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667B1 -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72667B1 KR100272667B1 KR1019990005521A KR19990005521A KR100272667B1 KR 100272667 B1 KR100272667 B1 KR 100272667B1 KR 1019990005521 A KR1019990005521 A KR 1019990005521A KR 19990005521 A KR19990005521 A KR 19990005521A KR 100272667 B1 KR100272667 B1 KR 1002726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sewage
- anaerobic
- bulkhead
- aer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와 오수등을 발생원에서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혐기조(A), 무산소조(B), 폭기조(C) 및 침전조(D)등의 반응조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분뇨와 오수를 발생원에서 함께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A)의 분뇨와 오수는 제1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무산조소(B)로 제1공기부양펌프(P1)를 통해 이송되고, 상기 무산소조(B)의 분뇨와 오수는 제2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폭기조(C)로 오버플로우되며, 상기 폭기조(C)의 분뇨와 오수는 제3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침전조(D)로 오버플로우되고, 상기 침전조(D)의 분뇨와 오수는 제4격벽과 제5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무산소조(B)와 혐기조(A)의 각각으로 공기부양펌프(P2)(P3)를 통해 반송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혐기조, 무산소조, 폭기조 및 침전조를 2차원적인 영역에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분뇨와 오수등을 이송하고 반송하는 배관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고 배관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뇨와 오수등을 발생원에서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혐기조, 무산소조, 폭기조 및 침전조를 2차원적인 영역에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분뇨와 오수등을 이송하고 반송하는 배관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고 배관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조는 단독 정화조와 합병 정화조로 대별되며, 통상적인 정화조는 대부분 단독 정화조로서, 이는 수세식 변소가 설치된 단독 및 공동(다세대) 주택에 설치되어 화장실에서 나오는 오수(분뇨)를 정화시킨다. 반면에, 합병 정화조(일병, 고효율 오수정화조)는 분뇨와 생활잡폐수(부엌, 세탁, 세면, 목욕하수등)를 동시에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단독 정화조의 경우, 분뇨만을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처리후 방류수질의 BOD 농도가 150 내지 200 ppm에 이를 정도로 처리효율이 낮다. 그리고, 질소 및 인의 처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하천이나 호수의 부영양화가 가속되고 있으며, 연근해의 오염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질소와 인 제거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생물학적인 고효율 합병정화조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공정으로는 활성 슬러지 공법이 많이 사용되어졌으며, 근래 들어서는 고정 생물막 공법이 대두되고 있다.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질소/인 동시 제거공정으로 A/O, A2/O, Bardenpho, UCT, VIP 등의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혐기조와 폭기조 외에 무산소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며, 혐기조와 무산소조, 폭기조의 위치와 내부반송의 위치에 따라서 세분화되어진다. 이와 같은 혐기조, 무산조소 그리고 폭기조의 적절한 배치 및 환합액의 내부반송으로 유기물뿐만 아니라 수계 부영양화의 주범인 질소/인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질소제거는 폭기조와 무산소조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폭기조에서는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 암모니아가 질산화물로 전환되며(하기 화학식 1 참조) 무산소조에서는 폭기조에서 생성된 질산화물이 내부 반송되어 탈질 미생물에 의하여 질소가스로 전환된다(하기 화학식 2 참조).
이와같은 방법으로 질화물들은 모두 질소가스로 배출된다.
한편, 인 제거 메커니즘은 간단히 언급하자면, 혐기/폭기 조건하에서 미생물에 의한 인 방출/과잉섭취에 의해 제거된다.
