른다. 또 세포가 스스로를 먹다가 죽는 경우를 자가포식(Autophagy)이라고 부른다. 이 과정 동안에는 DNA가 잘리며, 세포 내 소기관들과 세포질 성분이 조각나게 된다. 이때 나오는 단백질이나 핵산 조각들은 다른 세포에게 흡수되어 재활용된다. 다른 말로는 Programmed Cell Death라고도 하는데, 세포가 죽도록 되어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자살의 신호)을 통해서 세포가 자살을 하는 것이다.
예정된 세포자멸사(Apoptosis)는 생물체들의 발생과 분화에서 일어나는 필수적인 요소다. 예를 들어 자궁 속 태아는 손이 주걱 모양으로 생성된 뒤 손가락 사이 세포가 죽으면서 손가락의 형태를 갖추게 되며, 다른 예시로는 올챙이가 개구리가 되는 과정에서 꼬리가 없어지는 경우를 들을 수 있다. 즉, 이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물에서 구조적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내포한다. 그리고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일으키는 부위에 이상이 생기거나, 세포가 세포 자살을 시키는 물질에 면역을 가지고 있어 자살이 일어나지 않으면 암이 생길 수도 있다.
세포자멸사는 type-I(아포토시스; apoptosis)과 type-Ⅱ(자가탐식; autophagic cell death)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type-I 자기사멸 현상은 염색사(Chromatin)의 응축(Condensation)과 DNA의 단편 형성 그리고 작은 세포 조각(Apoptotic body)들이 생성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세포자멸사에 의한 과정은 주변 세포의 탐식 작용(phagocytosis)으로 염증을 유발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 DNA에 변이가 일어나면 p53이나 pRb 같은 단백질이 DNA 교정을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도 통하지 않을 때 쓰는 최후의 수단이 세포 자살이다. 즉, p53이나 pRb 같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DNA에 문제가 생기거나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엔 세포에 문제가 있어도 자살하지 않고 계속 자라게 되며, 결국 암세포로 변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Intrinsic Pathway는 세포가 스스로 DNA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다고 느끼는 경우 벌어진다. 일단 미토콘드리아 막이 쪼개지면서 막에 붙어있던 자폭 단백질들이 세포질 속으로 노출되고, 자폭 단백질 중 하나인 사이토크롬 C(Cytochrome C)은 APAF-1과 결합하여 아팝토좀(Apoptosome)을 형성하고, 프로카스파제(Pro-caspase)-9의 말단에 결합해 카스파제-9를 활성화시키며, 연이어 세포자멸사(Apoptosis)의 실행에 관여하는 카스파제-3과 카스파제-7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Extrinsic Pathway에서 자살 신호 수용체(Death receptor)는 세포표면에 존재하는데, 세포에 죽음을 유도하는 물질들을 인지하고 수용하여 세포 내로 신호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예로 FAS receptor는 바깥쪽에는 시스테인이 많고, 세포 안쪽에 death domain을 가지고 있는 막단백질이다. 이러한 수용체에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FAS ligand 등이 결합될 경우 수용체의 구조가 변화하면서 death domain이 활성화하게 되고 이는 비활성 상태인 Pro-caspase를 활성화하여 카스파제를 만들어내게 된다. 카스파제-3과 카스파제-7이 활성화되면 세포자멸사(Apoptosis)로 세포 죽음을 유도하는 물질에 반응하여 세포를 분해하기 시작한다.
암세포는 활발하게 분화하기 때문에 세포사멸에 의한 영향이 정상세포보다 훨씬 크게 되므로 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암세포를 죽이고자 하는 시도가 항암제 개발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카스파제 효소를 활성화하는 물질은 항암제로의 유용성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자멸사의 유도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카스파제 효소를 활성화하여 세포사멸 기능을 촉진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은 신규한 다이아릴우레아 유도체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상기 화합물은 약물이 가져야할 분자량과 유동성(flexibility)을 적절히 가진 구조로서, 카스파제 효소를 활성화하여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Susan Elmore; Apoptosis: A Review of Programmed Cell Death ToxicolPathol; 35(4): 495-516 (2007)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세포자멸사 유도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카스파제(capase) 효소를 활성화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화합물은 카스파제 효소를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암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물 및 식품에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또는 이의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및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저급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저급 알킬 및 1 내지 3개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저급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R6은 수소, 수산기 및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저급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할로겐'은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및 요오드를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염은 인체에 독성이 낮고 모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리화학적 성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염, 유기산염 또는 금속염일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산염의 예로는 염산염, 인산염, 황산염 또는 이황산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유기산염의 예로는 말산염, 말레인산염, 구연산염, 푸마르산염, 베실산염, 캠실산염 또는 에디실염일 수 있고, 바람직한 금속염의 예로는 칼슘염,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스트론튬염 또는 칼륨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은 피페라진 유도체와 여러가지 화합물들을 커플링하여 합성할 수 있는데, 이의 예로는 하기 화합물 2 내지 13이다: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3;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4;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5:
