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90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901A
KR20220166901A KR1020210075691A KR20210075691A KR20220166901A KR 20220166901 A KR20220166901 A KR 20220166901A KR 1020210075691 A KR1020210075691 A KR 1020210075691A KR 20210075691 A KR20210075691 A KR 20210075691A KR 20220166901 A KR20220166901 A KR 20220166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rea
display
disposed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승룡
김재경
김창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6901A/ko
Priority to US17/678,889 priority patent/US11950483B2/en
Priority to CN202210644294.6A priority patent/CN115472646A/zh
Publication of KR2022016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3
    • H01L51/0097
    • H01L51/523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층,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은 상기 표시층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의해 커버되는 커버 영역, 및 상기 커버 영역과 인접한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노출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할당된 화면 내에서 정보를 표시한다. 최근 폴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리지드 표시 장치와 달리,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기존의 화면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수신 기능이 향상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층,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이 폴딩 되었을 때,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의해 커버되는 커버 영역, 및 상기 커버 영역과 인접한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노출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센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층은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위에 배치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된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 도전층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 도전층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며 그라운드된 그라운드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패턴의 크기는 상기 안테나 패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센서층의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안테나 패턴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보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층은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제2 전극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표시층은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센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층은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위에 배치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된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센서층 위에 부착된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제1 도전층 또는 상기 제2 도전층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된 전송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전송 선로를 통해 간접 급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필름 위에 배치된 보상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보상 필름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보상 필름, 및 상기 보상 필름 위에 배치된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보상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층 및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1 회로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1 회로 필름, 및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2 회로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안테나가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은 안테나 패턴 및 전송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의 상기 전송 선로들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비폴딩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영역 각각은 메인 표시면,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벤딩되며 연장된 보조 표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표시면에 배치된 추가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1 추가 안테나, 및 상기 커버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2 추가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노출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 사이에 정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비표시 영역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된 보조 표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층의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이 영상을 표시하는 방향은 상기 보조 표시층이 영상을 표시하는 방향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표시층에는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돌출된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이 정의되고,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 각각의 제1 방향의 폭보다 크고,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일부분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 각각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정의된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층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표시층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비중첩하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노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휘어져, 폴딩될 수 있다. 안테나는 표시 장치가 폴딩되었을 때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지 않는 제1 비폴딩 영역의 노출 영역에 배치 될 수 있다. 즉, 안테나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나 하우징에 의해 커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신호가 안테나로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안테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큰 손실 없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는 노출 영역에 배치된 안테나를 통해 용이하게 송신, 수신, 또는 송수신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폴딩된 표시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폴딩된 표시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폴딩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 일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안테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및 제2 전극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전극과 안테나의 거리에 따른 안테나 이득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A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BB'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표시면(DS)을 포함할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S)을 통해 이미지(IM)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폴딩 영역(FA) 및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폴더블 영역,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비폴더블 영역들로 지칭될 수 있다.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표시 장치(DD)에 순차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제1 방향(DR1)의 길이(NFA1d)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제1 방향(DR1)의 길이(NFA2d)보다 길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표시 장치(DD)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폴딩된 표시 장치(DD)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접이식(폴더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폴딩축(FX, 도 1 참조)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 장치(DD)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표시 장치(DD)의 단변에 평행한 단축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딩축(FX)은 표시 장치(DD)의 장변에 평행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폴딩 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2)은 서로 마주보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제1 비폴딩 영역(NFA1)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이 때,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되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일부를 커버 영역(CA)이라고 정의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되지 않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일부를 노출 영역(EA)이라고 정의한다. 노출 영역(EA)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DD)는 폴딩된 상태에서 노출 영역(EA)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노출 영역(EA)에 안테나(ATN)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a에는 2 개의 안테나(ATN)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안테나(ATN)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2 개의 안테나(ATN)는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노출 영역(EA)의 제2 방향(DR2) 양 끝에 위치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ATN)는 안테나 패턴(PT, 도 11 참조~) 및 안테나 패턴(PT)에 신호를 제공하는 전송 선로(TL, 도 1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PT)은 신호를 수신, 송신, 또는 송수신하는 부분으로 방사 부분 또는 방사 패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안테나(ATN)의 위치는 안테나 패턴(PT)의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ATN)는 표시 장치(DD)의 노출 영역(EA)에 배치된다. 