그리고, 여러 종류의 담체를 이용한 고정 생물막 공법은 활성 슬러지법에 비하여 많은 미생물을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 상태의 미생물상(혐기/무산소/호기)의 존재로 영양염류의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고농도 유기물 부하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현재까지 정화조와 관련된 많은 특허 및 실용신안이 보고 되었으나, 상당수가 단독 정화조용 혐기조나 폭기조에 초점을 맞춘 것들이며, 합병정화조 관련 특허의 경우는 각 반응조들이 1차원적인 직선구조로 연결되어 있어서 많은 이송, 반송관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94-23804호, 제95-23604호 및 제96-34557호와, 일본국 공개특허 제07232185호, 제08290186호, 제09057284호 및 제09215984호, 그리고 미국 특허 제5,609,754호 및 제5,738,781호등의 최근 합병 정화조 관련 특허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오수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각 반응조 내의 미생물 여재 설치 방법이나 유량 안정화 등에 대한 것이다. 이들 특허에서나 현재 상용화된 합병정화조에서는 원통 또는 사각형 통을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반응조들을 수직방향으로 분할하여 통상 혐기조, 무산소조, 폭기조, 침전조 순으로 1차원적인 직선배열로 나열하고 있다. 따라서 후단의 폭기조나 침전조의 질산화된 상등액이나 고형슬러지를 전단의 혐기조 또는 무산소조로 이송, 반송시 배관들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 장치가 복잡해지고 장기 운전시 이송, 반송배관들의 슬러지의 침적으로 인해 오수 이동의 흐름이 원할하지 않은 경우가 생긴다. 반응조들의 2차원적인 배치는 접촉 폭기식 단독 정화조(대한믹국 공개실용신안 제97-58369호)등에서 나타나지만 이들 장치는 반송관의 개념이 들어있지 않은 상태이다.
즉, 지금까지의 합병정화조는 주로 전체적인 처리효율 향상과 유량 안정화등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효율향상을 위해 혐기조, 무산소조, 폭기조, 침전조의 각 반응조 사이에 설치된 많은 이송관과 반송관들은 전체적인 장치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장시간의 운전시 이송관과 반송관들의 내부에 슬러지가 침적되어 오수의 흐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장치가 단순하면서 이송관과 반송관들의 내부에 슬러지가 침적하면서 발생되는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합병정화조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적인 혐기조-무산소조-폭기조-침전조 등으로 이루어진 합병정화조 또는 기타 오폐수 처리시스템에서, 각각의 반응조들을 기존의 1차원 직렬식 배치에서 벗어나 2차원적으로 적절히 배치하여 분뇨와 오수등을 이송하고 반송하는 배관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고 배관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응조 배치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합병 정화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응조 배치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합병 정화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응조 배치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합병 정화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 배치방법에 의한 반응조들을 처리 순서에 의거하여 펼친 작동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12 ... 제1격벽20,21,22 ... 제2격벽
30,31,32 ... 제3격벽40,41,42 ... 제4격벽
50,51,52 ... 제5격벽61... 연결격벽
A... 혐기조B... 무산소조
C... 폭기조D... 침전조
P1,P2,P3 ... 공기부양펌프R1,R2... 공통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혐기조, 무산소조, 폭기조 및 침전조등의 반응조들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분뇨와 오수를 발생원에서 함께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의 분뇨와 오수는 제1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무산소조로 제1공기부양펌프를 통해 이송되고, 상기 무산소조의 분뇨와 오수는 제2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폭기조로 오버플로우되며, 상기 폭기조의 분뇨와 오수는 제3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침전조로 오버플로우되고, 상기 침전조의 분뇨와 오수는 제4격벽과 제5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무산소조와 혐기조의 각각으로 공기부양펌프를 통해 반송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응조 배치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합병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써,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직립원통이 동심원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직립원통 사이의 공간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격벽들에 의해 다수개(3개)로 분할된다.
상기 합병정화조(Ⅰ)는 내측 직립원통에 침전조(D)를 배치하고 그 침전조(D)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혐기조(A), 무산소조(B) 및 폭기조(C)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혐기조(A)에는 오수유입관(71)을 매개로 오수가 유입된다.
상기 혐기조(A)와 무산소조(B)는 제1격벽(10)을 매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러한 제1격벽(10)의 높이는 혐기조(A)와 무산소조(B)의 설정된 최대 수위보다 더 높게 설정하고, 상기 혐기조(A)를 거친 오수는 제1공기부양펌프(P)에 의해 일정량씩 무산소조(B)로 이송된다.