[화학식 5]
Figure pat00005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6:
[화학식 6]
Figure pat00006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 7:
[화학식 7]
Figure pat00007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 8:
[화학식 8]
Figure pat00008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 9:
[화학식 9]
Figure pat00009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0:
[화학식 10]
Figure pat00010
하기 화학식 1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1:
[화학식 11]
Figure pat00011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 12:
[화학식 12]
Figure pat00012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3:
[화학식 13]
Figure pat00013
한편,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 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 1은 상기 화합물 2 내지 1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1종 이상의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제2의 항암제 또는 항암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의 항암제 또는 항암 보조제로는 인터페론(interferon), 인터루킨-2(interleukin-2), 파클리탁셀(paclitaxel),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 독소루비신(doxorrubicin), 에토포시드(etoposide), 이리노테칸히드로클로라이드(irinotecan hydrochloride), 시스플라틴(cisplatin), 암사크린(amsacrine), 사이토신아라비노시드(cytosine arabinoside), 플루오로우라실(fluoro uracil) 및 탁솔(taxol)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상기 히드록시메톡시칼콘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암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의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카스파제를 활성화시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세포자멸사의 유도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카스파제 효소를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암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카스파제(caspase)는 시스테인 아스파테이트 프로테아제(cystein aspartate protease)에서 유래한 것으로 세포자멸사의 집행자 성격을 가진 단백질이다.  세포는 내외부적 자극을 받으면 세포자멸사 신호를 보내서 카스파제-8과 카스파제-9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비활성 상태인 프로카스파제-3을 카스파제-3로 활성화시켜 PARP를 분절하고 최종적으로 세포자멸사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암세포에서 세포자멸사 유도와 관련하여 세포자멸사 촉진 단백질들과 세포자멸사 억제 단백질들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들은 미토콘드리아 내외부에 존재하며 여러 세포자멸사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인자들의 자극으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Bid는 세포질에 비활성 상태로 존재하다가 카스파제-8에 의해 truncated Bid(tBid)로 분절되며 미토콘드리아의 막 투과성을 높여 Bcl-2 family 단백질들의 활성화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Bcl-2 및 Bcl-xL의 단백질은 세포자멸사 유도 시 발현이 감소하고, Bax 및 Bad의 단백질은 발현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분자들의 발현은 미토콘드리아 막의 투과성을 높여 cytochrome c를 방출하며 이로 인해 카스파제-9이 활성화되면서 카스파제-3를 활성화시켜 최종적으로 PARP를 분절할 수 있다.
상기 암질환은 전립선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간암, 직장암, 유방암, 대장암, 피부암, 폐암, 난소암, 흑색종, 췌장암, 다도암 및 신경아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대장암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암세포에서 카스파제 효소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자멸사를 일으켜 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암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다른 항암제로 치료에 반응성이지 않거나, 이러한 다른 항암제에 대해 내성이 발달된 환자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1,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 2 내지 1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상기 화합물 1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암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음료(알코올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 비프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등)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1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 내 기관에 존재하는 카스파제를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억제 또는 세포자멸사 유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항암용 조성물을 개체 내 기관에 존재하는 카스파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암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1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치료방법은 상기 항암용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인체 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비 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및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고, 국부적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병변 내 투여를 포함하는 적합한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비 경우 주입에는 근육 내, 정맥 내, 동맥 내, 복강 내 또는 피하투여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은 정맥 주사, 피하주사, 피내주사제, 근육주사 및 점적 주사일 수 있다.
