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416B1 -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416B1
KR102611416B1 KR1020200176032A KR20200176032A KR102611416B1 KR 102611416 B1 KR102611416 B1 KR 102611416B1 KR 1020200176032 A KR1020200176032 A KR 1020200176032A KR 20200176032 A KR20200176032 A KR 20200176032A KR 102611416 B1 KR102611416 B1 KR 10261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pipe
media
treatment system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985A (ko
Inventor
김홍철
김의진
Original Assignee
김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진 filed Critical 김의진
Priority to KR102020017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4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985A/ko
Priority to KR1020220160901A priority patent/KR2022016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장착되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에는 오폐수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벽에 다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측관; 상기 하측관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폭기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며, 바닥면에는 상기 하측관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상측관; 상기 상측관의 개방된 상단을 덮되,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위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메디아; 상기 유출구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오폐수를 상기 메디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미생물접촉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with bubbling device}
본 발명은 오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정화시키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미생물에 산소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폭기장치를 구비하되 오폐수의 유동압을 저감시켜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 부착성이 개선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처리공정은 처리될 오폐수의 특성과 요구되는 처리 정도에 따라 그 선택이 좌우되나, 통상 물리적처리, 화학적처리, 미생물학적 처리와 그 외에도 상기한 처리방법으로도 처리되지 않은 유해 물질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 등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오폐수 처리에서 미생물적 처리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로 대별할 수 있는데, 호기성은 미생물의 생존에 용존산소가 필요한 경우이고, 혐기성은 용존산소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정화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화조에서는 상기한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을 모두 사용해야만 완전한 정화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학적 오폐수 처리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오폐수처리조 내에 미생물접촉재(HBC-ring)을 설치하여, 미생물접촉재 표면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산화가 진행되고, 미생물덩어리 내부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진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산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접촉재 표면에 산소를 원활히 공급하여야 하므로, 미생물접촉재 하부에 산기관을 설치하여 미생물접촉재 측으로 산소를 전달하는 방법이 사용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산기관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미생물접촉재에 접촉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폐수처리조 전체에 걸쳐 산소가 고르게 공급되지 못하므로, 오폐수처리조 내의 사각지역에서 퇴적물이 쌓여 혐기화에 의한 악취를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오폐수처리조 바닥에 쌓인 슬러지가 미생물접촉재 측으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농도가 높아지는데 한계가 발생한다는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폐수처리조 내에 설치된 필터관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리프트 효과를 구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이 제안된바 있다.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때 발생되는 에어리프트 효과를 이용하여 슬러지와 산소를 미생물접촉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바, 별도의 펌프 없이도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농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산화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폐수처리조 내의 오폐수 유동압이 증가하게 되므로, 미생물접촉재의 표면에 붙어 있던 슬러지 및 미생물이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오폐수 간의 접촉시간이 용존산소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86029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오수처리조 내의 오폐수 용존산소를 증가시켜 미생물접촉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전달할 수 있고, 오폐수의 유속 및 유동압을 감소시켜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 부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장착되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에는 오폐수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벽에 다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측관; 상기 하측관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폭기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며, 바닥면에는 상기 하측관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상측관; 상기 상측관의 개방된 상단을 덮되,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위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메디아; 상기 유출구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오폐수를 상기 메디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미생물접촉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관의 내벽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상측관 내부로 유입된 기포와 오폐수의 유동방향을 나선형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측관의 바닥면에는 상기 체결공을 둘러싸도록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측관의 측벽 중 상기 상측관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에만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는 수직단면이 슬롯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횡단면 일측이 횡단면 타측보다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는 수평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여 토출된 오폐수와 공기는 나선형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한다.
상기 메디아는 오수처리조의 수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되, 가장자리 부위만 오수처리조의 수면에 닿도록 장착된다.
