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301A - 내시경 장치용 록킹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내시경 장치용 록킹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301A
KR20220166301A KR1020227038547A KR20227038547A KR20220166301A KR 20220166301 A KR20220166301 A KR 20220166301A KR 1020227038547 A KR1020227038547 A KR 1020227038547A KR 20227038547 A KR20227038547 A KR 20227038547A KR 20220166301 A KR20220166301 A KR 2022016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guration
actuator
handle
lev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반 와일더
스코트 이 브렉비엘
제임스 웰던
브리짓 스탠포드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61B1/0004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for mechani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8Flexible endoscopes using shape-memo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 A61B1/2736Gast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8Deflecting means for inserted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의료 장치가, 환자의 신체 루멘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의 원위 단부는 의료 장치의 배향을 변경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는 엘리베이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작동기의 활성화는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결합 부분은, 핸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서, 핸들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작동기를 향해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기 또는 결합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힘은 핸들이 (a) 결합 부분이 작동기와 상호 작용하여 결합 부분에 대한 작동기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구성과 (b) 작동기가 결합 부분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장치용 록킹 메커니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2020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06,784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개시 내용의 다양한 양태는 일반적으로 의료 장치의 구성요소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 개시 내용은 십이지장경의 핸들의 구성요소를 록킹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십이지장경은 핸들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핸들 부분은 조작자에 의해서 파지될 수 있고 조향, 흡입, 물, 공기, 광, 및 화상화와 같은 기능을 위한 제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십이지장경은 또한, 대상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십이지장경은 대상 내로의 삽입에 적합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삽입 부분은 하나 이상의 루멘(lumen)을 포함할 수 있다. 십이지장경의 삽입 가능 부분의 루멘은, 기능, 예를 들어 공기, 물, 흡입, 전기, 데이터, 광, 및/또는 화상을 이송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툴이 또한 샤프트의 작업 채널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툴은 십이지장경의 핸들 내의 또는 부근의 포트에 의해서 작업 채널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십이지장경의 원위 선단부는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툴의 배향을 변경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레버와 같은 핸들 내의 제어 메커니즘을 통해서 제어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양태의 각각은 다른 개시된 양태 중 임의의 양태와 함께 설명되는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장치는 환자의 신체 루멘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의 원위 단부는 의료 장치의 배향을 변경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이 핸들 본체를 가질 수 있다. 핸들은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는 엘리베이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작동기의 활성화는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작동기는 사용자에 의해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분은, 핸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서, 핸들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작동기를 향해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기 또는 결합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힘은 핸들이 (a) 결합 부분이 작동기와 상호 작용하여 결합 부분에 대한 작동기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구성과 (b) 작동기가 결합 부분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게 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의료 장치는 이하의 특징 중 임의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는 핸들 본체의 표면을 향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 부분은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성에서, 돌출부는 후크와 결합될 수 있다. 후크가 이동되어, 핸들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전환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후크는, 적어도 핸들의 제1 구성에서 핸들 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부분, 및 적어도 핸들의 제1 구성에서 핸들 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은 핸들의 제1 구성에서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부분은, 핸들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분은 형상 기억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제2 부분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돌출부를 제1 부분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1 부분의 제2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2 구성으로부터 제1 구성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측면은 제1 측면에 대향될 수 있다. 결합 부분은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작동기의 제1 부분을 작동기의 제2 부분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결합 부분은 작동기에 마찰력을 인가하여 제1 구성에서 작동기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 부분은 본체 및 핸들 본체의 공동 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는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성에서, 벽의 제1 부분은 핸들 본체의 표면에 대해서 제1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구성에서, 벽의 제1 부분은 핸들 본체의 표면에 대해서 제2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각도는 제1 각도와 상이할 수 있다. 작동기는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핸들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작동기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각각에 대략적으로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의료 장치는 환자의 신체 루멘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의 원위 단부는 의료 장치의 배향을 변경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핸들이 핸들 본체를 가질 수 있다. 핸들은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는 엘리베이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작동기의 활성화는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작동기는 사용자에 의해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부분은, 핸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서, 핸들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작동기를 향해서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부분과 작동기 사이의 상호 작용은 작동기를 록킹하도록, 그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핸들 본체의 표면 또는 (b) 작동기 중 적어도 하나 상의 버튼을 누르는 것이 작동기를 언록킹하도록(unlock), 그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의료 장치는 이하의 특징 중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작동기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는 핸들 본체의 표면을 향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분은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가 후크와 결합되어 엘리베이터를 록킹할 수 있다. 버튼은 엘리베이터의 언록킹을 위해서 후크가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예에서, 방법은 작동기에 접촉하는 단계, 및 작동기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그에 의해서 (a) 십이지장경의 원위 선단부의 엘리베이터를 하강 구성으로부터 상승 구성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b) 작동기가 십이지장경의 핸들 본체의 표면 상의 결합 부분과 만나게 하고 작동기와의 접촉을 중단시키기 위해서, 작동기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와의 접촉이 중단된 후에, 엘리베이터는 상승 구성에서 유지될 수 있다. 힘이 작동기 또는 결합 부분에 인가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엘리베이터를 상승 구성으로부터 하강 구성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 모두가 단지 예시적 및 설명적인 것이고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한다", "포함하는"이라는 용어,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변형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고, 그에 따라 요소의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기구는 이러한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기구에 대해서 명백하게 나열되지 않거나 내재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직경"이라는 용어는 요소가 원형이 아닌 경우에 폭을 지칭할 수 있다. "원위"라는 용어는 조작자로부터 먼 방향을 지칭하고, "근위"라는 용어는 조작자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시적"이라는 용어는 "이상적"이 아니라 "예"의 의미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대략적으로"라는 용어 또는 유사 용어(예를 들어, "실질적으로")는 언급된 값의 +/- 10%의 값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 내용의 양태를 묘사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개시 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예시적인 핸들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6b는 예시적인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의 활성화 후에, 레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사용된 제어 메커니즘에 계속 접촉하지 않고도 엘리베이터를 희망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조작자에게 바람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와 같은 십이지장경 구성요소를 위한 록킹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는 레버가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 제어 레버의 이동을 방지하는 록킹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록킹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가 상승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엘리베이터 레버를 록킹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록킹된 후에,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엄지를 엘리베이터 레버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엄지로 다른 동작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십이지장경 핸들(10)의 상이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비록 십이지장경이라는 용어가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비제한적으로, 내시경, 결장경, 요관경, 기관지경, 복강경, 외피, 카테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 또는 의료 장치가 개시된 록킹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의 좌표계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의 도면과 관련하여, 도 1b의 도면은 도 1a의 도면에 대해서 회전되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은 본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20)와 같은 엘리베이터 작동기가 도 1b의 화살표에 의해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서 엘리베이터의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레버(20)가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제어 메커니즘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노브, 스위치, 휠, 또는 다른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레버(20)는 아암(arm)(24), 및 아암(24)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도 1a에서 좌측으로 그리고 도 1b의 지면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접촉 부분(26)을 포함할 수 있다. 아암(24)이 핸들(10) 내로 연장되어, 내시경의 샤프트를 통해서 연장되고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서 엘리베이터에 연결되는 와이어 또는 다른 구조물(예를 들어,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아암(24)의 이동은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유발할 수 있다.