상기 무산소조(B)와 폭기조(C)는 제2격벽(2)을 매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러한 제2격벽(20)의 상단부 적정길이에는 나사산형태로 된 배출위어(Weir)(20a)를 형성하여 그를 통해 무산소조(B)를 거친 오수가 폭기조(C)로 자동이송되게 한다.
상기 폭기조(C)와 침전조(D)는 내측 직립원통의 일부를 이루는 제3격벽(30)을 매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러한 제3격벽(30)의 상단부 적정길이에는 나사산형태로 된 배출위어(30a)를 형성하여 그를 통해 폭기조(C)를 거친 오수가 침전조(D)로 자동이송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D)의 처리수는 처리수배출관(72)을 통해 방류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D)는 내측 직립원통의 일부를 이루는 제4격벽(40)과 제5격벽(50)을 매개로 상기 무산소조(B)와 혐기조(A)에 각각 인접함에 의하여, 침전조(D)내의 처리수중 일부 상등액은 제2공기부양펌프(P2)에 의해 무산소조(B)로 반송되고, 침전조(D)내의 침전 슬러지는 제3공기부양펌프(P3)에 의해 혐기조(A)로 반송되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합병정화조(Ⅰ)에 의하면, 반응조들을 서로 관련된 것끼리 인접하도록 2차원적으로 배치함에 의하여 오수나 슬러지의 이송 및 반송을 위한 배관이 불필요하게 하여 구조물을 간단하게 하며, 또한 장시간의 운전시에도 슬러지의 침적에 의해 배관의 막힘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고효율의 정화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게다가, 채널 또는 튜브로 존재하는 처리수배출관(72)의 경우, 그를 통과하는 처리수는 침전조(D)를 거친 맑은 상등액이므로, 배관막힘의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응조 배치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합병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써,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직립원통이 동심원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직립원통사이의 공간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격벽들에 의해 다수개(3개)로 분할된다.
상기 합병정화조(Ⅱ)는 내측 직립원통에 폭기조(C)를 배치하고 그 폭기조(C)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혐기조(A), 무산소조(B) 및 침전조(D)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있으며, 상기 혐기조(A)에는 오수유입관(71)을 매개로 오수가 유입된다.
상기 혐기조(A)와 무산소조(B)는 제1격벽(11)을 매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러한 제1격벽(10)의 높이는 혐기조(A)와 무산소조(B)의 설정된 최대 수위보다 더 높게 설정하고, 상기 혐기조(A)를 거친 오수는 제1공기부양펌프(P1)에 의해 일정량씩 무산소조(B)로 이송된다.
상기 무산소조(B)와 폭기조(C)는 내측 직립원통의 일부를 이루는 제2격벽(21)을 매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러한 제2격벽(21)의 상단부 적정길이에는 나사산형태로 된 배출위어(Weir)(21a)를 형성하여 그를 통해 무산소조(B)를 거친 오수가 폭기조(C)로 자동이송되게 한다.
상기 폭기조(C)와 침전조(D)는 내측 직립원통의 일부를 이루는 제3격벽(31)을 매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러한 제3격벽(31)의 상단부 적정길이에는 나사산형태로 된 배출위어(31a)를 형성하여 그를 통해 폭기조(C)를 거친 오수가 침전조(D)로 자동이송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D)의 처리수는 처리수배출관(72)을 통해 방류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D)는 제4격벽(41)과 제5격벽(51)을 매개로 상기 무산소조(B)와 혐기조(A)에 각각 인접함에 의하여, 침전조(D)내의 처리수중 일부 상등액은 제2공기부양펌프(P2)에 의해 무산소조(B)로 반송되고, 침전조(D)내의 침전 슬러지는 제3공기부양펌프(P3)에 의해 혐기조(A)로 반송되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합병정화조(Ⅱ)에 의하면, 반응조들을 서로 관련된 것끼리 인접하도록 2차원적으로 배치함에 의하여 오수나 슬러지의 이송 및 반송을 위한 배관이 전무하여 구조물을 간단하게 하며, 또한 장시간의 운전시에도 슬러지의 침적에 의해 배관의 막힘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고효율의 정화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응조 배치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합병정화조(및, 기타 오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써, 사각단면을 가지는 직립사각통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반응조들이 서로 관련된 것끼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벽을 매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합병정화조(Ⅲ)를 이루는 혐기조(A)에는 오수유입관(71)을 매개로 오수가 유입된다.