상기 메디아의 가장자리 끝단은 상기 미생물접촉재의 수직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반사판은 저면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디아의 상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벽체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을 이용하면, 오수처리조 내의 오폐수 용존산소를 증가시켜 미생물접촉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전달할 수 있고, 오폐수의 유속 및 유동압을 감소시켜 미생물접촉재의 미생물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하측관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하측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메디아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정화조 등과 같은 오수처리조(100)에 저장된 오폐수를 생물학적 방법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처리시스템으로서, 오수처리조(100)에 저장된 오폐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미생물접촉재(700)(HBC-ring)를 구비한다. 상기 미생물접촉재(700)의 표면에는 다량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는바, 오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미생물은 전달되는 물에 산소가 충분히 포함되어 있을 때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산화분해시킬 수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미생물에 산소가 충분히 포함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첫 번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에는 오폐수유입구(210)가 형성되는 하측관(200)과, 상기 하측관(200)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폭기관(30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며 바닥면을 통해 상기 하측관(200)의 상측 일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상측관(400)과, 상기 상측관(400)의 개방된 상단을 덮되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위에 유출구(510)가 형성되는 메디아(500)와, 상기 유출구(510)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510)를 통해 분출되는 오폐수를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디아(500)는 표면에 다량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오폐수 내의 유기물을 생화학적으로 산화분해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이와 같은 메디아(500)는 종래의 생물학적 수처리장치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바, 상기 메디아(500)의 내부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측관(200)의 측벽에는 다수 개의 토출구(220)가 형성되므로, 상기 폭기관(300)을 통해 공급된 기포는 상기 토출구(220)를 통해 상측관(400) 내부로 토출된 후 상측관(400) 내부에서 부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모두 상측관(4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220)는 상기 하측관(200)의 측벽 중 상기 상측관(400)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측관(400) 내부에서 다량의 기포가 빠르게 상승하게 되면 상기 상측관(400) 내부에는 에어리프팅 현상이 발생되므로, 오수처리조(100)의 바닥에 있던 슬러지는 오폐수와 함께 오폐수유입관을 통해 흡입되어 상측관(400) 상단을 통해 분출된다. 이와 같이 하측관(200)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였을 때 발생되는 에어리프팅 현상에 의해 슬러지가 포함된 오폐수(이하 '오폐수'라 약칭함)가 상승하는 과정은 종래의 오폐수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구현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측관(400)은 상단이 오수처리조(100)의 오폐수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므로, 상측관(400)의 상단을 통해 분출된 오폐수는 반사판(600)에 의해 부딪혀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안착된 후 상기 메디아(500)의 완만한 경사면을 타고 천천히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디아(500)에 부착되어 있는 미생물은 산소가 충분히 혼합된 오폐수와 오랜 시간 접촉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미생물은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던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산화분해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오폐수가 효과적으로 미생물접촉재(700)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메디아(500)의 가장자리 끝단은 상기 미생물접촉재(7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기관(300)에 의해 발생되는 에어리프팅 현상에 의해 오폐수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폐수가 매우 빠른 속도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빠른 속도의 오폐수가 미생물접촉재(700)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 상기 미생물접촉재(700)에 부착되어 있던 미생물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폭기관(300)에 의해 빠르게 상승하던 오폐수가 반사판(600)에 부딪혀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안착된 후, 상기 메디아(500)의 경사면을 타고 천천히 유동하여 미생물접촉재(700)로 전달되는바, 상기 미생물접촉재(700)에 부착되어 있던 미생물이 오폐수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반사판(600)에 의해 반사된 오폐수는 메디아(500)의 상면을 타고 내려와 미생물접촉재(700)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메디아(500)의 가장자리가 오수처리조(100)의 수면보다 현저히 높게 위치되면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을 타고 내려오던 오폐수가 오수처리조(100)의 수면에 떨어지는 과정에서 큰 충격력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충격력에 의해 미생물접촉재(700)에 부착되어 있던 미생물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디아(500)는 전체적으로 오수처리조(100)의 수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되 가장자리 부위만 오수처리조(100)의 수면에 닿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메디아(500)의 가장자리가 오수처리조(100)의 수면에 닿도록 장착되면, 메디아(500)의 상면을 타고 내려오던 오폐수가 큰 충격 없이 오수처리조(100)의 수면으로 유입되므로, 미생물접촉재(700)에 접촉되어 있던 미생물이 탈거되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출구(510)를 통해 유출되는 오폐수는 반사판(600)의 저면에 부딪힌 후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반사판(600)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반사판(600)에 부딪힌 오폐수가 유출구(510)를 통해 상측관(400)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판(600)은 유출구(510)를 통해 유출된 오폐수가 사방으로 분산되어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반사판(600)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면, 유출구(510)를 통해 유출된 오폐수가 반사판(600)의 저면을 타고 사방으로 분산되어 하향으로 떨어지게 되는바, 오폐수가 상측관(40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메디아(500)의 상면 각 부위로 오폐수를 고르게 분산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측관의 단면사시도이다.