접촉 부분(26)은 본체(12)의 표면에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접촉 부분(26)은 아암(24)에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 부분(26)은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한 및/또는 접촉 부분(26)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 사이의 파지를 돕기 위한 융기부 또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10)은 또한 조향 조립체(60)를 포함할 수 있고, 조향 조립체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를 관절화(articulating)하기 위한 노브 및/또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부(umbilicus)(62)가 핸들(10)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신호, 전력, 공기, 및/또는 물을 내시경의 핸들(10) 및 다른 부분에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 코드, 와이어, 및/또는 도관을 수용할 수 있다. 화상 캡쳐 버튼(68)이 정지 화상을 캡쳐하기 위한 내시경의 원위 단부 상의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핸들(10)은 또한 (예를 들어 공기, 물 및/또는 흡입)을 위한 포트 및 밸브와 같은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6b는 다양한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6b의 록킹 메커니즘은 핸들(10) 또는 대안적인 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록킹 메커니즘의 양태는 단독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실용적인 경우에, 본원에서 유사 참조 번호들을 이용하여 유사 구조물들을 표시하였다.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핸들은 핸들(10)의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비록 도면이 하나의 위치에서 레버 및 엘리베이터를 록킹하기 위한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하지만, 복수의 록킹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레버 및 엘리베이터를 다양한 위치들에서 록킹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록킹 메커니즘이 엘리베이터 레버 및 엘리베이터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록킹 메커니즘이 대안적으로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조향 구성요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제1의 예시적인 록킹 메커니즘(100)을 도시한다. 록킹 메커니즘(100)은 아암(124) 및 접촉 부분(126)을 갖는 레버(120)와 같은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20), 아암(124), 및 접촉 부분(126)은 각각 레버(20), 아암(24), 및 접촉 부분(26)의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체(112)를 포함하는 핸들(110)은 각각 핸들(10) 및 본체(12)의 특성 중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캡쳐 버튼(68)이 본체(112)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1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결합 부분일 수 있는) 후크(140)를 보여주기 위해서, 도 2a 내지 도 2c에서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명료한 도시를 위해서, 본체(112) 내의, 후크(14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도시하지 않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a는 록킹 메커니즘(100)을 제1의 언록킹 구성에서 도시한다. 레버(120)는 (레버(120)의 범위의 단부에 위치되는 정지부와 같은 다른 제약부의 영향 하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a의 화살표는, 록킹 메커니즘(100)을 도 2b의 제2의 록킹 구성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레버(120)가 이동되는 방향을 도시한다. 도 2b에서, 레버(120)는 제1 방향으로(대체로, 도 2a 내지 도 2c의 좌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레버(120)는 또한 제2 방향으로(대체로, 도 2a 내지 도 2c의 우측으로) 이동될 수 없는데, 이는 아암(124) 상의, 레버(120)의 다른 부분 상의, 및/또는 핸들(110)의 본체(112) 내의 정지부 또는 다른 특징부가 도 2b에 도시된 위치를 지나 제2 방향으로 레버(12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레버(120)는 또한 본체(112)의 표면에 대면되는 접촉 부분(126)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 또는 캐치(catch)(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접촉 부분(126)으로부터 본체(112)의 표면을 향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0)는 삼각형 또는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30)의 제1 측면(132)이, 제1 방향으로(도 2a 내지 도 2c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본체(112)의 표면을 향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테이퍼링될 수 있다. 제1 측면(132)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일 수 있거나 약간 곡선화될 수 있다. 돌출부(130)의 제2 측면(134)은 제1 방향으로 가장 먼 제1 측면(132)의 단부와 접촉 부분(126)의 반경방향 내측 표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크(140)의 일부가 본체(112)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후크(140)의 대부분이 본체(1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140)는 (제1 방향으로 가장 먼) 제1 단부(142)로부터 (제2 방향으로 가장 먼) 본체(112) 내의 제2 단부(144)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146)가 제1 단부(142)로부터 제2 단부(144)를 향해서 연장될 수 있다. 후크형 부분(148)이 샤프트(146)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형 부분(148)은 샤프트(146)로부터 약 90도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단부(142)는 미늘부(147)에서 종료될 수 있고, 낚시 바늘의 단부와 유사하게 성형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구성에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단부(142)가 본체(112)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제1 단부(142)(및 미늘부(147))가 본체(112)의 개구부를 통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146)의 돌출 부분(149)이 굽혀져 대략적으로 "U"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돌출 부분(149)이 후크(140)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 부분(149)을 제외하고, 샤프트(146)는 대략적으로 직선형일 수 있거나 약간 곡선화될 수 있다.
