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686A -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5686A KR20220165686A KR1020220160901A KR20220160901A KR20220165686A KR 20220165686 A KR20220165686 A KR 20220165686A KR 1020220160901 A KR1020220160901 A KR 1020220160901A KR 20220160901 A KR20220160901 A KR 20220160901A KR 20220165686 A KR20220165686 A KR 202201656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pipe
- treatment system
- media
- treatment tan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906 microbi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864 oxidative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장착되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에는 오폐수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벽에 다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측관; 상기 하측관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폭기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며, 바닥면에는 상기 하측관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상측관; 상기 상측관의 개방된 상단을 덮되,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위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메디아; 상기 유출구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오폐수를 상기 메디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미생물접촉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정화시키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미생물에 산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폭기장치를 구비하되 오폐수의 유동압을 저감시켜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 부착성이 개선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처리공정은 처리될 오폐수의 특성과 요구되는 처리 정도에 따라 그 선택이 좌우되나, 통상 물리적처리, 화학적처리, 미생물학적 처리와 그 외에도 상기한 처리방법으로도 처리되지 않은 유해 물질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 등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오폐수 처리에서 미생물적 처리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로 대별할 수 있는데, 호기성은 미생물의 생존에 용존산소가 필요한 경우이고, 혐기성은 용존산소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정화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화조에서는 상기한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을 모두 사용해야만 완전한 정화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학적 오폐수 처리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오폐수처리조 내에 미생물접촉재(HBC-ring)을 설치하여, 미생물접촉재 표면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산화가 진행되고, 미생물덩어리 내부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진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산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접촉재 표면에 산소를 원활히 공급하여야 하므로, 미생물접촉재 하부에 산기관을 설치하여 미생물접촉재 측으로 산소를 전달하는 방법이 사용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산기관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미생물접촉재에 접촉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폐수처리조 전체에 걸쳐 산소가 고르게 공급되지 못하므로, 오폐수처리조 내의 사각지역에서 퇴적물이 쌓여 혐기화에 의한 악취를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오폐수처리조 바닥에 쌓인 슬러지가 미생물접촉재 측으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농도가 높아지는데 한계가 발생한다는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폐수처리조 내에 설치된 필터관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리프트 효과를 구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이 제안된바 있다.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때 발생되는 에어리프트 효과를 이용하여 슬러지와 산소를 미생물접촉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바, 별도의 펌프 없이도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농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산화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폐수처리조 내의 오폐수 유동압이 증가하게 되므로, 미생물접촉재의 표면에 붙어 있던 슬러지 및 미생물이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오폐수 간의 접촉시간이 용존산소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오수처리조 내의 오폐수 용존산소를 증가시켜 미생물접촉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전달할 수 있고, 오폐수의 유속 및 유동압을 감소시켜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 부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장착되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에는 오폐수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벽에 다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측관; 상기 하측관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폭기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며, 바닥면에는 상기 하측관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상측관; 상기 상측관의 개방된 상단을 덮되,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위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메디아; 상기 유출구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오폐수를 상기 메디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미생물접촉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관의 내벽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상측관 내부로 유입된 기포와 오폐수의 유동방향을 나선형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측관의 바닥면에는 상기 체결공을 둘러싸도록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측관의 측벽 중 상기 상측관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에만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는 수직단면이 슬롯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횡단면 일측이 횡단면 타측보다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는 수평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여 토출된 오폐수와 공기는 나선형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한다.
상기 메디아는 오수처리조의 수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되, 가장자리 부위만 오수처리조의 수면에 닿도록 장착된다.