이 경우, 표시 장치(DD)가 폴딩되더라도 안테나(ATN)는 표시 장치(DD)를 구성하는 케이스나 하우징에 의해 커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ATN)로 제공되는 신호는 노출 영역(EA)에 배치된 안테나(ATN)로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안테나(ATN)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큰 손실 없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는 노출 영역(EA)에 배치된 안테나(ATN)를 통해 용이하게 송신, 수신, 또는 송수신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표시 장치(DD-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폴딩된 표시 장치(DD-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a 및 도 2b와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되지 않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일부인 노출 영역(EA-1)은 비표시 영역(NDA) 및 복수 개의 보조 표시 영역들(ADA1, ADA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조 표시 영역들(ADA1, ADA2)은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비표시 영역(NDA),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노출 영역(EA-1)에 순차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전자 모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ATN)는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또는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ATN)는 폴딩된 상태에서도 노출된 노출 영역(EA) 일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할 수 있다. 도 3a에는 2 개의 안테나(ATN)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안테나(ATN)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안테나(ATN)는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에만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1)는 보조 표시층(AD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표시층(ADL)은 표시 장치(DD-1)가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표시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보조 표시층(ADL)은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영상을 표시하는 방향은 보조 표시층(ADL)이 영상을 표시하는 방향과 대향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1)가 폴딩된 상태에서, 보조 표시층(ADL)은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커버 영역(CA)과 중첩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2)는 보조 표시층(ADL)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보조 표시층(ADL)은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과 독립적 또는 종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표시층(ADL) 상부에 안테나(ATN)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표시 장치(DD-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노출 영역(EA-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EA-2)은 표시 장치(DD-2)가 폴딩된 상태에서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비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노출 영역(EA-2)은 비표시 영역(NDA) 및 복수 개의 보조 표시 영역(ADA1a, ADA2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a)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a), 비표시 영역(NDA),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a)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노출 영역(EA-2)에 순차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조 표시 영역(ADA1a, ADA2a) 각각은 제1 영역(DP-A1) 및 제2 영역(DP-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DP-A1)은 전자 모듈과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DP-A1)에는 투과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예를 들어, 광)은 제1 영역(DP-A1)을 통해 전자 모듈로 제공될 수 있고, 전자 모듈로부터의 출력은 제1 영역(DP-A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DP-A1)은 원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다각형, 타원, 적어도 하나의 곡선 변을 가진 도형, 또는 비정형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모듈은 카메라 모듈, 근접 센서와 같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 지문, 홍채, 또는 얼굴)을 인식하는 센서, 또는 광을 출력하는 소형 램프일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과 영역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제1 영역(DP-A1)에는 제2 영역(DP-A2)보다 더 적은 수의 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영역(DP-A1)에서 발광 소자(100PE, 도 9 참조)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투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위 면적 또는 동일한 면적 내에서 제1 영역(DP-A1)에 배치된 제1 화소의 개수는 제2 영역(DP-A2)에 배치된 제2 화소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DP-A1)의 해상도는 제2 영역(DP-A2)의 해상도의 약 1/2, 3/8, 1/3, 1/4, 2/9, 1/8, 1/9, 1/16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DP-A2)의 해상도는 약 400ppi 이상이고, 제1 영역(DP-A1)의 해상도는 약 200ppi 또는 100ppi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뿐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영역(DP-A2)은 제1 영역(DP-A1)보다 낮은 투과율을 갖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DP-A1)에는 안테나(ATN)가 배치되지 않고, 제2 영역(DP-A2)에 안테나(ATN)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a)은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a)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a)과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a)을 모두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2)는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a)만 포함할 수 있거나 제2 보조 표시 영역만(ADA2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a)은 제1 영역(DP-A1)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3)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폴딩된 표시 장치(DD-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a 및 도 2b와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3)는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표시면(DS)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있다. 표시 장치(DD-4)는 표시면(DS)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비표시 영역(NDA)에는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없다.
표시면(DS)은 메인 표시 영역(MDSp),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 각각은 메인 표시 영역(MDSp)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 각각은 메인 표시 영역(MDSp)으로부터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 각각과 메인 표시 영역(MDSp)은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의 제2 방향(DR2)의 폭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의 제2 방향(DR2)의 폭 각각은 메인 표시 영역(MDS)의 제2 방향(DR2)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 영역(FA)이 폴딩되면,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일부와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중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3)가 폴딩된 상태에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노출 영역(EA-3)이 정의될 수 있다. 노출 영역(EA-3)은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비표시 영역(NDA),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 및 메인 표시 영역(MDA)의 일부분(MDA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3)가 폴딩된 상태에서,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 및 메인 표시 영역(MDA)의 일부분(MDAp)을 통해 이미지가 표시되며, 메인 표시 영역(MDA)의 일부분(MDAp)에는 한 줄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화, 문자, 시계, 날짜의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 영역(MDA)의 일부분(MDAp)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고, 아이콘들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안테나(ATN)는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및 메인 표시 영역(MDA)의 일부분(MDAp)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2 보조 표시 영역(ADA2) 및 메인 표시 영역(MDA)의 일부분(MDAp)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5b에는 2 개의 안테나(ATN)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안테나(ATN)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안테나(ATN)는 제1 보조 표시 영역(ADA1) 및 메인 표시 영역(MDA)의 일부분(MDAp)에 중첩하는 부분에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5)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4)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 장치(DD-4)가 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4)는 노출 영역(EA)에 배치된 안테나(ATN),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1 추가 안테나(ATNad1), 및 커버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2 추가 안테나(ATNa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가 안테나(ATNad1)는 폴딩 시에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되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양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추가 안테나(ATNad2)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일부와 중첩되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양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4)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ATN, ATNad1, ATNad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9개의 안테나들(ATN, ATNad1, ATNad2)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안테나들(ATN, ATNad1, ATNad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4)는 9개보다 많은 복수 개의 안테나들(ATN, ATNad1, ATNad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5)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5)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 장치(DD)가 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5)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메인 표시 영역(MDA) 및 보조 표시면(ADS1, ADS2, ADS3, ADS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미지(IM)의 예시로, 시계 및 날짜 이미지가 도시되었다.
