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083B1 - 고효율 합병 정화조 - Google Patents
고효율 합병 정화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8083B1 KR100288083B1 KR1019980050164A KR19980050164A KR100288083B1 KR 100288083 B1 KR100288083 B1 KR 100288083B1 KR 1019980050164 A KR1019980050164 A KR 1019980050164A KR 19980050164 A KR19980050164 A KR 19980050164A KR 100288083 B1 KR100288083 B1 KR 1002880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anaerobic tank
- anaerobic
- concentrated storage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와 오수를 발생원에서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유입유량의 변동에 대한 대처능력이 탁월하고, 고농도의 부하를 가진 유입오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며, 질소 및 인의 제거효율이 탁월한 고효율 합병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형의 몸체와 이를 덮는 덮개를 갖추고, 그 내부에는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침전조 및 농축저류조등을 갖추어 분뇨와 오수를 발생원에서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농축저류조는 몸체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농축저류조의 주위에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및 침전조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농축저류조와 몸체사이의 공간을 수직 다분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유량의 변동에 대한 대처능력이 탁월하고, 고농도의 부하를 가진 유입오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할수 있으며, 질소 및 인의 제거효율이 탁월하고, 소형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뇨와 오수를 발생원에서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유입유량의 변동에 대한 대처능력이 탁월하고, 고농도의 부하를 가진 유입오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며, 질소 및 인의 제거효율이 탁월한 고효율 합병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조는 단독 정화조와 합병 정화조로 대별되며, 일반적인 정화조는 대부분 단독 정화조로서, 이는 수세식 변소가 설치된 단독 및 공동(다세대)주택에 설치되어 화장실에서 나오는 오수(분뇨)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합병 정화조(일명, 고효율 오수정화조)는 분뇨와 생활잡폐수(부엌, 세탁, 세면, 목욕하수등)을 동시에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단독 정화조의 경우, 분뇨만을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처리후 방류수질의 BOD 농도가 150 내지 200ppm에 이를 정도로 처리효율이 낮다. 그리고, 질소 및 인의 처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서 하천이나 호수의 부영양화가 가속되고 있으며, 연근해의 오염문제도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 합병정화조 설치에 관한 법령이 입법예고되고 있으며, 질소 및 인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기 시작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생물학적 오/폐수공정으로서 활성 슬러지 공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고정 생물막 공법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 활성 슬러지 공법에 의하여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공정으로는 A/O, A2/O, Bardenpho, UCT, VIP등의 공정이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공정은 혐기조, 무산소조, 그리고 호기조의 적절한 배치 및 혼합유체( mixed liquid )의 내부반송으로 유기물뿐만이 아니라 수계 부영양화의 주범인 질소/인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오/폐수중의 질소제거 메커니즘을 보면, 암모니아는 호기조에서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서 질산화되고(식 1참조), 상기 질산화물은 내부반송에 의하여 무산소조로 재순환되어 탈질 미생물에 의하여 질소가스로 전환된다(식 2참조)
NH4 ++ 2O2→ NO3 -+ H2O + 2H+(식 1)
5C( 유기성 탄소 ) + 4NO3 -+ 2H2O → 2N2+ 4OH-+ 5CO2(식 2)
한편, 인 제거 메커니즘은 복잡하지만 간단히 언급한다면, 혐기/호기 조건하에서 미생물에 의한 인 방출/과잉 섭취로 인하여 제거된다.
그리고, 여러 종류의 담체를 이용한 고정 생물막 공법은 활성 슬러지법에 비하여 많은 미생물을 유지할수 있고 다양한 상태의 미생물상(혐기/무산소/호기)의 존재로 영양염류의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고농도 유기물 부하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질을 얻을수 있는 것이다.
