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077A -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077A
KR20220168077A KR1020210077646A KR20210077646A KR20220168077A KR 20220168077 A KR20220168077 A KR 20220168077A KR 1020210077646 A KR1020210077646 A KR 1020210077646A KR 20210077646 A KR20210077646 A KR 20210077646A KR 20220168077 A KR20220168077 A KR 2022016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parking
information
alarm
targe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500B1 (ko
Inventor
홍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노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노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노플랫폼
Priority to KR1020210077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5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대상 구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구역에 불법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 alarm}
본 발명은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주정차가 제한되거나 특정 차량에 대해서만 주정차가 허가된 대상 구역에 대한 불법 주정차 여부와 관련된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불법 주정차된 상황을 판단하여 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불법 주정차 여부를 판단하거나 불법 주정차 상황을 알리기 위해 CCTV 등의 영상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대상 구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식 또는 불법 주정차 구역 인근에 상주 인력을 배치하여 불법 주정차 상황을 단속하도록 하는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상주 인력을 배치하여 불법 주정차 상황을 단속할 경우 상주 인력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상당하고, 영상 디바이스를 통해 대상 구역에 불법 주정차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모니터링 담당 인력이 직접 불법 주정차가 발생된 구역으로 이동하거나 영상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번호 등의 차량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관련 기관에 신고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차주에게 해당 내용이 전달되는 등 시간적 소요가 심각하며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제공되는 차량은 대부분 복수개의 센서가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과 인접한 영역에 대한 물체가 위치하는지 여부, 물체의 접근 또는 움직임 등을 센싱할 수 있으며, 차량과 인접한 다른 차량의 주정차 여부, 주정차된 차량의 움직임 등을 센싱하여 불법 주정차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 또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 종래 불법 주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들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963143호 (2010.06.04)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불법 주정차 관리 대상 구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센싱 정보에 따라 불법 주정차된 차량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로 불법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불법 주정차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이용되던 종래 방식들의 시간적, 기능적 한계를 해소하고, 불법 주정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대상 구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구역에 불법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구역은 교차로, 소화전, 소방차 주차구역, 버스 정류소, 횡단보도, 어린이 보호구역 및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 디바이스를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구역과 인접한 주정차 허가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상기 대상 구역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주정차 허가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된 시간, 상기 대상 구역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주정차된 상기 대상 구역 간의 거리, 상기 불법 주정차 상황을 나타내는 상기 움직임 정보가 획득된 횟수 및 상기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대상 구역 간의 거리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주정차 허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대상 구역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을 포함하는 대상 구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구역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불법 주정차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알람을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대상 구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구역에 이동 디바이스가 주정차된 경우,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연동된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 디바이스를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 디바이스를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대상 구역의 주정차 허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대상 구역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을 포함하는 대상 구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구역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불법 주정차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제 1 측면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바이스 및 이동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주행 중 또는 주정차된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이와 인접한 대상 구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여 이동 디바이스에 의한 불법 주정차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불법 주정차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디바이스 간 네트워크 환경이 형성되므로 각 디바이스 간의 이동 및 주정차 정보를 활용한 실시간 알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종래 이용되는 방식 대비 효율적인 주정차 관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대상 구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상 구역에 대한 불법 주정차 상황을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센서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복수의 디바이스(300) 및 이동 디바이스(330)에 포함될 수 있고, 대상 구역(340)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광 센서, 모션 센서, 초음파 센서 등 이동 디바이스(330)(예: 차량)의 주정차 여부, 이동 디바이스(330)의 움직임, 이동 디바이스(330)의 종류 등을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에 의해 획득되는 센싱 정보는 대상 구역(340) 내 불법 주정차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센싱 정보, 초음파 센싱 정보, 움직임 정보, 적외선 센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 정보는 대상 구역(340)의 위치, 대상 구역(340) 내 불법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이미지 