보조 표시면(ADS1, ADS2, ADS3, ADS4)은 제1 보조 표시면(ADS1), 제2 보조 표시면(ADS2), 제3 보조 표시면(ADS3), 및 제4 보조 표시면(AD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면(ADS1)은 메인 표시 영역(MDA)의 제 1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보조 표시면(ADS2)은 메인 표시 영역(MDA)의 제 2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보조 표시면(ADS3)은 메인 표시 영역(MDA)의 제 3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4 보조 표시면(ADS4)은 메인 표시 영역(MDA)의 제 4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면(ADS1), 제2 보조 표시면(ADS2), 제3 보조 표시면(ADS3), 제4 보조 표시면(ADS4) 각각은 제3 방향(DR3) 상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면(ADS1)과 제3 보조 표시면(ADS3)은 폴딩 영역(FA)과 중첩하는 부분에서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 표시 영역(MDA)에서 표시되는 제1 이미지와 보조 표시면(ADS1, ADS2, ADS3, ADS4)에서 표시되는 제2 이미지는 서로 종속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조합에 의해 하나의 그림, 영화의 한 장면, 또는 UI/UX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진 보조 표시면(ADS1, ADS2, ADS3, ADS4)에 의해 표시 장치(DD-5)의 심미감이 향상되고,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비표시 영역(NDA)의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표시 장치(DD-5)는 노출 영역(EA)에 배치된 안테나(ATN) 및 보조 표시면(ADS1, ADS2, ADS3, ADS4)에 배치된 추가 안테나(ATNa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면(ADS1)에 복수 개의 추가 안테나들(ATNad)이 배치될 수 있고, 제4 보조 표시면(ADS4)에 복수 개의 추가 안테나들(ATNad)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제1 보조 표시면(ADS1)에 배치된 3개의 추가 안테나들(ATNad), 제4 보조 표시면(ADS4)에 2개의 추가 안테나들(ATNad)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추가 안테나들(ATNad)의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5)는 5개보다 많은 복수 개의 추가 안테나들(ATNad)을 제2 보조 표시면(ADS2) 또는 제3 보조 표시면(ADS3)에 배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광학 필름(PF), 안테나(ATN), 및 윈도우(W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층(DPL) 및 표시층(DPL) 위에 배치된 센서층(ISL)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ATN)는 센서층(ISL)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들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부재들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 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층들 역시 이와 동일한 물질, 통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층(DPL) 및 표시층(DPL) 위에 배치된 센서층(IS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층(DPL)은 영상을 실질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층(DPL)은 발광형 표시층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층(DPL)은 유기발광 표시층, 무기발광 표시층, 유기-무기발광 표시층, 퀀텀닷 표시층,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층, 또는 나노 엘이디 표시층일 수 있다.
센서층(ISL)은 표시층(DP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층(ISL)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층(ISL)은 표시층(DPL)에 부착된 외장형 센서일 수도 있고, 센서층(ISL)은 표시층(DPL)의 제조 공정 중에 연속하여 형성된 일체형 센서일 수 있다.
광학 필름(PF)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광학 필름(PF)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름(PF)은 적어도 편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필름(PF)은 접착층을 통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광학 필름(PF)은 컬러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은 소정의 배열을 가질 수 있다. 표시층(DPL)에 포함된 화소들의 발광 컬러들을 고려하여 컬러필터들의 배열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PF)은 컬러필터들에 인접한 블랙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필름(PF)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접착층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광학 필름(PF)은 상쇄간섭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쇄간섭 구조물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제1 반사층과 제2 반사층을 포함할 있다. 제1 반사층 및 제2 반사층에서 각각 반사된 제1 반사광과 제2 반사광은 상쇄간섭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광 반사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필름(PF)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접착층은 생략될 수 있다.
안테나(ATN)는 센서층(ISL)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ATN)는 무선 통신 신호,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송신, 수신, 또는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ATN)는 무선 주파수 소자(radio frequency device)로 지칭될 수 있다. 안테나(ATN)는 복수의 패치부들(또는 복수의 방사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패치부들은 서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송신, 수신, 또는 송수신하거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송신, 수신 또는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ATN)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윈도우(WM)는 광학필름(PF)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다층 구조 또는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의 단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표시층(DPL)은 베이스층(110), 회로층(120), 발광 소자층(130), 및 봉지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0)은 회로층(120)이 배치되는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부재일 수 있다. 베이스층(110)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 등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층(110)은 무기층, 유기층 또는 복합재료층일 수 있다.
베이스층(110)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110)은 제1 합성 수지층, 상기 제1 합성 수지층 위에 배치된 실리콘 옥사이드(SiOx)층,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층 위에 배치된 아몰퍼스 실리콘(a-Si)층, 및 상기 아몰퍼스 실리콘층 위에 배치된 제2 합성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층 및 상기 아몰퍼스 실리콘층은 베이스 배리어층이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합성 수지층들 각각은 폴리이미드(polyimide)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합성 수지층들 각각은 아크릴(acrylate)계 수지, 메타크릴(methacrylate)계 수지, 폴리아이소프렌(polyisoprene)계 수지, 비닐(vinyl)계 수지, 에폭시(epoxy)계 수지, 우레탄(urethane)계 수지, 셀룰로오스(cellulose)계 수지, 실록산(siloxane)계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수지 및 페릴렌(perylene)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 계 수지는 “~~” 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층(1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형성된다. 