돌출 부분(149)은 본체(112)의 표면 상의 버튼(150)과 정렬될 수 있고 그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버튼(150)은 임의의 적합한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50)은 가요성 재료 또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150)이 도 2a 및 도 2b의 눌리지 않은 구성으로 편향되도록, 버튼(150)은 탄성적인 구성요소 및/또는 형상 기억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50)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접촉될 수 있는 버튼(150)의 부분이 형상-기억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50)은 돌출 부분(149)과 교합(mate)되도록 구성된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고, 마찰 피팅(friction fit)을 통해서 돌출 부분(149)을 유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접착제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돌출 부분(149)을 버튼(150)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레버(120)는 도 2a 내지 도 2c의 상이한 구성들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도 2a의 구성에서, 레버(120)는 엘리베이터가 하강 위치 또는 부분적으로 상승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레버(120)는 엘리베이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 제1 및/또는 제2 방향으로(각각, 대략적으로 도면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b의 구성에서, 레버(120)는 엘리베이터가 상승 위치에 있도록 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레버(120)는 록킹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하강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2b의 레버(120)의 록킹 위치는 엘리베이터의 (예를 들어, 하강된 또는 부분적으로 상승된) 다른 구성에 상응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제1 구성에서, 버튼(150)은 이완 구성에 있을 수 있고, 레버(120)는, 미늘부(147)를 포함하는, 후크(140)의 제1 단부(142)보다 더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130)의 제2 측면(134)은 후크(140)의 제1 단부(142)보다 더 제1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2a의 제1 구성에서, 레버(12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데, 이는 레버가 후크(140)와 결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레버(120)는 언록킹 구성에 있을 수 있다.
제2 단부(144)가 본체(112)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또는 그에 닿도록, 후크(140)가 본체(1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부(144)는 도 2a 내지 도 2c의 구성의 각각에서 대략적으로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49)는, 이완된 버튼(150) 내로, 본체(112)의 표면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150)에 접촉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반경방향 내향 힘을 돌출부(149)에 전달할 수 있다.
레버(120) 및 후크(140)를 도 2a의 제1 구성으로부터 도 2b의 제2 구성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레버(120)는 제2 방향으로(대략적으로 도 2a 내지 도 2c의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돌출부(130)의 제1 측면(132)은, 미늘부(147)를 포함하는, 후크(140)의 제1 단부(142) 위에서 활주될 수 있다. 제1 측면(132)의 형상, 및 미늘부(147)를 포함하는 후크(140)의 제1 단부(142)의 형상이 상보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돌출부(130)의 제1 측면(132)이 후크(140)의 제1 단부(142)를 지나서 활주될 수 있다. 돌출부(130)의 제1 측면(132)과 후크(140)의 제1 단부(142) 사이의 접촉은 촉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레버(120) 및/또는 레버(120)에 의해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돌출부(130)의 제1 측면(132)이 후크(140)의 제1 단부(142)를 지나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측면(132)은 반경방향 내향 힘을 제1 단부(142)에 인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단부(142)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린다. 미늘부(147)의 반경방향 외측 측면과 돌출부(130)의 제1 측면(132)의 각도는, 돌출부(130)가 미늘부(147)를 지나서 활주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서, 대략적으로 평행하거나 달리 상보적일 수 있다. 제2 단부(144)는 대략적으로 정지되어 유지될 수 있다. 후크(14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림에 따라, 후크(140)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도 2c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2c의 구성과 비교하면, 도 2a의 제1 구성으로부터 도 2b의 제2 구성으로의 전환을 위해서 돌출부(130)가 제1 단부(142)를 지나서 이동할 때, 버튼(150)은 눌리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후크(14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0)가 도 2a의 제1 구성에서와 같은 제1 단부(142)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되도록) 돌출부(130)의 전체가 제1 단부(142)를 지나서 이동한 후에, 제1 단부(142)가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후크(140)가 편향될 수 있고, 이러한 원래의 위치에서 (미늘부(147)를 포함하는) 제1 단부(142)는 본체(112)의 표면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부(130)를 향해서 연장된다. 후크(140)는, 그 편향 위치로 복귀된 후에, 도 2a의 제1 구성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b의 구성에서, 미늘부(147)를 포함하는 후크(140)의 제1 단부(142)는 돌출부(130)의 제2 측면(134)의 반경방향 최내측 단부를 지나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크(140)의 제1 단부(142)는 돌출부(130) 그리고 그에 따라 레버(120)가 제1 방향으로(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방향을 따른 레버(120) 상의 힘(사용자로부터의 힘 또는 다른 유형의 힘)은 돌출부(130)의 제2 측면(134)이, 제1 단부(142) 및/또는 미늘부(147)를 포함하는, 후크(140)의 후크형 부분(148)과 접촉되게 할 수 있다. 