현재까지 정화조와 관련된 많은 특허와 실용신안등록이 보고되었으나, 이들의 상당수가 단독 정화조용 혐기조나 폭기조(호기조)에 초점을 마춘 것들이며, 합병 정화조 관련 특허의 경우에도 질소/인의 제거에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98-1875호, 실용신안 등록공개번호 제 98-8135호, 제 97-62317호, 제 96-17556호 등에는 접촉 폭기식 단독정화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 공개번호 제 97-6201호, 제 93-4208호, 제 93-19568호 및, 실용신안 등록공개번호 제 97-5787호등에는 혐기성 단독정화조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은 단지 유기물의 제거만이 이루어질뿐, 질소 및 인의 제거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 등록공개번호 제 97-58369호에서는 혐기 및 폭기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탈질반응을 위한 질화물의 내부반송이 없으며, 유입유량의 변동에 대한 적절한 대처수단을 가지지 못한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 등록공개번호 제 96-34557호에서도 유량변동에 대한 대비책이 미비하며, 질화물의 내부반송은 있지만 탈질반응을 위한 혐기조가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못함으로서 이러한 탈질반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그리고, 특허공개번호 제 95-23604호에서는 섬모접촉재를 이용한 합병 정화조가 제안되어 혐기 2조에 유량조정기능을 부여하고 있지만 이들은 효과적이지 못하고, 정화조자체가 수평원통형을 이루는 구조를 갖춤으로서 배관라인이 복잡하며, 폐슬러지의 인발이 어렵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안된 구조외의 구내 및 해외(일본)에서 제안된 각종 합병정화조의 경우, 대부분이 수평원통형의 구조를 갖춤으로서 상기와 같은 유사한 문제점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입유량의 변동에 대한 대처능력이 탁월하고, 고농도의 부하를 가진 유입오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할수 있으며, 질소 및 인의 제거효율이 탁월하고, 소형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고효율 합병 정화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합병 정화조를 평단면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수직 다분할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합병 정화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합병 정화조의 처리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처리 순서대로 펼친 작동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합병 정화조의 에어리프트관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합병 정화조의 침전조를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합병 정화조의 농축저류조 하단부분이 혐기조와 관통되어 있음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병 정화조에 갖춰진 산기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병 정화조에 갖춰진 격벽의 장착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병 정화조의 무산소조와 호기조에 갖춰진 여재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몸체 7..... 덮개
10.... 혐기조 30.... 무산소조
33.... 웨어(weir) 50.... 호기조
54.... 산기관 70.... 침전조
90.... 농축저류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형의 몸체와 이를 덮는 덮개를 갖추고, 그 내부에는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침전조 및 농축저류조등을 갖추어 분뇨와 오수를 발생원에서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농축저류조는 몸체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농축저류조의 주위에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및 침전조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농축저류조와 몸체사이의 공간을 수직 다분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합병 정화조(1)는 도 1에 평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원통형( 또는 수직 중공다각형)의 구조를 갖추고 그 내부공간이 수직으로 다분할된 반응조들을 갖추고 있음으로서 장치의 구조가 소형을 이루면서 간단하게 이루어질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합병정화조(1)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와 덮개(7)의 내부에 혐기조(10), 무산소조(30), 호기조(50), 침전조(70) 및 농축저류조(90)등이 갖춰지며, 상기 농축저류조(90)는 몸체(5)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농축저류조(90)의 주위에 혐기조(10), 무산소조(30), 호기조(50) 및 침전조(7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농축저류조(90)와 몸체(5)사이의 공간을 수직 다분할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몸체(5)내의 각각의 반응조(혐기조(10), 무산소조(30), 호기조(50), 침전조(70) 및 농축저류조(90))들을 구획하는 격벽들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조립할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서 제작 및 운반이 편리하다.