및 영상,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싱 정보에 따라 대상 구역(340)에 불법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350)에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디바이스(300) 및 이동 디바이스(330)는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된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계정이 서비스에 가입되는 경우,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차량 번호, 계정 사용자의 연락처 등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서비스와 연동된 서버 또는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복수개로 존재할 수 있어 식별 정보를 쉽게 구분하기 위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고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는 디바이스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350)에 알람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 구역(340)에 이동 디바이스(330)가 주정차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서버 또는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이동 디바이스(330)의 식별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요청에 따라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움직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 시점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350)에 이동 디바이스(330)를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대상 구역(340) 정보 및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330)가 불법 주정차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상 구역(340)은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가 허가되지 않은 구역 및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만이 주정차 할 수 있는 구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교차로, 소화전, 소방차 주차구역, 버스 정류소, 횡단보도, 어린이 보호구역 및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 등에 대한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대상 구역(340)의 주정차 허가 여부를 나타내고,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을 포함하는 대상 구역(340)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동 디바이스(330)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 이동 디바이스(33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상 구역(340)의 주정차 허가 여부는 해당 대상 구역(340)에 대해 임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가 허가된 구역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대상 구역(340) 정보는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은 예를 들어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에 주정차할 수 있도록 등록된 차량 목록, 소방서에 주정차할 수 있는 소방차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알람 제공 시스템(미도시) 및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 디바이스(330)의 불법 주정차 상황, 이동 주자에 적합한 구역 알림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가 독립적으로 알람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하지만, 전술한 것처럼,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와 서버는 그 기능의 측면에서 통합 구현될 수 있고, 서버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라는 용어는 서버를 포괄하는 상위 개념으로 기재되었으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알람을 제공하는 실시 예들은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각 구성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300)로부터 대상 구역(340)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디바이스(300)는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된 계정에 대응되고, 도로 주행용 차량 또는 이동/운송 수단으로 이용되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복수의 디바이스(300) 및 이동 디바이스(330)는 승용차, 버스, 이륜차 등의 차량 또는 자율주행 차량을 대상으로 하여 그 실시 예들을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거나 주행 명령과 관련된 알고리즘에 기반한 주행 시스템, 무인 항공기, 무인 선박 등 종래 이용되거나 종래 디바이스로부터 파생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에도 동일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대상 구역(340)은 주정차가 불가능하거나 허가된 디바이스만 주정차 가능한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대상 구역(34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주정차 허가 여부 및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을 포함하는 대상 구역(340) 정보가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 및 서비스 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 및 서비스에 의해 대상 구역(340)에 대한 불법 주정차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를 주행 중이거나 주정차된 복수의 디바이스(300)는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330) 또는 대상 구역(340)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센싱 정보에는 대상 구역(340) 내 불법 주정차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센싱 정보, 초음파 센싱 정보, 움직임 정보, 적외선 센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상 구역(340)의 위치 및 범위, 대상 구역(340) 내 불법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이미지 및 영상,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센싱 정보에 따라 대상 구역(340)에 불법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대상 구역(340) 내 이동 디바이스(330)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 복수의 디바이스(300) 및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끼치거나 사고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불법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이동 디바이스(330) 및 이동 디바이스(330)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350)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불법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불법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데이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상 구역(340)의 주정차 허가 여부를 나타내고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을 포함하는 대상 구역(340)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상 구역(340)의 주정차 허가 여부는 해당 대상 구역(340)에 대해 임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가 허가된 구역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정차가 허가된 구역은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은 예를 들면 대상 구역(340)이 소방서인 경우, 소방서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는 소방차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에 등록된 이동 디바이스(330) 또한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에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대상 