후크(140)에 의해서 돌출부(130)에 인가되는 힘은 대략적으로 제2 방향일 수 있고, 제1 방향을 따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형 부분(148) 및 제2 측면(134)은 서로 대략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레버(120)를 언록킹하기 위해서(그리고 그에 따라 레버(120)에 의해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도 2c의 제3 구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50)이 사용자에 의해서 눌릴 수 있다. 버튼(150)은 돌출 부분(149)에 반경방향 내향 힘을 인가할 수 있고, 이는 다시 적어도 후크(140)의 부분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대안적으로, 버튼(150)이 생략될 수 있고, 사용자는 돌출 부분(149) 또는 후크(140)의 다른 부분을 직접 누를 수 있다. 후크(140)가 도 2b 및 도 2c의 형상으로 편향되도록, 후크(140)는 스프링에 연결될 수 있거나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140)는 니티놀 또는 다른 재료(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예로서,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2 단부(144)를 포함하는) 후크(140)의 부분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누를 수 있다. 후크(140)는 도 2a, 도 2b의 위치와 도 2c의 위치 사이의 제1 단부(142)의 전환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150)이 눌리고 돌출 부분(149)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릴 때, 후크(140)의 제2 단부(144)가 본체(112)의 내부 표면을 누를 수 있고, 그에 따라 회전 운동이 제1 단부(142)에 부여되어, 제1 단부를 도 2c에 도시된 위치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후크(140)는 후크(140)의 제1 단부(142)의 반경방향 내측 이동을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가요성 또는 견고성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돌출 부분(149)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누르는 것은 후크(140)의 반경방향 내측 전환을 초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단부(142)를 포함하는 후크(140)의 모든 부분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단부(142)는 본체(112)의 표면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레벨일 수 있거나, 본체(112)의 표면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을 수 있다. 제1 단부(142)는 도 2c의 제3 구성에서 돌출부(130)와 반경방향으로 교차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후크(140)는 제1 방향을 따른 레버(120)의 이동을 방지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단부(142) 및 돌출부(130)가 서로 반경방향으로 교차되도록, 그러나 도 2c에서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눌렸을 때 돌출부(130)가 제1 단부(142) 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1 단부(142)가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늘부(147)는 그러한 미끄러짐을 허용하기 위해서 램프-유사 형상(ramp-like shape)을 가질 수 있다.
버튼(150)을 누르는 동안, 사용자는 언록킹된 레버(12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돌출부(130)의 제2 단부(134)가 제1 단부(142)의 위치보다 제1 방향으로 더 멀리 위치된 후에(예를 들어, 제1 단부(142)를 벗어난 후에), 사용자는 버튼(150)을 해제할 수 있고 레버(130)를 제1 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 시에, 조작자는 십이지장경의 원위 단부를 희망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툴이 십이지장경의 원위 단부로부터 돌출될 때까지, 툴이 십이지장경의 외피를 통과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100)은 도 2a의 구성에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레버(1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십이지장경의 엘리베이터를 상승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록킹 메커니즘이 도 2b의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될 때까지, 레버(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을 제2 구성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버튼(150)을 누를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그 대신, 후크(140) 및 돌출부(130)의 기하형태 및 특성은, 돌출부(130)가 후크(140)의 제1 단부(142)를 통과한 후, 자동적인 록킹을 촉진할 수 있다. 돌출부(130)가 후크(140)의 제1 단부(142)를 통과할 때, 후크(14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후크(140)가 돌출부(130)와 결합되어 레버(120)를 록킹할 수 있다. 레버(120)가 록킹되어 있는 동안, 조작자는 손가락 또는 엄지를 레버(120)로부터 자유롭게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버튼(150)을 눌러 후크(140)의 제1 단부(142)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레버(1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돌출부(130)가 후크(140)의 제1 단부(14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100)의 매개변수를 변경하여, 레버(120)의 록킹 및/또는 언록킹에 필요한 힘의 양을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늘부(147)를 포함하는) 후크(140)의 제1 단부(142) 및 돌출부(130)의 크기 및 형상을 변경하여, 이러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 및 레버(120)를 록킹 위치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과 제공되는 록킹 힘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돌출 부분(149) 및/또는 버튼(150)의 양태를 또한 변경하여 레버(120)를 언록킹하는데 필요한 언록킹 힘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대안적인 록킹 메커니즘(200)을 도시한다. 록킹 메커니즘(200)은 래칫 메커니즘(ratcheting mechanism)을 사용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200)은 접촉 부분(226)을 포함할 수 있는, 레버(220)와 같은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220) 및 접촉 부분(226)은 각각 레버(20, 120) 및 접촉 부분(26, 226)의 품질 중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230)는 접촉 부분(226)의 반경방향 내측 표면으로부터 본체(212)의 표면을 향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212)는 본체(12, 112)의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230)는 멈춤쇠와 유사한 특징부를 가질 수 있고, 접촉 부분(226)의 표면에 대해서 휘어질 수 있다.