무기층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층의 무기층들은 배리어층 및/또는 버퍼층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층(DPL)은 버퍼층(BFL)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110)과 반도체 패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버퍼층(BFL)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L)은 실리콘옥사이드층과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버퍼층(BF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도체 패턴은 비정질실리콘, 저온다결정실리콘, 또는 산화물반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에는 일부의 반도체 패턴을 도시한 것일 뿐이고, 다른 영역에 반도체 패턴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화소들에 걸쳐 특정한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도핑 여부에 따라 전기적 성질이 다를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전도율이 높은 제1 영역과 전도율이 낮은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N형 도판트 또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될 수 있다. P타입의 트랜지스터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된 도핑영역을 포함하고, N타입의 트랜지스터는 N형 도판트로 도핑된 도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비-도핑 영역이거나, 제1 영역 대비 낮은 농도로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의 전도성은 제2 영역의 전도성보다 크고, 실질적으로 제1 영역은 전극 또는 신호 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실질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영역(또는 채널)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도체 패턴의 일부분은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영역일수 있고, 다른 일부분은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일 수 있고, 또 다른 일부분은 연결 전극 또는 연결 신호라인일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7개의 트랜지스터들, 하나의 커패시터, 및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등가회로를 가질 수 있으며, 화소의 등가회로도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화소에 포함되는 하나의 트랜지스터(100PC) 및 발광 소자(100PE)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트랜지스터(100PC)의 소스(SC), 액티브 영역(AL, 또는 액티브, 활성 영역), 및 드레인(DR)이 반도체 패턴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소스(SC) 및 드레인(DR)은 단면 상에서 액티브 영역(AL)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에는 반도체 패턴으로부터 형성된 연결 신호 배선(SCL)의 일부분을 도시하였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신호 배선(SCL)은 평면 상에서 트랜지스터(100PC)의 드레인(DR)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버퍼층(BF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으로 중첩하며, 반도체 패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10)은 단층의 실리콘옥사이드층일 수 있다. 제1 절연층(10)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회로층(120)의 절연층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무기층은 상술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트랜지스터(100PC)의 게이트(GT)는 제1 절연층(10) 위에 배치된다. 게이트(GT)는 금속 패턴의 일부분일 수 있다. 게이트(GT)는 액티브 영역(AL)에 중첩한다. 반도체 패턴을 도핑하는 공정에서 게이트(GT)는 마스크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제1 절연층(10) 위에 배치되며, 게이트(GT)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화소들에 공통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20)은 실리콘옥사이드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절연층(30)은 제2 절연층(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30)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절연층(30)은 실리콘옥사이드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NE1)은 제3 절연층(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NE1)은 제1, 제2, 및 제3 절연층(10, 20, 3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1)을 통해 연결 신호 배선(SCL)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절연층(40)은 제3 절연층(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40)은 단층의 실리콘 옥사이드층일 수 있다. 제5 절연층(50)은 제4 절연층(4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절연층(50)은 유기층일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은 제5 절연층(5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은 제4 절연층(40) 및 제5 절연층(5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2)을 통해 제1 연결 전극(CNE1)에 접속될 수 있다.
제6 절연층(60)은 제5 절연층(50) 위에 배치되며, 제2 연결 전극(CNE2)을 커버할 수 있다. 제6 절연층(60)은 유기층일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0)은 회로층(1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0)은 발광 소자(100P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층(130)은 유기 발광 물질, 퀀텀닷, 퀀텀 로드, 마이크로 엘이디, 또는 나노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발광 소자(100PE)가 유기 발광 소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소자(100PE)는 제1 전극(AE), 발광층(EL), 및 제2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6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3)을 통해 제2 연결 전극(CNE2)에 접속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70)은 제6 절연층(60) 위에 배치되며, 제1 전극(AE)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70)에는 개구부(70-OP)가 정의된다. 화소 정의막(70)의 개구부(70-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표시면(DS, 도 1 참조) 및 보조 표시층(ADL, 도 3a 참조)은 발광 영역(PXA)과 발광 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PXA)은 발광 영역(PXA)을 에워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영역(PXA)은 개구부(70-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발광층(EL)은 제1 전극(AE)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L)은 개구부(70-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L)은 화소들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L)이 화소들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발광층들(EL) 각각은 청색, 적색, 및 녹색 중 적어도 하나의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층(EL)은 화소들에 연결되어 공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층(EL)은 청색 광을 제공하거나, 백색 광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전극(CE)은 발광층(E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일체의 형상을 갖고,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전극(AE)과 발광층(EL) 사이에는 정공 제어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은 발광 영역(PXA)과 비발광 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은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L)과 제2 전극(CE) 사이에는 전자 제어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은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과 전자 제어층은 오픈 마스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발광 소자층(1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무기층, 유기층, 및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봉지층(140)을 구성하는 층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층들은 수분 및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층(130)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층(130)을 보호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층(ISL)은 베이스층(150), 제1 도전층(160), 감지 절연층(170), 제2 도전층(180), 및 커버 절연층(19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50)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옥사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층일 수 있다. 또는 베이스층(150)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이미드 계열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층일 수도 있다. 