상기 항암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그 투여 경로 또한 환자의 연령, 투여기간, 체중,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의식 여부, 병용 약물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투여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을 별개로 동시 또는 연쇄적으로 혹은 시간을 두고 별개로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항암용 조성물 또는 항암 보조제를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랫트,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 또는 항암 보조제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개체에서 (a)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b)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및 (c) 질환 또는 질환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화합물은 카스파제 효소를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대장암 및 피부암과 같은 암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물 및 식품에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화합물 A-1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at00014
반응기에 3-bromo-5-(trifluromethyl)aniline 4.8g, 4-methylimidazole
1.97g, K2CO3 3.04g, CuI 0.57g, Ethylenediamine 0.18g, DMSO 20ml를 투입하고 질소 bubbling으로 내부를 치환한 후 질소풍선을 장착하였다. 반응물을 150
Figure pat00015
로 가열한 후 1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물을 45~50
Figure pat00016
로 냉각한 후 14% 암모니아수 20ml를 투입하고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EA 30ml, H2O 30ml를 투입하고 30분 교반 후 층 분리하였다. 하부의 수층에 EA 30ml를 투입하고 30분 교반 후 층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모아서 short silica gel column을 통과시켜 green-blue Cu salt를 제거하고 EA 30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35~ 40
Figure pat00017
에서 감압 농축한 후 잔사에 EA 20ml를 투입하여 용해한 후 n-hexane 40ml를 천천히 투입하여 결정화를 진행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교반 후 여과하고 n-hexane 10ml x 2회 세척하여 미색의 고체로 3-(trifluoromethyl)-5-(4-methyl-1H-imidazol-1-yl)benzeneamine 2.44g을 얻었다. (수율=50%)
1H-NMR (400 MHz, DMSO-d6) δ 8.08 (d, J=1.3Hz, 1H), 7.37 (s, 1H), 6.97 (s,1H), 6.92 (t, J=1.8Hz, 1H), 6.80 (s, 1H), 5.88 (s, 2H), 2.15 (s, CH3, 3H); 13C-NMR (100 MHz, DMSO-d6) δ 151.2, 138.8, 135.1, 131.6, 120.8, 114.5, 108.2, 108.1, 103.6, 103.5, 13.9
반응기에 4,6-Dichloride-2-methylpyrimidine 9g, THF 300ml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clear solution을 만들었다. 여기에 3-(trifluoromethyl)-5-(4-methyl-1H-imidazol-1-yl)benzeneamine 12.1g을 투입하고 반응물을 0~5℃로 냉각하였다. Sodium t-butoxide 17g을 천천히 한번에 투입하였다. 반응물이 3~10℃로 발열되며, 반응물은 yellow~light brown suspension을 나타내었다. 서서히 상온에서 온도를 상승시키며 2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brown oily solid를 얻었다. EA 50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 후 여과하고 EA 50ml x 2회 세척하여 녹지않는 불용물을 제거하였다. EA 1000ml와 charcoal 1g을 투입하고 가열하여 1시간 환류하였다. Celite pad로 여과하고 EA 100ml x 2회 세척한 후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ivory~yellow solid를 얻었다. EA 10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 후 고체를 여과하고 EA 25ml x 3회 세척하였다. 40
Figure pat00018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white solid로 화합물 A-1(6-chloro-2-methyl-N-(3-(4-methyl-1H-imidazol-1-yl)-5-(trifluoromethyl)phenyl)pyrimidin-4-amine) 14.3g을 얻었다. (수율=77.5%)HPLC 로 측정한 순도는 97.9% 이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16 (bs, NH), 8.14 (s, 2H), 7.91 (s, 1H), 7.56 (s, 1H), 7.42, (s, 1H), 6.64 (s, 1H), 2.44 (s, CH3, 3H), 2.14 (s, CH3, 3H)
제조예 2: 화합물 A-2의 제조방법:
[반응식 2]
Figure pat00019
반응기에 5-bromo-2-(trifluromethyl)aniline 4.8g, 2-methylimidazole 2.46g, K2CO3 5.53g, CuI 0.57g, ethylenediamine 0.18g, DMSO 20ml를 투입하였다. 반응물 온도를 150
Figure pat00020
로 가열한 후 1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을 20~30
Figure pat00021
로 냉각한 후 14% 암모니아수 20ml를 투입하고 1시간 교반하였다. 암모니아수 투입시 약 10
Figure pat00022
정도의 발열이 관찰된다.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EA 30ml, H2O 30ml를 투입하고 30분 교반 후 층 분리하였다. 상부의 유기층을 모아서 short silica gel column을 통과시켜 green-blue Cu salt를 제거하고 EA 30ml x 2회 세척하였다. 여액을 다시 층 분리하여 상부의 유기층을 모아서 neutral charcoal 2.5g을 투입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Celite pad로 여과하고 EA 50ml x 2회 세척한 후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brown oily liquid를 얻었다. 100% EA eluent 하에서 silica gel column을 진행하여 light yellow solid로 2-(trifluoromethyl)-5-(2-methyl-1H-imidazol-1-yl)benzenamine 2.5g을 얻었다. (수율=51.7%)