상기 혐기조(A)의 일측 벽은 제1격벽(12)과 제5격벽(52)이 연속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격벽(12)과 제5격벽(52)은 무산소조(B)와 침전조(D)의 일측 변을 이룬다. 상기 제1격벽(12)의 높이는 혐기조(A)와 무산소조(B)의 설정된 최대 수위보다 더 높게 설정되고, 상기 혐기조(A)를 거친 오수는 제1공기부양펌프(P1)에 의해 일정량씩 무산소조(B)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D)내의 침전 슬러지는 제3공기부양펌프(P3)에 의해 혐기조(A)로 반송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D)의 처리수는 처리수배출관(72)을 통해 방류된다.
상기 무산소조(B)와 침전조(D)는 상기 제1격벽(12)과 제5격벽(52)의 이웃한 변인 제4격벽(42)에 의해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침전조(D)내의 처리수중 일부 상등액은 제2공기부양펌프(P2)에 의해 무산소조(B)로 반송된다.
또한, 상기 무산소조(B)와 침전조(D)를 형성하면서 제1격벽(12)과 제5격벽(52)에 대해 대향하는 제2격벽(22)과 제3격벽(32)은 연속된 직선형태로 이루어져 폭기조(C)의 일측 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격벽(22)과 제3격벽(32)의 상단부 적정길이에는 나사산형태로 된 배출위어(22a)(32a)가 각각 형성되어 무산소조(B)를 거친 오수가 폭기조(C)로, 또한 폭기조(C)를 거친 오수가 침전조(D)로 자동이송되게 한다.
상기에서, 제1격벽(12), 제4격벽(42) 및 제5격벽(52)의 일측 단부가 하나의 공통점(R1)으로부터 시작하고, 제2격벽(22), 제3격벽(32) 및 제4격벽(42)의 일측 단부가 하나의 공통점(R2)으로부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합병정화조(Ⅲ)에 의하면, 반응조들을 서로 관련된 것끼리 인접하도록 2차원적으로 배치함에 의하여 오수나 슬러지의 이송 및 반송을 위한 배관이 불필요하게 하여 구조물을 간단하게 하며, 또한 장시간의 운전시에도 슬러지의 침적에 의해 배관의 막힘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고효율의 정화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합병정화조(Ⅲ)는 혐기조(A)에서 제1공기부양펌프(P1)에 의해 이송되는 오수나 침전조(D)에서 제2공기부양펌프(P2)로 반송되는 오수가 한 곳에서 바로 만나 혼합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두 액의 인위적인 혼합을 위한 추가 유도배관이 필요없고 탈질반응이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합병정화조의 작용을 오수의 처리순서대로 펼친 작동설명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 배치방법에 의한 반응조들을 처리 순서에 의거하여 펼친 작동설명도로써, 오수는 오수유입관(71)을 통해 혐기조(A)로 유입된다.
상기 혐기조(A)에 유입된 오수는 상부에서의 오수흐름을 차단하는 반면 하부에서의 오수흐름을 허용하는 격벽(81a)81c)과, 상부에서의 오수흐름을 허용하는 반면 하부에서의 오수흐름을 허용하는 격벽(81b)(81d)을 교대로 통과하고, 이러한 혐기조(A) 내에서는 오수내의 고형물 침전과 유기물의 분해 및 저분자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마지막 격벽(81d)을 통과한 오수는 제1공기부양펌프(P1)에 의하여 무산소조(B)로 넘어가게 된다.