베이스층(150)은 단층 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층(160) 및 제2 도전층(180)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층구조의 도전층은 금속층 또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산화아연(zinc oxide, ZnO), 또는 인듐아연주석산화물(indium zinc tin oxide, IZTO)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투명 도전층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들은 예컨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 및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절연층(170) 및 커버 절연층(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절연층(170) 및 커버 절연층(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의 단면도 일부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안테나(ANT)는 안테나 패턴(PT) 및 안테나 패턴(PT) 아래에 배치된 그라운드 패턴(GP)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PT) 및 그라운드 패턴(GP)은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안테나 패턴(PT)은 센서층(ISL, 도 9 참조)의 제2 도전층(180)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PT)은 제2 도전층(180)과 동일한 물질로 제2 도전층(18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 패턴(PT)은 방사 부분 또는 방사 패턴으로 지칭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GP)은 안테나 패턴(PT)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패턴(GP)은 제1 도전층(160)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GP)은 제1 도전층(160)과 동일한 물질로 제1 도전층(16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패턴(GP)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안테나(ATN)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안테나(ATN)는 안테나 패턴(PT), 안테나 패턴(PT)에 연결된 전송 선로(TL), 및 그라운드 패턴(GP)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GP)의 크기는 안테나 패턴(PT)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GP)의 제1 변(GPL1) 및 안테나 패턴(PT)의 제1 변(PTL1)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할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GP)의 제2 변(GPL2) 및 안테나 패턴(PT)의 제2 변(PTL2)은 제2 방향(DR2)과 평행할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의 제1 변(GPL1) 및 제2 변(GPL2) 각각은 서로 직교할 수 있고, 안테나 패턴의 제1 변(PTL1) 및 제2 변(PTL2) 각각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GP)의 제 1변(GPL1)은 안테나 패턴(PT)의 제1 변(PTL1)보다 길고, 그라운드 패턴(GP)의 제2 변(GPL2)은 안테나 패턴(PT)의 제2 변(PTL2)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패턴(GP)의 제1 변(GPL1)이 안테나 패턴(PT)의 제1 변(PTL1)보다 2배 더 길 수 있고, 그라운드 패턴(GP)의 제2 변(GPL2)은 안테나 패턴(PT)의 제2 변(PTL2)보다 2배 더 길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ATN-1) 및 제2 전극(CE)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안테나(ATN-1)는 직렬 연결된 안테나 패턴들(PT-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안테나(ATN-1)가 4개의 안테나 패턴들(PT-1)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안테나(ATN-1)를 구성하는 안테나 패턴들(PT-1)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안테나(ATN-1)는 하나의 안테나 패턴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2 개 이상의 안테나 패턴들(ATN-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안테나(ATN)는 도 12에 도시된 안테나(ATN-1)와 같이 서로 직렬 연결된 안테나 패턴들(PT-1)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안테나들(ATN) 중 일부는 하나의 안테나 패턴(PT)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일부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안테나 패턴들(PT-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안테나 패턴들(PT-1)은 표시 패널(DP)의 제2 전극(CE)과 소정 거리(CAD)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CAD)는 제3 방향(DR3)과 나란한 거리일 수 있다.
도 13은 제2 전극(CE)과 안테나(ATN-1)의 거리에 따른 안테나 이득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제2 전극(CE)과 안테나(ANT-1)의 안테나 패턴(PT-1) 사이의 거리(CAD)에 따라 측정된 안테나 이득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제2 전극(CE)과 안테나 패턴(PT-1) 사이의 거리(CAD)이고, 세로축은 안테나(ATN-1) 이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ATN-1)의 이득을 고려하여, 안테나(ATN-1)와 제2 전극(CE)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ATN-1)가 가져야 할 최소 이득이 5dBi 인 경우, 제2 전극(CE)과 안테나(ATN-1) 사이의 거리(CAD)는 150 마이크로미터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6)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6)는 표시 패널(DP), 광학 필름(PF), 보상 필름(CF), 및 안테나(ATN-1)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름(PF)은 표시 패널(DP) 위에 부착될 수 있고, 보상 필름(CF)은 광학 필름(PF) 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보상 필름(CF) 위에 안테나(ATN-1)가 부착될 수 있다.
보상 필름(CF)은 제2 전극(CE)과 안테나(ATN-1)사이의 거리(CAD)를 증가시키기 위해 표시 패널(DP)과 안테나(ATN-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상 필름(CF)은 투명한 투명 필름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보상 필름(CF)의 위치가 도 14의 도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 보상 필름(CF), 광학 필름(PF) 및 안테나(ATN-1)는 제3 방향(DR3)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7)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7)는 표시 패널(DP), 보상 필름(CF), 안테나(ATN-1), 및 광학 필름(PF)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ATN-1)는 광학 필름(PF)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상 필름(CF)은 제2 전극(CE)과 안테나(ATN-1)사이의 거리(CAD)를 증가시키기 위해 표시 패널(DP)과 안테나(ATN-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상 필름(CF)은 표시 패널(DP) 위에 부착 될 수 있고, 안테나(ATN-1)는 보상 필름(CF) 위에 부착될 수 있다. 광학 필름(PF)은 안테나(ATN-1) 위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전극(CE) 및 안테나(ATN-2)가 도시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ATN-2)는 제2 전극(CE)과 비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ATN-2)의 형상은 안테나(ATN-2)가 제2 전극(CE)과 비중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안테나(ATN-2)가 제2 전극(CE)과 비중첩함에 따라, 안테나(ATN-2)가 받는 제2 전극(CE)에 의한 노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안테나(ATN-2)의 수신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안테나(ATN-3)에 대응하여 제2 전극(CEa)의 일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제2 전극(CEa)에는 안테나(ATN-3)와 중첩하는 개구(CE-OP)가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ATN-3)는 제2 전극(CE)과 비중첩할 수 있다. 안테나(ATN-3)가 제2 전극(CE)과 비중첩함에 따라, 안테나(ATN-3)가 받는 제2 전극(CE)에 의한 노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안테나(ATN-3)의 수신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8)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8)는 표시층(DPL), 센서층(ISL), 안테나(ATN-4),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 및 광학 필름(PF)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ATN-4)는 베이스 필름(COP), 베이스 필름(COP)의 일면 상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PT-4), 및 전송 선로(TL-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선로(TL-4)는 센서층(ISL)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선로(TL-4)는 도 9에 도시된 제1 도전층(160, 도 9 참조) 또는 제2 도전층(180, 도 9 참조)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PT-4)이 배치된 베이스 필름(COP)은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에 의해 센서층(ISL)에 부착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PT-4)과 전송 선로(TL-4)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PT-4)은 전송 선로(TL-4)를 통해 간접 급전 또는 커플링 급전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9)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9)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표시층(DPL)은 제1 면(SF1) 및 제2 면(SF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FS1) 및 제2 면(SF2)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면(SF1)은 표시층(DPL)의 상면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면(FS2)은 표시층(DPL)의 하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센서층(ISL)은 감지 영역(SP) 및 안테나 영역(AP)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층(ISL)은 제1 면(SF1)과 마주할 수 있다.