폭기관(300)으로부터 공급된 기포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어리프팅 현상에 의해 오수처리조(100) 바닥의 오폐수가 오폐수유입구(210)로 흡입되는데, 이때 상기 상측관(400) 내부에서 상승하는 오폐수의 유량과 속도가 클수록 오폐수의 흡입률이 높아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때 오폐수유입구(210)만을 통해 오폐수가 흡입되도록 구성되면, 상측관(400) 내부의 오폐수 유량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상측관(400) 내부를 따라 상승하는 오폐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측관(400)의 바닥면에는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4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측관(400)의 바닥면에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420)가 형성되면, 폭기관(300)을 통해 고압의 기포가 하측관(200) 내부로 공급되었을 때 오수처리조(100) 내의 오폐수가 오폐수유입구(210)만을 통해 흡입되는 것이 아니라 보조유입구(420)를 통해서도 흡입되므로, 상기 상측관(400) 내부의 오폐수 유량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이에 따라 에어리프팅 현상이 더욱 강력하게 발생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420)는 상측관(400)의 내측공간 전체에 걸쳐 오폐수가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측관(400)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관(20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체결공(410)이 상측관(400)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420)는 상기 체결공(410)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조유입구(420)의 크기 및 개수, 배열패턴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폭기관(300)을 통해 공급된 기포가 수직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면, 기포와 오폐수 간의 접촉시간이 짧아지므로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즉, 기포와 오폐수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폭기관(300)을 통해 공급된 기포 및 상측관(400) 내부로 흡입된 오폐수가 나선형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관(400)의 내벽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상측관(400) 내부로 유입된 기포와 오폐수의 유동방향을 나선형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측관(400) 내벽에 나선형의 가이드판(430)이 형성되면, 토출구(220)를 통해 상측관(400) 내측으로 유입된 기포와 오폐수는 가이드판(430)의 저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바, 기포와 오폐수의 유속을 떨어뜨리지 아니하면서도 기포와 오폐수 간의 접촉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미생물이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산화분해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430)의 경사각도 및 규격은 오수처리조(100) 내의 오폐수 종류 및 폭기관(300)의 폭기용량, 상측관(400)의 규격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하측관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하측관의 단면도이다.
기포 및 오폐수가 토출되는 토출구(220)는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토출될 수 있도록 수직단면이 슬롯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토출구(22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면, 기포 및 오폐수가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토출구(220)의 상측내벽에 부딪혀 유속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일측(도 4에서는 우측)이 횡단면 타측(도 4에서는 좌측)보다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토출구(220)가 비스듬히 경사진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면, 기포 및 오폐수가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동안 토출구(220)의 상측 내벽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토출구(220)의 상측 내벽을 타고 올라가면서 토출구(220)를 통과하게 되므로, 기포와 오폐수의 유속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되는 기포 및 오폐수가 수직 상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기포 및 오폐수가 가이드판(430)의 저면에 부딪힐 때 큰 충격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기포 및 오폐수의 유속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기포와 오폐수가 토출구(220)를 통과할 때부터 나선형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220)는 수평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토출구(220)의 수평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게 되면, 기포 및 오폐수가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나선형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게 되는바, 가이드판(430)의 저면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유속이 저하되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 메디아의 평면도이다.