상기 혐기조(10)는 오,폐수 유입구(11)가 갖춰진 혐기 1조(12a)와 이에 인접한 혐기 2조(12b), 혐기 3조(12c) 및 혐기 4조(12d)를 갖추고, 상기 혐기 1조(12a)는 그 최저수위(14)가 최고수위(16)의 약 1/2 내지 5/6정도이며, 상기 혐기 1조(12a)와 혐기 2조(12b)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p1)은 몸체(5)의 내면과 농축저류조(90)의 외면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 모서리(p1')는 몸체(5)의 바닥(5a)면으로부터 최고수위(16)의 1/20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5 정도 띄운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혐기 2조(12b)와 혐기 3조(12c)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p2)은 몸체(5)의 내면과 농축저류조(90)의 외면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 모서리(p2')는 몸체(5)의 바닥(5a)면으로부터 최고수위(16)의 1/40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10 정도 띄운 상태로 설치하며, 동시에 상단 모서리(p2")도 최고수위(16)의 1/2 내지 1/6 정도까지 격벽(p2)을 비워 오수를 월류시키고 상향류의 형성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혐기 3조(12c)와 혐기 4조(12d)사이에는 하향류를 위하여 격벽(p3)을 그 하단모서리(p3')가 몸체(5)의 바닥(5a)으로부터 1/20 내지 1/3,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의 정도로 상승시켜 설치한다. 또한, 혐기 4조(12d)는 격벽(p4)를 통하여 무산소조(30)와 인접되고, 상기 혐기 4조(12d)의 후단에서는 에어 리프트 펌프( air lift pump )(19)를 이용하여 오수를 일정량씩 상기 혐기 4조(12d)에 인접한 무산소조(30)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혐기 4조(12d)를 하부에서 구획하는 격벽(p5)을 추가로 갖추고 있음으로서 상기 격벽(p5)으로 인한 슬러지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혐기 1조(12a), 혐기 2조(12b), 혐기 3조(12c) 및 혐기 4조(12d)의 격벽(p6)에 인접한 농축 저류조(90)의 하단모서리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유입구(21)가 형성되어 상기 혐기 1조(12a), 혐기 2조(12b), 혐기 3조(12c) 및 혐기 4조(12d)의 격벽(p6) 하부측에 퇴적되는 슬러지(S)가 상기 농축저류조(9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혐기 4조(12d)에 인접함 무산소조(30)는 내부에 다수의 여재를 몸체(5)의 원주방향으로 탈착가능하도록 장착하여 무산소조(30)내에서 오,폐수의 흐름이 상향류와 하향류를 반복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혐기 4조(12d)로부터 무산소조(30)로의 오,폐수의 유입은 에어 리프트펌프(19)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리프트펌프(1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펌프(27)에 연결된 공기 주입관(23)과 상기 공기 주입관(23)의 선단이 그 내부로 삽입된 수직 에어리프트관(양수, 슬러지 양정관)(2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기는 공기 주입관(23)의 하단 근방에서 위치된 공기 주입구(23a)를 통하여 에어 리프트관(25)의 내부로 주입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리프트펌프(19)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물과 공기가 혼합되어 물보다 비중이 작은 혼합체가 형성되어 지며, 여기에 공기의 부상력이 가해져서 에어리프트관(25)내의 물이 격벽(p4)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여 배출됨으로서 무산소조(30)의 입측까지 연장된 에어리프트펌프(19)는 혐기 4조(12d)로부터 무산소조(30)로 양수를 시작한다.
상기 무산소조(30)로 유입된 오,폐수는 제 1여재(K1)의 하단모서리를 통과하여 제 2여재(K2)측으로 흐르고, 제 2여재(K2)를 타고 넘어서 제 3여재(K3)로 흐르며, 제 3여재(K3)의 하단모서리를 통과하여 몸체(5)에 인접하여 형성된 무산소조(30)의 격벽(p7)의 배출 웨어(33)를 통하여 이에 인접한 호기조(50)로 넘어간다.
상기 호기조(50)는 그 내부에 다수의 여재(K4)(K5)(K6)를 몸체(5)의 방사방향으로 장착하여 오,폐수의 흐름을 상,하향류로 반복시키고, 산기관(54)을 통하여 공기를 불어 넣어 공기와 접촉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호기조(50)의 하부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산기관(54)이 위치되고 상기 공압펌프(27)에 연결됨으로서 상기 산기관(54)에 마련된 다수의 공기구멍을 통하여 여재(K4)(K5)(K6)를 상,하향류로 반복하여 흐르는 오,폐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호기조(50)의 내부를 흐르는 오,폐수는 호기조(50)의 제 1여재(K4)의 하단모서리를 통과하여 제 2여재(K5)측으로 흐르고, 제 2여재(K5)를 타고 넘어서 제 3여재(K6)로 흐르며, 제 3여재(K6)의 하단모서리를 통과하여 농축 저류조(90)측으로 인접한 호기조(50)의 격벽(p8)의 배출 웨어(58)를 통하여 이에 인접한 침전조(70)로 넘어간다.
상기 무산소조(30)와 호기조(50)에 갖춰진 여재(K1)(K2)(K3)(K4)(K5)(K6)들은 각각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는 스테인레스망의 내부에 폴리머 계통이나 세라믹계통 또는 기타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입자(62)들을 충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여재(K1)(K2)(K3)(K4)(K5)(K6)들의 높이와 크기 및 배열등은 본 발명의 합병 정화조(1)의 용량에 따라서 각각 변경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조(50)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상등액과 침전 슬러지(S)로 분리시키기 위한 격벽(p9)과, 정화된 처리수를 월류시켜 배출하기 위한 웨어(75)를 갖추며, 상기 격벽(p9)과 농축저류조(90)사이의 공간에서 처리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S)는 에어리프트펌프(79)에 의해서 바로 옆의 농축저류조(90)로 이송하는 것이며, 처리수중 일부는 웨어(75)를 넘겨서 유출관(85)을 통하여 방류시키고, 다른 일부는 에어 리프트펌프(87)에 의해서 무산소조(30)로 반송하게 된다.