구역(340) 정보 및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330)가 현재 대상 구역(340)에 불법 주정차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불법 주정차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이동 디바이스(33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불법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350)에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움직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 시점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350)에 이동 디바이스(330)를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상 구역(340)에 대한 센싱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하고 있는 경우, 이동 디바이스(330)가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되거나 대상 구역(340)을 통과하는 등을 나타내는 이동 디바이스(330)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이동 디바이스(330)의 움직임이 획득된 시점 및 움직임이 획득되지 않는 시점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330)가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각 시점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 시점으로부터 기설정 시간(예: 10분)이 경과한 경우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350)에 이동 디바이스(330)를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이동 디바이스(330)가 주정차된 시점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하기 때문에 임시 주정차 상황에 대해 좀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상 구역(340)과 인접한 주정차 허가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서버 또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또는 데이터 베이스에는 공영 주차장 등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이동 디바이스(330)가 불법 주정차 중인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인 경우, 불법 주정차 상황에 따른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 디바이스(33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350)에 주정차 허가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 구역(340) 내 이동 디바이스(33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상 구역(340)에 대한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된 시간,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의 위치와 이동 디바이스(330)가 주정차된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 불법 주정차 상황을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가 획득된 횟수 및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구역(340)에 대한 이동 디바이스(330)가 주정차된 시간이 길수록 불법 주정차 상황이 오래 지속되어 응급 상황 시 통행 방해, 사고 유발 등 큰 피해가 예상되므로 주정차된 시간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의 위치와 이동 디바이스(330)가 불법 주정차된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울수록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이동 디바이스(330)가 대상 구역(340)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불법 주정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의 위치와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에 2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불법 주정차 상황을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가 획득된 횟수가 많을수록 인접한 복수의 디바이스(300)로부터 움직짐 정보가 획득되었기 때문에 통행량이 많은 구역에서 불법 주정차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어 움직임 정보가 획득된 횟수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불법 주정차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비교적 중요도가 낮다는 점에서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에 가장 낮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이 상이한 크기로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우선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불법 주정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원활한 교통 상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야간의 경우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위치와 이동 디바이스(330)가 주정차된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 불법 주정차 상황을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가 획득된 횟수 및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된 시간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의 경우 교통량이 적고 대부분의 차량은 주정차된 상황일 수 있다. 또한,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330)는 주정차가 허가된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미 다른 위치에 주정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아침 시간대 까지는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되지 않은 이동 디바이스(330)의 경우라도 임시적인 주정차는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야간인 경우에도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330)가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하기 위해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야간의 경우에는 이동 디바이스(330)가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된 시간보다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이동 여부에 따라서 알람을 제공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330)의 위치와 이동 디바이스(330)가 주정차된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야간 시간대에서 대상 구역(340)에 이동 디바이스(330)가 불법 주정차되는 경우 임시 주정차가 가능한 시간대라 하더라도 가능하면 주정차가 허가된 구역에 주정차하는 것이 불법 주정차 상황에 따른 문제를 예방하는 등 더욱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고,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330)가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하고자 대상 구역(340)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가 가까운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불법 주정차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대상 구역(340) 간의 거리에 2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 불법 주정차를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가 획득된 횟수에 기초하여 불법 주정차 상황임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으나, 야간에는 주정차가 허가되지 않은 이동 디바이스(330)여도 대상 구역(340)에 대한 어느 정도의 임시 주정차는 가능할 수 있어 움직임 정보가 기설정 횟수 이상으로 획득되더라도 알람을 특정 횟수 만큼 생략하는 등 유연한 대처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불법 주정차 상황을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가 획득된 횟수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야간에는 어느 정도 시간 동안의 임시 주정차가 허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동 