상기 메디아의 가장자리 끝단은 상기 미생물접촉재의 수직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반사판은 저면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디아의 상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벽체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을 이용하면, 오수처리조 내의 오폐수 용존산소를 증가시켜 미생물접촉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전달할 수 있고, 오폐수의 유속 및 유동압을 감소시켜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하측관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하측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메디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하측관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하측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메디아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정화조 등과 같은 오수처리조(100)에 저장된 오폐수를 생물학적 방법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처리시스템으로서, 오수처리조(100)에 저장된 오폐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미생물접촉재(700)(HBC-ring)를 구비한다. 상기 미생물접촉재(700)의 표면에는 다량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는바, 오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미생물은 전달되는 물에 산소가 충분히 포함되어 있을 때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산화분해시킬 수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미생물에 산소가 충분히 포함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첫 번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에는 오폐수유입구(210)가 형성되는 하측관(200)과, 상기 하측관(200)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폭기관(30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며 바닥면을 통해 상기 하측관(200)의 상측 일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상측관(400)과, 상기 상측관(400)의 개방된 상단을 덮되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위에 유출구(510)가 형성되는 메디아(500)와, 상기 유출구(510)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510)를 통해 분출되는 오폐수를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디아(500)는 표면에 다량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오폐수 내의 유기물을 생화학적으로 산화분해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이와 같은 메디아(500)는 종래의 생물학적 수처리장치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바, 상기 메디아(500)의 내부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측관(200)의 측벽에는 다수 개의 토출구(220)가 형성되므로, 상기 폭기관(300)을 통해 공급된 기포는 상기 토출구(220)를 통해 상측관(400) 내부로 토출된 후 상측관(400) 내부에서 부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모두 상측관(4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220)는 상기 하측관(200)의 측벽 중 상기 상측관(400)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측관(400) 내부에서 다량의 기포가 빠르게 상승하게 되면 상기 상측관(400) 내부에는 에어리프팅 현상이 발생되므로, 오수처리조(100)의 바닥에 있던 슬러지는 오폐수와 함께 오폐수유입관을 통해 흡입되어 상측관(400) 상단을 통해 분출된다. 이와 같이 하측관(200)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발생되는 에어리프팅 현상에 의해 슬러지가 포함된 오폐수(이하 '오폐수'라 약칭함)가 상승하는 과정은 종래의 오폐수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구현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측관(400)은 상단이 오수처리조(100)의 오폐수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므로, 상측관(400)의 상단을 통해 분출된 오폐수는 반사판(600)에 의해 부딪혀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안착된 후 상기 메디아(500)의 완만한 경사면을 타고 천천히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디아(500)에 부착되어 있는 미생물은 산소가 충분히 혼합된 오폐수와 오랜 시간 접촉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미생물은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던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산화분해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오폐수가 효과적으로 미생물접촉재(700)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메디아(500)의 가장자리 끝단은 상기 미생물접촉재(7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기관(300)에 의해 발생되는 에어리프팅 현상에 의해 오폐수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폐수가 매우 빠른 속도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빠른 속도의 오폐수가 미생물접촉재(700)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 상기 미생물접촉재(700)에 부착되어 있던 미생물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폭기관(300)에 의해 빠르게 상승하던 오폐수가 반사판(600)에 부딪혀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안착된 후, 상기 메디아(500)의 경사면을 타고 천천히 유동하여 미생물접촉재(700)로 전달되는바, 상기 미생물접촉재(700)에 부착되어 있던 미생물이 오폐수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반사판(600)에 의해 반사된 오폐수는 메디아(500)의 상면을 타고 내려와 미생물접촉재(700)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메디아(500)의 가장자리가 오수처리조(100)의 수면보다 현저히 높게 위치되면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을 타고 내려오던 오폐수가 오수처리조(100)의 수면에 떨어지는 과정에서 큰 충격력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충격력에 의해 미생물접촉재(700)에 부착되어 있던 미생물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디아(500)는 전체적으로 오수처리조(100)의 수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되 가장자리 부위만 오수처리조(100)의 수면에 닿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메디아(500)의 가장자리가 오수처리조(100)의 수면에 닿도록 장착되면, 메디아(500)의 상면을 타고 내려오던 오폐수가 큰 충격 없이 오수처리조(100)의 수면으로 유입되므로, 미생물접촉재(700)에 접촉되어 있던 미생물이 탈거되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출구(510)를 통해 유출되는 오폐수는 반사판(600)의 저면에 부딪힌 후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반사판(600)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반사판(600)에 부딪힌 오폐수가 유출구(510)를 통해 상측관(400)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판(600)은 유출구(510)를 통해 유출된 오폐수가 사방으로 분산되어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반사판(600)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면, 유출구(510)를 통해 유출된 오폐수가 반사판(600)의 저면을 타고 사방으로 분산되어 하향으로 떨어지게 되는바, 오폐수가 상측관(40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메디아(500)의 상면 각 부위로 오폐수를 고르게 분산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단면사시도이다.