상기에서 침전조(70)는 농축저류조(90)와 인접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송이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직립형 수직 다분할된 구조를 갖는 정화조(1)의 장점은 슬러지(S)를 에어 리프트펌프(79)로서 이송하는 경우, 이송배관이 없어 막힐 염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혐기 4조(12d)의 에어리프트펌프(19)와 침전조(70)의 복수개의 에어리프트펌프(79),(87) 및 호기조(50)의 산기관(54)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펌프(27)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배관(27a)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설비구성을 간단하게 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격벽(p1)-(p9)들은 각각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의 내주면과, 농축저류조(90)의 외면에 각각 상하 길이방향의 가이드와 홈(92)들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와 홈(92)들에 격벽(p1)-(p9)이 삽입되어 조립식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각각 가이드와 홈(92)들이 해당 높이에 형성되어 격벽(p1)-(p9)을 조립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병 정화조(1)는 유입관(11)을 통하여 오,폐수가 벽을 타고서 천천히 혐기 1조(12a)로 유입되며, 이어서 혐기 2조(12b), 혐기 3조(12c), 혐기 4조(12d)로 흘러 가는데 혐기 1 내지 4조(12a)-(12d)의 하단부분이 중앙의 농축 저류조(90)에 연통되도록 뚫려 있음으로서 농축 저류조(90)를 통한 슬러지(S)의 외부 인출시 동시 다발적으로 슬러지(S)를 뽑아 낼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혐기 1 내지 4조(12a)-(12d)에서 오수의 흐름은 다수의 격벽(p1)(p2)(p3)으로 인하여 하향류 및 상향류가 반복적으로 진행되어 유입오수의 시간에 따른 앞,뒤 섞임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하단부분에서는 대부분 슬러지(S)만이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혐기 1조(12a) 내지 혐기 4조(12d)를 거치면서 고형물의 침전과 유기물의 분해 및 고분자 물질의 저분자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혐기 4조(12d)로부터 에어리프트펌프(19)을 통하여 무산소조(30)로 공급된 오,폐수는 혐기조(10)에서 만들어진 저분자 탄소원을 이용하여, 그리고 침전조(70)에서 반송된 처리수를 이용하여 오,폐수중의 질산화물의 탈질화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여재(K1)(K2)(K3)를 판형(가로 또는 세로)이나 블록형상으로 고정상 혹은 유동상 여재를 충진하여 미생물의 활성 및 탈질효율을 높여주게 되며, 웨어(33)를 통하여 월류에 의해서 호기조(50)로 넘어온 오,폐수는 여재(K4)(K5)(K6)를 통과하는 도중에 하부에 설치된 산기관(54)에 의해서 암모니아의 질산화가 일어나고, 유기물이 제거되며, 인의 미생물에 의한 과잉섭취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충진여재(K4)(K5)(K6)는 고정상이나 유동상 여재를 가로(Bed Type)또는 세로(Sheet type)로 충진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호기조(50)에서 월류된 처리수는 침전조(70)에서 상등액과 침전 슬러지(S)로 분리되어 정화된 물중 일부는 유출관(85)을 통하여 방류되고, 다른 일부는 에어 리프트 펌프(87)에 의해서 무산소조(30)로 반송되며, 침전된 슬러지(S)는 에어리프트펌프(79)을 통하여 바로 옆의 농축 저류조(90)로 이송된다.