디바이스(330)의 주정차된 시간에 가장 낮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이 일반적인 상황과 달리 야간 시간에는 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가중치를 상이하게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임시 주정차가 일부 용인되는 야간 시간대에는 유연하고 원활하게 불법 주정차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300)로부터 대상 구역(340)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310) 및 제 2 디바이스(320)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CCTV, 소리 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 등의 센싱 디바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각 디바이스들은 차량 또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행 중이거나 주정차된 제 1 디바이스(310) 및 제 2 디바이스(320)는 인접한 대상 구역(340) 및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330)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310) 및 제 2 디바이스(320)가 이동 디바이스(330)와 인접한 위치에 주정차된 경우, 제 1 디바이스(310)가 주정차된 위치 및 제 2 디바이스(320)가 주정차된 위치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획득되는 이미지 및 영상 정보, 움직임 정보와 같은 센싱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이와 같이 상이한 센싱 정보를 통합하여 통합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통합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330)의 불법 주정차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 1 디바이스(310) 및 제 2 디바이스(320)가 주행 중인 경우, 각 디바이스로부터 센싱 정보가 획득되는 시점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330)의 불법 주정차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310)와 제 2 디바이스(320)가 서로 동일한 대상 구역(340)과 인접한 지점을 통과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310)가 해당 지점을 통과한 시점과 제 2 디바이스(320)가 해당 지점을 통과한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디바이스(310)로부터 센싱 정보가 획득된 시점과 제 2 디바이스(320)로부터 센싱 정보가 획득된 시점이 상이할 수 있으며, 각 시점 간의 차이가 기설정 값(예: 10분) 이상인 경우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상 구역(340)에 대한 불법 주정차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불법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외부 디바이스(350)에 제공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불법 주정차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상 구역(340)에 대한 불법 주정차 상황을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상 구역(3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구역(340)과 인접한 영역에 장애물(410) 또는 이동 디바이스(330)가 위치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 구역에 대해 획득된 센싱 정보의 정확도는 다소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바이스(300)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에 따라 대상 구역(340)이 장애물(410)에 의해 기설정 비율 이상 가려진 것으로 나타난 경우,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상 구역(340)을 문제 대상 구역으로 결정하고, 문제 대상 구역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다른 대상 구역(340)에 대한 센싱 정보보다 문제 대상 구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우선적으로 획득하고 이를 처리하여 장애물에 의해 가려진 상황을 갱신하거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문제 대상 구역에 대한 불법 주정차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애물(410)에 의해 대상 구역에 대한 불법 주정차 상황에 대한 판단이 어려운 경우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장애물(410)이 있는 영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가장 우선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장애물 등에 의해 센싱이 어려운 상황에 대해서도 신속한 판단이 가능해진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의 운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및 관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서버의 형태로 운용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 및 관제 시스템을 통해 알람 제공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는 센싱 정보를 복수의 디바이스(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 정보 자체를 제공받는 경우는 관제 시스템의 불법 주정차 상황에 대한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센싱 정보로부터 불법 주정사 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제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센싱 정보를 제공 받고,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불법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외부 디바이스(35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관제 시스템을 통해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는 클라우드 서버의 잔여 용량이 기설정 용량 이상으로 많아 데이터 저장 및 처리에 부담이 덜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불법 주정차 상황을 결정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방식과 통용될 수 있다.
알람 제공 서비스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디바이스(350)에 제공하고,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불법 주정차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및 주정차 허가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불법 주정차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에는 대상 구역(340)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의 실시간 위치 정보, 이동 디바이스(330)와 주정차 허가 구역 간의 거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제 시스템은 센싱 정보로부터 결정된 불법 주정차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외부 디바이스(3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디바이스(300)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불법 주정차 여부를 결정하여 이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어, 불법 주정차에 따른 주정차가 허가된 차량의 이용 불편, 응급 상황 시 통행 방해, 버스 운행 불편 등의 여러 피해 상황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미도시) 등 발명에 해당하는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종래의 여러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 1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에 의한 실행 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로그램 내지 명령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서버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장치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명령)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본 개시와 관련된 다양한 연산, 처리, 데이터 생성, 가공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등을 메모리로부터 로드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알람 제공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additionally) 또는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알람 제공 디바이스