본체(212)는, 예를 들어, 톱니 패턴의, 그 표면에 형성된 치형부(240)를 가질 수 있다. 치형부(240)는 결합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치형부(240)는, 레버(220)에 의해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레버(220)가 이동되는 방향일 수 있는, 제2 방향으로(도 3a 및 도 3b에서 우측을 향해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치형부(240)는 본체(212)와 동일한 재료로, 본체(2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본체(212)에 고정된 별도의 단편 또는 별도의 단편들로 형성될 수 있다. 치형부(240)는, 레버(220)가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본체(212)의 전부 또는 부분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본체(21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형부(240)는, 레버(220)의 록킹이 요구되는 범위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레버(220)가 적어도 제2 방향으로(도 3a 및 도 3b의 우측을 향해서) 이동되는 경우에, 돌출부(230)의 반경방향 내측 선단부가 치형부(240)와 결합되고 그 위에서 이동할 때 돌출부(23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돌출부(230) 및 치형부(240)가 상보적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230)와 치형부(240)의 결합은, 레버(220)(그리고 그에 의해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가 특정 이동 범위 내에 있다는 촉각적 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30)와 치형부(240)의 결합은 엘리베이터가 특정 각도로 상승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레버(220)는 피벗 가능 부분(222)을 가질 수 있다. 피벗 가능 부분(222)은 레버(220)의 나머지(예를 들어, 레버(220)의 아암)에 대해서 피벗될 수 있다. 경첩이 피벗 가능 부분(222)과 레버(220)의 나머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피벗 가능 부분(222)은 도 3A의 구성으로 편향될 수 있고, 여기에서 접촉 부분(226)의 반경방향 내부 표면은 본체(212)의 표면과 대략적으로 평행하다. 편향은 레버(220)의 경첩에 위치되는 스프링을 통해서 또는 레버(220)의 형상 기억 특성을 통해서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엄지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피벗 가능 부분(222)을 도 3B의 화살표에 의해서 도시된 방향으로 피벗 또는 토글링(toggle)시킬 수 있다. 피벗 가능 부분(222)을 피벗팅시키는 것은 돌출부(230)가 본체(212) 및 치형부(240)의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리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사용 시에, 조작자는 십이지장경의 원위 단부를 희망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툴이 십이지장경의 원위 단부로부터 돌출될 때까지, 툴이 십이지장경의 외피를 통과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피벗 가능 부분(222)이 도 3a의 구성에 있는 동안, 레버(2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십이지장경의 엘리베이터를 상승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230)가 치형부(240)와 결합될 때까지, 레버(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돌출부(230)가 치형부(240)와 결합된 후에, (희망 범위를 넘어서는 이동을 방지하지 않는 한, 정지부와 같은 다른 특징부) 레버(220)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230)와 치형부(240)의 결합은 레버(2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치형부(240)와 돌출부(230) 사이의 결합은 레버(220)를 특정 위치(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가 상승된 위치 또는 다른 희망 위치)에서 록킹시킬 수 있다. 레버(220)가 그에 따라 록킹되어 있는 동안, 조작자는 손가락 또는 엄지를 레버(220)로부터 자유롭게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22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피벗 가능 부분(222)을 도 3b에 도시된 구성으로 피벗시킬 수 있다. 피벗 가능 부분(222)을 피벗시키는 것은 레버 돌출부(230)를 치형부(24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레버(220)를 언록킹시킬 수 있고 레버(2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게(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하강시키게) 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200)은 치형부(240)를 갖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레버(120)를 위한 복수의 록킹 위치 및 레버(120)에 의해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를 위한 상응하는 복수의 록킹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치형부(240)가 없는 매끄러운 세그먼트들이 치형부(240)를 갖는 복수의 세그먼트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다른 예시적인 록킹 메커니즘(300)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록킹 메커니즘(300)은, 십이지장경의 원위 단부에서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레버(320)와 같은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20)는 레버(20, 120, 220)의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레버(320)는 접촉 표면(326), 아암(360), 및 축(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 부분(362)을 가질 수 있다. 회전 부분(362)은 와셔-형상일 수 있고 본체(312)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아암(360)은 회전 부분(362)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접촉 부분(326) 내에서 종료될 수 있다. 아암(360)은 회전 부분(362)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접촉 부분(326)은 아암(36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레버(320)는, 레버(20, 120, 220)에 대해서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여, 대안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정지부(340)가 핸들 본체(312)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결합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12)는 전술한 본체(12, 112, 212)의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정지부(340)는 핸들 본체(312)의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정지부(340)는 레버(320)의 반경방향 내측 표면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340)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일부인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정지부(340)는 아암(36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거나, 아암(360)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서 내부에 형성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320)는, 정지부(340)와 정렬되지 않는 및/또는 그와 결합되지 않는 동안,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접촉 부분(326)의 내부 표면과 같은 레버(320)의 부분이 정지부(340)의 외부 표면과 정렬 및/또는 결합될 때, 레버(320)가 정지부(340)와 접촉되어, 레버(320)와 정지부(340) 사이에서 마찰력을 유발할 수 있다.