1H NMR (400 MHz, DMSO-d6) δ 7.23 (m, 1H), 6.87 (m, 1H), 6.85 (m, 1H), 6.75 (m, 2H), 1.98(bs, NH2), 2.24 (s, CH3, 3H)
반응기에 4,6-Dichloride-2-methylpyrimidine 1.88g, THF 65ml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clear solution을 만들었다. 여기서 2-(trifluoromethyl)-5-(2-methyl-1H-imidazol-1-yl)benzenamine 2.5g을 THF 20ml에 용해하여 투입하고 반응물을 0~5℃로 냉각하였다. Sodium t-butoxide 3.5g을 천천히 한번에 투입하였다. 반응물이 3~10℃로 발열되며, 반응물은 yellow~light brown suspension을 나타내었다. 서서히 상온에서 온도를 상승시키며 2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brown oily solid를 얻었다. EA 20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30분 교반 후 여과하고 EA 50ml x 2회 세척하여 녹지않는 불용물을 제거하였다. neutral charcoal 2.5g을 투입하고 가열하여 1시간 환류하였다. Celite pad로 여과하고 EA 50ml x 2회 세척한 후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ivory~yellow solid를 얻었다. EA 3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 후 고체를 여과하고 EA 10ml x 2회 세척하였다. 40
Figure pat00023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white solid로 화합물 A-2(6-chloro-N-(2-(trifluoromethyl)-5-(2-methyl-1H-imidazol-1-yl)phenyl)-2-methylpyrimidin-4-amine) 1.77g을 얻었다. (수율=37.9%)HPLC 로 측정한 순도는 98.1% 이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24 (bs, NH), 8.08 (s, 1H), 7.99 (s, 1H), 7.44 (s, 1H), 7.38(s, 1H), 6.92(s, 1H), 6.66(s, 1H), 2.35(s, CH3, 3H)
제조예 3: 화합물 A-3의 제조방법:
[반응식 3]
Figure pat00024
반응기에 4-methylimidazole 5.82g, NMP 10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clear solution을 만들었다. 여기에 3-fluoronitrobenzene 5g, Cs2CO3 23.1g을 투입하였다. 반응물 온도를 120
Figure pat00025
로 가열한 후 6시간 반응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을 20~30
Figure pat00026
로 냉각한 후 EA 300ml, H2O 300ml를 투입하고 30분 교반 후 층 분리하였다. 상부의 유기층을 모으고 H2O 200ml를 투입하고 30분 교반 후 층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anhydrous MgSO4 처리하여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EA 15ml x 2회 세척하였다. 여액은 clear red-brown 용액이다. 10% Pd/C 4g을 투입하고 수소 풍선압으로 상온에서 1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을 Celite pad로 여과하고 EA 50ml x 2회 세척한 후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brown oily liquid를 얻었다. 100% EA eluent 하에서 silica gel column을 진행하여 light brown oil 로 3-(4-methyl-1H-imidazol-1-ylbenzenamine 2.1g을 얻었다. (수율=34.2%)
1H NMR (400 MHz, DMSO-d6) δ 7.12 (d, 1H), 7.09 (t, 1H), 6.85 (d, 1H), 6.58~6.55 (m, 1H), 6.49(t, 1H), 6.45~6.42(m, 1H), 5.37(bs, NH), 2.21(s, CH3, 3H)
반응기에 4,6-Dichloride-2-methylpyrimidine 2.17g, THF 55ml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clear solution을 만들었다. 여기에 3-(4-methyl-1H-imidazol-1-ylbenzenamine 2.1g을 THF 10ml에 용해하여 투입하고 반응물을 0~5℃로 냉각하였다. Sodium t-butoxide 4.1g을 천천히 한번에 투입하였다. 반응물이 3~10℃로 발열되며, 반응물은 yellow~light brown suspension을 나타내었다. 서서히 상온에서 온도를 상승시키며 2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brown oily solid를 얻었다. EA 10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30분 교반 후 여과하고 EA 25ml x 2회 세척하여 녹지 않는 불용물을 제거하였다. neutral charcoal 2g을 투입하고 가열하여 1시간 환류하였다. Celite pad로 여과하고 EA 25ml x 2회 세척한 후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light brown solid를 얻었다. EA 1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 후 고체를 여과하고 EA 5ml x 2회 세척하였다. 40℃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white solid로 화합물 A-3(6-chloro-2-methyl-N-(3-(4-methyl-1H-imidazol-1-yl)phenyl)pyrimidin-4-amine) 1.71g을 얻었다. (수율=47.1%)HPLC 로 측정한 순도는 93.7% 이다.
1H NMR (400 MHz, DMSO-d6) δ 9.98 (bs, NH), 7.83 (s, 1H), 7.53 (s, 1H), 7.45 (s, 1H), 7.26(s, 1H), 7.07(m, 1H), 6.88(s, 1H), 6.64(s, 1H), 2.32(s, CH3, 3H)
실시예 1: 화합물 2의 제조방법:
[반응식 4]
Figure pat00027
반응기에 (6-chloro-2-methyl-N-(3-(4-methyl-1H-imidazol-1-yl)-5-(trifluoromethyl)phenyl)pyrimidin-4-amine)[화합물 A-1] 1g, EA 35ml, DMSO 2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clear solution을 만들었다. 여기에 1-(2-Hydroxyethyl)piperazine 2g을 EA 10ml에 희석하여 반응물에 투입하고 EA 5ml로 기벽 세척하였다. 반응물을 가열하여 환류시키며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H2O 50ml를 천천히 한번에 투입하였다. THF 30ml, EA 30ml를 투입하고 30분 교반하여 층 분리한 후 상층의 유기층을 모았다. 유기층은 anhydrous MgSO4 처리하여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EA 10ml x 2회 세척하였다. 여액을 40
Figure pat00028
에서 감압 농축하여 light yellowish oily을 얻었다. Toluene 8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30분 교반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Toluene 5ml x 2회 세척한 후 40
Figure pat00029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white solid로 화합물 20.5g을 얻었다. (수율=40%)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9.1% 이다.