110: 센서부
120: 프로세서
300: 복수의 디바이스 310: 제 1 디바이스
320: 제 2 디바이스 330: 이동 디바이스
340: 대상 구역 350: 외부 디바이스
410: 장애물

Claims (10)

  1.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대상 구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구역에 불법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은 교차로, 소화전, 소방차 주차구역, 버스 정류소, 횡단보도, 어린이 보호구역 및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역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 디바이스를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구역과 인접한 주정차 허가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상기 대상 구역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주정차 허가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에 대한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된 시간, 상기 대상 구역에 주정차가 허가된 이동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주정차된 상기 대상 구역 간의 거리, 상기 불법 주정차 상황을 나타내는 상기 움직임 정보가 획득된 횟수 및 상기 주정차 허가 구역의 위치와 대상 구역 간의 거리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구역의 주정차 허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대상 구역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을 포함하는 대상 구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구역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불법 주정차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알람을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대상 구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구역에 불법 주정차된 이동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결정된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주정차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 디바이스를 이동시킬 것을 요청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대상 구역의 주정차 허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대상 구역에 주정차가 허가된 디바이스 목록을 포함하는 대상 구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구역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불법 주정차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 상기 이동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77646A 2021-06-15 2021-06-15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0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46A KR102602500B1 (ko) 2021-06-15 2021-06-15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46A KR102602500B1 (ko) 2021-06-15 2021-06-15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77A true KR20220168077A (ko) 2022-12-22
KR102602500B1 KR102602500B1 (ko) 2023-11-16

Family

ID=8457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646A KR102602500B1 (ko) 2021-06-15 2021-06-15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5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43B1 (ko) 2008-01-16 2010-06-15 (주)위니텍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KR20110128685A (ko) * 2010-05-24 2011-11-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33472A (ko) * 2011-05-31 2012-12-11 박인호 주·정차 금지구역 안내장치
KR101349209B1 (ko) * 2013-02-21 2014-01-08 (주)넥솔위즈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정차위반 단속 알림시스템
KR101753804B1 (ko) * 2016-12-01 2017-07-04 (주)아이엠시티 인공지능을 통한 주정차 위반 단속 알림 시스템
KR20190087058A (ko) *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주차 단속 시스템 및 이의 단속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43B1 (ko) 2008-01-16 2010-06-15 (주)위니텍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KR20110128685A (ko) * 2010-05-24 2011-11-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33472A (ko) * 2011-05-31 2012-12-11 박인호 주·정차 금지구역 안내장치
KR101349209B1 (ko) * 2013-02-21 2014-01-08 (주)넥솔위즈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정차위반 단속 알림시스템
KR101753804B1 (ko) * 2016-12-01 2017-07-04 (주)아이엠시티 인공지능을 통한 주정차 위반 단속 알림 시스템
KR20190087058A (ko) *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주차 단속 시스템 및 이의 단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500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3218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KR102108383B1 (ko) 실시간 이동경로 및 점유상태를 제공하는 스마트 주차공간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000351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vehicle parking spaces
US20200336541A1 (en) Vehicle Sensor Data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KR101856488B1 (ko) 3차원 맵핑을 이용하는 객체 추적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N104599529B (zh) 用于确定接近的顶部结构净空的系统
US9429943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valet systems and methods
US10325461B1 (en) Dynamic security patrol guidance system
JP2023179580A (ja) V2xおよびセンサデータを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80005710A (ko) 자율 차량들에 대한 폴백 요청들
JP7217340B2 (ja) 停止した自律型車両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周辺道路利用者への迷惑の低減
US10580300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69958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mergency handoff of an autonomous vehicle
JP695442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3976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exit/entry criteria for a secure location
WO20192460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location
CN109927624B (zh) 车辆移动的目标区域的投影方法、hmi计算机系统及车辆
CN112785846A (zh) 一种车辆监控方法和装置
KR101111724B1 (ko) 불법 주정차 무인 검지 방법과 그 시스템
CN110745145B (zh) 用于adas的多传感器管理系统
JP7379424B2 (ja) 状況固有の輸送手段パワー割り当て
US20230415771A1 (en) Driveway pullovers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602500B1 (ko)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0583828B1 (en) Position determination
WO2021086884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sioning allotments utilizing machine vis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