하부층(MP)은 제2 면(SF2)과 마주할 수 있다. 하부층(MP)은 표시층(DPL)을 사이에 두고 센서층(ISL)과 제3 방향(DR3)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부층(MP)에는 개구부(OP-MP)가 정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개구부(OP-MP)는 안테나 패턴(PT)과 중첩할 수 있다.
구동칩(IC)은 하부층(M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칩(IC)은 안테나 패턴(PT)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동칩(IC)은 안테나 패턴(PT)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칩(IC)은 안테나 영역(AP)에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 패턴들(PT) 각각에 급전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복수의 안테나 패턴들(PT)의 빔 조향을 조절할 수 있고, 특정한 방향으로 주파수 신호를 집중시켜 에너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방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방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칩(IC)은 빔포밍 칩(IC)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전송부(FP)는 하부층(MP)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전송부(FP)는 개구부(OP-MP)와 중첩할 수 있다. 전송부(FP)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에는 구동칩(IC)이 배치될 수 있다. 전송부(FP)는 벤딩되고, 전송부(FP)의 상기 제2 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전송부(FP)는 그라운드 코플래너 선로(Ground Coplanar Wave guide, GCPW)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송부(FP)의 상기 제1 면에는 제1 홈(HM1) 및 제1 홈(HM1)과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된 제2 홈(HM2)이 정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제1 홈(HM1) 및 제2 홈(HM2)은 개구부(OP-MP)와 중첩할 수 있다.
전송부(FP) 및 하부층(MP)은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전송부(FP) 및 하부층(MP)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는 전송부(FP) 및 하부층(MP)을 접착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는 감압 접착 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접착 부재는 개구부(OP-MP)와 비중첩할 수 있다.
구동칩(IC)은 제1 홈(HM1) 및 제2 홈(HM2) 사이에 배치된 전송 선로(TL)를 통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전송 선로(TL)는 개구부(OP-MP)와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하부층(MP)에 정의된 개구부(OP-MP)를 통해 안테나 패턴(PT)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는 개구부(OP-MP)를 통해 안테나 패턴(PT)으로 방사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개구부(OP-MP)를 통해 안테나 패턴(PT)에 간접 급전될 수 있다. 상기 간접 급전된다는 것은 신호가 안테나 패턴(PT)에 직접 연결되는 구성이 없이 전송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장치(DD-9)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인 하부층(MP)에 정의된 개구부(OP-MP)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PT)에 급전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9)는 안테나 패턴(PT)에 급전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9)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부(FP)는 표시층(DPL) 아래에 배치된 하부층(MP)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표시층(DPL)과 광학 필름(PF) 사이에 안테나 패턴(PT)에 급전하기 위해 구동칩(IC)과 연결되는 구성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9)의 이미지 표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센서층(ISL)과 광학 필름(PF) 사이에 안테나 패턴(PT)에 급전하기 위해 구동칩(IC)과 연결되는 구성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9)의 외부 입력 감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10)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베이스층(110)에는 제1 베이스 영역(101), 제2 베이스 영역(102), 및 제3 베이스 영역(103)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영역(101)은 도 9에 도시된 발광 영역(PXA) 및 비발광 영역(NPXA)과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 영역(101)은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표시 영역(DS)과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베이스 영역(102)은 제1 베이스 영역(101)의 제1 엣지 부분(101e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3 베이스 영역(103)은 제2 베이스 영역(10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영역(102)은 추후 표시 장치(DD, 도 1 참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1 베이스 영역(101)의 배면을 향해 벤딩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에서 제3 베이스 영역(103)은 제1 베이스 영역(10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층(ISL, 도 9 참조)은 상호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자기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층(ISL, 도 9 참조)은 복수의 제1 감지 전극들(310, 이하 제1 감지 전극들), 복수의 제2 감지 전극들(320, 이하 제2 감지 전극들), 복수의 감지 배선들(330, 이하 감지 배선들), 및 복수의 감지 패드들(340, 이하 감지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들(310, 320) 각각은 제1 도전층(160, 도 9 참조) 및/또는 제2 도전층(180, 도 9 참조)에 포함된 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310) 및 제2 감지 전극들(320)은 표시면(DS)에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센서층(300)은 제1 감지 전극들(310)과 제2 감지 전극들(320) 사이의 상호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310)은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310)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들(320)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들(320)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310) 각각은 복수의 감지 패턴들(311) 및 복수의 감지 패턴들(311)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감지 패턴들(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브릿지 패턴(3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패턴들(311)과 브릿지 패턴(312)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 패턴(312)이 제1 감지 도전층(302)에 포함된 경우, 복수의 감지 패턴들(311)은 제2 감지 도전층(304)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브릿지 패턴(312)이 제2 감지 도전층(304)에 포함된 경우, 복수의 감지 패턴들(311)은 제1 감지 도전층(302)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들(320) 각각은 복수의 제1 부분들(321) 및 복수의 제1 부분들(321) 중 서로 인접한 제1 부분들(321) 사이에 정의된 제2 부분(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들(321)은 감지 부분들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부분(322)은 연결 부분, 또는 교차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부분들(321)과 제2 부분(322)은 서로 연결된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322)은 제2 감지 전극들(320) 각각에서 브릿지 패턴(312)과 교차하는 일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부분들(321)과 제2 부분(322)은 서로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부분들(321)과 제2 부분(322)은 복수의 감지 패턴들(311)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310) 및 제2 감지 전극들(320) 각각은 감지 배선들(33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감지 