화합물 2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50 (s, 1H), 8.16 (t, J=1.96Hz, 1H), 8.11 (d, J=1.57Hz, 1H), 7.95 (m, 1H), 7.41(m, 1H), 7.39 (t, J=1.17Hz, 1H), 5.79 (s, 1H), 3.52~3.44 (m, 6H), 2.45~2.37 (m, 6H), 2.31 (s, CH3, 3H), 2.14 (s, CH3, 3H)
실시예 2~4: 화합물 3 내지 5의 제조
하기의 화학 반응식과 같이, 상기 제조예 1의 (6-chloro-2-methyl-N-(3-(4-methyl-1H-imidazol-1-yl)-5-(trifluoromethyl)phenyl)pyrimidin-4-amine) [화합물 A-1]과 다양한 피페라진 유도체 화합물들 간의 결합반응을 통해서 실시예 2~4의 목적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2: 화합물 3의 제조방법:
[반응식 5]
Figure pat00030
수율=76.5%,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9.0% 이다.
화합물 3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50 (s, 1H), 8.16 (t, J=1.96Hz, 1H), 8.11 (d, J=1.56Hz, 1H), 7.96 (s, 1H), 7.41(s, 1H), 7.40 (t, J=1.18Hz, 1H), 5.79 (s, 1H), 4.58 (t, J=5.48Hz, 1H), 3.51 (t, J=6.26, 5.87Hz, 2H), 3.47~3.44 (m, 6H), 3.39~3.36 (m, 2H), 2.50~2.43 (m, 6H), 2.31 (s, CH3, 3H), 2.14 (d, J=0.79Hz, CH3, 3H)
실시예 3: 화합물 4의 제조방법:
[반응식 6]
Figure pat00031
수율=92.3%,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9.2% 이다.
화합물 4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50 (s, 1H), 8.16 (t, J=1.96Hz, 1H), 8.11 (d, J=1.56Hz, 1H), 7.96 (s, 1H), 7.41(s, 1H), 7.40 (t, J=1.18Hz, 1H), 5.80 (s, 1H), 4.41 (bs, OH), 3.47~3.44 (m, 4H), 3.43~3.40 (t, J=6.65, 6.26Hz, 2H), 2.39~2.323 (m, 6H), 2.31 (s, CH3, 3H), 2.14 (d, J=1.18Hz, CH3, 3H), 1.57 (p, 2H)
실시예 4: 화합물 5의 제조방법:
[반응식 7]
Figure pat00032
수율=88.7%,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9.2% 이다.
화합물 5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50 (s, 1H), 8.16 (t, J=1.96, 1.56Hz, 1H), 8.11 (d, J=1.56Hz, 1H), 7.96 (s, 1H), 7.42(s, 1H), 7.40 (t, J=1.18Hz, 1H), 5.80 (s, 1H), 3.46 (t, J=4.70, 5.08Hz, 4H), 2.33~2.32 (m, 4H), 2.31 (s, CH3, 3H), 2.17 (s, CH3, 3H), 2.14 (d, J=1.18Hz, CH3, 3H)
실시예 5: 화합물 6의 제조방법:
[반응식 8]
Figure pat00033
반응기에 6-chloro-N-(2-(trifluoromethyl)-5-(2-methyl-1H-imidazol-1-yl)phenyl)-2-methylpyrimidin-4-amine [화합물 A-2] 0.4g, EA 14ml, DMSO 8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clear solution을 만들었다. 여기에 1-(2-Hydroxyethyl)piperazine 0.78g을 EA 5ml에 희석하여 반응물에 투입하고 EA 2ml로 기벽 세척하였다. 반응물을 가열하여 환류시키며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H2O 20ml를 천천히 한번에 투입 하였다. THF 12ml, EA 12ml를 투입하고 30분 교반하여 층 분리한 후 상층의 유기층을 모았다. 유기층은 anhydrous MgSO4 처리하여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EA 10ml x 2회 세척하였다. 여액을 40
Figure pat00034
에서 감압 농축하여 light yellowish oily을 얻었다. Toluene 3.5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30분 교반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Toluene 5ml x 2회 세척한 후 40
Figure pat00035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white solid로 화합물 60.41g을 얻었다. (수율=82%)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8.8 이다.
화합물 6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55 (s, 1H), 8.08 (t, J=1.96Hz, 1H), 8.01 (s, 1H), 7.35 (d, J=1.57Hz, 1H), 7.25 (s, 1H), 6.91 (d, J=1.57Hz, 1H), 5.78 (s, 1H), 4.40 (t, J=5.48Hz, 1H), 3.51~3.44 (m, 6H), 2.48~2.42 (m, 4H), 2.38 (t, J=6.26Hz, 2H), 2.34 (s, CH3, 3H), 2.28 (s, CH3, 3H)
실시예 6~8: 화합물 7 내지 9의 제조
하기의 화학 반응식과 같이, 상기 제조예 2의 6-chloro-N-(2-(trifluoromethyl)-5-(2-methyl-1H-imidazol-1-yl)phenyl)-2-methylpyrimidin-4-amine[화합물 A-2]과 다양한 피페라진 유도체 화합물들 간의 결합반응을 통해서 실시예 6~8의 목적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6: 화합물 7의 제조방법:
[반응식 9]
Figure pat00036
수율=85.3%,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4.5% 이다.
화합물 7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55 (s, 1H), 8.08 (t, J=1.96, 1.57Hz, 1H), 8.01 (s, 1H), 7.35 (d, J=1.57Hz, 1H), 7.25 (s, 1H), 6.91 (d, J=1.57Hz, 1H), 5.78 (s, 1H), 4.58 (bs, OH), 3.51 (t, J=5.87Hz, 2H), 3.45~3.43 (m, 6H), 3.39~3.36 (m, 2H), 2.49~2.43 (m, 6H), 2.30 (s, CH3, 3H), 2.28 (s, CH3, 3H)
실시예 7: 화합물 8의 제조방법:
[반응식 10]
Figure pat00037
수율=84.6%,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9.2% 이다.
화합물 8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56 (s, 1H), 8.08 (d, J=1.96Hz, 1H), 8.01 (s, 1H), 7.35 (d, J=1.57Hz, 1H), 7.25 (s, 1H), 6.91 (d, J=1.63Hz, 1H), 5.78 (s, 1H), 4.41 (bs, OH), 3.47~3.44 (m, 4H), 3.43~3.40 (t, J=6.26Hz, 2H), 2.38~2.36 (m, 4H), 2.34 (s, CH3, 3H), 2.32~2.30 (m, 2H), 2.28 (s, CH3, 3H), 1.56 (p, 2H)
실시예 8: 화합물 9의 제조방법:
[반응식 11]
Figure pat00038
수율=88.7%,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8.9% 이다.