무산소조(B)에서는 혐기조(A)에서 이송된 오수중의 저분자 탄소원과, 인접한 침전조(D)에서 제3공기부양펌프(P3)로 반송된 처리수중의 질산화물이 만나 혼합되어, 여재층(82)의 생물막을 지나면서 탈질화가 일어난다. 이후 오수는 무산소조(B)와 폭기조(C) 사이의 배출위어를 넘어 폭기조(C)로 들어간다.
폭기조(C)에서는 오수가 여재(83)층의 생물막을 통과하며 하부에 설치된 산기관(84)에서 나오는 공기에 의해 오수내의 암모니아 질산화가 일어나고, 유기물이 제거되며, 인의 미생물에 의한 과잉섭취가 이루어진다. 폭기조(C)를 거친 오수는 폭기조(C)와 침전조(D) 사이의 배출 위어를 넘어 침전조(D)로 들어간다.
침전조(D)에서 처리수는 상등액과 침전 슬러지로 분리되어, 정화된 상등액중 일부는 처리수 배출관(72)을 통하여 방류되고, 일부는 제2공기부양펌프(P2)에 의하여 무산소조(B)로 방류된다.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는 또다른 제3공기부양펌프(P3)에 의하여 혐기조(A)로 반송되어 분해되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병 정화조의 반응조 배치방법에 의하면, 혐기조-무산소조-폭기조-침전조 등으로 이루어진 합병정화조 또는 기타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반응조를 서로 연관된 것끼리 인접하여 있도록 2차원적으로 적절하게 배치함에 의해, 분뇨와 오수등을 이송하여 반송하는 배관의 사용을 억제함으로써 슬러지의 침적에 의한 배관막힘을 예방하여 보다 안정적인 오수처리가 가능하돌고 하며, 또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그 보수 및 유지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 내부에 혐기조(A), 무산소조(B), 폭기조(C) 및 침전조(D)등의 반응조들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분뇨와 오수를 발생원에서 함께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에 있어서,상기 혐기조(A)의 분뇨와 오수는 제1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무산소조(B)로 제1공기부양펌프(P1)를 통해 이송되고, 상기 무산소조(B)의 분뇨와 오수는 제2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폭기조(C)로 오버플로우되며, 상기 폭기조(C)의 분뇨와 오수는 제3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침전조(D)로 오버플로우되고, 상기 침전조(D)의 분뇨와 오수는 제4격벽과 제5격벽에 의해 인접배치된 무산소조(B)와 혐기조(A)의 각각으로 공기부양펌프(P2)(P3)를 통해 반송되어 오수나 슬러지의 이송 및 반송을 위한 배관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D)는 제3격벽(30), 제4격벽(40) 및 제5격벽(50)이 원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직립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혐기조(A), 무산소조(B) 및 폭기조(C)가 침전조(D)를 에워싸도록 배치하여 이송, 반송관의 수가 최소화되어 관내에서의 슬러지 침적 현상등이 최소화되고 장치가 구조적으로 단순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C)는 제2격벽(21), 제3격벽(31) 및 연결격벽(61)이 원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직립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위치하여 폭기조의 처리효율이 높고, 상기 혐기조(A)가 연결격벽(61)에 의해 폭기조(C)에 인접함으로써 무산소조(B), 침전조(D) 및 혐기조(A)가 폭기조(C)를 에워싸도록 배치되어 오수 및 슬러지의 이송, 반송관이 없어 슬러지로 인한 침적, 막힘현상이 없고 장치구조가 단순하여 콤팩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12), 제4격벽(42) 및 제5격벽(52)의 일측 단부가 제1공통점(R1)으로부터 시작되고, 상기 제4격벽(42)의 타측 단부와 제2격벽(22) 및 제3격벽(32)의 일측 단부가 제2공통점(R2)으로부터 시작되도록 배치되어 오수, 슬러지의 이송, 반송관이 전무하여 슬러지로 인한 침적, 막힘현상이 없고 장치가 단순하며 또한 무산소조에서의 유입오수들간의 사전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5521A KR100272667B1 (ko) | 1999-02-19 | 1999-02-19 |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5521A KR100272667B1 (ko) | 1999-02-19 | 1999-02-19 |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3054A KR19990073054A (ko) | 1999-10-05 |