상기에서 침전조(70)는 농축저류조(90)와 인접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슬러지(S)의 이송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직립형 수직 다분할된 구조를 갖는 정화조(1)의 장점은 슬러지(S)를 에어 리프트 펌프(79)로서 이송하는 경우, 이송배관이 없어 막힐 염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혐기 1 내지 4조(12a)-(12d)에서 오,폐수가 상향류 및 하향류가 반복적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서 유량조정기능이 강화되어 아침, 저녁의 과부하에 대한 처리부담을 줄일수 있으며, 호기조(50)에서 생성되어 넘어온 슬러지(S)를 침전조(70)에서 농축저류조(90)로 이송하는 경우, 이송라인이 불필요하게 되어 이송관내의 막힘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슬러지(S)의 정기적인 인발이 중앙에 위치한 농축 저류조(90)에서 일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슬러지(S)의 처리가 매우 편리하도록 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립원통형 구조로 인하여 유입유량의 변동에 대한 대처능력이 탁월하고, 고농도의 부하를 가진 유입오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할수 있으며, 질소 및 인의 제거효율이 탁월하고, 소형을 유지하면서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6)
- 중공형의 몸체(5)와 이를 덮는 덮개(7)를 갖추고, 그 내부에는 혐기조(10), 무산소조(30), 호기조(50), 침전조(70) 및 농축저류조(90)등을 갖추어 분뇨와 오수를 발생원에서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1)에 있어서, 상기 농축저류조(90)는 몸체(5)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농축저류조(90)의 주위에 혐기조(10), 무산소조(30), 호기조(50) 및 침전조(7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농축저류조(90)와 몸체(5)사이의 공간을 수직 다분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10)는 오,폐수 유입구(11)가 갖춰진 혐기 1조(12a)와 이에 인접한 혐기 2조(12b), 혐기 3조(12c) 및 혐기 4조(12d)를 갖추고, 상기 혐기 1조(12a)와 혐기 2조(12b)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p1)은 그 하단 모서리(p1')가 몸체(5)의 바닥(5a)면으로부터 최고수위(16)의 1/20 내지 1/2이고, 상기 혐기 2조(12b)와 혐기 3조(12c)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p2)은 그 하단 모서리(p2')가 몸체(5)의 바닥(5a)면으로부터 혐기조(10) 최고수위(16)의 1/40 내지 1/5이며, 동시에 상단 모서리(p2")도 최고수위(16)의 1/2 내지 1/6 정도까지 비워진 구조이며, 상기 혐기 3조(12c)와 혐기 4조(12d)사이의 격벽(p3)은 그 하단모서리(p3')가 몸체(5)의 바닥(5a)으로부터 최고수위(16)의 1/20 내지 1/3까지 비워진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 1조(12a)와 혐기 2조(12b)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p1)은 그 하단 모서리(p1')가 몸체(5)의 바닥(5a)면으로부터 최고수위(16)의 1/7 내지 1/5 정도 띄운 상태이고, 상기 혐기 2조(12b)와 혐기 3조(12c)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p2)은 그 하단 모서리(p2')가 몸체(5)의 바닥(5a)면으로부터 최고수위(16)의 1/20 내지 1/10 정도로 띄운 상태이며, 동시에 상단 모서리(p2")도 최고수위(16)의 1/2 내지 1/6 정도까지 비운 구조이고, 상기 혐기 3조(12c)와 혐기 4조(12d)사이의 격벽(p3)은 그 하단모서리(p3')가 몸체(5)의 바닥(5a)으로부터 1/10 내지 1/5의 정도로 상승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각각 몸체(5)의 내주면과, 농축저류조(90)의 외면에 각각 상하 길이방향의 가이드와 홈(92)들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와 홈(92)들에 격벽이 삽입되어 조립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10)는 혐기 1조(12a), 혐기 2조(12b), 혐기 3조(12c) 및 혐기 4조(12d)의 격벽(p5)에 인접한 농축 저류조(90)의 하단모서리에 슬러지 유입구(21)가 형성되어 상기 혐기 1조(12a), 혐기 2조(12b), 혐기 3조(12c) 및 혐기 4조(12d)의 격벽(p5) 하부측에 퇴적되는 슬러지(S)가 상기 농축저류조(90)로 유입되고 상기 농축 저류조(90)를 통하여 일시에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70)는 호기조(50)로 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상등액과 침전 슬러지(S)로 분리시키기 위한 격벽(p9)과, 정화된 처리수를 월류시켜 배출하기 위한 웨어(75)를 갖추고, 처리수중 일부는 웨어(75)를 넘겨서 유출관(85)을 통하여 방류시키며, 다른 일부는 에어 리프트펌프(87)에 의해서 무산소조(30)로 반송하고, 상기 격벽(p)과 농축저류조(90)사이의 공간에서 처리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S)는 에어리프트펌프(79)에 의해서 바로 옆의 농축저류조(90)로 이송함으로서 이송배관이 슬러지(S)에 의해 막힘이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0164A KR100288083B1 (ko) | 1998-11-23 | 1998-11-23 | 고효율 합병 정화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0164A KR100288083B1 (ko) | 1998-11-23 | 1998-11-23 | 고효율 합병 정화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3325A KR20000033325A (ko) | 2000-06-15 |
KR100288083B1 true KR100288083B1 (ko) | 2001-05-02 |
Family