화합물 9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55 (s, 1H), 8.08 (t, J=1.96Hz, 1H), 8.01 (s, 1H), 7.35 (d, J=1.57Hz, 1H), 7.26 (s, 1H), 6.91 (d, J=1.57Hz, 1H), 5.78 (s, 1H), 3.46 (t, J=4.70, 5.09Hz, 4H), 2.34 (s, CH3, 3H), 2.32 (t, J=5.09Hz, 4H), 2.28 (s, CH3, 3H), 2.17 (s, CH3, 3H)
실시예 9: 화합물 10의 제조방법:
[반응식 12]
Figure pat00039
반응기에 6-chloro-2-methyl-N-(3-(4-methyl-1H-imidazol-1-yl)phenyl)pyrimidin-4-amine [화합물 A-3] 0.4g, EA 14ml, DMSO 8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clear solution을 만들었다. 여기에 1-(2-Hydroxyethyl)piperazine 0.95g을 EA 5ml에 희석 하여 반응물에 투입하고 EA 2ml로 기벽 세척하였다. 반응물을 가열하여 환류시키며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H2O 20ml를 천천히 한번에 투입 하였다. THF 12ml, EA 12ml를 투입하고 30분 교반하여 층 분리한 후 상층의 유기층을 모았다. 유기층은 anhydrous MgSO4 처리하여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EA 10ml x 2회 세척하였다. 여액을 40
Figure pat00040
에서 감압 농축하여 light yellowish oily을 얻었다. 100% EA eluent 하에서 silica gel column을 진행하여 yellow oily solid 로 화합물 100.13g을 얻었다. (수율=25.0%)HPLC 로 측정한 순도는 98.4% 이다.
화합물 10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22 (s, 1H), 7.84 (t, J=1.96Hz, 1H), 7.50~7.47 (m, 1H), 7.35 (t, J=7.82, 8.22Hz, 1H), 7.23 (d, J=1.17Hz, 1H), 6.92~6.89 (m, 1H), 6.87 (d, J=1.17Hz, 1H), 5.79 (s, 1H), 4.41 (bs, OH), 3.49 (t, J=6.26Hz, 2H), 3.44~3.424 (m, 4H), 2.44~2.41 (m, 4H), 2.38 (t, J=6.26Hz, 2H), 2.31 (s, CH3, 3H), 2.25 (s, CH3, 3H)
실시예 10~12: 화합물 11 내지 13의 제조
하기의 화학 반응식과 같이, 상기 제조예 3의 6-chloro-2-methyl-N-(3-(4-methyl-1H-imidazol-1-yl)phenyl)pyrimidin-4-amine[화합물 A-3]과 다양한 피페라진 유도체 화합물들 간의 결합반응을 통해서 실시예 10~12의 목적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0: 화합물 11의 제조방법:
[반응식 13]
Figure pat00041
수율=22.4%,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9.5% 이다.
화합물 11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20 (s, 1H), 7.83 (t, J=1.96Hz, 1H), 7.50~7.47 (m, 1H), 7.35 (t, J=7.82, 8.22Hz, 1H), 7.23 (d, J=1.56Hz, 1H), 6.92~6.90 (m, 1H), 6.87 (d, J=1.56Hz, 1H), 5.78 (s, 1H), 4.58 (bs, OH), 3.50 (t, J=5.86Hz, 2H), 3.44~3.42 (m, 6H), 3.39~3.36 (m, 2H), 2.48~2.43 (m, 6H), 2.31 (s, CH3, 3H), 2.26 (s, CH3, 3H)
실시예 11: 화합물 12의 제조방법:
[반응식 14]
Figure pat00042
율=55.5%,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6.4% 이다.
화합물 12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20 (s, 1H), 7.84 (t, J=1.96Hz, 1H), 7.50~7.47 (m, 1H), 7.35 (t, J=7.83, 8.21Hz, 1H), 7.23 (d, J=1.56Hz, 1H), 6.92~6.90 (m, 1H), 6.87 (d, J=1.17Hz, 1H), 5.78 (s, 1H), 4.42 (bs, OH), 3.44~3.39 (m, 6H), 2.38~2.32 (m, 6H), 2.31 (s, CH3, 3H), 2.26 (s, CH3, 3H), 1.56 (p, 2H)
실시예 12: 화합물 13의 제조방법:
[반응식 15]
Figure pat00043
수율=75.5%, HPLC method로 측정한 순도는 95.9% 이다.
화합물 13의 제조확인
1H NMR (400 MHz, DMSO-d6) δ 9.20 (s, 1H), 7.84 (t, J=1.96Hz, 1H), 7.50~7.47 (m, 1H), 7.35 (t, J=7.83, 8.21Hz, 1H), 7.23 (d, J=1.17Hz, 1H), 6.92~6.90 (m, 1H), 6.87 (d, J=1.56Hz, 1H), 5.79 (s, 1H), 3.44 (t, J=4.70, 5.08Hz, 4H), 2.33~2.30 (m, 4H), 2.31 (s, CH3, 3H), 2.26 (s, CH3, 3H), 2.16 (s, CH3, 3H)
실험예 1: 암세포증식 억제능 확인
본 발명에 따른 대표화합물로서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2에 대하여 전립선암, 유방암 및 대장암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재료성분]
본 실험에 사용한 사람 암 세포주는 하기 표 1과 같이 전립선암, 유방암 및 대장암을 준비하였고, 상기 암 세포주들은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ell Line Bank, Seoul, KCLB)으로부터 분양받아 100units/mL의 Antibiotic Antimycotic과 10% FBS가 첨가된 RPMI를 이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전립선암 유방암 대장암
LNCaP PC-3 RC-58T MCF-7 SW480 HT-29
또한 100 units/mL의 Antibiotic Antimycotic과 10% FBS(fetal bovine serum)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암세포는 37 ℃, 5% CO2 incubator (HERA cell 150, Heraeus, Hanau, Germany)에서 주 2~3회 0.25% trypsin-EDTA 용액으로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passage number가 10회 이상일 때는 폐기하고 새로운 세포를 다시 배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방법]
암세포 증식 억제능은 SRB(sulforhodaime B)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RB법은 생존 세포내의 단백질 총량을 흡광도로 나타내어 세포사멸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TCA(trichloroacetic acid)에 의해 생존 세포만 well plate에 부착되며 이 세포의 단백질 내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가 SRB와 결합하여 마지막에 처리하는 Tris buffer에 녹아 나와 흡광도를 나타낸다.