유출구(510)를 통해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공급되는 오폐수는 다량의 기포와 장시간 접촉되어 용존산소량이 높은 상태이므로,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공급되는 오폐수와 메디아(500)에 부착된 미생물의 접촉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미생물로의 산소 공급량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유기물의 산화분해 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오폐수와 메디아(500) 간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떨어진 오폐수가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을 따라 내려갈 때 직선으로 유동하는 것이 아니라 곡선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디아(500)의 상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5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벽체(5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디아(500)의 상면에 다수 개의 가이드벽체(520)가 구비되면, 상기 반사판(600)에 반사되어 메디아(500)의 상면으로 떨어진 오폐수는 상기 가이드벽체(520)를 따라 곡선으로 유동하면서 내려가게 되므로, 오폐수와 메디아(500) 간의 접촉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폐수가 가이드벽체(520)를 따라 곡선으로 유동하면서 내려가는 경우는, 상기 오폐수가 직선으로 유동하면서 내려가는 경우에 비해 유속이 감소되는바, 오폐수와 메디아(500) 간의 접촉시간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오수처리조 200 : 하측관
210 : 오폐수유입구 220 : 토출구
300 : 폭기관 400 : 상측관
410 : 체결공 420 : 보조유입구
430 : 가이드판 500 : 메디아
510 : 유출구 520 : 가이드벽체
600 : 반사판 700 : 미생물접촉재

Claims (10)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장착되되,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에는 오폐수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벽에 다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측관;
    상기 하측관의 내부공간 하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폭기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밀폐된 중공관 형상을 이루며, 바닥면에는 상기 하측관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이 오수처리조의 오폐수 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상측관;
    상기 상측관의 개방된 상단을 덮되,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위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메디아;
    상기 유출구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오폐수를 상기 메디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오수처리조의 오폐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미생물접촉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측관의 측벽 중 상기 상측관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위에만 형성되며,
    상기 메디아는 오수처리조의 수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되, 가장자리 부위만 오수처리조의 수면에 닿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관의 내벽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상측관 내부로 유입된 기포와 오폐수의 유동방향을 나선형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관의 바닥면에는 상기 체결공을 둘러싸도록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보조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수직단면이 슬롯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횡단면 일측이 횡단면 타측보다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수평단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여 토출된 오폐수와 공기는 나선형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디아의 가장자리 끝단은 상기 미생물접촉재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저면이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디아의 상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0200176032A 2020-12-16 2020-12-16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61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32A KR102611416B1 (ko) 2020-12-16 2020-12-16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0220160901A KR20220165686A (ko) 2020-12-16 2022-11-25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32A KR102611416B1 (ko) 2020-12-16 2020-12-16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901A Division KR20220165686A (ko) 2020-12-16 2022-11-25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85A KR20220085985A (ko) 2022-06-23
KR102611416B1 true KR102611416B1 (ko) 2023-12-07

Family

ID=822215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032A KR102611416B1 (ko) 2020-12-16 2020-12-16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0220160901A KR20220165686A (ko) 2020-12-16 2022-11-25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901A KR20220165686A (ko) 2020-12-16 2022-11-25 보조 유입구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14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497A (ja) * 1999-05-25 2000-12-05 Shinto Eco Techno:Kk 家畜糞尿の発酵処理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エアー攪拌消泡機構
KR100808633B1 (ko) * 2006-11-27 2008-02-29 (주) 그린킹 회전류 폭기 접촉 산화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성 오폐수 처리장치
KR101020593B1 (ko) * 2010-09-14 2011-03-09 이철환 T형 폭기 장치가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소인 제거 오폐수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291B1 (ko) 2018-02-28 2018-05-21 박정규 산기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497A (ja) * 1999-05-25 2000-12-05 Shinto Eco Techno:Kk 家畜糞尿の発酵処理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エアー攪拌消泡機構
KR100808633B1 (ko) * 2006-11-27 2008-02-29 (주) 그린킹 회전류 폭기 접촉 산화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성 오폐수 처리장치
KR101020593B1 (ko) * 2010-09-14 2011-03-09 이철환 T형 폭기 장치가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소인 제거 오폐수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85A (ko) 2022-06-23
KR20220165686A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0577A (en) Apparatus for treating and purifying waste water
US5549818A (en) Sewage treatment system
US5217609A (en) Combination sludge collector, aerator, and return pump
KR102611416B1 (ko)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US4696740A (en) Unit type waste water treating apparatus
EP18559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ating a liquid, particularly useful in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or re-use
JP4119997B2 (ja) 汚水浄化槽
KR100470925B1 (ko) 유체유동에 의한 수처리 공정 및 장치
JP3263267B2 (ja) 浄化槽
JP4374885B2 (ja) 膜分離装置
US41607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pollutants from waste water
JP4819841B2 (ja) 膜分離装置
JP3169117B2 (ja) 生物学的廃水処理装置
JPS61157396A (ja) 曝気式高度廃水処理装置
JP2577673B2 (ja) 汚水処理槽
KR20190092540A (ko) 내부 고체 분리를 갖는 호기성 반응기
CN209442821U (zh) 污水处理设备
KR101203944B1 (ko) 미세기포부상장치를 이용한 질소제거시스템
KR100220189B1 (ko) 하.폐수 처리장치
JPH09150177A (ja) 流動床方式深層式曝気槽を用いた廃水の処理装置
JP2007117908A (ja) 浄化槽
JPS586555B2 (ja) 屎尿浄化槽
JPS5832634B2 (ja) 廃水の酸化処理装置
CN212954485U (zh) 一种新型连续好氧反应池
US20220234926A1 (en) System for microorganism based treatment of waste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