레버(320)와 정지부(340) 사이의 마찰력은 레버(320) 및/또는 정지부(340)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320) 및 정지부(340)의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재료는 이들 사이의 마찰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레버(320) 및 정지부(340)의 표면 처리가 또한 레버(320)와 정지부(340) 사이의 마찰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320) 및/또는 정지부(340)의 조질화 처리(roughening)가 레버(320)와 정지부(34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레버(320)와 정지부(34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정지부(340)(또는 레버(320)의 표면)가 가요성 및/또는 압축성 재료(예를 들어,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20)와 정지부(340) 사이의 마찰력을 보정하여, 사용자가 레버(320)를 정지부(340)를 지나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면서, 마찰력이 레버(320)와 정지부(340) 사이의 록킹 효과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희망 마찰력은 십이지장경의 특성(예를 들어, 십이지장경의 샤프트 상의 장력으로 인해서 십이지장경의 엘리베이터에 인가되는 힘), 사용자 특성, 시술의 유형, 또는 다른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레버(320)와 정지부(340) 사이의 마찰력은 제조 시에 결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비록 도 3a 및 도 3b가 하나의 정지부(340)를 도시하지만, 복수의 정지부(340)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부(340)는 (완전히 상승된, 완전히 하강된, 부분적으로 상승된, 기타의) 미리 결정된 엘리베이터의 구성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정지부(340)는 (레버(320)가 양 방향으로 가장 멀리 이동할 수 있는) 레버(320)의 이동 경로의 단부에, 또는 레버(320)의 이동 경로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 시에, 레버(320)의 부분이 정지부(340)와 결합되지 않을 때, 사용자는 레버(320)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레버(320)의 표면(예를 들어, 접촉 부분(326)의 표면)이 정지부(340)와 접촉될 때, 레버(320)는 레버(320)와 정지부(34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록킹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엘리베이터가 그렇게 록킹되어 있는 동안, 손가락 또는 엄지를 엘리베이터로부터 자유롭게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지부(340)와 레버(320)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한 충분한 힘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레버(320)를 언록킹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는 다른 예시적인 록킹 메커니즘(300')을 도시한다. 록킹 메커니즘(300')은 록킹 메커니즘(300)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300')은, 여기에서 특정된 것을 제외하고, 록킹 메커니즘(300)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300)이 본체(312)의 외부 표면 상에서 정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지만, 정지부(340')는 본체(3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정지부(340')는 본체(312) 내의 임의의 적합한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부분(362')이 또한 본체(3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부분(362')의 표면이 때때로 정지부(340')와 결합되도록 그리고 다른 시간에는 정지부(340')와 결합되지 않도록 회전 부분(362')이 성형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회전 부분(362')은 회전 부분(362)의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분(362')은 가변적인 반경방향 치수의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분(362')은, 회전 부분(362')의 상응 부분이 회전 부분(362')의 나머지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게 하는 절취 부분(364) 또는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절취 부분(364)이 정지부(340')(도 4c)와 정렬될 때, 레버(320)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절취 부분(364)이 정지부(340')와 정렬되지 않을 때, 회전 부분(362')이 정지부(340')와 결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로서의 역할을 하는 마찰력을 초래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분(362')의 대부분이 정지부(340')와 결합되게 구성되도록, 절취부(364)는 회전 부분(362')의 원주의 작은 하위 세트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절취부(364)는 회전 부분(362')의 원주의 더 큰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분(362')은, 정지부(340')와 결합되지 않는 다수의 절취 부분(364) 및 정지부(340')와 결합되는 다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분(362')과 정지부(340') 사이의 마찰력의 보정과 관련된 것으로 포함하여, 전술한 록킹 메커니즘(300)과 관련된 원리가 또한 록킹 메커니즘(300')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 시에, 도 4c의 제1 구성에서, 정지부(340')는 절취부(364)와 정렬될 수 있고, 레버(320)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절취부(364)의 양 방향에, 정지부(340')와 결합될 수 있는 회전 부분(362)의 표면들이 위치된다. 절취부(364)가 정지부(340')와 더 이상 정렬되지 않도록 레버(320)가 회전될 때(도 4d), 정지부(340')는 회전 부분(362')의 표면과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레버(320)를 록킹하는 마찰력을 유발할 수 있다. 레버(320)를 언록킹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한 힘을 레버(320)에 인가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다른 예시적인 록킹 메커니즘(500)을 도시한다. 록킹 메커니즘(500)은 레버(20, 120, 220, 320)의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는 레버(520)와 같은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520)는, 제1 구성(도 5a 및 도 5b)과 제2 구성(도 5c) 사이에서 레버(520)를 전환하는 작동 조립체(58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조립체(580)는 버튼(58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582)은 레버(520)의 중심 또는 다른 부분을 통해서 또는 레버(520)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버튼(582)은 눌린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5c는 편향되지 않은 중립 위치에서 버튼(582)을 도시하고, 여기에서 버튼(582)은 눌리지 않았다. 버튼(582)을 도 5c의 눌리지 않은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스프링(592)이 버튼(582)의 샤프트(584) 주위에 배치된다. 형상 기억 재료와 같은, 스프링(592)에 대한 대안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버튼(582)을 도 5c의 구성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벽 부분(586 및 58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샤프트(584) 및 스프링(592) 주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 부분(586 및 588)은, 샤프트(584)를 원주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구조물(예를 들어, 튜브)의 일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벽 부분(586 및 588)은 샤프트(584)를 부분적으로만 둘러싸는 구분된 단편들일 수 있다. 벽 부분(586 및 588)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일 수 있다.
벽 부분(588)은 이동 가능 부분(5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의 활성화된 구성에서, 버튼(582)이 눌릴 때/활성화될 때, 이동 가능 부분(590)이 램프형 연부(ramped edge)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 가능 부분(590)은 (본체(12, 112, 212, 312)의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본체(512)의 표면을 향하는) 벽 부분(588)의 반경방향 내측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활성화된 구성(도 5a 및 도 5b)에서, 이동 가능 부분(590)은 벽 부분(588)의 나머지에 대한 벽 부분(586)을 향하는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버튼(582)이 그 중립적인 비활성화 위치에 있는 도 5c의 구성에서, 이동 가능 부분(590)을 포함하는 벽 부분(588)은 대략적으로 직선형일 수 있고, 이동 가능 부분(590)은 벽 부분(588)의 나머지 비-이동 가능 부분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거나 그와 동축적일 수 있다. 벽 부분(588)의 직선형 구성에서, 이동 가능 부분(590) 그리고 벽 부분(588)의 전체가 벽 부분(586)에 대략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직선형 벽 부분(588) 및 벽 부분(586)은 본체(512)의 표면에 대략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도 5c의 구성에서, 벽 부분(588) 및 벽 부분(586)은, 본체(512)의 표면에 근접하거나 그에 닿는 반경방향 내측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버튼(582)이 이동 가능 부분(590)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어 이동 가능 부분(590)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벽 부분(588)이 도 5c의 대략적으로 직선형인 구성으로부터 도 5a 및 도 5b의 각도형 구성으로 전환되게 할 수 있다.