Monolayer로 자란 암세포주를 0.25% trypsin-EDTA 용액으로 처리하여 single cell로 만든 후 배양액으로 최종농도가 1×105 cells/mL가 되도록 희석하여 24 well plate에 분주한 다음 37℃, 5%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화합물 2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켜 암세포 증식 정도를 sulforhodamine B(SRB, Sigma-Aldrich Co.) 방법에 의하여 540nm에서 측정하였다. 화합물 2가 사람 암 세포의 증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SRB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예 1-1: 전립선암 세포에서의 세포사멸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가 사람 전립선암 세포의 사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SRB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 에 나타내었다.
SRB(sulforhodaime B) assay 측정 결과
구분 전립선암
LNCaP PC-3 RC-58T
기준약물 Sorafenib 18.39 22.67 20.59
Imatinib 36.79 66.86 54.37
Poziotinib 3.99 12.61 5.64
Dasatinib 29.09 54.54 48.14
Nilotinib 61.97 30.43 24.89
실시예 1 화합물 2 2.64 7.97 6.09
상기 표 2의 결과에 의하면, 전립선암 세포주에 대해 기준약물 중 가장 활성이 높은 Poziotinib과 비교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는 전립선암 세포주에서 모두 향상된 세포자멸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LNCaP에 대한 암세포 성장 억제작용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2: 유방암 세포에서의 세포사멸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가 사람 유방암 세포의 사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SRB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 에 나타내었다.
SRB(sulforhodaime B) assay 측정 결과
구분 유방암
MCF-7
기준약물 Sorafenib 32.94
Imatinib 51.81
Poziotinib 7.89
Dasatinib 40.21
Nilotinib 80.94
실시예 1 화합물 2 6.29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유방암 세포주에 대해 기준약물 중 가장 활성이 높은 Poziotinib과 비교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는 유방암 세포주에서 향상된 세포자멸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3: 대장암 세포에서의 세포사멸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가 사람 대장암 세포의 사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SRB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SRB(sulforhodaime B) assay 측정 결과
구분 대장암
SW-480 HT-29
기준약물 Sorafenib 32.00 40.58
Imatinib 65.88 71.87
Poziotinib 67.65 7.06
Dasatinib 90.19 77.79
Nilotinib 42.51 94.57
실시예 1 화합물 2 9.41 6.46
상기 표 4의 결과에 의하면, 대장암 세포주에 대해 기준약물 중 가장 활성이 높은 Poziotinib과 비교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는 대장암 세포주에서 모두 향상된 세포자멸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HT-29에 대한 암세포 성장 억제작용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4: 폐암 세포에서의 세포사멸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가 사람 폐암 세포의 사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SRB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SRB(sulforhodaime B) assay 측정 결과
구분 폐암
A549 H1975 PC9
기준약물 Sorafenib 27 36 10
Imatinib 96 71 41
Poziotinib 47 12 3
Dasatinib 60 50 20
Nilotinib 128 116 51
실시예 1 화합물 2 61 59 5
상기 표 5의 결과에 의하면, 폐암 세포주에 대해 기준약물 중 가장 활성이 높은 Poziotinib (A549 결과 제외)과 비교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는 폐암 세포주 중 특히 PC9 세포에서 향상된 세포자멸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조된 화합물 2 내지 13이 사람 폐암 세포의 사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SRB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SRB(sulforhodaime B) assay 측정 결과
구분 폐암 PC9
화합물 2 5.00
화합물 3 6.04
화합물 4 1.46
화합물 5 10.90
화합물 6 4.99
화합물 7 9.08
화합물 8 5.93
화합물 9 9.00
화합물 10 20.66
화합물 11 26.45
화합물 12 20.66
화합물 13 18.60
상기 표 6의 결과에 의하면, 폐암 세포주 PC9에 대해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화합물 4는 폐암 세포주 PC9세포에서 향상된 세포자멸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4: 정상 세포에서의 세포사멸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가 사람 정상세포의 사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SRB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SRB(sulforhodaime B) assay 측정 결과
구분 폐 정상세포 정맥내피 정상세포
WI-38 HUVEC
기준약물 Sorafenib 7.85 5.23
Imatinib 46.55 33.84
Poziotinib 21.71 10.94
Dasatinib 25.57 13.78
Nilotinib >100 >100
실시예 1 화합물 2 32.64 28.99
상기 표 7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는 사람 정상세포에 대해서 대조약물로 진행한 합성 항암제(기준약물)에 비해 양호한 세포사멸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는 암세포에 대해서는 우수한 세포자멸사 효과를 발생시키고,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세포사멸 억제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4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및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저급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저급 알킬 및 1 내지 3개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저급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R6은 수소, 수산기 및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저급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1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2]
    Figure pat00045