KR100272667B1 true KR100272667B1 (ko) | 2000-11-15 |
Family
ID=1957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5521A KR100272667B1 (ko) | 1999-02-19 | 1999-02-19 |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7266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7762B1 (ko) | 2014-08-21 | 2016-03-30 | 신희종 | 미세기포 부상식 액상클리닝장치 |
CN110015812A (zh) * | 2019-04-11 | 2019-07-16 | 泰州学院 | 一种高浓度畜禽养殖废水处理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86332A (zh) * | 2016-09-06 | 2016-12-07 | 山东文远建材科技股份有限公司 | 户用污水处理设备 |
CN109809642B (zh) * | 2019-03-21 | 2024-08-30 | 玛瑜科创服务(南京)有限公司 | 一种多级好氧处理农村家庭污水改型净化槽的工作方法 |
CN111229066B (zh) * | 2020-03-23 | 2024-08-20 | 安徽华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立式单筒六槽全自动泡药机 |
CN115950034B (zh) * | 2022-12-15 | 2023-07-14 | 珠海宏诚净化科技有限公司 | 空气净化系统和实验室 |
-
1999
- 1999-02-19 KR KR1019990005521A patent/KR1002726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7762B1 (ko) | 2014-08-21 | 2016-03-30 | 신희종 | 미세기포 부상식 액상클리닝장치 |
CN110015812A (zh) * | 2019-04-11 | 2019-07-16 | 泰州学院 | 一种高浓度畜禽养殖废水处理方法 |
CN110015812B (zh) * | 2019-04-11 | 2021-06-15 | 泰州学院 | 一种高浓度畜禽养殖废水处理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3054A (ko) | 1999-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9847B1 (ko) | 개량된 혐기조와 재순환 부를 가진 하, 폐수의 고도처리방법 및 장치. | |
CN209835881U (zh) | 一种适合农村分散式户用型一体化污水处理装置 | |
CN210001741U (zh) | 污水处理装置 | |
KR100428047B1 (ko) | 역유입 슬러지를 이용한 오폐수 정화장치 및 방법 | |
CN101591088A (zh) | 射流管预曝气氧化沟污水处理系统 | |
KR100272667B1 (ko) | 합병 정화조 및 기타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반응조 배치방법 | |
KR101366867B1 (ko) | 하이브리드 공간분리기능과 콤팩트형 접촉여재를 이용한 산화구 개선시스템 | |
KR100288083B1 (ko) | 고효율 합병 정화조 | |
KR200368392Y1 (ko) | 무산소조/혐기조/침전농축 기능의 단일복합 반응 장치조 | |
CN109775936A (zh) | 一种低能耗生活污水处理系统 | |
KR20060024288A (ko) | 반응조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하수 및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CN108996689A (zh) | 一种提高煤化工低碳氮比废水总氮去除率的固体碳源微曝气装置及其废水处理方法 | |
KR100258637B1 (ko) | 오·폐수처리방법 | |
CN209338221U (zh) | 一种多级硝化反硝化反应设备 | |
KR0164675B1 (ko) | 하수처리장치 | |
CN108394996B (zh) | 一种活性污泥一体化污水处理装置 | |
KR100415437B1 (ko) | 탈질율을 개선시킨 슬러지 재포기조를 조합한하수고도처리시스템 | |
KR100402304B1 (ko) | 내부순환형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JP3116323B2 (ja) | 合併浄化槽 | |
CN111333177A (zh) | 泥膜生化污水处理系统 | |
KR100557012B1 (ko) | 롤 파이프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 |
CN109384314A (zh) | 一种多级硝化反硝化反应设备 | |
CN1450003A (zh) | 间歇式循环上流污泥床有机废水处理工艺 | |
CN203112654U (zh) | 焦化废水生化处理装置 | |
KR100543770B1 (ko) | 오·하수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81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