폭기관(300)으로부터 공급된 기포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어리프팅 현상에 의해 오수처리조(100) 바닥의 오폐수가 오폐수유입구(210)로 흡입되는데, 이때 상기 상측관(400) 내부에서 상승하는 오폐수의 유량과 속도가 클수록 오폐수의 흡입률이 높아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때 오폐수유입구(210)만을 통해 오폐수가 흡입되도록 구성되면, 상측관(400) 내부의 오폐수 유량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상측관(400) 내부를 따라 상승하는 오폐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측관(400)의 바닥면에는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4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측관(400)의 바닥면에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420)가 형성되면, 폭기관(300)을 통해 고압의 기포가 하측관(200) 내부로 공급되었을 때 오수처리조(100) 내의 오폐수가 오폐수유입구(210)만을 통해 흡입되는 것이 아니라 보조유입구(420)를 통해서도 흡입되므로, 상기 상측관(400) 내부의 오폐수 유량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이에 따라 에어리프팅 현상이 더욱 강력하게 발생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420)는 상측관(400)의 내측공간 전체에 걸쳐 오폐수가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측관(400)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관(20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체결공(410)이 상측관(400)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420)는 상기 체결공(410)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조유입구(420)의 크기 및 개수, 배열패턴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폭기관(300)을 통해 공급된 기포가 수직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면, 기포와 오폐수 간의 접촉시간이 짧아지므로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즉, 기포와 오폐수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폭기관(300)을 통해 공급된 기포 및 상측관(400) 내부로 흡입된 오폐수가 나선형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관(400)의 내벽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상측관(400) 내부로 유입된 기포와 오폐수의 유동방향을 나선형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측관(400) 내벽에 나선형의 가이드판(430)이 형성되면, 토출구(220)를 통해 상측관(400) 내측으로 유입된 기포와 오폐수는 가이드판(430)의 저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바, 기포와 오폐수의 유속을 떨어뜨리지 아니하면서도 기포와 오폐수 간의 접촉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미생물이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산화분해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430)의 경사각도 및 규격은 오수처리조(100) 내의 오폐수 종류 및 폭기관(300)의 폭기용량, 상측관(400)의 규격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하측관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하측관의 단면도이다.
기포 및 오폐수가 토출되는 토출구(220)는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토출될 수 있도록 수직단면이 슬롯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토출구(22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면, 기포 및 오폐수가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토출구(220)의 상측내벽에 부딪혀 유속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일측(도 4에서는 우측)이 횡단면 타측(도 4에서는 좌측)보다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토출구(220)가 비스듬히 경사진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면, 기포 및 오폐수가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동안 토출구(220)의 상측 내벽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토출구(220)의 상측 내벽을 타고 올라가면서 토출구(220)를 통과하게 되므로, 기포와 오폐수의 유속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되는 기포 및 오폐수가 수직 상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기포 및 오폐수가 가이드판(430)의 저면에 부딪힐 때 큰 충격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기포 및 오폐수의 유속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기포와 오폐수가 토출구(220)를 통과할 때부터 나선형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220)는 수평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토출구(220)의 수평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게 되면, 기포 및 오폐수가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나선형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게 되는바, 가이드판(430)의 저면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유속이 저하되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메디아의 평면도이다.
유출구(510)를 통해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공급되는 오폐수는 다량의 기포와 장시간 접촉되어 용존산소량이 높은 상태이므로,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공급되는 오폐수와 메디아(500)에 부착된 미생물의 접촉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미생물로의 산소 공급량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유기물의 산화분해 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오폐수와 메디아(500) 간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떨어진 오폐수가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을 따라 내려갈 때 직선으로 유동하는 것이 아니라 곡선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5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벽체(5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디아(500)의 상면에 다수 개의 가이드벽체(520)가 구비되면, 상기 반사판(600)에 반사되어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떨어진 오폐수는 상기 가이드벽체(520)를 따라 곡선으로 유동하면서 내려가게 되므로, 오폐수와 메디아(500) 간의 접촉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폐수가 가이드벽체(520)를 따라 곡선으로 유동하면서 내려가는 경우는, 상기 오폐수가 직선으로 유동하면서 내려가는 경우에 비해 유속이 감소되는바, 오폐수와 메디아(500) 간의 접촉시간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오수처리조
200 : 하측관
210 : 오폐수유입구 220 : 토출구
300 : 폭기관 400 : 상측관
410 : 체결공 420 : 보조유입구
430 : 가이드판 500 : 메디아
510 : 유출구 520 : 가이드벽체
600 : 반사판 700 : 미생물접촉재