    [화학식 3]
    Figure pat00046

    [화학식 4]
    Figure pat00047

    [화학식 5]
    Figure pat00048

    [화학식 6]
    Figure pat00049

    [화학식 7]
    Figure pat00050

    [화학식 8]
    Figure pat00051

    [화학식 9]
    Figure pat00052

    [화학식 10]
    Figure pat00053

    [화학식 11]
    Figure pat00054

    [화학식 12]
    Figure pat00055

    [화학식 13]
    Figure pat00056

  3. 제1항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1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이상의 화합물인 항암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57

    [화학식 3]
    Figure pat00058

    [화학식 4]
    Figure pat00059

    [화학식 5]
    Figure pat00060

    [화학식 6]
    Figure pat00061

    [화학식 7]
    Figure pat00062

    [화학식 8]
    Figure pat00063

    [화학식 9]
    Figure pat00064

    [화학식 10]
    Figure pat00065

    [화학식 11]
    Figure pat00066

    [화학식 12]
    Figure pat00067

    [화학식 13]
    Figure pat00068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카스파제를 활성화시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것인 항암용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대장암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암용 조성물.
KR1020210084166A 2021-06-28 2021-06-28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563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66A KR102563834B1 (ko) 2021-06-28 2021-06-28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166A KR102563834B1 (ko) 2021-06-28 2021-06-28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78A true KR20230001378A (ko) 2023-01-04
KR102563834B1 KR102563834B1 (ko) 2023-08-04

Family

ID=8492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166A KR102563834B1 (ko) 2021-06-28 2021-06-28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8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2744A1 (en) * 2000-03-27 2001-10-04 Schering Aktiengesellschaft N-heterocyclic derivatives as nos inhibitors
WO2020127200A1 (en) * 2018-12-17 2020-06-25 Tolremo Therapeutics Ag Heterocyclic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cancer
WO2020190119A1 (ko) * 2019-03-19 2020-09-24 주식회사 보로노이 헤테로아릴 유도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1064142A1 (en) * 2019-10-02 2021-04-08 Tolremo Therapeutics Ag Heterocyclic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r amelioration of canc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2744A1 (en) * 2000-03-27 2001-10-04 Schering Aktiengesellschaft N-heterocyclic derivatives as nos inhibitors
WO2020127200A1 (en) * 2018-12-17 2020-06-25 Tolremo Therapeutics Ag Heterocyclic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cancer
WO2020190119A1 (ko) * 2019-03-19 2020-09-24 주식회사 보로노이 헤테로아릴 유도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1064142A1 (en) * 2019-10-02 2021-04-08 Tolremo Therapeutics Ag Heterocyclic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r amelioration of canc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usan Elmore; Apoptosis: A Review of Programmed Cell Death ToxicolPathol; 35(4): 495-516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834B1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001B1 (ko) NamPT 억제용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5974124B2 (ja) キナーゼ阻害剤の組成物ならびに癌およびキナーゼに関連する他の疾患の治療のためのそれらの使用
KR101789430B1 (ko) Smo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327242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verbenone derivative for treating or preven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KR101424360B1 (ko) 하이드록시 챨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563834B1 (ko)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145345B1 (ko) 세포증식 억제제로서 유용한 2-싸이오-4-아미노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69759B1 (ko) 히드록시벤질리덴 크로마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4026B1 (ko)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치환된 아릴사이클로프로필우레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JP2006249056A (ja) 子宮癌抑制剤
KR20210098689A (ko)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치환된 아릴우레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220417B1 (ko) 세포사멸 유도 활성을 갖는 칼콘 유도체
KR101306958B1 (ko) 세포사멸 유도 활성을 갖는 트리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1h-피라졸-3-일-나프탈렌-2-올 유도체
KR102233120B1 (ko) 신규한 파에오놀-트립타민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101457637B1 (ko) 디히드로피라졸카르보티오아미드 유도체 및 그 제법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2010274B1 (ko) Hsp90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 벤즈아미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20130120635A (ko) 정족수 감지 억제 활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37870B1 (ko)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치환된 다이아릴우레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290578B1 (ko) 히드록시메톡시벤조칼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200056685A (ko) 신규 피코리니미다마이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3027B1 (ko) 페닐옥사졸계 유도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6055B1 (ko) Hsp90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 찰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CN114539129B (zh) 烯丙胺类双功能化合物及其用途
KR20240057318A (ko) 신규한 1,1-디옥소-1,2-벤즈이소티아졸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 용도
KR101426210B1 (ko) 하이드록시 챨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