본체(512)의 표면은 공동(594)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594)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594)은 정사각형 측면들 또는 둥근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동(594)은, 엘리베이터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레버(520)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596)가 공동(594)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스프링(598) 또는 다른 편향 메커니즘에 연결될 수 있다. 본체(596)는 결합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596)는 예를 들어 볼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596)는 도 5a 내지 도 5c의 구성으로 편향될 수 있고, 여기에서 본체(596)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512)의 표면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20)가 공동(594)과 정렬되지 않을 때, 레버(520)가 자유롭게 이동되어 엘리베이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레버(520)를 이동시킬 때, 사용자는 버튼(582)을 눌러, 이동 가능 부분(590)이 도 5a 및 도 5b의 각도형 구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동 가능 부분(590)이 각도형 구성에 있을 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 부분(590)의 반경방향 내측 연부가 본체(596) 위에서 이동할 수 있고, 반경방향 내향 힘을 본체(596)에 인가하여 본체(596)를 공동(594) 내에서 밀 수 있다. 레버(520)가 도 5b의 구성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는 상승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상승될 때(또는, 도 5b 및 도 5c의 구성에서의 레버(520)의 위치에 상응하는 다른 록킹 가능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레버(520) 및 버튼(582)을 해제할 수 있다. 버튼(582)이 해제된 후에, 이동 가능 부분(590)은 도 5c에 도시된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이동 가능 부분(590)은 벽 부분(588)의 나머지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직선형이다. 이동 가능 부분(590)은 벽 부분(586)으로부터 멀리 회전되어 이를 도 5c의 구성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동 가능 부분(590)이 본체(596)에 힘을 더 이상 인가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프링(598)이 중립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본체(596)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도 5c의 구성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체(596)는 벽 부분(586 및 588)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c의 구성에서, 본체(596)는 본체(596)가 제1 방향으로(도 5a 내지 도 5c의 좌측으로) 또는 제2 방향으로(도 5a 내지 도 5c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596) 및 스프링(598)의 특성(예를 들어, 본체(596)의 질량 또는 부피 또는 스프링(598)의 견고성)은, 본체(596)가 도 5c의 구성에서 레버(52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탄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c의 구성에서, 레버(520)는 록킹 구성에 있을 수 있다.
레버(520)를 언록킹시키기 위해서, 버튼(582)을 눌러 레버(520)를 도 5b의 구성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동 가능 부분(590)은 반경방향 내향 힘을 본체(594)에 인가하여 본체(596)를 공동(594) 내에서 밀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레버(520)가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가 벽 부분(588)의 이동 가능 부분 및 벽 부분(586)의 비-이동 가능 부분을 도시하지만, 벽 부분(586)이 또한, 벽 부분(588)을 향해서 각도를 형성하는 구성과 이동 가능 부분이 벽 부분(586)의 나머지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직선형인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이동 가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부가적인 이동 가능 부분은, 내부에 배치된 본체(596)를 가지는 복수의 공동(594)을 통해서, 복수의 록킹 위치의 이용을 촉진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예시적인 록킹 메커니즘(600)을 도시한다. 록킹 메커니즘(600)은 (레버(20, 120, 220, 320, 520)의 임의의 특징을 가지는) 레버(620)와 같은 작동기, 및 (본체(12, 112, 212, 312, 512)의 임의의 특징을 가지는) 본체(612)를 가질 수 있다. 레버(520)는 엘리베이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도 6a 및 도 6b에서 위쪽 및 아래쪽으로) 피벗 지점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체(612)는 그 표면에 형성된 특징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부(640)는 돌출부, 채널, 노치, 및/또는 다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620)는 그 반경방향 내측 표면에서 상보적인 구조물(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620)는 특징부(640)의 채널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 또는 특징부(640)의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6a가 하나의 특징부(640)를 도시하지만, 복수의 특징부가 본체(612)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6a의 구성에서, 레버(620)가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레버(620)는 또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략적으로 수직인, 제3 방향으로(도 6a 및 도 6b에서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버(620)가 특징부(640)와 정렬될 때 그리고 레버(620)가 제3 방향으로 도 6b에 도시된 구성으로 이동될 때, 레버(620)가 특징부(640)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레버(620)를 특징부(640)가 배치된 제1/제2 방향을 따른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징부(640)는 레버(620)를 록킹하여, 레버(620)의 회전 및 그에 의해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레버(620)를 언록킹시키기 위해서, 레버(620)는 제4 방향으로(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징부(640)는, 엘리베이터의 록킹이 요구되는, 표면(612) 상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부(640)는, 엘리베이터가 상승 구성, 하강 구성, 또는 부분적 상승 구성에 있는, 레버(620)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1/제2 방향을 따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원리가 특정 적용예에 대한 예시적인 예를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개시 내용이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계의 숙련 기술을 가지고 본원에서 제공된 교시 내용에 접근하는 사람은, 부가적인 변경, 적용, 및 균등물의 치환 모두가, 본원에서 설명된 예의 범위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의료 장치이며:
    환자의 신체 루멘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외피로서, 외피의 원위 단부는 의료 장치의 배향을 변경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외피; 및
    핸들 본체를 가지는 핸들을 포함하고, 핸들은:
    작동기로서, 작동기는 엘리베이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기의 활성화는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유발하고, 작동기는 사용자에 의해서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작동기; 및
    핸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서, 핸들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작동기를 향해서 돌출되는 결합 부분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기 또는 결합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힘은, 핸들이 (a) 결합 부분이 작동기와 상호 작용하여 결합 부분에 대한 작동기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구성과 (b) 작동기가 결합 부분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게 하는, 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레버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핸들 본체의 표면을 향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쐐기 형상을 갖는, 의료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결합 부분은 후크를 포함하고, 제1 구성에서, 돌출부는 후크와 결합되고, 후크가 이동되어, 핸들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전환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의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후크는, 적어도 핸들의 제1 구성에서 핸들 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부분, 및 적어도 핸들의 제1 구성에서 핸들 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은 핸들의 제1 구성에서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2 부분은, 핸들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눌리도록 구성되는, 의료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부분은 형상 기억 재료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핸들은 제2 부분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버튼을 더 포함하는, 의료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핸들은, 돌출부를 제1 부분의 제1 측면으로부터 제1 부분의 제2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2 구성으로부터 제1 구성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며, 제2 측면은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의료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부분은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은, 작동기의 제1 부분을 작동기의 제2 부분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전환되는, 의료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부분은 작동기에 마찰력을 인가하여 제1 구성에서 작동기의 이동을 방지하는, 의료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부분은 본체, 및 핸들 본체의 공동 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벽을 포함하고, 제1 구성에서, 벽의 제1 부분은 핸들 본체의 표면에 대해서 제1 각도를 가지고, 제2 구성에서, 벽의 제1 부분은 핸들 본체의 표면에 대해서 제2 각도를 가지며, 제2 각도는 제1 각도와 상이한, 의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핸들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작동기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각각에 대략적으로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동되는, 의료 장치.