ID=1955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50164A KR100288083B1 (ko) | 1998-11-23 | 1998-11-23 | 고효율 합병 정화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808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6960B1 (ko) * | 2002-09-02 | 2004-06-23 | 환경관리공단 | 다공성 격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고도 수처리 시스템 |
KR100451641B1 (ko) * | 2002-07-30 | 2004-10-08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혐기여과조를 이용한 폐수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
KR101156190B1 (ko) * | 2012-02-21 | 2012-06-18 | 주식회사 우람엔지니어링 |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중수 처리 장치 |
KR101170884B1 (ko) | 2010-09-16 | 2012-08-13 | 주식회사 서울이앤지 | 메탄화 처리 및 미생물 반응에 의한 오폐수 정화조 설비 |
KR101265962B1 (ko) | 2012-09-04 | 2013-05-22 | (주)으뜸산업 | 하수처리 시설의 반응 조절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0839A (ko) * | 1999-03-19 | 2000-10-16 | 안세영 | 하.폐수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패키지형 처리장치 |
KR100444411B1 (ko) * | 2002-06-12 | 2004-08-21 | 김홍찬 | 오수 정화장치 |
KR101632740B1 (ko) * | 2015-11-05 | 2016-06-22 | 민강식 | 일체형 호기 질소탈기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고도처리장치 및 그 공법 |
-
1998
- 1998-11-23 KR KR1019980050164A patent/KR1002880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1641B1 (ko) * | 2002-07-30 | 2004-10-08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혐기여과조를 이용한 폐수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
KR100436960B1 (ko) * | 2002-09-02 | 2004-06-23 | 환경관리공단 | 다공성 격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고도 수처리 시스템 |
KR101170884B1 (ko) | 2010-09-16 | 2012-08-13 | 주식회사 서울이앤지 | 메탄화 처리 및 미생물 반응에 의한 오폐수 정화조 설비 |
KR101156190B1 (ko) * | 2012-02-21 | 2012-06-18 | 주식회사 우람엔지니어링 |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중수 처리 장치 |
KR101265962B1 (ko) | 2012-09-04 | 2013-05-22 | (주)으뜸산업 | 하수처리 시설의 반응 조절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3325A (ko) | 2000-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41208B1 (ko) | 생물 여과 기술을 이용하는 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수처리방법 | |
US5531894A (en) | Method of treating wastewater | |
US7914678B2 (en) | Backwashing unsaturated wastewater filter | |
US6413427B2 (en) | Nitrogen reduc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US5211847A (en) | Denitrification methods | |
CA2052152C (en) | Denit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 |
KR100288083B1 (ko) | 고효율 합병 정화조 | |
CN108569762A (zh) | 一种多功能一体化生活污水处理设备 | |
US20070205152A1 (en) | Process f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water with simultaneous decomposition of organic and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
JP2006289153A (ja) |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 |
KR20060024288A (ko) | 반응조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하수 및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0272667B1 (ko) |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 |
CN109775936A (zh) | 一种低能耗生活污水处理系统 | |
JPH11244891A (ja) | 廃水の脱窒素処理方法と処理システム | |
KR20060104585A (ko) | 상향류 생물반응조와 가압형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 |
KR100282213B1 (ko) | 합병 정화조 | |
KR950008048B1 (ko) | 고효율의 개량형 호기성 축산 정화조 | |
KR100402304B1 (ko) | 내부순환형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JP4689007B2 (ja) | 汚水の浄化方法 | |
KR100244536B1 (ko) | 생물막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물 및 질소제거장치 | |
CN220078799U (zh) | 一种环流循环ao一体化污水处理装置 | |
KR100927178B1 (ko) | 단일 반응조를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 장치 | |
CN217895394U (zh) | 一种含丁苯橡胶污水达标处理的装置 | |
KR200220344Y1 (ko) | 오수 이송수내의 공기 분리/제거 및 이송수 혼합장치 | |
KR100456083B1 (ko) | 상향류 오니여과법에 의한 오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80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