전극(310)은 2 개의 감지 배선들(3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310)의 일단에는 하나의 감지 배선(3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감지 전극(310)의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감지 배선(3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제2 감지 전극(320)에는 하나의 감지 배선(3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1 감지 전극들(310) 및 제2 감지 전극들(320)에 대한 감지 배선들(330)의 연결 관계가 도시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 패드들(340)은 감지 배선들(330)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감지 패드들(340)은 제3 베이스 영역(10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ATN-5)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1에서는 4 개의 안테나들(ATN-5)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에 포함된 안테나들(ATN-5)의 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안테나들(ATN-5) 각각은 안테나 패턴(PT) 및 전송 선로(TL-5)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들(PT)은 제2 도전층(180, 도 9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들(PT)은 노출 영역(EA, 도 1 참조) 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전송 선로들(TL-5)은 안테나 패턴들(PT)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패드들(430)은 전송 선로들(TL-5)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패드들(430)은 제3 베이스 영역(10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베이스 영역(103) 위에는 구동칩 패드들(21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구동칩 패드들(210)에는 구동칩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칩은 베이스층(110) 위에 실장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구동칩 패드들(210)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구동칩이 실장된 필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회로 필름(FPC1)은 제3 베이스 영역(103)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회로 필름(FPC1)은 표시층(DPL) 및 안테나(ATN)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표시 패널(DP)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회로 필름(FPC1)은 표시 패널(DP)의 배면으로 벤딩될 수 있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11)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1과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2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2을 참조하면, 베이스층(110a)에는 제1 베이스 영역(101), 제2 베이스 영역(102), 제3 베이스 영역(103), 제4 베이스 영역(104), 및 제5 베이스 영역(105)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영역(101)은 도 9에 도시된 발광 영역(PXA) 및 비발광 영역(NPXA)과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베이스 영역(102)은 제1 베이스 영역(101)의 제1 엣지 부분(101e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3 베이스 영역(103)은 제2 베이스 영역(10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4 베이스 영역(104)은 제1 베이스 영역(101)의 제2 엣지 부분(101e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5 베이스 영역(105)은 제4 베이스 영역(10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베이스 영역(102) 및 제4 베이스 영역(104) 각각은 벤딩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DD, 도 1 참조) 조립 공정 중에 제1 베이스 영역(101)의 배면을 향해 벤딩되는 영역들일 수 있다.
도 22에서는 제1 엣지 부분(101e1)과 제2 엣지 부분(101e2) 각각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하며,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엣지 부분(101e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베이스 영역(101)의 하나의 엣지일 수 있고, 제2 엣지 부분(101e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베이스 영역(101)의 하나의 엣지일 수도 있다.
베이스층(110a) 위에는 복수의 안테나들(ATN-6), 복수의 전송 선로들(TL-6), 및 복수의 안테나 패드들(430a)이 배치될 수 있다.
전송 선로들(TL-6)은 안테나들(ATN-6)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패드들(430a)은 전송 선로들(TL-6)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패드들(430a)은 제5 베이스 영역(105)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패드들(430a)과 감지 패드들(340)은 서로 다른 베이스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안테나 패드들(430a)이 배치될 영역이 감지 패드들(340)이 배치될 영역과 별개로 제공됨에 따라, 공정 자유도가 더 향상될 수 있다.
제1 회로 필름(FPC1a)은 제3 베이스 영역(103)에 부착되고, 제2 회로 필름(FPC2a)은 제5 베이스 영역(105)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회로 필름(FPC1a)은 표시 패널(D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로 필름(FPC2a)은 안테나(ATN-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 필름(FPC1a) 및 제2 회로 필름(FPC2a)은 표시 패널(DP)의 배면으로 벤딩될 수 있다.
안테나(ATN-6)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2 회로 필름(FPC2a)은 안테나(ATN-6)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선로들(TL-6)의 길이가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신호가 전송 선로들(TL-6)에 의해 손실 또는 감쇄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A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를 참조하면, 감지 패턴들(311), 제1 부분들(321), 제2 부분들(322), 안테나 패턴(PT), 및 보조 패턴(BP)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PT)이 배치됨에 따라, 감지 패턴들(311)의 일부분 및 제1 부분들(321)의 일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보조 패턴(BP)은 안테나(ATN-5) 주변의 터치 센서들의 감도가 낮아지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서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패턴(BP)은 메쉬 구조를 갖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패턴(BP)은 자기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상호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패턴(BP)은 자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 하여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보조 패턴(BP)은 제2 감지 전극들(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 패턴(BP) 주변을 둘러싸는 감지 패턴들(311)과 상호 정전 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패턴(BP)과 감지 패턴들(311) 사이에 형성된 정전 용량 변화를 통해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BB'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에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ATN-6)이 제공될 수 있다. 빔 포밍을 위해 복수 개의 안테나들(ATN-6)은 개별 구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테나들(ATN-6)은 제1 내지 제4 안테나들(ATN-6a, ATN-6b, ATN-6c, ATN-6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안테나들(ATN-6a, ATN-6b, ATN-6c, ATN-6d)은 제1 내지 제4 안테나 패턴들(PTa, PTb, PTc, PTd) 및 제1 내지 제4 전송 선로들(TLa, TLb, TLc, TLd)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PTa)은 제1 전송 선로(TLa)와 연결되고, 제2 안테나 패턴(PTb)은 제2 전송 선로(TLb)와 연결되고, 제3 안테나 패턴(PTc)은 제3 전송 선로(TLc)와 연결되고, 제4 안테나 패턴(PTd)은 제4 전송 선로(TLd)와 연결된다.