210 : 오폐수유입구 220 : 토출구
300 : 폭기관 400 : 상측관
410 : 체결공 420 : 보조유입구
430 : 가이드판 500 : 메디아
510 : 유출구 520 : 가이드벽체
600 : 반사판 700 : 미생물접촉재
Claims (10)
-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장착되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에는 오폐수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벽에 다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측관;
상기 하측관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폭기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며, 바닥면에는 상기 하측관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상측관;
상기 상측관의 개방된 상단을 덮되,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위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메디아;
상기 유출구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오폐수를 상기 메디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미생물접촉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관의 내벽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상측관 내부로 유입된 기포와 오폐수의 유동방향을 나선형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관의 바닥면에는 상기 체결공을 둘러싸도록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측관의 측벽 중 상기 상측관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수직단면이 슬롯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횡단면 일측이 횡단면 타측보다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수평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여 토출된 오폐수와 공기는 나선형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디아는 오수처리조의 수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되, 가장자리 부위만 오수처리조의 수면에 닿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디아의 가장자리 끝단은 상기 미생물접촉재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저면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디아의 상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0901A KR20220165686A (ko) | 2020-12-16 | 2022-11-25 |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6032A KR102611416B1 (ko) | 2020-12-16 | 2020-12-16 |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KR1020220160901A KR20220165686A (ko) | 2020-12-16 | 2022-11-25 |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6032A Division KR102611416B1 (ko) | 2020-12-16 | 2020-12-16 |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5686A true KR20220165686A (ko) | 2022-12-15 |
Family
ID=822215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6032A KR102611416B1 (ko) | 2020-12-16 | 2020-12-16 |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KR1020220160901A KR20220165686A (ko) | 2020-12-16 | 2022-11-25 |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6032A KR102611416B1 (ko) | 2020-12-16 | 2020-12-16 |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1141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0291B1 (ko) | 2018-02-28 | 2018-05-21 | 박정규 | 산기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4096B1 (ja) * | 1999-05-25 | 2000-02-28 | 株式会社新東エコテクノ | 家畜糞尿の発酵処理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エア―攪拌消泡機構 |
KR100808633B1 (ko) * | 2006-11-27 | 2008-02-29 | (주) 그린킹 | 회전류 폭기 접촉 산화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성 오폐수 처리장치 |
KR101020593B1 (ko) * | 2010-09-14 | 2011-03-09 | 이철환 | T형 폭기 장치가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소인 제거 오폐수 처리 방법 |
-
2020
- 2020-12-16 KR KR1020200176032A patent/KR1026114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11-25 KR KR1020220160901A patent/KR20220165686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0291B1 (ko) | 2018-02-28 | 2018-05-21 | 박정규 | 산기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5985A (ko) | 2022-06-23 |
KR102611416B1 (ko) | 2023-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139257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высоко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 |
US5217609A (en) | Combination sludge collector, aerator, and return pump | |
CN103977602B (zh) | 气液分离装置和具有该气液分离装置的污水处理装置 | |
KR20220165686A (ko) |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 |
JP2007117908A (ja) | 浄化槽 | |
KR100470925B1 (ko) | 유체유동에 의한 수처리 공정 및 장치 | |
KR100288083B1 (ko) | 고효율 합병 정화조 | |
KR101729314B1 (ko) | 수위조절이 가능한 산화폭기장치 | |
JP3263267B2 (ja) | 浄化槽 | |
CN201530745U (zh) | 适用于一体化生物反应器的污水回流装置 | |
JP3900997B2 (ja) | 旋回流曝気装置 | |
JP2577673B2 (ja) | 汚水処理槽 | |
ES2223076T3 (es) | Sistema integral de tratamiento de aguas residuales con velocidad inducida de los fangos. | |
KR101106761B1 (ko) | 격막 순환식 활성슬러지 포기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
CN110002688A (zh) | 一种高效提标系统 | |
CN113165924A (zh) | 废水组成物的生物整治设备 | |
JPS5832634B2 (ja) | 廃水の酸化処理装置 | |
CN212954485U (zh) | 一种新型连续好氧反应池 | |
CN216336831U (zh) | 一种多功能一体化mbbr污水处理试验装置 | |
CN220116343U (zh) | 一种便于水气固分离的污水处理反应器 | |
KR100285798B1 (ko) | 접촉폭기식 합병정화조 | |
KR102484090B1 (ko) | 오존을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장치 | |
CN215365103U (zh) | 一种城市污水厌氧氨氧化自养脱氮系统 | |
CN213446429U (zh) | 污水处理系统中的三相分离装置及水质净化设备 | |
US20220234926A1 (en) | System for microorganism based treatment of waste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