KR1020227038547A 2020-04-08 2021-04-06 내시경 장치용 록킹 메커니즘 KR20220166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06784P 2020-04-08 2020-04-08
US63/006,784 2020-04-08
PCT/US2021/025900 WO2021207144A1 (en) 2020-04-08 2021-04-06 Locking mechanisms for endoscopic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301A true KR20220166301A (ko) 2022-12-16

Family

ID=7567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547A KR20220166301A (ko) 2020-04-08 2021-04-06 내시경 장치용 록킹 메커니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779194B2 (ko)
EP (1) EP4132340A1 (ko)
JP (1) JP2023520862A (ko)
KR (1) KR20220166301A (ko)
CN (1) CN115379788A (ko)
AU (1) AU2021251111A1 (ko)
CA (1) CA3173336A1 (ko)
WO (1) WO20212071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321Y2 (ko) * 1974-12-26 1981-03-09
JP3397522B2 (ja) * 1995-07-05 2003-04-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の操作装置
JP4716594B2 (ja) * 2000-04-17 2011-07-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3772107B2 (ja) * 2001-10-12 2006-05-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4009621B2 (ja) * 2004-07-02 2007-11-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US20080154299A1 (en) * 2006-12-08 2008-06-26 Steve Livneh Forceps for performing endoscopic surgery
WO2009035051A1 (ja) * 2007-09-11 2009-03-19 Olympus Corporation 内視鏡装置
US8864656B2 (en) * 2009-06-03 2014-10-21 Gyrus Acmi, Inc. Endoscope combined deflection control and lock
JP2011030866A (ja) * 2009-08-04 2011-02-17 Hoya Corp 内視鏡
DE102012012877A1 (de) * 2012-06-28 2014-01-02 Itp Innovative Tomography Products Gmbh Handgriff
US9314593B2 (en) * 2012-09-24 2016-04-1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dical devices for the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bodily passages
US10619714B2 (en) * 2013-03-13 2020-04-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erable medical device having a control member holding mechanism
JP6110829B2 (ja) * 2014-09-30 2017-04-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6173287B2 (ja) * 2014-09-30 2017-08-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6110828B2 (ja) * 2014-09-30 2017-04-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6148219B2 (ja) * 2014-09-30 2017-06-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
US10226274B2 (en) * 2015-04-16 2019-03-12 Ethicon Llc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with articulation joint having plurality of locking positions
WO2017011535A1 (en) * 2015-07-16 2017-01-19 Cogentix Medical, Inc. Endoscope sheath assembly including an integrated elevator mechanism
US10543010B2 (en) * 2015-07-23 2020-01-2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EP3229098A1 (en) * 2016-04-06 2017-10-11 Ratier-Figeac Device with asymmetric feedback
US20210236204A1 (en) * 2020-01-31 2021-08-05 Gyrus Acmi, Inc. D/B/A Olympus Surgical Technologies America Nephroscope with flexible and articulatable distal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4366A1 (en) 2023-12-21
EP4132340A1 (en) 2023-02-15
CA3173336A1 (en) 2021-10-14
US20210315445A1 (en) 2021-10-14
JP2023520862A (ja) 2023-05-22
CN115379788A (zh) 2022-11-22
AU2021251111A1 (en) 2022-09-22
US11779194B2 (en) 2023-10-10
WO2021207144A1 (en)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4490B2 (en) Deflectable access sheath handle with locking mechanism
JP5629039B2 (ja) 内視鏡の湾曲操作装置、該湾曲操作装置を具備する内視鏡
CN111356410B (zh) 具有柔软尖端的医疗装置
JP6689446B2 (ja) 操縦可能なカテーテルのブレーキ機構
US9302073B2 (en) Medical instrument with a lockable bend control mechanism
CN108601600B (zh) 内窥镜工具
JP7189154B2 (ja) 調整可能な内視鏡ロック
KR20220166301A (ko) 내시경 장치용 록킹 메커니즘
CA3164011A1 (en) Fluid transfer device
CN116867416A (zh) 医疗装置致动器锁
WO2020160522A1 (en) Endoscopes and related methods
CN114760902A (zh) 插入设备的弯曲操作机构
JPWO2016002835A1 (ja) 医療用穿刺装置
US20220202280A1 (en) Medical device actuators
JP6407482B2 (ja) 処置具の進退補助具、内視鏡システム
WO2020161864A1 (ja) 内視鏡
GB2619861A (en) Fluid transfe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