전송 선로의 길이에 따라 신호의 위상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위상 변화를 갖게 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전송 선로들(TLa, TLb, TLc, TLd)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전송 선로들(TLb, TLc)은 제1 및 제4 전송 선로들(TLa, TLb, TLc, TLd)과 동일한 길이를 갖기 위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4는 제1 및 제4 전송 선로(TLa, TLd)가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고, 제2 및 제3 전송 선로(TLb, TLc)가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4 전송 선로들(TLa, TLb, TLc, TLd)은 서로 대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ATN: 안테나
NFA1: 제1 비표시 영역 NFA2: 제2 비표시 영역
FA: 폴딩 영역 FX: 폴딩축
CA: 커버 영역 EA: 노출 영역
DS: 표시면 NDA: 비표시 영역

Claims (20)

  1.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층;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은 상기 표시층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의해 커버되는 커버 영역, 및 상기 커버 영역과 인접한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노출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센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층은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위에 배치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된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 도전층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 도전층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며 그라운드된 그라운드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패턴의 크기는 상기 안테나 패턴의 크기보다 큰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층의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안테나 패턴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보조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은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위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제2 전극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개구가 정의된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센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층은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위에 배치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된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센서층 위에 부착된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제1 도전층 또는 상기 제2 도전층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된 전송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전송 선로를 통해 간접 급전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필름 위에 배치된 보상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보상 필름 위에 배치된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 위에 배치된 보상 필름; 및
    상기 보상 필름 위에 배치된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보상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 및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1 회로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1 회로 필름; 및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부착된 제2 회로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은 안테나 패턴 및 전송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의 상기 전송 선로들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폴딩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영역 각각은 메인 표시면,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벤딩되며 연장된 보조 표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표시면에 배치된 추가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1 추가 안테나; 및
    상기 커버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2 추가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 사이에 정의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비표시 영역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된 보조 표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층의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이 영상을 표시하는 방향은 상기 보조 표시층이 영상을 표시하는 방향과 대향하는 표시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에는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돌출된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이 정의되고,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 각각의 제1 방향의 폭보다 크고, 상기 노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일부분 및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표시 영역들 각각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정의된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층;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표시층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비중첩하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노출 영역에 배치된 표시 장치.
KR1020210075691A 2021-06-10 2021-06-10 표시 장치 KR20220166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691A KR20220166901A (ko) 2021-06-10 2021-06-10 표시 장치
US17/678,889 US11950483B2 (en) 2021-06-10 2022-02-23 Display device
CN202210644294.6A CN115472646A (zh) 2021-06-10 2022-06-08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691A KR20220166901A (ko) 2021-06-10 2021-06-10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01A true KR20220166901A (ko) 2022-12-20

Family

ID=8436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691A KR20220166901A (ko) 2021-06-10 2021-06-1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50483B2 (ko)
KR (1) KR20220166901A (ko)
CN (1) CN115472646A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04963A1 (en) * 2000-03-31 2002-09-30 Glenn Rolus Borgward Universal digital mobile device
US8704803B2 (en) * 2004-08-27 2014-04-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display device
KR101818970B1 (ko) 2011-02-10 2018-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7496B1 (ko) * 2013-10-07 2020-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8437B1 (ko) * 2014-11-21 202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전자 장치
US10418687B2 (en) * 2016-07-22 2019-09-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illimeter wave antennas on printed circuits
US20180136837A1 (en) * 2016-11-17 2018-05-17 Donald Butler Curchod Advanced virtual keyboard
CN116583131A (zh) 2017-04-26 2023-08-11 Oti照明公司 用于图案化表面上覆层的方法和包括图案化覆层的装置
USD895639S1 (en) 2017-09-10 2020-09-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158929B2 (en) * 2017-09-29 2021-10-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Antenna placement arrangements on device with extendable display
KR102514547B1 (ko) 2018-07-16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90757B1 (ko) 2018-10-04 2020-12-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9375822B (zh) * 2018-12-07 2022-04-08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屏、触控显示屏及移动终端
KR102639926B1 (ko) 2019-04-09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공간이 확장되는 전자장치
KR20200143628A (ko) 2019-06-13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275473B2 (en) 2019-06-13 2022-03-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000196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折叠屏终端的天线模组及终端
WO2021049908A1 (ko) * 2019-09-11 2021-03-18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15557A1 (ko) * 2020-04-23 202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EP4214802A1 (en) * 2020-10-07 2023-07-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device and a method for an antenna with a cavity extension
CN112863350B (zh) * 2021-01-19 2023-0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472646A (zh) 2022-12-13
US11950483B2 (en) 2024-04-02
US20220399406A1 (en)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5032B2 (en) Display device
US11169644B2 (en) Electronic device
KR20210012086A (ko) 표시 장치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US11757194B2 (en) Electronic device
US11837776B2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45604A (ko) 전자 장치
KR20220033558A (ko) 전자 장치
EP3890108A1 (en) Display device
KR20220166901A (ko) 표시 장치
KR20210130332A (ko) 전자 장치
KR20220097703A (ko) 전자 장치
KR20220030409A (ko) 무선 주파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31069B2 (en) Electronic device
US11662782B2 (en) Electronic device
US11943991B2 (en) Electronic device
US20230180573A1 (en) Electronic device
US11513652B2 (en) Display device
US2023028085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input sensor and an optical sensor
US20230336650A1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230139836A (ko) 전자 장치
KR20230097263A (ko) 전자 장치
CN116805760A (zh) 电子装置
KR20230036600A (ko) 전자 장치
KR20240041410A (ko)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